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875B1 - 고강도를 갖는 유리부식 저항성 코발트 기초합금 - Google Patents

고강도를 갖는 유리부식 저항성 코발트 기초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875B1
KR910009875B1 KR1019890700036A KR890700036A KR910009875B1 KR 910009875 B1 KR910009875 B1 KR 910009875B1 KR 1019890700036 A KR1019890700036 A KR 1019890700036A KR 890700036 A KR890700036 A KR 890700036A KR 910009875 B1 KR910009875 B1 KR 910009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y
high strength
corrosion resistant
based alloy
glass corro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0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1787A (ko
Inventor
죤 골 데이빗
리 맥개리 데니스
Original Assignee
오웬즈-코닝 파이버글라스 코포레이션
데니스 엘. 자벨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웬즈-코닝 파이버글라스 코포레이션, 데니스 엘. 자벨라 filed Critical 오웬즈-코닝 파이버글라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90701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1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4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using centrifugal force, e.g. spinning through radial orifices; Construction of the spinner cups therefor
    • C03B37/047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spinner cup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7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cobal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 Inorganic Fiber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고강도를 갖는 유리부식 저항성 코발트 기초합금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특징과 잇점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제1도는 스피너를 사용하여 울용 유리섬유를 생산하기 위한 회전섬유 형성 시스템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형태인 스피너의 확대 단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개량된 코발트 기초합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리섬유 형성에 있어서 스피너로 사용하기 적합한 코발트 기초합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합금은 하프늄을 함유하지 않으며, 성질을 향상시킬 정도의 이트륨, 탄탈, 붕소 및 지르코늄 등을 포함하는 코발트 기초합금으로서, 이러한 합금은 비교적 크롬을 다량 함유하고 실리콘은 소량 함유한다. 또한 텅스텐, 니켈, 탄소등도 포함하며 부수적인 불순물도 포함할 수 있다.
[기술배경]
여러 산업분야에서는 높은 파괴강도, 고온에서의 높은 부식 저항성 및 높은 산화 저항성을 갖는 합금이 요구된다. 이러한 분야 가운데 하나는, 높은 속도로 회전하기 적합한 챔버(스피너로 공지된 챔버)의 다공벽을 통해 용융 무기재료(예를들면 유리)가 통과되어 필라멘트가 얻어지는 유리 또는 무기섬유산업이다. 이 필라멘트는 회전 스피너의 원심 작동에 의해 벽에 있는 섬유화 오리피스를 통해 나오게된다. 이 스피너는 통상 약 1121.1℃(2050℉)의 온도와 2050RPM의 회전 속도로 작동된다. 이것은 필라멘트가 섬유화 오리피스를 통해서 나오는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높은 속도이기 때문에 제조 경비관점에서 볼때 상당한 잇점을 가진다. 그러나, 스피너의 높은 회전속도는, 합금의 제한된 강도와 부식 저항성에 의해 스피너의 수명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조 경비의 경감은 보통 유리 절연재(유리솜)에 사용되는 섬유를 얻기위해 사용되는 것보다 높은 점성 유리를 섬유화하여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합금은 성질의 고른 평형 즉, 높은 점성도의 유리를 높은 온도에서 섬유화하기 위해 필요한 기계적 강도를 갖지 못하였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합금에 있어서는 응력 파괴 성질의 향상이 필요하다.
