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091Y1 - 모터 액튜에이터 - Google Patents

모터 액튜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091Y1
KR920000091Y1 KR2019890001419U KR890001419U KR920000091Y1 KR 920000091 Y1 KR920000091 Y1 KR 920000091Y1 KR 2019890001419 U KR2019890001419 U KR 2019890001419U KR 890001419 U KR890001419 U KR 890001419U KR 920000091 Y1 KR920000091 Y1 KR 9200000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otor
force
output shaft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1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8271U (ko
Inventor
마모루 야마오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세이사꾸쇼
야마다 로꾸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세이사꾸쇼, 야마다 로꾸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900182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82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0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0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5/00Gearings or mechanisms with other special functional featu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터 액튜에이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터액튜에이터의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단면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일부단면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중의 각 점 OABCDE를 연결한 선에 따른 단면 전개도.
제4도는 상기 실시예중 일방향 규제기구부를 다른 동작상태마다 도시한 평면도.
제5도는 상기 실시예의 다른 동작상태를 제3도에 준하여 도시한 단면 전개도.
제6도는 상기 실시예중 마찰제동체의 평면도.
제7도는 마찰제동체의 다른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8도는 상기 마찰제동체를 이용한 제동수단의 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9도는 피구동기구의 예를 도시한 일부단면의 평면도.
제10도는 상기 실시예중 풀리를 도시한 평면도.
제11도는 상기 풀리의 정면 단면도.
제12도는 상기 실시 예에서의 부하와 인 장력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5 : 코일권선 31 : 로터
44 : 출력축 63 : 피구동기구
64 : 제동수단
본 고안은 세탁기의 배수밸브나 환기팬의 셔터 혹은 냉장고용 댐퍼등의 개폐기구등의 구동원으로 적합한 모터 액튜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예를들면, 세탁기의 배수밸브의 개폐용 구동원으로 모터 액튜에이터를 사용한 것이 있다. 이러한 모터 액튜에이터는 동기(同期)모터의 모터에 감속치차열을 연결시키는 동시에 그 최종단을 출력축으로 하고, 코일권선으로의 통전에 의하여 동기 모터의 모터를 회전시켜 출력축에 설치한 풀리로 예를들어 닫힘방향으로 힘을 받는 밸브체에 연결한 와이어를 감아서 배수밸브를 열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배수밸브를 닫을 경우에는 코일 권선의 통전을 차단하여 밸브체의 닫힘방향으로 받는힘에 의하여 배수밸브를 닫힘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때 밸브체와 연결된 출력축도 공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은 종래의 모터 액튜에이터에 의하면, 배수밸브등의 피구동기구를 구동조작한후, 그 피구동기구를 복귀시킬때 피구동기구가 받는힘에 의하여 급격하게 원위치로 복귀하여 큰 충격력을 일으키게되고 이 충격력에 의해 큰 충격음이 발생하거나 코일권선의 단선을 초래하며, 또한 구조부품의 파괴를 일으키거나 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위한 것으로서, 피구동기구가 복귀할때에 출력축에 작용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충격력의 발생을 방지하므로서 큰 충격음의 발생 또는 코일권선의 단선이나 구조부품의 파괴등을 방지할수 있고, 또 제동기구가 피구동기구의 조작시에 모터의 부하로 되지않으며, 혹은 부하로 되더라도 극소한 부하로 되게한 모터 액튜에이터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코일권선으로의 통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로터와 이 로터에 감속치차열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동시에 피구동기구를 구동조작하기위한 출력출과, 피구동기구측으로 부터의 부하에 의하여 출력축이 회전될때에 그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일권선에 전류를 통하게 하면 로터가 회전하고 감속치차열을 개재하여 출력축이 회전구동되어 피구동기구가 구동조작된다. 복귀시는 피구동기구측으로 부터의 부하에 의하여 출력축이 회전하지만, 이 출력축의 회전에 따라 제동수단이 동작하여 출력축의 회전속도가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되지않도록 제동을 가한다.
