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10007B1 - 무선 디지탈 전화기 시스템용 베이스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무선 디지탈 전화기 시스템용 베이스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10007B1
KR910010007B1 KR1019880005585A KR880005585A KR910010007B1 KR 910010007 B1 KR910010007 B1 KR 910010007B1 KR 1019880005585 A KR1019880005585 A KR 1019880005585A KR 880005585 A KR880005585 A KR 880005585A KR 910010007 B1 KR910010007 B1 KR 910010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hannel
base station
predetermined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534A (ko
Inventor
엠. 아비스 그라함
스테펜 콜린스 테란스
케이쓰 스크로더 마틴
그레고리 키에르난 브리안
윌리스 메춸링 죠나단
이. 플렐췌트 토마스
알. 아비스 웬델리네
리. 싸페 그레고리
제이. 죤슨 카를레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날 모빌레 머쉰스 코포레이숀
스티븐 브이. 아브람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210035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1001000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날 모빌레 머쉰스 코포레이숀, 스티븐 브이. 아브람손 filed Critical 인터내셔날 모빌레 머쉰스 코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90004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10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8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ode; Intranode synchronisation
    • H04J3/0691Synchronisation in a TDM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2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and access point con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무선 디지탈 전화기 시스템용 베이스 스테이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 베이스 스테이션의 적합한 실시예 블럭도표.
제2도는 단일 채널모듈을 간섭하기 위해 제1도의 베이스 스테이션 버퍼내에 포함된 버퍼유닛의 블럭도표.
제3도는 제1도 베이스 스테이션에서의 정상적인 호출처리 흐름을 설명하는 상태도표.
제4도는 본 발명 베이스 스테이션의 다른 실시예 블럭도표.
제5도는 제4도에서 도시된 베이스 스테이션내에 포함된 MUX 카드의 블럭도표.
제6도는 제4도 베이스 스테이션에서 RPU에 의해 명령된 정상적인 호출처리 논리흐름을 도시한 도표.
제7도는 제4도 베이스 스테이션에서의 교환장치/RPU접촉유닛의 기능적 블럭도표.
제8도는 제4도 베이스 스테이션에서 교환장치 및 RPU를 교환장치/RPU접속유닛으로 연결하는 것에 대한 세부적인 것을 도시한 블럭도표.
제9도는 제1도 베이스 스테이션과 각 가입자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층을 도시한 도면.
[약어설명]
ACK : Acknowledge (공정 응답)
AMZ : Alternate Mark Znversion(양자택일 표시반전)
BCC : Base-station Control Channel(베이스 스테이션 제어채널)
BEC : Bit Error Count(비트 오류계수)
CCU : Channel Control Unit(채널 제어유닛)
CCT : Channel Control Task(채널 제어작업)
CM : Channel Module(채널 모듈)
CO : Central Office(중앙 사무실)
COT : Central Office Terminal(중앙 사무실 단말기)
CPU : Central Processing Unit(중앙연산 처리장치)
CRC : Cyclic Redundancy Check(순환 중복 검사)
EEPROM : Elect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이 - 이 -롬)
EPROM : Electrically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이-피-롬(전기적으로 프로그램 가능한 판독 전용 기억장치)
FCS : Frame Check Sequence(프레임 체크 순서)
FIFO : First In First Out(선입선출)
HEX : Hexadecimal (십육진법)
LSB : Least Signkficant Bit(최소 유효숫자)
MPM : Message Processing Module(메시지 처리모듈)
MSB : Most Significant Bit(최대 유효숫자)
MTU : Master Timing Unit(마스터 타이밍 유닛)
MUX : Multiplexer (멀티플렉서)
MTMU : Master Timing Multiplexer Unit(마스터 타이밍 및 멀티플렉서 유닛)
NRZ : Non-Return to Zero(비제로 회귀)
OCXO : Oven Controlled Crystal Oscillator(오븐에 의해 제어되는 수정발진기)
PCM : Pulse Code Modulation(펄스 코드 변조)
PLL : Phase Locked Loop(위상 고정 루우프)
RAM : Random Access Memory(임의 접근기억장치)
RCC : Radio Control Channel(무선제어채널)
RPU : Remote-connection Processing Unit(원격-연결처리유닛)
RRT : Remote Radio Terminal(원격 무선 단자)
RX : Receive (수신)
RZ : Return to Zero(제로로의 복귀)
SCT : Subscriber Control Task(가입자 제어작업)
SDLC : Synchronous Data Link Control(동기식 자료연결제어)
SID : Subscriber Identification(가입자 확인)
SIDX : Subscriber Index(가입자 색인)
SIU : Serial Interface Unit(직렬 접속유닛)
STAD INIT : Station Address Initialization(스테이션 주소 초기화작업)
TC : Terminal Count (단자 카운트)
TDM : Time Division Multiplexed(다중화 시분할)
TTL : Transistor-transistor Logic(트랜지스터-트랜지스터 논리)
TX : Transmit (전송)
UART :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범용 비동기식 수신기 송신기)
UW : Unique Word(유니크 워드)
VCU : Voice Codec Unit(음성 코덱 유닛)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교환장치 12 : 통신회로
14 : 원격연결 처리기 16 : 2-4선식 교환기
17 : 신호 데이타 변환기 18 : 반향 상쇄기
19 : 접신기 21a,‥‥21n : 채널모듈
23 : 음성 코덱(codec)유닛 24 : 제어유닛
25 : 변복조기 28 : 버퍼유닛
30 : 타이밍발생기 32 : 채널접속모듈
43,44 : 안테나 110 : 중앙 오피스 단자
111 : 원격무선단자 113 : 접신기
114 : 원격연결 처리유닛 115 : 접신기/RPU접속유닛
116 : 반항 상쇄유닛 118 : 타이밍 유닛
119 : 멀티플렉서 120 : 채널모듈
121 : 전력증폭기 122 : 송신기/수신기 네트워크
123 : 제어유닛 125 : 전화국 중앙사무리실
126 : 이선식 라인 128 : 스팬 트렁크(span trunk)
132 : BCC버스 143 : 트랜시버
144 : 마이크로 제어기 145 : 단극형 변환기
146 : 클록 추출기 147 : 쌍극형 변환기
148 : 스팬루우프백 MUX 149 : 탄성 버퍼 (elastic buffer)
150 : 프레임 버퍼 152 : 선입 선출 FIFO스택
153 : 송신(TX)FIFO스택 154 : 레지스터
155 : 바이트 필터 156 : RX채널 계수기
157 : TX채널 계수기 158 : VCU 게이트 발생기
161 : 게이트 구동기 163 : 직-병렬 변환기
164 :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기억장치 166 : 클록 수신기
167 : 클록 구동기 168 : 슬립 제어유닛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무선 디지탈 전환 시스템과 같은 가입자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개선된 베이스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베이스 스테이션 가입자 스테이션과 다수의 포트를 가지는 외부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시킨다. 이같은 베이스 스테이션은 다수의 포트와 다수의 가입자 스테이션 사이에서 다수의 순차적 반복시간 슬롯을 가지는 주어진 통신채널을 통하여 동시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통신회로를 포함하며, 미리 정해진 타임슬롯이 미리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으로 각각 할당되고, 주어진 가입자 스테이션으로 그리고 주어진 포트로 할당된 타임슬롯사이에서 통신의 방향을 정하도록 하기 위한 원격연결 프로세서 (RPU)를 더욱 포함하고, 그리고 통신회로를 포트(Port)에 연결시키기 위한 교환을 더욱더 포함한다. 이때의 교환은 선택된 포트를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으로 할당된 선택된 통신채널 시간 슬롯으로 연결시키므로써 RPU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통신회로는 다수의 채널제어유닛(CCUS)를 포함하여 할당된 통신채널 시간슬롯을 RPU에 의해 CCU로 통신되는 명령신호에 응답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으로 결합시키도록 하며, 이때의 명령신호는 통신채널 시간 슬롯과 가입자 스테이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도록 베이스 스테이션 제어채널(BCC)을 통해 RPU로 제공되는 상태 메세지에 응답하여 BCC를 통해 CCU로 전달된다. 할당된 통신채널 타임 슬롯은 할당된 무선주파수(RF)채널내 할당된 시간슬롯에 의해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으로 결합된다. BCC는 RPU로부터 CCU각각으로 직접 분리 연결된 라인을 통하여 제공된다. 제어명령과 상태 메세지는 사전 결정된 RF채널의 사전 결정된 시간 슬롯으로 할당된 무선 제어 채널(RCC)을 통해 CCU들과 가입자 스테이션 사이에서 전달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된 형태의 개선된 베이스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신호교환장치는 중앙의 집신기를 포함하여 사전 결정된 외부 네트워크 포트로부터 중앙 집신기에 의해 발생된 비트 스트림내 사전 결정된 순차적 반복시간 슬롯으로 신호의 방향을 결정하도록 하고, 중앙집신기에 의해 그리고 통신채널의 정해진 순차적 반복시간 슬롯사이의 신호전달 방향을 결정시키는 원격 연결 처리기에 의해 발생된 비트 스트림내 사전 결정된 순차적 반복시간 슬롯으로부터 사전 결정된 외부 네트워크 포트로 신호의 방향을 결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베이스 스테이션은 원격단말 접선기를 포함하는 원격연결로 특징되며, 이때 원격단말 처리기는 사전 결정된 원격 포트로부터 원격 집신기에 의해 발생되고 중앙집신기로 전달되는 한 비트스트림내 사전 결정된 순차적 반복시간 슬롯으로 신호의 방향을 결정하도록 하며, 중앙 집신기에 의해 그리고 사전 결정된 원격포트와 사전 결정된 통신채널 시간 슬롯사이에서 신호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원격포트에 연결된 버퍼 유닛에 의해 사전 결정된 순차적 반복시간 슬롯으로부터 사전 결정된 원격포트로 신호의 방향을 결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 베이스 스테이션의 교환장치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비트스트림을 발생시키고 수신하므로써 통신 회로와 통신하기 때문에 마이크로파에 의해 상당한 거리에 걸쳐 교환장치와 통신회로 사이에서 비트스트림이 전달되는 까닭에 본 발명 베이스 스테이션의 교환장치를 베이스 스테이션의 통신회로로부터 멀리 위치시킴이 실용적이다.
제1도에는 교환장치 (exchange) (10), 통신회로(12) 그리고 원격조정 처리기 (14)가 도시되며, 회로(12) 및 처리기 (14)는 교환장치 (10)로부터 원격한 곳에 놓여진다.
교환장치 (10)는 2 내지 4선식 변환기(two-to-four wire converter) (16), 신호 데이타 변환기 (17), 반향 상쇄기(echo canceller) (18), 그리고 중앙 집신기(central concentrator) (19)를 포함한다. 통신회로(12)는 다수의 채널모듈(21a), 유닛(CU) (23), 채널제어 유닛(CCU) (24) 그리고 변복조기 (25)를 포함한다. 원격연결 처리기 (14)는 원격집신기 (remote concentrator) (27) 그리고 버퍼유닛 (28)을 포함한다.
제2도에서, 버퍼유닛 (28)은 타이밍 발생기 (timing generator) (30) 및 채널접속 모듈(32)을 포함한다.
다시 제1도에서, 교환장치 (10)가 N쌍의 라인(37)에 의해 중앙 오피스(35)의 다수 포트로 연결되며, ″N″는 베이스 스테이션에 의해 서비스 제공을 받는 가입자 스테이션의 숫자이다. 각 쌍의 라인(37)은 2선식 루우프를 제공하고, 각 라인 쌍(37)은 2 내지 4선식 변환기(16)에 그리고 모든 신호 데이타 변환기(17)에 연결된다. 변환기(16,17)의 다른 측면에서는 라인 쌍(38-41)을 통해 단향(單向)신호흐름이 발생되며, 4선 루우프 외관이 N라인 쌍(38)과 N라인쌍(39)의 결합에서 제공된다. 전송된 음성신호는 라인쌍(39)을 통해 제공되며, 전송된 신호 데이타가 라인쌍(40)을 통해 제공되고, 그리고 수신된 신호데이타가 라인쌍(41)을 통해 제공된다.
전송되고 수신된 음성신호는 2 내지 4선식 변환기(16), 그리고 반향 감쇄기(18)를 통한 중앙집신기(19)사이에서 통신된다. 신호데이타는 변환기 (17)와 중앙집신기(19)사이에서 직접 통신된다.
중앙집신기(19)는 ITT코퍼레이션에서 판매하는 모델 1218C집신기이다.
중앙집신기 (19)는 사전 결정된 라인 쌍(38-41) (중앙 사무실(35)에서 사전 결정된 외부 네트워크로 연결된)으로부터 중앙집신기 (19)에 의해 발생된 한 비트 스트림내 사전결정된 순차적 반복시간 슬롯으로 신호의 방향을 정한다. 중앙집신기(19)는 사전 결정된 라인 쌍(38-41)을 경유하여 중앙 집신기(19)에 의해 수신된 한 비트 스트림내 사전 결정된 순차적 반복시간 슬롯으로부터 중앙사무실내 사전 결정된 외부 네트워크 포트로 신호의 방향을 정한다. 중앙 집신기는 마이크로파 안테나(43)를 경유하여 이와 같은 비트 스트림을 송신 및 수신한다.
이들 비트 스트립은 상기에서 밝힌 안테나(43)와 원격 연결 처리기 (14)내에 포함된 원격 집신기 (27)에 연결된 마이크로파 안테나(44)사이에서 통신된다. 원격집신기 (27)는 라인 쌍(46-49)에 의해 버퍼(28)로 연결된 다수의 원격 포트를 갖는다.
원격 집신기 (27)는 ITT코퍼레이션에서 판매하는 모델 1218C집신기이다.
원격집신기 (27)는 사전 결정된 원격단자(사전 결정된 라인쌍(46-49)으로 연결된)로부터 원격집신기 (27)에 의해 발생된 한 비트스트림내 사전결정된 순차적 반복시간 슬롯으로 신호를 향하게 한다. 원격집신기(27)는 또한 중앙집신기 (19)로부터 원격한 집신기(27)에 의해 수신된 비트 스트림내 사전 결정된 순차적 반복시간슬롯으로부터 사전결정된 원격포트로 신호를 향하게 한다.
전송된 음성신호는 라인 쌍(46)을 통해 제공되며, 수신된 음성신호는 라인 쌍(47)을 통해 제공되고, 전송된 신호 데이타는 라인 쌍(48)을 통해 제공되며, 그리고 수신된 신호 데이타는 라인 쌍(49)을 통해 제공된다.
버퍼 (28)는 원격집신기 (27)를 통신회로(12)와 접속시킨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통신회로(12)는 다수의 채널모듈(21)을 포함한다. 각 채널 모듈(21)은 할당된 주파수를 가지며 다수의 순차적 반복시간 슬롯을 더욱더 갖는 한 정해진 통신채널을 통해 정해진 숫자의 가입자 스테이션(51)과 통신한다. 각 채널 모듈(21)과 가입자 스테이션(51)사이의 통신은 베이스 스테이션 안테나(53)와 각 가입자 스테이션에 위치한 안테나(54)사이의 마이크로파 링크를 통하여 통신된다.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불연속 주파수 통신채널을 통하여 각 채널 모듈(19)로 결합되는 세개의 가입자 스테이션(51)이 있다. 각 가입자 스테이션(51)은 이에 연결된 전화기를 갖는다.
각 채널 모듈(21)에서 VCU(23)는 각 가입자 스테이션(51)을 위한 분리된 음성 코덱(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며 그리고 신호 데이타를 세개의 모든 가입자 스테이션과 통신시키기 위한 추가의 코덱을 포함한다. CCU(24)는 VCU(23)의 코덱을 통해 통신된 신호를 정해진 채널 모듈(21)로 할당된 통신 채널의 각기 다른 시간슬롯으로 할당시킨다. 이들 신호는 할당된 주파수로 불연속 통신 채널을 통하여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적용된 변복조기 (25) 및 추가의 신호조절장치 (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CCU(24)와 베이스 스테이션 안테나(53)사이에서 통신된다. 따라서, 각 가입자 스테이션(51)은 자신의 사전 결정된 타임 슬롯을 통해 베이스 스테이션과 음성신호를 교환하며, 세개의 모든 가입자 스테이션에 공통인 사전 결정된 타임슬롯을 통해 베이스 스테이션과 신호 데이타를 교환한다. 베이스 스테이션과 가입자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은 CCU(24)내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실시되는 무선조정장치 (RCU)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 조절된다.
RCU는 원격집신기 (27)와 정해진 한 채널모듈(21)사이의 연결에 의해 제공된 세개의 사전결정된 라인에 일치하는 세개의 사전결정된 가입자 스테이션을 인식하도록 프로그램된다.
RCU내 제어처리는 상태 머신(state machine)을 사용하여 조직화된다. 입력 메세지 토큰은 원격 집신기(27)로부터의 신호 데이타, 가입자 스테이션으로부터의 무선제어 채널(RCC)메세지, 그리고 모의 베이스밴드 제어채널(BCC)메세지를 포함한다.
이같은 루틴은 채널 상태를 에스-와이-엔 링(Syn Ring)으로 변경시킨다.
버퍼 (28)는 라인쌍(46 -49)를 통하여 원격한 집신기 (27)의 원격포트로 연결되며 라인(57)을 통하여 통신회로(14)의 채널모듈(21)로 연결되어 원격집신기 (27)의 사전 결정된 원격포트와 사전 결정된 가입자 스테이션(51)으로 할당된 사전결정된 통신 채널시간 슬롯 사이에서 송신 및 수신된 음성신호의 방향을 정하도록 한다. 가입자 스테이션(51)은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원격한 곳에 위치한다.
