KR920001895Y1 - 푸쉬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쉬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895Y1
KR920001895Y1 KR2019890001439U KR890001439U KR920001895Y1 KR 920001895 Y1 KR920001895 Y1 KR 920001895Y1 KR 2019890001439 U KR2019890001439 U KR 2019890001439U KR 890001439 U KR890001439 U KR 890001439U KR 920001895 Y1 KR920001895 Y1 KR 9200018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case
terminal
dummy
button switch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14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1782U (ko
Inventor
죠오지 쓰스미
Original Assignee
알프스뎅키가부시키가이샤
카다오카 가쓰타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뎅키가부시키가이샤, 카다오카 가쓰타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뎅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217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17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8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8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05Connections to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2001/5888Terminals of surface mounted devices [SM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81Dummy conductors, i.e. not used for normal transport of current; Dummy electrodes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53Switch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1Treatm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e.g. heating, cooling, roughening
    • H05K2203/1178Means for venting or for letting gases escap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30Details of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5K2203/01 - H05K2203/17
    • H05K2203/304Protecting a component during 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 H05K3/3421Leaded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푸쉬버튼 스위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푸쉬버튼 스위치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푸쉬버튼 스위치를 프린트기판에 취부한 상태를 나타내는 A-A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퓌쉬버튼스위치를 프리트기판에 취부한 상태의 요부사시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정면도.
제 5 도는 퓌쉬버튼 스위치의 저면도.
제 6 도는 종래의 푸쉬버튼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푸쉬버튼스위치를 프린트가판에 취부한 상태를 나타내는 B-B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절연케이스 32 : 중앙공정접점
5 : 양측고정접점 34 : 더미-단자
35,36 : 접속단자 40 : 프린트기판
41 : 제 1 절결부 42 : 제 2 절결부
43 : 단자(돌출단부)
본 고안은, TV, VTR, 카세트데크등에 사용되는 푸쉬버튼스위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절연케이스의 내부가 밀폐된 면실장타입의 방수방진구조의 푸쉬버튼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전자기기의 소형경량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프린트기판상의 부품의 실장밀도는 더욱 더 높아가고 있으며, 이 때문에 퓌쉬버튼스위치에 있어서는 미리 소정위치에 크림납땜을 도포하여 놓은 프린트기판에 재치한후, 리프로 로등으로 가열하여 프린트기판의 배선패턴에 접속단자를 납땜하는 면실장타입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제 6 도 및 제 7 도는 그 면실장타입 푸쉬버튼 스위치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상부에 개구를 가지고 있는 내열성의 절연케이스로서, 절연케이스(1)의 내저면에는 중앙고정접점(2)과 양측고정접점(3)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의 고정접점(2,3)의 단부는 각각 접속단자(4,5)에 연장되어 나와있다. 그리고 접속단자(4,5)사이에 위치하는 케이스측면에는 양측고정접점(3)에 접속된 더미-단자(6)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양측고정접점(3)상에는 가동접점으로 작동되는 돔상의 판스프링(7)이 재치되어 있고, 이 판스프링(7)은 비조작시에는 중앙고정접점(2)으로부터 약간 간격이 떨어져 있다. 