이하 세탁기의 배수밸브 개폐 용으로서 구성된 도시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케이스(1)와 이 케이스(1)에 씌워지며 또한 태핑나사(3)로 케이스(1)에 체결된 커버(2)에 의해 액튜에이터의 상자체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의 저부에는 컵형상의 모터케이스(21)(제2도 참조)가 고정되어 있다. 모터케이스(21)의 저부 내주부에는 모터보빈(23)이 끼워져있다. 모터보빈(23)에는 모터권선(25)이 감겨져 있다. 모터보빈(23)의 내주측에는 로터(31)가 배치되어 있다. 로터 (31)는 모터축(27)과 이 모터축(27)에 부시(33) 및 지지체(49)를 개재하여 고정된 로터마그네트(32)를 가진다. 이와같은 로터(31)나 모터권선(25)등을 가진 모터는 주지의 단상동기 모터를 구성하고 있으며, 1회 권선(25)에 단상교류를 공급하는 것에 의하여 로터 마그네트(32)를 감싸는 머리빗형상의 극치가 하나 건너 N극과 S극으로 번갈아 자화되어 교번자계를 발생하고, 이 교번자계에 동기하여 로터(31)가 회전한다. 로터 (31)와 모터케이스(21) 사이에는 스프링(30)이 설치되며, 스프링(30)이 로터(31)를 트러스트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로터(31)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결합돌기(50)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치차(4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케이스(1)의 내부 저면에는 밑판(22)이 고정되고, 또 케이스(1)의 위쪽에는 케이스(1)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중간판(65)이 배치되어 있다. 밑판(22)과 중간판(65)사이에는 모터의 치차(48)근처에서 축(25)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축(46), (47), (29)이 설치되는 동시에 출력축(44)이 설치되어 있으며, 출력축(44)은 자체 회전이 가능하다. 축(28)에는 치차(48)와 치합하는 치차(34)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동시에 그 아래에 일방향 규제레버(35)가 회동이 가능하게 끼워져있다. 레버(35)는 치차(37)의 회전에 따라 마찰력에 의하여 치차(34)의 회전방향으로 회동 할 수 있지만, 스토터(68)에 의해 그 회동범위가 규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4도(a)에 도시한 바와같이 결합돌기(50)의 보스부에 접촉하여 시계방향으로의 회동이 규제되며, 제4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35)의 핀(35b)이 스토퍼(65)에 접촉하여 반 시계방향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그러고 제4도 (a)에 도시하는 위치에서는 결합돌기(50)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통로상에 레버(35)의 일단부(35a)가 진출하여 결합돌기(50)가 그 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지지하고, 제4도 (b)에 도시한 위치에서는 레버(35)의 일단부(35a)가 결합돌기(50)의 회전통로 밖으로 피한다.
레버(35)는 동기모터의 로터(31)의 회전방향을 일방향으로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로터(31)가 소정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제4도 (a)와 같이 결합돌기(50)가 레버(35)의 일단부(35a)에 접촉하고, 그 반동으로 로터(31)의 회전방향이 반전하여 소정외 방향으로 회전한다. 로터(31)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치차(34)의 회전에 따라 레버(35)가 제4도(b)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일단부(35a)가 결합돌기(50)의 회전범위에서 벗어나서 로터(31)의 소정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한다.
축(28)에는 또 치차(34)의 위쪽에서 반발스프링(36)을 개재하여 치차(37)가 회전이 자유롭게 축(28)을 따라 접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치차(37)의 하단부에는 치차(34)의 결합구멍(34a)과 결합가능한 결합돌출부(37a)가 형성되어 있으나, 통상 스트링(36)의 탄력에 의하여 결합돌출부(37a)는 결합구멍(34a)으로 부터 떨어져 있다. 치차(37)의 상단에는 축(28)을 따라 또한 적당한 가이드 구멍을 따라 접동가능한 작동편(39)이 설치되어 있다. 작동편(39)은 예를들면 원판형상의 하부와 접동실(46)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전달부로 된다. 작동편(39)의 상단에는 플런저(7)가 설치되어 있다. 플런저(7)는 솔레노이드권선(10)이 감겨진 보빈(bobbin)(8)의 중심구멍을 가이드로하여 상하로 접동할수 있다. 보빈 (8)은 2개의 철심 (5), (6)에 의하여 상하 양단부가 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권선(10)에 통전되면 플런저(7)가 아래쪽으로 흡인되어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작동편(39)을 개재하여 치차(37)가 스프링힘에 대항하여 아래쪽으로 눌려져서 그 결합돌부(37a)가 치차(34)의 결합구멍(34a)과 결합하여 치차 (34)와 일체로 치차(37)가 회전구동된다. 권선(10), 플런저(7), 치차(37), 치차(34)및 스프링(36)에 의해서 클러치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치차(37)는 축(46)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큰치차(40a)와 항상 치합하고, 치차(40a)와 일체로 형성된 작은 치차(40b)가 축(47)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큰 치차(41a)에 치합하며, 치차(41a)와 일체로 형성된 작은 직경치차(41b)가 축(29)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큰 치차(42a)와 치합하고, 치차(42a)와 일체로 형성된 작은 치차(42b)는 출력축(44)에 일체로 설치된 치차(43)에 치합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치차열(48- 34- 37- 40a- 40b- 41a- 41b- 42a -42b -43)은 로터(31)의 회전력을 출력축(44)에 전달하기 위한 감속치차 열을 구성하고 있다.
