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700418A -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 Google Patents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700418A
KR910700418A KR1019900702010A KR900702010A KR910700418A KR 910700418 A KR910700418 A KR 910700418A KR 1019900702010 A KR1019900702010 A KR 1019900702010A KR 900702010 A KR900702010 A KR 900702010A KR 910700418 A KR910700418 A KR 910700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rojection
drive
flexible
torqu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2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921B1 (ko
Inventor
제이. 나멘니 프랑크
Original Assignee
스탠리 지. 보겔
제로-맥스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탠리 지. 보겔, 제로-맥스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스탠리 지. 보겔
Publication of KR910700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700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9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78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shaped as an elastic disc or flat ring,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coupling parts, different sets of spots of the disc or ring being attached to each coupling part, e.g. Hardy couplings
    • F16D3/79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shaped as an elastic disc or flat ring,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coupling parts, different sets of spots of the disc or ring being attached to each coupling part, e.g. Hardy couplings the disc or ring being metal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4도는 본 발명의 커플링 기구에 채택된 가요성 커플링 부재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커플링의 다른 부착 구조에 채택될 수 있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동일형태의 가요성 커플링 부재를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커플링 기구에 채택될 수 있는 가요성 커플링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Claims (63)

  1.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에 있어서, (가) 얇은 편평 디스크형 커플링 요소를 구비하며, 이 커플링 요소는 1) 토오크를 전달하는 토오크 전달수단과, 2) 토오크를 전달수단으로 부터 격리된 복수개의 돌기와, 3) 토오크 전달수단에 돌기를 결합하는 복수개의 커넥터부 수단을 포함하며, 4) 각 돌기는 커넥터부 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서로 대향 연장되며 자유단부로 끝나는 한쌍의 아암을 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2. 제1항에 있어서, 토오크 전달수단은 커넥터 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3. 제1항에 있어서, 커플링 요소는 토오크 전달수단으로 부터 격리된 3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4. 제3항에 있어서, (가) 토오크 전달수단은 델타 형태로 배치된 커넥터 바아를 포함하며, (나) 각 커넥터부 수단은 델타의 꼭지점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5. 제3항에 있어서, (가) 토오크 전달수단은 Y형으로 배치된 커넥터 바아를 포함하며, (나) 각 커넥터부 수단은 Y의 끝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6. 제3항에 있어서, (가) 토오크 전달수단은 링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굽을 커넥터 바아를 포함하며, (나) 복수개의 커넥터부 수단을 링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7. 제1항에 있어서, 커프링 요소는 토오크 전달수단으로 부터 격리된 4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8. 제7항에 있어서, (가) 토오크 전달수단은 다이아몬드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커넥터 바아를 포함하며, (나) 각 커넥터부 수단을 다이아몬드의 구석부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9. 제7항에 있어서, (가) 토오크 전달수단은 링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굽은 커넥터 바아를 포함하며, (나) 복수개의 커넥터부 수단을 링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10. 제1항에 있어서, 돌기의 한쌍의 아암은 거의 같은 길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11. 제1항에 있어서, 돌기의 한쌍의 아암은 거의 대칭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12. 제1항에 있어서, 돌기의 한쌍의 아암은 토오크 전달수단의 외곽을 따라 커넥터부로 부터 멀리 주위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1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구동 및 종동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돌기의 아암 자유단부에 인접한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14. 제13항에 있어서, 설치수단은 구동 및 종동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볼트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15. 제1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구동 및 종동부재 간의 구동열에 배치된 중간 허브 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돌기의 아암 자유단부에 인접한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16. 제15항에 있어서, 설치수단은 구동 및 종동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볼트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17.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구동 및 종동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돌기의 아암 자유단부에 인접한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18. 제17항에 있어서, 설치수단은 구동 및 종동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볼트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19.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구동 및 종동부재 간의 구동열에 배치된 중간 허브 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돌기의 아암 자유단부에 인접한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20. 제19항에 있어서, 설치수단은 구동 및 종동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볼트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21.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구동 및 종동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돌기의 아암 자유단부에 인접한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22. 제21항에 있어서, 설치수단은 구동 및 종동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볼트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23. 