버퍼 (28)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버퍼 유닛을 포함하여 통신회로(12)내 각 채널모듈(21)과 접속되도록 한다. 타이밍 발생기 (39)는 채널접속 모듈(32)에 클록신호 CLK와 4개의 게이트 신호, 게이트 0, 게이트 1, 게이트 2, 게이트 3을 제공하여 할당된 통신채널내 4개의 순차적 반복시간 슬롯을 규정하도록 한다.
송신된 음성신호 라인 쌍(46), 수신된 음성신호 라인쌍(47), 그리고 신호데이타 라인쌍(48,49)은 집신기(27)의 원격포트와 채널 접선모듈(32)사이에서 연결된다.
채널접속 모듈(32)은 클록과 게이트 신호를 채널모듈(27)로 제공하여 CCU(24)에 의해 할당된 타임 슬롯을 규정하도록 한다.
채널접속 모듈(32)은 라인 쌍(46,47)사이의 통신을 조종하기 위해 사전결정된 방식으로 상응하는 채널모듈(21)내 VCU(24)에 연결되며, 전술한 라인쌍이 CCU(23)에 의해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으로 할당된 사전결정된 통신 채널 시간 슬롯을 갖는 VCU(24)내에서 정해진 한 가입자 스테이션과 한 코넥에 관련된 송수신 음성신호를 운반한다. 채널접속 모듈을 신호 데이타 라인쌍(48,49)과 CCU(23)에 의해 할당된 공통시간 슬롯을 갖는 VCU 대 음성코덱사이에서 신호를 조정하고 보내기 위해 VCU(24)에 연결되어 정해진 채널모듈과 연결된 세개의 가입자 스테이션 모두를 위해 신호데이타를 통신시키도록 한다.
제4-9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제까지 설명된 바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같은 실시 예에서, 교환장치가 주어진 시간슬롯을 통하여 한 통신신호 처리기로부터 교환장치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그와 같은 타임슬롯에 결합된 통신신호 처리기로 귀환되도록 하기 위해 원격 -연결 처리기로부터의 명령에 응답한다. 각 통신신호 처리기는 귀환된 사전 결정된 신호패턴에 응답하여 채널제어 유닛중 하나로 연결되므로써 결합된 채널제어유닛이 원격-연결 처리기로부터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위해 귀환된 사전 결정된 신호패턴을 수신하는 통신-신호처리기를 할당하게 한다.
통신회로는 다수의 통신채널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트렁크(trunk)를 포함한다. 다수의 멀티플렉서는 다수의 트렁크에 연결되어 통신채널 각각에서 다중의 순차적 반복시간 슬롯을 제공하도록 하므로써 통신채널을 통해 다수의 포트와 다수의 가입자 스테이션 사이에서 동시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다수의 채널 제어 유닛은 멀티플렉서에 연결되어 주어진 가입자 스테이션으로 할당된 타임슬롯을 연결시키도록 한다. 다수의 제어기는 각각 멀티플렉서에 연결되며 로컬 버스(local bus)가 제어기와 채널 제어유닛 사이에 제공된다.
모니터된 상태에 따라, 원격-연결 프로세서가 타임슬롯중 하나를 선택하여 베이스-스테이션 제어채널을 점유(carry)하도록 하며, 베이스-스테이션 제어채널을 점유하도록 선택된 타임슬롯을 나르는 트렁크에 결합된 멀티플렉서로 연결된 제어기가 일차 제어기로 가능하도록 하여 로컬버스를 통하여 베이스 스테이션 제어채널을 다른 제어기로 그리고 채널 제어유닛으로 연결시키도록 하므로써 원격-연결 처리기가 다른 시간 슬롯의 상태를 모니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다른 시간슬롯을 할당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회로는 임의로 다수의 트렁크를 포함하여 다수의 통신채널을 제공하도록 하며, 다수의 트렁크에 연결된 다수의 멀티플렉서를 포함하여 통신채널 각각에서의 다중의 순차적 반복시간 슬롯을 제공하도록 하므로써 통신채널을 통하여 다수의 포트와 다수의 가입자 스테이션 사이에서 동시 통신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다수의 통신채널 유닛은 멀티플렉서에 연결되어 할당된 시간 슬롯을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에 연결시키도록 하며, 각 채널 제어 유닛은 다수의 할당된 시간슬롯을 상응하는 다수의 가입자 스테이션으로 연결시킨다. 이같은 배열에서의 할당 루틴은 다른 채널제어 유닛과 관련된 타임슬롯을 할당하기 이전에 어떤 정해진 채널 제어유닛과 관련된 모든 타임 슬롯을 할당하고 다음에 앞서 할당된 시간슬롯과 관련된 채널제어유닛에 연결된 멀티플렉서가 아닌 다른 멀티플렉서에 연결된 채널제어유닛에 관련된 타임슬롯을 할당함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같은 베이스 스테이션은 융통성 있게 많은 숫자의 가입자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많은 숫자의 통신을 다룰수가 있다.
제4도에 관련하여, 베이스 스테이션은 한 중앙 오피스단자(COT)(110)와 원격무선단자(RRT) (111)를 포함한다. COT(110)는 집신기 (113), 원격연결 처리유닛 (115) 그리고 다수의 반향감쇄 유닛 (116)을 포함한다. RRT(111)는 마스터 타이밍 유닛(MTU) (118), 다수의 멀티플렉서 (MUXs) (119), 다수의 채널 모듈(120), 다수의 전력증폭기 (121), 그리고 송신기/수신기 네트워크(122)를 포함한다. 채널모듈(120) 각각은 채널제어유닛 (CCU) (123)을 포함한다.
집신기 (113)는 다수의 이선식 외관라인(two-wire-appearance lines) (126)을 통하여 전화국 중앙사무실(125)과 통신된다. 집신기 (113)는 다수의 스팬 트렁크(128)를 통하여 RRT(111) 내지 MUXs(119)와 통신된다. 스팬 트렁크(128) 각각은 스팬트렁크(span trunk) (128)가 연결된 각 MUX(119)에 의해 제공되는 다수의 다중송신시간 슬롯내에서 디지탈 정보를 운반한다. 타임슬롯의 숫자는 출현숫자보다 적기 때문에 외부 회로의 집중을 발생시킨다. 출현 대 타임슬롯의 비는 가입자 대 타임슬롯의 비와 같다. 제 1의 비를 제공하는 장치는 ″교환장치′(exchange)로 언급되기도 하며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특정하여 집신기로 언급된다.
제2의 비를 제공하는 장치는 ″익스팬더 (expander)″로 언급되며, 이같은 익스펜더는 원격 무선단자 (RRT), 가입자 스테이션 그리고 RRT와 가입자 스테이션 모두를 위한 제어로 작용하는 RPU를 포함한다.
디지탈 정보는 음성데이타이거나 다른 데이타일 수 있다. 음성데이타 코딩 기술은 디지탈 정보이다. 스팬트렁크(128)를 통하여 운반되는 음성신호는 COT(110)에서의 음향감쇄기 (116)를 통하여 집신기 (113)로부터 그리고 집신기로 통과된다.
MTU(118)는 타이밍 버스(130)를 통하여 MUXs(119)로 타이밍 신호를 제공한다.
RPU(114)는 집신기 (113)에 의해 MUXs(119)에 연결되어 베이스-스테이션 제어채널(BCC)을 통해 MUXs(119)와 CCUs(123)과 통신되도록 하며, 베이스-스테이션 제어채널(BCC)는 한 스펜 트렁크(128)에서의 한 타임슬롯을 점유하고 로컬버스(132)에 의해 MUXs(119)와 CCUs(123)사이에 연결된다. RPU(114)와 집신기(113)사이의 BCC채널은 RPU(114)와 집신기/RPU접속유닛(115)사이의 라인(134)과 집신기/RPU 접속유닛 (115)과 집신기 (113)사이의 라인(135)에 의해 제공된다.
MUXs(119) 각각은 다수의 분리라인(137)에 의해 다수의 채널모듈(120)로 연결된다. 다수의 음성 및 데이타 채널은 라인 각각(137)을 통하여 제공되므로써 채널 모듈 각각 (120)을 통해 다수의 가입자 스테이션(141)과 통신되도록 한다. 채널모듈 각각(120)은 한 전력증폭기 (121)에 의해 송신기/수신기 네트워크(122)로 연결되어 RF채널내 상응하는 다수의 시간슬롯을 통하여 다수의 가입자 스테이션과 통신되도록 한다.
어떤 설비에서는 RRT(111)가 COT(110)과 함께 위치될 수 있다. 이같은 형태의 설비에서는 스팬 트렁크(128)가 RRT(111)를 COT(110)에 연결시키도록 사용되는 표준형 연이선식(撚二線式)케이블이다. RRT(111)가 가입자 스테이션(14)으로의 다소의 시선(視線) 경로를 요구하는 까닭에 RRT(111)의 보다 전형적인 설비는 COT(110)로부터 원격하여 있으며, 주변지역에서 높은 지점 (high point)를 차지한다. 이같은 경우에 마이크로파, 광섬유 또는 기다란 케이블 링크가 사용되어 COT(110)과 RRT(111)사이에서 사용되어 전송매개를 제공하도록 한다.
각 스펜트렁크(128)는 시분할 멀티플렉스(time-division-multiplexed) (TDM)DS1신호를 운송할 수 있다. DS1 신호는 24개의 시간슬롯을 제공하며, 각각이 한 바이트의 디지탈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24개까지의 동시 회로가 한 스팬트렁크(128)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MUXs(119)는 디지탈 정보를 디멀티플렉스하기 위해 프레임 타이밍을 만든다. 일단 프레임 타이밍이 만들어진 다음에는 개별 바이트가 적절한 채널 모듈(120)을 위해 추출될 수 있다.
각 채널 모듈(120)은 한 UHF RF채널을 지원한다. 다음 RF채널 각각은 4개의 사용가능한 타임슬롯으로 분할된다. 따라서 한 RF채널은 4개의 가입자스테이션까지 동시회로를 지원할 수 있다. 스팬 트렁크(128) 각각이 24개까지의 동시회로를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각 MUX(119)는 6개까지의 채널모듈(120)과 통신할 수 있어야만 한다.
MUXs(119) 각각은 24개 까지의 동시회로만을 다룰수 있거나 23개의 동시회로와 BCC를 다룰수 있는 한 모듈러카드(modular card)내에서 실시된다. MUXs(119)는 트렁크(128)로부터 데이타를 추출하고 이를 채널모듈(120)로 분산시키도록 요구되는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MUX 카드(119)는 모든 필요한 타이밍 신호를 제공하여 채널모듈(120)이 바른 디지탈 정보를 추출하도록 한다. 각 MUX 카드(119)는 DS1-포맷 파형을 송신 및 수신하고 최대의 스팬 트렁크(128) 길이를 위한 충분한 구동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회로를 담고 있다.
베이스 스테이션은 6개까지의 MUX 카드(119)를 가지므로 36개까지의 RF 채널을 지원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집신기 (113)는 스위치가 있는 모델 1218C 디지탈상 집신기를 포함하며, 이같은 유닛은 미국, 뉴욕주 뉴욕시에 있는 ITT 코퍼레이션으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RPU(114)는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고에 있는 알씨온 코퍼레이션(Alcyon Corp)으로부터 구입가능한 Alcyon 컴퓨터를 구성한다. RPU(114)는 집신기 (113)와 RRT(111)를 최종적으로 제어한다. RPU(114)는 가입자 스테이션(141)과 중앙 사무실(125) 사이의 요구된 송신경로를 만들기 위한 가입자의 요구를 처리한다.
BCC 버스(132)를 지원하기 위해 MUX 카드(119) 각각은 내장된 동기식 자료연결 제어 (SDLC) 제어기가 있는 마이크로 제어기를 갖고 있다. MUX 카드(119)내 하드웨어는 BCC에서의 자료를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삽입시킬 수도 있다.
BCC는 한 스팬 트렁크(128) DS1 자료흐름의 제 1채널을 점유한다. 이같은 자료는 BCC 버스(132)를 통하여 적절한 메세지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며 BCC를 통해 RPU(114)에 의해 처리되며 BCC를 통해 RPU(114)에 의해 발생되는 어떤 명령에 영향을 끼치도록 한다.
베이스 스테이션내 가능한 6개중 단지 하나의 MUX 카드(119)만이 어떤 정해진 시간에 RPU(114)로부터 BCC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카드만이 데이타를 선택된 스펜 트렁크(128)의 제 1채널내로 삽입시킬 것이며 또한 BCC 버스(132)를 위한 일차 마이크로 제어기를 제공할 것이다.
이 같은 MUX 카드는 일차 MUX 카드로 언급된다. 나머지 MUX 카드(119)는 이들 나머지 MUX 카드가 연결된 스펜 트렁크의 각 제 1 채널이 채널모듈(120)을 위한 디지탈 정보슬롯으로 사용되어 지도록 허용하며, BCC 버스보조로 작용하도록 이들의 마이크로 제어기를 배치시킨다. 일차 MUX는 또한 적절한 신호를 제공하여 MTU(118)를 제어하도록 하며, 일차 MUX 카드로 연결된 스펜 트렁크(128)의 일차 채널을 점유하는 BCC를 통하여 RPU(114)로 제공된 상태 메세지를 수신하도록 한다.
제2도는 MUX 카드(119)의 블럭 도표이다. MUX 카드(119)는 트랜시버(143), 마이크로 제어기(144), 단극형 변환기(145), 클록 추출기 (clock extractor) (167), 쌍극형 변환기(147), 스팬 루우프백 MUX (148), 탄성 버퍼 (elastic buffer) (149), 프레임 버퍼 (frame buffer) (150), 수신(RX) 선입선출 FIFD 스텍(stack) (152), 송신(TX) FIFD 스텍 (153), 저항기 (154), 바이트 필터 (155), RX 채널 계수기 (156), TX 채널 계수기 (157), VCU 게이트 발생기 (158), 게이트 구동기 (161), 라인 수신기 (162), 직렬-병렬 변환기(163), 전기적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기억장치(EPROM) (164), 클록 수신기(166), 클록 구동기 (167), 그리고 슬립 제어유닛 (slip control unit) (168)을 포함한다.
4개의 주요한 접속이 MUX 카드(119) 각각에 제공된다. 트렁크(128)는 COT(110)와 RRT(111) 사이에서 모든 데이타를 위한 1.544Mbps의 양방향 경로를 제공한다.
채널모듈(120)내 음성 코맥유닛 (VCUs)은 직렬의 1.544MBPS 비트 자료스트림을 제공하는 디지탈 정보 데이타 채널(137a,137b)에 의해 그리고 적절한 클록과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여 VCUs가 올바른 시간 슬롯에서 64KBPS/채널 디지탈 정보를 추출하고 삽입하도록 하는 클록 라인(137c)과 게이트 라인 (137d)에 의해 이 같은 접속에 의해 6개까지의 VCUs가 지원될 수 있다.
BCC 버스(132)는 모든 채널모듈(120)과 RRT(111)대 MUX 카드(119) 사이에서 제어 및 상태 데이타를 제공한다. BCC 버스(132)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일차 MUX 카드(119)내 단일의 일차 마이크로 제어기(144)에 의해 모든 보조 MUX 카드(119)와 모든 채널모듈(120)의 폴링(polling)을 갖는 SDLC 멀티드롭이다.
중복 BCC 버스(도시되지 않음)은 예비로 제공될 수 있다. 클록신호는 마스터 타이밍 유닛 (118)으로부터 라인(130)을 통해 수신된다.
T1 스팬 트렁크(128a) (128b)로의 전기적 접속은 DS1 파형을 발생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같은 접속은 DSX-1 클로스 연결에서 출현한 신호를 위한 상호 연결 명세 (specification)에 맞도록 만들어진다(AT T Compatibility Bulletin #119 참조). 이 같은 명세가 655 피이트까지의 ABAM(또는 동등률)케이블이 RRT(111)가 적합한 전송장치 또는 COT(110)에 직접 연결되도록 허용한다.
수신경로(128a)에서, 단극형 변환기 (145)는 쌍극형 대체 표시 반전(alternate mark inversion) (AMI) R2 신호를 트랜시버 (143)의로의 입력을 위한 단극형 TTL NRZ 신호로 변환시킨다. 클록 추출기 (146)는 NRZ 데이타를 클록하도록 사용되며 1.5444MHz 입력클록을 발생시킬 외부 위상고정 루우프(PLL)를 위한 기준 클록으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입력 신호로부터 클록을 추출한다. 추출된 클록신호는 라인(172)을 통해 제공된다.
전송 경로에서 쌍극형 변환기(147)는 TTL NRZ 신호를 DS1 쌍극형/AM1 신호로 변환시킨다. 스팬 루우프백 MUX(148)는 완전한 DS1 신호를 역순환 시키도록 제공된다.
트랜시버 (143)는 동기화, 채널 모니터링, 그리고 신호 삽입 및 추출을 위한 적절한 회로를 포함한다. 트랜시버 (143)는 미국, 펜실바니아, 피츠버그에 있는 록크웰 인터내셔날 코퍼레이션(Rockwell International Corp.)에서 구입될 수 있는 모델 R8070 T-1 트랜시버인 것이 좋다.