출력축(44)은 중간판(65)의 위쪽으로 돌출하고, 다시 커버(2)의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출력축(44)에는 중간판(65)과 커버(2)사이에서 캠(11)이 일체로 끼워지며, 그위에 풀리(18)가 일체로 끼워져 있다. 풀리(18)는 그 보스부가 커버(2)의 축구멍에 끼워지는 동시에, 고정스프링(20)에 의해 빠지지않게 고정되어 있다.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캠(11)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외주부에는 요입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캠(11)의 가장자리에는 접점판(12)의 절곡부(12a)가 미끄럼 접촉하고, 접점판(12)의 선단부에 고정된 접점(14)에 접점판(13)의 선단부가 대향하고 있다. 2개의 접점판 (12), (13)에 의하여 모터로의 통전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구성하고 있으며, 접점판 (12)의 절곡부(12a)가 캠(11)의 요입부(11a)에 끼워졌을때 스위치는 OFF로 되어 모터로의 통전을 차단한다. 이와같이 2개의 접점판(12)(13)이 떨어져서 스위치가 OFF로 되는 것을 피구동기구를 소정의 위치까지 구동하였을때이다.
제1도에 있어서, 접점판(13)과 하나의 접점판(15)사이에 외부로 부터 단상 교류전원이 공급되며, 이 교류전원은 다이오드(16)에서 정류되고, 콘덴서(17)에서 평활하게되어 권선(10)을 여자(勵磁)하기 위한 직류전원으로 제공된다.
풀리(18)는 제10도,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피구동기구를 구동조작하기 위한 와이어(19)의 일단부를 끼워서 연결하기위한 측방향의 구멍(18a)과 이것에 연속하는 반경방향의 홈(18b)과, 이에 연속하는 원주형의 감기홈(18c)을 가진다. 와이어(19)의 일단부는 구멍(18a)에 끼워진후 홈(18b)을 따라 굴곡되어 풀리(18)에 연결되며 다시 감기홈(18c)을 따라 감겨진다. 감기홈(18c)은 약 270도 범위에서 와이어(19)를 감을수 있으며, 또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와이어(19)의 감겨진 각도가 크게 됨에 따라 반경이 작게된다.
풀리(18)에 일단부가 연결된 와이어(19)의 타단부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계판(51) 및 연결체(58)를 개재하여 피구동기구로서의 세탁기 배수밸브기구(63)의 로드(57)에 연결되어 있다. 배수밸브기구(63)는 케이싱(53)과, 그 뚜껑체(56)와 케이싱(53)내에 배치된 벨로즈(bellows)(55)와, 로드(57)에 힘을 가해 벨로즈(55)의 원뿔형 단부(55a)를 케이싱(53)의 경사벽(53a)에 밀어누르기 위한 스프링(59)으로 구성된다. 케이싱(53)에는 입수구(52)와 배수구(54)가 형성되며, 스프링(59)힘에 의해 벨로즈(55)의 단부(55a)가 케이싱(53)의 경사벽(55a)에 밀어눌려진 상태에서는 입수구(52)와 배수구(54) 사이가 폐쇄된다. 한편, 풀리(18)의 회전구동에 의하여 와이어 (19)가 풀리(18)에 감겨지면, 로드(57)가 스프링(59)힘에 대항하여 인장되어 벨로즈 (55)의 단부(55a)가 케이싱(53)의 경사벽(53a)으로부터 떨어져서 입수구(52)에서 유입되는 물이 배수구(54)를 통하여 배출된다.