절연케이스(1)의 상부개구에 상하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된 스템(8)은 금속재로 구성되고, 이 스템(8)의 상면은 절연 케이스(1)의 상면에 접착재를 사용하여 점착된 방수방전용의 내열성 필림(10)으로 피복되어 있다. 중앙부에 개구(11)를 가지고 있으며, 내열성 필림(10)의 상면에 설치된 누름판(12)은, 예를 들어 땜납멕키를 실시한 승강판으로 형성된 것으로, 이 누름판(12)은 절연케이스(1)의 측벽에 돌출된 돌기(13)에 자신의 계지조(14)를 계합함으로서 취부된다. 그리고, 이 누름판(12)으로 스텝(8)의 상방 이동이 규제되어 있고, 개구(11)내에는 내열성 필림(10)에 덮어진 스텝(8)의 조작부(15)가 내밀어져 있다. 그리고 누름판(12)의 일부는 어스단자(18)로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나와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푸쉬버튼스위치를 실장할 때에는 미리 크램땜납(19)으로 도포된 프린트기판(16)의 배선패턴(17)상에 푸쉬버튼스위치의 접속단자(4,5) 및 어스단자(18)를 재치한후 리프로 로내에서 200℃이상으로 가열하여 크림땜납을 용융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 7 도에 표시되는 바와같이 크림땜납(19)을 개재하여 접속단자(4,5)나 어스단자(18)가 배선패턴(17)에 접속된다. 그래서, 이 푸쉬버튼스위치는 스텝(8)의 조작부(15)를 압압조작함으로써 판스프링(7)이 하방으로 휘어져서 중앙고정접점(2)에 접촉되고, 판스프링(7)를 개재하여 양 고정접점(2,3)이 도통되어서 스위치가 온된다. 조작부(15)에 대한 압압력을 해제하면 판스프링(7)은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되어 스위치가 오프상태로 복귀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푸쉬버튼 스위치는 리프로 로내에서 200℃이상으로 약 2-4분 가열하여 접속단자(4,5)를 납땜으로 부착하고 있지만, 이 납땜부착시에 절연케이스(1)내의 공기가 고온이기 때문에 팽창하여, 절연케이스(1)내의 가압이 높게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이 고기압으로 된 공기는, 고온때문에 점착력이 저하한 내열설 필림(10)하면의 점착재와 절연케이스(1)상면의 사이로부터 유출함과 동시에 접속단자(4,5)와 절연케이스(1)의 미세한 간격으로부터도 유출한다. 그리고, 크림땜납(19)중에 포함되어 있는 다량의 플럭스가 접속단자(4,5)주위의 미세한 간극(20)에 부착하여 버린다.
그후 푸쉬버튼스위치를 리프로 로에서 취출할 때에 절연케이스(1)내의 공기압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지만, 리프로 로내에서 다량의 공기가 유출되어 있기 때문에 리프로 로에서 취출하면, 내열성 필림(10)하면의 점착재의 점착력이 초개상태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이 부분으로부터의 절연케이스(1)의 내부로의 공기유입이 행하여지지 않는다. 또한 접속단자(4,5)주의의 미세한 간극(20)에 플럭스가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이 곳으로부터의 공기 유입도 행하여지지 않는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절연케이스(1)의 공기량이 적은 상태대로 있기 때문에, 스템(8)에 의해 판스프링(7)이 눌러진 상태에서 취부되어 버리게되어 푸쉬버튼 스위치로서의 작동력 특성에 지장을 주게된다. 여기서 양측 고정접점(3)상에 접속된 더미-단자(6)와 절연케이스(1)사이의 간극(21)를 개재하여 약30분-1시간이라고 하는 장시간을 걸쳐서 절연케이스(1)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더미-단자(6)를 설치하고 있지만, 크램땜납(19)의 부착성을 양호하게 하는 플럭스는, 크램땜납중에 약 15%정도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케이스(1)의 하면 및 절연케이스(1)의 측면에도 도달하게 되어서, 더미-단자(6)분으로도 플럭스가 부착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어, 결국 공기의 유통이 행하여지지 않고, 푸쉬버튼 스위치로서의 충분한 작동력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항상 양호한 작동력 특성이 얻어지는 푸쉬버튼스위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열성을 가지는 절연케이스에 매설된 금속편의 일부를, 밀폐된 절연케이스의 내부에 노출시켜서 고정접점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편의 타부를 절연케이스의 외부에 노출시켜서 접속단자로 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접점에 접속되고, 케이스측벽에 돌출된 더미-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를 프린프기판의 배설패턴에 납땜부착하여 프린트기판상에 실장된 푸쉬버튼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더미-단자측의 프린트기판과 대향하는 절연케이스하면에 제 1 절결부단자, 이 제 1 절결부내에 형성된 더미-단자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 2 절결부를 가지며, 케이스측면의 더미-단자의 근방에는 케이스측면과 단자를 가진 단부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플럭스는 절결부내 및 단부와 케이스 측벽과의 사이에 정류되기 때문에 더미-단자부에 부착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푸쉬버튼스위치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푸쉬버튼스위치를 프린트기판에 취부한 상태의 A-A단면도, 제 3 도는 푸쉬버튼스위치를 프린트기판에 취부한 상태의 요부사시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정면도, 제 5 도는 푸쉬버튼스위치의 저면도이다.