트랜시버는 다목적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것만으로 다양한 북미와 유럽의 디지탈 프로토콜을 최고의 비율로 지원한다. 집신기(113)와 양립가능한 모드는 ″193S″이다. 이 같은 모드(mode)는 193개의 비트/프레임에 A, B 신호(signalling), 수퍼프레임마다 12개의 프레임, 그리고 B7(보조 LSB) 스터핑을 사용한 제로삭제를 제공한다. DS1 프레임 조직은 8000Hz의 샐플렝 주파수, 초당 1.544Mbits의 출력비트 속도, 프레임당 193개의 비트, 그리고 프레임당 24개의 타임 슬롯을 제공한다. 신호는 모든 6번째 프레임의 8번째 비트에 의해 제공되며, 5-비트는 단자 프레임과 신호 프레임 사이에서 공유되는 시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트랜시버 (143)는 독립된 송신 및 수신 섹션을 준비하며, 각 섹션이 각기 다른 클록 및 프레임과 함께 작용하도록 한다. 클록 수신기(166)에 의해 라인(130)을 통하여 MTU(118)로부터 수신되고 이에 의해 발생되는 1.544MHz 클록은 라인(170)을 통해 트랜시버 (143)로 연결되며, 전송 클록으로 사용된다. 클록 수신기(166)에 의해 수신되는 1.544 클록은 클록 구동기(167)에 의해 라인(137c)을 통해 VCUs로 연결된다. 트랜시버 (143)의 수신경로는 클록 추출기 (146)로부터 탄성버퍼 (149)까지 라인(172)을 통해 추출된 클록신호를 사용한다. 이후에는 라인(171)을 통해 클록 수신기(166)에 의해 제공된 로컬클록이 제공된다.
COT(110)에서의 집신기 (113)는 수신된 DS1 신호(루우프타임 : loop timed)로부터의 집신기의 전송 비트 타이밍을 구동시키도록 프로그램된다. MTU(118)에서의 80MHz OCCO는 일차 클록으로 사용되며, 이와같은 일차 클록으로부터 1.544MHz 로컬클록을 포함하여 모든 다른 타이밍이 구동된다.
가입자 스테이션(141)은 이들의 로컬 VCXO를 베이스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되는 UHF RF 신호로 고정시키므로써 베이스 스테이션 타이밍에 직접 관련한 로컬 타이밍을 발생시킨다. 이는 완전한 동기식 시스템을 초래케 하여 가입자 스테이션(141)에 의해 발생된 디지탈 정보율이 T1 트렁크(128)에 의해 제공된 자료율(data rate)과 정확히 같아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배치로 자료는 반복해서 축적되거나 고갈되지 않으며 따라서 제어된 슬립이 필요치 않게된다.
작동의 MUX-근원 타이밍 방식에서, COT(110)는 추출된 DS1 수신 타이밍에 종속되며, DS1 전송경로(128b)는 MTU COXO로 참조되고, DS1 수신경로(128a)는 MTU COXO로 참조되며, 그리고 VCU는 MTU OCXO로 참조된다. 이 같은 방식으로 전 시스템은 동기되어지며, 어떤 제어된 슬립도 행하여질 필요가 없다.
비록 송신 및 수신 DS1 비율이 한 방향이 다른 방향에 종속되기 때문에 평균하여 같다고는 할지라도 수신된 파형에선 지터 (jiter)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이 같은 신호가 순간보다 높거나 낮은 율인 것처럼 보이도록 만들 수가 있다. 또한 알려지지 않은 경로지연 및 집신기 (113)에서의 알려지지 않은 지연으로 인하여, 로컬클록 및 재발생된 수신클록이 이들 사이에서 알려지지 않은 휩(skew)을 갖는다. 이들 두가지 영향을 보상시키기 위해 16비트의 탄성버퍼 (149)가 트랜시버 (143)로 연결된다. 바이트는 라인(172)을 통하여 추출된 수신클록 신호에 의해 결정된 비율로 이 같은 버퍼 (149)내에 실린다. 데이타는 라인(171)을 통해 로컬 클록 신호에 의해 결정된 비율로 추출된다. 탄성 버퍼 (149)는 바이트 필터 (155)에 의해 RX FIFO(152) 스택으로 연결되어 독립된 쉬프트-인 쉬프트-아웃 클록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트랜시버 (143)가 프레임 정돈(frame alignment)을 잃으면 탄성버퍼 (149)내로 데이터 적재가 금지되어 쓸모없는 데이타가 VCU 및 마이크로 제어기로 보내지지 않도록 한다. 프레임-외 (out-of-frame) 조건중에는 데이타가 아직 VCUs로 보내지기는 하나 이것은 데이타는 아날로그″제로″ 수준과 같은 FF(HEX)로 강요되어진다. 일단 프레임이 재정렬되어지면 데이타는 다시 적재된다.
프레임 버퍼 (150)는 DS1 송신 및 수신경로(128b, 128a)가 독립하여 작동하도록 제공된다. 이와 같은 상호 무관함으로 인하여 송신 및 수신 프레임은 반드시 정렬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그러나 VCU로의 접속(137)은 한 정해진 채널에 대하여 송신 및 수신된 데이타가 동시에 보내어 지고 VCU의 전망으로부터 프레임 정렬을 의미하도록 만들어진다. 프레임 버퍼 (150)는 프레임 버퍼 (150)내로의 데이타 기록이 트랜시버 수신 프레임 정렬을 기초로 하도록 하고 데이타의 판독이 송신 프레임을 기초로 하도록 허용하는 분리된 판독 및 기록 포인터를 제공하므로써 이 같은 딜레마를 해결한다. 송신 프레임 (transmit framing)은 VCU 접속(137)을 통해 사용되며 따라서 정해진 한 채널에 대한 송신 및 수신 바이트가 VCU 접속(137)을 통하여 동시에 발생하도록 한다.
프레임 버퍼 (150)는 4개의 프레임 가치가 있는 데이타를 포함한다. 주소법은 4개의 버퍼 각각내 고정된 주소가 고정된 채널 정렬과 일치하도록 한다. 판독 및 기록 포이터는 초기에 두 버퍼가 따로 떨어져 있도록 세트된다. 일단 RX 프레임이 획득되면 기록 포인터 (pointer)가 RX 프레임을 뒤따르며 이는 기록 포인터가 판독 포인터가 아닌 기록 포인터의 현재 버퍼내 다른 한 바이트(즉, 채널)을 포인트(point)함을 의미한다. 두-버퍼의 초기분리는 포인터가 초기에 1 프레임 (예를들어 프레임 1의 끝에서 판독하고 프레임 3의 시작에서 기록한다). 보다 짧지 않도록 한다. 이 같은 분리는 많은 양의 지터가 판독 포인터를 가로질러 기록 포인터 없이 수신 데이타에서 발생되도록 허용한다. 이는 또한 하기에서 설명되는 슬립 (slip)기능을 단순하게 한다.
프레임 버퍼 (150)의 판독 및 기록은 전송클록으로 종속된다. 프레임 버퍼 (150)의 유일한 판독이 VCU 접속(137)이 이 같은 클록의 제어하에 있기 때문에 전송클록이 매 8개 비트 배마다 프레임 버퍼 (150)의 단자 하나의 판독만이 수행된다. 그러나 수신경로는 라인(172)을 통하여 탄성버퍼(149)까지 추출된 클록신호의 제어하에 있게 된다. 데이타가 탄성버퍼 (149)에서 일어나지 않음을 보장하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 버퍼 (150) 제어논리가 전송클록의 동 8개 비트 배중에 두개의 기록까지가 수행되도록 허용한다.
프레임 버퍼 (150)의 보조기능은 프레임 버퍼가 제어된 슬립이 수신방향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는 것이다. 정상 조건하에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집신기 (113)와 함께 작동할 때 이 같은 보조기능이 결코 발생되어서는 않되며 따라서 한 고장상태로 간주된다. 만약 집신기 (113)의 타이밍이 편류(lases lock)하거나 입력 트렁크(128a)를 통한 DS1 입력이 잃어진다면 프레임 버퍼 (150)로의 자료율이 바뀔 수가 있다. 만약 판독 및 기록 포인터가 겹쳐지도록 충분한 시간동안 이 같은 상태가 지속된다면 제어된 슬립이 수행되게 된다. 이때의 슬립은 적절한 포인터를 이동시키고 한 프레임의 데이타가 반복되거나 삭제되도록 한다.
이 같은 반복 또는 삭제가 발생된 때 만약 DS1 입력이 아직 존재한다면 수신 프레임은 손실되지 않을 것이다. 포인터의 비교를 단순하게 하기 위해 이 같은 기능은 어느 한 포인터의 단말기 계수(TC)중에만 활동성이 있다. 단말기 계수(Terminal Count)는 현재 버퍼의 끝으로 규정된다. 슬립 제어유닛 (168)은 RX 채널 계수기 (156)와 TX 채널 계수기 (157)에 의해 제공된 TCs에 응답하여 판독 포인터 및 기록 포인터에 의해 도달된 TCs의 숫자를 계산해 두도록 한다. 만약 판독 포인터가 기록 포인터를 통과하면 프레임의 데이타가 삭제될 것이다. 슬립의 표시는 슬립 제어유닛 (168)에 의해 래치되며, 라인(174)을 통하여 마이크로 제어기 (144)로 제공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 (144)는 데이타 버스(176) 하나와 두개의 16-바이트 FIFO 스택 (152) (153)에 의해 수신기에 접속되며 이들 두개의 16 바이트 FIFO 스택은 전송 및 수신 BCC 데이타 모두를 위한 버퍼를 제공한다.
BCC 데이타는 제1 DS1 타임 슬롯중에 RX FIFO 스택(152)로부터 추출되며, BCC 데이타는 제1 DS1 타임슬롯중에 TX FIFO 스택 (153)내로 삽입된다 전송 BCC 데이타는 만약 명령된다면 제어비트를 세트시키므로써 마이크로 제어기 (144)에 의해 삽입된다.
RX FIFO 스택(152)은 T 트렁크(128)을 통하여 BCC 버스(132)의 일차 제어기인 MUX 카드(119)로 전달된 RPU(114)로부터의 메세지로 버퍼시킨다. 그러나 T1 트렁크(128)를 통한 한 채널은 64개의 KBPS (56 KBPS가 사용가능)를 가지고 있으며 RPU(114)는 이 같은 배율로 자료를 공급할 수 없다. 순서 비트는 MUX 카드(119) 하드웨어가 단순히 앞선 바이트의 반복인 바이트들을 버릴 수 있도록 한다. RPU(114)에 의해 기록된 자료 버퍼가 삭제될 때는 언제나 반복이 발생된다. 바이트 필터 (155)는 수신 FIFO 스택(152)이 같은 순서 비트를 갖는 바이트들을 제거하기 이전에 자리를 잡기 때문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마이크로 제어기(144)에 의해 판독가능한 RX FIFO 판독 ″판독 준비(output ready)″ 상태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트가 RX FIFO 스택 (152)내에 있음을 나타낸다. RX FIFO 오버 플로우 상태가 발생됨을 막기 위해 ″RX FIFO FULL″ 신호가 발생되며 라인(177)을 통해 제공되어 마이크로 제어기 (144)의 ″0″상태를 인터럽트 하도록 한다. 다음 마이크로 제어기 (144)는 한 프레임 타임(125 usec)을 가지며 오버 플로우가 발생되기전 RX FIFO 스택(152)으로부터 적어도 한 바이트를 판독하도록 한다. RX FIFO 스택(152)을 채우기 위해 최소 16×125usec=2msec가 걸린다.
TX FIFO 스택(153)은 MUX 카드로부터 RPU BCC 채널 통신으로 한 버퍼를 제공한다. 저항기(154)는 TX FIFO 스택(153)으로부터 데이타를 추출하여 마이크로 제어기에 의해 가능해질 때 제1 DS1 채널내로 삽입시킨다. TX FIFO 스택(153) 상태는 판독가능하나 어떤 인터럽트도 발생시키지 않는다. 수신경로와 같이 교대식 순서 비트는 TX FIFO 스택(153)이 어떤 오류도 발생시키지 않고 메세지의 중간에서도 비워 지도록 허용한다. TX FIFO 스택이 비워진때 TX FIFO 스택(153)은 단순히 마지막 바이트를 반복하여 이 같은 자료의 반복이 순서 비트가 변경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RPU(114)로의 접속에 의해 버려질 것이다. 또한 이 같은 반복 특징은 아이들 패턴(만약 필요하다면)을 전송 시키기 이해 유용하다. 마이크로 제어기(144)는 TX FIFO 스택 (153)은 아이들 패턴을 TX FIFO 스택(153)내로 한번 적재하여야 하며, 또 다른 바이트가 적재될때까지 반복될것이다.
VCU 접속(137)은 VCU로 그리고 VCU로부터의 디지탈 정보를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데이타는 DS1 자료와 같은 비율, 즉 1.544MBPS로 연속적으로 전송된다. 각 VCU는 DS1 프레임의 4개의 인접한 슬롯을 위한 데이타를 전송 및 수신한다. 전송된 4개의 바이트와 수신된 4개의 바이트는 동시에 발생된다. VCU가 자신의 4개 타임슬롯을 확인하도록 하기 위하여 게이트가 라인(137d)을 통하여 MUX 카드(119)에 의해 제공된다. 이 같은 게이트는 4개의 바이트에 걸쳐 지속되며 분리 게이트가 각 VCU에 대해 발생된다. 특별한 신호 각각(즉, GACLAIMSTE 1, GATE 2 등)은 한 특별한 VCU로 연결되며, VCU 각각은 4개의 음성코덱 처리기를 포함한다. VCU 각각은 각각의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4개의 음성코덱 처리기를 다중 송신한다.
한 VCU로부터의 모든 4개의 바이트는 서로 인접하여 뒤를 잇는다. 바이트 각각은 직렬/병렬 변환기에 의해 병렬로 변환되며, 트랜시버 (143)로 입력된다. 이 같은 처리는 대부분의 채널 타임 슬롯중에 계속된다. 그러나 트랜시버 (143)가 24개의 채널 데이타를 전송시키는 때 이는 한 클록만큼 사이클을 연장시키어 프레임 비트시간을 밝히도록 한다. 이 같이 연장된 시간 슬롯은 VCU가 자신이 4개의 바이트가 인접할 것을 기대하기 때문에 그리고 송신 타이밍에서의 한 갭을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게이트의 끝에서 발생된다. 이 같은 갭을 VCU 사이클의 끝으로 이동시키므로써 갭이 GATE들 사이에서 발생하도록 하며, 따라서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파이프라이닝 (pipelining) 및 동기식 지연으로 인해 모델 R8070 트랜시버(143)가 24개의 채널 데이타를 전송하는데 제 2채널 데이타는 VCU 접속(137)에서 활동적이다. 게이트 신호(137d)는 VCU(124)가 자신의 접속논리 초기화 하도록 데이타를 실제 리이드 한다.
모든 VCU는 공통된 직렬의 복귀 데이타 버스(137d)를 공유한다. 각 VCU를 위한 구동기는 게이트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때 3상태로 있게 되며, 따라서 단지 하나의 VCU가 어느 한 시간에 버스(137b)를 구동한다. 어떤 설치에서는 6개 이하의 VCU가 한 MUX 카드(119)로 실제 연결될 수 있다. 어떤 VCU도 VCU 복귀 데이타 버스(137b)를 구동시키지 않는 때의 직렬 데이타를 규정하기 위해 풀-엎 및 풀-다운(pull-down) 저항기가 MUX 카드라인 수신기(162)에 제공되며, 이 같은 수신기는 데이타가 모두 같도록 규정할 것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144)는 MUX 카드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상태 및 오류를 모니터 하는 것 뿐아니라 모든 하드웨어를 초기화하도록 한다. 또한 MUX 카드(119)에서의 마이크로 제어기 (144)는 BCC 버스(132)를 제어하기 위한 1차 제어기로서 RPU(114)에 의해 선택된다. 1차 제어기를 포함하는 MUX 카드(119)는 1차 MUX 카드(119)인 것으로 간주된다. BCC 버스(132)의 제어는 모든 채널모듈(120) (이들의 CCUs를 통해)과 2차의 보조 MUX 카드로 간주되는 모든 다른 MUX 카드(119)의 연속풀링 (continual polling)을 포함한다. 2차 MUX 카드는 이들 각각의 채널모듈(120)을 위해 상기 설명된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마이크로 처리기 (144)는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Santa, Clara)의 인텔 코퍼레이션으로부터 구입된다. 마이크로 제어기(144)는 SDLC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내장의 직렬 접속유닛 (SIU)을 포함한다. 마이크로 처리기 (144)는 통신 하드웨어를 포함하며 마이크로 제어기 처리기 코어가 BCC 버스에서 발생되는 모든 사건과 상호 작용해야만 하는 것으로부터 자유로워 지도록 한다. SIU는 메세지가 송신되거나 수신되는 때에만 처리기 코어를 인터럽트시킨다.
모든 프로그램 기억장치는 EPROM(164)에서 외부에 존재하며, 데이타 기억장치는 외부에 4K 바이트 그리고 RAM 내부 192 바이트로 이루어진다. 감시 티이머 (도시되지 않음)는 마이크로 제어기 (144) 정상작동을 막도록 하는 비정상 사건이 발생되면 마이크로 제어기 (144)를 리세트하도록 제공된다. 감지 리세트 발생은 래치될 것이며 따라서 마이크로 처리기 (144) 소프트웨어가 그와 같은 사건의 발생을 입증하도록 할 것이다.
