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556B1 - 자동판매기의 경화지불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경화지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556B1
KR920000556B1 KR1019880014931A KR880014931A KR920000556B1 KR 920000556 B1 KR920000556 B1 KR 920000556B1 KR 1019880014931 A KR1019880014931 A KR 1019880014931A KR 880014931 A KR880014931 A KR 880014931A KR 920000556 B1 KR920000556 B1 KR 920000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coin
hardening
control
driv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4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8734A (ko
Inventor
사부로우 다쯔께
에니지 마쓰다
히로유끼 우찌다
히로아끼 만넹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8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경화지불 장치
제1도는 대기상태를 표시한 경화지불장치의 종단측면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지불동작 상태를 표시한 경화지불 장치의 종단 측면도.
제5도는 선택구조 부분의 횡단 평면도.
제6도 내지 제12도는 각 제어캠의 설정상태를 표시한 설명도.
제13도는 지불부재를 장착하는 앞의 지불구조 부분의 횡단평면도.
제14도는 지불부재 및 슬라이드 부재를 장착한 상태의 지불구조 부분의 횡단평면도.
제15도는 카세트식 코인튜우브를 장착한 상태의 지불구조 부분의 횡단평면도.
제16도는 경화지불 동작상태의 지불구조 부분의 횡단평면도.
제17도는 상기와 동일한 종단정면도.
제18도 내지 제20도는 경화지불 동작 설명도.
제21도는 경화 튜우브와 지불부재와의 위치관계를 표시한 종단면도.
제22도는 지불부재의 사시도.
제23도는 다른 지불부재의 사시도.
제24도는 구동구조의 정면도.
제25도 및 제26도는 경화검지 장치의 대기상태 및 전방에의 진출상태를 표시한 저면도.
제27도는 경화처리장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측면도.
제28도는 경화처리장치의 정면도.
제29도는 상기와 동일한 측면도.
제30도는 경화선별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정면도.
제31도는 카세트식 코인튜우브의 배면 사시도.
제32도는 상기와 동일한 저면도.
제33도는 제어캠과 제어간의 관계도.
제34도는 지불부재와 슬라이드 부재의 연결 부분을 표시한 단면도.
제35도 내지 제37도는 각각 상이한 표시 상태를 표시한 조작 패널의 정면도.
제38도는 조작 패널의 종단측면도.
제39도 내지 제41도는 표시판의 각각 상이한 설정위치상태를 표시한 개략도.
제42도는 조작패널부의 전기회로도.
제43도 및 제44도는 타임차아트도.
제45도는 제어블록도.
제46도 및 제47도는 플로우 차아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화처리장치 2,3,3A : 측벽
4 : 계지홈 5 : 계지부재
6 : 셔터장치 7,8 : 계지홈
8A : 스토퍼부 9 : 계지장치
10 : 경화선 별기 10A : 측벽
11 : 경화선 별부 12 : 가르는 부
13 : 받이구 14,15 : 계합편
16 : 검전레일 17 : 경화통로
18 : 게이트 19 : 비반발탄성고무
20 : 코인튜우브 20A,20B,20C,20D,20E : 경화튜우브
21,22 : 계지간 23 : 반환통로
24 : 저벽 25 : 슬릿
26 : 지불구 27 : 검지공
30 : 경회지불 장치 31 : 지불구조
32 : 선택구조 33 : 구동구조
34 : 기어구조 펀크숀스위치 34a : 출력축
35 : 구동 모우터 36 : 구동켐
36A,36B : 구동간 37 : 기어
38 : 정지캠 39 : 지불대기위치센서
40 : 경화검지장치 41 : 검지간
42 : 제어공 43 : 기어
44 : 연동기어 45 : 구동기어
46 : 구동축 47 : 워엄기어
48 : 원판 49 : 스톱기어
50 : 펄스발생장치 51 : 스토퍼부재
52 : 기어 53,54,55,56,57 : 제어캠
58 : 제어간 59 : 캠부
60 : 제어홈 60A : 경사면
61 : 선택 대기위치센서 62 : 검출편
63 : 칸막이판 63A : 안내홈
64 : 구멍 65 : 슬라이드 부재
66 : 연결부 66A : 연결공
66B : 도망홈 67 : 지불부재
67A : 장착부 68 : 스프링부재
69 : 연결간 70 : 압출부
71 : 안내편 72 : 제어부
73 : 안내편 74 : 계지편
75 : 기판 75A : 안내홈
76 : 송출구 77 : 규제편
77A : 안내면 78 : 지불간
79 : 송출슈우트 80 : 조작패널
81,81A : 표시창 82 : 표시램프
83A,83B,83C,83D,83E,83F : 펀크숀스위치
84 : 표시판 85 : 조작손잡이
86A,86B : 반사판 87 : 기판
88A,88B : 포토인터리프터 90 : 콘트롤 제어부
91 : 드라이버 92 : 인버어터
93 : CPU 94 : 지불 제어부
