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348B1 -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348B1
KR0173348B1 KR1019950000473A KR19950000473A KR0173348B1 KR 0173348 B1 KR0173348 B1 KR 0173348B1 KR 1019950000473 A KR1019950000473 A KR 1019950000473A KR 19950000473 A KR19950000473 A KR 19950000473A KR 0173348 B1 KR0173348 B1 KR 0173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s
screen
receiv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0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0671A (ko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00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348B1/ko
Publication of KR960030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0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3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udio Circuit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에 관한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으로 디스플레이하기위한 어느 하나의 영상신호의 입력에러가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입력영상신호로부터 분리되는 동기신호를 이용하지않고 자체 시스템클럭을 이용하여 메인화면 및 서브화면의 출력을 선택적 제어하므로 상기 입력 영상신호로부터의 동기분리에 관계없이 나머지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다중화면의 메인화면이 무신호상태일지라도 깨끗하고 선명한 서브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에서 중요히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의 블럭구성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구성중 제어부(310)의 상세구성도이다.
제3도는 상술한 제2도의 상세구성에 따른 각 신호들의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은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중화면을 이루는 어느 한 영상신호의 입력에 관계없이 나머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가지는 영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이르러 텔레비젼의 대형화 및 고급화추세에 발맞춰서 근래의 텔레비젼중에는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기종이 늘어나고 있으며, 상술한 다중화면에는 더블화면(화면분할), 픽처 인 픽처(Picture In Picture;이하 PIP라함), POP등이 있으며, 일례로 영상처리장치에서 메인화면내의 특정위치에 하나 또는 둘이상의 서브화면을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종래 다중화면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는 메인화면을 이루는 영상신호의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서브화면을 상기 메인화면에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하였다. 즉, 메인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위해서는 메인영상신호의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영상신호를 프레임 메모리에 라이트 및 리드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고, 서브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위해서는 서브영상신호의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영상신호를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라이트하고 상기 메인영상신호의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상기 서브영상신호를 리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한다. 이러한 동작은 본원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88-5805호에 상세히 개시되고 있으며,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하의 설명에서 생략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는 메인영상신호가 입력되지않을시(해당채널의 방송종료, 빈채널, 비데오입력의 종료등)에는 서브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위한 리드동기가 이루어지지 않아 상기 서브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으로 디스플레이하기위한 어느 하나의 영상신호입력에러가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둘이상의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제1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제1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휘도 및 색신호와 동기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동기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휘도 및 색신호를 제1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기억수단에 저장하는 제1화면처리수단과; 제2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제2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휘도 및 색신호와 동기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동기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휘도 및 색신호를 제2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2기억수단에 저장하는 제2화면처리수단과; 소정 시스템클럭을 생성출력하는 발진수단과; 상기 시스템클럭을 입력받아 소정 제1분주비로 분주하여 수평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1분주수단과; 상기 수평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소정 제2분주비로 분주하여 수직동기신호를 생성출력하는 제2분주수단과; 상기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를 입력받으며, 소정 화면구성선택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기억수단의 데이타출력을 동기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리드클럭신호와 제1 및 제2리드인에이블신호를 생성출력하며 상기 화면구성선택입력에 대응하는 출력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선택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2디지탈 영상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출력선택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2디지탈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아나로그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선택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동작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회로구성, 논리상태등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화면디스플레이기능을 갖는 영상처리장치의 블럭구성도로서, 제1화면처리부(100)와, 제2화면처리부(200)와, 출력제어부(300)로 구성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먼저 제1화면처리부(100)는 수신되는 제1복합영상신호로부터 Y/C(Luminance; 휘도신호 / Chrominance; 색신호)신호를 분리하는 제1Y/C분리부(110)와, 상기 Y/C분리된 색신호(C)를 입력받아 R-Y와 B-Y색차신호로 복조하여 출력하는 제1색신호 복조부(115)와, 상기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V)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제1동기분리부(140)와, 상기 제1동기분리부(140)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V)를 입력받아 소정 시스템 클럭에 동기하여 디지탈영상신호의 입력을 위한 동기신호와 메모리 저장시기를 결정하는 라이트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하는 제1PLL(Phase Locked Loop;150)과, 상기 휘도신호(Y)와 상기 R-Y 및 B-Y색차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PLL(150)로부터 출력되는 동기신호에 응답하여 각각 8비트씩의 디지탈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A/D변환기(120)와, 상기 라이트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동기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제1A/D변환기(12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제1프레임메모리(130)로 구성된다.
