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10112B1 - 영상신호 합성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신호 합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10112B1
KR910010112B1 KR1019880002099A KR880002099A KR910010112B1 KR 910010112 B1 KR910010112 B1 KR 910010112B1 KR 1019880002099 A KR1019880002099 A KR 1019880002099A KR 880002099 A KR880002099 A KR 880002099A KR 910010112 B1 KR910010112 B1 KR 910010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deo signal
composite video
carrier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2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2089A (ko
Inventor
도시오 이데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시기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049410A external-priority patent/JP28124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49409A external-priority patent/JP27738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49408A external-priority patent/JP27738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6660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2080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시기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2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2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10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44Colour synchronisation
    • H04N9/45Generation or recovery of colour sub-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44Colour synchronisation
    • H04N9/475Colour synchronisation for mutually locking different synchronisation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영상신호 합성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신호 합성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블럭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신호 합성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블럭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신호 합성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블럭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블럭 회로도.
제5도는 종래의 영상신호 합성장치의 블럭 회로도.
본 발명은 영상신호 합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러개의 복합 영상 신호가 동시에 입력되어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중 1개를 주화면으로 하고, 나머지를 부화면으로하여 이 부화면이 축소 화면으로 되어 주화면에 삽입된 합성화면을 표시하는 합성 복합영상 신호를 얻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5도는 소위 픽쳐인 픽쳐의 신호를 복합 영상 신호로 얻는 영상신호 합성장치, 즉 주화면에 대해서 다른 부화면이 축소 화면으로 되어 삽입된 합성화면을 표시하는 복합 영상 신호를 얻는 장치의 종래예를 도시한 블록 회로도이다. 이 종래예에서는 부화면이 1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제5도에 있어서 (11)는 주화면을 되는 제1의 복합 영상 신호(이하, ″주화면 신호″라 한다)(1)이 입력되는 제1의 입력단, (12)는 제1의 YC분리기, (13)는 제1의 크로마(색신호)복조기, (14)는 제1의 동기 신호 분리기, (15)는 부화면으로 되는 제2의 복합영상신호(이하, ″부화면 신호″라 한다)(2)가 입력되는 제2의 입력단, (16)는 제2의 YC 분리기, (17)은 제2의 크로마(색신호)복조기, (18)는 제2의 동기 신호 분리기, (19),(20),(21)은 제1,제2,제3의 AD 변환기(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22),(23),(24)는 라이트와 리드를 동시에, 또는 서로 비동기의 타이밍으로 행할 수 있는 제1,제2,제3의 디지털 메모리, (25),(26),(27)은 제1,제2,제3의 DA 변환기(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 (28)은 아날로그 스위치, (29)는 크로마 변조기, (30)은 YC 가산기, (31)은 출력단, (32),(33)은 제1,제2의 디지털 신호 처리계 제어기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의 입력단(11)에서 입력된 주화면 신호(1)은 제1의 YC 분리기(12)에 의해 제1의 휘도신호(34) 및 제1의 색부 반송파 신호(35)로 분리된다. 이 제1의 색부 반송파 신호(35)는 제1의 크로마 복조기(13)에 의해 제1의 적색차 신호(36) 및 제1의 청색차 신호(37)로 복조된다. 한편, 제2의 입력단(15)에서 입력된 부화면 신호(2)는 제2의 YC 분리기(16)에 의해 제2의 휘도신호(38) 및 제2의 색부 반송파 신호(39)로 분리된다. 이 제2의 색부 반송파 신호(39)는 제2의 크로마 복조기(17)에 의해 제2의 적색차 신호(40) 및 제2의 청색차 신호(41)로 복조된다. 제1,제2,제3의 AD 변환기(19),(20),(21)은 제2의 휘도신호(38), 제2의 청색차 신호(40), 제2의 청색차 신호(41)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1,제2,제3의 디지털 메모리(22),(23),(24)에 라이트한다. 이때 라이트 제어에 필요한 제1,제2의 제어신호(42),(43)은 제1의 디지털 신호 처리계 제어기(32)에서 발생되지만, 이들의 타이밍은 제2의 동기 신호 분리기(18)이 분리하는 동기 신호(44)에 동기, 즉 부화면 신호에 동기하고 있다.
다음에 제1,제2,제3의 디지털 메모리(22),(23),(24)에서 그 내용을 리드할 때 부화면의 축소, 즉 시간방향의 압축을 행한다. 시간 방향의 압축은 리드할때에 디지털 메모리(22),(23),(24)의 내용을 주사하는 속도를 라이트할때의 K배(K〉1)로 하면 실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시간방향으로 1/K로 압축된 디지털 신호로 된다. 그리고, 이시간 방향으로 압축된 디지털 신호는 제1,제2,제3의 DA 변환기(25),(26),(27)에 의해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이 디지털 신호처리계를 거쳐서 제2의 휘도신호(38), 제2의 적색차 신호(40), 제2의 청색차 신호(41)은 각각 시간 압축된 제3의 휘도신호(45), 제3의 적색차 신호(46), 제3의 청색차 신호(47)로 변환된다.
