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921B1 -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 Google Patents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921B1
KR970004921B1 KR1019900702010A KR900702010A KR970004921B1 KR 970004921 B1 KR970004921 B1 KR 970004921B1 KR 1019900702010 A KR1019900702010 A KR 1019900702010A KR 900702010 A KR900702010 A KR 900702010A KR 970004921 B1 KR970004921 B1 KR 970004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ub portion
connector
projections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2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700418A (ko
Inventor
제이. 나멘니 프랑크
Original Assignee
제로-맥스 인코페레이티드
스탠리 지. 보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로-맥스 인코페레이티드, 스탠리 지. 보겔 filed Critical 제로-맥스 인코페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10700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700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9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78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shaped as an elastic disc or flat ring,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coupling parts, different sets of spots of the disc or ring being attached to each coupling part, e.g. Hardy couplings
    • F16D3/79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shaped as an elastic disc or flat ring,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coupling parts, different sets of spots of the disc or ring being attached to each coupling part, e.g. Hardy couplings the disc or ring being metal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제1도는 슈미트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331,044호에 제시된 종래 기술을 나타내는 커플링 기구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좌측에서 본 단부도.
제3도는 종래 기술의 슈미트식 장치에 채택된 가요성 커플링 부재를 도시한 도면.
제3a도는 종래기술에 채택된 전형적 폼스프랙형 가요성 커플링 부재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커플링 기구에 채택된 가요성 커플링 부재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커플링의 다른 부착 구조에 채택될 수 있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동일형태의 가요성 커플링 부재를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커플링 기구에 채택될 수 있는 가요성 커플링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커플링 기구에 채택될 수 있는 가요성 커플링의 적합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제7도에 도시한 가요성 커플링 부재를 채택하는 커플링 기구의 적합한 형태의 단부도.
제9도는 제8도의 커플링 기구의 측부도.
제10도는 중간 허브 부재를 채택하는 본 발명의 커플링 기구의 적합한 형태의 사시도.
제11도는 내부 링 요소를 사용치 않는 본 발명의 가요성 커플링 부재의 다른 형태의 도면.
제11a도는 내부 링 요소를 사용치 않는 본 발명의 가요성 커플링 부재의 다른 형태의 도면.
제12도는 두쌍의 돌기를 사용한 본 발명의 가요성 커플링 부재의 또 다른 형태의 도면.
제13도는 돌기마다 두 커넥터 요소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가요성 커플링 부재의 또 다른 형태의 도면.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해 오배열될 수도 있는 구동축을 종동축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토오크 전달 능력을 증가시키면서 축간의 큰 축방향 및/또는 각도 변위를 허용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요성 디스크 요소를 채택한 형태의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구동축과 종동축의 회전축선이 정렬되지 않는 경우, 이런 오배열에는 여러가지 범주가 존재한다. 하나는 평행오배열, 즉 축선은 서로 평행하지만 서로 축횡단 방향으로는 격리되어 있는 경우이다.
다른 하나는 각도 오프셋, 즉 축선은 서로 평행하지 않지만 축선이 평행 평면에 놓이면서 서로 일정 각도로 교차하는 경우이다. 또다른 것은 축선 방향의 오배열이다.
두 축간에 혹은 그로부터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많은 커플링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1971년 12월 7일자 기꾸찌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625,024호와 1982년 3월 30일자 보쓸러 2세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321,805호는 이런 커플링 장치(델타 플렉스 커플링으로서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음)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들은 토오크를 전달하는데 사용된 델타의 아암이 길고 칼럼 버클링을 받게되기 때문에 토오크 전달 능력에 제약이 있었다. 각 커플링은 구동 및 종동요소, 즉 회전축이나 축상의 허브 같은 요소에 연결하도록 그 각 단부에 V형 요소를 가진 단일비임이나 칼럼을 갖는 요소를 포함한다. 이 각 커플링 요소에서, V를 연결하는 비임이나 칼럼은 큰 토오크 부하 하에서 버클링을 받기 쉽다. 이는 토오크 전달 능력을 제한한다.
구동 및 종동축간의 축방향 오배열이나 변위를 보상하기 위해 부하를 전달하도록 제공된 커플링의 다른 형태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일련의 특허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은 리차드 슈미트에게 허여된 1981년 8월 11일자, 1982년 3월 2일자, 1982년 5월 25일자의 미합중국 특허 제4,282,723호, 제4,317,339호, 제4,331,004호이다.
슈미트 특허의 장치에서, 구동축과 종동축 각각에 있는 허브에 부착된 실제 커플링 요소는 환형부와 두쌍의 평행 아암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아암 자체는 평행이며 쌍들은 대칭이 아니다. 아암은 오배열을 보상하도록 양호한 축방향 및/또는 각도 변위를 제공하도록 충분한 가요성을 갖는다. 그러나, 설계상의 고유한 제약이 있어서 큰 토오크 부하를 전달하는 능력에는 제한이 있게 된다. 이는 회전 방향에는 관계없이 항상 적어도 한쌍의 아암이 아무런 보상 인장 성분없이 압축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이 결과, 큰 토오크 조건하에서 압축하의 아암은 버클링을 받게 되며 따라서 전체 커플링 요소의 부하 전달능력을 제한하게 된다. 슈미트 식의 장치는 개방단부형 아암 또는 개방링크형 커플링으로도 알려져 있다.
다이아 프램형 커플링도 알려져 있는데, 이는 큰 토오크 부하의 전달은 허용하지만 1/4도 내지 1/3도 정도의 미약한 각도 오배열 밖에는 취급할 수가 없다.
폼스프랙형 등의 편평 금속 또 잘 알려져 있는데, 이는 큰 토오크 전달을 가능케 하지만 심한 구동축과 종동축의 오배열은 취급할 수 없다. 또, 편형 디스크 커플링에 있어서 프레팅현상이 일어난다. 프레팅에는 두가지 형태가 있다. 즉, (가) 볼트 베어링 와셔 주의의 장동운동과, (나) 디스크의 연결 구역으로부터 서로 격리된 디스크가 함께 비벼져서(전단 작용을 발생하면서) 일어나는 선형 프레팅이 있다. 디스크 재료가 비벼지면 산화되고 기질을 방해하여 때로는 피로 파괴를 조장한다. 이는 특히 0.015인치 내지 0.090인치 정도의 두께를 갖는 디스크에 있어 심하다. 이런 디스크 상의 코팅은 그 수명을 연장시키지만 비비기 운동 하에서는 악화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축방향 및/또는 각도 오배열을 보상하면서 큰 토오크 부하를 전달할 수 있는 커플링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속적 및 간헐적으로 큰 각도 오배열 및 축방향 변위를 허용하면서 다이아 프램식의 성능에 가깝도록 인장 혹은 압축만의 경우보다는 전단의 경우의 토오크 부하를 전달할 수 있는 커플링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장 부하에 의해 각 토오크 전달 부재에서 압축 부하를 치우치게 할 수 있는 커플링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프레팅 효과와 부착 수단 부근의 피로되는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일정방향 용도로 압축하에 돌기 등의 모든 부착 요소를 배치함으로써 프레팅을 최소화하고 모든 돌기를 인장함으로써 토오크 전달 능력을 최대화 하기도 할 수 있는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비윤활식 정속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커플링 장치는 오배열되는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데 사용하는 가요성 커플링 디스크 요소를 포함한다. 각 가요성 커플링 디스크 요소는 여러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커넥터 요소에 의해 상호연결된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다. 적합한 형태로서, 돌기는 반경방향 연장 커넥터 요소에 의해 내부링(허브부) 또는 외부링으로부터 격리된다. 각 돌기는 커넥터에 인접하여 서로 결합된 한쌍의 아암을 갖는다. 이들은 서로 주위 반대 방향으로 커넥터로부터 격리되며 자유단부로 끝난다. 이런 형태의 구조는 돌기의 자유단부간의 인장 혹은 압축 부하 혹은 커넥터 요소상의 전단 부하로써 디스크를 통해 힘 또는 토오크 전달을 행하도록 구동 및 종동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자유단부에는 구동축 및/또는 종동부재에 돌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수단도 제공되어 있다.