이러한 것을 위한 시도의 예로서는 벨기에 특허 제901647호와 일본국 특허공개 제60-52545호(출원번호 제58-161560) 등이다. 이 특허들은 코발트 기초합금을 포함하는 하프늄을 기술하였으며, 선택적으로 이트륨을 포함하고 있다. 유사하게는, 미합중국 특허 제4,618,474호를 들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61-12842호는 하프늄과 이트륨을 포함하는 코발트 기초합금이 기술되어 있으며, 미합중국 특허 제3,549,356호에는 하프늄과 이트륨을 포함하나 지르코늄은 포함하지 않는 코발트 기초합금이 기술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353,742호에는 다수의 합금이 기술되어 있는데 구성물로는 철, 코발트, 니켈, 크롬, 텅스텐, 실리콘, 지르코늄, 붕소 및 이트륨 등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3,881,918호에는 다량의 실리콘을 포함하는 코발트 기초합금이 기술되어 있는데 탄탈, 붕소는 포함하지 않으며 이트륨을 포함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3,980,473호에는 붕소는 포함하지 않으며 비교적 실리콘과 지르코늄은 다량 포함한 코발트 기초합금이 기술되어 있으며, 이 합금도 역시 이트륨을 포함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3,984,240호에는 이트륨을 포함하는 코발트 기초합금이 기술되어 있으며 붕소와 지르코늄은 포함하지 않으며, 비교적 다량의 실리콘을 포함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3,933,484호와 제4,497,771호에는 유리를 제조하기에 적당한 코발트 기초합금이 기술되어 있는데 이트륨은 포함하지 않는다. 미합중국 특허 제3,366,478호에는 탄소, 크롬, 니켈, 탄탈 및 지르코늄을 포함하는 코발트 기초합금이 기술되어 있는데, 선택적인 원소로서는 텅스텐, 철, 니오브, 티타늄, 하프늄, 실리콘 및 희토류 금속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인용예들을 검토해볼때, 양호한 유리부식 저항성, 높은 온도에서의 양호한 산화저항성 및 뛰어난 응력 파괴 수명등 본 발명에서의 현저한 성질의 균형등이 상기 인용예에서는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발명의 설명]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개량된 코발트 기초합금은 우수한 강도와 양호한 고온 유리부식 저항성 및 고온에서의 산화저항성을 갖는다. 이 합금은 낮은 크리이프율을 가져 쉽게 가공할 수 있다. 이런 합금들은 양호한 품질의 스피너를 생산하기 위해 진공유도용융 및 진공매몰 주조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이 합금은 하프늄을 포함하지 않으며 지르코늄, 붕소, 탄탈을 포함하고 다량의 크롬 및 소량의 실리콘을 포함한다. 또한 텅스텐, 니켈, 붕소와 이트륨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은 하프늄이 없고 약 30 내지 40중량%의 크롬, 약 5 내지 15중량%의 니켈, 약 4 내지 7중량%의 텅스텐 약 2 내지 5중량%의 탄탈, 약 0.1 내지 0.4중량%의 탄소, 약 0.005 내지 0.04중량%의 붕소, 약 0.5 내지 1.5중량%의 이트륨, 그리고 나머지는 코발트인 코발트 기초합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주 바람직한 조성은 약 35 내지 36중량%의 Cr, 약 10.7 내지 11.3중량%의 Ni, 약 5.5 내지 6.1중량%의 W, 약 2.2 내지 2.8중량%의 Ta, 약 0.17 내지 0.23중량%의 지르코늄, 약 0.01 내지 0.13중량%의 Si, 약 0.70 내지 0.78중량%의 C, 약 0.008 내지 0.012중량%의 B, 약 0.6 내지 0.9중량%의 Y, 그리고 나머지는 Co이다. 이 합금은 불순물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하기와 같은 불순물이 존재한다면, 중량 비율은 0.2중량% 이하의 알루미늄, 0.2중량% 이하의 티타늄, 0.01중량% 이하의 마그네슘, 1중량% 이하의 철, 0.005중량% 이하의 인, 0.1중량% 이하의 몰리브덴, 0.005중량% 이하의 황을 최대치로 하여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불순물들은, 0.5ppm 이하의 비스무트, 5ppm 이하의 납, 5ppm 이하의 셀레늄, 50ppm 이하의 은을 최대치로 하여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N2)는 약 150ppm, 산소(O2)는 약 50ppm으로 제한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금조성은 0.74중량%의 C, 0.07중량%의 Si, 35.5중량%의 Cr, 11.0중량%의 Ni, 5.8중량%의 W, 0.7중량%의 Y, 2.5중량%의 Ta, 0.01중량%의 B, 0.2중량%의 Zr, 0.2중량%의 Al, 0.2중량% 이하의 Ti, 0.01중량% 이하의 Mn, 1.0중량% 이하의 Fe, 0.005중량 이하의 P, 0.10중량% 이하의 Mo, 0.005중량% 이하의 S, 0.5ppm 이하의 Bi, 5.0ppm 이하의 Pb, 5.0ppm 이하의 Se, 50ppm 이하의 Ag, 150ppm 이하의 N2, 50ppm 이하의 O2, 그리고 나머지는 Co이고, 하프늄은 포함하지 않는다.
