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662B1 - 세경 배관 접속용 콘넥터 - Google Patents

세경 배관 접속용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662B1
KR920000662B1 KR1019890002633A KR890002633A KR920000662B1 KR 920000662 B1 KR920000662 B1 KR 920000662B1 KR 1019890002633 A KR1019890002633 A KR 1019890002633A KR 890002633 A KR890002633 A KR 890002633A KR 920000662 B1 KR920000662 B1 KR 920000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xed
joint body
wall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2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945A (ko
Inventor
가쯔시 와시즈
Original Assignee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우수이 유타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우수이 유타로오 filed Critical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4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16L37/098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the flexible hook being progressively compressed by axial tensile loads acting o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경 배관 접속용 콘넥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넥터에 배관이 접속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넥터의 각 구성부품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넥터에 배관을 접속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넥터에 배관을 잘못 접속한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요부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일부 절결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Ⅷ-Ⅷ선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작동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10도는 제8도의 화살표 X의 방향에서 요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배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홀더가 빠져 있는 분해사시도.
제13도는 확인부재가 결합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작동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15도는 제3실시예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홀더가 빠져있는 분해사시도.
제16도는 확인부재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배면도.
제19도는 제17도의 좌측면도.
제20도는 제17도의 XX-XX선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
제21도는 제17도의 XXI-XXI선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
제22도는 제19도의 XXII-XXII선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
제23도는 배관이 적절히 설치된 상태에서 압착부재가 팽창벽의 상부에 충돌하는 경우 하나의 압착부재가 분리가능한 상태를 도시하는 제18도의ㅡ XXIII-XX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24a도는 다른 압착부재가 적절히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24b도는 제24도의 XXIV-XXIV선을 따라 화살표의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
제25a도는 적절하지 않게 부착된 상태(탄성정지부의 선단부가 배관의 팽창벽 위를 이동한다)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25b도는 제25a의 XXV-XXV선을 따라 화살표의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접속상태를 도시하는 수직단면도.
제27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요부로 정의되는 압착부재로 구성되는 확인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28도 및 제29도는 제27도에 도시된 분리된 압착부재의 단일 부품을 각기 도시하는 평면도.
제30도는 배관이 적절히 설치된 상태에서 압착부재가 팽창벽의 상부에 충돌하는 경우 분리가능한 하나의 압착부재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제31도는 제30도의 배관을 설치하기 전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32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제33도는 확인부재가 결합된 제6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34도는 제33도의 배면도.
제35도는 제33도의 XXXV-XXXV선을 따라 화살표의 방향을 자른 단면도.
제36도는 제33도의 XXXVI-XXXVI선을 따라 화살표의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
제37도는 종래의 세경 배관 접속용 콘넥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38도는 세경 배관 접속용 콘넥터에 사용되는 홀더의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죠인트 본체 2a : 개구
3 : 시일링 4 : 홀더
4a : 탄성정지부 4b : 칼라
5 : 부쉬 8 : 확인부재
8a : 탄성압착부재 9 : 노치
11 : 고정포올 12 : 경사면
본 발명은 세경 배관 접속용 콘넥터(이하 “콘넥터”라 약칭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20mm이하의 비교적 작은 직경의 금속 또는 수지배관(이하 “배관”으로 약칭함)을 견고하게 접속할 수 있는 콘넥터에 관한 것이며, 배관은 자동차 또는 여러 종류의 기계 및 장치에 공통적으로 오일 및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통로로써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콘넥터는, 제3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죠인트 본체(2)는 그 축방향 구멍내에 배관(1)용 삽입구멍을 가지며, 또한 그 유입구로 부터 큰 직경부(2-1)와, 중간 직경부(2-2) 및 작은 직경부(2-3)로 형성된 삽입구멍을 가지며, 중간 직경부(2-2)는 시일링이 끼워지며, 배관(1)은 삽입구멍에 끼워져서, 배관(1)의 외주면은 시일링(3)에 탄성적으로 끼워진다. 한편, 홀더(4)는 그 일단에 제38도에 도시된 한쌍의 돌출탄성정지부(4a)가 형성되며 홀더(4)는 죠인트 본체(2)의 큰 직경부(2-1)에 형성된 개구(2a)에 견고하게 끼워진다. 홀더에 배관(1)을 삽입한 후, 탄성정지부(4a)이 선단부는 배관(1)의 외주에 형성된 환형팽창벽(1a)와 결합하여, 배관(1)을 위치시키고, 그것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2b)는 연통구멍(5)는 부쉬, (6)은 분리구, (7)은 호스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종래 기술에 의거, 제38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홀더(4)의 선단에서 한쌍의 경사진 탄성정지부(4a), (4a)는 죠인트 본체(2)의 큰 직경부(2-1)의 주변벽에 형성된 개구(2a)에 견고하게 끼워진다. 배관(1)이 죠인트 본체(2)의 축방향 구멍내부와 연통하는 상태에서, 배관(1)이 본체에 적절히 부착되었는지 아닌지를 외부에서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외에도, 배관(1)의 접속면은 잘못 끼워진 상태 또는 조립시 작동부주위로 인하여 완전하게 고착되지 못한다. 또한, 환형 팽창벽(1a)이 탄성정지부를 통과하거나, 정지부 선단이 팽창벽(1a)위를 이동하는 상태에 있기전에 홀더(4)의 탄성정지부(4a)의 선단을 고정하는 것이 종종 발생된다. 그 결과, 진동 상태하에서 배관(1)의 접속부에 대해 삽입이 불안전하게 되기 때문에 누설이 발생하거나 분리가 일어난다고 하는 문제가 제거된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죠인트 본체내에 배관이 적절한 설치위치에 설정되었는지를 외부에서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세경 배관 접속용 콘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에 의하면, 세경 배관 접속용 콘넥터에 있어서, 콘넥터는 배관과, 상기 배관용 삽입구멍이 축방향 구멍내에 형성되고, 유입구로부터 큰 직경부, 중간 직경부 및 작은 직경부가 각각 형성된 삽입 구멍을 가지는 죠인트 본체와, 상기 중간 직경부에 부착되고 상기 배관을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배관이 외주 표면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시일링과, 일단에 한쌍의 돌출 탄성정지부가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가 끼워지는 상기 큰 직경부에 형성된 개구와, 상기 배관의 외주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정지부와 결합하여 상기 배관을 위치시키고, 그것이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환형 팽창벽으로 구성되며, 확인부재는 상기 죠인트 본체의 상기 큰 직경부내에 형성된 상기 개구내에 고정되어서, 상기 배관이 상기 죠인트 본체에 대해 적절한 접속 위치내에 고정되는 경우에만 그곳에서 부터 떼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확인부재는, 예를들어 그 선단부에서 고정포올이 제공된 고착벽을 가지고, 서로 마주 향해 평행하게 설치된 한쌍의 아암을 가진다. 배관은 확인부재가 죠인트 본체의 큰 직경부 내에 형성된 개구에 견고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죠인트 본체에 삽입되고 고착된다.
배관이 죠인트 본체내의 적절한 설치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배관이 고정되는 경우, 확인부재는 배관의 외주에 형성된 환형 팽창벽 또는 홀더의 탄성정지부와 확인부재의 고착벽 사이의 위치 관계때문에 죠인트 부재의 개구로부터 분리된다.
