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349B1 - 인열식 용기마개 - Google Patents

인열식 용기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349B1
KR920001349B1 KR1019870012888A KR870012888A KR920001349B1 KR 920001349 B1 KR920001349 B1 KR 920001349B1 KR 1019870012888 A KR1019870012888 A KR 1019870012888A KR 870012888 A KR870012888 A KR 870012888A KR 920001349 B1 KR920001349 B1 KR 920001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tear
container closure
container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2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096A (ko
Inventor
아케 마그누손 스벤
Original Assignee
도요세이깐 가부시끼가이샤
미끼 히로후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세이깐 가부시끼가이샤, 미끼 히로후미 filed Critical 도요세이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6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40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40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 B65D41/42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made of relatively-stiff metallic material, e.g. crown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열식 용기마개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마개의 여러 실시예의 투시도.
제6도 내지 제8도는 설부 및 당김부재 사이의 결합부를 도시하는 여러 실시예의 상세 확대도.
제6a도 내지 제8a도는 제6도 내지 제8도에서 A-A선 길이방향 단면도.
제9도 내지 제11도는 스페이서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상세 확대도.
제9a도 내지 제11a도는 제9도, 제10도 및 제11도에서 B-B선 등가 단면도.
제12도 내지 제14도는 설부 및 당김 부재 사이의 결합부를 도시하는 여러 실시예의 상세 확대도.
제12a도 내지 제14a도는 제12도, 제13도 및 제14도에서 C-C선 대응 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마개를 여는 과정에서의 투시도.
제15a도는 여는 과정중의 레버 효과 투시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라 마개를 닫는 과정에서의 마개 투시도.
제17도 내지 제18도는 제16도의 상세 확대도.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라 완전 밀폐된 마개의 투시도.
제20도는 제19도의 완전 밀폐된 마개를 위한 마개의 설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덮개판 2 : 원통형 마개스커어트
3 : 인열대 4 : 새김선
5 : 설부 6 : 당김부재
7 : 연결부 8 : 설단부
9 : 스페이서 10 : 새김선의 개시부
13 : 병마감헤드 14 : 핑거
15 : 플랜지 16 : 위치 조정수단
17 : 탭
본 발명은 병과 같은 밀폐용기를 인열시켜 개봉하는 마개에 관한 것으로, 윗덮개판, 원통형 스커어트, 이 덮개판 및 스커어트에서의 새김선(score line)에 의하여 한정된 인열대(tear-off strip)로 구성되며, 상기 인열대는 스커어트 외부로 돌출한 설부로 이어지고, 당김부재는 인열대의 설부에 연결된다.
상기 기술한 형식의 병마개는 이미 여러 형태로 공지되어 있다. 당김 부재 및 마개가 한조각으로 제작되는 당김부재를 갖는 인열식 마개가 따라서 이용가능하며, 또한 마개부가 금속으로 제작되는 한편 당김부재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는 2부분으로 이루어진 마개가 있다.
그러나 모든 공지의 마개에는 결점이 있다.
하나의 심각한 결점은 마개스커어트의 하부가 병입구 주위의 플랜지 밑에서 여러방법으로 압박될 때 분명해진다. 이 방법은 새김선의 시작에 전부 또는 부분적인 변형을 일으킴으로써, 통계학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빈도와 일어나는 경우에 비례하여서, 이 새김선은 인열되지 않는다. 이것은 상당히 커다란 힘이 새김선을 따라 인열시키는데 요구되거나 또는-보다 나쁜상태에서- 새김선 시발부에서의 상기 변형에 의하여 장애를 받게 되므로 하나 또는 양쪽 새김선에 의하여 설단부에서 조절불가능한 인열을 일으키고, 따라서 새김선이 없는 부분을 통해 인열되게 된다. 이러한 새김선 시발부에서의 폐쇄 또는 물림상태는 더 큰 인장력이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어느정도까지는 설부 및 당김부재사이의 접속부가 연결이 파괴되고 마개가 더이상 열려지지 않을만한 정도의 힘을 받게 된다.
이러한 공지의 마개에 있어서의 다른 심각한 문제는 이 마개가 탄산드링크의 압력 방출을 허용치 않는다는 것이다.
만약 과도압력이 이러한 병속에 발생된다면 병이 폭발하거나 심한 상처를 주게할 위험이 있다. 여기서 모든 타입의 병들의 압축강도가 균열의 형성에 기인하여 샘플마다 변화될 뿐만 아니라 거기에 새로 제작된 유리병속의 어떤 주기적인 고유응력이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더우기, 유리병의 압축강도가 점차로“사용빈도”수(병이 회수되어 재사용되는 횟수)에 비례하여 감소되는 회수 가능하도록 거의 확립된 병에 있어서는 위험이 증가한다. 그러므로 오랜동안 병이 폭발할 정도의 고압력 레벨에서 동작하는 환기작용을 가지며, 위험한 과대압력을 방출시킨 후 완전밀폐를 제공하여 탄산드링크의 질을 유지시킬 수 있는 마개가 추구되어 왔다. 종래에 설계된 인열식 마개는 이와같은 환기작용이 결핍되고 지나치게 높은 탄산압력에 도달할때 마개가 병입구로부터 날아가거나 또는-보다 나쁜상태에서-병이 폭발하게 될 것이다. 이 두 경우에 이것은 분명히 인체에 상처를 주게 된다.