[발명을 수행하는 방법]
본 발명의 구성은 기술상 초합금으로 공지된 코발트합금으로, 공지된 절차에 따라 진공유도용융 및 진공매몰 구조에 의해 준비될 수 있다. 합금을 얻는 양호한 방법에 있어서, 도가니내에 형성된 최초의 용탕은 크롬과 코발트로 구성된다. 이후에 필요한 원소들이, 용탕 온도가 약 1482.2℃(2700℉) 내지 1537.7℃(2800℉) 범위에 있을때 임의의 순서대로 최초의 용탕내로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모든 성분의 조성이 코발트 및 크롬과 함께 도가니에 넣을 수도 있다. 어떤 비율로 지르코늄과 붕소가 조성내에 포함될 수 있고 지르코늄, 붕소 및 탄탈은 재료의 산화와 도가니로부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주입전에 용탕안에 넣는 것이 좋다. 이트륨은 산화와 휘발을 최소화시키도록 제일 나중에 넣는다. 이 재료를 넣은 후 용탕은 일정한 조성을 얻기위해 약 1537.7℃(2800℉) 내지 1662.7℃(3025℉) 범위에서 가열된다. 용탕의 온도는 1426.6℃(2600℉) 내지 1510℃(2750℉)로 내려간후 가열된 매몰 주형에 부어진다. 이 주형온도는 871.1℃(1600℉)와 1037.7℃(1900℉) 사이이며 982.2℃(1800℉)가 최적이다. (매몰 주형은 왁스형태의 주편이 일련의 쎄라믹 슬러리로 매몰되는 로스트 왁스법에 의해 얻어지며, 이 왁스는 증기 고압솥(autoclave)에서 제거되고 처리된 주형은 적당한 온도의 노에서 가열된다.) 또한, 처녀원소는 상기 방법중의 한가지로 대형 진공로 속에서 용융된다. 이러한 결과의 합금은 직경이 거의 7.62 내지 10.16cm(3 내지 4인치)인 잉곳바에 부어진다. 그 후 이 잉곳은 절단되어 소형 유도로에 장입되어 용융된 후 매몰 주형안으로 부어진다.
양호하게는, 이 주조 합금은 약 1093.3℃(2000℉)에서 3시간 동안 열처리되어 공냉된다. 이 열처리는 주조시의 잔류 응력을 감소시킨다. 이것은 또한 약 1260℃(2300℉)에서 4시간 동안 열처리, 그리고 공냉, 약 926.6℃(1700℉)에서 16시간 동안 열처리 그리고 공냉되어 용체화 및 시효 열처리로 주조 합금을 열처리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금으로 제조된 주편은 종래의 기술, 예를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3,933,484호의 합금이 사용된 것보다 지르코늄, 탄탈과 같은 반응원소의 높은 레벨을 허용하고 반응 원소인 이트륨의 도입을 허용하는 진공 매몰 주조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이 진공 매몰 주조법은 1972년 죤윌리 앤드 선스 인코포레이티드의 심스 앤드 헤겔의 저서 수퍼알로이(페이지 383 내지 391, 403 내지 425)에 기술되어 있다. 종래기술의 주편은 용탕의 유동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합금내에 다량의 실리콘의 존재가 요구되는 공기 용융법으로 제조되었다. 진공 매몰 주조법에서는 유동성의 문제가 없기때문에 본 발명의 합금내에는 실리콘의 함량이 소량이다. 더우기, 진공 매몰 주조법에서 높은 실리콘의 사용은 이 주조법으로 형성된 주편이 수축 공동과 같은 결함이 발생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피하여야 한다. 합금내의 다량의 실리콘의 존재는 합금의 동결 범위를 증가시킨다. 진공 매몰 주조를 사용하는 장점중의 한가지는 그물형 주편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금은 높은 실리콘의 함량을 포함하는 종래기술의 합금과 비교할때 진공매몰 주조법이 이상적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3,933,484호의 종래기술 합금의 주편이 진공 매몰 주조법으로 제조되어 양호한 품질을 가질지 모르나, 이 주편은 본 발명의 합금이 갖는 기계적 성능을 갖지 못한다. 예를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3,933,484호의 합금 주편은 31시간의 파괴수명을 가지나, 진공 용융 및 진공 매몰 주조법으로 제조되었을때는 동일한 합금 조성이 93시간의 파괴 수명을 갖는다. 그러나, 파괴수명이 진공 용융법에 의해 증가되었다고 하더라도 크리이프율은 안정할 정도로 높다.