배관이 죠인트 본체내의 적절한 삽입위치까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관이 고정된다면, 확인부재는 죠인트 본체의 개구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죠인트 본체내에 배관을 삽입한 후, 죠인트 본체내에 형성된 개구에 끼워진 확인부재가 그것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면, 적절한 설치가 완성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설명으로 부터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배관이 죠인트 본체에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콘넥터 구성요소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요부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제4도는 각각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배관을 콘넥터에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제5도는 각각의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배관을 콘넥터에 잘못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5도의 요부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금속 또는 수지 배관(1)은 20mm이하의 직경을 가지며, 그 접속면상의 배관 상단의 외주에 돌출하게 형성된 환형 팽창벽(1a)을 가진다. 죠인트 본체(2)는 금속 또는 수지로 형성된다. 죠인트 본체(2)는 그 축방향 구멍에 형성된 배관(1)용 삽입구멍을 가지며, 또한 그 유입구로 부터 연결되게 형성된 큰 직경부(2-1), 중간 직경부(2-2) 및 작은 직경부(2-3)을 가진다. 시일링(3)은 중간 직경부(2-2)에 부착되고 부쉬(5)에 의해 유지된다. 큰 직경부(2-1)에는 개구(2a)가 형성된다. 연통 구멍(2b)는 배관(1)용 유입구에 대향하여 그 축방향 구멍내에 형성된다. 홀더(4)는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홀더(4)는 그 일단에 한쌍의 돌출탄성정지부(4a)를 가진다. 홀더(4)는 죠인트 본체(2)의 개구(2a)에 끼워지며, 배관(1)을 삽입한 후, 탄성정지부(4a)의 선단부는 환형 팽창벽(1a)의 후방표면과 결합하여 배관(1)을 위치시키고 그 분리를 방지한다. 금속 또는 수지 확인부재(8)은 탄성압착부재(8a) 및 드로잉 링(drawing ring)(8)으로 구성된다.
아암으로서 작용하는 탄성압착부재(8a)는 U형 고착벽을 가지며, 그 중앙부에는 서로 마주 향해 있는 노치(9)가 형성되어, 홀더(4)의 탄성정지부(4a)의 선단부가 상하로 움직이는 공간을 형성한다. 고정포올(11)은 고착벽의 선단부에서 서로 대면하게 제공되며, 배관(1)의 접속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2)이 형성된다. 홀더(4)의 탄성정지부(4a)가 배관(1)의 환형 팽창벽(1a)위를 이동하는 경우, 탄성 정지주는 정상 상태보다 더 높이 올라가고, 노치(9)와 결합된다. 그러면, 고정포올(11)의 측면이 탄성정지부(4a)와 충돌하여서, 그것으로 부터 확인부재(8)의 분리를 방지한다.
이와같은 제1실시예의 구성에 따라, 먼저 홀더(4)는, 칼라(4b)와 탄성정지부(4a)이 포올 후방면(4c)의 결합면에 의해 죠인트 본체(2)의 큰 직경부(2-1)의 개구(2a)에 끼워진다. 그후에, 확인부재(8)는 죠인트 본체(2)의 측면 방향으로 부터 삽입되고, 고착벽은 개구(2a)내에 형성된 홈내에 설정된다. 이 경우, 확인부재는 그것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렇게해서 콘넥터는 조립되고, 배관이 삽입된다. 제4도는 나타난 바와같이, 잘못 접속된 상태에 있으면, 탄성정지부(4a)는 배관(1)의 환형 팽창벽(1a)의 전방에 위치되고, 그 선단부는 배관(1)의 외주표면에 접하므로, 확인부재(8)가 용이하게 제거된다. 그러나, 이 상태에 있어서, 확인부재(8)를 잘못 떼어내는 경우, 이후에 실행되는 압력시험에 의해 누설이 검출될 수 있기 때문에, 다시 삽입하여 정상 접속 상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탄성정지부(4a)의 선단부가 환형 팽창벽(1a)위를 이동하는 그러한 상태에서 삽입을 정지하는 경우, 이후에 실행하는 압력시험에 의해 누설이 검출되지 않으며, 오히려 배관(1)을 제거해야만 누설이 생길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있어서, 노치(9)의 측면상의 고정포올(11)의 측면이 탄성부재(4a)와 충돌하므로, 확인부재(8)은 제거될 수 없다. 이것으로, 배관(1)의 정상 접속이 완전하게 실행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정상 접속은 배관(1)을 계속 밀어넣어서 실행된다.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접속이 완전히 실행된 후, 확인부재(8)은 탄성정지부(4a)와 확인부재(8)의 고정포올(11)의 경사면(12) 사이의 갭때문에 노치(9)로 부터 분리된다. 그래서, 확인부재는 제거된다. 그러므로, 확인부재(8)을 떼어낼 수 있는지 없는지, 또는 이 부재가 이미 제거되었는지 않되었는지에 의해 축방향 구멍 내부에서의 배관(1)의 접속 상태가 적절한지 아닌지를 외부로 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제1실시예에 있어서, 콘넥터는 홀더의 탄성정지부의 선단부가 상승된 경우 결합상태로 지지되는 확인부재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확인부재를 떼어낼 수 있는지 없는지에 의해, 홀더의 탄성정지부가 배관의 환형 팽창벽에 대해 적절한 위치에 있는가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알 수 있다(즉, 접속된 상태가 적절한지 아닌지). 이외에도, 확인부재가 떼어진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속이 실행된 후에도 정상 접속을 확인하게 되어, 진동상태에서 조차 누설 또는 분리와 같은 사고 없이 접속을 유지한다. 검사용 정상 접속의 경우, 그 분리가능성에 의해 실험이 실행된다. 부수적으로 정상 접속이 실행된 후 떼어낸 확인부재는 재사용 가능한 유용한 효과가 있다.
제7도 내지 제11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세경 배관 접속용 콘넥터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정면도이다. 제8도는 제7도의 선을 따라 화살표의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제9도는 제8도의 작동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10도는 제8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11도는 제4도의 배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제1도 내지 제6도와 동일 구성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로써 표시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관(1)용 삽입구멍은 죠인트 본체(2)내의 축방향 구멍에 형성된다. 또한 죠인트 본체(2)는 그 유입구로부터 큰 직경부분, 중간 직경 부분 및 작은 직경 부분으로 형성된 삽입구멍을 가진다. 필요하다면 시일링(3)은 분리구(6)을 통해서 중간 직경부에 부착된다. 배선(1)은 삽입구멍에 삽입되고, 배관 외주표면은 시일링(3)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한편,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돌출탄성정지부(4a)가 그 일단에 형성된 링 형 홀더(44)는 죠인트 본체(2)의 큰 직경부에 형성된 개구(2a)에 끼워진다. 탄성정지부(4a)의 선단부는 배관(1)의 외주에 형성된 환형 팽창벽(1a)와 결합하여, 배관(1)을 위치시키고, 그 분리를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은 제37도에 도시된 종래 기술과 동일하다.
제2실시예에 따라, 서로 마주보고 있는 돌출벽(8b)를 가지는 U형 탄성압착부재(8)로 구성된 확인부재의 선단에, 특히 압착부재(8a)의 선단에 고정포올(8c)이 제공된다. U형 탄성압착부재(8a)는 죠인트 본체내의 축방향 구멍을 따라 삽입하고, 돌출벽들(8b)은 죠인트 본체(2)의 개구(2a)로 각각 삽입된다. 그후, 그 선단에 제공된 고정포올(8c)는 죠인트 본체(2)에 파인 고정홈에 끼워진다.