본 발명은, 경화처리장치에 설치되는 경화(硬貨:동전)지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경화튜우브 내의 경화를 1개의 구동 모우터에 의하여 개개로 지불할 수 있도록한 경화지불 장치로는, 예로 실개소 54-70499호 공보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를 병설한 코인(경과)튜우부의 하부에 설치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코인튜우브하단 사이에, 각 코인튜우부내의 최하위의 경화를 각각 받아들이는 구멍을 가진 패이 아우트슬라이드를 설치하고, 이 페이아우트 슬라이드를 코인튜우브의 병설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왕복이동시키는 구동 모우터와, 베이스 플레이트 후방에 배치되어 페이아우트 슬라이드가 후방에 이동한때 그 패이 아우트 슬라이드의 구멍안에 있는 경화를 각 구멍별로 받아 정지시키는 체인지 슬라이드와, 각 체인지 슬라이드를 패이아우트 슬라이드에 계지하는 계지부와, 체인지 슬라이드의 후방에 배치되며, 체인지 슬라이드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개방, 저지 제어하는 체인지 레버와, 지불하는 경화종류에 따라서 체인지 레버를 구동제어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2개의 체인지 레버에 각각 솔레노이드를 연결하고, 이 2개의 솔레노이드의 여자, 비여자의 편성에 의하여 네종류의 모우드를 설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서, 4개의 코인튜우브의 경화를 선택적으로 지불하는 것이므로, 체인지 레버를 동작하여 코인튜우브를 선택하기 위한 솔레노이드가 필요한 것이며, 또한 그 설치를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어서 지불장치가 대형으로 된다. 또, 다수의 솔레노이드를 동시에 동작하면 전압강하등을 발생하며, 구동 모우터 혹은 다른 전기 제어장치등의 나쁜 영향을 주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서,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지 않고, 경화지불용의 구동 모우터에 의하여 복수의 경화튜우브의 경화를 선택적으로 지불하는 경화 지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경화를 수납하는 복수의 경화 튜우브를 병설하여 이루는 경화지불 장치에 있어서, 정전 역전이 가능한 구동 모우터와, 이 구동 모우터에 의하여 왕복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와, 전기의 경화 튜우브 마다에 대응하여 각각 슬라이드 부재에 연결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연결시의 슬라이드 부재의 왕복이동에 의하여 대응하는 경화튜우브내의 경화를 지불하는 지불부재와, 전기의 구동 모우터에 의하여 구동하여 경화를 지불할 경화튜우브에 대응한 전기의 지불부재를 슬라이드 부재에 연결시키는 선택구조를 구비하고, 전기의 구동 모우터의 일방향에의 회전에 의하여 선택구조를 구동하고, 반대방향에의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드 부재를 구동하는 것이다.
구동 모우터의 일방향에의 회전에 의하여, 선택구조를 구동하고, 경화를 지불하는 경화튜우브에 대응한 지불부재를 슬라이드 부재에 연결한다. 그리고 구동 모우터의 반대방향에의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드 부재를 왕복이동하면, 슬라이드 부재에 연결된 지불부재가 왕복이동하여, 대응하는 경화튜우브의 경화를 지불한다.
제28도, 제29도에 있어서 (1)은 자동판매기 등에 장착되는 경화처리장치이고, 받이구 (13)으로부터 투입된 경화의 진위가 돈종류를 판별하는 경화선별부(11)와, 이 경화선별부(11)에서 선별된 정화를 돈종류별로 가르는 가르는 가르는 부(12)로 되는 경화선별기(10)을 상부의 전면에 착탈이 자재롭게 설치하고, 하부에는 가르는 부(12)로 가려진 경화를 거스름돈용의 경화로서 돈종류마다에 수납하는 복수의 경화튜우브(20A)(20B)(20C)와, 수동으로 경화를 보급하는 수동식의 복수의 경화 튜우브(20D)(20E)를 횡일열로 병설한 카세트식 코인튜우브(20)을 착탈이 자재롭게 장착하고, 또한 이 카세트식 코인튜우브(20)하부에는 각 경화튜우브(20A)(20B)(20C)(20D)(20E)내의 경화를 지불하는 경화지불장치(30)을 설치하여 있다.
또, 경화선별기(10)과 카세트식 코인튜우브(20)의 사이에는, 복수의 펀크숀스위치 ((83A)(83B)(83C)(83D)(83E)(83F)를 배설한 조작패널(80)이 설치되어 있다.
경화선별기(10)은 제28도 내지 제30도에 표시함과 같이 한편의 측면의 상부에 계합편(14)를 돌설하고, 또 양측면의 하부에는 각각 계합편(15)를 돌설하여, 경화처리장치(1)의 측벽(2)(3)에 각각 개구한 계지홈(4)에 양측면의 하부의 계합편(15)를 전방에서 삽입하여 계합하고, 또한 상부의 계합편(14)을 측벽(2)의 상부에 설치한 계지부재(5)에 계합하여 분리가 자재롭게 장착되어 있다. 또, 경화선별기(10)의 경화선별부(11)은, 받이구(13)으로부터 투입된 경화를, 검전레일(16)위에 형성되는 경화통로(17)내를 전동시키고, 이 전동주에 공지인 전자 검전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진위판별 및 돈종류판별을 행하도록되어 있으며, 전자검전장치에 의한 판정결과에 의하여 게이트(18)을 동작하여 정화와 위조화폐로 가르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경화통로(17)의 종단부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대향 위치하는 측벽(10A)에는, 충격흡수성의 극히 높은 비반발탄성고무(19)를 장착하고, 검전레일(16)위를 전동하여서 온 경화(C)를 그 비반발탄성고무(19)에 충돌시켜서 그 충격을 흡수하고, 경화(C)가 반발되는 일이없이 하부의 게이트(18)에 낙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비반발탄성고무(19)(예로 하네나이드[상표]는 진동의 감쇠가 극단적으로 빨라, 종래의 고무배합물에 비교하며, 충격 흡수성이 극히 높은 동시에 반발탄성율이 3%로 극히 낮은 것이다.