이 크리이프율은 1148.8℃와 20.7MPa시 1.89×10-7cm/cm/sec에서 1.03×10-7cm/cm/sec로 증가한다(2100℉와 300psi시 6.8×10-4in/in/hr에서 3.7×10-3in/in/hr) 따라서, 이런 종래기술 합금의 기계적 성능은 진공용융 및 매몰 주조법으로 제조되었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합금이 진공용융 및 매몰 주조법으로 제조되었을때 본 발명의 합금보다는 양호하지 않다.
상기 지적한 본 발명의 합금은 스피너의 제조시에 적합하다. 이러한 스피너는 높은 크리이프 저항성과 높은 응력 파괴 수명을 갖기 때문에 유리섬유 제조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절연 유리섬유(울) 제조에 적합하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합금으로 제조된 로터(rotor) 또는 스피너(50)를 포함하는 회전 또는 원심성 유리섬유 형성 시스템을 나타내었다. 제1도에 도시되었듯이, 회전 또는 원심성 섬유 형성 시스템(40)은 유리와 같은 용융 무기재료(44)의 몸체를 갖는 채널(42)의 흐름 수단을 구비하였다. 용융 유리(46)의 흐름은 종래의 공지된 방법으로 채널(42)로부터 로터 또는 스피너(50)로 제공된다. 높은 속도에서의 회전에 알맞은 스피너(50)(제2도에 자세히 도시됐음)는 깃촉(quill)과 다수의 오리피스 또는 틈(55)을 갖는 원형 흐름 형성 또는 작동벽(54)으로 구성되었다. 이 오리피스는 유리화되는 유리인 용융 무기재료의 복수의 예비 필라멘트 또는 제1차 흐름을 공급한다. 덮개(56)와 원형 송풍기 또는 유체 감쇠 수단(57)은 섬유 또는 필라멘트로의 용융 재료의 흐름 감쇠에 도움을 준다. 결합재 또는 코팅은 공지된 결합기 수단에 의해 섬유에 가해질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섬유는 팩 또는 매트로서 수집되어 보통 절연물이라 하는 절연유리섬유를 생산한다.
본 발명의 합금의 기계적 성능은 주조 카바이트 구조를 용해시켜 MC카바이드의 많은 단편을 석출하고 M23C6카바이드(카바이드의 조성은 대략 Cr21W2C6이다)의 미세한 분산을 발생시키는 합금을 열처리하므로서 향상시킬 수 있다. MC카바이드와 M23C6카바이드의 미세한 분산은 합금의 파괴수명을 증가시킨다.
실리콘을 다량 함유하여 동결 범위를 증가시키는 미합중국 특허 제3,933,484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래 합금은 용체화 및 시효 처리를 할 수 없었다. 이것은 카바이드를 용해시키는데 필요한 온도가 초기 용융점 이상되도록 초기 용융점을 낮춘다. M23C6카바이드로 구분되는 실리콘은 조성과 형태에 영향을 끼친다. 실리콘을 다량 함유한 합금이 용체화 온도에서 열처리 도면 M23C6카바이드를 급격히 숙성하게 되어 강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예를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3,933,484호의 합금이 용체화 열처리를 하게되면 합금의 파괴 수명은 1148℃, 20.7MPa(2100℉, 3000psi)시 31시간에서 8시간으로 떨어진다.
지금부터는 다른 조성을 갖는 합금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뚜렷한 성질 특히, 개량된 응력 파괴 수명에 대해 기술하겠다. B로 지정된 합금은 공기용융과 공기 주조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되고 약 3시간 동안 1093.3℃(2000℉)에서 열처리된다. 이러한 합금은 일반적으로 미합중국 특허 제3,933,484호를 예를들수 있으며, 이 합금은 과거에 상업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다른 합금으로는 종래의 기술을 사용하는 진공유도 용융 및 진공 매몰 주조로 얻어지는 것으로, 합금 B처럼 열처리된다.
합금의 강도는 표준 응력 파괴시험(아메리칸 내쇼날 스탠다드/ASTME-139-70-재승인 1978)으로 결정된다. 합금의 상대적인 부식율은 스피너 쿠폰 시험으로 결정된다. 이 시험에서 구멍은 상기 설명된 형태의 스피너 표면의 상부 내부로 넓어진다. 조사중의 합금으로 구성된 샘플 또는 쿠폰은 스피너의 구멍이 뚫리고 난 후 구멍안으로 가압고정된다. 따라서 샘플 또는 쿠폰은 스피너 벽의 전체중 일부가 되고, 이들이 동일한 공정상태를 거치기 때문에 이러한 쿠폰 형태의 여러 합금 사이에서 직접적인 비교를 할 수 있다.