종래의 인열식 마개의 다른 결점은 부지불식간에 올바르지 않게 열릴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당김부재가 병의 목부위에 있다고 가정하면 당기기전에 이것을 거의 180°수직으로 위로 구부려야 한다. 이 경우에, 극히 적은 지레작용이 새김선 시작부분 가까이에서 얻어지므로, 상당한 장력이 요구될 것이다. 빈번히, 이러한 힘은 아주크므로 당김부재가 떨어져나가거나 또는 소비자가 마개를 여는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문제에 대한 기술적인 해결점을 찾는 것이 급한 문제이며, 당김부재를 90~180°의 각도로 구부릴 때 자동적으로 효율적인 지레작용을 주어야 한다.
마개 및 당김부재 사이의 연결부는 인열식 마개에 있어서 약한 부위이며, 이것은 마개가 한조각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마개 및 당김부재가 분리제작되어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2조각으로 제작되거나 관계없이 약한 부위가 된다. 마개 및 당김부재 사이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인열은 마개가 열릴때 또는 제조중의 마개운반 및 취급도중, 또는 마개의 연결부가 반복적인 휨 응력을 받는다면 마개가 병에 부착될때 당김부재의 반복된 구부림 또는 휨에 의하여 야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연결부가 보강되고 상기 기술된 피할 수 없는 응력에 잘 견디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러가지 형식의 보강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들면 연결부는 그것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여러가지 타입의 인각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한 어려움을 제거 하기 위하여 연결부를 개선하고 보강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병 제작중 충전 및 밀폐율을 증가시키려는 요구가 끊임없이 늘어나고 상기 속도는 지난 10년동안 분당 1000병으로부터 분당 1500병으로 증가하였다. 이것은 인열식 마개를 공급하고 취급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수반하며, 이 마개는 본질상 반드시 비대칭이고 충전 및 밀폐용량은 마개부착기계에 의하여 지체될 수 없기 때문에 동일속도로 방향설정하는 것이 어렵다. 인열식 마개는 따라서 마개부착 단계에까지 신속한 방향설정이 되는 방법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인열식 마개에 있어서의 빈번한 문제점은, 만일 당김부재가 병목 부위에 대하여 편평하게 놓여 있지 않다면, 마개가 병을 취급할때 즉 제작 및 판매중 부지불식간에 인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한 결점을 제거하는 형식의 마개를 생산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기를 밀폐시키기 위한 인열식 마개를 공급하며, 이것은 윗덮개판, 상기 덮개판에 따르는 원통형 마개 스커어트, 이 덮개판 및 마개스커어트에 인열대를 한정하는 새김선, 마개스커어트 위로 돌출되어 있는 설부로 이어지는 상기 인열대, 이 인열대의 설부에 연결되는 당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당김부재가 외부로 향햐는 측면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이 연결부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설부와 연결부 사이에서, 장력 및 비틀림 응력에 견디는 연결이 되도록 인열대의 설부에 결합되며, 스페이서가 연결부의 외부로 향하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스페이서가 원통형 마개스커어트의 축높이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거리만큼 설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동작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안된 마개는 당김부재와 설부 사이에 휨 및 구부림 응력에 견디는 연결부를 가지고, 스페이서를 구비한 연결부를 가지며, 다수의 중요한 장점을 제공하여 준다.
스페이서의 폭, 길이 및 높이에 의하여, 병마감 헤드의 밀페 슬리이브내 밀폐 손가락의 압력은 설단부에서 새김선의 시발점을 보호하기 위하여 특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너무 높은 마개 압력은 따라서 피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새김선에 피할 수 없는 변형 또는 물림상태를 제거할 수 있다. 이것은 모든 마개를 쉽게 조절하여 열 수 있도록 보장한다.
제안된 스페이서 및 당김부재의 설계로부터, 당김부재가 초기에 위로 구부러지고 스페이서가 따라서 마개스커어트와 접촉하게될때 사용된 방법에 관계없이, 지레작용을 자동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 지레효과 때문에, 상당히 적은 힘이 새김선의 개방에 요구되며, 이것은 새김선이 초기에 유연하고 조절된 인열을 일으키게 한다. 마개스커어트내에 다른 새김선의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서 마개가 벗겨져 날라가 버리지 않도로 하며, 그렇지 않으면 이것은 작은 지레작용으로 얻어지는 높은 마개 저항은 매우 높은 압력의 탄산용액을 함유하고 있는 병에 새김선의 돌발적이고 조절되지 않는 인열을 초래할때 일어날 수 있다.
제3의 중요한 장점은 상기 언급한 2개의 장점 이외에 얻어진다. 이것이 논의되고 있는 형식의 마개에 있어서 오래 추구해 온 효과이며, 본 발명에 의하면, 변속의 압력이 너무 높을 경우 병이 폭발할 위험을 제거할 수 있도록 자력 통풍이 이루어진다. 이 자력통풍은 스페이서위로 마개스커어트의 그립을 조절함으로써 얻어지므로 마개서커어트의 나머지 부분보다 자력통풍이 덜하다. 스페이서의 영억안의 더 느슨한 그립은 병속의 압력이 어떤 압력(예를들면 100psi)을 초과할때 개방되는 밸브를 생성한다. 병속의 압력이 마개스커어트의 잔여부분을 다시 강하시켜, 이것이 병목부위를 더 단단히 부착시킬때 밸브로서 작용하는 마개부분은 병입구와 접합하게 되고 밸브작용이 멈추도록 되튀어 오를 것이다. 밸브작용의 정도 그리고 마개가 얼마나 단단히 부착되어 있는가 하는 정도는 밸브가 열리고 닫히는 과도 압력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스페이서는 다음과 같은 추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마개의 개방시 자동적인 지레작용 효과는 더 낮은 개방력을 주며 따라서 더 쉽게 마개를 열 수 있다.