여기에서 리드할 때에 필요한 제3,제4의 제어신호(48),(49)는 제2의 디지털 신호 처리계 제어기(33)에서 발생되지만 이들의 타이밍은 제1의 동기 신호 분리기(14)가 분리하는 동기 신호(50)에 동기, 즉 주화면 신호(1)에 동기하고 있다. 이미 얻어진 제3의 휘도신호(45), 제3의 적색차 신호(46), 제3의 청색차 신호(47)도 여기에 동기하고 있다.
3계통의 아날로그 스위치(28)은 주화면 신호와 시간 압축된 부화면 신호의 시분할 다중에 이용되고, 이 아날로그 스위치(28)의 절환 명령 신호(51)은 주화면 신호와 동기한 타이밍으로 되어 있다. 아날로그 스위치(28)이 시분할 다중화한 결과는 휘도 신호, 적색차 신호, 청색차 신호로 분리된 상태이기 때문에 크로마 변조기(29)에 있어서 색부 반송파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후 가산기(30)에 있어서의 휘도 신호와 가산하여 목적으로 하는 합성 복합 영상 신호(3)을 출력단(31)에서 얻는다.
종래의 영상신호 합성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특히 시간 압축을 행할 필요가 없는 주화면 신호(1)에 대해서도 복조, 변조를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이것이 화질의 열화를 초래하는 원인으로 되고, 시분할 다중을 위한 아날로그 스위치가 3계통 필요하여 이것이 부화면의 갯수를 증가시켰을 때 큰 비용이 드는 등의 문제가 있고, 또한 출력되는 합성화면에 있어서의 부화면의 동기신호와 색부반송파 신호는 주화면에 대해서 종속적이다. 즉, 주화면이 결손이면 부화면도 종속적으로 출력될 수 없게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것은 여러개의 화면을 동시에 모니터 하면서 편집을 행할때에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주화면의 화질의 열화를 없애고, 더욱이 부화면의 갯수에 관계없이 아날로그 스위치를 1계통으로 할 수 있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주화면 신호 결손시에 있어서도 부화면이 동시에 또한 색상의 흐트러짐이 없이 출력되는 영상신호 합성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부화면 신호를 시간 압축하여 축소부화면 신호를 다시 만드는 축소 부화면 작성회로, 이 축소 부화면 신호에서 추출한 컬러 버스트 신호와 주화면 신호에서 추출한 컬러 버스트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차에 따른 전압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검파기, 상기 전압 신호를 주파수 및 위상이 제어되어 상기 주화면신호의 컬러 버스트 신호에 동기하고, 동시에 상호간에 90°의 위상차를 갖는 제1,제2의 반송파 신호를 발생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 상기 주화면 신호와 상기 축소화면 작성회로에서 출력되는 축소 화면신호를 시분할 다중하는 아날로그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제2의 반송파 신호를 상기 축소 부화면 신호 작성 회로의 크로마 변조용 반송파 신호로서 입력하도록 구성된 영상신호 합성장치를 얻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주화면 신호에서 추출한 컬러 버스트 신호에 동기한 제1의 연속파 신호를 발생하는 제1의 PLL 회로, 부화면 신호를 시간 압축하여 축소 부화면 신호로 다시 만드는 축소 부화면 작성회로, 상기 축소 부화면 신호에서 추출한 컬러 버스트 신호에 동기한 제2의 연속파 신호를 발생하는 제2의 PLL회로, 이들 제1,제2의 연속파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차에 따른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검파기, 상기 전압 신호로 주파수 및 위상이 제어되어 상기 제1의 연속파 신호에 동기하고, 동시에 상호간에 90°의 위상차를 갖는 제1,제2의 반송파 신호를 발생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 상기 주화면 신호와 상기 축소 화면 작성 회로에서 출력되는 축소 화면 신호를 시분할 다중화하는 아날로그 스위치로 구성된 영상신호를 합성장치를 얻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영상신호 합성장치를 주화면 신호에서 추출한 컬러 버스트 신호에 동기하고 있으며, 또한 상호간에 90°의 위상차를 갖는 제1,제2의 반송파 신호를 발생하는 PLL 회로, 상기 제1,제2의 반송파 신호를 각각 소정양 지연시키는 제1,제2의 지연회로, 부화면 신호를 시간 압축하여 축소 부화면 신호로 다시 만드는 축소 부화면 신호 작성 회로, 상기 주화면 신호와 축소 부화면 신호를 시분할 다중하는 아날로그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PLL 회로에서 발생한 제1,제2의 반송파 신호를 상기 축소 부화면 작성 회로에 있어서 크로마 변조용의 제1,제2의 반송파 신호로서 이용함과 동시에, 상기 제1,제2의 지연회로에 의해 주화면 신호의 색부 반송파 신호와 시간 압축된 부화면 신호의 색부 반송파 신호는 위상이 동기하도록 제1,제2의 반송파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도록 구성한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주화면 신호 결손을 검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주화면 신호의 결손을 검지하였을 때에는 사전에 내장한 동기 신호 발생회로에서 발생한 동기 신호로 전환함과 동시에 부화면 변조에 사용하는 반송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VCO의 제어전압을 사전에 설정한 전원에서 입력하는 것과같이 전환하도록 영상신호 합성장치를 구성한 점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위상 검파기는 주화면 신호의 컬러 버스트 신호와 축소 부화면 신호의 컬러 버스트 신호의 위상차에 해당하는 전압 신호를 출력한다. 