죠인트 본체(2)내의 정상 위치까지 배관(1)을 밀어 넣는 경우, 배관(1)의 환형 팽창벽(1a)는 압착부재(8a)의 돌출벽(8b)를 확장시키도록 작용하여(제9도), 고정포올(8c)이 고정홈(2c)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 있어서 확인 부재(8)은 죠인트 본체(2)에서 떼어낼 수 있다. 배관(1)이 정상위치까지 밀어 넣어지지 않으면, 확인 부재(8)는 제거될 수 없다. 그래서 축방향 구멍 내부에 설치된 상태가 적절한지 아닌지를 외부에서 확인하는 것은, 확인부재(8)가 떼어낼 수 있는지 없는지 또는 그것을 제거할 수 있는지 없는지에 의해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같이, 제2실시예에 따라, 배관(1)이 죠인트 본체(2)내의 정상 위치까지 삽입되지 않으면, 확인부재(8)은 떼어낼 수 없다. 그러므로 배관이 죠인트 본체에 정상적으로 접속되었는지를 설치 작업에 있어서 확인부재(8)을 제거함에 의해, 또는 확인부재가 접속이 실행된 후에도 제거되었는지를 눈으로 관찰함에 의해, 확실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검사용 정상 접속을 실행한 경우의 분리가능성으로 인해 시험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생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제12도 내지 제1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2도는 제3실시예에서 홀더가 생략된 분해사시도이다. 제13도는 확인부재가 결합된 본 발명에 의한 콘넥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4도는 제3실시예의 작동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15도는 제3실시예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 홀더가 생략된 분해사시도이다. 제16도는 제15도의 확인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도 내지 제6도와 마찬가지의 구성 부품은 동일한 부호로서 표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3실시예의 콘넥터의 구조는 제37도에 나타낸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 죠인트 본체(2)는 그 축방향 구멍내에 배관(1)용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그 유입구로 부터 큰 직경부, 중간 직경부 및 작은 직경부로 형성된 삽입구멍을 가진다. 시일링(3)은 중간 직경부에 부착된다. 배관(1)은 삽입구멍에 삽입하고, 배관 외주표면은 시일링(3)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다른 한편으로, 일단에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돌출 탄성정지부(4a)가 형성된 링형 홀더(4)는 죠인트 본체(2)의 큰 직경부에 형성된 개구(2a)가 끼워진다. 탄성정지부의 선단부는 배관(1)의 외주에 형성된 환형 팽창벽(1a)과 결합되어, 배관(1)을 위치시키고 그 분리를 방지한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선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고정포올(8f) 및 그 타단에 접속된 탄성 지지부재(8g) 및 (8d)가 형성된 한쌍의 평행 탄성압착부재(8d)는 확인부재(8)를 구성한다. 분리가능한 확인부재(8)의 탄성지지부재(8g)는 탄성지지부재(8d)를 향하여 돌출하는 굴곡부를 가진다. 지지부재(8g)의 중앙부에는 그 선단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8e)가 형성된다. 다른 탄성지지부재(8d)는 탄성아암의 타단을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확인부재(8)은 고정포올(8f)가 죠인트 본체(2)에 파인 고정홈(2)와 결합되게 한다. 돌출부(8e)는 죠인트 본체(2)에 형성된 개구(2a)로 삽입되어 배관(1)에 도달하게 된다. 즉, 확인부재(8)은 약간 떨어져서 죠인트 본체에 고착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배관(1)이 죠인트 본체내의 정상위치까지 삽입된 경우, 탄성지지부재(8g)의 돌출부(8e)는 환형 팽창벽(1a)의 외주와 충돌하므로, 탄성지지부재(8g)의 굴곡부가 펴진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 제14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탄성압착부재(8b)는 확장되어, 고정포올(8f)을 고정홈(2c)으로부터 분리한다. 동시에, 확인부재(8)는 탄성지지부재(8g)의 탄성력에 의해 죠인트 본체(2)로부터 튀어오른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지지부재(8g)이 돌출부(8e)가 삽입되는 구멍은 죠인트 본체(2)의 개구(2a)로서 정의된다.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삽입구멍(8k)은 죠인트 본체에 떨어져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있어서, 확인부재(8)는 개구(2a)의 모서리가 고정부(2A)로서 작용하는 상태에서 죠인트 본체(2)에 고착된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 확인부재(8)가 죠인트 본체(2)에 고착되었는지 아닌지에 의해 접속된 상태가 적절한지 아닌지를 외부에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제3실시예는, 정상 위치까지 배관(1)을 죠인트 본체로 억지로 밀어 넣는 경우, 확인 부재가 튀어오르게 되므로, 접속 동작동안 뿐 아니라 접속이 된 후에 확인 부재가 있는지 없는지에 의해 배관이 죠인트 본체에 정상적으로 접속되었는지 안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확실히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제17도 내지 제25a도 및 제25b도와 연관하여 본 발명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7도는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제18도는 그 배면도이다. 제19도는 제17도의 좌측면도이다. 제20도는 제17도의 XX-XX선을 따라 화살표의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제21도는 제17도의 선을 따라 화살표의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제22도는 제19도의 XXII-XXII선을 따라 화살표의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제23도는 하나의 압착부재가 양호하게 접속된 배관 상태하에서 팽창벽의 상단부와 충돌하는 경우 제거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8도의 XXIII-XXIII선을 따라 자른 설명도이다. 제24a도는 다른 압착부재가 적절히 고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24b도는 제24a의 XXIV-XXIV선을 따라 화살표의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제25a도는 잘못 고착된 상태(탄성정지부의 선단부가 배관의 팽창벽 위를 이동한다)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25b도는 제25a의 XXV-XXV선을 따라 화살표의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제1도 내지 제6도와 마찬가지 구성부품은 같은 부호로 표시한다.
제4실시예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제1확인부재와 제2실시예의 제2확인부재가 결합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죠인트 본체(2)는 그 축방향 구멍내에 배관(1)용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삽입구멍은 그 유입구로부터 큰 직경부, 중간직경부 및 작은 직경부로 형성된다. 시일링(3)은 중간 직경부에 부착된다. 배관(1)은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배관 외주가 시일링(3)에 탄성적으로 결합한다. 다른 한편으로, 그 일단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한쌍의 돌출 탄성정지부(4a)가 형성된 홀더(4)는, 상기에 설명한 바와같이, 큰 직경부내에 형성된 개구(2a)와 각기 계합하는 포올후방면(4c)과 칼라(4b)와 연동하여 죠인트 본체(2)의 큰 직경부의 후방단에 의해 죠인트 본체(2)내에 유지된다. 홀더(4)의 전방에 형성된 탄성정지부(4a)의 선단부와 관형 부재(4d)의 사이에, 정지부는 배관(1)의 외주에 형성된 환형 팽창벽(1a)과 결합하여, 배관(1)을 위치시키고, 그 분리를 방지한다.
제4실시예에 의거, 제1 및 제2확인부재(8A), (8B) 각각은 콘넥터의 축방향 구멍을 따라 연속해서 평행하게 설치된 U형 고착벽을 각각 가지는 탄성압착부재(8a1), (8a2)로 이루어진다. 링(81)은 확인부재(8)를 미는 경우 핑거에 의해 파지된다. 이후에 설명하는, 압착부재(8a1) 및 (8a2)는 죠인트 본체(2)의 개구(2a)의 주변 모서리에 의해 구성된 서로 평평한 표면에 대해 개구와 결합한다.
하나의 압착부재(8a1)의 선단부에는 서로 대향하는 고정포올(8a2)이 제공되며 각각의 포올은 고리형이다. 고정포올(8a2)은 죠인트 본체(2)의 개구(2a)에 인접하게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진다. 서로 마주보고 있는 돌출벽(8a1′)은 고착벽의 고정포올(8a2)의 기초부에 형성된다. 경사표면(8a2′)(제22도)은 배관(1)의 접속방향의 전방에 형성된다. 배관(1)이 죠인트 본체(2)에 대해 적절한 접속위치에 있는 경우, 제2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돌출벽(8a1′)은 배관(1)의 팽창벽(1a)위를 이동하고, 그 결과 압착부재(8a1)는 고정포올(8a2)과 고정홈(2b)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확장된다.