-스페이서의 특정 재질은 연결부를 보강하고 부착물의 장력 및 비틀림력 강도를 높여준다.
-마개는 마개부착과정, 즉 분류과정중 스페이서가 당김부재를 갖는 안정위치가 이하 표면에 대하여 남아있지 못하도록 더 용이하게 지정할 수 있다.
-당김부재는 마개를 부착할때 병목 부위를 납작하게 누름으로써 병을 취급할때 부지불식간에 열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언급한 통풍 효과에서, 밸브작용커버는 마개스커어트의 제한된 부분만을 형성하며 이것은 마개 주위 모두의 그립을 느슨하게 하는 것이 어느정도까지 마개를 약화시켜서 병속의 정상적인 초과압력에서 벗겨져 날아가도록 한다. 밸브 커버는 아래와 같은 작용을 한다.
-병속의 압력이 지나치게 높다면, 밸브 커버는 초과압력이 방출되도록 하며 그대로 들어올릴 것이다.
-병목 주위에 단단히 채워져 있는 마개스커어트의 부분은 통풍작용중에 마개가 벗겨져 날아가지 못하도록 병입구부상에 마개를 유지시킨다.
-병속의 초과압력이 통풍후에 적절한 수준까지 복귀될때, 마개 스커어트의 단단히 채워진 부분은 임시 밸브 커버를 닫는 스프링 백 작용을 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 또는 연결부 폭에 걸쳐 실질적으로 신장하는 어깨부로 구성된다. 이 스페이서는 이 경우에 밀폐 슬리이브의 밀폐 핑거부에 적용할 수 있는 공간보다 더 높아야 하므로 마개 스커어트는 연결부에 걸쳐 병목 부위에 대해서 더 느슨하게 채워지고, 따라서 바라는 밸브 작용 커버를 제공하게 된다. 스페이서의 크기 및 스페이서와 밀폐 슬리이브의 밀폐핑거부에 적용된 공간사이의 높이 차이는 다음과 같이:
-밸브 작용 커버의 정도 및 그 통풍용량
-밸브 작용 커버가 스프링 백작용에 기인하여 열리고 다시 닫히는 초과압력 레벨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 및 스페이서를 가지는 당김부재는 연결부가 설부에 부착되는 동시에 형성된다.
연결부에 확실히 고정시켜지도록, 설부는 관통구멍, 돌출 플랜지, 바아브(barb) 또는 그와 유사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접착이 잘되도록 특수 바니스로 보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개 설부 및 당김부재는 빈 마개 제조로부터 실제 마개부착 작업까지의 전기간에 걸쳐 마개의 장점에 대해서 거의 45~90°의 각도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 설부 및 당김부재의 방향지정은 마개를 취급할때 많은 이점을 준다. 예를들면, 제조중 및 후에 마개부착중에 어떠한 휨 응력도 실제 설단부에 일어나지 않는다는 이점을 얻는다. 이러한 휨 응력은 재질의 단부를 약하게 하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마개가 열릴때 설부가 인열될 위험이 따른다. 다른 장점은 마개의 중심이 마개정점으로 항하게되어 고속도로 분류 및 방향선택이 용이하게 한다. 공지된 것처럼, 종래의 설부는 마개의 정점에 거의 평행 또는 0~45°각도로 향하게 된다. 그러나, 물론 본 발명의 원리는 이와같이 설부가 마개의 정점에 0~45°각도로 향하게 되는 공지의 마개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금속설부가 플라스틱에 의한 모든 측면상에 덮혀지는 장점을 주며, 마개를 여는 과정중에 소비자에 의하여 지지되는 전단 위험을 제거해 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수간까지, 당김부재가 최소한 부분적으로 당김부재를 덮고 있는 제동가능 위치설정 부재에 의하여 병목 부위와 밀접히 접촉되도록 적절하게 제한될 수 있다.
이것은 당김부재가 안전하게 취급되는 장점을 제공해주며, 병을 수납할 때, 사용자는 마개를 열려고 하였던 어떠한 시도도 행하여지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한정된 특징속에 드러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따르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동일 부호는 도면에서 동일부분을 위하여 사용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마개는 덮개판(1), 원통형 마개 스커어트(2), 마개스커어트로 부터 돌출되어 있는 설부(5)를 갖는 인열대(3), 마개에 배열되어 있는 새김선(4) 및 설부(5)에 부착되어 있는 당김부재(6)로 구성되며 이 당김부재(6)는 설부에 연속인 연결부(7)로 구성되어 있다. 마개스커어트의 높이는 a로 표시되고 설단부는 8로 표시된다.
이 당김부재는 플라스틱 링(6)으로 구성되며 당김부재(6)로 일체화된 연결부(7)의 협조로 인장응력 및 비틀림 응력에 견딜수 있도록 설부(5)에 확고히 고정된다. 이와같은 연결시 연결부는 설단부에 가까이 신장하고 바람직하게는 모든 측면상에서 설부를 둘러싸고 있다. 연결부(7)는 또한 돌출 스페이서(9)로 구성되어 있다. 마개스커어트의 하단에 있는 새김선의 시점은 10으로 표시된다.