[표 I]
Figure kpo00001
* 샘플은 주조되지 않는다.
표 I에서 합금을 구비하는 일련의 하프늄은 비교예로서 나타내었다. 표시되었듯이 이러한 합금들은 상당히 순수한 처녀 용융족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상당히 높은 순수성을 갖는다. 여러 샘플들의 응력 파괴수명은 1148.8℃(2100℉)와 27.6MPa(4000psi)에서 평가되었고 약 3.1 내지 36.8범위의 값을 갖는다. 샘플 A-1에서의 합금은 응력파괴 수명이 얻어지지 않았고, 이 합금은 매우 취성이고 냉각시에 주편에 크랙이 생성되어 응력파괴 바아로는 주조될 수 없다. 표 I에 열거된 조성은 실험 및 계산에 기초하여 용융시에 발생될 손실을 추정한 목적조성이다.
또다른 실험 및 결과들은 표 2,3,4에 요약되었다. 이 조성은 하프늄과 이트륨은 갖질 않는다. 다음에 표시된 샘플 B는 미합중국 특허 제3,933,484호 범위내에 있는 조성을 예로 들었다. 이 합금은 부수적인 불순물을 포함하나, 이 불순물은 합금 성질에 영향을 끼칠 정도는 아니다. 샘플 A와 샘플 B로 유사하게 불순물을 포함한 역시 합금 성질에 영향을 끼칠 정도는 아니다. 불순물의 존재에 있어서, 조성 A와 C는 0.005중량%, 이하의 황, 0.005중량% 이하의 인, 0.20중량% 이하의 알루미늄, 0.20중량% 이하의 티타늄, 0.05중량% 이하의 마그네슘, 0.10중량% 이하의 몰리브덴, 1.0중량% 이하의 철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샘플은 최대 50ppm의 질소, 20ppm의 산소를 포함한다.
[표 II]
Figure kpo00002
[표 III]
Figure kpo00003
[표 IV]
Figure kpo00004
다음의 비교예는 이트륨을 갖지않는 합금을 포함하는 하프늄을 설명하였다. 표 V은 공식화한 것을 보여 주며, 표 VI와 표 VII은 합금의 성질과 합금 B의 유리부식율 데이타를 보여준다. 이 조성은 불순물을 제외한 것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고 사실은 근본적으로 부수적인 불순물을 가지고 있다.
이예에서, 조성 D와 E는 최대 0.005중량%의 황, 0.005중량%의 인, 0.20중량%의 알루미늄, 0.20중량%의 티타늄, 약 0.05중량%의 마그네슘, 0.10중량%의 몰리브덴, 1.0중량%의 철, 50ppm의 질소 20ppm의 산소를 포함한다.
[표 V]
Figure kpo00005
[표 VI]
Figure kpo00006
[표 VII]
Figure kpo00007
다음은 본 발명의 예로서, 뚜렷한 성질을 나타내는 하프늄함유 합금과 비교하였다. 이 조성은 불순물을 제외시킨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합금 F와 합금 G에서의 불순물은 최대 약 0.2중량%의 Al, 최대 0.2중량%의 Ti, 최대 0.01중량%의 Mn, 최대 약 1중량%의 Fe, 최대 약 0.005중량%의 P, 최대 약 0.10중량%의 Mc, 최대 약 150ppm의 N2, 최대 약 0.5ppm의 Bi, 최대 약 5.0ppm의 Pb, 최대 약 5.0ppm의 Se, 최대 약 50ppm의 Ag를 초과하지 않는다.
[표 VIII]
Figure kpo00008
합금 G는 1148℃와 20.7MPa(2100℉와 3000psi)에서 약 274.4시간의 응력 파괴수명을 가지며 약 5.5×10-8cm/cm/sec(2.0×10-4in/in/hr)의 크리이프율을 가진다. 1148.8℃와 27.6MPa(2100℉와 4000psi)에서는 75시간의 응력파괴 수명과 4.2×10-4cm/cm/sec(1.5×10-3in/in/hr)의 크리이프율을 갖는다. 1148.8℃와 20.7MPa(2100℉와 3000psi)에서, 합금 A-14는 162.8시간의 수명과 8.6×10-8(3.1×10-4)의 평균 크리이프율을 갖는다. 반면에, 본 발명의 합금 F는 2,065.5시간의 파괴수명과 5.8×10-9(1148.8℃와 20.7MPa)(2.1×105(2100℉와 3000psi))의 크리이프율을 갖는다.