커플링 장치는 구동축에 및 종동축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커플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중간 가요성 디스크 요소는 적합한 실시예에서 커플링 부재간에 배치하며 이들 부재에는 다른 가요성 디스크 부재도 설치된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서, 각 커플링 요소는 복수개의 반경방향 연장 아암을 갖는다. 가요성 디스크 부재상의 돌기의 아암 자유단부에는 아암을 구동 및 종동 커플링 부재의 반경방향 연장 아암에 각각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특징 및 기타 특징은 부품의 다양하고 신규한 상세 구조 및 조합을 포함하며,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하고 청구범위에 제시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특정 오배열 보상 및 대 토오크 전달 커플링 장치는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원리 및 특징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하고 수많은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제1도,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슈미트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282,723호에 제시된 종래 기술을 설명키로 한다.
슈미트식 장치는 구동축일 수 있는 제1축(12)(이하 축 A라고도 함)을 종동축일 수 있는 제2축(14)(이하 축 B라고도 함)에 연결하는 가요성 커플링 기구를 포함한다. 축(12)의 회전축선(16)과 축(14)의 회전축선(18)은 정렬된 것으로 보이지만 이는 전술한 오배열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을 겪을 수 있다.
커플링 기구(10)를 구성하는 기본 부재가 3개 있다. 이들은 고정나사(24)에 의해 축(12,14)에 각각 조정 가능하게 고정된 제1커플링 부재(20)(제1도) 및 제2커플링 부재(22)를 포함한다. 중간 가요성 부재(26)는 제1 및 제2커플링 부재(20,22)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커플링 부재(20,22)는 서로 거의 동일하며 동시에 여기서는 하나만 기술하기로 한다. 커플링부재(20)는 반경 외향으로 연장하고 약 120도 격리된 스파이더형 아암(30) 형태로 된 요소 수용부를 갖는 링형 환형부(28)를 포함한다.
제1커플링 부재(20)는 제2도에서 실선으로 설명, 도시하였지만 동등 커플링 부재(22)는 대부분이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종래 기술의 중간 가요성 커플링 부재(26)는 제3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는 원통형 내부개구(34)를 갖는 링형 환형부(32)를 포함한다.
중간 부재(26)는 또 각각 환형부(32)에 연결된 부착단부(38,38')를 갖는 대향된 제1쌍의 평행암부(36,36')를 포함한다. 각 아암(36,36')도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동 커플링 부재(20)의 3개의 돌출 스파이더형 아암(30)의 두개에 아암(36,36')을 부착하도록 볼트를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개구(42,42')가 각각 제공된 자유단부(40,40')를 갖는다. 아암(36,36')상의 한쌍의 자유단부(40,40')은 제2도의 우상부 및 좌하부 4반부로 도시된 스파이더 아암에 연결되며 그 연결은 볼트(44)에 의해 성취된다. 나머지 아암(30)(제2도의 우하부 4반부)은 연결되지 않은 채로 남는다.
중간 부재(26)는 또 환형부(32)에 이런 아암부를 각각 연결하는 부착 단부(57,57')를 갖는 제2쌍의 대향평행 아암부(56,56')를 갖는다. 각 아암(56,56')은 또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동 커플링 부재(22)의 3개의 돌출 스파이더형 아암(33)의 두개에 아암(56,56')을 부착하도로 볼트를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개구(52,52')가 각각 제공된 자유단부(54,54')를 갖는다. 아암(56,56')상의 한쌍의 자유단부(54,54')는 제2도의 우하부 및 좌상부 4반부에 도시된 스파이더 아암(33)에 각각 연결되며, 이 연결은 볼트(43)에 의해 성취된다. 종동 커플링 부재에 나머지 아암(33)(제2도의 우상부 4반부)은 연결되지 않는 채로 남는다.
작동중, 구동축(12)은 커플링 부재(20)와 아암(30)을 통해 볼트 연결을 거쳐 중간부재(26)의 아암부(36)에 토오크를 전달한다(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시계 방향이 된다). 토오크는 이때 볼트 연결부를 통해 전달된다. 토오크는 축(14)에 종동 커플링 부재(22)의 아암(33)을 거쳐 축(14)에, 그리고 부착된 단부(38,57)를 통해 아암(56)에 전달된다. 동시에, 토오크는 아암(30)을 통해 아암(36)에, 단부(38')를 통해 링부(32)로, 그리고 단부(57')를 통해 아암(56')에, 그리고 다른 아암(33)과 제2커플링 부재(22)를 통해 축(14)에도 전달된다.
회전 방향이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같이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반시계 방향이면 제3도에 T 및 C자로 표시한 바와같이 아암은 인장되고 아암(36')은 압축된다. 또, 아암(56)은 인장되고 아암(56')은 제3도에 T 및 C자로 표시한 바와같이 압축된다. 다시말하면, 커플링 부재(20)는 아암(36)을 견인하며 아암(36,36')의 자유단부(40,40')를 통해 통과하는 볼트에 의해 아암(36')을 민다.
이는 아암(36')이 지주방향 버클링을 받게하며 이리하여 큰 토오크 전달을 제한한다. 또, 아암(56)은 인장되고, 압축되는 아암(56')은 지주방향 버클링도 받게 된다. 슈미트식 커플링의 단점은 본 발명이 개선하려는 특징중 하나이다.
슈미트가 설명한 장치 및 기능을 참고를 위해서만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기능을 좀더 완벽히 하고 오배열된 축간에 토오크를 전달하는 동작을 설명하려면 인용된 특허를 참고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제2도의 우하부 4반부의 스파이더 아암(30)은 중간 커플링 부재에 연결되지 않는다. 제2도의 우하부 4반부에 도시한 제2커플링 부재(22)의 부분인 스파이더 아암(33)도 결합된다.