본 고안의 푸쉬버튼스위치는 절연케이스(31)와, 이 절연케이스(31)내저면에 인서트형성헤 의해 형성된 중앙 고정접점(32) 및 양측고정접점(33)과, 양측 고정접점(33)에 접속되고, 절연케이스(31)의 측면에 돌출된 더미-단자(34)와, 중앙고정접점(32) 및 양측고정접점(33)으로부터 각각 인출된 복수의 접속단자(35,36)와, 양측 고정접점(33)상에 배치되어 가동접점을 형성하는 판스프링(39)과, 판스프링(37)상에 재치된 스템(49)과, 절연케이스(31)의 상면에 점착재를 사용하여 첨부된 내열성 필림(38)과, 내열성 필림(38)의 주위를 덮도록 절연케이스(31)에 취부되고, 어스단자(55)를 가지는 누름판(39)을 구비하는 점은 종래와 동양이지만, 본 고안의 특징점은 이하의 구성이다.
즉, 더미-단자(34)의 하방에 위치하는 절연케이스(31)의 하면에 잔구상(殘構狀)의 제 1절결부(41)와 이 제 1 절결부(41)내에 형성된 제 2 절결부(42)와, 더미-단자(34)의 주위 근방에 절연케이스(31)의 측벽면과 단차를 가져서 돌출된 돌출단부(43)를 가지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의 푸쉬버튼스위치의 접속단자(35,36)를 크림땜납(44)가 도포된 프리트기판(40)의 배선패턴(45)상에 재치하여 리프로-로내에 삽입하여 종래와 동양으로 200℃정도로 2-4분 가열하면 크림땜납(44)이 용융되어 납땜부착이 행하여진다.
이때, 절연케이스(31)내는 밀봉구조이기 때문에, 절연케이스(31)내의 공기가 팽창하여 기압이 높게 된다. 이것에 의해 내열성 필림(38)하면에 첨부된 점착제의 점착력이 저하하고, 절연케이스(31)상면과 점착재의 사이에서 절연케이스(31)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함과 동시에 각 접속단자(35,36)와 절연케이스(31)의 미세한 간극으로 부터도 약간 유출한다. 그리고 납땜부착을 행한후 리프로-로에서 취출하면, 크램땜납(44)중에 포함되어 있는 플럭스가 접속단자(35,36)주위의 간극(50)에도 부착하기 때문에, 이 부분으로부터의 공기유입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또한 점착재의 점착력도 상온으로 도는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서 점착재와 절연케이스(31)의 상면사이로 부터의 공기유입도 행하여지지 않는다.
그러나 본 고안은, 더미-단자(34)의 하방에 제 1 절결부(41) 및 제 2 절결부(4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크림땜납(44)에 포함되어 있는 플럭스가 절연케이스(31)하면과 프린트기판(40)의 사이에 침입하였다하여도 이 플럭스는 제 1, 제 2 절결부(41,42)에 정류됨으로써, 돌출단부(43)로 타고 올라가지 않아서, 더미-단자(34)에 부착하지 않는다.
또한 크림땜납(44)중에 포함되어 있는 플럭스가 더미-단자(34)를 가지는 절연케이스(31)의 측벽면과(46)에 도달한 경우에는 돌출단부(43)의 표면(47)과 절연케이스(31)의 측벽면(46)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표면(47)과 절연케이스(31)의 측벽면(46)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측면(48)의 높이(0.1mm정도)에 의해 절연케이스(31)의 측벽면(46)과 돌출단부(43)의 측면(48)의 교점(각)부분에 부착하는 것으로 되어 측면(48)를 통하여 더미-단자(34)를 가진 표면(47)에 부착하는 일은 없다.
이것에 의해, 리프로-로내에는 절연케이스(31)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고, 이 영향으로 스템(49)보다 다소, 판스프링(37)이 압압된 상태에 위치되지만, 더미-단자(34)의 주위에는 플럭스가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더미-단자(34)와 돌출단부(43)의 미세한 간극(56)을 통하여 장시간(약 30분-60분)에 걸쳐 공기의 유입이 행하여진다. 그러나 이 간극(56)은 비상히 미세하기 때문에 공기의 유입은 행하여지지만 물 또는 먼지가 침입하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푸쉬버튼스위치에 있어서는, 더미-단자의 하방에 제1 및 제 2 절결부를 형성하고, 더미-단자의 근방에는 케이스측벽과 단차를 가지는 단부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더미-단자와 매설부분과 절연케이스의 사이에 형성된 미세간극을 통하여 납땜후에도 절연케이스 내외의 공기유통이 확보되어, 절연케이스 내외의 기압차에 기인하는 작동력 특성의 열화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내열성을 가진 절연케이스에 매설된 금속편의 일부를 밀폐된 절연케이스의 내부로 노출시켜서 고정접점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편의 타부를 절연케이스의 외부로 노출시켜서 접속단자로 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접점에 접속되고, 케이스측벽에 돌출된 더미-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를 프린트기판의 배선패턴에 납땜부착하는 것에 의해 프린트기판상에 실장되는 푸쉬버튼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더미-단자측의 프린트기판과 대향하는 절연케이스하면에 제 1 절결부와, 이 제 1 절결부내에 형성된 다미-단자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 12 절결부를 가지며, 케이스측면의 더미-단자의 근방에는 케이스측면과 단차를 가진 단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스위치.