이 파괴 수명 값은 상기 지적한 다른 합금 조성보다 월등하다. 특히 주목할 것은 1148.8℃와 20.7MPa(2100℉와 3000psi)시의 데이타에 있어서의 합금 B는 상업적인 합금으로 선택되고도 있다. 1148.8℃와 27.6MPa(2100℉와 4000psi)에서 본 발명의 합금(합금 F)은 약 2.6×10-8cm/cm/sec(0.95×10-4in/in/hr)의 크리이프율을 가지며, 응력파괴 수명은 450.3시간 이상이다.
유리부식 시험은 합금 B에 대해서 합금 F에 실시하였다. 이 시험 결과는 합금 F에 있어서는 부식율이 0.91(㎛/hr)(7.14(mil/200hours)), 합금 B에 있어서는 1.67(㎛/hr)(13.14(mil/200hours)의 부식율을 나타내었다.
다음은 합금 B,G 그리고 F에 대해서 실시하였다. 각각의 측정된 부식율은 1.16, 0.95 그리고 0.94㎛/hr)(9.1, 7.48 그리고(mil/16200hours)이었다. 따라서, 부식율은 본 발명의 합금 F에 있어서 상당히 만족스러웠다.
[산업상의 적용]
유리 스피너가 본 발명의 합금으로 제조되는 것이 상기로부터 명확하여 졌으며, 이러한 스피너는 유리섬유를 생산하기 위해 상술한 방식으로 사용되며 특히, 절연 유리섬유를 형성하기 위해 베트(Batt)로 형성된 섬유를 얻기 위한 방법에 사용된다. 기술분야에 있어서, 이러한 합금은 “울”유리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스피너를 만들도록 사용되었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영역과 정신을 보호하고자 한다.

Claims (7)

  1. 다음과 같은 중량%를 갖는 원소들을 구비하며 Hf는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의 유리부식 저항성 코발트 기초합금.
    Figure kpo00009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다음과 같은 양을 갖는 하나 또는 여러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의 유리부식 저항성 코발트 기초합금.
    Figure kpo000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다음과 같은 중량%를 갖는 하나 또는 여러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의 유리부식 저항성 코발트 기초합금.
    Figure kpo0001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다음과 같은 양을 갖는 하나 또는 여러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의 유리부식 저항성 코발트 기초합금.
    Figure kpo00012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다음과 같은 하나 또는 여러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의 유리부식 저항성 코발트 기초합금.
    Figure kpo00013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다음과 같은 중량%를 갖는 원소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의 유리부식 저항성 코발트 기초합금.
    Figure kpo00014
  7. 다음과 같은 양을 갖는 하나 또는 여러 원소로 구성되며 Hf는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의 유리 부식 저항성 코발트 기초합금.
    Figure kpo00015
KR1019890700036A 1987-05-18 1988-03-14 고강도를 갖는 유리부식 저항성 코발트 기초합금 KR9100098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29,824 1987-05-18
US07/029,824 US4820324A (en) 1987-05-18 1987-05-18 Glass corrosion resistant cobalt-based alloy having high strength
PCT/US1988/000785 WO1988009393A1 (en) 1987-05-18 1988-03-14 Glass corrosion resistant cobalt-based alloy having high streng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1787A KR890701787A (ko) 1989-12-21
KR910009875B1 true KR910009875B1 (ko) 1991-12-03

Family

ID=21851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0036A KR910009875B1 (ko) 1987-05-18 1988-03-14 고강도를 갖는 유리부식 저항성 코발트 기초합금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4820324A (ko)
EP (1) EP0317579B1 (ko)
JP (1) JP2853765B2 (ko)
KR (1) KR910009875B1 (ko)
CN (1) CN1014533B (ko)
AU (1) AU597218B2 (ko)
CA (1) CA1335760C (ko)
DE (1) DE3871341D1 (ko)
IN (1) IN169492B (ko)
MX (1) MX164687B (ko)
NO (1) NO890098L (ko)
NZ (1) NZ224588A (ko)
PH (1) PH24372A (ko)
PL (1) PL272135A1 (ko)
WO (1) WO19880093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4290A (en) * 1988-09-30 1990-02-27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Cobalt based alloys with critical carbon content for making and using in glass fiber production
US5118332A (en) * 1991-06-04 1992-06-02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Composite brazed spinner