제2화면처리부(200)는 제2Y/C분리부(210), 제2색신호 복조부(215), 제2A/D변환기(220), 제2프레임메모리(230), 제2동기분리부(240) 및 제2PLL(250)로 구성되며 상술한 제1화면처리부(100)와 동일한 처리동작을 가진다.
출력제어부(300)는 크게 제어부(310)와 출력선택수단인 멀티플렉서(320)와 D/A변환기(330)로 구성한다.
제2도는 상기 출력제어부(300)의 구성중 상기 제어부(310)의 상세구성도로서, 28.636㎒의 시스템클럭을 생성출력하는 발진회로(311)와, 상기 시스템 클럭을 입력받아 1820분주하여 15.734㎑의 수평주파수신호(fh)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1분주기(312)와, 상기 수평주파수신호(fh)를 입력받아 262.5분주하여 59.94㎐의 수직주파수신호(fv)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2분주기(313)와, 상기 수평주파수신호(fh) 및 수직주파수신호(fv)를 입력받으며 사용자로부터의 화면구성선택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메모리(130,230)의 데이타출력을 동기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리드클럭신호와 제1 및 제2리드인에이블신호를 생성출력하며 상기 화면구성선택입력에 대응하는 출력선택신호(M/)를 출력하는 분주기 및 출력선택부(314)로 구성된다.
제3도는 상술한 제2도의 상세구성에 따른 각 신호들의 타이밍도이다.
이하 상술한 제1도 및 제2도의 구성과 상기 제3도의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상술한 제1 및 제2화면처리부(100,200)로 다중화면을 이루기 위한 제1 및/또는 제2복합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및 제2화면처리부(100,200)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복합영상신호로부터 Y/C분리하여 휘도신호(Y)와 색신호(C)로 분리하고, 제1 및 제2복합영상신호로부터 수평ㆍ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한다. 이후 상기 제1 및 제2화면처리부(100,200)는 상기 분리된 색신호(C)로부터 R-Y 및 B-Y색차신호로 복조하고, 각각 제1 및 제2A/D변환기(120,220)를 통해 디지탈색차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메모리(130,230)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화면처리부(100,200)내의 제1 및 제2동기분리부(140,240)는 상기 제1 및 제2복합영상신호로부터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PLL(150,250)은 각각 상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V)를 입력받아 소정 시스템 클럭을 위상동기시켜 상기 휘도신호 및 R-Y 및 B-Y색차신호의 디지탈변환과 제1 및 제2프레임메모리(130,230)로의 저장의 동기를 위한 클럭신호를 생성출력하고, 상기 휘도신호 및 R-Y 및 B-Y색차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탈 색신호 및 R-Y 및 B-Y색차신호의 제1 및 제2프레임메모리(130,230)로의 저장을 제어하기 위한 라이트인에이블신호를 생성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1 또는 제2PLL(150,250)은 전압제어발진에 의해 14.318㎒의 시스템클럭을 생성하고 상기 시스템클럭으로 상기 클럭신호와 라이트인에이블신호를 생성출력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화면처리부(100,200)는 각각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고 이에 동기하여 각각의 디지탈영상신호를 제1 및 제2프레임메모리(130,230)에 저장한다. 이러한 상기 제1 또는 제2화면처리부(100,200)의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한 공지의 사실이며, 본 발명의 요지는 상술한 제1 및 제2프레임 메모리(130,230)에 저장된 디지탈 영상신호들의 선택적 출력제어에 있으며 하기의 설명에서 상세히 살펴본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제어부(300)내의 발진회로(311)는 28.636㎒의 시스템클럭을 생성출력한다. 상술한 시스템 클럭을 입력받는 제1분주기(312)는 상기 시스템클럭을 1820분주하여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734㎑의 수평주파수신호(fh)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도시되지않음)로 출력하며, 상기 수평주파수신호(fh)를 입력받은 제2분주기(313)는 이를 262.5분주하여 59.94㎐의 수직주파수신호(fv)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도시되지않음)로 출력한다. 또한 분주기 및 출력선택부(314)는 상기 수평주파수신호(fh) 및 수직주파수신호(fv)를 입력받아 사용자로부터의 화면구성선택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메모리(130,230)의 데이타출력을 동기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리드클럭신호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리드인에이블신호를 생성출력하며, 상기 화면구성선택입력에 대응하는 출력선택신호(M/)를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메모리(130,230)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리드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리드클럭신호에 동기하는 디지탈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멀티플렉서(320)에서는 상기 제1,2프레임메모리(130,23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영상신호들을 입력받아 상기 출력선택신호(M/)에 대응되는 다중화면을 이루기 위한 영상신호가 선택적으로 출력된다.