물론 본 발명은 제1도에 도시된 새김선의 특정 배열에 한정되지는 않고, 마개의 장점을 거쳐 여러 방법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새김선은 연속도면의 대부분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제2도 내지 제5도는 스페이서(9)의 여러 실시예를 보여준다. 모든 실시예에 공통으로 스페이서의 동작영역은 마개스커어트(2)의 높이 a보다 작은 거리만큼 설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페이서(9)는 연결부의 폭을 거쳐서 신장하는 어깨부형의 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는 중앙에 배열된 단일 돌기부를 갖는 실시예를 보여주고 제4도에서 스페이서는 거의 타원형의 모양이고 비교적 큰 접촉면을 갖고 있다. 제5도에 도시된 스페이서는 수개의 접촉면을 가지고 있다.
스페이서는 본 발명의 범위안에서 여러 방법으로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그것의 동작면이 설단부로부터 상기 언급한 거리에 위치한다는 것이며, 적절한 높이 및 축방향 크기가 주어지고 게다가 연결부와 함께 한조각으로 제조된다는 것이다.
제1도 내지 5도에 도시된 마개는 환상의 당김부재로 구성 되나 다른 설계모양이 이용되어 왔다. 분명히 당김부재는 반드시 환상일 필요는 없으나 이론상 링 모양이 바람직한 실시예임에도 불구하고 임의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제6도 내지 8도는 연결부(7) 및 설부 사이의 실제 연결을 스페이서의 여러 실시예와 같이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고, 제6a도, 7a도 및 8a도는 제6, 7도 및 8도의 각각에 있는 선분 A-A를 따라 취한 단면을 보여준다.
스페이서(9)의 설계의 다른 예시가 제6도, 7도 및 8도에 도시되어 있고, 제6a도, 7a도 및 8a도는 적절한 변형 및 설부(5)의 인각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것은 인장력 및 비틀림력에 대하여 연결부를 보강해준다.
스페이서의 여러 실시예는 물론 설부의 여러가지 변형예와 결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점에서 도면에 도시된 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9도, 10도 및 11도는 스페이서의 여러 설계에 대한 연결부의 상세한 확대도를 보여주고, 제9a도, 10a도 및 11a도는 제9도, 10도 및 11도에 상응한 선분 B-B를 따라 본단면을 도시한다.
예를들면, 제9도에서 스페이서는 사다리형이며, 이것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연결부(7)를 거쳐 신장되어 있는 플랜지형의 돌기부(11)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들은 설단부(8)쪽의 높이에 있어서 감소한다. 제10도에서 스페이서는 중앙돌기부(9)로 구성되고, 제11도에서는 비교적 큰 횡방향의 가늘고 긴보스로 구성되어 있다. 제9a도, 10a도 및 11a도는 다시 연결부를 만족스럽게 부착시켜 주는 설부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2도, 13도 및 14도는 설부(5) 및 연결부(7) 사이에, 스페이서(9)의 여러 실예를 가지고 실제 연결을 상세히 확대하여 보여주고 있고, 즉 제12a도, 13a도 및 14a도는 인장응력 및 비틀림 응력에 견디는 소망의 결합을 이루기 위한 설부(5)의 적절한 인각의 예를 도시하며 제12도 내지 14도에서 선분 C-C를 따라 본 관련단면도이다.
제15도는 본 발명에 다라서, 마개를 여는 과정에서의 마개를 도시하고 있다. 병목은 여기서 12로 표시된다. 마개가 열리기전에, 당김부재(6)는 병목을 접합시킨다(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위치A 참조). 마개가 열릴 때, 당김부재(6)는 화살표 B방향으로 병목으로부터 들어올려지며, 그때 스페이서(9)는 마개 스커어트(2)와 접촉하게 된다(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당김부재(6)의 위치 D 참조). 통풍효과 및 설단부에서의 새김선의 조절된 초기 인열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당김부재(6)의 위치 C 및 위치 D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마개를 여는데 요구되는 힘은 따라서 선행기술의 마개에서 보다 상당히 작으며, 이것은 본 발명에 의하여 이룩된 지레 작용 효과 때문이다. 초기의 새김선이 조절되고 단순한 방법으로 개방될 때 새김선을 따라 인열시켜 마개를 병개구부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극히 용이하다.
제15a도는 마개를 개방시키는 힘은 레버 아암 H가 레버 아암 h보다 수배 더 크기때문에, 여러배 낮게 됨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효과는 개구부 마개가 적절한 스페이서로 구비될 때, 실제상 극히 주지적으로 느낄 수 있다.
여기서 요구되는 스페이서를 결여하고 있는 종래의 인열식 마개를 열기 위하여는 상당히 커다란 힘이 요구되고, 이것은 조절되지 않는 인열을 쉽사리 일으키게 된다.
마개설부 및 당김부재의 연결부 사이의 연결은 또한 금속성 설부 즉 그 측단부를 잘싸고 있다. 따라서 마개를 다루고 있는 사용자에게 절단위험을 실용적으로 제거해 주고 있다. 연결부가 또한 상대적으로 크게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안에 위치한 설부는 또한 여러가지 변형예 및 구부림에 의하여 장력 및 비틀림 응력에 견디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스페이서는 또한 제15도와 연결하여 논의된 것 이외의 다른 장점을 제공하여 준다.