제3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장치의 다른 형태는 단독으로 또는 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폼스프렉형 중간 가요성 부재이다.
가요성 부재는 원형 개구(34')를 갖고 구동축 및 종동축 커를링 요소에 설치되는 볼트를 수용하도록 4개의 구멍(42, 42, 52, 52')이 제공된 금속 가요성 디스크(26')형태일 수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은 구동축에의 연결은 A로 표시하고 종동축에의 연결은 B로 표시하였다. 디스크(26')의 부분은 각각 인장 및 압축 상태에 배치되며 제3a도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같은 반시계 방향 구동운동을 보장한다.
인장 및 압축력은 T 및 C자로 표시하였다. 이런 형태의 장치에서 인장된 측부는 양호한 토오크 전달을 가능하도록 하는 기하적 형상 때문에 붕괴되는 것을 억제하며 따라서 본 발명이 극복하려는 종래 기술에서 발견된 다른 특징이 있다.
본 출원인의 발명에서 슈미트식에서와 같은 돌기를 사용하면 유리하지만 칼럼 길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돌기 단부간에 배치된 이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각 돌기에 대해 커넥터 요소가 제공된다. 반쯤에서 위치 결정하면 적당하다. 이는 버클링 억제를 제공한다. 칼럼 길이는 슈미트식 장치에서와 같은 돌기 아암의 전체 길이가 아니고 연결볼트 또는 와셔 외경과 커넥터 목부의 내단부 사이의 길이이다.
이는 2/3라디안 만큼 버클링에 노출되는 칼럼의 길이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지만 50% 정도 밖에는 실제 가요성 아암을 감소시키지 못한다.
이리하여 돌기/커넥터 구조는 더 큰 토오크를 얻기에 적당하게 된다. 여기서 칼럼 아암의 길이가 짧을수록 더 큰 토오크를 전달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토오크 전달력을 분배하여 부하분배를 제공하도록 환형 링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원리는 각각 커넥터부(133 및 143)에 의해 내부허브 또는 힘전달링(131)에 연결된 두개의 돌기(130,140)를 갖는 가요성 커플링 디스크(126)에 적용된다.
링은 허브(131) 형태로서 도시하였으나 다른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들어 돌기간의 힘 전달 기능이 얻어지는 한 다이아몬드 형태로도 가능하다. 제3커넥터 요소는 러그부(135,137) 형태로 제공되며 힘전달 링(131)에도 연결된다. 돌기(130)는 그 단부에 볼트구멍(136,138)을 가지며, 돌기(140)는 그 단부에 볼트구멍(142,144)을 갖는다. 러그(135)에는 볼트구멍(134)이, 그리고 러그(137)에는 볼트구멍(139)이 제공되어 있다. 가요성 커플링의 연결은 제4도에 도시한 볼트구멍에 문자 A 와 B를 부여하여 구동축 A와 종동축 B에 대한 것을 표시하였다. 커플링 부재의 회전방향이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시계방향이면 돌기(130)의 양단부는 압축상태로 배치되고 돌기(140)의 양단부는 인장상태로 배치된다. 러그(135,137)는 전단상태로 배치된다. 이리하여 힘은 평형되어 큰 토오크 전달을 얻게 된다. 즉, 돌기(140)와 러그(135,137)의 전단 및 인장력이 돌기(130)내의 압축력과 평형을 이루어 칼럼 버클링을 방지한다.
칼럼방향 부하를 모두 제거하기 위해 중간 커플링 부재 전체를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후에 상술함). 가요성 커플링 디스크(126')는 두개의 돌기(130',140')를 갖는데 이들은 각각 커넥터부(133',143')에 의해 내부 힘전달 링(131')에 연결된다.
돌기(130')에는 그 단부에 볼트구멍(136',138')이 제공되어 있고 돌기(140')에는 그 단부에 볼트구멍(142',144')이 제공되어 있다. 러그(135',137')에는 각각 볼트구멍(134',139')이 제공되어 있고 이들 볼트구멍에 배치된 I로 표시한 바와같이 중간 허브에 연결된다. 중간 허브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커플링 디스크를 구동 및 종동 커플링 부재에 각각 연결하도록 중간 허브의 각 측부에 배치해야 한다. 제5도는 구동부재 A에 연결된 돌기(130' 및 140')를 갖는 디스크를 도시하며 다른 동일한 가요성 커플링 디스크는 종동부재 B에 연결된 양쪽 돌기를 갖는다. 이들은 중간 허브 부재의 한쪽에 설치되며 이 디스크의 러브(135',137')는 중간 허브에 고정되게 된다.
이런 구조는 다이아프램형 커플링과 유사한 전단에 의해 수행되므로 토오크 전달을 한층 향상시킨다. 커넥터부(133',134')에서 발생된 전단력은 힘 전달을 일으키며 디스크 돌기는 부동 요소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칼럼부하를 받지 않는다. 중간 허브를 사용하면 보다 심한 오배열 조건에서도 된다.
커넥터부와 중간 허브는 돌기를 연결하는 요소로서 일련의 커넥터 바아를 사용하여 기계적 기능면에서 조합할 수 있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요성 커플링 디스크(226)에는 델타 연결형태로 배치된 3개의 커넥터 바아(235,245 및 255)에 의해 상호 연결된 3개의 돌기(230,240,2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 토오크 전달로 인한 반경방향 굽힘이 제거 된다. 다른 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Y자형이나 혹은 두개의 바아만이 한개의 돌기에서 결합된 형태나 중앙에서 결합된 바아를 갖는 스포우크형도 된다. 돌기에는 구동 허브에 연결하는 볼트구멍(232,242,252)과 종동 허브에 연결하는 구멍(234,244,254)이 제공되어 있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돌기 각각은 인장되고 토오크에 의한 반경방향굽힘을 받게 된다. 바아는 커플링 허브의 각도 및 축선 방향 오배열에 의해 생긴 작용 때문에 비틀림 비임으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는 제7도,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가요성 커플링 디스크 부재(58)가 사용된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디스크(58)는 원형으로 도시한 내부 허브부(6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형상은 예를들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삼각형 등의 다른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또, 복수개의 대칭 외부 돌기(62,63,64)는 각각 커넥터부(65,67,69)를 거쳐 내부 허브(60)에 연결된다. 돌기(62)는 반경방향 커넥터(65) 주변에서 서로 결합되어 서로 주위 반대방향으로 먼쪽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아암(75,77)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돌기(63)에는 반경방향 커넥터(67)에 인접한 아암(86,87)이, 그리고 돌기(64)에는 반경방향 커넥터(69)에 인접한 아암(96,97)이 각각 제공되어 있다. 각 돌기는 볼트 설치 구멍이 제공된 대칭 배치된 아암에서 끝난다. 이리하여 돌기(62)는 아암(75,77)내에 볼트구멍(70,70')을, 돌기(63)는 아암(86,87)내에 볼트구멍(80,80')을, 그리고 돌기(64)는 아암(96,97)내에 볼트구멍(90,90')을 각각 갖는다.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디스크(58)는 디스크 팩을 형성하도록 복수개 사용된다. 이들 각 디스크는 비교적 얇거나 두꺼우며 조립시에는 납작하게 된다. 이들은 적당한 동질 혹은 이질의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로 만들 수 있다. 또,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디스크 팩(158)은 제1도 및 제2축방향 정렬된 커플링 부재(74,76)(제9도에는 약간 오배열된 것으로 도시됨)간에 서로 볼트체결된 중간 커플링 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4개의 개별적 가요성 디스크를 도시하였지만 몇개라도 사용가능하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커플링 부재(74)에는 구동축(12)에 알맞는 구멍을 가진 중간 허브(100)로부터 연장되는 3개의 스파이더형 아암(102,104,106)이 형성된다. 고정나사(82)는 구동축(112)에 커플링 부재(74)를 연결 고정하는데 채택된다. 마찬가지로, 종동 커플링 부재(76)에는 종동축(114)에 알맞도록 구멍을 함유하는 중간 허브(200)로부터 연장되는 3개의 스파이더형 아암(202,204,206)이 형성된다.