제2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구동 및 종동부재간의 구동열에 배치된 중간 허브 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돌기의 아암 자유단부에 인접한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24. 제23항에 있어서, 설치수단은 구동 및 종동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볼트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25.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구동 및 종동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돌기의 아암 자유단부에 인접한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26. 제25항에 있어서, 설치수단은 구동 및 종동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볼트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27. 제25항에 있어서, 설치수단은 구동 및 종동부재 간의 구동열에 배치된 중간 허브 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돌기의 아암 자유단부에 인접한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28. 제27항에 있어서, 설치수단은 구동 및 종동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볼트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29.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구동 및 종동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돌기의 아암 자유단부에 인접한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30. 제29항에 있어서, 설치수단은 구동 및 종동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볼트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31. 제2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구동 및 종동부재 간의 구동열에 배치된 중간 허브 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돌기의 아암 자유단부에 인접한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32. 제31항에 있어서, 설치수단은 구동 및 종동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볼트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33.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구동 및 종동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돌기의 아암 자유단부에 인접한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34. 제33항에 있어서, 설치수단은 구동 및 종동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볼트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35. 제3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구동 및 종동부재 간의 구동열에 배치된 중간 허브 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돌기의 아암 자유단부에 인접한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36. 제35항에 있어서, 설치수단은 구동 및 종동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볼트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37. 제1항에 있어서, 커플링 요소는 자유단부를 갖는 단부 개방 디스크형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38. 제4항에 있어서, 커플링 요소는 자유단부를 갖는 단부 개방 델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39. 제6항에 있어서, 커플링 요소는 자유단부를 갖는 단부 개방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40. 제8항에 있어서, 커플링 요소는 자유단부를 갖는 단부 개방 다이아몬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41. 제9항에 있어서, 커플링 요소는 자유단부를 갖는 단부 개방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42. 제1항에 있어서, 커플링 요소는 커넥터부 수단에 의해 커플링 요소에 결합된 복수개의 러그부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43. 제42항에 있어서, 러그부는 구동 및 종동부재에 러그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각 러그부의 단부에 인접한 설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44. 제6항에 있어서, 커플링 요소는 커넥터부 수단에 의해 커플링 요소에 결합된 복수개의 러그부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45. 제44항에 있어서, 러그부는 구동 및 종동부재에 러그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각 러그부의 단부에 인접한 설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46. 제8항에 있어서, 커플링 요소는 커넥터부 수단에 의해 커플링 요소에 결합된 복수개의 러그부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47. 제46항에 있어서, 러그부는 구동 및 종동부재에 러그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각 러그부의 단부에 인접한 설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48. 제9항에 있어서, 커플링 요소는 커넥터부 수단에 의해 커플링 요소에 결합된 복수개의 러그부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49. 제48항에 있어서, 러그부는 구동 및 종동부재에 러그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각 러그부의 단부에 인접한 설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50. 제1항에 있어서,(가) 토오크 전달 수단은 내외부 토오크 전달부재를 포함하며, (나) 복수개의 커넥터부 수단은 내외부 토오크 전달부재에 각 돌기를 결합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다) 돌기는 내외부 토오크 전달부재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51. 제6항에 있어서,(가) 토오크 전달 수단은 내외부 토오크 전달부재를 포함하며, (나) 복수개의 커넥터부 수단은 내외부 토오크 전달부재에 각 돌기를 결합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다) 돌기는 내외부 토오크 전달부재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52. 제9항에 있어서,(가) 토오크 전달 수단은 내외부 토오크 전달부재를 포함하며, (나) 복수개의 커넥터부 수단은 내외부 토오크 전달부재에 각 돌기를 결합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다) 돌기는 내외부 토오크 전달부재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53.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에 있어서, (가) 얇은 가요성 편평디스크형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며, 이 커플링 부재는 1) 내부 허브부와, 2) 내부 허브부로 부터 외향 격리된 복수개의 돌기와, 3) 내부 허브부에 돌기를 결합하는 복수개의 반경방향 커넥터 수단으로 구성되며, 4) 각 돌기는 반경방향 커넥터 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며 자유단부로 끝나는 한쌍의 아암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54.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에 있어서, (가) 얇은 가요성 편평디스크형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며, 이 커플링 부재는 1) 토오크를 전달하는 외부 토오크 전달 링 수단과, 2) 외부 토오크 전달 링 수단으로 부터 내향 격리된 복수개의 돌기와, 3) 외부 토오크 전달 링 수단에 돌기를 결합하는 복수개의 반경방향 커넥터 수단과, 4) 각 돌기는 반경방향 커넥터 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거의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고 자유단부로 끝나는 한쌍의 아암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커플링.