한편, 경화선별기(10)의 가르는 부(12)에는, 게이트(18) 및 도시하지 않은 게이트에 의하여, 경화선별부(11)의 검전장치의 판정결과에 의하여 경화통로(17)로부터의 경화를 돈종류별로 가르고, 하부의 오우버 플로우용의 셔터장치(6)을 통하여 카세트식 코인튜부(20)의 각 경화 튜우브(20A)(20B)(20C)에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카세트식 코인튜우브(20)은 제31도 및 제3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50원 경화용의 경화튜우브(20A)와, 10원 경화봉의 경화튜우브(20B), 100원 경화용의 경화튜우브(20C), 100원, 50원, 10원 경화의 어느 것이나 수입이 가능한 수동보급식의 경화 튜우브(20D)(20E)를 횡일열로 병설하고 있고, 양측면의 하부와 그 상부에 각각 계지간 (21)(22)를 돌설하며, 제28도 및 제2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 계지간(21)을 측벽(2)(3A)의 하부전단에 각각 개구하는 계지홈(7)에 삽입계합하는 동시에, 계지간(22)를 측벽(2)(3A)에 각각 개구하는 계지홈(8)에 삽입계합시키고, 또한 상부를 계지장치(9)에 계합하여 분리가 자재롭게 장착되어 있다. 또, 카세트식 코인튜우브(20)은 제31도와 제3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경화튜우브(20A)의 전면에 전기의 경화선별기(10)에서 반환송출된 경화를 하단에 안내하여 송출하는 반환통로(23)을 설치하여 있는 동시에, 각 경화튜우브(20A)(20B)(20C)(20D)(20E)는, 경화를 두께방향에 포게어 쌓서 수납할 수 있도록 저벽(24)를 각각 설치하여 있다.
이 저벽(24)는 중앙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릿(25)를 개구하고, 후술하는 지불부재(67)의 압출부(70)이 저벽(24)위에 돌출하여 전후이동이 자재롭게 되는 동시에, 저벽(24)위에 쌓올려 수납된 최하위의 경화가, 압출부(70)의 의하여 압출되는 지불구(26)을 개구하여 있다. 그리고, 카세트식 코인튜우브(20)은, 계지간(22)가 계지홈(8)의 스토퍼부(8A)에 계지되는 위치까지, 계지간(21)을 지점으로 하여 카세트식 코인튜우브(20)을 전방에 회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단이 전면에 개방되어서 수동에 의한 경화의 보급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각 경화튜우브(20A)(20B)(20C)에 전기의 경화선별기(10)에서 자동보급되는 경화가 소정의 매수까지 도달하면, 전기의 셔터장치(6)등이 동작하여 경화선별기(10)에서의 경화를 도시하지 않은 송출통로를 통하여 금고에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경화지불장치(30)는, 카세트식 코인튜우브(20)내에 수납된 경화를 지불구조(31)과, 이 지불구조(31)에 의하여 경화를 지불하는 경화튜우브(20A)(20B)(20C)(20D)(20E)의 선택을 행하는 선택구조(32), 및 지불구조(31)과 선택구조(32)를 각각 구동구조(33)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동구조(33)은 제1도, 제24도, 제2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어구조(34)에 연결한 정전 및 역전이 가능한 구동모우터(35)를 상부에 설치하고, 기어구조(34)의 하부양측에는 지불구조(31)을 구동하기위한 구동캠(36)을 각각 설치하는 동시에, 구동캠(36)(36)사이에는 출력축(34A)를 설치하고, 이출력축(34A)의 하단에 선택구조(32)를 구동하는 기어(37)을 설치하여 있다. 그리고 구동 모우터(35)가 선택신호의 송달에 의하여 일방향(편의상, 이하 정전으로 기재한다)에 회전하면, 기어구조(34)는 기어(37)을 회전하고, 또 구동 모우터(35)가 지불신호의 송달에 의하여 반대방향(편의상, 이하 정전으로 기재한다)에 회전하면, 기어구조(34)는 구동캠(36)을 1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구동 모우터(35)는 선택신호가 송달되면 정전하여 기어(37)을 회전하고, 또 지불신호가 송달되면 역전하여 구동캠(36)을 회전하는 동시에, 이 구동캠(36)과 동일한 축상에 설치한 정지캠(38)을 회전하여 이 정지캠(38)이 1회전하면 지불대기위치센서(39)가 동작하여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구동캠(36) 및 정지캠(38)은 기어구조(34)에 의하여, 구동 모우터(35)가 역전할 때만 소정의 방향에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또 기어(37)은 구동 모우터(35)가 정전할 때 소정의 방향에 회전하고, 구동 모우터(35)의 역전시에는 반대방향에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기어구조(34)의 하부와 구동캠(36)(36)의 사이에는, 구동 모우터(35)의 역전에 의하여 전후방향에 진퇴이동하여-전기의 경화튜우브(20A)(20B)(20C)(20D)(20E)내의 경화의 유무를 검지하는 경화검지장치(40)을 설치하여 있다.