고정나사(182)는 커플링 부재(76)를 종동축(114)에 고정하도록 제공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키이홈과 키이를 잘 알려진 방법으로 키이 자체상에 로킹하는 고정나사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스파이더형 아암을 가진 커플링 부재를 도시하였으나, 다른 형상,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내에 드는 한 예를들어 원형도 채택 가능하다.
제8도 및 제9도는 볼트배치 구조를 도시한다. 동일한 일련의 볼트(108)는 후술한 바와같이 사용된다. 볼트(108)는 (제8도의 1시 방향위치로 도시한 바와같이) 돌기(63)의 아암(87)을 구동부재(74)의 아암에 고정한다. 다른 볼트(108)는 (제8도의 9시 방향위치로 도시한 바와같이) 돌기(62)의 아암(75)을 구동부재(74)의 아암(104)에 고정한다. 또 다른 볼트(108)는 돌기(64)의 아암(97)을 구동부재(74)의 아암(106)에 고정한다. 마찬가지로, 종동부재(76)의 아암(202,204,206)은 돌기(63,62,64)의 아암(77,96,86)에 각각 볼트 체결된다. 이리하여, 각 돌기는 구동 및 종동 커플링 부재에 부착되며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동되는 과정에서 휘어진다.
제8도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같이 회전방향이 반시계 방향이라고 가정하면 돌기(62,63,64)는 모두 인장하에 배치되는데 이는 각 아암(75,87,97)이 각 스파이더 아암(104,102,106)에 의해 견인되기 때문이다. 각 커넥터부(65,67,69)(제7도 참조)는 전단하에 배치된다. 이런 구조에서는 칼럼 방향의 버클링이 일어나지 않는다. 제8도에서 회전방향을 시계방향으로 선택하면 돌기(62,63,64)는 모두 압축하에 배치되는데, 이는 각 아암(75,87,97)가 각 스파이더 아암(104,102,106)에 의해 밀려지기 때문이다. 재료의 기질상의 압축력의 효과로 인해 프레팅은 억제된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서 중간 허브는 제5도의 설명에서 검토한 바에 의해 제안된 바와같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그 배치 구조는 제10도의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구동축(312)에는 종래의 방법으로 키이 및 고정나사에 의해 축(312)에 고정된 외향 연장 허브(300)를 갖는 제1커플링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일련의 4개의(제10도에는 3개만 도시함) 접근구멍(305)은 커플링 부재(374)를 통해 통과한다. 4개의 볼트(308)는 제1디스크 팩(358)에 체결하는 적당한 구멍을 통해 커플링 부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모든 볼트는 스페이서와셔(306)와 너트(304)에 의해 조립된다. 각 개별 디스크는 제7도에 도시한 방법으로 형성된다. 이런 디스크를 각 디스크 팩에 대해 4개를 제10도에 도시한 바 있으나 몇개라도 사용 가능하다. 각 디스크는 스페이서(도시 않음)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디스크 팩(360)은 디스크 팩(358)과 유사한 구조로 되어있다. 돌기(362)에는 그 아암의 단부에 관통구멍(370,372)이 제공되어 있고, 돌기(363)에는 그 아암의 단부에 관통구멍((380,382)이 제공되어 있고, 돌기(364)에는 그 아암의 단부에 관통구멍(390,392)이 제공되어 있다.
볼트(308)는 구멍(293,290,380,382)을 관통하여 구동 커플링 부재(274)에 돌기(362,364)를 체결시킨다. 돌기(362)는 중간 허브(320)에 체결된다. 허브(320)는 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중앙 개구(330)를 갖는다. 허브(320) 외면에는 4개의 보스(322,324,326,328)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은 각각 볼트(308)를 수용하는 관통구멍을 갖는다.
돌기(362)는 보스(324,326)와 구멍(372,370)을 통과하는 볼트에 의해 중간 허브(320)에 체결된다. 마찬가지로 디스크 팩(360)의 돌기(462)는 보스(322,328)와, 돌기(462)의 아암 단부의 구멍을 통과하는 볼트(308)에 의해 중간 허브(320)에 체결된다. 디스크 팩(360)의 돌기(463,464)는 부재(376)의 구멍(307)과 돌기의 적절한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308)에 의해 제2커플링 부재(376)에 고정된다. 커플링 부재는 다시 종동축(314)에 체결된다. 이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중간 허브를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일련의 중간 허브(일련의 디스크 팩과 결합된)를 보다 큰 오배열을 보상하기 위해 채택할 수도 있다.
중간 허브를 사용하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커플링 장치를 쓰면, 디스크 팩은 위시-본식으로 기능하게 되며, 즉 중간 허브에 체결된 돌기에 인접한 실제 내부 링부에 휨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휨이 발생되면 휨 길이가 증가되고 결국 측부 힘은 저하되고 각도 오배열 능력 및 상당히 높은 축방향 변위를 일으킨다.
이는 나선형 다이아프램 및 디스크 커플링에 비하면 장치의 토오크 전달능력과 절충 없이도 허용된다. 제5도 및 제12도에서 디스크 팩은 이중 위시-본 플렉스식으로 기능한다. 중간 허브에 체결된 돌기는 따라서 커플링 장치가 작동중일 때 견인 또는 축출되며 그 내부링에 대한 커넥터부는 전단력을 받게 된다. 그 돌기는 근본적으로 구동 및 종동 커플링 부재에 체결되어 플렉스 모드시에 부동 요소가 되지만 각 돌기의 양단부는 동일 부재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토오크 전달 시스템의 일부가 된다. 이들 돌기에는 원래 가요성이 없고 굽혀지지 않는다. 이런 배치구조에 따르면 전단에 의해 처리되기 때문에 오배열 취급능력과 토오크 전달능력을 증가하게 된다.