제3도에 있어서, 축(28)상의 치차(37)의 상측 보스(boss)부에는 고무등으로 만들어진 마찰제동체(38)의 중심구멍이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마찰제동체(38)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치차(37)의 보스부에 끼워지기위한 구멍(38a)과, 이 구멍 (38a)을 감싸는 보스부(38b)와, 이 보스부(38b)에서 반경방향으로 뻗는 한쌍의 아암부(38d)와, 이 아암부(38d)에서 원주방향으로 뻗는 한쌍의 웨이트(weight)부(38e)와, 이 웨이트부(38e)와 아암부(38d)를 연결하는 폭이 좁은 원주방향의 아암부(38c)로 구성된다. 마찰제동체(38)는 비회전시에 이 웨이트부(38e)가 늘어져 처지지 않도록 치차(37)의 콜러(collar) 형상의 부위에 걸쳐져 있다. 마찰제동체(38)는 중간판(65)에 일체로 형성된 접동실(46)내에 배치되며, 마찰제동체(38)가 회전 구동되어 웨이트부(38e)가 원심력에 의하여 아암부(38c)로 부터 확개되었을때, 웨이트부(38e)의 선단외주부(38f)가 접동실(46)의 내주면인 마찰벽(46a)에 미끄럼 접촉한다. 여기서 동기 모터의 로터(31)가 소정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출력축(74)이 소정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 와이어(19)가 풀리(18)에 감겨지며, 피구동기구로서의 배수밸브기구(63)가 열릴때는 마찰제동체(38)는 제6도에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 웨이트부(38e)가 확대하더라도 그 선단외주부(38f)는 마찰벽(46a)에 대하여 미끄러지기 쉬운 방향으로 미끄럼접촉하기 때문에 모터의 회전에 대해 큰 제동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에 대해 배수 밸브기구(63)가 스프링(59)의 탄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할때는, 풀리(18), 출력축(44), 및 치차열을 개재하여 마찰제동체(38)가 제6도에 점선화살표로 도시한 바와같이 역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원심력으로 확개한 웨이트부(38e)의 선단외주부(38f)가 마찰벽(46a)에 대하여 파고드는 방향으로 미끄럼접촉하기 때문에 큰 재동력이 작용하여 배수밸브기구(63)의 복귀가 비교적 완만하게 된다. 마찰제동체(38)와 접동실(46)를 포함하는 구성부분은 제동수단(67)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동수단의 형식은 특별하기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들면 제7도,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형식의 것이어도 좋다. 제7도 및 제8도에 있어서, 부호 60으로 도시하는 마찰제동체는 축(38)에 끼워넣기위한 구멍(60a)을 가지는 동시에, 이 구멍 (60a) 주위의 보스부에서 반경방향으로 뻗는 한쌍의 얇은 아암부(60b)와, 이 아암부 (60b)에서 바깥쪽으로 얻는 웨이트부(60c)와, 이 웨이트부(60c)의 상단에 일체로 돌출되게 설치된 미끄럼접촉부(60d)로 구성된다. 웨이트부(60c)의 중심은 아암부(60b)보다도 하측에 있다. 축(28)과 함께 마찰제동체(60)가 회전하면, 웨이트부(60c)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따라 아암부(60b)가 위쪽으로 접혀져서 미끄럼접촉부(60d)가 마찰판 (61)에 미끄럼접촉하여 제동력이 생긴다. 단, 치차(37)가 하강하여 치차(34)와 결합하고 있을때는 마찰판(61)에서 밀어져있기 때문에 마찰제동려기은 생기지 않고, 치차 (37)가 상승하고 있을때에만 미끄럼 접촉부(60d)가 마찰판(61)에 미끄럼접촉하여 마찰제동력을 일으킨다.