이 경화검지장치(40)은, 경화튜우브(20A)(20B)(20C)(20D)(20E)의 하부이면에 각각 개구한 검지공(27)에 대향하여 가동이 자재로운 검지간(41)을 전면에 돌출되게 설치하고, 또한 하면에 대략 반원형상으로 개구한 제어공(42)를 설치하여, 이 제어공(42)에 전기의 구동캠(36)의 상면에 돌설한 구동간(36A)를 삽입하고, 구동캠(36)이 1회전하면 전후 방향에 평행으로 진퇴이동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즉, 경화검지장치(40)은 경화의 지불대기시에는 제1도 및 제2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구동간(36A)에 의하여 후방에 위치하여 검지간(41)을 카세트식 코인튜우브(20)의 후방에 위치시키고, 또 구동캠(36)이 회전하면 구동간(36A)가 제어공(42)내의 외주면에 접하여 회전하고, 제4도 및 제2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구동간(36A)가 반환점에 가깝게되면 경화검지장치(40)은 급격하게 전방에 진출이동하여 검지간(41)을 검지공(27)내에 삽입하고, 각 경화튜우브(20A)(20B)(20C)(20D)(20E)내의 경화의 유무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즉, 경화검지장치(40)은, 구동캠(36)의 회전에 의하여 전기의 지불구조(31)이 경화를 지불이 끝나는 위치까지 도달하면, 구동캠(36)의 구동간(36A)에 의하여 전방에 급격하게 진출이동되고, 경화지불후의 경화의 유무를 검출하는 동시에 후퇴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선택구조(32)는 제5도 및 제2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기의 구동구조(33)의 기어(37)에 계합하는 기어(43)과 이 기어(43)에 병설고정된 연동기어(44)를 뒷부에 설치하고, 또한 연동기어(44)에 계합하여 회동되는 구동기어(45)를 측벽(2)(3A)사이에 회동이 자재롭게 가설한 구동축(46)에 장착하여 있다.
이 구동기어(45)는 일방향회전 클러치(45A)를 배설하고, 이 일방향회전 클러치(45A)를 끼워서 구동축(46)에 장착하여 있다.
그리고 전기의 구동 모우터(35)가 정전한때만, 기어(37)(43)(44)에서 받는 구동 모우터(35)의 회전을 구동측(46)에 전달하여 그 구동축(46)을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즉, 구동기어(45)는 구동 모우터(35)의 정전시에 구동축(46)을 회동하고, 구동 모우터(35)가 역전하면 공회전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구동축(46)에는 전기의 경화튜우브(20A)(20B)(20C)(20D)(20E)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워엄기어(47)과, 펄스발생용의 복수의 슬릿을 개구한 원판(48)과, 역전방지용의 스톱기어(49)를 설치하고, 구동축(46)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원판(48)에는, 이원판(48)의 스릿을 검지하여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장치(50)을 대향하여 설치하고, 원판(48)이 회전하면 펄스발생장치(50)에서 펄스가 발생되도록 하여 있다.
또, 스톱기어(49)에 계합하는 스토퍼부재(51)을 스톱기어(49) 물림되어 역전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각 워엄기어(47)의 앞부에는 워엄기어(47)에 계합하는 기어(52)를 상부에 설치한 제어캠(53)(54)(55)(56)(57)을 회전이 자재롭게 배설하고, 워엄기어(47)의 회전에 의하여 제5도에 있어서 반대 시계방향에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어캠 (53)(54)(55)(56)(57)의 압부에 대응하여 제어간(58)을 상하 움직임이 자재롭게 설치하고, 제어캠 (53)(54)(55)(56)(57)의 회전에 의하여 제어간(58)을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각 제어캠 (53)(54)(55)(56)(57) 은 제3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캠부(59)의 상면에 제어간(58)의 하단이 빠져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제어홈(60)을 1개 혹은 2개 설치하고, 제어캠 (53)(54)(55)(56)(57)이 회전하여 제어홈(60)이 제어간(58)의 하단 위치에 회전하면, 제어간(58)의 하단이 제어홈(60)내에 빠져 들어가서 아래로 움직여 위치하고, 또한 회전하면 제어홈(60)에 연속하여 경사지는 경사면(60A)에 따라서 제어간(58)을 밀어올려, 캠부(59)의 상면에 위로 움직여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어캠(53)은 경화 튜우브(20A)에 대응하고 제어캠(54)는 경화튜우브(20B)에, 제어캠(55)는 경화튜우브(20C), 제어캠(56)은 경화튜우브(20D), 그리고 제어캠(57)은 경화 튜우브(20E)에 각각 대응하여 있는 동시에, 제어캠(57)의 캠부(59) 외부 둘레에는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선택 대기 위치 센서(61)을 동작하는 검출편(62)를 설치하고, 선택 대기 위치 센서(61)이 검출편(62)를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각 제어캠(53)(54)(55)(56)(57)이 대기 위치에 위치한 상태인 것을 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대기 상태시에는, 제6도에 표시함과 같이 각 제어캠(53)(54)(55)(56)(57)이 배치되도록 이루고, 전체의 제어간(58)이 캠부(59)위에 위로 움직이는 위치하도록 하고 있는 동시에, 구동 모우터(35)가 정전하는 것에 의하여 제7도에서 제1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6단계) 상태로 변경설정되어 있다.
제어간(58)은 제어캠(53)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여지고, 캠부(59)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는 위로 움직이는 위치에서는, 후술한 지불부재(67)에 의한 경화의 지불 동작을 저지하고, 또 제어홈(60)내에 빠져 들어가 지지되어서 있는 아래로 움직이는 위치에서는, 지불부재(67)에 의한 경화의 지불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7도에서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은(6단계) 상태에 의한 경화를 지불하는 경화 튜우브(20A)(20B)(20C)(20D)(20E)이 선택이 행하여진다.
한편, 지불구조(31)은 전기의 선택구조(32)의 상부에 설치하여 있고, 제1도 및 제1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선택구조(32)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한 칸막이판(63)에는, 전기의 제어간(58)의 상단을 돌출하는 구멍(64)를 각각 설치하는 동시에, 이 구멍(64)에 대응하여 슬라이드부재(65)의 연결부(66)이 전후에 이동이 자재로운 안내홈(63A)을 설하여 있다.