제1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마개를 사용하는 마개 부착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제16도에서 마개 마감헤드는 일반적으로 13으로 표시된다. 마감헤드(13)는 다수의 밀폐 핑거부(14)를 포함하며, 이것은 공지된 방법으로 마개부착 과정중에 병의 림 플랜지 주위의 마개 스커어트(2)를 압착한다. 스페이서의 부근에 놓여있는 밀폐 압력은 조절된 방법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상기 언급한 이점을 주고 즉 여기서 병을 더 느슨하게 죄어주는 마게 스커어트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이점을 부여하게 된다. 이것은 새김선(4)의 개시부(10)가 변형되거나 또는 물리게 되는 위험을 제거하고 또한 통풍효과를 위하여 최적 조건을 만들어준다. 이것은 제17도에 도시된 상세 확대도에 보다 명확히 나타나 있으며, 이 도는 마개의 내부로 진행중 밀폐 핑거부(14)가 스페이서(9)의 동작면에 의하여 어떻게 정지되어, 조그만 갭이 병의 림 플랜지(15) 및 마개스커어트(2) 사이에서 형성되는가를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9)의 부근안에서의 조임은 현저히 느슨하다. 제18도의 상세 확대도에서 알수 있는 것처럼, 스페이서(9)의 동작 영역밖에서의 마개스커어트(2)는 병의 플랜지(15) 아래에 통상적으로 결합된다.
물론 이것을 달성하기 위하여, 마감헤드 슬라이브내의 밀폐 핑거부 및 스페이서가 병의 개구부 및 목부에 최적의 효과를 주기 위하여 적합하여야 한다. 그때 새김선의 어떠한 변형 또는 물림 상태를 초래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18도에서 알수 있는 것처럼, 마개 스커어트(2)의 타부분 즉 스페이서의 영향 밖에 놓여 있는 부분은 병의 림 플랜지와 밀접하게 접촉하게 될 것이다.
병입구부 주위의 림 플랜지 아래에 이루어진 보다 느슨한 그립은 이러한 마개에 있어서 오랜동안 노력한 통풍 효과를 만든다. 현재 여러가지 타입의 마개로 밀봉된 병속의 탄산드링크는 커다란 문제를 수반한다. 특히, 따뜻한 기후에서는 초과압력이 쉽게 생성되어, 병이 폭발할 위험을 주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마개의 부분적인 열화때문에, 이 퉁풍 문제를 푸는 것은 의외로 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마개가 벗겨져 날아갈 위험 또는 병이 폭발할 위험을 제거해 주기 위하여, 순조로운 압력 방출이 이루어진다.
제19도는 마개가 어떻게 위치 조정 수단으로 구성되고 병목과 밀접하게 접촉하고 있는 당김부재를 보지하고 동시에 용이하게 개방되는 새김선이 부지불식간에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위치 조정 수단은 본 발명의 범위안에서 여러가지 방법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 운반 안정장치는 위치 조정수단(16)으로 구성되며, 도시된 경우에, 이것은 당김부재(제20도)의 하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연장탭(17)을 덮고 있는 통상의 라벨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이 라벨은 당김부재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 운반 안전장치는 실제상 비용이 추가되지 않고 공급될 수 있다. 동시에 이것은 소비자에게 마개를 열려고 하였던 시도가 있느냐하는 입증을 제공해준다. 따라서 물려있는 마개스커어트가 개방될 수 없고 마개없이는 재밀봉할 수 없음이 소비자에게 명백하기 때문에 이중의 보장을 하여야 한다.
도시되어 있는, 마개의 다른 특성은 마개의 정상에 있는 새김선(4)이 스커어트 위로 연장되고 따라서 설부(5)가 그 연장부인 인열대를 한정하며, 이 인열대가 마개스커어트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부(5)는 자유단쪽으로 좁아지는 절단된 거의 삼각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 설부는 극히 짧게 제조되고 여전히 당김부재에 확고히 부착됨을 지적하여야 한다. 이것은 재료의 중요하고 현저한 절약을 제공하며, 이것은 일차적으로 다른 설부보다 상당히 작은 면적에 기인하기 보다는 빈 마개를 타발할때 못쓰게 되는 부분조각 재료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개시 재료는 완전히 사용된다. 이 좁은 설부의 모양이 모든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물론 여기에 국한되지는 않고, 임의의 모양이 가능하다고 쉽게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설부(5)는 플라스틱 당김부재, 바람직하게는 설부가 안에 장치된 연결부(7)를 갖는 링(6)의 형태로 결합된다. 링(6) 및 연결부(7)는 이 모울드부 사이에 돌출한 설부(5)를 가지는 상, 하 모울드부를 포함하는 다이속에 형성되어 있다. 용융 플라스틱은 모울드를 채우도록 하고 장착된 설부를 갖는 플라스틱 당김부재는 모울드부를 분리시키기전에 냉각된다. 도면에서 알수 있는 것처럼, 연결부(7)는 설부보다 상당히 큰 측방향 크기를 가지고, 마개스커어트(2)에 거의 연장된다. 설부가 모든 측면상을 덮고 있기 때문에, 마개가 열릴때 상해가 일어날 위험이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당김부재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임의의 바라는 모양으로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손가락을 위한 구멍은 확실하고, 안락한 그립을 주도록 자동적으로 올바르게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링은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으나, 오히려 인간의 손가락에 적합한 타원형 모양일 수도 있다. 그러나, 손가락 구멍을 마개가 운반도중 헝클어질 정도로 그렇게 커서는 아니된다. 당김부재는 또한 병에 밀접하게 부착되도록 형상을 이루며, 즉 모든 방향으로 병의 곡선을 따라 밀접하게 부착되어 병에 대하여 잘 배열되어야 한다.