RPU(144)에 의해 1차 지정된 MUX 카드(119)는 MTU(118)를 제어할 수 있으며, 그 상태를 RPU(114)로 보고할 수 있다. 이 같은 제어한 한 저항기의 4비트(도시되지 않음)로 대응되는 4개의 라인으로 되어 있다. 저항기의 출력은 3상태 구동기 (도시되지 않음)로 연결되며, 모든 MUX 카드가 4쌍의 공통라인으로 연결되고, 다만 단지 한 세트의 구동기만이 정해진 시간에 가능해진다. 이들 신호의 모든 타이밍은 소프트웨어 제어하에 있게 된다.
MUX 카드(119) 각각은 채널모듈(120)의 하드웨어 리세트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채널모듈(120)이 확실하지 않은 상태로 간다면 RPU(114)에 의해 명령받게 된다. 집신기 (113)와 RPU(114)는 64Kbit/sec DSO 채널을 통해 연결되며, 이때의 채널은 데이타 링크로서 간주된다. RPU(114)에서의 DSO 접속은 집신기 (113)와 집신기/RPU 접속유닛 (115)내 DSO/DP 회로카드에 의해 지원된다.
RPU(114)는 타임 슬롯 연결의 할당을 제어하고 데이타 링크(180, 181)를 통해 집신기(113)와의 통신을 유지하여 연결요청을 수신하고 연결할당을 송신하는 경로를 제공하도록 한다. 데이타 링크(180, 181)는 상태, 시험 및 경보메세지를 RPU(114)와 집신기(113) 사이에서 옮기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BCC 채널은 RPU(114)에 의해 RRT(111) 하드웨어를 제어 및 배치시키어 상태를 모니터하고 호출처리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한다.
COT(110)와 RRT(111)사이의 디지탈 스팬 트렁크(128)는 호환가능한 1,5444MB T1이며, 신호형식 및 전기특성은 1977년 10월 3일 발생된 AT T 테크니컬 어드바이서리 (Technical Adoisory) 제32호 ″D3 채널 뱅크 호환 명세서 (The D3 Channel Bank Compatibitlty Specification)″에 의해 규정된다.
모델 1218C 집신기 (113)의 디지탈 데이타 포트의 전기 접속은 ITT 서류 628340-001-301 ″수행 명세서 DSO 데이타 포트(Performance Specification, DSO Dataport)″에 의해 규정된다.
시스템 초기화중에 그리고 데이타 링크(180,181)가 분실된 때에는 언제나 RPU(114) 및 집신기 (113)가 데이타 링크 할당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링크를 재구축하도록 한다. 만약 200msec 기간중에 어떤 메세지도 전달되지 않는다면, 또는 만약 집신기(113) 또는 RPU(114)중 어느 하나가 데이타 링크(180,181)를 통하여 어벤던(ABN) 제어문자를 전송한다면 데이타 링크(180,181)가 데이타 링크(180,181)는 분실된 것으로 간주된다. 데이타 링크(180, 181)는 집신기의 두 라인 그룹과 라인회로 결합중 하나로 할당된다.
검증과정은 새로운 데이타 링크가 발견됨을 입증한다. 만약 데이타 링크가 2초 이내에 다시 입증되지 않으면 집신기(113)와 RPU 모드가 모든 교통량을 중지하고 알고리즘을 재시작한다. 알고리즘은 데이타 링크(180)의 두 채널 각각을 통해 PDL 제어문자를 전송시키는 RPU(114)에 의해 초기화된다.
집신기는 한 문자에 대해 이들 두 채널을 주사시키며, 문자가 탐지되어질 제 1채널을 통해 PDL 문자를 되돌려 보내므로써 응답한다. RPU(114)는 ACK 신호로 응답하며, 집신기의 제어유닛에 의해 표준인식순서가 시작된다. 데이타는 직렬, 동기식 (8비트) 바이트 정보형태로 BCC 채널(135) 라인을 통하여 전달된다. 정보전달을 위한 샘플링 주파수는 8KHz이다.
RPU(114)는 소프트웨어 실시의 메세지 처리모듈(MPM(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며, 이는 집신기 (113)와 가입자 스테이션(141)사이의 고급호출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MPM은 집신기 (113)로부터의 연입호출과 가입자 스테이션(141)으로부터의 호출요청을 다루며 음성채널의 결과로 발생되는 할당을 다루는등 호출처리 기능을 담당한다. MPM은 CCUs(123), MUX 카드(119), 집신기 (113) 및 가입자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및 오류메세지 처리를 담당한다. CCUs(123), MUX 카드(119) 및 가입자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몇몇 연산자 명령의 MPM으로 보내어져 처리된다. 최종적으로 MPM은 시스템 배치 T1 스팬 트렁크(128), MUX 카드(119), 및 CCUs(0123)를 배치의 필요한 배경회복 및 유지와 함께 초기화하도록 한다.
호출처리기능에 관련하여, MPM은 집신기, RCC 및 BCC 메세지가 메세지 처리상태 머신으로 토큰(token)인 상태 머신(state machine)으로 구성된다. MPM은 데이타 베이스를 갱신하고, 필요한 메세지 응답을 전송한 다음 다음 상태로 전이시키므로써 토큰을 처리한다.
MPM은 시스템 우편함을 사용하며, 이 같은 우편함은 RPU(l14)내 소프트웨어 실시의 스케줄링 모듈에 의해 유지되고 외부장치와 접속되는 모듈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외부소스와 메세지를 주고 받도록 유지된다.
또한 MPM은 RPU(114)내 한 베이스모듈에서 서브루틴을 사용하여 데이타 베이스내 상태정보를 회복 또는 갱신하도록 한다.
MPM은 시스템 배치를 초기화하고 유지시키는 것을 담당하며, 이는 1차 MUX 카드를 확립시키고 유지시킴을 포함하여 RRT(111)과의 통신이 가능해지도록 하며, T1 스팬 트렁크(128)의 DS1 스팬상태를 기초로 하여 2차 MUX 카드를 초기화하며 조작자에 의해 주어진 배치를 기초로 하여 CCUs(123)을 초기화하고, 그리고 RCC가 가능할 때는 언제나 분명히 할당되어 지도록 한다.
MPM이 제 1시간동안 초기화를 수행하는 때 MPM은 어느 T1 트렁크(128), MUX 카드(119) 및 CCUs(123)가 시스템내에 존재하는가를 찾도록하며 다음의 사전 결정된 선택루틴을 따라 일차 MUX 카드로 MUX 카드(119)의 하나를 선택한다.
초기화는 집신기 (113)가 T1 스팬 트렁크(128) 각각의 상태에 대해 MPM으로 알린후에야 비로서 시작될 수 있으며, 이때 MPM은 데이타 베이스를 적절히 갱신한다. MPM은 어느 MUX 카드(119)가 초기화될 것이며, 결과적으로 어느 MUX 카드가 일차 MUX 카드로 할달될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해 어느 T1 스팬 트렁크가 존재하는가를 알아야만 한다. 모든 T1 스팬 트렁크 상태가 알려지고 적어도 한 T1 스팬 트렁크(128)가 엎(up)인 때에야 비로서 초기화가 진행된다.
MPM은 스팬 트렁크(128)의 제1DSO 채널을 사용하는 DSO/DP 카드를 통해 한 트렁크 연결을 할당시키므로써 각 T1 스팬 트렁크(128) (up 상태)에 상응하는 MUX 카드와의 연결을 성립시킨다. MUX 카드 각각은 이같은 채널을 통해 고정-재세트된 명령을 받으며, 트렁크(128)가 할당에서 제외된다. MUX 카드(119) 고정리세트가 끝나기를 기다린 후에 MUX 카드(119)와의 연결이 한번에 하나씩 다시 이루어지며, MUX 카드(119) 각각이 일차로 할당된다. 이같은 일차 MUX 카드할당은 MUX 카드(119)가 일차상태인 때에만 BCC 링크를 경유하여 T1 스팬 트렁크(128)로 통신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
만약 MUX 카드가 성공적으로 일차 MUX 카드가 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면 그리고 MUX 카드가 교정 MUX 카드 스테이션 주소(DS1 스팬번호와 일치하여야 한다)를 보고한다면 카드가 풀링 구조(plooing configuration)로 놓여지며, 데이타 베이스에서 ″준비 (ready)″로 표시된다. 다음 MUX 카드(119)가 이차로 되돌려 보내지며 트렁크가 할당에서 제의된다. 일단 모든 MUX 카드(119)가 이와 같이 하여 초기화 되어지면 이들중 하나가 일차의 MUX 카드가 되도록 선택된다. 만약 둘 이상의 MUX 카드가 발견되면 일차 MUX 카드가 배지내 모든 MUX 카드를 포함하는 한 풀링배치를 전송받는다. 일차 MUX 카드는 RRT (111)에서 유효 프로토콜(keep-alive-protocol)을 수행할 수 있으며, 풀링오류가 발생될 때는 언제나 MPM을 알려준다. 만약 이같은 초기화 과정중에 어떤 유효자료도 수신되지 않으면 중복 DSO/DP 채널을 전 과정이 반복된다.
일단 MUX 카드(119)가 초기화되면 배치내 MUX 카드에 상응하는 CCUs(123)가 초기화된다. 시스템에서 규정된 CCU의 숫자는 조작자의 입력에 의해 결정되며, MPM은 규정된 만큼의 숫자만을 초기화하도록 시도한다. 먼저 풀링배치(polling configuration)내 모든 MUX 카드에 대하여 MPM은 모든 관계한 CCUs (123)가 고정 리세트 될 것을 명령한다. MPM은 이들이 BCC 버스를 통하여 스테이션 주소를 만들때까지 CCUs(123)와 통신할 수 없기 때문에 MPM은 하기에서 설명된 스테이션 주소 초기화(STAD INIT)를 수행하여야 한다.
만약 CCU(123)가 성공적으로 초기화되면 풀링배치로 놓여지며 사건이 CCU(123)으로부터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하도록 타이머가 세트된다. 일단 MPM이 규정된 CCU(123)의 숫자에 도달하거나 배치내에 있는 MUX 카드(119)에 상응하는 모든 CCUs(123)을 초기화하려 했다면, 풀링배치 메세지는 초기화된 CCUs (123)를 위해 일차 MUX 카드로 전송된다. 일단 초기화가 마무리되면 백그라운드 처리가 주기적으로 시도되어 STAD INIT 처리에 의해 어떤 누락 CCUs(123)가 있는지를 발견하도록 할 것이다.
CCU(123)가 먼저 일차 MUX 카드에 의해 봉제되는 때 이는 어떤 고장이 있는지, 그 준비상태가 어떠한지, 그리고 세트된 주파수는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베이스밴드 사건 메세지에 응수한다. 이때 MPM은 만약 적절하다면 데이타 베이스에서 CCU를 ″준비 (ready)″로 표시한다. 주파수가 저장되며, 각 CCU 채널은 유휴인 것으로 세트되고 각 상응하는 DSO 채널이 이용가능하도록 세트된다. 만약 데이타 베이스가 변복조기가 최대로 세트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면 한 메세지가 CCU로 보내져 변복조기의 감쇄수준을 고정시키도록 한다.
만약 MPM가 일차 MUX 카드를 만들지 못하면 나중에 타이머가 초기화를 재시도하기 위해 세트된다. 이같은 최초 초기화 과정은 첫번째의 일차 MUX 카드가 만들어질 때까지 주기적으로 실행되며, 다음에 일차 MUX 카드가 만들어지지 못한 때에는 언제나 회복절차(recovery procedures)가 사용된다.
일차 MUX 카드회복은 MUX 카드(119) 및 CCUs(123)이 배치내에 존재하는데 대한 정보를 MPM이 이미 갖기 때문에 최초 초기화와는 다르게 처리되며, 음성호출을 잃지 않도록 신속하게 회복시킴이 중요하다. 일차 MUX 카드가 고장나게 되면 일차 MUX 카드 및 이에 관련된 모든 CCUs(123)는 풀링배치로부터 제거된다. 회복중에 만약 어떤 음성호출도 스팬 트렁크(128)의 제1DSO 채널을 통하여 할당되지 않는다면 MPM이 엎상태인 각 스팬 트렁크(128)로 연결된 새로운 일차 MUX 카드를 할당하도록 시도한다. 첫번째 시도에서 마지막 일차 MUX 카드는 피해진다. MPM이 일차 MUX 카드를 초기화하지 못하면 이같은 절차 중에 어떤 유효데이타도 수신되지 않으며 전체 절차가 중복 DSO/DP 채널을 사용 반복된다, 만약 아직도 일차 MUX 카드가 없으며 제1DSO 채널을 통하여 음성호출을 갖는 DS1 스팬이 있다면, 음성호출이 깨어지고 초기화가 시도된다. MPM이 아직 일차 MUX 카드를 초기화하지 못한다면 타이머가 나중에 재시도 하도록 세트된다.
만약 새로운 일차 MUX 카드가 성공적으로 할당되면 종전 일차 MUX 카드와 이미 제거된 관련된 CCUs을 갖는 폴링배치가 새로운 일차 MUX 카드로 보내진다. 만약 할당된 새로운 일차 MUX 카드가 없다면 한 RCC가 할당되며, 배치로부터 제거된 CCUs 각각이 리세트 명령을 수신받아 미해걸음성 호출 또는 RCC 할당을 분명히 하도록 한다. 만약 한 호출이 MPM 데이타베이스에서 깨어져 BCC 채널을 할당하도록 하면 CCU는 분리를 통고받는다.
만약 어떤 메세지도 CCUs로부터 수신되지 않는다면 모든 전진하는 음성호출이 아직 진행중에 있다고 가정된다. CCU가 중앙에서 통제되고 있지 않는동안 CCU는 어떤 새로운 메세지를 기다리며, 폴링이 재개된 후에는 그같은 새로운 메세지가 전공된다. 대기행렬이 넘쳐 흐르는 일단 일차 MUX 카드가 폴링을 재개하기만 하면, CCU가 MPM에 이와 같음을 통지하며, MPM이 CCU의 매채널을 질문하도록 하여 현재 상태를 결정하도록 한다.
MPM 백그라운드 처리는 시스템 구성을 유지 및 재회복하도록 사용된다. 이때의 처리는 (1) 상응하는 T1 스팬(span)이 엎(up)이나 MUX 카드는 풀링구조가 아닌 때는 언제나 보조 MUX 카드를 초기화하고, (2) 폴링구조에서의 CCU 갯수가 조작자가 규정했던 것보다 적다면 CCUs를 초기화하며, (3) 고장난 DSO 채널을 회복시키고, 그리고 (4) 어느 라인그룹이 그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집신기로 계속 제공하도록 한다. 첫번째의 세백그라운드 작업은 이들이 RRT(111)과의 통신을 포함하기 때문에 시스템내에 규정된 일차의 MUX 카드가 있을 때에만 수행된다.
MPM은 BCC 버스를 통해 스테이션 주소를 만들때까지 CCUs(123)와 통신할 수 없기 때문에 MPM은 스테이션 주소 초기화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같은 초기화는 MPM에 의해 CCU에 상응하는 DSO 채널중 하나를 역순환되도록 하므로써 수행된다. 초기화되지 않은 CCU와 관계한 VCU 각각은 사용되고 있지 않은 T1 트렁크를 통해 유니크 패턴을 계속하여 전송시키기 때문에 VCU는 역순환중에 전진 채널에서의 패턴을 탐지하여 CCU에 이를 알린다. 채널을 역 순환되도록 한후 MPM은 적합한 스테이션 주소를 담고 있는 STAD INIT 메세지를 일차 MUX 카드로 보내며, MUX 카드는 이를 모든 CCU로 알린다. 초기화되지 않은 CCU만이 이같은 메세지에 응답한다. 패턴의 존재를 알아낸 CCU는 자신을 위해 그와 같은 주소를 택한다.
일차 MUX 카드가 고장메세지로 응답하면, MPM이 이용가능한 슬롯 각각을 통해 CCU의 초기화를 시도한다. BCC 채널을 위해 사용되는 DSO 채널을 원격한 통신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한 역순환될 수 없기 때문에 BCC 채널에 상응하는 슬롯이 이용 불가함을 알아야 한다. 어떤 집신기에서는 디자인의 차이때문에 DSO 채널이 또다른 하나를 먼저 역순환시키지 않고 한 열에서 한번 이상 역순환될 수 없으며, 따라서 필요하다면 이같은 문제를 피하기 위해 MPM이 초기화 순서에서 제 1슬롯을 건너뛴다.
만약 CCU(123)가 성공적으로 초기화된다면, CCU는 폴링 구성내에 놓이며, 일차 MUX 카드가 새로운 구성을 수신한다. 타이머는 그와 같은 CCU로부터 한 사건이 수신되었는가를 검사하도록 세트된다.
CCU(123)가 먼저 일차 MUX 카드에 의해 풀링된 때 CCU는 어떤 고장이 있는지, 준비상태에 있는지 그리고 세트 주파수가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베이스밴드 사건 메세지로 응답한다. 이때 MPM은 만약 적절하다면 데이타 베이스에서 CCU를 ″준비(ready)″인 것으로 표시한다. 주파수는 저장되며, 각 CCU 채널은 유휴인 것으로 세트되고 상응하는 DSO 채널 각각이 사용가능하도록 세트된다. 만약 데이타 베이스가 변복조기가 최대 전력으로 세트되지 않음을 표시하면 메세지가 CCU로 보내어져 변복조기의 감쇠수준을 세트하도록 한다.
이때 CCU(123)의 초기화가 끝나며, CCU는 음성 및 RCC 할당을 수용하도록 준비된다.