슬라이드부재(65)는 상면의 양측부에 전기의 구동캠(36)의 하면에 돌설한 구동간(36B)를 삽입 계합하는 구동홈(65A)를 각각 설치하고, 또한 하부에는 전기의 안내홈(63A)내에 위치하여 전면을 개구하는 대략 상자형상의 연결부(66)을 설치하여서, 전기의 구동 모우터(35)의 역전에 의한 구동캠(36)의 1회전 동작에 의하여, 전후 방향에 왕복이동 하도록 되어 있다.
또, 연결부(66)의 저면 중앙부에는, 제3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후술하는 지불부재(67)의 연결관(69)를 계탈이 자재로운 연결공(66A)를 설치하는 동시에, 전기의 제어간(58)이 연결부(66)내에 돌출할 수 있고 또한 연결부(66)이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어간(58)의 도망홈(66B)를 설치하여 있다.
지불부재(67)은 제22도 및 제34도에 표시함과 같이, 뒷부의 하면에서 스프링부재(68)에 의하여 하부에 돌출가세되는 연결간(69)를 출몰이 자재롭게 내설하고, 전단에는 지불시에 경화튜우브(20A)(20B)(20C)(20D)(20E)내의 저벽(24)위에 돌출하여 최하위의 경화를 지불하는 압출부(70)을 설치하며, 또한 압출부(70)의 하부측에는 양측편에 돌출하여 전후의 연재하는 안내편(71)을 설치하고, 또한 중간부의 상부에는 지불경화를 측편에 경사지도록 경사진 제어부(72)를 설치하여 있는 동시에, 후단상부에는 후방에 돌출한 안내편(73)을 설치하였다. 또, 연결간(69)는 계지편(74)에 의하여 장착부(67A)로 부터의 탈락이 저지되고, 하면에서 출몰이 자재로 되어 있으며, 연결간(69)를 장착부(67A)내에 장착할 경우는, 스프링부재(68)을 장착부(67A)내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장착할 수 있고, 장착후는 계지편(74)에 의하여 탈락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지불부재(67)은,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앞부의 대기위치에 위치한 슬라이드 부재(65)의 연결부(66)내에 뒷부를 삽입하여, 돌출하는 제어간(58)의 상단에 연결관(69)를 대향위치시키는 동시에, 제1도 및 제1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앞부의 안내편(71)을 기판(75)에 설치한 안내홈(75A)에 전후 이동이 자재롭게 세입지지된다. 따라서 지불부재(67)은, 제어간(58)이 위로 움직이는 위치에 있으면 그 제어간(58)에 의하여 연결간(69)이 밀어 올려지고 슬라이드부재(65)와의 연결을 해제하며, 또, 제어간(58)이 아래로 움직이는 위치에 있으면, 연결간(69)는 슬라이드 부재(65)의 연결부(66)의 연결공(66A)내에 돌출하여 계합하고, 슬라이드 부재(65)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지불 부재(67)은, 슬라이드 부재(65)와 연결되면,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슬라이드 부재(65)의 전후 이동과 동시에 전후 이동되고 또, 슬라이드 부재(65)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대기 상태에 위치하고, 슬라이드 부재(65)만이 전후이동하도록 되어있다.
한편, 기판(75)의 각 안내홈(75A)는 제15도 및 제21도에 표시함과 같이, 기판(75)위에 장착된 카세트식 코인 튜우브(20) 저벽(24)의 슬릿(25)와 대응 위치하도록 이루고, 지불부재(67)이 이동하면 압출부(70)이 저벽(24)위에 수납된 최하위의 경화(C)를 후방에 압출하고, 지불구(26)에서 하부의 송출구(76)에 지불한다. 또, 지불구(26)에 대향하는 전기의 칸막이판(63)의 전면에, 좌우측 방향에 경사진 안내면(77A)를 가지는 규제편(77)을 돌출시켜 설치하고, 제16도 및 제18도에 표시함과 같이 압출부(70)에 의하여 압출되는 경화(C)의 후단에 접하고, 그 경화(C)를 지불부재(67)의 측편에 안내하며, 서로 이웃이 되는 지불부재(67)와의 사이에서 하부의 송출구(76)에 낙하하도록 되어 있다. 또, 더욱, 압출부(70)에 의하여 압출되는 경화(C)는, 제16도, 제17도 및 제1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제어부(72)의 경사에 의하여 아래 방향에 경사져서, 지불부재(67)위에서의 낙하가 촉진된다.
제16도, 제17도 및 제20도, 제2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경화튜우브(20E)에 대응하여 설치한 지불부재(67)은, 다른 지불부재(67)과 동일한 구조외에 좌측부하부에 경사지게 연출하는 지불간(78)을 설치하고 있다.
이 지불간(78)은 경화튜우브(20E)에서 지불된 경화(C)를, 송출구(76)에 송출하도록 경사지는 송출슈우트(79)위에 따라서 연재시키고, 경화의 지불시에 경화튜우브(22E)에서 지불되는 경화(C)가, 송출 슈우트(79)상면에 붙는 일이 없이 송출구(76)에 송출되도록 되어 있다.