당김부재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외관은 여러 방법으로 변화될 수 있다. 투명한 재료 또는 예를들면 금박을 갖는 투명재료와 같은 상이한 색깔의 재료가 사용된다. 또한 형광 또는 발광물질도 사용가능하다. 더우기 당김부재의 표면은 예를들면 가죽의 외관과 같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명히 덮개부내 새김선을 갖는 도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새김선의 진행은 물론 공지된 디자인에 따라서 바라는대로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마개스커어트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설부는 제작 및 마개부착사이에 하향으로 즉 덮개판에 거의 45~90°의 각도로 향하며, 이미 공지된 기술에 대하여 설부가 덮개판에 대해 제작부터 마개부착까지 거의 0~45°의 각도로 향하는 것과 대응한다. 제조 및 저장과정을 통하여 기유지되고 있는 설부의 이각은 분류단계에서 빈 마개를 취급할때 상당한 문제를 일으키고 따라서 설단부는 반복하여 굽어있다. 이것은 마개를 부착할 때 덮개부에 거의 수직인 위치까지 설부를 최종적으로 직선화 시킬 뿐만 아니라 설단부에서의 재질을 실질적으로 약화 시키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상, 그러므로 이것은 마개를 열때 원하지 않는 파손을 초래하고 있다.
물론 당김부재가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안에 있다. 더우기, 연결부가 적당한 두께로 주어진다면 전 연결부는 스페이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6도에 도시된 밀폐 핑거부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립에 의하여 주름잡힌 마개스커어트에 주름형상의 마감을 부여하고 이 연장립이 밀폐 핑거부의 표면상에 형성되며, 이 핑거부가 마감헤드 슬리이브와 방사상 내부로 향하게 되고, 물론 이것은 매끄러울 수 있다.

Claims (14)

  1.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인열 용기 마개에 있어서, 윗덮개판; 상기 덮개판 으로부터 비롯되는 원통형 캡 스커어트; 덮개만 및 캡 스커어트에 있어서, 캡스커어트 넘어 돌출하는 설부로서 연속하는 인열대를 한정하는 새김선; 인열대의 설부에 연결되고, 외측으로 유도된 측면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설부와 연결부 사이에 인장응력 및 비틀림 응력에 저항하는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인열대의 설부에 결합되는 당김부재; 및 연결부의 외측으로 유도된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며, 원통형 캡 스커어트의 축방향 높이 이하의 거리만큼 설단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는 작동면을 갖춘 스페이서;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용 인열식 용기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스페이서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식 용기마개.
  3. 제1항에 있어서, 스페이서는 연결부의 폭을 가로질러 뻗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식 용기마개.
  4. 제1항에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설부의 면으로부터 스페이서의 높이는 1 내지 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식 용기마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는 2 내지 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식 용기마개.
  6. 제1항에 있어서, 당김부재, 연결부 및 스페이서는 설부에 부착된 연결부와 동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식 용기마개.
  7.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에의 확고한 부착을 위하여, 설부는 관통공, 돌출 플랜지 및 바아브와 같은 부재와 함께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식 용기마개.
  8.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는 설부 전체를 둘러싸며 설단부의 근방까지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식 용기마개.
  9. 제1항에 있어서, 빈 용기마개의 제조로부터 용기를 폐쇄까지, 설부는 덮개판에 대해 약 45°내지 90°의 각도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식 용기마개.
  10. 제9항에 있어서, 설부는 빈 용기마개의 취급시 설부의 위치조정을 용이하게 위해 약간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식 용기마개.
  11. 제1항에 있어서, 용기마개가 병목에 장착될때, 및 당김부재가 사용순간까지 병목에 접해있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당김부재를 커버하는 파열 가능한 위치 조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식 용기마개.
  12. 제11항에 있어서, 돌출부, 당김부재에 설치되고 병에 기대어 놓이도록 된 비교적 박형의 탭, 상기 탭에 중첩되는 위치조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식 용기마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 부재는 적어도 스커어트에 대향한 당김부재의 단부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식 용기마개.
  14. 제11항에 있어서, 당김부재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와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식 용기마개.
KR1019870012888A 1986-11-17 1987-11-16 인열식 용기마개 KR9200013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8604926A SE8604926D0 (sv) 1986-11-17 1986-11-17 Upprivningsbar kapsyl
SE8604926-9 1986-11-17
SE8604926 1986-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096A KR880006096A (ko) 1988-07-21
KR920001349B1 true KR920001349B1 (ko) 1992-02-11

Family

ID=20366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2888A KR920001349B1 (ko) 1986-11-17 1987-11-16 인열식 용기마개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1) US4768667A (ko)
JP (2) JPH0617142B2 (ko)
KR (1) KR920001349B1 (ko)
CN (1) CN1005704B (ko)
AR (1) AR246040A1 (ko)
AT (1) AT394837B (ko)
AU (1) AU594524B2 (ko)
BE (1) BE1001837A5 (ko)
BR (1) BR8706155A (ko)
CA (1) CA1278538C (ko)
CH (1) CH675570A5 (ko)
DE (1) DE3737467A1 (ko)
DK (1) DK162709C (ko)
ES (1) ES2008326A6 (ko)
FI (1) FI89031C (ko)
FR (1) FR2606746B1 (ko)
GB (1) GB2198422B (ko)
GR (1) GR871730B (ko)
IL (1) IL84349A0 (ko)
IN (1) IN170356B (ko)
IT (1) IT1223131B (ko)
MX (1) MX163231B (ko)
NL (1) NL8702737A (ko)
NO (1) NO169707C (ko)
PH (1) PH23696A (ko)
PT (1) PT86141A (ko)
SE (1) SE8604926D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909454U1 (ko) * 1989-08-05 1989-11-02 Kunststoffwerk Eugen Saier Gmbh & Co, 7297 Alpirsbach, De
JPH0723168B2 (ja) * 1989-11-28 1995-03-15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イージイオープン蓋
JP2785053B2 (ja) * 1989-12-27 1998-08-13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金属製本体と合成樹脂製把持片とを具備する容器蓋
US5069345A (en) * 1990-09-24 1991-12-03 Hoover Universal, Inc. Plastic container with tear opening feature
DE69212994D1 (de) * 1992-06-03 1996-09-26 Pripps Bryggerier Ab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Orientieren eines Etikettes und einer Kapsel, in Abhängigkeit von einander auf einer Flasche, in einem Behandlungsverfahren
WO1997033802A1 (en) * 1996-03-12 1997-09-18 Jeong Min Lee Bottle cap made of synthetic resin
US5924739A (en) * 1997-04-11 1999-07-20 Garbutt; Bryan Eugene Bottle capsule information panel
CN1189363C (zh) * 1998-04-09 2005-02-16 朝日啤酒株式会社 整体附着收缩标签的容器及筒状收缩标签
US7568586B2 (en) * 1999-05-26 2009-08-04 Walters Jr Lawrence S Easy open container closure
IT1320922B1 (it) * 2000-03-15 2003-12-10 Pelliconi Abruzzo Srl Elemento di chiusura antimanomissione per contenitori di liquidi.