MPM이 집신기(113)에 한 트렁크를 할당할 것을 명령한 때 집신기가 사전-연결(pre-connection)시험을 초기화 한다. 만약 이같은 시험이 집신기(113)에서든 CCU(123)에서 일어나지 않으면 MPM이 그와 같음을 통지받으며 데이타 베이스에서 일어나지 않은 대로의 DSO 채널을 세트시킨다. 백그라운드에서는 MPM이 계속하여 일어나지 않은 어떤 DSO 채널을 회복하도록 시도한다.
DSO 채널 회복을 수행하는 때 MPM은 풀링 구성이며 그와 같은 슬롯에서 유휴인 CCU(123)에 상응하는 발생되지 않은 DSO 채널을 위한 데이타 베이스를 주사시킨다. 앞서 언급한 디자인 뉘앙스로 인해 DSO 채널은 또다른 채널을 먼저 역순환 상태로 하지 않고는 한 열에서 한번 이상 역순환될 수 없다. 따라서 선택된 채널이 이같은 이유로 역순화될 수 없다면 실행되지 않은 또다른(만약 하나가 있다면) DSO 채널을 찾으며, 발견된 제 2것에서 회복을 수행시킨다. 어떤 다른 실행되지 않은 채널로 존재하지 않는다면 유휴인 채널이 선택되어 역순한 상태로 놓인 다음 역순환으로부터 빼내어지며 실패된 DSO 채널의 회복이 다음에 시도된다. 만약 어떤 유휴 DSO 채널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DSO 채널회복도 시도되지 않으며, MPM이 백그라운드 절차를 기다리어 스테이션 주소 초기화 또는 보조 MUX 카드 초기화를 경유하여 또다른 채널을 역순화되도록 한다.
만약 실패한 DSO 채널이 선택되면 MPM이 채널을 역순환되도록 하며, 다음에 DSO 채널시험이 특별한 슬롯에서 수행되고 있다는 것을 상응하는 CCU(123)에 알리기 위한 메세지를 보낸다. 만약 CCU 응답이 성공적이라면 채널이 데이타 베이스에서 회복된 것으로 표시되며, 역순환이 제거된다. 이같은 초기화에서 중요한 인수는 T1 스팬 트렁크(span trunk) (128) 및 MUX 카드(119)가 교차되지 않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MUX 카드의 스테이션 주소는 T1 트렁크 숫자와 정합된다.
보조 MUX 카드를 초기화하기 위해 MPM은 T1 스팬 트렁크의 제1DSO 채널을 역순환되도록 한다. 초기화될 것을 기다리는 동안, MUX 카드는 역채널 (reverse channel)을 통하여 계속하여 독특한 패턴을 전송시키며, 역순환중에 포워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때를 탐지할 것이다. MUX 카드(119)는 스팬 트렁크(128)의 제1DSO 채널에서 판독/기록접근만을 가지며, 이것이 이같은 초기화 과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유일한 채널이다. 또한 만약 집신기가 앞서 언급한 디자인 형태를 갖는다면 DSO 채널은 또다른 채널을 역순환되도록 하지 않고 한 열에 한번 이상 역순환될 수 없다. 따라서 필요하다면 MPM이 초기화 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T1 스팬 트렁크의 제2DSO 채널을 역순환되도록 하고 다시 역순환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일단 T1 스팬 트렁크의 제 1 DSO 채널이 역순한 상태에 있기만하면, MPM이 보조 MUX 카드 초기화가 진행중에 있음을 알리는 메세지를 전송하며 이때의 메세지는 일차 MUX 카드에 의해 모든 이차(보조)MUX 카드로 방송된다. 패턴을 탐지하는 MUX 카드는 성공적인 응답 메세지를 MPM으로 전송하며 자동적으로 하드 리세트(hard reset)를 수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만약 응답을 기다리는 MPM의 시간이 경과하였거나 고장 메세지가 도달되면, MUX 카드가 초기화되지 않은채 데이타 베이스내에 남아 있게 되며, 어느 경우에도 역순환이 제거된다.
만약 응답이 성공적이면 메세지내 MUX 카드 주소가 T1 스팬 트렁크 변호와 비교된다. 만약 이들이 정합되지 않으면, 스팬 트렁크가 교차되고 초기화는 실패한다.
만약 MUX 카드 주소가 올바르다면, MPM은 리세트가 완전해질 것을 기다리며, 다음에 폴링 구성 메세지를 새로운 스테이션 주소를 갖고 있는 일차 MUX 카드로 전송한다. 타이머는 MUX 카드로부터 한 사건을 기다리도록 세트된다. 이차 MUX 카드가 최초 폴링된 때 이차 MUX 카드는 RPU를 위한 한 사건 메세지를 대기시키어 준비상태를 그리고 발생했었을지도 모를 어떤 오류를 나타내도록 한다. 만약 사건 메세지가 수신되거나 어떤 오류도 나타내지 않으면 MUX 카드가 데이타 베이스에서 ″준비 (ready)″로 표시된다. 만약 사건 메세지가 수신되지 않았거나 오류를 나타내면 MUX 카드는 초기화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으며 초기화가 나중에 재시도 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MPM에서의 호출처리는 상태 머신(state machine)을 사용하여 조직화된다. 호출 처리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입력토큰은 가입자 스테이션(141), 집신기 (113), 그리고 CCUs(123) 및 타임 아웃으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토큰은 두개의 카테고리 : CCU로부터의 채널 토큰, 집신기와 가입자 스테이션으로부터의 RCC 토큰으로 나뉘어진다. 타임아웃 토큰은 타임아웃 토큰이 발생되었을때 MPM이 어떤 토큰형태를 기다리느냐에 따라 두 카테고리내에 포함된다. 채널토큰 및 RCC 토큰은 두 상태머신, 즉 채널상태 머신 및 RCC 상태머신 중 어느 하나를 색인해내도록 사용된다.
MPM은 수신된 토큰의 타입을 결정하여야 하며, 토큰에 의해 영향을 받는 가입자 스테이션 또는 채널의 동일성을 결정하여야 한다. 토큰형태는 채널상태 전이 테이블 또는 RCC 상태 전이테이블중 어느 것이 사용될 것인가를 결정하도록 사용된다. 다음 MPM이 토큰을 사용하여 그리고 입력으로 가입자 스테이션 또는 채널의 현재 상태를 사용하여 적절한 상태 전이테이블에서 취해질 작용을 조사한다. MPM은 테이블 엔트리에 의해 표시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써 토큰을 처리한다. 이때의 처리는 데이타 베이스내 필요한 상태를 갱신하며 적당한 메세지 응답을 발생시키고, 다음 RCC 및/또는 채널상태로 전이함을 포함한다.
정상의 호출처리 논리흐름은 제6도에 도시된다. 가장 공통되는 RCC 및 채널상태 결합이 입력토큰(T) 및 한 상태에서 다른 한 상태로 전이하기 위해 요구되는 결과의 작용으로 목록된다.
최초에는 모든 가입자 스테이션(141)이 RCC 유휴상태에 있으며 모든 이용가능 채널이 채널 유휴상태에 있으며, 이같은 채널 유휴상태가 어떤 연결도 일어나지 않으며 진행중에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전형적인 호출단자를 위한 상태의 변경은 다음과 같다. 입력호출 메세지 (Inconing Call message)는 집신기 (113)로부터 수신되며, 이때의 집신기는 수신지 가입자 스테이션의 가입자 인덱스(SIDX)를 포함한다. SIDX는 집신기에 의해 가입자를 독특하게 확인하도록 사용되며 호출을 나타내는 라인그룹 및 라인회로의 기능이다. 이같은 숫자는 데이타 베이스내 가입자 스테이션을 도표로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페이지 메시지는 이같은 SIDX를 갖는 가입자 스테이션으로 보내어지며, 가입자 스테이션(141)의 상태는 페이지 (page)로 세트된다. 호출허용 메세지가 가입자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때 한 채널이 이같은 연결을 위해 할당된다. 이때의 채널은 RRT(111)에서의 CCU/슬롯 결합뿐 아니라 T1 스팬 트렁크에 DSO 채널 하나를 지정한다. 집신기 (113)는 지정된 트렁크를 가입자 스테이션(141)으로 할당하도록 명령 받으며, 다음에 지정된 DSO 채널에서 사전연결 시험을 초기화한다. 가입자 스테이션(141)는 집신기 (113)로부터의 수취통지를 기다리는 동안 링슬롯 시험상태 (Ring Slot Test sate)로 세트된다. ACK 메세지가 수신된 때 가입자 스테이션(141)의 상태는 액티브(Active)로 세트된다. 이때, CCU(123) 및 가입자 스테이션(141)이 채널할당을 통지받으며, 채널은 링 싱크로 대기상태(Ring Sync Wait state)에 놓인다. CCU(123)가 동기화가 획득되었음을 알리는 때 채널상태가 싱크로 링으로 세트된다. 최종적으로 CCU(123)가 가입자 스테이션(141)이 오프후크(offhook) 되었음을 나타낸다. 채널이 싱크로 오프후크 상태로 세트된다. 싱크로 오프후크 상태는 음성연결이 이루어 졌음을 나타낸다.
호출시작은 호출요구 메세지가 발생된 가입자 스테이션(141)으로부터 수신됨과 함께 시작된다. 한 채널이 이같은 연결을 위해 할당되며, MPM이 가입자 스테이션(141)으로 지정된 트렁크를 할당하도록 집신기(113)에 명령한다. 가입자 스테이션은 집신기가 지시된 DSO 채널에서의 사전연결시험을 완결하는 동안 오프후크 슬롯시험 상태로 세트된다. ACK 메세지가 수신된때 가입자 스테이션의 상태가 액티브로 세트된다. 이때 CCU(123) 및 가입자 스테이션(141)은 채널 할당에 대해 통지를 받는다. 채널상태는 채널이 통기화될 때까지 오프후크 동기 대기로 세트된다. 베이스 스테이션 CCU는 발생된 가입자 스테이션(141)으로부터의 전송을 탐지한 때를 MPM에 통지한다. 이는 MPM이 음성연결이 이루어짐을 나타내면서 채널의 상태가 동기 오프후크 상태로 변경되도록 한다.
MPM이 음성신호를 설치한 때 그것이 종료신호이거나 발생신호이던지 간에 집신기 (113)는 트렁크(128)를 적절한 라인그룹 및 라인회로로 할당하여야 한다. 트렁크 할당을 명령함은 집신기 (113)가 사전연결 시험을 초기화하도록 한다. 집신기 전망(concentrator perspective)으로부터 사전 연결시험은 지정된 전방 DSO 채널을 통해 55H 채널을 조사함을 포함한다. 만약 이같은 패턴이 수신되면 집신기는 사전연결 시험이 성공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CCU(123)에서 유휴 VCU 각각은 사전연결 패턴을 계속 전송하며 또한 패턴을 위해 들어오는 채널을 주사한다. 만약 음성호출이 패턴이 탐지된 후 어떤 윈도우내 VCU에서 설치되면 사전 연결시험은 성공인 것으로 간주된다.
정상적인 분리는 가입자 스테이션(141)이 온후크(onhook) (외부 전화가 온후크되는 것은 탐지되지 않는다)로 된때 시작된다. 이는 가입자 스테이션이 MPM으로 호출이 지워져야 함을 나타내는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한다. MPM은 CCU(123) 및 집신기(113)에 호출이 떼어지고 있음을 알리며, 가입자 스테이션 및 채널상태가 유효인 것으로 세트된다. 이 경우 CCU가 그와 같은 채널에서 페이드(fade)를 탐지한때 CCU는 통기화를 잃었음을 나타내는 메세지를 전송한다. 이는 한 메세지가 가입자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혹은 타임아웃 계수기가 호출이 지워져야 함을 나타내면서 끝나는 때까지 MPM이 가입자 스테이션을 세트시키도록 하며 채널상태는 떼어지고 분리되어지도록 한다. 일단 한 메세지가 수신되기만 하면 채널과 가입자 스테이션 상태는 다시 유휴이도록 되며, 집신기 (113) 및 CCU(123)가 호출이 떼어졌음을 통고받는다.
채널모듈(120)과 가입자 스테이션(141) 사이의 RF 채널중 하나가 사전 결정된 할당 루틴에 따라 RCC로서 할당된다.
최초사건이 CCU가 가지고 있던 것들중 하나로부터 그와 같은 사건이 준비상태임을 알리며 수신된 후에 MPM은 그와 같은 CCU를 RCC를 위한 CCU로 할당한다. 한 사건이 할당의 도착확인과 함께 수신된 후 RCC는 설치되며 가입자 스테이션(141)과의 통신이 시작할 수 있다. MPM은 이같은 CCU 슬롯이 음성호출을 위해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T1 스팬 트렁크(128)의 BCC 채널에 상응하는 채널에서 항상 RCC를 설치하려 할 것이다.
가입자 스테이션으로의 이같은 연결이 없이는 어떤 음성호출로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가능할 때는 언제나 한 RCC가 할당되어야 한다. 다음이 발생되는 때 RCC 할당이 시도된다 : (1) CCU가 초기화를 끝마치고 RCC가 없을 때, (2) 일차 MUX 카드가 회복되고 RCC가 없을 때, (3) RCC로 할당(지정)된 CCU가 다운(down)으로 갈때, (4) RCC를 위해 CCU를 담고 있는 MUX 카드가 다운으로 갈때, (5) CCU가 제어 모드 대신 음성모드임을 나타내며 채널응답 메세지가 RCC를 위해 CCU로부터 수신된 때, (6) MPM이 RCC 지정을 도착 확인하는 사건을 대기함을 종료한 때, (7) MPM이 RCC 메세지 수신통지의 대기를 끝내는 때, (8) CCU가 훈련을 끝내고 더이상의 RCC가 없을때 혹은 (9) 유지모드가 불가능이고 CCU가 아직 구성상태로 있고 RCC가 없는 동안, MPM은 이미 초기화된 CCU로만 RCC를 할당하며, RCC는 CCU의 제 1슬롯을 통하여서만 할당된다. MPM은 CCU의 이같은 슬롯이 음성호출을 위해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항상 최초 BCC 채널에 상응되는 채널을 통하여 RCC를 구성하도록 시도할 것이다. 만약 이같은 슬롯이 사용될 수 없다면 MPM은 구성내 모든 CCU를 통해 나아간다. 만약 CCU중 어느것도 사용될 수 있는 제 1슬롯을 갖지 않는다면 음성 호출이 RCC 할당을 고려하기 위해 떼어내진다.
일단 한 CCU를 RCC로 지정하는 명령이 전송되면 한 할당지정이 성공적이었음을 알리는 한 사건이 CCU로부터 기대된다. 만약 사건이 도달되면 MPM은 RCC를 다른 곳으로 재할당 지정할 것이다. 일단 RCC가 구성되면 메세지가 가입자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 및 수신될 수 있다. 전방을 향한 채널에는 단 하나의 미해결 RCC 메세지만이 있을 수 있으며, MPM은 RCC Ack 메세지가 도달된 후에야만 다음의 것을 전송한다.
만약 RCC Ack 타임아웃이 발생되면 RCC는 재할당 지정된다.
집신기/RPU 접속장치 (115)는 집신기를 RPU(114)의 알시온(Alcyon)컴퓨터에 접속시킨다. 접속장치(115)는 전압수준, 전송률 사이의 차이와 이들 각기 다른 시스템에 의해 기대되는 프로토콜을 조정시킨다. 집신기/RPU 접속장치 (115)는 전압변환, 필요 자료 버퍼링으로 전송율 변환 그리고 집신기 (113)와 RPU(114) 사이의 통신을 허용하도록 요구되는 프로토콜 상호작용을 다룬다.
제7a도 및 7b도는 집신기/RPU 접속유닛 (115)의 기능을 도시한다. 집신기 (113)으로부터 RPU(114) (제7a도)로의 신호경로에서 집신기/RPU 접속유닛은 AMI-TTL 변환유닛 (183), 직렬-병렬 변환기 (184), 바이트 비교기 이중거절유닛 (185), 64×8 FIFO 버퍼 (186), UART(187) 및 TTL-RS 232 변환 유닛 (188)을 통해 64 kbps 데이타를 처리한다. RPU(14)로부터 집신기 (113) (제7b도)로의 신호경로에서 집신기/RPU 접속유닛 (115)는 RS 232-TTL 변환장치 (190), UART(191), 바이트 리피이터 이중삽입 장치 (192), 병렬-직렬변환기 (193) 및 TTL-AMI 변환장치 (194)를 통해 19.2kbps 자료를 처리한다.
집신기(113)는 채널이 유휴인 때 전송되는 마지막 바이트의 반복을 필요로 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동기식 64kbps 쌍극형 DSO 채널(135)을 통하여 접속장치 (115)와 통신한다. 이는 쌍극형 채널에서의 일정한 활동을 보장하며 동기통신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쌍극형 신호는 양자택일 표시반전(AMI)이며 데이타 스트링에서의 각각이 앞서의 것에 의해 전송된 것에 반대인 극성을 갖는 한 펄스를 전송해야만함을 의미한다. 제로는 라인에서 아무런 활동도 일으키지 않으며 따라서 신호는 양, 음 및 제로전압(교대수준신호 : aternary level signal)으로 이루어진다.