  55. 구동축을 종동축에 결합하는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 (가) 각각 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설치기구를 포함하며 구동 및 종동축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커플링 수단과, (나) 커플링 수단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커플링 디스크 부재를 포함하며, 이 커플링 디스크 부재는 1) 토오크를 전달하는 토오크 전달수단과, 2) 토오크 전달 수단으로 부터 격리된 복수개의 돌기와, 3) 토오크 전달수단에 의해 돌기를 결합하는 복수개의 커넥터부와, 4) 각 돌기는 커넥터부 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서로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며 자유단부로 끝나는 한쌍의 아암을 갖고, 5) 돌기를 제1 및 제2 커플링 수단의 설치 기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돌기의 아암 자유단부에 근접한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56. 구동축을 종동축에 결합하는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 (가) 각각 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설치기구를 포함하며 구동 및 종동축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커플링 수단과, (나) 커플링 수단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얇은 가요성 편평 디스크형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며, 이 디스크형 커플링 부재는 1) 내부 허브부와, 2) 내부 허브부로 부터 외향 격리된 복수개의 돌기와, 3) 돌기를 내부 허브부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제1 반경방향 커넥터 수단과, 4) 각 돌기는 반경방향 커넥터 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서로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며 자유단부로 끝나는 한쌍의 아암을 갖고, 5) 돌기를 제1 및 제2 커플링 수단의 설치 기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돌기의 아암 자유단부에 근접한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57. 제56항에 있어서, 디스크형 커플링 부재는 (가) 복수개의 돌기로부터 외향 격리되어 토오크를 전달하는 외부 토오크 전달 링 수단과, (나) 돌기를 외부 토오크 전달 링 수단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제2반경방향 커넥터 수단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58. 구동축을 종동축에 결합하는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 (가) 각각 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설치기구를 포함하며 구동 및 종동축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커플링 수단과, (나) 커플링 수단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얇은 가요성 편평 디스크형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며, 이 디스크형 커플링 부재는 1) 토오크를 전달하는 외부 토오크 전달 수단과, 2) 외부 토오크 전달 수단으로 부터 내향 격리된 복수개의 돌기와, 3) 돌기를 토오크 전달수단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반경방향 커넥터 수단과, 4) 각 돌기는 반경방향 커넥터부 수단에 의해 서로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며 자유단부로 끝나는 한쌍의 아암을 갖고, 5) 돌기를 제1 및 제2 커플링 수단의 설치 기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돌기의 아암 자유단부에 근접한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59. 구동열에서 구동축을 종동축에 결합하는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 (가) 구동축 및 종동축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커플링 부재와, (나) 제1 및 제2 커플링 부재간의 구동열에 배치된 중간 커플링 부재와, (다) 각 커플링 부재는 그 회전축 및 각 커플링 부재의 회전축으로 부터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설치기구를 가지며, (라) 중간 커플링 부재의 각 측에 하나씩 배치된 한쌍의 가요성 디스크 부재를 포함하고, 이 디스크 부재는 1) 토오크를 전달하는 토오크 전달 수단과, 2) 토오크 전달 수단으로 부터 격리된 복수개의 돌기와, 3) 토오크 전달수단에 돌기를 결합하는 복수개의 커넥터부 수단을 포함하며, 4) 각 돌기는 커넥터부 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서로 대향 연장되며 자유단부로 끝나는 한쌍의 아암을 가지며, 5) 제1 및 중간 커플링 부재간에 배치된 디스크 부재의 돌기는 제1 및 중간 커플링 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중간 및 제2 커플링 부재간에 배치된 디스크 부재의 돌기는 중간 및 디스크 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커플링 부재의 설치 기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돌기의 아암 자유단부에 근접한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60. 