다른 압착부재(8b2)의 고착벽의 중앙부에는 탄성정지부(4a)의 선단부가 상하로 움직이는 공간으로서 작용하는 노치(9)이다. 배관(1)의 접속방향으로 고착벽의 선단에서 제공된 서로 대향하는 고정포올(8b3)의 전방면은 경사면(8b2′)(제22도)으로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압착부재(8b2)의 측면이 정지부(4a)에 충돌하여, 압착부재(8b2)는 제거되지 않는다.
배관(1)이 죠인트 본체(2)에 대해 적절한 접속 위치에 있을때 하나의 압착부재(8a1)의 돌출벽(8a1′)은 팽창벽(1a)의 상부와 충돌하도록 힘을 받는 반면, 다른 압착부재(8b2)의 고정포올(8b3)의 경사면(8b2′)과 정지부(4a)의 경사면 사이에 갭이 형성된다(제24a도 및 제24b도). 이러한 구성에 따라 팽창벽(1a)의 상부는 돌출벽(8a1′)에 대해 접하여, 서로 마주보고 있는 압착부재(8a1)의 돌출벽(8a′)이 확장된다(제23도). 압착부재(8b2)의 고정포올(8b3)의 경사면(8b2′)과 정지부(4a)사이에 형성된 갭(제24a도 및 제24b도)은 노치(9)로부터 분리되게 하여서, 제23도 및 제24b도에 나타난 각각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외부로 확인부재를 떼어낸다. 이렇게해서, 확인부재(8)를 떼어낼수 있는지 없는지, 또는 그것이 이미 제거되었는지 아닌지에 의해 축방향 구멍 내부내의 접속상태가 적절한지 아닌지를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제4실시예에 따라, 고정포올(8a2)는 죠인트 본체(2)의 개구(2a)에 끼워지고, 고정포올(8b3)은 고정홈(2b)과 결합하여서, 확인부재(8)를 고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배관(1)의 접속부는 죠인트 본체(2)의 축방향 구멍내부에 고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 확인부재를 압착부재(8a1) 및 (8b2)양자의 간섭없이 떼어낼 수 있는지 없느지에 의해, 홀더(4)의 탄성정지부(4a)가 배관(1)의 팽창벽(1a)에 대해 적절히 위치되었는지 아닌지를(즉, 접속 상태가 적절한지 아닌지)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정상접속은 확인부재를 떼어낸 것을 눈으로 관찰하는 것에 의해 접속이 실행된 후 조차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속이 진동 상태하에서 누설 또는 분리되지 않고 타이트하게 유지된다. 더우기, 그러한 시험은 정상 접속의 경우 검사시의 분리 가능성으로 수행될 수 있는 현저한 작용효과가 있다.
제26도 내지 제31도와 관련하여 제5실시예의 설명을 하면, 제26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세경 배관접속용 콘넥터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단면도이며, 제27도는 제5실시예의 요부로서 정의된 압착부재를 구성하는 확인부재의 정면도이고, 제28도 및 제29도는 제27도의 분리된 압착부재의 한 부품을 각각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제30도는 배관이 적절히 설치된 경우 팽창벽의 상부에 대해 접하는때 분리가능한 하나의 압착부재를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제31도는 배관을 삽입하기 전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제1도 내지 제6도와 마찬가지로 구성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제5실시예는, 제1 및 제2실시예의 제1 및 제2확인부재가 확인장치로 그들의 단부를 연결하여 결합되는 구성으로 특징된다.
도면에 있어서, 금속 또는 수지 재질로 만든 죠인트 본체(2)에는 계단형의 작은 직경부(2-3)와 그 후방에서 축방향 코어 내부의 선단부에 있는 수지 튜브 또는 고무호스(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연결벽을 가지는 연통구멍(2b)과 연통되는 계단형의 큰 직경부(2-1)가 형성된다. 큰 직경부의 후방 주변벽은 걸림벽(3′)을 형성한다. 고무등으로 형성된 탄성 시일링(3)은 큰 직경부(2-1)의 계단부와 결합하는 그 후방부에서 칼라벽을 가지는 환형부쉬(5)에 삽입되며, 부쉬에는 분리구(6)가 작은 직경부(2-3)의 측면위에 삽입되어 내부에 고정된다.
홀더(4)는 죠인트 본체(2)의 큰 직경부(2-1)에 의해 구성된 후방 주변벽의 걸림벽(3′)에 걸리는 후방단 주변벽을 가진다. 홀더(4)는 그 후방 주변벽이 금속 스프링 또는 수지부재에 의해 죠인트 본체(2)의 큰 직경부(2-1)에 의해 구성된 후방 주변 걸림벽(3′)에 걸려 고정된다. 홀더(4)의 선단부에는 서로 마주보고 있고, 전방으로 경사진 탄성정지부(4a)가 형성된다. 정지부(4a)는 큰 직경부의 주변벽에 형성된 슬롯형 개구(2a)에 끼워진다. 죠인트 본체(2)의 개구(2a)의 구멍 주변 모서리에 의해 평면(S, S′)이 형성된다. U형 탄성압착부재(8a4) 및 (8b4)는 평면(S, S′)에 부착되고, 축방향 구멍을 따라 연속해서 평행하게 제공된다. 압착부재(8a4) 및 (8b4)는 전체로서 확인부재(8)를 구성하도록 결합된다. 배관(1)의 접속방향으로 압착부재(8b4)의 고정포올(11′)의 전방면은 경사면(12′)으로서 형성되고, 동시에 노치(9), (9)는 압착부재(8b4)에서 서로 대향하게 형성된다.
탄성정지부(4a)가 배관(1)의 팽창벽(1a)위를 이동하는 경우, 탄성정지부(4a)는 정상 상태에서 올라가고 노치(9), (9)내에 끼워진다(제25a도 및 제25b도). 이러한 구성은, 고정포올(11′)의 측면이 탄성정지부와 충돌하기 때문에, 확인부재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배관(1)이 죠인트 본체(2)에 대해 적절한 접속 위치에 있을때, 하나의 압착부재(8a4)의 고정포올은 배관(1)의 팽창벽(1a)의 상부에 대해 접한다. 한편, 다른 하나의 압착부재(8b4)의 고정포올(11′)의 경사면(12′)과 탄성정지부(4a)의 경사면 사이에 갭이 형성된다(제24a도 및 제24b도). 이러한 구성에 따라 이상과 같이 구성 부품이 충돌시, 압착부재(8a4)의 측면에 서로 대면하는 고정포올(11)은 확장된다(제30도). 따라서, 압착부재(8b4)의 고정포올(11′)의 경사면(12′)과 탄성정지부(4a)사이의 갭으로 인해 확인부재(8)가 개구(2a)로부터 외부로 제거된다. 그러므로, 확인부재를 떼어낼 수 있는지 없는지에 의해 접속 상태가 축방향 구멍 내부에 적절한지 아닌지를 외부로부터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제5실시예의 구성에서, 압착부재(8a4), (8b4)는 죠인트 본체(2)의 개구(2a)내에 고정포올(11, 11′)을 끼워서 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관(1)의 연결부는 죠인트 본체(2)의 축방향 구멍 내부에 고착된다; 그후, 홀더(4)의 탄성정지부(4a)는 설치되기전에 배관(1)의 팽창벽(1a)에 대해 적절한 위치에 고정된다. 설치후에는 압착부재(8a4) 및 (8b4)를 떼어낼 수 있는지 없는지에 의거, 접속 상태가 적절한지 아닌지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세경 배관 접속용 콘넥터는 진동 상태하에서도 누설 또는 분리되지 않는 타이트한 접속을 유지할 수 있는 현저한 잇점이 있다.