조작패널(80)은 제35도 내지 제4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부에 복수의 표시창(81)을 개구병설하고, 또한 소정의 표시창(81)에 대응해서 LED로부터 이루는 표시램프(82)와 펀크숀 스위치(83A)(83B)(83C)(83D)(83E)(83F)를 각각 배설하고 있다. 그리고 표시창(81)의 이측에는 각 표시창(81)에 대응하여 전면에 표시를 한 표시판(84)를 슬라이드가 자재롭게 설치하고 이 표시판(84)의 일단에 설치한 조작 손잡이(85)를 좌우로 이동조작하여 표시판(84)를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하여 3종류의 상이한 표시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이 표시판(84)의 이면에 복수의 반사판(86A)(86B)를 설치하고, 또한 이 반사판(86A)(86B)에 대향하는 기판(87)측에 반사형 포토인터러프터(88A)(88B)를 설치하고 3종류의 표시에 대응한 3종류의 모우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제3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표시창(81A)에「회수」의 표시를 위치시키면, 각 표시창(81)은 좌측에서 「10원」「50원」「100원」「개시」「종료」「P」의 표시가 되는 동시에 포토인터러프터(88A)(88B)는 제39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어느것이나 반사판(86A)(85B)에 대향하지 않고, OFF·OFF 상태로 된다. 또, 제3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표시창(81A)에 「설정」의 표시를 위치시키면, 각 표시창(81)에는 「판매」「가격」「매상」등의 표시가 이루어지고, 포토인터러프트(88A)(88B)는 제4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양포토인터러프트(88A)(88B)가 반사판(88A)(88B)에 대향하여 양포토인터러프터(88A)(88B)는 ON·ON 상태로 된다. 또한 제3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표시창(81A)에 「타이머」의 표시를 위치시키면, 각 표시창(81)에 개시 종료 등의 표시가 되고, 또한 한편의 포토인터러프터(88A)는 제41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OFF상태로 되고 또 다른측의 포토인터프터(88B)는 ON상태로 되는 것이다.
제42도는 전기의 조작 패널(80)부의 일부를 생략한 회로도를 표시한 것이고,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 이루는 콘트롤 제어부(90)의 각출력 포오트 P12-P16에서는 제43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a-b의 펄스가 사이클적으로 출력된다.
SW1,SW2,Sw3,Sw4는 각각 펀크숀 스위치(83A)(83B)(83C)(83D)이며, 압압조작하고 있을 때만 ON하는 것이다. P1,P2는 포토인터러프터(83A)(83B), 또 LED1,LED2,LED3,LED4는 각각 표시 램프(82)이다.
제43도의 타임차아트는, 표시창(81A)에 「회수」의 표시를 위치시킨 로우드시에 Sw3를 폐성(閉成)한 상태인 것이다. SW1-SW4의 어느 것이나 OFF이면 P30과 P31은 「H」레벨로 된다. 이것에 의하여 「회수」의 모우드 상태이면 콘트롤 제어부(90)으로 판단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SW3를 ON하면 P14의 신호 「C」가 드라이버(91)을 통하여 플러스신호로 되고 이것이 SW3을 통하여 인버어터(92)로 마이너스 신호로 되어서 P30에 입력된다.
이 때문에 P30에는 「g」의 신호가 발생한다. 여기서 SW1-SW4의 어느것이나 ON되는 최단시간은 T1보다도 충분히 길게 되도록 T1(T1=T2=T3……)를 설정하고 있으므로, SW3의 ON 상태에 확실하게 캐치할 수 있다.
다음에 SW1이 ON되면, P12의 신호「a」에 대응하여 P30에「h」의 신호가 발생한다. 동일하게 SW4가 ON인 때에는 P31에 「i」의 신호가 발생한다.
이들의 경우, SW1-SW4의 어느 것이 ON인가의 판단은 P12-16의 신호시에 동기하여 P30과 P31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으로 행하여진다.
LED1-LED4는 SW1-SW4에 대응하여 있고, SW1이 ON인 것을 LED1이 발광하여 표시하는 관계에 있다. 현재 SW3이 ON이면, T1의 타이밍으로 P30으로「g」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SW3이 ON인 것을 검지한다. 이것에 의하여 T2 타이밍으로 P14의「C」신호에 동기하여 P17에「fc」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LED3은「fc」신호로 발광한다.「fc」신호 1개로는 발광시간이 짧으므로, 타이밍 T3 또는 더욱 T4로 발광하도록 지연 동작 또는 각 타이밍 T1,T2,T3……을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SW1-SW4의 어느 것이나 최단의 ON조작이 되어도 확실하게 검지 동작을 할 수 있도록 T1……T3……의 기간을 짧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한번 ON시키면 LED는「fc」신호가 수개 입력하고, 또는 1개의「fc」신호에서 지연 시간내에 또한「fc」신호를 발생시켜서 잔상작용으로 어느시간 연속 점등하고 있는 것같이 보인다.
동일하게하여 SW1이 ON이 된 때에는,「fc」신호가 발생하여 LED1이 신호 「a」에 동기하여 발광한다.
제44도의 타임차아트는 표시창(81A)에 「설정」의 표시를 위치시킨 모우드 상태, 즉, P1와 P2가 ON상태로 세트된 때인 것이다. SW1-SW4가 OFF하면 P30과 P31의 포오트는 P15와 P16의 포오트의「d」와「e」신호로 P1과 P2가 발광에 수반하는 광받이를 하고 그것에 의하여 P30과 P31에는「d」신호의 기간「L」레벨로 된「g」와「h」가 입력한다. 이 모우드의 상태는「d」신호 기간중에 P30과 P31의 상황을 알아차리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SW3을 ON하면 P14의「C」신호가 드라이버(91)로「H」신호로 되어서 SW3을 통하여 인버어터(92)에 입력하고, 거기서 반전하여「L」신호「g1」로 되어서 P30에 입력한다. 이 때문에, P30은 t1 기간「L」레벨로 된다. 따라서「C」신호시에 P30과 P31의 상태를 알아차리는 것으로 SW3이 ON인 것을 판단한다. 동일하게 SW1-SW4의 ON상태는,「a」-「d」의 신호시에 P30과 P31의 상태로 알아차리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같이 P12-P16에는 a-e의 「L」신호가 주기적으로 필요시간(판정하는 기간)출력하고, P17에는 「fc」의 「H」신호가 필요시간 출력된다.