전압 제어발진기는 이 전압신호에 의해서 주파수 및 위상이 상기 주화면 신호의 컬러 버스트 신호에 동기하는 방향으로 제어되는 제1,제2의 반송파 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이 제1,제2의 반송파 신호가 크로마 변조용으로서 사용되는 축소 부화면 신호의 색부 반송파에 포함되어 있는 컬러 버스트 신호의 주파수 및 위상은 주화면 신호의 색부 반송파 신호의 컬러 버스트 신호와 항상 일치하도록 연속적으로 조정된다. 따라서, 복합 영상 신호의 상태에서 주화면 신호와 축소 부화면 신호를 1계통의 아날로그 스위치로 시분할 다중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주화면 신호에 대해서는 복조, 변조조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의 PLL 회로는 주화면 신호의 색부 반송파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컬러 버스트 신호에 동기한 제1의 연속파 신호를 발생하고, 제2의 PLL 회로는 축소 부화면 신호의 색부 반송파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컬러 버스트 신호에 동기한 제2의 연속파 신호를 발생한다. 위상 검파기는 제1,제2의 연속파 신호의 위상차에 해당하는 전압신호를 출력한다. 전압 제어 발진기는 이 전압 신호에 의해서 주파수 및 위상이 상기 제1의 연속파 신호에 동기하는 방향으로 제어되는 제1,제2의 반송파 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복합영상의 상태에서 주화면 신호와 축수 부화면 신호를 1계통의 아날로그 스위치로 시분할 다중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주화면 신호에 대해서는 복조, 변조조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PLL 회로는 주화면 신호의 컬러 버스트 신호와 같은 주파수로 위상이 동기하고 있으며, 또한 상호간에 90°의 위상차를 갖는 제1,제2의 반송파 신호를 발생한다. 이 제1,제2의 반송파 신호는 축소 부화면 작성회로에 있어서 크로마 변조용의 제1,제2의 반송파 신호로서 사용된다. 제1,제2의 지연회로는 축소 부화면 신호의 컬러 버스트 신호가 주화면 신호의 컬러 버스트 신호의 위상과 일치하도록 제1,제2의 반송파 신호의 위상을 소정양 지연시킨다. 아날로그 스위치는 주화면 신호와 축소 부화면 신호를 시분할 다중하여 합성복합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또,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동기 신호 검지 수단은 주화면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동기 신호의 유무를 검지하고, 동기 신호가 감지되지 않을때에는 주화면 신호와는 독립적으로 동기신호를 발생하고 있는 동기 신호발생회로의 출력을 제2의 디지탈 신호 처리계 제어기에 입력하고, 이 제어기의 출력 제어신호를 축소 부화면 신호 작성회로의 메모리 및 DA 변환기로 입력하여 시간 압축된 휘도, 적색차, 청색차 신호를 작성시킨다. 동시에 사전에 소정의 발진 주파수로 되도록 설정한 설정 전압을 VCO에 인가하여 상기 휘도, 적색차, 청색차 신호가 입력되는 크로마 변조회로에 상기 VCO에서 출력되는 제1,제2의 반송파 신호를 연속해서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주화면 신호가 결손되어도 축소 부화면은 계속해서 모니터 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제1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제5도와 동일 부호는 동일 부분을 표시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52)는 제1의 YC 분리기(12)로 분리된 제1의 색부 반송파 신호(35)에서 주화면 신호(1)의 컬러 버스트 신호(59)를 추출하는 제1의 컬러 버스트 신호 추출 회로, (53)은 위상 검파기, (54)는 전압 제어 발진기(이하 VCO라 한다), (55),(56)은 VCO(54)에 의해 발생된 크로마 변조를 위한 제1,제2의 반송파 신호, (57)은 제2의 컬러 버스트 신호 추출회로, (70)은 축소 부화면 신호 작성회로로서, 제2의 YC 분리기(16), 제2의 동기 분리기(18), AD 변환기(19),(20),(21), 디지탈 메모리(22),(23),(24), DA 변환기(25),(26),(27), 크로마 변조기(29), 가산기(3) 및 제1의 처리계 제어기(32)로 구성되어 있다. (58)은 축소된 부화면을 표시하는 제3의 복합 영상 신호(이하, 「축소 부화면 신호」라 한다)이다.
또, 제1의 컬러 버스트 신호 추출 회로(52), 위상 검파기(53), VCO(54), WP2의 컬러 버스트 신호 추출 회로(57) 및 크로마 변조기(29)는 위상 동기 루프 회로(80)을 형성하고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VCO(54)는 위상 검파기(53)에서 입력되는 전압신호(61)에 의해서 제1의 컬러 버스트 신호(59)와 같은 주파수로 같은 위상과 항상 동기하도록 자동조정하고, 동시에 상호간에 90°의 위상차를 갖는 제1,제2의 반송파 신호를 발생한다. 크로마 변조기(29)는 제2,제3의 디지털 메모리(23),(24)에서 리드되어 제2,제3의 DA 변환기(26),(27)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제3의 적색차 신호(46)과 제3의 청색차 신호(47)을 제1,제2의 반송파 신호(55),(56)으로 변조하고, 제3의 색부 반송파 신호를 발생시킨다. 가산기(30)은 이 제3의 색부 반송파 신호와 제3의 휘도 신호(45)를 가산하여 축소 화면을 표시하는 제3의 복합영상신호(58)을 출력한다. 아날로그 스위치(28)은 주화면 신호(1)과 축소 부화면 신호(58)을 시분할 다중하여 출력단(31)에서 합성한 화면을 표시하는 합성 복합 영상 신호(3)을 출력한다.