프레팅 동작은 볼트의 피로 문제와 함께 제거되는데, 이는 돌기 단부 부착점에서 돌기 아암이 굽혀지지 않기 때문이다. 돌기는 칼럼 방향 버클링을 전혀 받지 않게 된다.
중간 허브를 채택하는 경우에는 또 다른 형태의 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1도에서, 내부링 대신에 디스크(558)에 내향 정렬된 돌기(562,563,564)를 갖는 외부 링(560)이 제공된다. 돌기(562,563)는 구동 커플링 부재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돌기(564)는 중간 허브에 연결되어 있다. 중간 허브의 다른쪽에 동종의 디스크나 디스크 팩을 설치하면 그 돌기(562,563)는 종동 커플링 부재에 연결된다. 이런 커플링 장치에서는 돌기의 아암에 칼럼 방향 버클링이 전혀 없고 토오크 부하의 대부분은 돌기의 외부 링에의 연결부에서 전단력으로 운반된다. 제12도에는 4개의 돌기(662,663,664,665)가 디스크(658)내의 내부 토오크 반응 링(660)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돌기를 구동 및 종동 커플링 부재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결하는 경우, 디스크는 고체 힌지된 짐발의 기능을 하며 큰 각도 오배열이 허용된다. 중간 허브를 사용하면 두개의 돌기(즉 B에 연결된 돌기)는 중간 허브에 연결되며 디스크 팩은 구동 커플링 부재에 연결된 두개의 대향 돌기를 갖는 중간 허브의 다른쪽에 채택된다. 이 배치구조는 각도 오배열 뿐만 아니라 평행 오배열도 허용된다. 최대 토오크 전달시에 내부 허브 개구는 작은 구멍으로 감소되어 가요성 디스크(또는 디스크 팩)를 중간부재에 고체 클램핑하게 한다. 가요성 디스크를 이렇게 부착하면 판 버클링에 대해 억제력이 작용하여 극도로 높은 전이형태 또는 연속 형태의 오배열에서 극히 높은 토오크 전달을 가능케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크(758)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채택될 수 있다. 디스크(758)에는 외부 토오크 반응링(760)과 내부 토오크 반응링(740)이 형성되어 있다. 3개의 돌기(762,763,764,)는 내부 및 외부 링간에 연결되어 있다. 중간 허브를 사용하는 경우 볼트 연결은 제13도와 같으며, 이는 유사한 디스크나 디스크 팩을 중간 허브의 다른쪽에 배치하고 또 구동 커플링 부재 A 대신에 B 또는 종동 커플링 부재에 연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극도로 높은 각도 오배열은 극도로 큰 토오크에서도 보상이 가능하다. 돌기의 커넥터부는 내부 및 외부 비틀림 링을 사용하기 때문에 2중 전단을 받게 된다. 상술한 위시-본 플랙싱은 내부 및 외부 링의 돌기에의 연결부에서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내에서, 디스크의 다른 배치 및 중간 허브를 사용한 다른 조합도 채택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예를들어 디스크를 커플링의 외측 단부에 배치하는 경우(즉, 구동 허브와 종동 허브가 인접배치되는 경우), 이들 돌기에 인접한 링부의 일부분을 제거하여 링이 C자형, 즉 개방단부를 갖게(돌기도 C의 개방부 부근에서 길이를 줄일 수 있음)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디스크 팩은 각 축으로부터 그에 결합된 구동 또는 종동 커플링 부재를 분해할 필요없이 디스크를 쉽게 제거하도록 커플링 장치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제5도, 제7도 및 제12도에서와 같은 내부링과 제11도에 도시한 외부링을 갖는 디스크로도 행할 수 있으며 내부 및 외부링을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용할 때도 가능하다. 이런 구조는 제11a도에 예로서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디스크(558)에는 외부링(560)이 제공되어 있고 개구(559)는 돌기(563,562)를 줄여서 만들어지고 그래서 링(560)을 C자형으로 형성하게 된다.

Claims (38)

  1.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에서, (가) 가요성 편평 디스크형 커플링 요소를 구비하며; 이 커플링 요소는 1) 적어도 세측면을 가지는 폐다각형을 형성한 설정된 개수의 커넥터바를 포함하며, 각 커넥터바는 2개의 단부를 가지고 각 커넥터바와 각 단은 다른 커넥터바의 일단에 연결되는 허브부와; 2) 허브부와 격리된 복수개의 돌기와; 3) 돌기들을 허브부에 연결하며, 허브부와 대응 돌기 사이에서 두개의 커넥터바가 연결된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복수의 커넥터부를 포함하며; 4) 각 돌기는 커넥터부에 함께 인접하여 연결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하여 자유단에서 끝나는 한쌍의 아암을 가지며; 5) 돌기들에는 돌기들을 구동 및 종동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아암의 자유단부위에 형성한 설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2. 제1항에 있어서, 커넥터바의 설정개수는 커넥터부의 개수 및 돌기의 개수와 일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3. 제1항에 있어서, (가) 커넥터바의 설정된 개수는 3개 이고; (나) 커플링 요소는 3개의 커넥터바의 연결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3개의 대응 커넥터부에 의해 허브부에 간격을 두고 연결된 3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4. 제3항에 있어서, (가) 커넥터바는 델타 형상의 폐다각형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직선부를 포함하며; (나) 각 커넥터부는 델타형상의 허브부의 끝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5. 제3항에 있어서, (가)커넥터바는 만곡부를 포함하고 무한수의 측면을 가지는 링 형상 폐다각형 각 허브부를 형성하도록 배열되며; (나) 복수의 커넥터부는 링형상의 허브부 둘레로 대략 등간격을 이루며; (다) 돌기들은 복수개의 커넥터부에 의해 링현상의 허브부에 접선방향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6. 제1항에 있어서, (가) 커넥터바에 설정된 개수는 4개이고: (나) 커플링 요소는 4개의 커넥터바 연결 단부에 인접 위치되어 4개의 대응 커넥터부에 의해 허브부와 격리연결되는 4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7. 제6항에 있어서, (가) 커넥터바는 무한개수의 측면을 가지는 링형 폐다각 허브부를 형성하도록 배열되고 만곡부를 포함하며; (나) 복수의 커넥터부는 링형상 허브부 둘레로 대략 등간격을 이루며; (다) 돌기들은 복수의 커넥터부에 의해 링형상 허브부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8. 제1항에 있어서, 돌기들의 아암은 실제로 같은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9. 제1항에 있어서, 돌기들의 아암은 실제로 대칭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재 가요성 커플링.