제32도 내지 제3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2도는 제6실시예의 세경 배관 접속용 콘넥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제33도는 확인부재가 결합되는 제6실시예의 콘넥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제34도는 제33도의 배면도이고, 제35도는 제33도의 XXXV-XXXV 선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며, 제36도는 제33도의 XXXVI-XXXVI선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제1도 내지 제6도와 마찬가지의 구성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로서 표시한다.
제6실시예는 제3실시예의 제1확인부재와 제2실시예의 제2확인부재가 그 단부를 연결함에 의해 확인장치를 구성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실시예에 따라,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콘넥터 구조는 제37도에 나타난 바와같은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 특히, 죠인트 본체(2)에는 그 축방향 구멍내에 배관(1)용 삽입구멍이 형성된다. 죠인트 본체(2)의 삽입구멍은 그 유입구로부터 큰 직경부, 중간 직경부 및 작은 직경부로 형성된다. 중간 직경부에는 배관(1)을 삽입 구멍으로 삽입하여 배관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결합된 시일링(3)이 부착된다. 한편, 링형 홀더(4)는 그 일단에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돌출탄성 정지부(4a)가 제공된다. 홀더(4)는 죠인트 본체(2)의 큰 직경부내에 형성된 개구(2a)내에 끼워지는 반면, 탄성정지부의 선단부는 배관(1)의 외주에 형성된 환형 팽창벽(1a)과 결합하여서, 배관(1)을 위치시키고, 그 제거를 방지한다. 제6실시예에 있어서, 제32도 내지 제3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죠인트 본체(2)의 축방향구멍을 따라 계속해서 평행하게 설치된 탄성압착부재(8b5) 및 (8a5)의 2구성 부품으로 구성된 확인부재(8)가 제공된다.
하나의 압착부재(8b5)는 한쌍의 평행하게 설치된 탄성 아암을 가진다. 또한, 압착부재(8b5)의 일측면상의 선단부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고정포올(8f)이 제공되고, 반면에 그 타단은 U형 연결부재(8d)에 연결된다. 연결부재(8d)에 인접한 부분에서 충돌하는 탄성 아암은, 탄성 아암을 밀어올리기에 충분한 굴곡부를 가지는 탄성지지부재(8g)에 의해 걸쳐있다. 지지부재(8g)는 그 선단부를 향해 튀어나온 돌출부(8e)가 그 중앙부에 형성된다.
이어서, 다른 압착부재(8a5)는 지지부재(8b5)의 탄성지지부재(8g)를 제외하고는 거의 동일한 형태라 가정한다. 배관(1)의 접속방향으로의 압착부재(8a5)의 선단면은 경사면(12)을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을 가지는 돌출벽(9a)은 서로 대향하게 설치된다. 압착부재(8a5) 및 (8b5)는 U형 연결부재(8d) 및 (9c)의 단부를 연결부재(10)를 통해서 연결되어 결합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확인부재(8)는 죠인트 본체(2)내에 파인 고정홈(2c)에 고정포올(8f)을 결합하여 죠이트 본체(2)의 개구(2a)내에 타이트하게 고정된다. 배관(1)이 죠인트 본체속으로 정상적으로 삽입되는 경우, 배관(1)의 환형팽창벽(1a)(제36도)은 탄성지지부재(8g)의 돌출부(8e)를 밀어올리도록 작용하여, 탄성지지부재(8g)의 굴곡부가 펴지게하여 압착부재(8b5)의 탄성아암이 확장된다. 따라서 고정포올(8f)과 고정홈(2c)의 결합이 해제된다.
한편, 환형팽창벽(1a)이 배관(1)을 그곳으로 밀어놓음에 의해 홀더(4)의 탄성정지부(4a)의 선단부를 확장하는 반면, 압착부재(8a5)의 돌출벽(9a)은 탄성정지부(4a)의 측면에 충돌하여 그 분리가 방지된다. 그러나, 정상 상태에 있어서(제4도), 통로가 완성된 후, 즉, 탄성정지부(4a)의 선단부가 배관(1)의 표면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 돌출벽(9a)은 탄성정지부(4a)에 대해 접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배관(1)이 죠인트 본체(2)에 대해 적절한 접속위치에 있는 경우, 돌출부(8e)는 콘넥터로부터 튀어오르도록 확인부재(8)를 밀어올린다. 상술한 바와같이, 확인부재(8)가 죠인트 본체에 부착되었는지 아닌지에 의거 접속상태가 적절한지 아닌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제6실시예에 따라서, 압착부재(8a5) 및 (8b5)는 죠인트 본체(2)의 개구(2a)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반면, 고정포올(8f)은 배관(1)의 접속부가 죠인트 본체(2)에 정상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죠인트 본체(2)의 고정홈(2c)에 고정되게 끼워진다. 그러면 즉시 확인부재(8)는 튀어오른다. 이러한 구성은 확인부재(8)가 죠인트 본체(2)에서 떼어냈는지 아닌지에 의거, 접속 작동 뿐만 아니라 접속이 실행된 후에도 접속 상태가 적절한지 아닌지에 대해 외부에서의 확인이 용이해진다. 그러므로, 진동상태하에서도 누설 또는 분리없이 견고한 접속이 유지되는 현저한 작용 효과가 나타난다.