상기 실시예의 일련의 동작을 설명한다. 2개의 접점판(13), (15)사이에 교류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초기상태에서는 캠(11)은 제1도에 도시하는 위치에서 회전하고 있으며, 캠(11)의 큰 직경 가장자리부에 의하여 접점판(12)의 절곡부(12a)가 바깥쪽으로 밀려서 접점판(12), (13)이 통하고 있다. 그러므로 탈수작업을 개시하고자 할때는 소정의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접점판(13), (15) 사이에 교류전원을 공급히고, 접점판 (13), (15)으로 이루어진 스위치를 통하여 동기모터의 코일권선(25)에 단상교류전원을 공급하여 로터(31)를 회전시킨다. 이때 로터(31)가 소정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제4도에 대해서 설명한 바와같이 결합돌기(50)가 레버(35)의 일단부 (35a)에 접촉하고, 그 반동으로 로터(31)는 정규 회전방향으로 반전하여 이후 정규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 교류전원의 공급과 동시에 다이오드(16)에서 정류되어 콘덴서(17)에서 평활하게 된 직류전원이 솔레노이드 권선(10)에 공급되며, 제5도에서와 같이 플런저(7)가 철심(5), (6)에 홉인되고, 스프링(36)힘에 대항하여 치차(37)가 작동편(39)을 개재하여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이에따라 치차(37)의 결합부(37a)와 치차(34)의 결합구멍(34a)이 결합하여 치차(34), (37)가 일체로 회전하고, 로터(31)의 회전력이 감속치차열을 개재하여 출력축(44)에 전달되어 출력축(44)이 회전구동된다. 이때 마찰 제동체(38)은 회전하지만, 이때의 마찰제동체(38)의 회전속도는 비교적 느리며, 그 웨이트부(38e)에 작용하는 원심력은 작고, 마찰벽(46a)과의 마찰부하는 아주작다.
출력축(44)의 회전구동에 의하여 캠(11)및 풀리(18)도 제10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풀리(18)의 회전구동에 의하여 그 감기홈(18c)에 와이어(19)가 감겨지며, 제9도에 도시하는 배수밸브기구(63)의 로드(57)가 스프링(59)힘에 대항하여 인장되고, 벨로즈(55)의 단부(55a)가 케이싱(53)의 경사벽(53a)으로 부터 떨어져 입수구(52)와 배수구(54)를 연통시켜 입수구(52)에서 유입되는 물을 배수구(57)를 통해 배출한다.
또 캠(11)의 회전에 의하여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접점판(12)의 절곡부 (12a)의 미끄럼 접촉위치가 캠(11)의 요입부(11a)에 도달하면, 접점판(12)이 접점판 (13)으로 부터 떨어져 동기모터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로터(31)의 회전이 정지한다. 그러나 솔레노이드 권선(10)으로의 통전은 계속되기 때문에 치차(34)와 치차(37)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모터가 정지하는 것에 의하여 배수밸브기구(63)의 스프링 (59) 힘에 의해 와이어(19)가 원위치쪽으로 당겨져 복귀되며, 이에 따라서 풀리(18)가 역전하려하여 치차열을 개재하여 모터의 로터(31)가 역방향으로 회전구동 되려고 하지만, 치차열은 출력축(7)축에서 보면 증속치차열로 되어 치차(48)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토오크는 극소하며 더우기 로터(31)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일정한 토오크가 필요하고, 또한 치차(34)가 역전 하려고 하면 이 치차(34)에 마찰결합하고 있는 레버(35)가 회동하여 그 일단부(35a)가 로터(31)의 결합돌기(50)의 회전통로상에 진출하여 로터 (31)의 역전을 저지하기 때문에 치차열 및 풀리(18)는 회전할수 없으며, 배수밸브기구 (63)도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배수밸브는 열린상태도 유지되어 이 상태에서 탈수작업이 진행된다.
배수작업이 종료하면, 단자(13), (15)사이로의 전원공급을 정지하고, 솔레노이드권선(10)으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권선(10)으로의 통전을 정지시키는 것에 의해 플런저(7), 작동편(39) 및 치차(37)는 스프링(36)힘에 의하여 제3도에 도시한 원위치로 복귀하고, 치차(34)와 치차(37)의 결합이 해제되며, 모터부하에 의한 치차열의 회전정지 및 레버(35)와 결합돌기(50)의 결합에 의한 치차열의 회전정지가 해제된다. 또한 배수밸브기구(63)의 스프링(59)힘에 의하여 풀리(18)와 출력축(44)을 개재하여 치차열 (43-42b-42a-41b-41a-40b-40a-37)이 역방향으로 공전한다.