상기 구성중, 제1의 버스트 신호 추출회로(52), 위상 검파기(53), VCO(54), 크로마 변조기(29) 및 제2의 버스트 추출회로(57)을 순환하는 신호 회로는 위상 동기 루프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축소 부화면 신호(58)의 색부 반송파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제3의 컬러 버스트 신호(60)은 제1의 컬러 버스트 신호(59)의 주파수 및 위상에 항상 일치하도록 자동 조정된 것이다.
따라서, 1계통의 아날로그 스위치(28)로 시분할 다중하여도 주화면 신호(1) 및 축소 부화면 신호(58)이 컬러 버스트 신호는 일치하고 있으므로 주화면과 축소 부화면의 색상의 어긋남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합성되는 부화면 신호(2)의 1개인 것에 대해서 도시하였지만, 부화면의 수는 2개이상이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축소 부화면 신호 작성회로(70)을 부화면의 갯수분만큼 마련하고, 제2의 버스트 신호 추출회로(57)에는 부화면 신호(58)중 임의의 1개를 대표시켜 접속하여 각 제어신호(48),(49),(50) 및 제1,제2의 반송파 신호(55),(56)을 각 부화면 신호 작성 회로(70)의 공통의 반송파 신호로 하고, 또 아날로그 스위치(28)의 입력단자수를 화면 수만큼 증설한 구성으로 하면 좋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제2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제1도와 동일 부호는 동일 부분을 도시하고, 동일한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62)는 제1의 위상 동기 루프 회로(이하 ″제1의 PLL 회로″라 한다), (68)은 제2의 위상 동기 루프 회로(이하 ″제2의 PLL 회로″라 한다)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의 PLL 회로(62)는 제1의 YC 분리기(12)에 의해 분리된 제1의 색부 반송파 신호(35)에 포함되어 있는 컬러 버스트 신호에 위상 동기한 제1의 연속파 신호(69)를 발생한다. 제2의 PLL 회로(68)은 크로마 변조기(29)에 의해 생성된 제3의 색부 반송파 신호(66)에 포함되어 있는 컬러 버스트 신호에 위상 동기한 제2의 연속파 신호(71)을 발생한다. 위상 검파기(53)은, 제1,제2의 연속파 신호(69),(71)의 위상을 비교하여 양자의 위상차에 따른 전압 신호를 발생한다. VCO(54)는 위상 검파기(53)에서 입력되는 전압 신호에 의해서 발진 주파수와 위상이 제1의 연속파 신호(69)에 가까운 방향으로 제어되고, 동시에 상호간에 90°의 위상차를 갖는 연속적인 제1,제2의 반송파 신호(55),(56)을 발생한다. 이 제1,제2의 반송파 신호(55),(56)은 크로마 변조기(29)에 입력되고, 시간 압축된 제3의 적색차 신호(46) 및 제3의 청색차 신호(47)은 색부 반송파 신호(66)으로 변조된다. 이 색부 반송파 신호(66)과 시간 압축된 제3의 휘도 신호가 가산기(30)에서 가산되어 축소된 부화면을 표시하는 복합 영상 신호로 되고, 아날로그 스위치(28)에서 주화면 신호(1)과 시분할 다중되며 합성복합 영상신호로 되어 출력단(31)로 출력된다.
상기 구성중 제1,제2의 PLL 회로(62),(68), 위상 검파기(53), VCO(54) 및 크로마 변조기(29)를 순환하는 신호회로는 하나의 위상 동기 루프 회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크로마 변조기(29)에 있어서 변조된 색부 반송파 신호(66)에 포함되어 있는 컬러 버스트 신호의 주파수 및 위상은 주화면 신호(1)의 색부 반송파 신호(35)에 포함되어 있는 컬러 버스트 신호의 주파수 및 위상에 항상 일치하도록 자동 조정된 것이다.
따라서, 주화면 신호(1)과 축소 부화면 신호(58)은 색부 반송파 신호의 주파수와 위상이 일치한 것으로 되기 때문에 합성 화면의 색상 맞춤이 자동적으로 행하여 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합성되는 부화면 신호(2)가 1개인 것에 대해서 도시하였지만, 부화면의 수가 2개 이상이어도, 제1의 실시예의 버스트 추출 회로 대신에 PLL 회로를 사용하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 부호는 동일 부분을 표시하고 있고, 이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63)은 제1의 지연회로, (64)는 제2의 지연회로, (65),(67)은 PLL(62)에서 발생하는 제1,제2의 반송파 신호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PLL 회로(62)는 제1의 YC 분리기(12)에 의해서 분리된 제1의 색부 반송파 신호(35)에 포함되어 있는 컬러 버스트 신호에 위상 동기하고, 상호간에 90°의 위상차를 갖는 제1,제2의 반송파 신호(65),(67)을 발생한다. 제1,제2의 반송파 신호(65),(67)은 각각 제1,제2의 지연회로(63),(64)에 의해 각각 소정양 지연된 제1,제2의 연속파 신호(69),(71)로 된 후, 크로마 변조기(29)에 입력되어 시간 압축된 제3의 적색차 신호(46) 및 청색차 신호(47)이 제3의 색부 반송파 신호로 변조되어 가산기(30)에서 시간 압축된 제3의 휘도신호(45)와 가산되어 축소된 부화면을 표시하는 제3의 복합 영상 신호(58)로 되어 아날로그 스위치(28)로 주화면 신호(1)과 시분할 다중되며 합성 복합 영상 신호(3)으로 되어 출력단(31)에서 출력된다.