이상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설명된 바와같이, 죠인트 본체에 대해 적절한 접속위치에 배관이 고정되지 않으면 배관이 외주에 형성된 환형팽창벽에 의해 올라간 홀더의 탄성정지부와 결합하고, 배관이 적절한 접속위치에 고정되면 팽창벽에 의해 올라간 고착벽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착벽을 가지는 확인부재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다음과 같은 현저한 작용효과를 알 수 있다. 확인부재를 떼어낼 수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배관이 적절한 접속 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확인부재를 떼어낸 사실을 눈으로 볼 수 있고, 그러므로 정상 접속은 접속이 실행된 후에도 확실하게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진동 상태하에서도 누설 또는 분리없이 접속을 유지할 수가 있다. 정상 접속을 검사하는 경우 시험은 분리 가능성에 의해 실행된다. 이외에도, 정상 접속후 떼어낸 확인부재를 재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변경과 수정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배관(1)과, 상기 배관용 삽입구멍이 축방향 구멍내에 형성되고 유입구로부터 연속적인 각각의 큰 직경부(2-1), 중간 직경부(2-2) 및 작은 직경부(2-3)로 형성된 삽입구성을 가지는 죠인트 본체와, 상기 중간 직경부(2-2)에 부착되고, 상기 배관을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시일링(3)과, 일단에 한쌍의 돌출탄성 정지부(4a)가 형성된 홀더(4)와, 상기 홀더가 끼워지는 상기 큰 직경부(2-1)에 형성된 개구(2a)와, 상기 배관의 외주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정지부(4a)와 결합하여서 상기 배관을 위치시키고 그 제거를 방지하는 환형팽창벽(1a)으로 구성되는 세경배관 접속용 콘넥터에 있어서, 확인부재(8)는 상기 죠인트 본체(2)의 상기 큰 직경부(2-1)내에 형성된 상기 개구(2a)내에 고정되어, 상기 배관(1)이 상기 죠인트 본체(2)에 대해 적절한 접속위치내에 설정되는 경우에만 그곳에서부터 떼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경배관 접속용 콘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재(8)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노치(19)를 중앙부에 가지는 한쌍의 아암을 가지며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 고정포올(11)이 그 선단부에 제공된 U형 팽창벽(8a)을 가지며, 상기 아암은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관(1)의 외주에 형성된 상기 환형팽창벽(1a)은 상기 죠인트 본체에 상기 배관이 적절하지 않게 접속된 경우 상기 홀더(4)의 상기 탄성정지부(4a)를 들어올리도록 작용하는 반면 상기 탄성정지부(4a)는 상기 노치(9)에 삽입되고, 결합되어 상기 개구(2a)로부터의 상기 확인부재(8)의 분리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경배관 접속용 콘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재(8)는 돌출벽(8b)이 중앙부에 형성된 한쌍의 아암을 가지며, 그 선단부에 고정포올(8c)이 제공된 U형 탄성고착벽을 가지며, 상기 아암은 상기 돌출벽이 서로 마주보고 있게 설치되고, 상기 확인부재(8)는 상기 죠인트 본체(2)의 상기 큰 직경부(2-1)에 형성된 상기 개구(2a)에 인접하게 형성된 정지부(4a)와 상기 고정포올(8c)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개구내에 고정되고, 상기 배관의 외주에 형성된 상기 환형팽창벽(1a)은 상기 배관(1)의 상기 죠인트 본체(2)에 대해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 경우 상기 돌출벽(8b)을 확장하여, 상기 정지부(4a)로부터 상기 고정포올(8c)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경배관 접속용 콘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재(8)는 중앙부에 돌출부(8e)와 굴곡부를 가지는 탄성지지부재(8g) 및 (8d)에 의해 서로 연결된 후방단을 가지는 한쌍의 아암을 가지며 그 선단부에 고정포올(8f)이 제공된 탄성고착벽을 가지며, 상기 확인부재(8)는 상기 죠인트 본체(2)의 상기 큰 직경부(2-1)에 형성된 상기 개구(2a)에 아주 근접하게 형성된 정지부(4a)와 상기 고정포올(8f)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개구(2a)내에 고정되고, 상기 배관의 외주에 형성된 상기 환형팽창벽(1a)은 상기 배관(1)이 상기 죠인트 본체(2)에 대해 적절한 접속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돌출부(8c)에 충돌하여, 탄성지지부재(8g)의 굴곡부가 상기 한쌍의 아암 사이의 공간을 확장시키게 펴져서, 고정홈으로부터 상기 고정포올(8f)이 분리되고, 상기 확인부재(8)는 상기 죠인트 본체(2)로부터 튀어오르도록 밀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경배관 접속용 콘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재는 분리되어 제공된 제1 및 제2확인부재(8A) 및 (8B)로 구성되며, 상기 제1확인부재(8A)는 서로 대향하는 노치(9)가 중앙부에 형성된 2구성부품의 아암을 가지며 그 선단부에 제1고정포올(8b3)이 제공된 U형 고착벽을 가지며, 상기 제1고정포올(8b3)에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배관(1)의 외주에 형성된 환형팽창벽(1a)은 상기 배관이 상기 죠인트 본체(2)에 적절하지 않게 접속된 경우 상기 홀더(4)의 상기 탄성정지부(4a)로부터 올려지고 이때 상기 탄성정지부는 상기 노치(9)에 끼워지고 결합되어, 상기 개구(2a)에서 상기 제1확인부재(8A)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확인부재(8B)는 서로 대면하는 돌출벽(8a1)이 중앙부에 형성된 2구성부품의 아암을 가지며, 그 선단부에 제2고정포올(8a2)제공된 U형 고착벽을 가지며, 상기 제2확인부재(8B)는 상기 죠인트 본체(2)의 상기 큰 직경부(2-1)에 형성된 상기 개구(2a)에 인접하여 형성된 정지부(4a)와 상기 제2고정포올(8a2)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개구에 고정되고, 상기 배관(1)의 외주에 형성된 상기 환형팽창벽(1a)은 상기 배관(1)이 상기 죠인트 본체(2)에 대해 적절한 접속위치에 고정된 경우, 상기 돌출벽(8a)을 확장시켜서 상기 정지부(4a)로부터 상기 제2고정포올(8a2)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경배관 접속용 콘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재(8)는 상기 제1 및 제2확인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1확인부재는 노치(9)가 중앙부에 형성된 한쌍의 아암을 가지며, 그 선단부에 제1고정포올(11′)이 제공된 U형 고착벽을 가지며, 상기 아암은 상기 노치가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도록 평행하게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1고정포올(11′)은 경사면을 각각 가지며, 상기 배관(1)의 외주에 형성된 상기 환형팽창벽(1a)은 상기 배관(1)이 상기 죠인트 본체(2)에 적절하지 않게 접속되어 상기 탄성정지부(4a)가 상기 노치(9)에 끼워지는 경우 상기 홀더(4)의 상기 탄성정지부를 들어올려서, 상기 개구(2a)로부터 상기 제1확인부재의 제거를 방지하고, 상기 제2확인부재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돌출벽(12)이 중앙부에 형성된 한쌍의 아암을 가지며 그 선단부에 제2고정포올(11)이 제공된 U형 탄성고착벽을 가지며, 상기 제2확인부재는 상기 죠인트 본체(2)의 상기 큰 직경부(2-1)에 형성된 상기 개구(2a)에 인접하게 형성된 정지부(4a)와 상기 제2고정포올(11)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개구(2a)내에 고정되고, 상기 배관(1)의 외주에 형성된 상기 환형팽창벽(1a)은 상기 배관(1)의 상기 죠인트 본체(2)에 대해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 경우 상기 돌출벽(12)을 확장시켜서, 상기 정지부(4a)로부터 상기 제2고정포올(11)이 분리되게 하며, 상기 제1 및 제2확인부재는 서로 그 단부를 연결하며 일체로 평행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경배관 접속용 콘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재(8)는 상기 제1 및 제2확인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1확인부재는 그 중앙부에 돌출부(e)와 굴곡부를 가지는 탄성지지부재(8g) 및 (8d)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 후방단을 가지는 한쌍의 아암을 가지며, 그 선단부에 서로 대면하는 제1고정포올(8f)이 제공된 탄성고착벽을 가지며, 상기 제1확인부재는 상기 죠인트 본체(2)의 상기 큰 직경부(2-1)에 형성된 상기 개구(2a)에 인접하게 형성된 정지부(4a)와 상기 제1고정포올(8f)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개구(2a)내에 고정되고, 상기 배관(1)의 외주에 형성된 상기 환형팽창벽(1a)은 상기 배관(1)이 상기 죠인트 본체(2)에 대해 적절한 접속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8e)에 충돌하여, 상기 탄성지지부재(8g)의 굴곡부는 상기 한쌍의 아암 사이의 공간을 확장시키게 펴져서, 상기 정지부(4a)로부터 상기 제1고정포올(8f)을 분리시키고, 상기 제1확인부재는 상기 탄성지지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죠인트 본체로부터 튀어오르도록 밀쳐지며, 상기 제2확인부재는 서로 대면하게 설치된 돌출벽이 중앙부에 설치된 한쌍의 아암을 가지며, 그 선단부에 제2고정포올이 제공된 U형 탄성고착벽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제2고정포올은 경사면을 각각 가지고, 상기 배관(1)의 외주에 형성된 상기 환형팽창벽(1a)은 상기 배관(1)이 상기 죠인트 본체(2)에 적절하지 않게 접속되어 상기 탄성정지부(4a)를 상기 돌출벽에 충돌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홀더(4)의 상기 탄성정지부를 들어올려서, 상기 개구(2a)로부터 상기 제2확인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평행하게 설치된 상기 제1 및 제2확인부재는 그 단부에서 상기 부재를 함께 연결하여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경배관 접속용 콘넥터.