RPU(114)의 알시온 컴퓨터는 비동기의 19.2kbps RS 232 링크를 통하여 접속유닛 (115)와 통신한다. 이는 컴퓨터 통신에서 사용되는 표준형식이며, 정보비트를 나르기 위해 +12 볼트비트의 버스트(burst)를 갖는 -12 볼트의 유휴 채널을 포함한다. RS 232 형식은 바이트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출발과 정지비트의 삽입을 필요로 한다.
두개의 프로토콜이 각기 다른 통신 전송율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보다 높은 전송율 64kbps 쌍극형 채널로부터의 자료는 보다 낮은 전송을 19.2kbps RS 232 링크로 다운(down) 버퍼되어야만 한다. 버퍼(186)는 적어도 하나의 전체 메세지를 포함한다. 바이트 비교기 이중 역논리합 유닛 (185)은 재전송된 바이트를 탐지하고 거절한다. 이는 직렬-병렬변환기 (184)에 의해 자료의 병렬화를 필요로 하며 복사의 탐지 및 RS 232 링크로 이같은 자료를 전송하기 위해 UART(187)에 의해 재병렬화를 필요로 한다.
양자택일 표시반전(AMI) 신호는 모델 1218 집신기로부터 채널을 적당히 고립시키고 종료시키기 위해 연결된 변압기이어야만 한다. 펄스 변압기는 데이타 전송율을 64kbps로 낮게 유지시키도록 사용되며 회로기판에서 발생된 신호가 TTL 수준으로 변환된다. AMI 신호는 결정되지 않은 +/-2 볼트이며 하나가 전송된 때 트랜지스터를 켜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같은 직렬 데이타는 AMI 클록신호에 포함되는 바이트 경계 정보를 사용하여 병렬화되어야만 하며, 다음 복사바이트(duplicate byte)가 역논리합되어야 한다. 원래 바이트는 버퍼되어야 하며 RS 232 링크를 통하여 통하여 전송되어야 한다.
출발 및 정지비트를 포함하는 RS 232 프로토콜은 산업 표준형 유니버셜 비동기 수신기 송신기 (UART)(187)를 사용하므로써 용이하게 실시된다. UART(187)은 전송될 바이트가 실리게 되며, 출발과 정지비트를 추가하고 데이타를 직렬화한다. 이같은 TTL 신호는 RS 232 전압으로 변환되어야 하며, 신호가 RPU(115)내 컴퓨터로 보내져야 한다.
데이타는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흐르며, UART(191)이 직렬로부터 병렬로 자료를 변환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데이타가 낮은 전송률로부터 높은 전송률로 버퍼되지 않으며, 전송될 더이상의 정보가 없을때 전송된 마지막 바이트가 리피이터 이중 삽입유닛 (192)에 의해 반복된다.
집신기 (113), 접속장치 (115) 및 RPU(115) 사이의 상호 연결은 제8도에 도시된다.
집신기 (113)로부터의 신호는 펀치블록(195)에서 종료되며, 펀치블록으로부터 라인(135)이 접속유닛 (115)으로 연결된다. 클록라인(196)은 집신기의 DS0/DP2 카드 사이에서 연결되며, 접속유닛 (114) 랙의 배면판상의 두 와이어-랩 (wire-wrap)핀에서 종료한다. 이들은 바이트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쌍극성 위반(bipolar violation)을 포함하며, 동기화를 허용하기 위해 접속유닛으로 보내져야 한다.
RPU(114)의 알시온 컴퓨터는 RS 232 링크를 통하여 통신되는 다수의 각기 다른 채널을 갖는다.
BCC 프로토콜은 RPU(114), MUX 카드(119) 및 CCU(123)사이에서 디지탈 메세지를 전송시키기 위한 통신형식을 제공한다.
BCC 메세지는 다양한 길이이며 항상 주소정보 및 명령코드를 포함한다. RPU(114), CCU(123) 및 MUX 카드(119) 모두는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을 뿐아니라 이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BCC 메세지 교통량은 여러 물리적 링크를 통하여 발생되며 두개의 독특한 프로토콜을 필요로 한다. 만약 메세지 통로가 하나 이상의 물리적 링크로 이루어진다면 적절한 프로토콜 변환이 수행되며 메세지는 그 종착지로 릴레이 된다.
BCC 프로토콜은 두개의 물리적 전송링크, T1 스팬트렁크(128)중 한 BCC 채널 및 BCC 버스(132)를 포함한다.
BCC 버스(132)는 SDLC 멀티드롭라인(multi-drop line)이다. BCC버스(132)는 MUX카드(119)와 CCU(123)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MUX카드(119)중 하나는 일차 MUX카드로 지정된다. 모든 다른 MUX 카드 및 모든 CCU 카드는 일차 MUX카드를 경유하여서만 서로 통신된다.
BCC메세지 경로는 떨어진 물리적 링크를 통하여 하나 내지 두개의 호프(hop)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두개의 호프가 포함이 되면 메세지는 요구되는 바에 따라 프로토콜을 변환시키므로써 재패키지되며 BCC 메세지 내용을 본래대로 남긴다.
RPU(114)는 T1스팬 트렁크(128)에 의해 제공된 BCC 채널을 경유하여 일차 MUX 카드와 직접 통신한다. 이같은 메세지 경로는 단지 하나의 물리적 링크를 포함하며 어떤 프로토콜 변환도 요구되지 않는다.
RPU(114)와 이차 MUX 카드 사이의 메세지 경로는 두개의 호프를 포함하며, 이들 메세지는 일차 MUX 카드에 의해 항상 저지되어진다. 프로토콜을 요구되는 데로 변환시키는 것이 일차 MUX 카드의 일이며 BCC 메세지 내용을 불변상태로 한다.
BCC 스팬 링크 프로토콜은 RPU(114)와 일차 MUX 카드 사이의 데이타 전송하기 위한 통신형식을 설명한다. 비이트와 메세지 수준 동기화가 모두 수행된다. 이같은 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두 형태의 문자는 제어 및 데이타 문자이다. 모든 문자는 제 1의 밀도를 만족시키고 이같은 문자가 집신기(113) 내 모델 1218집신기 스위치에 의한 링크제어로 번역되지 않음을 보장하도록 세트된 최소유효 비트를 갖는다.
BCC버스(132) 프로토콜은 일차 MUX 카드와 이차 MUX 카드 사이의 자료를 전송시키기 위한 통신형식과 CCU (123)을 설명한다.
사용된 병렬 프로토콜은 동기식 데이타 링크제어(Synchronous Cata Link Control) (SDLC)이다. SDLC 프로토콜로 일차 MUX 카드가 전체 BCC버스(132)를 제어하며, 이차 MUX 카드 및 CCU로 명령을 발생시킨다. 일차 MUX 카드의 마이크로 제어기(144)는 BCC버스(132)를 통하여 모든 MUX 카드(119)를 제어한다. 마이크로제어기 (144)의 SIU는 CPU가 거의 또는 전혀 포함되지 않은채로 직렬 통신을 수행하도록 만들어진다. SIU 하드웨어는 SDLC 프로토콜을 지지하며 제로비트가 삽입/삭제되도록 한다. 주소 인식, 순환중복검사 및 프레임 번호순서 검사는 자동으로 검사된다.
이차 MUX 카드의 SIU는 자동모드 동작되며, SIU가 하드웨어에서 정상응답 모드(Normal Response Mode) (NRM)의 서브세트를 수행한다. 자동모드는 SIU가 마이크로제어기의 CPU로부터의 간섭없이 일정한 종류의 SDLC 프레임을 인식하고 이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또한 보다 고속인 반환시간을 제공하며 단순화된 소프트웨어 접속을 제공한다. 자동 모드에서, 마이크로 제어기(144)는 NRM 이차 MUX 카드로만 작용하며, 이는 마이크로제어기가 일차 MUX 카드에 의해 그와 같이 하도록 지시받는 때에만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와 같은 모든 자동모드 응답은 IBM의 SDLC 정의를 완전히 고수한다.
융통성 있는 모우드에서 마이크로제어기 (144)는 폴링되지 않고 전송을 초기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는 일차 MUX 카드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차 MUX 카드 SIU는 융통성 있는 모우드(비-자동 : Non-Auto)로 동작된다. 융통성 있는 모우드에서 SIU에 의한 각 프레임의 수신 및 전송은 CPU의 제어하에 수행된다.
자동 및 융통성 있는 모우드 모두에서 짧은 프레임, 포기된 프레임 또는 불량의 CRC를 갖는 프레임을 갖는 프레임은 SIU에 의해 무시된다. SDLC 프로토콜은 메세지의 필요한 버퍼링을 각 방향에서 하나씩으로 제한하도록 만들어지며, 따라서 미해결 메세지 (즉, 도착 확인되지 않은)의 숫자를 각 전송방향에 하나로 제한하도록 한다.
BCC 버스 메세지는 기본형식을 갖는 SDLC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일차 MUX 카드를 포함하는 모든 MUX 카드(119) 및 CCU(123)는 독특한 스테이션 주소를 할당받는다. 일차 MUX 카드는 스테이션 주소 바이트를 사용하여 메세지의 종착지를 결정하도록 한다. 이차 MUX 카드 및 CCU 각각은 한 응답에서 이같은 바이트를 사용하며, 전송하는 이차 스테이션으로 자신을 확인하도록 한다.
제9도에서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141)을 위한 음성채널의 선택 및 할당이 가입자 스테이션(120)에서 가입자 제어작업 (SCT) 소프트웨어 실시된 모듈(200) 및 RCC 위 RPU(114)사이에서 RCC 메세지(즉, 자료 메세지)의 집신기에 의해 달성된다.
RCC 프로토콜은 두층의 프로토콜, 데이타 링크층(Data Link Layer)(201) 및 패킷층(202)으로 되어 있다. 데이타 링크층(201)은 단어 동기화 및 프레임잉, 충돌의 탐지 및 해결 그리고 오류탐지를 다룬다. 자료 링크층(201)은 유니크 워드, 링크 피일드 및 검사합계 피일드로 이루어진다. 패킷층(202)은 주소화 및 호출설치 정보를 다룬다. 패킷층(202)은 가입자 확인, 명령 및 호출설치 데이타로 이루어진다.
RCC 프로토콜의 구현은 분할되며, 패킷층(202)은 가입자 스테이션 SCT 모듈(200) 각각에서 그리고 RPU(114)내 베이스 스테이션(204)에서 구현된다. 데이타 링크층(201)은 베이스 스테이션(204)에 있는 RCC 채널 모듈내 CCU(123)에 의해 그리고 각 가입자 스테이션(141)내 채널 제어 작업 (CCT)소프트웨어 실시모듈(205)에 의해 실시된다. CCU(123)와 CCT(205)는 서로 통신하기 위해 변복조기(206) (207)에 각각 연결된다.
패킷층(Packet Layer(202)은 호출-확립 (call-establishment)데이타를 위해 사용되며 음성 연결을 확립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교환한다. 각 패킷은 패킷을 기초로 하여 수행되어질 동작을 나타내는 여러개의 허용가능한 코드중 하나를 포함한다.
데이타 링크 층(201)은 들어오고 나가는 프레임사이의 충돌(동 RF채널을 통해 동시간 슬롯을 위한 투쟁 경쟁)해결을 준비하며, 보다 높은 수준 오류회복 절차에 의해 사용하기 위한 매-동작(per-operation) 상태정보를 준비한다. 데이타 링크층의 주 목적은 두개의 서브층, (1)프레임잉 및 오류탐지를 제공하는 데이타 캡슐화, 그리고 (2)채널할당과 충돌해결을 제공하는 링크관리로 나뉘어진다.
CCU(123) 및 RCC를 통해 청취하는 모든 CCT(205)는 매 RCC 슬롯내 유효한 RCC 메세지를 남김없이 조사하여야 한다. CCT는 UW 위치 주위에서 한 윈도우 ±4 심볼내 독특한 단어를 조사하므로써 이같은 작업을 수행한다. RCC를 통해 청취하는 CCU는 정상의 UW 위치 주위에서 한 윈도우 ±3 심볼내 독특한 단어를 조사한다. 이같은 조사 알고리즘은 UW 패턴을 발견할 때까지 또는 모든 가능성이 다 소비되는 때까지 데이타를 자리이동시킨다. 일단 UW 패턴이 발견되면 RCC 메세지가 RCC 조사합계가 바르기만 하면 RCC 메세지가 유효한 것으로 간주된다. 베이스 스테이션(204)에서 자리이동정보, RCC 메세지 및 전력정보는 성공적인 탐색에 뒤이어 RPU(114)로 보내어진다. 가입자 스테이션(141)은 그 수신클록을 베이스 스테이션의 마스터 클록에 정돈시키기 위해 자리이동 정보를 사용한다. 결과로 발생된 RCC 메세지는 다음에 처리를 위해 SCT(200)로 전송된다.
가입자 스테이션(141)이 전력을 넣거나(power-up) 리세트 시키는 동작이후 또는 오랜시간의 청취 동작 이후 역 제어 채널을 통해 가입자 스테이션(141)이 전송을 시도한 때에는 올바른 전송전력수준을 빠르고 정확히 결정하여야 한다. 가입자 스테이션의 전송전력이 필요한 이들 윈도우내에 있도록 조절될 때까지는 범위 및 대기효과가 베이스 스테이션(204)과의 초기통신을 만든다. 전력수준 결정은 가입자 스테이션(141)의 전송이 다른 가입자 스테이션의 전송을 간섭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입자 스테이션이 너무 많은 전력을 전송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같은 초기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베이스 스테이션 CCU(123)은 모든 전진채널 RCC 버스트내 역채널 RCC 전력의 개략적 측정을 피드백 시킨다. 베이스 스테이션(204)에 의해 수신된 역순환 채널 버스트 각각은 4개의 값중 하나로 크기가 정해진 AGC 수준 각각을 갖는다. 크기가 정해진 수준은 채널수신에 바로 이어 전진채널 버스트에서 전송된다. RCC 링크 바이트에서의 두 비트는 이같은 목적을 위해 역순환된다. 전력정보는 역순환 채널 버스트가 성공적으로 해독됨과는 무관하게 전송된다. 전력수준 값은 또한 전진채널 RCC 버스트의 실제 내용과는 무관하다.
전력수준정보는 만약 가입자 스테이션(141)이 역순환 채널 RCC 전송에 뒤이어 베이스 스테이션 CCU (123)로부터 유효한 RCC 수신확인을 수신한다. RPU(114) 응답의 부분으로 나중에 피이드백된 전력 및 타이밍 정보는 바른 조절을 하도록 사용된다.
만약 가입자 스테이션(141)이 기대되는 바와같이 베이스 스테이션 CCU(123)으로부터 긍정의 RCC 수신 확인을 수신하지 않으면 전력 피이드백 크기가 로컬 전송전력 조절을 결정하도록 사용된다.
가입자 스테이션(141)은 역순환 채널을 통해 앞선 프레임에서 전송되어진 후에 전진채널내 RCC 메세지를 모니터하므로써 충돌을 탐지한다. 만약 가입자 스테이션이 충돌이 발생되었음을 결정하면 가입자 스테이션은 충돌 백오프(backoff)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동 스테이션 CCU(123)는 수신된 RCC메세지를 전진채널로 반향시키고, 그와 같은 메세지를 한 ACK로써 알리기 위해 RCC 링크 바이트 1내 버스트 타입 비트를 RCC 수취확인으로 세트시키므로써 전송을 수취확인한다.
전송시도가 충돌로 종료되는 때 이같은 시도가 성공될 때까지 가입자 스테이션(141)에 의해 재시도되거나 4개의 시도(최초시도와 세개의 재시도)가 만들어지고, 모두가 충돌로 인해 종료된다. 정해진 프레임을 전송시키기 위한 모든 시도는 모든 가입자 프레임이 전송되기 전에 완결된다. 재전송의 스케줄링은 제어된 무작위화 처리 (randomization process)에 의해 결정된다. 가입자 스테이션(141)이 충돌을 탐지하는때 이는 재전송하기를 시도하기 이전 슬롯타임의 정수번호를 지연시킨다. 모든 4개의 시도가 실패하며 오류가 보고된다.
CCITT 순환중복검사(CRC)는 RCC 메세지의 전송중 발생한 오류를 탐지하도록 사용된다. CRC 알고리즘은 사전 규정된 비트순서에 의한 한 블럭의 자료를 분할시킴을 포함하며 자료블럭 일부로서 이같은 분할의 잔류를 전송시킴을 포함한다. 16비트 CCITT CRC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1
RPU(114)는 정해진 외부통신 네트워크 포트와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141)사이의 연결이 사전 결정된 할당 루틴에 따라 모니터된 상태에 응답하여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하여 완결되어지도록 한다. CCU(123)는 할당된 시간슬롯을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MUX 카드(119)에 연결되며 CCU(123) 각각은 다수의 할당된 타임 슬롯을 상응하는 다수의 가입자 스테이션(141)으로 연결시킨다.
사전결정된 할당 루틴은 또다른 능동 CCU(123)와 관련된 타임슬롯을 할당하기 이전에 그리고 바로 앞서 할당된 타임슬롯에 관련된 CCU(123)에 연결된 MUX 카드와는 다른 MUX 카드(119)에 연결된 CCU(123)에 관계한 타임슬롯을 할당하기 이전 정해진 CCU(123)에 관련된 모든 타임슬롯을 할당함을 필요로 한다. 이같이 사전 결정된 할당루틴에 따라 선택기준은 사용중에 있는 전력증폭기(121)의 숫자를 제한하므로써 전력을 모으는 것이며, 각기 다른 T1 트렁크(128)중에 통신할당을 퍼지게 하는 것이고, 만약 일차 BCC 링크가 비동작중이면 예비 BCC 링크로서 사용하기 위해 T1 트렁크의 제 1타임슬롯을 역순환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T1 트렁크의 제 1타임슬롯을 피하도록 하는 것이다.