KR2019890001439U 1988-04-27 1989-02-11 푸쉬버튼 스위치 KR92000189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947 1988-04-27
JP1988056947U JPH0518819Y2 (ko) 1988-04-27 1988-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1782U KR890021782U (ko) 1989-11-03
KR920001895Y1 true KR920001895Y1 (ko) 1992-03-21

Family

ID=130417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1439U KR920001895Y1 (ko) 1988-04-27 1989-02-11 푸쉬버튼 스위치
KR2019890001440U KR920001896Y1 (ko) 1988-04-27 1989-02-11 푸쉬버튼 스위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1440U KR920001896Y1 (ko) 1988-04-27 1989-02-11 푸쉬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87278A (ko)
JP (1) JPH0518819Y2 (ko)
KR (2) KR92000189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8429B2 (ja) * 1995-06-27 2004-02-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GB2308500B (en) * 1995-12-22 1999-07-21 Nokia Mobile Phones Ltd A domed contact element for a keypad assembly
US5828016A (en) * 1996-02-12 1998-10-27 Lucas Automation And Control Engineering, Inc. Low profile tactile switch
JPH09265851A (ja) * 1996-03-28 1997-10-07 Niles Parts Co Ltd スイッチの防水用ケース
JP2000260259A (ja) * 1999-03-11 2000-09-22 Alps Electric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EP1128405A1 (en) * 2000-02-21 2001-08-29 Cherry GmbH Microswitch module
CN101516167B (zh) * 2008-02-18 2011-11-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
JP5126244B2 (ja) * 2010-02-12 2013-01-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回路モジュール
JP5573291B2 (ja) * 2010-03-30 2014-08-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JP6221056B2 (ja) * 2013-07-17 2017-11-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JP6934070B2 (ja) * 2017-12-22 2021-09-08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CN115621069A (zh) * 2021-07-16 2023-01-17 三美电机株式会社 按键开关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1851A (en) * 1980-06-16 1982-05-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data input devices mounted thereon and input device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160629U (ko) 1989-11-08
KR890021783U (ko) 1989-11-03
US4987278A (en) 1991-01-22
KR890021782U (ko) 1989-11-03
JPH0518819Y2 (ko) 1993-05-19
KR920001896Y1 (ko) 199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895Y1 (ko) 푸쉬버튼 스위치
US4913285A (en) Water-and-dust-proof push-button switch housing dummy terminal for air venting
JPS6022538Y2 (ja) チツプ型ヒユ−ズ
CN1763933B (zh) 印刷电路板与结合其的电路单元
US4628146A (en) Casing for electrical components, component assemblies or integrated circuits
CA1224051A (en) Electronic circuit board for a timepiece
US5043695A (en) Housing assembly for miniature electronic device
JP3950656B2 (ja) 押釦スイッチ
JPH07161397A (ja) ラグ端子およびその取り付け方法
JPH10321077A (ja) 電気部品およびこの電気部品の取付構造
KR900008564Y1 (ko) 소형 누름 보턴 스위치
JPH0422496Y2 (ko)
WO1998028955A3 (en) Microelectric assembly fabrication with terminal formation
JP3266913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900011169Y1 (ko) 푸시보턴 스위치
JPH0120780Y2 (ko)
JP2878481B2 (ja) 押釦スイツチ
JPH11330734A (ja) 電子機器
JP2504017Y2 (ja) プリント基板
JP2561023Y2 (ja) 高周波回路装置
JPH0132296Y2 (ko)
JPH0357565B2 (ko)
JPS5818200Y2 (ja) ソケツト
JPH0521225Y2 (ko)
JPS634889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