KR1019890002633A 1988-03-01 1989-03-02 세경 배관 접속용 콘넥터 KR9200006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48075 1988-03-01
JP48075/63 1988-03-01
JP63048075A JP2691550B2 (ja) 1988-03-01 1988-03-01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945A KR890014945A (ko) 1989-10-25
KR920000662B1 true KR920000662B1 (ko) 1992-01-20

Family

ID=12793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2633A KR920000662B1 (ko) 1988-03-01 1989-03-02 세경 배관 접속용 콘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46205A (ko)
JP (1) JP2691550B2 (ko)
KR (1) KR920000662B1 (ko)
DE (1) DE3906146A1 (ko)
GB (1) GB22162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7619B2 (ja) * 1989-08-23 1998-06-18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端部相互のコネクター
JP2802944B2 (ja) * 1989-09-27 1998-09-24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JP2530220Y2 (ja) * 1990-01-10 1997-03-26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US5626371A (en) * 1990-01-16 1997-05-06 Bartholomew; Donald D. Quick connector with one-piece retainer
US5195787A (en) * 1990-01-16 1993-03-23 Proprietary Technology, Inc. Quick connector with heavy-duty retainer
JP2935719B2 (ja) * 1990-01-20 1999-08-16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JP3059184B2 (ja) * 1990-01-20 2000-07-04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US5141264A (en) * 1990-03-19 1992-08-25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Connector for connecting thin tube
JP2528256Y2 (ja) * 1990-03-19 1997-03-05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継手
JP2556210Y2 (ja) * 1990-03-19 1997-12-03 臼井国際産業 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継手
GB2242281A (en) * 1990-03-21 1991-09-25 Ford Motor Co Security test device
JP3031959B2 (ja) * 1990-05-30 2000-04-10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US5096235A (en) * 1990-07-18 1992-03-17 Hans Oetiker Rapid coupling arrangement
US5211427A (en) * 1990-12-22 1993-05-18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Piping connector
US5152555A (en) * 1991-03-26 1992-10-06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 insertion indicator clip
JP3071498B2 (ja) * 1991-05-30 2000-07-31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配管用コネクタ
US5178424A (en) * 1991-07-01 1993-01-12 Itt Corporation Pop-off quick connect indicator
US5324082A (en) * 1991-08-29 1994-06-28 Bundy Corporation Positive transition quick connect coupling
US5161833A (en) * 1991-08-29 1992-11-10 Huron Products Industries, Inc. Positive transition quick connect coupling
JPH0522985U (ja) * 1991-09-05 1993-03-26 鈴木 茂 パイプ接続器
US5161832A (en) * 1991-10-16 1992-11-10 Huron Products Industries, Inc. Plastic retainer for fluid coupling
US5226230A (en) * 1991-12-13 1993-07-13 Itt Corporation Universal o.d. release tool
US5187851A (en) * 1991-12-13 1993-02-23 Itt Corporation O.D. - I.D. combination release tool
US5297818A (en) * 1991-12-18 1994-03-29 Itt Corporation Retainer for pop-top indicator
US5542712A (en) * 1991-12-18 1996-08-06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or housing with elongated barb design
WO1993014341A1 (en) * 1992-01-17 1993-07-22 Huron Products Industries Inc. Tubing connector
DE4205661C1 (ko) * 1992-02-25 1993-06-09 Rasmussen Gmbh, 6457 Maintal, De
JP3104929B2 (ja) * 1992-03-11 2000-10-30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継手
US5443289A (en) * 1992-11-11 1995-08-22 Guest; John D. Tube couplings
FR2705133B1 (fr) * 1993-05-10 1995-08-04 Caillau Ets Connexion rapide.
US5395140A (en) * 1993-05-13 1995-03-07 Enhanced Applications, L.C. Secondary latch and indicator for fluid coupling
FR2705431B1 (fr) * 1993-05-14 1995-07-13 Legris Sa Connecteur rapide avec dispositif indicateur.
DE4318878A1 (de) * 1993-06-08 1994-12-15 Kuehner Gmbh & Cie Kältemittelkupplung zur Verbindung von Kältemittelleitungen
US5425556A (en) * 1993-09-24 1995-06-20 Itt Corporation Pop top insertion indicator for thin walled connectors
ATE184084T1 (de) * 1993-11-16 1999-09-15 Proprietary Technology Inc Kupplungssystem mit schnellkupplung
US5794984A (en) * 1993-11-16 1998-08-18 Proprietary Technology, Inc. Quick connector
GB9400585D0 (en) * 1994-01-13 1994-03-09 Guest John 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ube couplings
US5441313A (en) * 1994-01-18 1995-08-15 Bundy Corporation Insertion indicator for quick connector
JP3467500B2 (ja) * 1994-03-29 2003-11-17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配管用継手
US5518276A (en) 1994-09-16 1996-05-21 Bundy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pull back verification method
US5499848A (en) 1994-09-26 1996-03-19 Bundy Corporation Connection 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coupling
US5730481A (en) * 1994-11-04 1998-03-24 Itt Automotive, Inc. Quick connector with snap-on retainer
US5542716A (en) * 1994-11-04 1996-08-06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snap-on retainer
US5609370A (en) * 1994-12-02 1997-03-11 Itt Corporation Positive latch quick connector
US5551732A (en) * 1995-02-14 1996-09-03 Proprietary Technology, Inc. Quick connector
KR19980703387A (ko) * 1995-03-27 1998-10-15 도날드 디. 바쏠로뮤 적합한 연결을 확인하기 위한 링을 갖는 신속 커넥터
DE19515849B4 (de) * 1995-04-29 2006-07-06 Voss Automotive Gmbh Steckkupplung für Druckmittel-Leitungen
US5951063A (en) * 1995-06-07 1999-09-1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Quick connector with snap-on retainer having enhanced engagement
US5730475A (en) * 1995-10-13 1998-03-24 Form Rite Quick connect fluid coupling with collet retainer
BR9601539A (pt) * 1996-04-12 2004-06-29 Tampas Click Ltda Indicador de montagem e conexão de linhas de combustìveis ou fluìdos em geral
DE19619026A1 (de) * 1996-05-10 1997-11-13 Trinova Gmbh Schnellkupplung
US6170886B1 (en) 1996-05-14 2001-01-09 Proprietary Technology, Inc. Quick connector
JP2880453B2 (ja) * 1996-06-07 1999-04-12 三桜工業株式会社 配管用継手装置のリテーナ
JP3938798B2 (ja) * 1996-11-20 2007-06-27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US5897145A (en) * 1996-12-05 1999-04-27 Tokai Rubber Industries, Ltd. Connector
US5863077A (en) * 1996-12-20 1999-01-26 Itt Automotive, Inc. Quick connector with snap-on frangible retainer
DE19708377C1 (de) * 1997-03-01 1998-06-18 Raymond A & Cie Lösbare Steckverbindung mit Montageanzeige
US6062607A (en) * 1998-07-17 2000-05-16 Proprietary Technology, Inc. Quick connector with secondary latch confirming feature
JP4462671B2 (ja) * 1998-09-17 2010-05-12 株式会社東郷製作所 管継手
JP4275229B2 (ja) 1998-12-04 2009-06-10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に用いられる細径樹脂チューブの接続構造
US6293596B1 (en) 1999-01-06 2001-09-2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Quick connector with after incident indicator clip