타임슬롯 할당요구가 발생할 때에는 첫번째로 이미 활동중인 RF 채널내에 빈타임슬롯이 있는가가 조사된다. 모든 T1 스팬이 주사되며 CCU에 연결된 MUX 카드에 연결된 T1 트렁크와 함께 시작된다. T1 스팬에 연결된 이미 활동중인 RF 채널중 어느것에도 빈 타임슬롯이 없는 때 주사(scan)가 일어나며, 다음 조사가 다른 T1 스팬으로 진행된다. 다른 T1 스팬중 어느것에 연결된 이미 활동중인 RF 채널중 어느 것에도 빈 시간슬롯이 존재하지 않는 때 CCU 및 MUX 카드에 의해 연결된 마지막 RF 채널이 활성되지 않은 CCU로 연결된 T1 스팬이 아닌 사용되지 않은 RF 채널을 위한 조사가 이루어진다. 만약 다른 T1 스팬의 어느것으로 연결된 사용되지 않은 RF 채널을 위해 어떤 빈 시간슬롯도 없다면 사용되지 않은 RF 채널을 위한 조사가 마지막 타임 슬롯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CCU로 연결된 T1 스팬으로 진행된다.
제4도에서, 반향상쇄 유닛(116)은 트렁크를 통해 통신된 음성신호에서의 반향을 상쇄시킨다. RPU(114)는 라인(210)에 의해 반향상쇄기(116)에 연결되며 RPU에 의해 음성신호를 나르기 위해 할당된 타임슬롯중에만 반향 상쇄기 (116)의 동작을 가능하게 되도록 한다.

Claims (20)

  1. 가입자 스테이션(51)과 외부통신네트워크(35) 사이의 통신을 위한 가입자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베이스 스테이션(10,12,14)에 있어서, 다중의 순서적 반복시간슬롯을 갖는 사전 결정된 통신 채널을 경유하여 다수의 가입자 스테이션과 연결되며 각 타임슬롯은 상응된 가입자 스테이션(51)으로 할당되는 통신회로(12), 상기 통신회로(12)와 한 중앙교환장치 (19)로 이어지는 원격연결 처리기 (14)로서, 이같은 처리기가 통신회로(12)와 중앙교환장치(19) 사이의 통신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동 통신회로(12)와 중앙교환장치(19)에 연결되는 원격연결 처리기 (14)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교환장치 (19) 외부통신 네트워크(125)와 통신회로(12)로 연결되며, 교환장치 (19,27)는 각각 발생되고 수신되는 비트스트림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전술한 중앙교환장치 (19)에 의해 전술한 원격교환장치 (27)로 전송되는 비트스트림이 전술한 외부통신 네트워크(125)에 의해 시작되는 신호를 담고 있고, 전술한 원격교환장치 (27)에 의해 전술한 중앙 교환장치 (19)로 전송된 비트스트림이 가입자 스테이션(51)에 의해 개시된 신호를 담고 있으며, 상기 비트스트림이 다중의 순차적 반복적 시간슬롯을 담고 있고, 그리고, 전술한 가입자 스테이션(51)에 의해 시작된 제어신호만을 전송시키기 위한 분리된 불변의 제어채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디지탈 전화기 시스템용 베이스 스테이션(10,12,14).
  2.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원격교환장치(27)가 다수의 포트를 가지며 한 버퍼 (28)가 상응하는 라인쌍에 의해 전술한 포트에 연결되고, 이같은 버퍼 (28)가 원격교환장치 (27)를 통신회로(12)에 접속시키어 통신 채널내 타임슬롯과 원격교환장치 (27)내 상응하는 포트사이에서 신호의 방향을 결정하도록 작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0,12,14).
  3.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교환장치 각각(19,27)이 집신기 (19,27)임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0,12,14).
  4. 제1항에 있어서, 중앙교환장치(19)가 통신회로(12)로부터 그리고 원격연결 처리기 (14)로부터 원격하여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0,12,14).
  5.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파에 의해 중앙교환장치 (19)와 통신회로(12) 사이의 비트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0,12,14).
  6. 가입자 스테이션(141)과 다수의 포트를 가지는 외부통신 네트워크(125)사이에서 신호를 통신시키기 위한 가입자 통신 네트워크내 베이스 스테이션(110, 111)에 있어서, 통신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한 트렁크 (128), 그리고 트렁크(128)에 연결되어 통신채널에서 다중의 순차적 반복시간슬롯을 제공하여 통신채널을 통해 다수의 포트와 다수의 가입자 스테이션(141) 사이에서 동시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멀티플렉서 (119)를 포함하는 통신회로 트렁크(128)를 외부통신 네트워크 포트에 연결시키기 위한 교환장치(113), 그리고 베이스 스테이션 제어채널(134,135)에 의해 통신회로(119,120,123,128)에 연결되며, 타임슬롯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통신회로(119,120,123,128)와 교환장치(113)가 사전 결정된 할당 루틴에 따라 전술한 모니터된 상태에 응답하여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해 주어진 외부통신 네트워크 포트와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 사이의 연결을 완결짓도록 하기 위해 교환장치 (113)에 연결된 원격연결 제어기 (114)를 포함하고, 전술한 통신회로(110,120,123,128)가 (a) 멀티플렉서(119)에 연결되어 할당된 타임슬롯을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141)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채널제어유닛 (123), 그리고 (b) 원격연결 처리기 (114)로부터의 명령신호에 응답하여 채널제어유닛 (123)에 의해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141)으로 연결된 다수의 통신신호 처리기 (120)를 포함하며, 이때 통신신호 처리기(120)가 각각 멀티플렉서(114)에 의해 트렁크(128)로 운반되는 통신채널의 사전결정된 타임슬롯으로 연결되고, 각 통신신호 처리기 (120)는 처리기의 채널제어유닛 (123)에 의해 원격연결 처리기 (114)로 연결되지 않았을 때 사전 결정된 타임슬롯내 사전결정된 신호패턴을 제공하고, 교환장치 (113)가 원격연결 처리기 (114)로부터의 명령에 응답하여, 주어진 타임슬롯을 통해 통신신호 처리기중 하나로부터 교환장치(113)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그와같은 타임슬롯에 연결된 통신신호 처리기(120)로 귀환되어지도록 하며, 그리고 각 통신신호 처리기(120)가 채널제어유닛 (123)중 하나에 연결되어 전술한 귀환된 사전결정된 신호패턴에 응답하여 연결된 채널제어유닛 (123)이 원격연결 처리기 (114)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141)과 통신하기 위해 귀환된 사전 결정된 신호패턴을 수신하는 통신신호 처리기 (120)를 할당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10, 111).
  7. 제6항에 있어서, 원격연결 처리기 (114)가 정해진 타임슬롯을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141)으로 할당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이같은 할당수단이, (a) 정해진 타임슬롯으로 연결된 통신신호 처리기 (1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귀환시키도록 교환장치 (113)에 명령하기 위한 수단, (b) 베이스 스테이션 제어채널(134, 135)을 통하여 모든 채널제어유닛(123)으로 주소 초기화 신호를 전송하므로써, 연결된 통신신호 처리기 (120)에 응답하여 가능해진 채널제어유닛 (123)내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에 관련된 한 주소를 저장하도록 하며, 전술한 귀환된 사전결정된 신호패턴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c) 정해진 타임슬롯이 연결된 통신신호 처리기 (120)를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141)으로 할당하도록 주소가 저장되는 채널제어유닛 (123)을 명령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10, 111).
  8. 제7항에 있어서, 각 채널제어유닛 (123)이 원격연결 처리기 (114)로 수취확인을 전송하므로써 전술한 주소의 저장에 응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그리고 원격연결 처리기 (114)가 최초 수취확인된 정해진 타임슬롯에 연결된 통신신호 처리기(120)에 결합된 채널제어유닛 (123)으로부터 어떤 수취확인도 수신되지 않았을 때 정해진 다른 시간슬롯에 연결된 통신신호 처리기 (1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귀환시키도록 교환장치(113)에 명령하기 위한 수단을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10,111).
  9. 가입자 스테이션(141)과 다수의 포트를 가지는 외부통신 네트워크(125) 사이에서 신호를 통신시키기 위한 가입자 통신 네트워크내 베이스 스테이션(110,111)에 있어서, 통신회로(119,120,123,128)가 통신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한 트렁크(128), 그리고, 트렁크(128)에서 연결되어 통신채널에서 다중의 순차적 반복적 시간슬롯을 제공하여 다수의 포트와 다수의 가입자 스테이션(141) 사이에서 통신채널을 통해 동시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멀티플렉서 (119)를 포함하고, 트렁크(128)를 외부통신 네트워크 포트에 연결시키기 위한 교환 장치 (113), 그리고 타임슬롯중 하나를 점유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제어채널(134, 135)에 의해 통신회로(119,120, 123, 128)에 연결되며, 타임슬롯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통신회로(119,120, 123, 128)와 교환장치 (113)가 사전결정된 할당 루틴에 따라 전술한 모니터된 상태에 응답하여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해 정해진 외부통신 네트워크포트와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141) 사이의 연결을 완결짓도록 하기 위해 교환장치(113)에 연결된 원격연결 제어기 (114)를 포함하고, 전술한 통신회로(119, 120, 123, 128)가 멀티플렉서 (119)에 연결되어 할당된 타임슬롯을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141)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채널제어유닛 (123)을 더욱더 포함하며, 그리고 채널제어유닛 (123)중 하나가 베이스 스테이션 제어채널(134,135)에 의해 점유되는 타임슬롯과 일치하는 무선 주파수 채널의 타임슬롯에 제 1우선권이 주어지는 사전결정된 할당 루틴에 따라 전술한 모니터된 상태에 응답하여 원격연결 처리기 (114)에 의해 정해진 주파수 채널의 한 타임슬롯으로 할당된 무선제어채널을 통하여 베이스 스테이션 제어채널(134, 135)과 모든 가입자 스테이션(141) 사이에서 제어신호를 통신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10, 111).
  10. 가입자 스테이션(141)과 다수의 포트를 가지는 외부통신 네트워크(125) 사이에서 신호를 통신시키기 위한 가입자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베이스 스테이션(110,120)에 있어서, 통신회로(119,120,123,128)가, (a)다수의 통신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트렁크(128), 그리고 (b) 통신채널 각각에서 다중의 순차적 반복적 시간슬롯을 제공하여 통신채널을 통하여 다수의 포트와 다수의 가입자 스테이션(141) 사이에서 동시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다수 트렁크(128)에 연결된 다수의 멀티플렉서 (119), (c) 외부통신 네트워크 포트로 트렁크(128)를 연결시키기 위한 교환장치(113), 그리고 (d) 타임슬롯중 하나를 점유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제어채널(134, 135)에 의해 통신회로(119, 120, 123, 128)에 연결되며, 타임슬롯의 상태를 모니터하기 위해 그리고 통신회로(l19, 120, 123,128) 및 교환장치 (113)가 사전 결정된 할당루틴에 따라 모니터된 상태에 응답하여 할당된 한 타임슬롯을 통하여 정해진 외부통신 네트워크 포트와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141)사이의 연결을 완결짓도록 하기 위한 교환장치 (113)에 연결된 원격연결 처리기 (114)를 포함하며, 통신회로(119,120,123, 128)가 (a) 할당된 타임슬롯을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141)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멀티플렉서(119)에 결합된 다수의 채널제어유닛 (123), (b) 멀티플렉서 (119)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제어기 (144), 그리고 (c) 제어기 (144)와 채널제어유닛 (123) 사이의 로컬버스(local bus) (132)를 더욱더 포함하며, 전술한 모니터된 상태에 따라 원격연결 처리기 (114)가 타임슬롯중 하나를 선택하여 베이스 스테이션 제어채널(134,135)을 나르도록 하고, 선택된 타임슬롯을 나르는 트렁크(128)에 연결된 멀티플렉서(119)에 연결된 제어기(144)가 베이스 스테이션 제어채널(134, 135)을 나르도록 하여 원격연결 처리기(114)가 다른 시간슬롯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다른 시간슬롯을 할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로컬버스(132)를 통해 다른 제어기 (144)로 그리고 채널제어유닛 (123)으로 베이스 스테이션 제어채널(134, 135)을 연결시키기 위한 일차 제어기 (144)로 기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10, 120).
  11. 제10항에 있어서, 통신회로(119, 120, 123, 128)가 원격연결 처리기 (114)로부터의 명령신호에 응답하여 채널제어유닛 (123)에 의해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141)으로 연결된 다수의 통신신호 처리기 (120)를 포함하며, 이때 통신신호 처리기 (120)가 각각 멀티플렉서 (119)에 의해 트렁크(128)로 운반되는 통신채널의 사전결정된 타임슬롯으로 연결되고, 각 통신신호 처리기 (120)는 처리기의 채널제어유닛 (123)에 의해 원격연결 처리기 (114)로 연결되지 않았을 때 사전결정된 타임슬롯내 사전결정된 신호 패턴을 제공하고, 교환장치 (113)가 원격연결 처리기 (114)로부터의 명령에 응답하여, 주어진 타임슬롯을 통해 통신신호 처리기 (120)중 하나로부터 교환장치 (113)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그와같은 타임슬롯에 연결된 통신신호 처리기 (120)로 귀환되어지도록 하며, 각 통신신호 처리기 (120)가 채널제어유닛 (123)중 하나에 연결되어 전술한 귀환된 사전결정된 신호패턴에 응답하여 결합된 채널제어유닛 (123)이 원력연결 처리기 (114)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141)과 통신하기 위해 귀환된 사전결정된 신호패턴을 수신하는 통신신호 처리기 (120)를 할당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10, 111).
  12. 제11항에 있어서, 원격연결 처리기(144)가 정해진 타임슬롯을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141)으로 할당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전술한 할당 수단이, (a) 정해진 타임슬롯으로 연결된 통신신호 처리기 (1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귀환시키도록 교환장치 (113)에 명령하기 위한 수단, (b) 베이스 스테이션 제어채널(134,135)을 통하여 모든 채널제어유닛 (123)으로 주소 초기화 신호를 전송하므로써 연결된 통신신호 처리기 (120)에 응답하여 가능해진 채널제어유닛 (123)내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141)에 관련된 주소를 저장하도록 하며, 전술한 귀환된 사전결정된 신호패턴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c) 정해진 타임슬롯이 연결된 통신신호 처리기 (120)를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141)으로 할당하도록 주소가 저장되는 채널제어유닛 (123)을 명령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10, 111).
  13. 제12항에 있어서, 각 채널제어유닛 (123)이 원격연결 처리기 (114)로 수취확인을 전송하므로써 전술한 주소의 저장에 응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그리고 원격연결 처리기(l14)가 최초 수취확인된 정해진 타임슬롯에 연결된 통신신호 처리기 (120)에 결합된 채널제어유닛 (123)으로부터 어떤 수취확인도 수신되지 않았을때 정해진 다른 시간슬롯에 연결된 통신신호 처리기(1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귀환시키도록 교환장치 (113)에 명령하기 위한 수단을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10, 111).
  14. 제10항에 있어서, 채널제어유닛 (123)중 하나가 베이스 스테이션 제어채널(134,135)에 의해 점유되는 타임슬롯과 일치하는 무선주파수 채널의 타임슬롯에 제 1우선권이 주어지는 사전결정된 할당 루틴에 따라 전술한 모니터된 상태에 응답하여 원격연결 처리기 (114)에 의해 정해진 주파수 채널의 한 타임슬롯으로 할당된 무선 제어채널을 통하여 베이스 스테이션 제어채널(134, 135)과 모든 가입자 스테이션(141) 사이에서 제어신호를 통신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10, 111).
  15. 제10항에 있어서, 멀티플렉서 (119) 및 채널제어유닛 (123)이 베이스 스테이션(110,111)이 통신할 가입자 스테이션(141)의 숫자 변경에 따라 시스템에 가해지고 시스템으로부터 제거시킴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모듈러임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10, 111).
  16. 가입자 스테이션(141)과 다수의 포트를 가지는 외부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신호를 통신시키기 위한 가입자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베이스 스테이션(110, 111)에 있어서, 통신 회로(119, 120, 123, 128)가, (a) 다수의 통신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트렁크(128), 그리고 (b) 통신채널 각각에서 다중의 순차적 반복적 시간슬롯을 제공하여 통신채널을 통하여 다수의 포트와 다수의 가입자 스테이션(141) 사이에서 동시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다수 트렁크(128)에 연결된 다수의 멀티플렉서(119), (c) 외부통신 네트워크포트로 트렁크(128)를 연결시키기 위한 교환장치 (113), 그리고 (d) 베이스 스테이션 제어채널(134,135)에 의해 통신회로(119,120,123,128)에 연결되며, 타임슬롯의 상태를 모니터하기 위해 그리고, 통신회로(119,120,123,128) 및 교환장치 (113)가 사전 결정된 할당 루틴에 따라 모니터된 상태에 응답하여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하여 정해진 외부통신 네트워크 포트와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141) 사이의 연결을 완결짓도록 하기 위한 교환장치 (113)에 연결된 원격연결 처리기 (114)를 포함하며, 통신회로(119, 120, 123, 128)가 멀티플렉서 (119)에 연결된 다수의 채널제어유닛 (123)을 더욱더 포함하여 할당된 타임슬롯을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141)에 연결시키도록 하고, 채널제어유닛 (123) 각각이 다수의 할당된 타임슬롯을 상응하는 다수의 가입자 스테이션(141)으로 연결시키며, 전술한 할당루틴이 또다른 채널제어유닛 (123)에 관련된 타임슬롯을 할당시키기 이전에 정해진 채널제어유닛 (123)에 관련된 모든 타임슬롯을 할당시키며, 그리고 바로 앞에 할당된 타임슬롯에 관련된 채널제어유닛 (123)에 연결된 멀티플렉서 (119)와는 다른 멀티플렉서 (119)에 연결된 채널제어유닛(123)에 관련된 타임슬롯을 할당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10,111).