이 때 SW1-SW4의 동작상태와 어떤 설정 모우드에 있는가가 판단된다. 따라서, 각 모우드 마다에 동일한 SW1-SW4를 별도의 지능지령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창(81A)에 회수의 표시를 위치시켜서 펀크숀 스위치(83A)를 압압조작하면, 콘트롤 제어부(90)에서 제45도에 표시한 CPU(93)에 10원 경화의 지불지령이 송출되고, 또 펀크숀 스위치(83C)를 조작하면 100원 경화의 지불지령이 송출된다. 그리고 종료는 , 더 한번 펀크숀 스위치(83A)(83C)를 압압조작한때, 콘트롤 제어부(90)이 2회 눌러진 것을 판단하여 종료지령을 CPU(93)에 송출한다.
한편, 표시창(81A)에 「설정」의 표시를 위치시켜서 펀크숀 스위치(83B)를 조작하면, 가격설정 상태에 세트되는 것으로, 이 모우드로는 각종의 설정 및 체크등을 할 수 있다.
제45도는 제어블록도면을 표시한 것으로(93)는 CPU(중앙 처리장치), (94)는 지불제어부이며, CPU(93)에서의 선택 신호에 의하여 구동 모우터(35)를 정전하고, 지불신호에 의하여 구동모우터(35)를 역전하는 동시에, 펄스발생장치(50), 지불대기 위치센서(39) 및 선택 대기 위치 센서(61)에서의 신호에 의하여 구동 모우터(35)를 정지하는 것이다. (90)는 전기한 콘트롤 제어부이다.
다음에 상기의 구성에 의한 경화의 지불 동작을 설명한다.
대기 상태로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슬라이드부재(65)는 앞부에 위치하고, 지불부재(67)의 압출부(70)은 각 경화 튜우브(20A)-(20E)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 각 제어캠(53)-(57)은 제6도에 표시한 상태에 있고, 각 제어간(58)은 위로 움직이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각 지불부재(67)의 연결간(69)는 상부에 압압된 상태에 있고, 슬라이드 부재(65)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있다.
한편, 지불제어부(94)는 제4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선택대기 위치 센서(61)에 제어캠(57)의 검출편(62)를 검출하고 있지 않는 경우는 검출할 때까지 구동 모우터(35)를 정전한다(S1,S2,S3). 또, 지불대기위치센서(39)가 정지캠(38)을 검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검출할 때까지 구동 모우터(35)를 역전한다(S5,S6,S6). 그리고 펄스 카운트(S7)로 리세트된다. 이 상태가 대기 상태인 것이다.
여기서 10원과 100원의 동시 지불을 설명하면, 선택 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구동 모우터(35)가 정전된다( S8,S9).
이 구동 모우터(35)의 정전에 의하여 각 제어캠(53)-(57)이 제6도에 있어서 반대 시계 방향에 회전하는 동시에, 원판(48)이 회전하여 펄스 발생 장치(50)내에서 펄스가 입력된다.
그리고 이 펄스수가, 10원 100원 동시 지불 모우드로서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펄스수에 도달하면 구동 모우터(35)를 정지한다(S10,S11,S12). 이 이때의 각 제어캠(53)-(57)의 상태를 제7도에 표시한다.
즉, 10원 경화를 수납하는 경화 튜우브(20B)에 대응하는 제어캠(54)와 100원 경화를 수납하는 경화 튜우브(20C)에 대응하는 제어캠(55)의 제어홈(60)이 제어간(58)에 대응하고, 이 제어간(58)을 제어홈(60)내에 빠져 들어가서 아래로 움직이는 위치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경화튜우브(20B)에 대응한 지불부재(67)과 경화튜우브(20C)에 대응한 지불부재(67)의 연결간(69)는, 각각 슬라이드부재(65)의 연결공(66A)에 돌출 계합하여 슬라이드부재(65)에 연결된다.
즉, 10원 경화와 100원 경화 지불용의 지불부재(67)만이 슬라이드부재(65)에 연결된다. 이 연결 상태를 제3도에 표시한다.
그리고 소정의 펄스수가 카운트되어 구동 모우터(35)가 정지되면, 지불신호를 입력하여 구동 모우터(35)를 역전한다. 이 구동 모우터(35)의 역전에 의하여, 구동캠(36)이 1회전하여 슬라이드부재(65)가 후방에 왕동(往動)하고 또한, 전방에 복동(復動) 복귀한다. 이 슬라이드부재(65)의 후방에의 왕동(往動)에 의하여, 슬라이드부재(65)에 연결되어 있는 10원 및 100원 경화용의 지불부재(67)은,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후방에 이동된다.
따라서, 경화튜우브(20B)(20C)내의 최하위의 10원 경화 및 100원 경화는 각각의 지불부재(67)의 압출부(70)에 의하여 후방에 압압되며, 지불구(26)에서 지불된다. 한편, 다른 경화튜우브(20A)(20D)(20E)에 대응한 지불부재(67)은, 슬라이드부재(65)와 연결상태에 없으므로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대기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65)가 전방에 복동(復動)하여 복귀하는 것으로, 연결된 지불부재(67)도 복귀하고, 구동캠(36)이 1회전을 종료하여 정지캠(38)이 지불대기위치센서(39)를 동작한다(S13,S14,S15,S16). 그리고 이때 10원 경화와 100원 경화의 지불을 계속하도록 지불 신호가 입력되어 있으면, 즉, 동일한 모우드로의 연속 지불인 경우는, 구동 모우터(37)을 연속하여 역전하고, 상기의 지불동작을 반복행하며(S17), 지불신호가 정지되면 지불 대기 위치 센서(39)가 정지캠(38)을 검출한 대기 위치로 구동 모우터(37)을 정지한다(S18).