  10. 제1항에 있어서, 돌기들의 아암은 허브부의 윤곽을 따라 서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11. 제1항에 있어서, 설치수단은 돌기들을 구동 및 종동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볼트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12. 제1항에 있어서, 설치수단은 구동 및 종동부재 사이에서 구동열에 위치한 중간 허브에 선택된 돌기들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13. 제1항에 있어서, 커플링 요소는 허브부에서 연장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러그부를 포함하며, 러그부는 러그부를 구동 또는 종동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14. 제1항에 있어서, (가) 허브부는 내부 및 외부 허브부를 포함하며; (나) 복수개의 커넥터부는 내부 허브부에 각 돌기를 결합시키는 복수의 제1커넥터부와, 외부 허브부에 각 돌기를 결합시키는 복수의 제2커넥터부를 포함하고; (다) 돌기들은 내부 및 외부 허브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15.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에서, (가) 가요성 편평 디스크형 커플링 요소를 구비하며 : 이 커플링 요소는 1) 적어도 세측면을 가지는 폐다각형을 형성한 설정된 개수의 커넥터바를 포함하며, 각 커넥터바는 2개의 단부를 가지고, 각 커넥더바의 각단은 다른 커넥터바의 일단에 연결되는 내부 허브부와; 2) 내부 허브부에서 외측으로 격리된 복수개의 돌기와; 3) 돌기들을 내부 허브부에 결합하며, 허브부와 대응 돌기 사이에서 두개의 커넥터바가 연결된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복수의 커넥터부를 포함하며; 4) 각 돌기들은 커넥터부에 함께 인접 연결되고, 내부 허브부의 윤곽을 따라서 원주상에서 반대방향으로 서로 연장되어 자유단에서 끝나는 한쌍의 아암을 가지며; 5) 돌기들에는 돌기들을 구동 및 종동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아암의 자유단부위에 근접하는 설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16.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에서, (가) 가요성 편평 디스크형 커플링 요소를 구비하며, 이 커플링 요소는 1) 적어도 세측면을 가지는 폐다각형을 형성한 설정된 개수의 커넥터바를 포함하며, 각 커넥터바는 2개의 단부를 가지고 각 커넥터바의 각단은 다른 커넥터바의 일단에 연결되는 외부 허브부와; 2) 외부 허브부에서 내부로 격리된 복수개의 돌기와; 3) 돌기들을 외부 허브부에 결합하며, 허브부와 대응 돌기 사이에서 두개의 커넥터바의 연결된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복수의 커넥터부를 포함하며; 4) 각 돌기는 커넥터부에 함께 인접하여 연결되며, 외부 허브부의 윤곽을 따라 원주상에서 반대방향으로 서로 연장하여 자유단에서 끝나는 한쌍의 아암을 가지며; 5) 돌기들에는 돌기들을 구동 및 종동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아암의 자유단부위에 형성한 설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17. 구동축을 종동축에 결합하는 커플링 장치에서, (가) 구동축 및 종동축에 각각 설치시키되, 각 축과 방사상으로 위치된 복수개의 설치기구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커플링 수단과; (나) 커플링 수단들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편평 디스크형 커플링 부재를 구비하며; 이 커플링 부재는 1) 적어도 세측면을 가지는 폐다각형을 형성한 설정된 개수의 커넥바를 포함하며, 각 커넥바는 2개의 단부를 가지고, 각 커넥터바의 각단은 다른 커넥터바의 일단에 연결되는 허브부와; 2) 허브부와 격리된 복수개의 돌기와; 3) 돌기들을 허브부에 결합하며, 허브부와 대응 돌기 사이에서 두개의 커넥터바가 연결된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복수의 커넥터부를 포함하며; 4) 각 돌기는 커넥터부에 함께 인접하여 연결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하여 자유단에서 끝나는 한쌍의 아암을 가지며; 5) 돌기들에는 돌기들을 구동 및 종동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아암들의 자유단부위에 형성한 설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을 종동축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가) 허브부는 내부 허브부를 포함하며; (나) 복수개의 돌기는 내부 허브부에서 외측으로 격리된 돌기들을 포함하며; (다) 복수개의 커넥터부는 돌기들을 내부 허브부에 결합시키는 복수의 제1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을 종동축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가) 허브부는 외부 허브부를 포함하며; (나) 복수개의 돌기는 외부 허브부에서 내부로 격리된 돌기들을 포함하며; (다) 복수개의 커넥터부는 돌기들을 외부 허브부에 연결하기 위한 어느 복수개의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을 종동축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가) 허브부는 또한 외부 허브부를 포함하며, 외부 허브부는 복수의 돌기들로부터 외부로 격리되며; (나) 복수의 커넥터부는 돌기들을 외부 허브부에 결합하는 복수의 제2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을 종동축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장치.
  21. 구동축을 종동축에 구동열로 결합하는 커플링 장치에서, (가) 구동축과 종동축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커플링 부재와; (나) 제1 및 제2커플링 부재사이에서 구동열로 위치되는 중간 커플링 부재와; (다) 각 커플링 부재에 형성된 회전축과 각 커플링 부재의 회전축에서 방사상으로 위치된 복수의 설치 기구와; (라) 중간 커플링 부재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한쌍의 가요성 편평 디스크 부재로 구성되며; 각 디스크 부재는 1) 적어도 세측면을 가지고 폐다각형을 형성하는 설정된 개수의 커넥터바를 포함하며, 각 커네터바는 2개의 단부를 가지고, 각 커넥터바의 각단은 다른 커넥터바의 일단에 연결되는 허브부와; 2) 허브부와 격리된 복수개의 돌기와; 3) 돌기들을 허브부에 연결하며, 허브부와 대응 돌기 사이에서 두개의 커넥터바가 연결된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복수의 커넥터부를 포함하며; 4) 각 돌기는 커네넥터부에 함께 인접하여 연결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하여 자유단에서 끝나는 한쌍의 아암을 가지며; 5) 돌기들에는 제1 및 중간 커플링 부재 사이에 위치된 디스크 부재의 돌기들이 제1 및 중간 커플링 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중간 및 제2커플링 부재 사이에 위치된 디스크 부재의 돌기들이 중간 및 제2커플링 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돌기들을 커플링 부재의 설치기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돌기들의 암 자유단부위에 형성한 근접한 설치수단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을 종동축에 구동열로 결합하는 가요성 커넥터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가) 허브부는 내부 허브부를 포함하며: (나) 복수개의 돌기는 내부 허브부 외측으로 격리된 돌기들을 포함하고; (다) 복수의 커넥터부는 돌기들을 내부 허브부로 결합하는 복수개의 제1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을 종동축에 구동열로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가) 허브부는 외부 허브부를 포함하며; (나) 복수개의 돌기는 외부 허브부에서 내측으로 격리된 돌기들을 포함하고; (다) 복수개의 커넥터부는 돌기들을 외부 허브부로 결합하기 위한 어느 복수개의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을 종동축에 구동열로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가) 허브부는 또한 외부 허브부를 포함하고, 외부 허브부는 복수개의 돌기에서 외부로 격리되며; (나) 복수개의 커넥터부는 돌기들을 외부 허브부로 결합하는 복수개의 제2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을 종동축에 구동열로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장치.