  17. 가입자 스테이션(141)과 다수의 포트를 가지는 외부통신 네트워크(125) 사이에서 신호를 통신시키기 위한 가입자 통신 네트워크내 베이스 스테이션(110,111)에 있어서, 통신회로(119, 120,123,128)가 통신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한 트렁크(128), 트렁크(128)에 연결되어 통신채널에서 다중의 순차적 반복적 시간슬롯을 제공하여 다수의 포트와 다수의 가입자 스테이션(141) 사이에서 디지탈 정보신호의 통신채널을 통한 동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멀티플렉서(119), 트렁크(128)를 외부통신 네트워크 포트에 연결시키기 위한 교환장치 (113), 그리고 베이스 스테이션 제어채널(134,135)에 의해 통신회로(119,120,123,128)에 연결되며, 타임슬롯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통신회로(119,120, 123,128)와 교환장치가 사전 결정된 할당 루틴에 따라 전술한 모니터된 상태에 응답하여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해 주어진 외부통신 네트워크 포트와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141) 사이의 연결을 완결짓도록 하기 위해 교환장치 (113)에 연결된 원격연결 제어기 (114)를 포함하고, 전술한 통신회로(119, 120, 123,128)가 멀티플렉서 (119)에 연결되어 무선 주파수채널을 통하여 할당된 타임슬롯을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141)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채널제어유닛 (124), 그리고 원격연결 처리기(114)로부터의 명령신호에 응답하여 채널제어유닛 (123)에 의해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141)에 연결된 다수의 채널제어유닛 (123)을 더욱 포함하며, 이때 통신신호 처리기 (120)가 각각 멀티플렉서 (119)에 의해 트렁크 (128)를 통해 운반된 통신채널의 사전결정된 타임슬롯으로 연결되고, 채널제어유닛 (123)에 의해 무선주파수 채널의 정해진 타임슬롯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10, 111).
  18. 제17항에 있어서, 교환장치 (113)가 집신기 (113)를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10,111).
  19. 제17항에 있어서, 지터 (jitter)를 감소시키고 수신된 신호에서의 슬립 (slip)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며, 전술한 수단이 다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버퍼 (150)로 구성되며, 각 프레임내의 한 선택된 주소가 선택된 채널 할당과 상응하고, 이같은 프레임이 최조 사전결정된 분리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110, 111).
  20. 제17항에 있어서, 트렁크(128)를 통해 통신된 음성신호에서의 반향을 상쇄시키기 위한 반향감쇄기 (116)를 포함하며, 원격연결 제어기 (114)가 반향상쇄기 (116)에 연결되어 원격연결 처리기 (114)에 의해 할당된 이들 타임슬롯 중에만 음성신호를 싣기위한 반향상쇄기 (116)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10, 111).
KR1019880005585A 1987-08-14 1988-05-12 무선 디지탈 전화기 시스템용 베이스 스테이션 KR910010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1,279 1987-08-14
US071279 1987-08-14
US07/071,279 US4777633A (en) 1987-08-14 1987-08-14 Base station for wireless digital telephon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534A KR890004534A (ko) 1989-04-22
KR910010007B1 true KR910010007B1 (ko) 1991-12-10

Family

ID=22100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585A KR910010007B1 (ko) 1987-08-14 1988-05-12 무선 디지탈 전화기 시스템용 베이스 스테이션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4777633A (ko)
JP (1) JP2979319B2 (ko)
KR (1) KR910010007B1 (ko)
CN (1) CN1011561B (ko)
AU (1) AU585748B2 (ko)
BE (1) BE1002284A4 (ko)
BR (1) BR8801530A (ko)
DE (2) DE3812611C2 (ko)
DK (1) DK172084B1 (ko)
ES (1) ES2007170A6 (ko)
FI (1) FI98430C (ko)
FR (1) FR2619477B1 (ko)
GB (2) GB8805618D0 (ko)
HK (1) HK83494A (ko)
IL (1) IL85678A (ko)
IT (1) IT1219926B (ko)
MX (1) MX171366B (ko)
NL (2) NL193162C (ko)
NO (1) NO175559C (ko)
PT (1) PT87283B (ko)
RU (1) RU2003229C1 (ko)
SE (3) SE468617B (ko)
UA (1) UA2768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5863A (en) 1985-03-20 1987-06-23 International Mobile Machines Corp. Subscriber RF telephone system for providing multiple speech and/or data signals simultaneously over either a single or a plurality of RF channels
US4825448A (en) * 1986-08-07 1989-04-25 International Mobile Machines Corporation Subscriber unit for wireless digital telephone system
FR2645690B1 (fr) * 1987-07-08 1997-12-19 Int Mobile Machines Dispositif d'initialisation d'une voie de communication entre un poste d'abonne et une station de base dans un systeme de communication
US4811420A (en) * 1987-07-08 1989-03-07 International Mobile Machines Corporation Initialization of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a subsciber station and a base station in a subscriber communication system
BE1004074A3 (fr) * 1987-07-08 1992-09-22 Internat Mobile Machines Corp Dispositif d'initialisation d'une voie de communication entre un poste d'abonne et une station de base dans un systeme de communication.
US4785450B1 (en) * 1987-08-06 1999-10-12 Interdigital Tech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frequency agility i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DE3845015B4 (de) * 1988-11-07 2006-08-3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lmington Digitales Funkfernsprechsystem
US4953197A (en) * 1988-12-08 1990-08-28 International Mobile Machines Corporation Combination spatial diversity system
US5150361A (en) * 1989-01-23 1992-09-22 Motorola, Inc. Energy saving protocol for a TDM radio
US5146473A (en) * 1989-08-14 1992-09-08 International Mobile Machines Corporation Subscriber unit for wireless digital subscriber communication system
US5008900A (en) * 1989-08-14 1991-04-16 International Mobile Machines Corporation Subscriber unit for wireless digital subscriber communication system
US6389010B1 (en) 1995-10-05 2002-05-14 Intermec Ip Corp. Hierarchical data collection network supporting packetized voice communications among wireless terminals and telephones
GB2241850B (en) * 1990-03-08 1994-05-25 Marconi Co Ltd Signal transmission system
JP2500963B2 (ja) 1990-10-29 1996-05-2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双方向情報通信方法
US5274841A (en) * 1990-10-29 1993-1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for polling mobile users in a multiple cell wireless network
US5212806A (en) * 1990-10-29 1993-05-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tributed control methods for management of migrating data st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5239673A (en) * 1990-10-29 1993-08-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cheduling methods for efficient frequency reuse in a multi-cell wireless network served by a wired local area network
EP0495575B1 (en) * 1991-01-18 1997-08-06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Repeater interface controller
SE467856B (sv) * 1991-01-31 1992-09-21 Ericsson Telefon Ab L M Transcoder foer ett mobilradiosystem
USRE38627E1 (en) 1991-05-15 2004-10-1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 High capacity spread spectrum channel
US5127002A (en) * 1991-07-17 1992-06-30 Motorola, Inc. Time slot assigner for use in a serial communication system
US5367524A (en) * 1991-08-05 1994-11-22 Motorola, Inc. Method for sequential data transmission
CA2099738C (en) * 1992-09-25 1999-01-12 William Keith Cline Architecture for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US5404355A (en) * 1992-10-05 1995-04-04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information in a digital control channel
US6175717B1 (en) * 1993-04-16 2001-01-16 Trans Video Electronics, Inc. Global mobile video communications system
AU6701994A (en) * 1993-04-16 1994-11-08 Mihailo V. Rebec Global video communications systems
US5546383A (en) 1993-09-30 1996-08-13 Cooley; David M. Modularly clustered radiotelephone system
DK1096692T3 (da) * 1994-07-21 2003-01-27 Interdigital Tech Corp Intern temperaturregulering af abonnentterminal
US6243399B1 (en) 1994-07-21 2001-06-0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Ring signal generator
US6775531B1 (en) * 1994-07-21 2004-08-1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ubscriber terminal temperature regulation
ES2103673B1 (es) * 1994-12-30 1998-05-01 Alcatel Citesa Interfaz pcm multilinea para procesado de señal.
US5845211A (en) * 1995-01-13 1998-12-01 Bell South Corporation Wireless digital network
US5778003A (en) * 1995-03-30 1998-07-07 Newbridge Networks Corporation Loop-back detection using out-of-band signalling
US5781582A (en) * 1995-05-04 1998-07-14 Interwave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Ltd. Frequency agile transceiver with multiple frequency synthesizers per transceiver
US5734979A (en) * 1995-05-04 1998-03-31 Interwave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Ltd. Cellular base station with intelligent call routing
US5682403A (en) * 1995-05-04 1997-10-28 Wavelink Communications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network signal processor
JPH09102977A (ja) * 1995-10-03 1997-04-15 Mitsubishi Electric Corp 基地局システム
US7590083B2 (en) 1995-12-07 2009-09-15 Transcore Link Logistics Corp. Wireless packet data distributed communications system
US6125139A (en) * 1995-12-29 2000-09-26 Advanced Micro Devices, Inc. Narrowband digital cordless telephone
US5771468A (en) * 1996-01-17 1998-06-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Multi-purpose base station
JP2842363B2 (ja) * 1996-03-13 1999-01-06 日本電気株式会社 エコーキャンセラ装置
US7788092B2 (en) * 1996-09-25 2010-08-3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bad data packets received by a mobile telephone using decoded speech parameters
KR20000048609A (ko) * 1996-09-25 2000-07-25 러셀 비. 밀러 디코딩된 음성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이동전화에 의해 수신된 불량 데이터 패킷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US6563802B2 (en) * 1998-06-22 2003-05-13 Intel Corporation Echo cancellation with dynamic latency adjustment
US6415150B1 (en) * 1998-09-11 2002-07-02 Amerite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lecommunications service using a wireless link
US6278742B1 (en) * 1999-11-19 2001-08-21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bile Llc. Method and system for power-conserving interference avoidance in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unit and a base unit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EP1117191A1 (en) * 2000-01-13 2001-07-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Echo cancelling method
US20020101888A1 (en) * 2001-02-01 2002-08-01 Keck Steven W.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flow of data in a base transceiver station
EP3442302B1 (en) * 2004-03-09 2024-02-21 Optis Wireless Technology, LLC Random access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GB0614543D0 (en) * 2006-07-21 2006-08-30 Vodafone Plc RF Distribution
US7673084B2 (en) * 2007-02-20 2010-03-02 Infineon Technologies Ag Bus system and methods of operation using a combined data and synchronization line to communicate between bus master and slaves
US8340055B1 (en) * 2010-07-16 2012-12-25 Sprint Spectrum L.P. Prioritization of final page attempt to mobile station
EP2565653B1 (en) * 2011-09-05 2019-05-08 Fluke Corporation Watchdog for voltage detector with display triggering visual warning
CN103902362B (zh) * 2014-04-29 2018-05-18 浪潮电子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对gtc软件shift模块串行代码并行化的方法
US9854467B2 (en) * 2014-11-13 2017-12-26 Echostar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evice wireless module diagnostic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1158A (en) * 1975-10-24 1978-10-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Radio system
DE2659635B2 (de) * 1976-12-30 1979-06-1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Verfahren zur digitalen Informationsübertragung fiber Funk
US4215244A (en) * 1978-12-18 1980-07-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elf-adaptive mobile subscriber access system employing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ing
JPS6027218B2 (ja) * 1980-10-31 1985-06-2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電話装置の制御チヤンネル障害検出方式
JPS5881349A (ja) * 1981-11-10 1983-05-16 Nec Corp 過疎地用無線電話交換方式
US4562572A (en) * 1983-01-11 1985-12-31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Cellular mobile radio service telephone system
JPS60250736A (ja) * 1984-05-28 1985-12-11 Fujitsu Ltd 多方向時分割無線通信方式
US4608711A (en) * 1984-06-21 1986-08-26 Itt Corporation Cellular mobile radio hand-off utilizing voice channel
DE3443974A1 (de) * 1984-12-01 1986-06-05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erfahren zum uebertragen von digitalen informationen in einem funktelefonnetz
US4675863A (en) * 1985-03-20 1987-06-23 International Mobile Machines Corp. Subscriber RF telephone system for providing multiple speech and/or data signals simultaneously over either a single or a plurality of RF channels
DE3527330A1 (de) * 1985-07-31 1987-02-05 Philips Patentverwaltung Digitales funkuebertragungssystem mit verbindungsbegleitenden organisationskanal im zeitmultiplexrahmen
EP0219559B1 (de) * 1985-10-17 1990-09-05 ANT Nachrichtentechnik GmbH Mobilfunksystem für die Übertragung sowohl digitaler als auch analoger Signale
US4825448A (en) * 1986-08-07 1989-04-25 International Mobile Machines Corporation Subscriber unit for wireless digital telephone system
US4785450B1 (en) * 1987-08-06 1999-10-12 Interdigital Tech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frequency agility i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561B (zh) 1991-02-06
IT8847867A0 (it) 1988-04-19
NO881468D0 (no) 1988-04-06
NL194571C (nl) 2002-07-02
SE526116C2 (sv) 2005-07-05
DK172084B1 (da) 1997-10-13
IL85678A (en) 1993-01-31
DK130088A (da) 1989-02-15
SE523859C2 (sv) 2004-05-25
GB2208774C (en) 2007-04-18
SE9802261L (sv) 1998-06-23
DK130088D0 (da) 1988-03-10
NO881468L (no) 1989-01-09
NL193162B (nl) 1998-08-03
FI882229A0 (fi) 1988-05-12
FI98430C (fi) 1997-06-10
IL85678A0 (en) 1990-02-09
GB8806221D0 (en) 1988-04-13
MX171366B (es) 1993-10-21
NL193162C (nl) 1998-12-04
JP2979319B2 (ja) 1999-11-15
DE3812611C2 (de) 1996-09-12
GB2208774B (en) 1991-07-31
NL9800006A (nl) 1998-10-01
JPH01117531A (ja) 1989-05-10
CN1031305A (zh) 1989-02-22
IT1219926B (it) 1990-05-24
FR2619477B1 (fr) 1990-12-14
AU1412788A (en) 1989-02-16
DE3845018B4 (de) 2008-04-30
BR8801530A (pt) 1989-01-10
US4777633A (en) 1988-10-11
FR2619477A1 (fr) 1989-02-17
SE0400592L (sv) 2004-03-10
SE8800824L (sv) 1989-02-15
SE468617B (sv) 1993-02-15
FI882229A (fi) 1989-02-15
BE1002284A4 (fr) 1990-11-20
SE8800824D0 (sv) 1988-03-09
AU585748B2 (en) 1989-06-22
PT87283A (pt) 1990-06-29
NL194571B (nl) 2002-03-01
DE3812611A1 (de) 1989-02-23
SE0400592D0 (sv) 2004-03-10
UA27687C2 (uk) 2000-10-16
SE9802261D0 (sv) 1998-06-23
HK83494A (en) 1994-08-26
RU2003229C1 (ru) 1993-11-15
NO175559C (no) 1994-10-26
GB2208774A (en) 1989-04-12
KR890004534A (ko) 1989-04-22
NO175559B (no) 1994-07-18
PT87283B (pt) 1995-05-31
GB8805618D0 (en) 1988-04-07
ES2007170A6 (es) 1989-06-01
NL8800636A (nl) 1989-03-01
FI98430B (fi) 199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10007B1 (ko) 무선 디지탈 전화기 시스템용 베이스 스테이션
US4750171A (en) Data switching system and method
EP0100662B1 (e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US5487066A (en) Distributed intelligence network using time and frequency multiplexing
JP3188444B2 (ja) 時分割二重チャンネルでのデータ伝送
NL8802798A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verkrijgen van flexibele frequentietoewijzing van frequentie in digitale communicatiestelsels.
AU7562191A (en) Ring communication system
US585699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on bonded data channels of a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ing a single serial communications controller
EP0334569B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WO19980299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serial data
JPH0683210B2 (ja) パケット通信用のステーション
CA1339158C (en) Base station for wireless digital telephone system
EP0470072A4 (en) Distributed intelligence network using time and frequency multiplexing
US67512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ata between first and second pairs of transceivers communicating on a common communications link
JP3883128B2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伝送装置
JP4360224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及び通信制御装置
FI109074B (fi) Tilaajamultipleksointilaite
KR0168907B1 (ko) 무선호출 데이타 전송 지구국 시스템과 망관리시스템 간의 시스템접속 제어 장치와 제어 방법
WO1983002206A1 (en) A distributed control communications system
JPH063925B2 (ja) 共用チヤネルアクセス制御回路
JPH11164337A (ja) 交換機内の制御データ転送方式
JPH11205876A (ja) 回線処理装置の制御方式
KR19990061457A (ko) 히트 버스 초기화 방법
AU4062589A (en) Distributed intelligence network
JPH08204742A (ja) ループ式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3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