SK284033B6 (sk) 1991-08-02 2004-08-03 Isover Saint-Gobain Minerálna vlna z roztaveného minerálneho materiálu, spôsob jej výroby a zariadenie na vykonávanie tohto spôsobu
EP0555033B1 (en) * 1992-02-07 1999-05-26 Smith & Nephew, Inc. Surface hardened biocompatible metallic medical implants
US5286446A (en) * 1992-12-28 1994-02-15 Owens-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Cobalt-base alloy
US5914439A (en) * 1997-05-08 1999-06-22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Diffusion barrier for bores of glass fiber spinners providing high corrosion and oxidative resistance at high temperatures
US20030221756A1 (en) * 1997-09-29 2003-12-04 Isover Saint Gobain Cobalt based alloy, article made from said alloy and method for making same
FR2769024A1 (fr) * 1997-09-29 1999-04-02 Saint Gobain Isover Alliage a base de cobalt, article realise a partir de l'alliag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5964915A (en) * 1998-06-02 1999-10-12 Deloro Stellite Company Inc. Mold for forming glassware
US6266979B1 (en) * 1999-09-02 2001-07-31 Johns Manville International, Inc. Spinner disc alloy
US20030230119A1 (en) * 2002-06-18 2003-12-18 Metal Technology, Inc. Unitary wrought spinner
FR2924442B1 (fr) * 2007-11-30 2010-02-26 Saint Gobain Isover Alliage refractaire, assiette de fibrag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laine minerale
CN106319289B (zh) * 2016-08-29 2018-06-15 深圳市圆梦精密技术研究院 Co-Cr-W合金及其加工方法和应用
CN111566059A (zh) * 2017-11-20 2020-08-21 Stm科技有限责任公司 具有耐高温性的钴基合金、用于生产矿物纤维的包含该合金的旋转器以及使用该旋转器生产矿物纤维的方法
RU2685895C1 (ru) * 2018-09-12 2019-04-2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авиа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ФГУП "ВИАМ") Жаропрочный литейный сплав на основе кобальта и изделие, выполненное из него
FR3085966B1 (fr) * 2018-09-13 2023-03-24 Saint Gobain Isover Alliage pour assiette de fibrage
CN109097632A (zh) * 2018-10-05 2018-12-28 广州宇智科技有限公司 一种核电站传热管用耐点蚀具备液态调幅分解型钴合金
CN115261678B (zh) * 2022-08-05 2023-03-28 沈阳大陆激光先进制造技术创新有限公司 一种用于高温加热炉的激光熔覆材料及工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2294A (en) * 1965-04-21 1969-03-11 Martin Marietta Corp Cobalt-base alloy
US3366478A (en) * 1965-07-21 1968-01-30 Martin Marietta Corp Cobalt-base sheet alloy
US3549356A (en) * 1969-01-06 1970-12-22 Gen Electric High temperature corrosive resistant cobalt-base alloys
US3881918A (en) * 1974-05-09 1975-05-06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Cobalt-base superalloy
US3933484A (en) * 1974-05-31 1976-01-20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Cobalt-base alloy
US3984240A (en) * 1975-07-28 1976-10-05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High strength corrosion resistant cobalt-base superalloy
US3980473A (en) * 1975-07-28 1976-09-14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Ultra high strength, carbide-strengthened, cobalt-base superalloy
DE2966529D1 (en) * 1978-10-03 1984-02-16 Cabot Stellite Europ Cobalt-containing alloys
US4497771A (en) * 1983-03-07 1985-02-05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Low tantalum content cobalt-base alloy
JPS59179752A (ja) * 1983-03-29 1984-10-12 Mitsubishi Metal Corp 溶融ガラス接触部材用Co基耐熱合金
JPS60224732A (ja) * 1984-04-19 1985-11-09 Mitsubishi Metal Corp Co基耐熱合金
JPS60224731A (ja) * 1984-04-19 1985-11-09 Mitsubishi Metal Corp Co基耐熱合金