구동열에서 구동축을 종동축에 결합하는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 (가) 구동축 및 종동축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커플링 부재와, (나) 제1 및 제2 커플링 부재간의 구동열에 배치된 중간 커플링 부재와, (다) 각 커플링 부재는 그 회전축 및 각 커플링 부재의 회전축으로 부터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설치기구를 가지며, (라) 중간 커플링 부재의 각 측에 하나씩 배치된 한쌍의 얇은 가요성 편평디스크 부재를 포함하고, 이 디스크형 부재는 1) 내부 허브부와, 2) 내부 허브부로 부터 외향 격리된 복수개의 돌기와, 3) 돌기를 내부 허브부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제1반경방향 커넥터 수단과, 4) 각 돌기는 반경방향 커넥터 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서로 대향방향으로 연장되며 자유단부로 끝나는 한쌍의 아암을 갖고, 5) 제1 및 중간 커플링 부재간에 배치된 디스크 부재의 돌기는 제1 및 중간 커플링 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중간 및 제2 커플링 부재간에 배치된 디스크 부재의 돌기는 중간 및 디스크 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커플링 부재의 설치 기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돌기의 아암 자유단부에 근접한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61. 제60항에 있어서, 디스크형 커플링 부재는 (가) 복수개의 돌기로부터 외향 격리되어 토오크를 전달하는 외부 토오크 전달 링 수단과, (나) 돌기를 외부 토오크 전달 링 수단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제2반경방향 커넥터 수단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62. 구동열에서 구동축을 종동축에 결합하는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 (가) 구동축 및 종동축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2제 커플링 부재와, (나) 제1 및 제2 커플링 부재간의 구동열에 배치된 중간 커플링 부재와, (다) 각 커플링 부재는 그 회전축 및 각 커플링 부재의 회전축으로 부터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설치기구를 가지며, (라) 중간 커플링 부재의 각 측에 하나씩 배치된 한쌍의 얇은 가요성 편평디스크형 부재를 포함하고, 이 디스크형 부재는 1) 토오크를 전달하는 외부 토오크 전달 링 수단과, 2) 외부 토오크 전달 링 수단으로 부터 내향 격리된 복수개의 돌기와, 3) 외부 토오크 전달 링 수단에 돌기를 결합하는 복수개의 반경방향 커넥터 수단과, 4) 각 돌기는 반경방향 커넥터 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거의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고 자유단부로 끝나는 한쌍의 아암을 가지며, 5) 제1 및 중간 커플링 부재간에 배치된 디스크 부재의 돌기는 제1 및 중간 커플링 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중간 및 제2 커플링 부재간에 배치된 디스크 부재의 돌기는 중간 및 디스크 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커플링 부재의 설치 기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돌기의 아암 자유단부에 근접한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63. 구동열에서 구동축을 종동축에 결합하는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 (가) 구동축 및 종동축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커플링 부재와, (나) 제1 및 제2 커플링 부재간의 구동열에 배치된 중간 커플링 부재와, (다) 각 커플링 부재는 그 회전축 및 각 커플링 부재의 회전축으로 부터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설치 기구를 가지며, (라) 중간 커플링 부재의 각 측에 하나씩 배치되어 각각이 복수개의 얇은 디스크 요소를 포함하는 한쌍 의 가요성 디스크 부재를 포함하고, 이 얇은 디스크 요소는 1) 내부 허브부와, 2) 내부 허브부로 부터 외향 격리된 3개의 대칭 돌기와, 3) 각각 하나의 돌기를 내부 허브부에 결합하는 3개의 반경방향 커넥터와, 4) 각 돌기는 반경방향 커넥터에 인접하여 서로 결합되고 내부 허브부의 외곽을 따라 대향방향으로 연장되고 자유단부로 끝나며, 5) 제1 및 중간 커플링 부재간에 배치된 가요성 커플링 부재는 제1 커플링 부재에 연결된 두 돌기의 4개의 설치수단과 중간 커플링 부재에 연결된 나머지 돌기의 두 설치수단을 가지며, 제2 및 중간 커플링 부재간에 배치된 가요성 커플링 부재는 제2 커플링 부재에 연결된 두 돌기의 4개의 설치수단과 중간 커플링 부재에 연결된 나머지 돌기의 두 설치수단을 갖도록 커플링 부재의 설치 기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돌기의 아암 자유단부에 근접한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00702010A 1989-01-12 1990-01-12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KR9700049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9657789A 1989-01-12 1989-01-12