또한, 제1,제2의 지연 회로(63),(64)에 있어서의 지연 시간은 주화면 신호(1)의 컬러 버스트 신호와 축소 부화면 신호(58)의 컬러 버스트 신호의 위상이 일치하는 값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합성되는 부화면 신호(2)가 1개인 것에 대해서 도시하였지만, 부화면의 수는 2이상이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제3실시예에 있어서 축소 부화면 신호 작성 회로(70)을 부화면의 개수분만큼 마련하여 제1,제2의 반송파 신호(65),(67)을 각 축소 부화면 신호 작성 회로에서 공통으로 하고, 또 아날로그 스위치(28)의 입력단자수를 화면수에 따른 것으로 하면 좋다.
[실시예 4]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제4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블록 회로도로서, 제1도∼제3도와 동일 부호는 동일 부분을 표시하고 있다.
제4도에 있어서, (77)은 주화면 신호(1)과는 독립해서 동기 신호를 발생하고 있는 동기 신호 발생 회로, (78)은 주화면 신호(1)의 결손을 검지하여 결손 신호(82)를 출력하는 동기 신호 검출 회로, (79)는 결손 신호(82)를 받았을 때 동기 신호 발생회로(77)의 출력을 제어기(33)에 입력하는 제2의 아날로그 스위치, (81)은 VCO(54)의 설정 전압을 독립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전압원, (83)은 결손신호(82)을 받았을 때 전압원(81)의 설정 전압을 VCO(54)에 입력하고, 제1,제2의 반송파 신호(55),(56)의 송출을 지속시키는 제3의 아날로그 스위치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동기 신호 발생 회로(77)은 주화면 신호(1)의 유무에 관계없이 동기 신호를 발생하고 있는 회로이다. 동기 신호 검출 회로(78)은 주화면 신호(1)에 포함하는 동기 신호(50)의 유무, 즉 주화면 신호(1)의 유무를 검출하고, 2진 신호로서 결손 신호(82)를 출력한다. 지금, 주화면 신호(1)이 결손되었다고 가정하면, 제2,제3의 아날로그 스위치(79),(83)은 결손 신호(82)를 받아서 도면에 도시한 통상의 측으로부터 반대로 접속되어 각각 동기 신호 발생 회로(77)에서의 동기 신호를 제어기(33)에, 또 VCO 설정 전압 전원(81)의 출력 전압을 VCO(54)로 입력하도록 자동적으로 절환된다.
따라서, 부화면 신호(2)는 중단되는 일없이 발생하므로 부화면을 계속해서 모니터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합성되는 부화면 신호(2)가 1개인 것에 대해서 도시하였지만, 부화면의 수는 2이상이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실시예에 있어서 축소 부화면 신호 작성 회로(70)을 부화면의 개수분만큼 마련하고, 제2의 PLL(68)에는 축소 부화면 신호중 임의의 1개를 대표시켜서 접속하고, 각 제어 신호(48),(49), (50) 및 제1,제2의 반송파(55),(56)을 각 축소 화면 신호 작성 회로에서 공통으로 하고, 또 아날로그 스위치(28)의 입력단자수를 화면수에 따른 것으로 하면좋다.