JPS60258445A (ja) * 1984-06-04 1985-12-20 Mitsubishi Metal Corp Co基耐熱合金
JPS60262934A (ja) * 1984-06-11 1985-12-26 Mitsubishi Metal Corp Co基耐熱合金
JPS60262935A (ja) * 1984-06-11 1985-12-26 Mitsubishi Metal Corp ガラス繊維成形スピナ−用Co基耐熱合金
JPS61545A (ja) * 1984-06-12 1986-01-06 Mitsubishi Metal Corp ガスタ−ビン用高強度Co基耐熱合金
JPH0243812B2 (ja) * 1984-06-12 1990-10-01 Mitsubishi Metal Corp Gasutaabinyokokyodocokitainetsugokin
JPH0243813B2 (ja) * 1984-06-13 1990-10-01 Mitsubishi Metal Corp Gasutaabinyokokyodocokitainetsugokin
JPH0243814B2 (ja) * 1984-06-13 1990-10-01 Mitsubishi Metal Corp Gasutaabinyokokyodocokitainetsugokin
JPH0243815B2 (ja) * 1984-06-14 1990-10-01 Mitsubishi Metal Corp Gasutaabinyokokyodoc0kitainetsugokin
US4618474A (en) * 1985-01-25 1986-10-21 Asahi Fiber Glass Company, Limited Co-base heat resistant alloy
FR2576914B1 (fr) * 1985-02-04 1987-02-20 Asahi Fiber Glass Cy Ltd Alliages a base de co, resistant a la chaleur et au verre fondu
JPH0633332A (ja) * 1992-07-09 1994-02-08 Murata Mach Ltd 特殊糸の製造方法
JPH0652545A (ja) * 1992-07-31 1994-02-25 Sony Corp 磁気転写方法及びディジタル画像信号の磁気記録方法
US5357546A (en) * 1992-07-31 1994-10-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mode and multiple character string run length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JPH0659039A (ja) * 1992-08-04 1994-03-0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97218B2 (en) 1990-05-24
EP0317579A1 (en) 1989-05-31
PH24372A (en) 1990-06-13
MX164687B (es) 1992-09-14
AU1546288A (en) 1988-12-21
NZ224588A (en) 1989-12-21
CN88102822A (zh) 1988-12-07
IN169492B (ko) 1991-10-26
CN1014533B (zh) 1991-10-30
WO1988009393A1 (en) 1988-12-01
KR890701787A (ko) 1989-12-21
JP2853765B2 (ja) 1999-02-03
PL272135A1 (en) 1989-02-06
US4820324A (en) 1989-04-11
CA1335760C (en) 1995-06-06
EP0317579B1 (en) 1992-05-20
DE3871341D1 (de) 1992-06-25
NO890098D0 (no) 1989-01-10
JPH01503244A (ja) 1989-11-02
NO890098L (no) 1989-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875B1 (ko) 고강도를 갖는 유리부식 저항성 코발트 기초합금
US8398791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mineral wool, cobalt-based alloys for the process and other uses
KR20210060452A (ko) 섬유-형성 플레이트를 위한 합금
US4668265A (en) Corrosion resistant cobalt-base alloy and method of making fibers
US5422072A (en) Enhanced Co-based alloy
US4904290A (en) Cobalt based alloys with critical carbon content for making and using in glass fiber production
SK284724B6 (sk) Zliatina na báze kobaltu, výrobok z tejto zliatiny a postup jeho výroby
KR101571143B1 (ko) 내화 합금, 섬유-형성 플레이트, 및 광물성 모직물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
US4765817A (en) Corrosion resistant cobalt-base alloy containing hafnium
US4668266A (en) Corrosion resistant cobalt-base alloy having a high chromium content and method of making fibers
US4767432A (en) Corrosion resistant cobalt-base alloy containing hafnium and a high proportion of chromium
KR20190122672A (ko) 섬유-형성 플레이트를 위한 합금
JP4668923B2 (ja) 耐熱合金および鉱質ウール製造法
KR940008942B1 (ko) 코발트 기초 내열합금 및 그 제조방법
RU2773040C1 (ru) Сплав для тарелки волокнообразования
US20030221756A1 (en) Cobalt based alloy, article made from said alloy and method for making same
CN111566059A (zh) 具有耐高温性的钴基合金、用于生产矿物纤维的包含该合金的旋转器以及使用该旋转器生产矿物纤维的方法
JPH06240394A (ja) 高温強度のすぐれたCo基合金
JPH06240393A (ja) 高温強度のすぐれたCo基合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3201001182;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