EP1621475B1 (en) * 2004-07-29 2006-06-14 Sven-Ake Magnusson Closure for a container, especially a bottle
US8608006B2 (en) 2006-01-14 2013-12-17 World Bottling Cap, LLC Bottle crown
US8365940B2 (en) * 2007-01-25 2013-02-05 World Bottling Cap, LLC Bottle crown with opener assembly
US8061544B2 (en) * 2006-01-14 2011-11-22 World Bottling Cap, LLC Easy-pull crown bottle cap
US9649254B2 (en) 2006-01-14 2017-05-16 World Bottling Cap, LLC Medical vial cap
JP5030706B2 (ja) * 2007-08-29 2012-09-19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把持部材及びこれを付設したシート状蓋付容器
WO2009050165A1 (en) * 2007-10-17 2009-04-23 Creanova Universal Closures Ltd. Closure with deformable lid
AU2008351584B2 (en) * 2008-02-28 2013-04-04 Capartis Ag Closure
CN101817418A (zh) * 2010-04-16 2010-09-01 殷红卫 牛奶玻璃瓶瓶盖
USD675527S1 (en) * 2010-06-17 2013-02-05 Rexam Beverage Can Europe Limited Container with closure
USD671834S1 (en) 2011-01-07 2012-12-04 Ball Corporation Closure
US8720717B2 (en) 2012-02-02 2014-05-13 Ball Corporation End closure with full panel opening
JP6090914B2 (ja) * 2013-02-28 2017-03-08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引裂き式容器蓋
USD745398S1 (en) 2013-03-13 2015-12-15 Rexam Beverage Can Company Bottle
USD745399S1 (en) 2013-03-13 2015-12-15 Rexam Beverage Can Company Bottle
USD745397S1 (en) 2013-03-13 2015-12-15 Rexam Beverage Can Company Bottle
USD745396S1 (en) 2013-03-13 2015-12-15 Rexam Beverage Can Company Bottle
USD744833S1 (en) 2013-03-13 2015-12-08 Rexam Beverage Can Company Bottle
CN103330435B (zh) * 2013-06-06 2015-05-13 江苏景越塑料科技有限公司 一种冷水壶
JP6356951B2 (ja) * 2013-08-22 2018-07-11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易開封性容器蓋
WO2015134913A1 (en) 2014-03-07 2015-09-11 Ball Corporation End closure with large opening ring pull tab
US10632520B2 (en) 2014-03-07 2020-04-28 Ball Corporation End closure with large opening ring pull tab
TWI589494B (zh) 2014-03-28 2017-07-01 World Bottling Cap Llc 具有開瓶器組件的冠形瓶蓋
US20170129643A9 (en) 2014-03-28 2017-05-11 World Bottling Cap Llc Bottle crown with opener assembly
CN106232494A (zh) * 2014-04-15 2016-12-14 日本克乐嘉制盖株式会社 加压饮料用的密闭容器及其制造方法
USD772070S1 (en) * 2014-10-10 2016-11-22 Pepsico, Inc. Bottle
USD760027S1 (en) * 2015-01-08 2016-06-28 Runway Blue, Llc Squeeze bottle
US9694953B2 (en) 2015-01-08 2017-07-04 Runway Blue, Llc Liquid dispensing container with multi-position valve and straw
USD772064S1 (en) * 2015-04-08 2016-11-22 Thermos L.L.C. Lid
JP6576772B2 (ja) * 2015-09-30 2019-09-18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易開封性容器蓋
US10414549B2 (en) 2016-08-19 2019-09-17 Runway Blue, Llc Liquid-dispensing container with multiple-position selector
IT201600109454A1 (it) 2016-10-28 2018-04-28 Pelliconi & C Spa Chiusura a strappo per contenitori.
USD844437S1 (en) 2017-08-11 2019-04-02 Pepsico, Inc. Bottle
USD860793S1 (en) 2018-01-19 2019-09-24 Pepsico, Inc. Bottle
WO2020219570A1 (en) 2019-04-24 2020-10-29 Runway Blue, Llc Drinking vessel with selectable drinking mode
WO2021029911A1 (en) * 2019-08-13 2021-02-18 Sealtech Llc Improved user-friendly tamper-resistant/tamper-evident container-seal system for containers of consumer goods and methods of use
USD899936S1 (en) 2019-09-03 2020-10-27 Pepsico, Inc. Cap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281A (en) * 1903-04-08 1905-10-10 Alfred L Weissenthanner Sheet-metal closure for bottles, jars, &c.