상기 치차열은 출력축(44)측에서 보면 증속치차열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치차(37)가 고속으로 회전구동하려고 한다. 그러나 치차(37)의 회전에 의해 제6도에 도시한 마찰 제동체(38)의 웨이트부(38e)에 원심력이 생기고, 아암부(38c)에서 확개하여 선단 외주부(38f)가 마찰벽(46a)에 미끄럼 접촉하여 재동력을 일으킨다. 또한 이때의 마찰제동체(38)의 회전방향은 제6도에 점선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서, 선단외주부(38f)가 마찰벽(46a)에 대하여 파고드는 방향이기 때문에 제동력이 유효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이하여 치차(37)가 고속으로 회전하려고하면, 제동력이 작동하여 치차(37)가 대략 일정한 속도로 제어되어 배수밸브기구(63)의 복귀동작이 완만하게 된다. 한편 치차(37)의 속도가 저하하면 마찰제동체(38)에 발생한 원심력이 적어져서 선단외주부(38f)가 마찰벽(46a)에서 떨어져 제동력을 해제하므로 배수밸브기구(63)의 복귀가 도중에서 정지하지 않는다.
출력축(44)이 역전하는데 따라 캠(11)도 원위치쪽으로 회전하고, 이 캠가장자리의 큰직경부에 접점판(12)의 절곡부(12a)가 미끄럼 접촉하여 2개의 접점판(12), (13)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를 ON으로하고, 배수밸브기구(63)가 원위치로 복귀하여 와이어(19)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0으로 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의하면, 배수밸브 기구를 열리게 한후 배수밸브기구의 스프링힘으로 닫을 때에는 배수밸브기구측에서의 부하, 즉 스프링 힘에 의하여 출력축 (44)이 역방향으로 회전할때 제동수단(64)에 의해 출력축(44)및 이에 인계되는 배수밸브기구(63)에 제동이 걸리게되어 배수밸브기구(63)가 완만하게 원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배수밸브기구(63)의 복귀에 따른 충격력이 적고, 따라서 충격음을 작게할수 있는 동시에 충격력에 따른 코일권선의 단선이나 구조부품의 파괴를 방지할수 있다. 또 제동수단(64)은 배수밸브기구(63)를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열때는 모터의 부하로 되지않으며, 부하로 된다하더라도 극소한 부하로 되는데 불과하다.
또한 마찰제동체(38)를 배치하는 접동실(46)의 내주부는 상반부를 작은 직경으로 하반부를 큰 직경으로 하고, 제3도에서와 같이 치차(37)가 상승하여 치차(34)와의 결합이 벗어날때는 마찰제동체(38)가 접동실(46)의 작은 직경부에 대향하며, 제5도에서와 같이 치차(37)가 하강하여 치차(34)와 결합하고 있을때는 마찰제동체(38)가 접동실(46)의 큰 직경부에 대향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같이 하면, 모터에 의한 정회전시는 제동력이 거의 발생하지않고, 배수밸브기구측의 스프링힘으로 원위치로 복귀할때는 큰 제동력을 발생시킬수 있다.
마찰제동체는 모터에서 풀리(18)에 이르는 동안의 회전부재중 어디에 설치하여도 좋으나,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출력축(44)측에서 본 증속치차열의 최종단부에 설치하면 제동력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킬수 있다. 또 마찰제동체를 도시에서와 같이 클러치기구를 구성하는 치차(37)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정회전시와 역회전시의 제동력을 목적에 맞게 용이하게 변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화실한 제동동작이 가능하게된다.
또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풀리(18)의 감기홈(18c)의 직경을 순차적으로 작게 하였으므로, 와이어 (19)를 감는데 따라 감기토오크가 순차적으로 크게된다. 이것은 배수밸브기구(63)는 스프링(59) 힘에 의해 닫혀있으며, 이 스프링힘에 대항하여 로드 (57)를 잡아당길 필요가 있어 로드(57)를 잡아당기는데 따라 인장토오크가 증대하므로, 이 증대하는 인장토오크에 대응하는 풀리(18)에 의한 감기토오크가 순차적으로 크게되도록한 것이다. 제12도는 이 배수밸브기구(63)측의 부하(L)와 풀리(18)에 의한 인장 토오크(Q)와의 관계를 도시한다.