본 발명에 관한 영상신호합성장치는 주화면 신호에서 추출한 컬러 버스트 신호에 동기하고, 동시에 상호간에 90°의 위상차를 갖는 2개의 반송파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 상기 반송파 신호를 크로마 변조한 색부 반송파 신호를 갖는 시간 압축된 축소 부화면 신호를 만드는 수단 및 주화면 신호의 색부 반송파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컬러 버스트 신호에 동기한 제1의 연속파 신호를 제1의 PLL 회로를 사용하여 발생시키고, 한편 축소 부화면 신호 작성 회로에서 만들어진 색부 반송파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컬러 버스트 신호에 동기한 제2의 연속파 신호를 제2의 PLL 회로를 사용하여 발생시키고, 이들 제1,제2의 연속파 신호를 위상 검파하여 출력한 전압 신호로 전압 제어 발진기를 제어하여 상호간에 90°의 위상차를 가지며, 동시에 상기 주화면 신호의 컬러 버스트 신호에 동기한 제1,제2의 반송파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제1,제2의 반송파 신호를 축소 부화면 신호 작성 회로의 크로마 변조용 반송파 신호로서 사용하고, 상기 제1,제2의 반송파 신호를 각각 소정양씩 지연시키는 지연회로, 이 제1,제2의 반송파 신호에 의해서 시간 압축된 부화면 신호의 색차 신호를 크로마 변조하고 시간 압축된 상기 부화면 신호의 휘도신호와 가산하여 축소 부화면 신호를 만드는 축소 부화면 신호 작성회로, 상기 주화면 신호와 축소 부화면 신호를 시분할 다중하는 아날로그 스위치를 구비한 것이기 때문에 주화면 신호에 대해서는 복조, 변조를 행하지 않으므로 화질의 열화가 없고, 더욱이 주화면과 부화면의 색상 맞춤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또 복합 영상 신호의 상태에서 시분할 다중하므로 부화면의 수에 관계없이 1계통의 아날로그 스위치로 다중화할 수 있으므로 높은 화질과 동시에 저렴한 영상신호합성장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주화면 신호의 결손을 검출하였을 때 사전에 내부에서 발생시키고 있는 동기 신호 및 VCO 설정 전압으로 자동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여러개의 화면을 모니터하면서 편집을 행할 때 주화면 신호가 결손한 상태가 발생하더라도 부화면은 계속해서 모니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주화면으로 되는 제1의 복합 영상 신호(1)과 부화면으로 되는 제2의 복합 영상 신호(2)를 합성하여 주화면내에 축소된 부화면이 삽입되어 있는 합성 복합영상 신호(3)을 만드는 영상신호합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복합 영상 신호(2)를 휘도신호(38), 적색차 신호(40) 및 청색차 신호(41)로 분리하여 각각 시간 압축하고, 이 시간 압축된 적색차 신호(46) 및 청색차 신호(47)을 90°의 위상차를 갖는 제1,제2의 반송파 신호(55,56)으로 크로마 변조된 색부 반송파 신호에 상기 시간 압축된 휘도 신호(45)를 가산하여 제3의 복합 영상 신호(58)을 만드는 축소 화면 신호 작성 회로(70), 상기 회로내에서 만들어진 색부 반송파 신호에서 추출한 제3의 컬러 버스트 신호(60)과 상기 제1의 복합 영상 신호(1)의 색부 반송파 신호(35)에서 추출한 제1의 컬러 버스트 신호(59)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위상차에 따른 전압 신호(61)을 출력하는 위상 검파기(53), 상기 전압 신호(61)로 제어되어 상기 제1의 컬러 버스트 신호(59)의 위상에 동기하고, 또한 상호간에 90°의 위상차를 갖는 제1,제2의 반송파 신호(55,56)을 발생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54), 상기 제1의 복합 영상 신호(1)과 상기 제3의 복합 영상 신호(58)을 시분할 다중하여 상기 합성 복합 영상 신호(3)을 출력하는 아날로그 스위치(28)을 포함하며,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54)에서 발생한 제1,제2의 반송파 신호(55,56)을 상기 축소 화면 작성 회로(70)의 크로마 변조용의 제1,제2의 반송파 신호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영상신호 합성장치.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의 반송파 신호(55,56)이 각각 크로마 변조용의 반송파 신호로서 입력되는 여러개의 축소 화면 신호 작성회로, 이들의 축소 부화면 신호 작성 회로에서 출력되는 여러개의 제3의 복합 영상 신호 및 제1의 복합 영상 신호를 시분할 다중하는 아날로그 스위치를 포함해서 되는 영상신호 합성장치.
  3. 주화면으로 되는 제1의 복합 영상 신호(1)과 부화면으로 되는 제2의 복합 영상 신호(2)를 합성하여 주화면 내에 축소된 부화면이 삽입되어 있는 합성복합 영상신호(3)을 만드는 영상 신호 합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복합 영상 신호(1)에서 추출한 컬러 버스트 신호에 동기하고 있는 제1의 연속파 신호(69)를 발생하는 제1의 위상 동기 루프 회로(62), 상기 제2의 복합 영상 신호(2)를 휘도신호(38), 적색차 신호(40) 및 청색차 신호(41)로 분리하여 각각 시간 압축하고, 또한 이 시간 압축된 적색차 신호(46) 및 청색차 신호(47)을 90°의 위상차를 갖는 제1,제2의 반송파 신호(55,56)으로 크로마 변조된 색부 반송파 신호(66)에 상기 시간 압축된 휘도 신호(45)를 가산하여 제3의 복합 영상 신호(58)을 만드는 축소 화면 신호 작성 회로(70), 상기 회로내에서 만들어진 색부 반송파 신호(66)에서 추출한 컬러 버스트 신호에 동기하고 있는 제2의 연속파 신호(71)을 발생하는 제2의 위상 동기 루프 회로(68), 상기 제1,제2의 연속파 신호(69,71)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차에 따른 전압 신호(61)을 출력하는 위상 검파기(53), 상기 전압 신호(61)로 제어되어 상기 제1의 연속파 신호(69)의 위상에 동기하고 또한 상호간에 90°의 위상차를 갖는 제1,제2의 반송파 신호(55,56)을 발생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54), 상기 제1의 복합 영상 신호(1)과 상기 제3의 복합 영상 신호(58)을 시분할 다중하여 상기 합성 복합 영상 신호(3)을 출력하는 아날로그 스위치(28)을 포함하며,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54)에서 발생한 제1,제2의 반송파 신호(55,56)을 상기 축소 화면 작성 회로의 크로마 변조용의 제1,제2의 반송파 신호로서 사용하는 구성으로 되는 영상신호 합성장치.