US296,577 1989-01-12
US296577 1989-01-12
PCT/US1990/000265 WO1990008268A1 (en) 1989-01-12 1990-01-12 Flexible coupling for joining a driving member to a driven me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700418A true KR910700418A (ko) 1991-03-15
KR970004921B1 KR970004921B1 (ko) 1997-04-08

Family

ID=23142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2010A KR970004921B1 (ko) 1989-01-12 1990-01-12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454732B1 (ko)
JP (1) JPH04502663A (ko)
KR (1) KR970004921B1 (ko)
AU (1) AU4847990A (ko)
DE (1) DE69026074T2 (ko)
WO (1) WO1990008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33596C1 (ko) * 1990-10-23 1992-02-27 Loehr & Bromkamp Gmbh, 6050 Offenbach, De
DE19840987A1 (de) * 1998-09-08 2000-03-09 Mayr Christian Gmbh & Co Kg Lamelle für Wellenkupplu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6208A (en) * 1934-12-01 1936-06-30 Paulsen Jean Felix Resilient transmission disk
US2386017A (en) * 1942-04-24 1945-10-02 Thompson Prod Inc Universal joint
US2855767A (en) * 1952-03-20 1958-10-14 Svenska Rotor Maskiner Ab Yieldable coupling
US3635050A (en) * 1969-11-25 1972-01-18 Woodward Governor Co Drive transmission with universal couplings
NL7400886A (nl) * 1974-01-23 1975-07-25 Philips Nv Flexibele askoppeling.
GB1500623A (en) * 1976-03-15 1978-02-08 R & D Marine Ltd Rotary damping couplings
US4321805A (en) * 1979-06-01 1982-03-30 Kaman Aerospace Corporation Rotary drive flexible coupling
DE3601080C1 (de) * 1986-01-16 1987-07-23 Freudenberg Carl Fa Kupplung
GB2193787B (en) * 1986-08-11 1989-12-20 Torrington Co Coupling member for taking up torque in a vehicle steering column and a vehicle steering column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502663A (ja) 1992-05-14
DE69026074T2 (de) 1996-09-05
AU4847990A (en) 1990-08-13
EP0454732A4 (en) 1991-11-27
EP0454732B1 (en) 1996-03-20
DE69026074D1 (de) 1996-04-25
KR970004921B1 (ko) 1997-04-08
EP0454732A1 (en) 1991-11-06
WO1990008268A1 (en) 1990-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153842A3 (ru) Амортизирующий торсионный механизм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дл дисков муфт сцеплени автомобилей
JPH05280554A (ja) 円板アセンブリ
US4385893A (en) Elastic shaft coupling
JPH02256925A (ja) 摩擦パッド支持ディスク
US4736827A (en) One-way clutch
KR910700418A (ko)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US4271948A (en) Clutch having segmented band
EP0790433A3 (en) Plate member having radially extending support portions for a damper disc assembly
KR950014626A (ko) 회전식 진동댐퍼
JPS61180025A (ja) かみ合つたハブおよびスリーブのフランジをもつ逆取付けデイスクパツク継手
JPH0652088B2 (ja) クラツチデイスク
US2121066A (en) Flexible coupling
US3024627A (en) Flexible coupler
JP2563147Y2 (ja) カップリング
JPH06221339A (ja) 回転伝動軸用軸継手
SU1004680A1 (ru) Высокоэластична муфта
JPH05223140A (ja) 自動車用動力伝達系の防振装置
JPH0732987Y2 (ja) 弾性カップリング
KR100246965B1 (ko) 반도체 제조설비의 축이음장치
JPH0454343Y2 (ko)
US2151477A (en) Shaft coupling
SU1133440A1 (ru) Упруго-центробежна муфта
SU889953A2 (ru) Упруго-центробежна муфта
JP2003246431A (ja) スクリューユニットおよびスクリュー装置
JPH02163518A (ja) たわみ軸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6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