GB275491A (en) * 1927-01-24 1927-08-11 Thomas Mclelland Jackso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toppers for bottles, jars or like receptacles
BE375749A (ko) * 1930-05-01
US2046173A (en) * 1934-12-03 1936-06-30 John A Lenhoff Bottle cap remover
BE503298A (ko) * 1949-06-15
FR1041035A (fr) * 1950-08-10 1953-10-20 It Tappi Automatici Corona S R Bouchon couronne pour bouteilles et autres récipients semblables muni de moyens pour son ouverture sans l'emploi d'outils
US3206055A (en) * 1963-09-03 1965-09-14 Helbling August Flexible bottle cap opener
US3425580A (en) * 1967-01-06 1969-02-04 Donald J Brockhage Lift-tab crown cap
US3489308A (en) * 1967-12-20 1970-01-13 Armando Podesta Cap closure provided with slip-out skirt packing
DE2456695B2 (de) * 1974-11-30 1976-09-09 AB Wicanders Korkfabriker, Älvängen (Schweden) Verschlusskappe
US3976215A (en) * 1975-03-21 1976-08-24 Owens-Illinois, Inc. Easy-open, tamper-indicating closure
IE44386B1 (en) * 1976-03-15 1981-11-04 American Flange & Mfg Tear-open bottle cap
US4149647A (en) * 1976-08-27 1979-04-17 Gebruder Seidel Kg Metal tear off cap
SE414619B (sv) * 1977-02-24 1980-08-11 Wicanders Korkfabriker Ab Forslutningskapsyl med avrivningsflik
DE3114613A1 (de) * 1981-04-10 1982-11-04 Folienwalzwerk Brüder Teich AG, Obergrafendorf Verschlusskappe fuer behaelter
JPS57178730A (en) * 1981-04-28 1982-11-04 Japan Crown Cork Co Ltd Manufacture of readily openable container cover
SE426382B (sv) * 1981-05-08 1983-01-17 Wicanders Ab Upprivningsbar flaskkapsyl
JPS5951749U (ja) * 1983-07-18 1984-04-05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合成樹脂製把持部材を備えた簡易開封型容器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H675570A5 (ko) 1990-10-15
FI875073A (fi) 1988-05-18
PT86141A (pt) 1988-12-15
DK600487A (da) 1988-05-18
CN1005704B (zh) 1989-11-08
JPH0617143B2 (ja) 1994-03-09
DE3737467A1 (de) 1988-05-19
DK162709C (da) 1992-04-27
BE1001837A5 (fr) 1990-03-20
GB8725464D0 (en) 1987-12-02
GR871730B (en) 1988-03-14
JPH0617142B2 (ja) 1994-03-09
FI89031C (fi) 1993-08-10
FI89031B (fi) 1993-04-30
NO169707C (no) 1992-07-29
PH23696A (en) 1989-09-27
DK600487D0 (da) 1987-11-16
GB2198422B (en) 1990-11-14
CA1278538C (en) 1991-01-02
GB2198422A (en) 1988-06-15
NO169707B (no) 1992-04-21
IT1223131B (it) 1990-09-12
CN87107297A (zh) 1988-06-22
IN170356B (ko) 1992-03-21
JPS63138956A (ja) 1988-06-10
JPS63138957A (ja) 1988-06-10
ES2008326A6 (es) 1989-07-16
DK162709B (da) 1991-12-02
IT8722646A0 (it) 1987-11-13
MX163231B (es) 1992-03-20
FI875073A0 (fi) 1987-11-17
IL84349A0 (en) 1988-04-29
KR880006096A (ko) 1988-07-21
BR8706155A (pt) 1988-06-21
SE8604926D0 (sv) 1986-11-18
NO874776L (no) 1988-05-18
AU8087487A (en) 1988-06-02
US4768667A (en) 1988-09-06
ATA299287A (de) 1991-12-15
NO874776D0 (no) 1987-11-16
FR2606746B1 (fr) 1990-06-22
AT394837B (de) 1992-06-25
FR2606746A1 (fr) 1988-05-20
AR246040A1 (es) 1994-03-30
DE3737467C2 (ko) 1990-05-03
NL8702737A (nl) 1988-06-16
AU594524B2 (en) 1990-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349B1 (ko) 인열식 용기마개
CA1254533A (en) Container sealing cap
US4685849A (en) Method for making an easy opening container end closure
EP0220820B1 (en) Metal can end with plastics closure
US4564116A (en) Closure cap for beverage containers
US4648528A (en) Easy opening container end closure
EP0166572A2 (en) Tamper indicating closure with tear-off band
US3743129A (en) Tear-off closure with reinforcing rib
US4982862A (en) Digitally openable, resealable container closure
US3556336A (en) Tear-off container closure
US6068151A (en) Tamper-indicating plastic closure having pilfer band
US3276613A (en) Crown cap
EP0009987B1 (en) Easy opening closure with a resealable pressure releasing device
US3870184A (en) Easy open metal closure
JP2964359B2 (ja) 金属製容器蓋及びその弱化ライン形成装置
US4320843A (en) For bottle or the like, comprising tearable tensioning means as warranty
US3527378A (en) Easy-opening closure
US3450300A (en) Easy-open structure for containers
US3921366A (en) Method of making and applying a tear-off cap closure
US4491236A (en) Can end having integral opening means
US3799381A (en) Composite closure
US4957216A (en) Anchor for plastic cap
GB2168313A (en) Pull can having aluminium can ends
JPH1024955A (ja) 簡易開封型容器蓋
CN214931507U (zh) 一种易拉瓶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8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