상기 D/A변환기(330)는 상기 멀티플렉서(32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영상신호를 아나로그신호로 변환하여 휘도신호(Y), R-Y색신호 및 B-Y색신호로서 디스플레이장치(도시되지않음)로 출력한다. 즉, 상기 출력제어부(300)의 출력제어를 위한 클럭신호들은 상술한 제1 및 제2화면처리부(100,200)와 관계없이 발생되므로 상기 멀티플렉서(320)의 출력에 영향을 주지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둘이상의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다중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위한 영상처리장치에서, 상기 입력 영상신호로부터의 동기분리에 관계없이 나머지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다중화면의 메인화면이 무신호상태일지라도 깨끗하고 선명한 서브화면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적어도 둘이상의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제1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제1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휘도 및 색신호와 동기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동기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휘도 및 색신호를 제1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기억수단에 저장하는 제1화면처리수단과; 제2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제2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휘도 및 색신호와 동기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동기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휘도 및 색신호를 제2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2기억수단에 저장하는 제2화면처리수단과; 소정 시스템클럭을 생성출력하는 발진수단과; 상기 시스템클럭을 입력받아 소정 제1분주비로 분주하여 수평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1분주수단과; 상기 수평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소정 제2분주비로 분주하여 수직동기신호를 생성출력하는 제2분주수단과; 상기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를 입력받으며, 소정 화면구성 선택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기억수단의 데이타출력을 동기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리드클럭신호와 제1 및 제2리드인에이블신호를 생성출력하며 상기 화면구성선택입력에 대응하는 출력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선택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2디지탈 영상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출력선택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2디지탈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아나로그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선택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면처리수단과 제2화면처리수단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영상신호 각각으로부터 휘도신호 및 색신호를 분리하는 휘도 및 색신호분리수단과, 색신호를 입력받아 R-Y와 B-Y색차신호로 복조하여 출력하는 색신호 복조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영상신호 각각으로부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동기분리수단과, 상기 동기분리수단으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소정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디지탈영상신호의 출력을 위한 클럭신호와, 영상신호의 저장시기를 결정하는 라이트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하는 위상동기수단과, 상기 휘도신호와 상기 R-Y와 B-Y색차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위상동기수단으로 부터 출력되는 상기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디지탈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탈변환수단과, 상기 클럭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라이트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탈변환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영상신호를 저장하는 기억수단을 각각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
KR1019950000473A 1995-01-12 1995-01-12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 KR0173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473A KR0173348B1 (ko) 1995-01-12 1995-01-12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473A KR0173348B1 (ko) 1995-01-12 1995-01-12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671A KR960030671A (ko) 1996-08-17
KR0173348B1 true KR0173348B1 (ko) 1999-03-20

Family

ID=19406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0473A KR0173348B1 (ko) 1995-01-12 1995-01-12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334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671A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9852B1 (ko) 나란한 화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자동 동기화 스위치
KR910010112B1 (ko) 영상신호 합성장치.
KR0173348B1 (ko) 다중화면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
JPS63123284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KR920007606B1 (ko)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0173738B1 (ko) 다중 화면표시용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온스크린 방법 및 장치
KR0182066B1 (ko) 디지탈 방식의 영상신호 변환장치
KR100202542B1 (ko) 영상신호처리기의 휘도/색신호 분리회로
KR200274172Y1 (ko) 디지털 그래픽 기능을 이용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출력장치
KR100378789B1 (ko) 텔레비젼수상기의피오피회로
KR0123724B1 (ko) 동기신호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장치
KR0143167B1 (ko) 와이드 스크린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두화면 표시 회로
JPS58154970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S6378680A (ja) 映像出力装置
JP2604265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3118430B2 (ja) 時間軸補正回路
KR950024528A (ko) 와이드 텔레비젼에서의 두 화면 동시 시청회로
JPH08228363A (ja) 画像信号変換装置
JPH04360194A (ja) 表示メモリ制御装置
KR200208200Y1 (ko) 슈퍼임포즈장치
JPS63215189A (ja) 映像信号合成装置
KR0128684B1 (ko) 한 화면에 두 영상신호를 동시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KR0147580B1 (ko) 와이드 텔레비젼에서의 두 화면 동시 시청회로
JPH1028245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2773864B2 (ja) 映像信号合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