풀리(18)에 의하여 와이어(19)를 잡아당기기 시작하면, 상기와 같이 부하(L)가 증대함에 따라 풀리(18)에 의한 인장력도 증대하여 출력축(44)에 걸리는 토오크가 일정하게된다. 이와같이 부하(L)의 증대에 따라 인장력을 증대시키는 것에 의하여 모터의 토오크를 유효하게 이용할수 있으며, 비교적 토오크가 작은 모터로도 적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피구동기구를 조작한후 이것을 복귀시킬때에는, 피구동기구측에서의 부하에 의하여 출력축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때 제동수단에 의해서 출력축 및 여기에 인계되는 피구동기구에 제동이 걸리게 되어 피구동기구가 완만하게 원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피구동기구의 복귀에 따른 충격력이 작어 충격음을 작게 할수있는 동시에, 충격력에 따른 코일권선의 단선이나 구조부품의 파괴를 방지할수 있다. 또 피동수단은 피구동기구를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열때에는 모터의 부하로 되지 않으므로 토오크가 작은 모터를 이용할수 있다.

Claims (1)

  1. 모터의 로터(31)와, 이 로터(31)에 연결된 감속치차열(48-34-37-40a-40b-41a-41b-42a-42b-43)과, 이 감속치차열에 연결되며 또한 피구동기구(68)를 구동하기위한 출력축(44)을 구비한 모터액튜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44)의 회전에 대해 제동력을 작용하는 제동수단(64)을 마련하여, 모터의 코일권선(25)으로 통전되었을때 로터(31)의 회전력에 의해 출력축(44)이 피구동기구(63)를 구동조작하는 동시에 이 피구동기구(63)축으로 부터의 부하로 출력축(44)이 회전될때 상기 제동수단(64)에 의하여 그 회전이 제어감속 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액튜에이터.
KR2019890001419U 1988-02-12 1989-02-11 모터 액튜에이터 KR92000009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169 1988-02-12
JP1988017169U JPH0877Y2 (ja) 1988-02-12 1988-02-12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8271U KR890018271U (ko) 1989-09-09
KR920000091Y1 true KR920000091Y1 (ko) 1992-01-15

Family

ID=31230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1419U KR920000091Y1 (ko) 1988-02-12 1989-02-11 모터 액튜에이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77Y2 (ko)
KR (1) KR92000009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4071B2 (ja) * 1995-11-02 2003-01-08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4557U (ja) * 1981-08-27 1983-03-07 株式会社明電舎 電動アクチユエ−タの速度調節機構
JPS58157038U (ja) * 1982-04-16 1983-10-20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緩衝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8271U (ko) 1989-09-09
JPH0877Y2 (ja) 1996-01-10
JPH01121591U (ko) 1989-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44181B2 (ja)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KR920000091Y1 (ko) 모터 액튜에이터
KR930000885B1 (ko) 기어 모터
JP2003061306A (ja) ギヤードモータ
KR100387976B1 (ko) 모터액튜에이터
JPH04256796A (ja) 脱水兼用洗濯機
JPH0517536Y2 (ko)
JPH081318Y2 (ja) プーリ装置
JP4111748B2 (ja) モータ駆動式排水弁
JP3414933B2 (ja) クラッチ装置およびクラッチ装置付き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JPH083160Y2 (ja)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JP3364071B2 (ja)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JP4363864B2 (ja) ギヤードモータ
JP3716227B2 (ja) ギヤードモータ
JP2006050857A (ja) ギヤードモータ
JPH0520312Y2 (ko)
JP4603739B2 (ja) モータ式駆動装置
KR100537819B1 (ko) 기어드 모터
JP2009165237A (ja) ギヤードモータ
KR100205401B1 (ko) 전자동 세탁기의 탈수 제어장치
JP2515574Y2 (ja) 煙逆流防止用ダンパ
CN110375102B (zh) 排水阀控制装置
JP7308510B2 (ja) ギヤードモータの駆動制御機構
JPH0321200B2 (ko)
JP3914400B2 (ja) クラッチ手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DISMISS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19961010

Effective date: 199710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IN ENTIRETY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19981002

Effective date: 199901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19981002

Effective date: 199901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