  25. 제1작동구조로 조립된 제17항에 있어서, (가) 제1돌기의 제1설치수단은 제1커플링 수단의 설치기구에 결합되고; (나) 제1돌기의 제1설치수단은 제2커플링 수단의 설치기구에 결합되며; (다) 제2돌기의 제1설치수단은 제1커플링 수단의 설치기구에 결합되고; (라) 제2돌기의 제2설치수단은 제2설치기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을 종동축에 구동열로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장치.
  26. 제2작동구조로 조립된 제17항에 있어서, (가) 제1돌기의 제1 및 제2설치수단은 제1커플링 수단의 설치기구에 결합되며; (나) 제2돌기의 제1 및제2설치수단은 제2커플링 수단의 설치기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을 종동축에 구동열로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장치.
  27. 제1작동구조로 조립된 제21항에 있어서, (가) 제1디스크 부재의 특정돌기의 제1설치수단은 제1커플링 부재의 설치기구에 결합되고; (나) 제1디스크 부재의 특정돌기의 제2설치수단은 중간 커플링 부재의 설치기구에 결합되며; (다) 제2디스크 부재의 특정돌기의 제1설치수단은 제2커플링 부재의 설치기구에 결합되고; (라) 특정돌기의 제2설치수단은 중간 커플링 부재의 설치기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을 종동축에 구동열로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장치.
  28. 제2작동구조로 조립된 제21항에 있어서, (가) 제1디스크 부재의 제1돌기의 설치수단은 제1커플링 부재의 설치기구에 결합되고; (나) 제1디스크 부재의 제2돌기의 설치수단은 중간 커플링 부재의 설치기구에 결합되며; (다) 제2디스크 부재의 제1돌기의 설치수단은 제2커플링 부재의 설치기구에 결합되고; (라) 제2디스크 부재의 제2돌기의 설치수단은 중간 커플링 부재의 설치기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을 종동축에 구동열로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장치.
  29.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에서, (가) 가요성 편평 디스크형 커플링 부재를 구비하며, 이 커플링 부재는 1) 링형상 허브부와; 2) 링형상 허브부에서 격리된 복수개의 돌기와; 3) 돌기들을 링형상 허브부에 접선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커넥터부를 포함하며, 각 커넥터부는 링형상 허브부와 대응 돌기 사이에 위치되며; 4) 각 돌기는 커넥터부에 함께 인접 연결되어, 링형상 허브부의 윤곽을 따라 원주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하여 자유단에서 끝나는 한쌍의 아암을 가지며; 5) 돌기들에는 돌기들을 구동 및 종동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만곡아암 자유단부위에 형성한 설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30. 제29항에 있어서, 설치수단은 구동 및 종동부재 사이에서 구동열로 위치되는 중간 허브부재에 선택된 돌기를 연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31. 제29항에 있어서, 커플링 부재는 링형상 허브부에서 연장하여 결합되는 러그부를 포함하며, 러그부는 구동 또는 종동부재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32. 제29항에 있어서, (가) 링형상 허브부는 내부 링형상 허브부를 포함하고; (나) 복수개의 커넥터부는 각 돌기를 내부 링형상 허브부에 결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다) 돌기들은 내부 링형상 허브부에서 외부로 격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33. 제29항에 있어서, (가) 링형상 허브부는 외부 링형상 허브부를 포함하고; (나) 복수개의 커넥터부는 각 돌기를 외부 링형상 허브부에 결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다)돌기들은 외부 링형상 허브부에서 내부로 간격을 두고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34. 제29항에 있어서, (가) 링형상 허브부는 내부 및 외부 링형상 허브부를 포함하고; (나)복수개의 커넥터부는 각 돌기를 내부 허브부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커넥터부와 각 돌기를 외부 링형상 허브부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커넥터부를 포함하며; (다)돌기들은 내부 및 외부 링형상 허브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35. 구동축의 종동축에 결합하는 제1작동구조로 조립된 가요성 커플링 장치에서, 가요성 커플링은 (가)구동 및 종동축에 각각 부착되고 각축과 방사상으로 위치된 복수개의 설치기구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커플링 수단과; (나) 커플링 수단들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편평 디스크형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형 커플링 부재는 1) 링형상 허브부와; 2) 링형상 허브부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돌기와; 3) 돌기들을 링형상 허브부에 접선방향으로 연결하며 링형상 허브부와 대응 돌기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복수의 커넥터부를 포함하며; 4) 각 돌기는 커넥터부에 함께 인접하여 연결되는 한쌍의 만곡아암을 가지며, 만곡아암은 링형상 허브부의 윤곽을 따라 원주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하여 자유단에서 끝나며; 5) 돌기들에는 돌기들을 제1 및 제2커플링 수단의 설치기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돌기들의 만곡암 자유단부위에 형성한 설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1돌기의 제1설치수단은 제1커플링수단의 설치기구에 연결되며, 제1돌기의 제2설치수단은 제2커플링 수단의 설치기구에 연결되고, 제2돌기의 제1설치수단은 제1커플링 수단의 설치기구에 연결되며, 제2돌기의 제2설치 수단은 제2커플링 수단의 설치기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을 종동축에 구동열로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장치.
  36. 구동축을 종동축에 결합하는 제2작동구조로 조립된 가요성 커플링 장치에서, 가요성 커플링은 (가) 구동 및 종동축에 각각 부착되고, 각축과 방사상으로 위치된 복수개의 설치기구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커플링 수단과; (나) 커플링 수단들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편평 디스크형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형 커플링 부재는 1) 링형상 허브부와; 2) 링형상 허브부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돌기와; 3) 돌기들을 링형상 허브부에 접선방향으로 연결하며 링형상 허브부와 대응 돌기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복수의 커넥터부를 포함하며; 4) 각 돌기는 커넥터부에 함께 인접하여 연결되는 한쌍의 만곡아암을 가지며, 만곡아암은, 링형상 허브부의 윤곽을 따라 원주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하여 자유단에서 끝나며; 5) 돌기들에는 돌기들을 제1 및 제2커플링 수단의 설치기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만곡아암 자유단부위에는 설치수단이 형성되며, 제1돌기의 설치수단은 제1커플링 수단의 설치 기구에 연결되고, 제2돌기의 설치수단은 제2커플링 수단의 설치 기구에 연결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을 종동축에 구동열로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장치.