  4.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에 있어서, 제1,제2의 반송파 신호(55,56)이 각각 크로마 변조용의 반송파 신호로서 입력되는 여러개의 축소 화면 신호 작성 회로, 이들의 축소 부화면 신호 작성 회로에서 출력되는 여러개의 제3의 복합 영상 신호와 제1의 복합 영상 신호를 시분할 다중하는 아날로그 스위치를 포함하고, 어느것인가의 축소 부화면 신호 작성 회로내에서 만들어진 색부 반송파 신호에서 추출한 컬러 버스트 신호를 제2의 위상 동기 루프(68)에 입력하여 제2의 연속파 신호(71)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하여 되는 영상신호 합성장치.
  5. 주화면으로 되는 제1의 복합 영상 신호(1)과 부화면으로 되는 제2의 복합 영상 신호(2)를 합성하여 주화면내에 축소된 부화면이 삽입되어 있는 합성 복합 영상 신호(3)을 만드는 영상 신호 합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복합 영상 신호(1)에서 추출한 컬러 버스트 신호에 동기하고, 또한 상호간에 90°의 위상차를 갖는 제1,제2의 반송파 신호(65,67)을 발생하는 위상 동기 루프 회로(62), 상기 제1,제2의 반송파 신호(65,67)을 각각 소정 지연시키는 제1,제2의 지연 회로(63,64), 상기 제2의 복합 영상 신호(2)를 휘도 신호(38), 적색차 신호(40) 및 청색차 신호(41)로 분리하여 각각 시간 압축하고, 또한 이 시간 압축된 적색차 신호(46) 및 청색차 신호(47)을, 상기 90°의 위상차를 갖는 제1,제2의 반송파 신호(65,67)로 크로마 변조한 색부 반송파 신호에 상기 시간 압축된 휘도 신호(45)를 가산하여 제3의 복합 영상 신호(58)을 만드는 축소 화면 신호 작성 회로(70), 상기 제1의 복합 영상 신호(1)과 제3의 복합 영상 신호(58)을 시분할 다중하는 아날로그 스위치(28)을 포함하며, 상기 위상 동기 루프 회로(62)에서 발생한 제1,제2의 반송파 신호(65,67)을 상기 축소 화면 작성 회로(70)의 크로마 변조용의 제1,제2의 반송파 신호로서 사용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제1,제2의 지연 회로(63,64)의 지연양을 상기 제1의 복합 영상 신호(1)의 컬러 버스트 신호와 상기 제3의 복합 영상 신호(58)의 컬러 버스트 신호의 위상이 일치하는 지연양으로 설정하여 되는 영상 신호 합성장치.
  6. 주화면으로 되는 제1의 복합 영상 신호(1)과 부화면으로 되는 제2의 복합 영상 신호(2)를 합성하여 주화면내에 축소된 부화면이 삽입되어 있는 합성복합 영상 신호(3)을 만드는 영상 신호 합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복합 영상 신호(1)에서 추출한 컬러 버스트 신호에 동기하고 있는 제1의 연속파 신호(69)를 발생하는 제1의 위상 동기 루프 회로(62), 상기 제1의 복합 영상 신호(1)에서 분리한 동기 신호를 받아서 시간축 압축시의 리드 제어 신호 및 제1의 아날로그 스위치(28)의 절환 신호(51)을 발생하는 제어기(33), 상기 제2의 복합 영상 신호(2)를 휘도 신호(38), 적색차 신호(40) 및 청색차 신호(41)로 분리하여 상기 리드 제어 신호를 받아서 각각 시간 압축하고, 또한 이 시간 압축된 적색차 신호(46) 및 청색차 신호(47)을 상기 90°의 위상차를 갖는 제1,제2의 반송파 신호(55,56)으로 크로마 변조한 색부 반송파 신호(66)에 상기 시간 압축된 휘도 신호(45)를 가산하여 제3의 복합 영상 신호(58)을 만드는 축소 화면 신호 작성 회로(70), 상기 회로내에서 만들어진 색부 반송파 신호(66)에서 추출한 컬러 버스트 신호에 동기하고 있는 제2의 연속파 신호(71)을 발생하는 제2의 위상 동기 루프 회로(68), 상기 제1,제2의 연속파 신호(69,71)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차에 따른 전압 신호(61)을 출력하는 위상 검파기(53), 상기 전압 신호(61)로 제어되어 상기 제1의 연속파 신호(69)의 위상에 동기하고, 또한 상호간에 90°의 위상차를 갖는 제1,제2의 반송파 신호(55,56)을 발생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54), 상기 제어기(33)에서 출력된 절환 신호(51)에 의해서 절환되어 상기 제1의 복합 영상 신호(1)과 제3의 복합 영상 신호(58)을 시분할 다중하여 상기 합성 복합 영상 신호(3)을 출력하는 제1의 아날로그 스위치(28), 상기 제1의 복합 영상 신호(1)에서 독립한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동기 신호 발생회로(77),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54)의 제어 전압을 독립적으로 발생하는 전압원(81), 상기 제1의 복합 영상 신호(1)의 결손을 검지하여 결손 신호(82)를 출력하는 동기 신호 검출 회로(78), 상기 결손 신호(82)를 받았을 때 상기 동기 신호 발생 회로(77)에서 출력되는 동기 신호를 상기 제어기(33)에 입력하는 제2의 아날로그 스위치(79) 및 마찬가지로 결손 신호(82)를 받았을 때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54)에 상기 전압원(81)이 발생하는 제어 전압을 입력하여 제1,제2의 반송파 신호(55,56)의 발생을 지속시키는 제3의 아날로그 스위치(83)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54)에서 발생한 제1,제2의 반송파 신호(55,56)을 상기 축소 화면 작성 회로의 크로마 변조용의 제1,제2의 반송파 신호로서 사용하는 구성으로 되는 영상신호 합성장치.