JP3422722B2 (ja) * 1999-04-27 2003-06-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配管用クイックコネクタ
KR100317556B1 (ko) * 1999-11-05 2001-12-24 윤덕용 Ni/MH 2차전지용 음극용 비화학양론비의 Zr-Ni계수소저장합금
US6543814B2 (en) 2000-08-10 2003-04-08 John M. Bartholomew Quick connector
FR2818731B1 (fr) 2000-12-22 2006-11-03 Legris Sa Coupleur rapide avec temoin de connexion
US6520546B2 (en) * 2000-12-27 2003-02-18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Quick connector release tool
JP4531288B2 (ja) 2001-04-20 2010-08-25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コネクタ
FR2829829B1 (fr) * 2001-09-20 2004-02-13 Legris Sa Dispositif de raccordement a montage securise
JP3988180B2 (ja) * 2002-02-28 2007-10-10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接続確認機能付きクイックコネクタ
DE50204467D1 (de) * 2002-05-04 2006-02-16 Ti Automotive Fuldabrueck Gmbh Rohrkupplung für Rohrleitungen
JP4085362B2 (ja) * 2002-05-23 2008-05-14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接続確認機能付きクイックコネクタ
SE523474C2 (sv) * 2002-07-04 2004-04-20 Weo Hydraulic Ab Monteringsstopp vid axiellt rörliga han-honkopplingar för att förhindra ofrivillig frigöring av kopplingar
DE10230747B3 (de) * 2002-07-09 2004-04-08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Fluidleitungen
FR2844860B1 (fr) * 2002-09-20 2006-12-15 Legris Sa Connecteur rapide a securite accrue
JP2004218832A (ja) * 2002-12-26 2004-08-05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配管用継手
JP4271516B2 (ja) * 2003-07-10 2009-06-03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ー
JP4663254B2 (ja) * 2004-05-25 2011-04-06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US20060022458A1 (en) * 2004-07-27 2006-02-02 Timothy Droste Sealed fluid connector assembly
US7128347B2 (en) * 2004-11-18 2006-10-31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Passive transmitter for a quick connector
US7971912B2 (en) * 2005-04-07 2011-07-05 Sanoh Kogyo Kabushiki Kaisha Quick connector
CN1908496B (zh) * 2005-06-15 2012-09-05 Ti集团车辆系统有限责任公司 用于快速连接器的拉动接头检验器组件
US7497477B2 (en) 2005-06-15 2009-03-03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Pull tab verifier assembly for quick connectors
US20070078411A1 (en) * 2005-08-03 2007-04-05 Osborne Thomas A Indwelling catheter opening device
FR2893380B1 (fr) * 2005-11-15 2009-02-27 Legris Sa Organe de retenue a dimension reduite pour ancrage d'un tube dans un element de circuit et element de circuit correspondant
DE102005060135A1 (de) * 2005-12-16 2007-07-05 A. Raymond Et Cie Kupplung
US9593789B2 (en) * 2006-10-06 2017-03-14 Blazing Products, Inc. Pipe-fitting with adaptor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US8035475B2 (en) * 2008-08-14 2011-10-11 Kanthal Corporation Quick connect fittings
JP5420991B2 (ja) * 2008-09-30 2014-02-19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435980B2 (ja) * 2009-02-25 2014-03-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の解除器具
DE102010048107A1 (de) * 2010-10-09 2012-04-12 Norma Germany Gmbh Verbindungselement für eine Fluidverbindung
JP5687152B2 (ja) * 2011-08-01 2015-03-18 三桜工業株式会社 配管継手
CA2863419A1 (en) * 2012-01-09 2013-07-18 BiO2 Medical, Inc. Connector hub apparatus for catheter and methods of use
USD732359S1 (en) * 2012-08-21 2015-06-23 Orbit Irrigation Products, Inc. Conduit removal tool
DE102017208643B4 (de) 2017-05-22 2021-03-04 Aft Automotive Gmbh Kupplungselement zum Verbinden einer ersten fluidführenden Leitung mit einer zweiten fluidführenden Leitung sowie Kupplungsanordnung
FR3072154B1 (fr) * 2018-11-12 2020-09-04 Parker Hannifin Emea Sarl Ensemble de raccordement de conduits de transport de fluide
EP4232740A1 (en) * 2020-10-26 2023-08-30 Oetiker NY, Inc. Fluid connection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2991A (en) * 1955-12-29 1959-06-30 Deutsch Co Electrical connector
US3453005A (en) * 1968-04-08 1969-07-01 Scovill Manufacturing Co Quick-connect safety coupling
US3826523A (en) * 1972-11-22 1974-07-30 Parker Hannifin Corp Quick connect tube coupling joint
US4035005A (en) * 1976-05-24 1977-07-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Quick connect coupling with weather seal
US4601497A (en) * 1980-10-29 1986-07-22 Proprietary Technology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US4681351A (en) * 1982-03-22 1987-07-21 Proprietary Technology, Inc.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US4778203A (en) * 1982-03-22 1988-10-18 Proprietary Technology, Inc. Swivelable quick connector for high temperature connection
US4637636A (en) * 1984-11-12 1987-01-20 Guest John D Tube couplings
DE3710853A1 (de) * 1987-04-01 1988-10-2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teckverbindung fuer ein rohr oder dergleichen in einem aufnahmeteil
JPS63289392A (ja) * 1987-05-20 1988-11-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配管接続具
US4730856A (en) * 1987-05-28 1988-03-15 Usui Kokusai Sangyo Kabushika Kaisha Pipe joint for connecting a pipe having a small diameter
US4781400A (en) * 1987-07-01 1988-11-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Quick connect tube coupling
US4793637A (en) * 1987-09-14 1988-12-27 Aeroquip Corporation Tube connector with indicator and rele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906146A1 (de) 1989-09-14
KR890014945A (ko) 1989-10-25
US4946205A (en) 1990-08-07
GB2216213B (en) 1992-05-06
JP2691550B2 (ja) 1997-12-17
DE3906146C2 (ko) 1993-02-18
GB8904506D0 (en) 1989-04-12
GB2216213A (en) 1989-10-04
JPH01224593A (ja) 1989-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662B1 (ko) 세경 배관 접속용 콘넥터
KR920000663B1 (ko)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KR920000661B1 (ko) 작은 직경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JP2880453B2 (ja) 配管用継手装置のリテーナ
US7552948B2 (en) Quick connector
EP1098127B1 (en) Insertion verifier dust cap
KR0162154B1 (ko) 2개의 유체관을 연결하기 위한 압입 연결기
CN103032645B (zh) 连接器
JP3107085B2 (ja) 2つの流体導管路を結合する差込み継手
US6722703B2 (en) Quick connector with function of verifying complete connection
US7328922B2 (en) Quick connector
US5039139A (en) Tube spring steel tab lock coupling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telescoping tubes
JP4085362B2 (ja) 接続確認機能付きクイックコネクタ
CA2219290A1 (en) Quick connector with secondary latch
JPH08178143A (ja) 目視接続確認可能なクイック・コネクタ継手
JP4127487B2 (ja) 管接続用コネクタ
US11674626B2 (en) Quick connector with an indicator
JP3491798B2 (ja) コネクタ
US5358354A (en) Resilient coupling
JP3492549B2 (ja) 配管用継手装置
JPH0637259Y2 (ja)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
JPH089513Y2 (ja) クイックコネクタ
JPH05203089A (ja) クイックコネクタ
JP4094113B2 (ja) 継手装置
JP2004125148A (ja) コネクタ用接続確認具及びコネクタ接続確認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