  37. 구동축을 종동축에 구동열로 결합하는 제1작동구조로 조립된 가요성 커플링 장치에서, (가) 구동 및 종동축에 각각 부착하기 위한 제1 및 제2커플링 부재와; (나) 제1 및 제2커플링 부재 사이에서 구동열로 위치된 중간 커플링 부재와; (다) 각 커플링 부재의 회전축에서 방사상으로 위치된 복수개의 설치기구; 및 (라) 중간 커플링 부재의 양측에 위치되는 한쌍의 가요성 편평 디스크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형부재는 각각 1) 링형상 허브부와; 2) 링형상 허브부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돌기와; 3) 돌기들을 링형상 허브부에 접선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커넥터부를 포함하며, 각 커넥터부는 링형상 허브부와 대응 돌기 사이에 위치되며; 4) 각 돌기는 커넥터부에 함께 인접 연결되는 한쌍의 만곡암을 가지며, 링형상 허브부의 윤곽을 따라 원주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하여 자유단에서 끝나고; 돌기들에는 돌기들을 제1, 제2 및 중간 커플링 수단의 설치기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돌기들의 만곡암 자유단부위에 형성한 설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1디스크 부재의 특정 돌기에 형성한 제1설치수단은 제1커플링 부재의 설치기구에 연결되며, 제1커플링 부재의 특정 돌기에 형성한 제2설치수단은 중간 커플링 부재의 설치기구에 연결되며, 제2커플링 부재의 특정 돌기에 형성한 제1설치수단은 제2커플링 부재의 설치기구에 연결되며, 특정 돌기에 형성한 제2설치 수단은 중간 커플링 부재의 설치기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을 종동축에 구동열로 결합한는 가요성 커플링 장치.
  38. 구동축을 종동축에 구동열로 결합하는 제1작동구조로 조립된 가요성 커플링 장치에서, (가) 구동 및 종동축에 각각 부착하기 위한 제1 및 제2커플링 부재와; (나) 제1 및 제2 커플링 부재 사이에서 구동열로 위치된 중간 커플링 부재와; (다) 각 커플링 부재의 회전축에서 방사상으로 위치된 복수개의 설치기구; 및 (라) 중간 커플링 부재의 양측에 위치되는 한쌍의 가요성 편평 디스크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형 부재는 각각 1) 링형상 허브부와; 2) 링형상 허브부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돌기와; 3) 돌기들을 링형상 허브부에 접선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커넥터부를 포함하며, 각 커넥터부는 링형상 허브부와 대응 돌기 사이에 위치되며; 4) 각 돌기들은 커넥터부에 함께 인접 연결되는 한쌍의 만곡아암을 가지며, 링형상 허브부의 윤곽을 따라 원주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하여 자유단에서 끝나고; 5) 돌기들에는 돌기들을 제1, 제2 및 중간 커플링 수단의 설치기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돌기들의 만곡암 자유단부위에 형성한 설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1디스크 부재의 제1돌기의 설치수단은 제1커플링 부재의 설치기구에 연결되며, 제1디스크 부재의 제2돌기의 설치수단은 중간 커플링 부재의 설치기구에 연결되며, 제2디스크 부재의 제1돌기 수단의 설치수단은 제2커플링 부재의 설치기구에 연결되며, 제2디스크 부재의 제2돌기의 설치수단은 중간 커플링 부재의 설치기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을 종동축에 구동열로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장치.
KR1019900702010A 1989-01-12 1990-01-12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KR9700049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9657789A 1989-01-12 1989-01-12
US296,577 1989-01-12
US296577 1989-01-12
PCT/US1990/000265 WO1990008268A1 (en) 1989-01-12 1990-01-12 Flexible coupling for joining a driving member to a driven me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700418A KR910700418A (ko) 1991-03-15
KR970004921B1 true KR970004921B1 (ko) 1997-04-08

Family

ID=23142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2010A KR970004921B1 (ko) 1989-01-12 1990-01-12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454732B1 (ko)
JP (1) JPH04502663A (ko)
KR (1) KR970004921B1 (ko)
AU (1) AU4847990A (ko)
DE (1) DE69026074T2 (ko)
WO (1) WO1990008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33596C1 (ko) * 1990-10-23 1992-02-27 Loehr & Bromkamp Gmbh, 6050 Offenbach, De
DE19840987A1 (de) * 1998-09-08 2000-03-09 Mayr Christian Gmbh & Co Kg Lamelle für Wellenkupplu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6208A (en) * 1934-12-01 1936-06-30 Paulsen Jean Felix Resilient transmission disk
US2386017A (en) * 1942-04-24 1945-10-02 Thompson Prod Inc Universal joint
US2855767A (en) * 1952-03-20 1958-10-14 Svenska Rotor Maskiner Ab Yieldable coupling
US3635050A (en) * 1969-11-25 1972-01-18 Woodward Governor Co Drive transmission with universal couplings
NL7400886A (nl) * 1974-01-23 1975-07-25 Philips Nv Flexibele askoppeling.
GB1500623A (en) * 1976-03-15 1978-02-08 R & D Marine Ltd Rotary damping couplings
US4321805A (en) * 1979-06-01 1982-03-30 Kaman Aerospace Corporation Rotary drive flexible coupling
DE3601080C1 (de) * 1986-01-16 1987-07-23 Freudenberg Carl Fa Kupplung
GB2193787B (en) * 1986-08-11 1989-12-20 Torrington Co Coupling member for taking up torque in a vehicle steering column and a vehicle steering column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502663A (ja) 1992-05-14
DE69026074T2 (de) 1996-09-05
AU4847990A (en) 1990-08-13
KR910700418A (ko) 1991-03-15
EP0454732A4 (en) 1991-11-27
EP0454732B1 (en) 1996-03-20
DE69026074D1 (de) 1996-04-25
EP0454732A1 (en) 1991-11-06
WO1990008268A1 (en) 1990-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7157A (en) Flexible disc-like coupling element
US4729753A (en) Constant velocity elastomeric bearing joint
US4033144A (en) Flexible coupling
US4690661A (en) Torsional stress distribution flexible coupling
US3791170A (en) Coupling
JPS6179028A (ja) 高弾性軸継手
JPS6249493B2 (ko)
US1947052A (en) Power transmission coupling
US2883839A (en) Flexible drive shaft
KR970004921B1 (ko) 구동부재를 종동부재에 결합하는 가요성 커플링
US3874195A (en) Shaft couplings
JPH02262481A (ja) スプロケットアセンブリ
US4664642A (en) High elasticity flexible shaft coupling
EP0173814B1 (en) Metal flexing coupling
GB2192969A (en) A universal joint for interconnecting shafts
US3500659A (en) Flexible coupling with elastomer plate
WO1991016550A1 (en) Flexible coupling for joining a driving member to a driven member
US5176575A (en) Flexible coupling comprising modular components
US3062025A (en) Flexible couplings
JPS62194030A (ja) フレキシブルカツプリング
CA2027902C (en) Flexible coupling for joining a driving member to a driven member
JPH06221339A (ja) 回転伝動軸用軸継手
EP0095264B1 (en) Improvements in flexible couplings
EP0250404B1 (en) Improvements in centrifugal couplings
JPH03320A (ja) たわみ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6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