KR1019880002099A 1987-03-03 1988-02-29 영상신호 합성장치. KR910010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049410A JP2812463B2 (ja) 1987-03-03 1987-03-03 映像信号合成装置
JP62049409A JP2773864B2 (ja) 1987-03-03 1987-03-03 映像信号合成装置
JP62049408A JP2773863B2 (ja) 1987-03-03 1987-03-03 映像信号合成装置
JP62-49410 1987-03-03
JP62-49409 1987-03-03
JP62-49408 1987-03-03
JP12666087A JPH0822080B2 (ja) 1987-05-21 1987-05-21 映像信号合成装置
JP62-126660 1987-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089A KR880012089A (ko) 1988-11-03
KR910010112B1 true KR910010112B1 (ko) 1991-12-16

Family

ID=2746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2099A KR910010112B1 (ko) 1987-03-03 1988-02-29 영상신호 합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4914509A (ko)
KR (1) KR9100101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2874A (en) * 1989-07-03 1991-02-12 Rca Licens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timing errors as for a multi-picture display
DE69130040T2 (de) * 1990-06-26 1999-04-29 Sanyo Electric Co Synchronisation zwischen Bildaufnahmeeinrichtungen zur Kombination von ihren Bildsignalen
EP0523299A1 (en) * 1991-07-18 1993-01-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multiple composite video signals
EP0555756A3 (en) * 1992-02-10 1994-06-22 Hitachi Ltd Colour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5287189A (en) * 1992-08-21 1994-02-1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Displaying an interlaced video signal with a noninterlaced video signal
US5598525A (en) 1995-01-23 1997-01-28 Cirrus Logic, In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graphics and video data in multimedia data processing and display systems
US6678006B1 (en) * 1998-01-07 2004-01-13 At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processing that includes sub-picture scaling
KR100374646B1 (ko) * 2001-03-10 2003-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픽쳐 인 픽쳐 기능과 프레임 속도 변환을 동시에 수행하기위한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050217127A1 (en) * 2004-04-05 2005-10-06 Prueftechnik Dieter Busch Ag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three-dimensional orientation of a body relative to two horizontal reference directions
KR100698290B1 (ko) * 2004-12-27 200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상의 자동 조절을 위한 텔레비젼 수상기 및 방법
JP4683498B2 (ja) * 2005-11-30 2011-05-1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56334C3 (de) * 1977-12-29 1981-11-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Osaka Fernsehempfänger
JPS6015190B2 (ja) * 1978-07-25 1985-04-18 株式会社東芝 位相同期回路
JPS562821A (en) * 1979-06-22 1981-01-13 Mitsubishi Electric Corp Water making apparatus
JPS5648783A (en) * 1979-09-28 1981-05-02 Hitachi Ltd Two-screen television receiver
JPS5859679A (ja) * 1981-10-06 1983-04-08 Toshiba Corp 画像信号処理回路
KR910001653B1 (ko) * 1986-05-14 1991-03-16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컬러 영상신호 합성장치
US4712130A (en) * 1986-08-29 1987-12-08 Rca Corporation Chrominance signal frequency converter as for a pix-in-pix television receiver
JP2794661B2 (ja) * 1986-09-20 1998-09-10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ヨン受像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RE34809E (en) 1994-12-27
US4914509A (en) 1990-04-03
KR880012089A (ko) 1988-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10112B1 (ko) 영상신호 합성장치.
KR910001653B1 (ko) 컬러 영상신호 합성장치
US5784118A (en) Video signal phase synchronizing method, circuit and synthesizing apparatus
KR920007606B1 (ko)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JP2773863B2 (ja) 映像信号合成装置
JP2773864B2 (ja) 映像信号合成装置
JP2643929B2 (ja) 映像信号合成装置
JPH0822080B2 (ja) 映像信号合成装置
JP2812463B2 (ja) 映像信号合成装置
JPH0748866B2 (ja) 映像信号合成装置
JPH0654274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KR0173348B1 (ko)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
KR200274172Y1 (ko) 디지털 그래픽 기능을 이용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출력장치
KR0138576B1 (ko) 화면 크기 변환장치
JP3430546B2 (ja) 外部同期装置
JPS63199596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R0167997B1 (ko) 시간축 보정을 위한 전처리회로
JP2578681B2 (ja) 多画面表示装置
JPH067684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S63161777A (ja) 同期信号発生装置
JPH0965354A (ja) 色副搬送波信号の位相合わせ方法
JPS63110894A (ja) 再生装置
JPH09214902A (ja) 映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その処理方法
JPH0746625A (ja) 小画面用映像信号生成回路
JPH02294188A (ja) ピクチャ・イン・ピクチ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