그리고 이때 10원 경화를 지불하기 위한 선택 신호가 입력 되면, 재차 구동 모우터 (35)를 정전하여 각 제어캠(53)-(57)을 회전하고, 펄스 발생 장치(50)으로부터의 펄스수가, 10원 경화 지불 모우드로서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펄스수에 도달하면, 구동 모우터(35)를 정지한다(S9,S10,S11,S12).
이것에 의하여 각 제어캠복동(53)-(57)로 제8도에 표시한에 상태, 즉 제어캠(54)의 제어홈(60)만이 제어간(58)에 대응위치하고, 제어간(58)을 아래로 움직여 위치한다. 따라서, 다음에 구동 모우터(37)의 역전에 의한 전기의 지불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10원 경화의 지불을 할 수 있다.
한편, (S19)로 선택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는, 선택 대기 위치 센서(61)이 제어캠(57)의 검출편(62)를 검출하고 있는가 체크하고, 검출하고 있지 않은 때에는 검출할 때까지 구동 모우터(35)를 정전하여, 각 제어캠(53)-(57)을 제6도에 표시한 대기 상태 위치에 복귀시킨다(S1,S2,S3).
따라서, 100원 경화를 지불할 경우는 각 제어캠(53)-(57)을 제9도에 표시한 상태로 설정하고, 또 50원 경화의 지불은 제10도, 경화 튜우브(20D)내의 경화의 지불은 제11도, 및 경화 튜우브(20E)내의 경화의 지불은 제12도에 표시한 상태로 설정하는 것으로 지불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것임으로, 각 경화튜우브의 경화 지불의 선택을,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는 일이 없이 경화 지불용의 구동 모우터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솔레노이드의 동시 동작에 의한 전압강하등을 발생하는 일도 없고, 또한 솔레노이드를 방식에 비교하여 여러 종류의 선택 모우드를 설정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올릴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경화(동전)을 수납하는 복수의 경화튜우브(20A,20B,20C,20D)를 병설하여 이루는 경화 지불 장치에 있어서, 정전역전이 가능한 구동 모우터(35)와 이 구동 모우터(35)에 의하여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65)와 전기의 경화 튜우브(20A,20B,20C,20D) 마다에 대응하여 각각 슬라이드 부재(65)에 연결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연결시의 슬라이드부재(65)의 왕복 이동에 의하여 대응하는 경화 튜우브(20A,20B,20C,20D)내의 경화(동전)를 지불하는 지불부재(67)와 전기의 구동 모우터(35)에 의하여 구동하여 경화(동전)를 지불할 경화 튜우브에 대응한 전기의 지불부재(67)를 슬라이드부재(65)에 연결시키는 선택구조를 구비하고, 전기의 구동 모우터의 일방향에의 회전에 의하여 선택 구조(32)를 구동하고, 반대 방향에의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드부재(65)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경화 지불 장치.
KR1019880014931A 1987-11-12 1988-11-12 자동판매기의 경화지불 장치 KR920000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86215 1987-11-12
JP62-286215 1987-11-12
JP62286215A JP2517327B2 (ja) 1987-11-12 1987-11-12 硬貨払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734A KR890008734A (ko) 1989-07-12
KR920000556B1 true KR920000556B1 (ko) 1992-01-16

Family

ID=17701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4931A KR920000556B1 (ko) 1987-11-12 1988-11-12 자동판매기의 경화지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17327B2 (ko)
KR (1) KR9200005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4808B2 (ja) * 2005-12-27 2012-03-2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制御装置及びセンサユニット
JP6357816B2 (ja) * 2014-03-14 2018-07-18 オムロン株式会社 メダル選別装置および遊技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128189A (ja) 1989-05-19
JP2517327B2 (ja) 1996-07-24
KR890008734A (ko) 1989-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9667B1 (en) Coin receiving and disbursing apparatus
JP5052975B2 (ja) 遊技機
KR950014506B1 (ko) 주화처리장치
AU681111B2 (en) Coin dispensing apparatus
JP3072608B2 (ja) パチンコ機
JP4264859B2 (ja) パチンコ機
KR920000556B1 (ko) 자동판매기의 경화지불 장치
JPH04218185A (ja) 回転体を有する遊技装置
CA2609919C (en) System and method for payout of coins from multiple coin storage units
JPH0144345B2 (ko)
JP5128694B2 (ja) 遊技機
JP5009570B2 (ja) 遊技機
JP3108286B2 (ja) コイン払出装置
JP5236048B2 (ja) 遊技機
JP2834777B2 (ja) 弾球遊技機
JP2714669B2 (ja) 弾球遊技機の機構板
JPH08206296A (ja) 弾球遊技機
JP2517328B2 (ja) 硬貨払出装置
KR100310348B1 (ko) 동전 일시 저장 장치
JPH0730052Y2 (ja) パチンコ機の電動式入賞装置
JP2002066056A (ja) 遊技機
KR950013337B1 (ko) 자동판매기의 경화 반송장치
JPH0453821Y2 (ko)
JP2568061B2 (ja) 遊技機の遊技盤
JP2001104592A (ja) 弾球遊技機の賞球払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