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723B1 - 패널의 현수 주행 장치 - Google Patents

패널의 현수 주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723B1
KR910009723B1 KR1019880007752A KR880007752A KR910009723B1 KR 910009723 B1 KR910009723 B1 KR 910009723B1 KR 1019880007752 A KR1019880007752 A KR 1019880007752A KR 880007752 A KR880007752 A KR 880007752A KR 910009723 B1 KR910009723 B1 KR 910009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vehicle
rail
intersection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7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808A (ko
Inventor
구니하루 아라야
Original Assignee
꼬마니 가부시끼가이샤
쯔가모또 신끼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꼬마니 가부시끼가이샤, 쯔가모또 신끼찌 filed Critical 꼬마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2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0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allowing an additional movement
    • E05D15/060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allowing an additional movement caused by track lay-out
    • E05D15/0613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allowing an additional movement caused by track lay-out with multi-directional troll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6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1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 E05Y2201/612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between carriers and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2Partitio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패널의 현수 주행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현수차와 주행 레일의 일부절개 종단면도.
제2도는 현수차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3도는 교차부 레일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횡단면도.
제4도는 교차부 레일의 종방향 반 단면도.
제5도는 현수차와 교차부 레일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종방향 반단면도.
제6도 및 7도는 현수차와 교차부 레일 사이의 관계를 횡단면 방향에서 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현수차 2 : 주행 레일
3 : 교차부 레일 6 : 차대
9 : 안내홈 10 : 교차부
12 : 현수축 14 : 측면부
15 : 수직 차륜 17 : 차륜 장착부
18 : 차축 22 : 측면부
24 : 차륜 외장 25 : 하부 측면부
26 : 활주홈 27 : 하부 수용부
28 : 레일 기초부 31 : 교차부 개구
32 : 측면 연장부 33 : 하부 수용부 연장부
34 : 교차부 차륜 외장 35 : 차륜 하부벽
36 : 교차부 레일 기초부 37 : 삼각형 프리즘
39 : 수용 차륜 40 : 차대 기초부
43 : 안내 돌출부
본 발명의 가동 격벽 패널(이하, 패널이라 한다)을 주행시키는 현수차 및 그 주행 레일 및 교차부 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량이 무거운 패널을 쉽게 방향 변환시킬 수 있는 현수 주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패널을 현수하여 주행하기 위하여 사용된 현수 주행 장치에는 두가지 형태가 있다. 그중 하나는 하부에 u자형 횡단면 개구를 각기 갖고 있는 수평으로 긴 주행 레일을 구비한 수직 차륜형이다. 레일의 측면은 그 개방 단부가 내측으로 네모지게 구부러져 있고, 그 단부 부분은 내측으로 연장하여 차륜 하부면을 형성하고, 그들 사이에 활주홈으로서의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형성된 주행 레일은 천정 근처에 부설된다. 수레의 차륜처럼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는 차륜을 갖춘 현수차를, 그 차륜이 차륜 하부면상에 놓이도록, 주행 레일 안쪽에 설치한다. 패널의 상부 단부면과 연결되는 현수축은 차대로부터 활주홈을 통하여 현수된다.
다른 것은 패널과 연결된 현수축이 그 위에 직접 장착된 수평 차륜을 포함하는 수평 차륜형이 있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현수 주행 장치에 요구되는 것은 현수차의 안정된 주행과 용이한 방향 변환이다. 새로운 격벽을 구성하거나 그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련 패널을 이동시킬 때 현수차의 방향 변환이 필요하다.
현수 주행 장치의 첫번째 형태 즉, 수직 차륜형은 패널의 중량 부담력은 우수하지만, 패널의 방향 전환 특히, 직각 방향으로의 방향 변환은 좋지않다. 한편, 수평 차륜을 갖는 두번째 형태는 방향 전환 특히, 직각 방향으로의 방향 변환 능력은 우수하지만 무거운 패널을 견디는데는 적합하지 않다. 전자의 예는 일본 특공소 50-20496호, 60-71114호 및 60-7116호 등이 있고, 후자의 예는 일본 실공소 55-24288호 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 장치의 문제점은 우선, 주행 레일을 따라 직진 이동하는데 있어서, 현수축이 활주홈에 수직으로 유지되기가 어렵다는데 있다. 즉, 제 1형태의 경우, 수직 차륜이 주행 레일의 내벽에 마찰하거나 충돌하기 쉽다. 제 2형태의 경우, 수평 차륜은 차륜의 하부면상의 한 지점에서 각기 패널의 중량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차륜의 하부면위를 사행하기 쉽다. 이러한 점 때문에, 상술한 종래 기술등에서는 차륜 외장의 형상을 복잡하게 하거나 유도 차륜을 제공함으로써 주행시에 현수차의 균형을 유지하려고 시도해 왔지만, 중량급 패널에 관해서는 아직 만족스러운 결과가 얻어지지 않았다. 이것은 주로 현수차의 과도한 높이와 횡방향으로의 크기가 크기 때문이다.
주행 레일에서의 패널의 방향 변환에 있어서, 종래, 수직 차륜형 현수 주행 장치의 경우, 직진 레일 부분에 관하여 만곡된 선은 교차부(분기부)에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방향 변환을 얻을 수 있다. 수평 차륜형 현수 주행 장치의 경우, 레일의 직각 교차에 의해서 효과적인 방향 변환을 얻을 수 있다. 최근에는, 수직 차륜형 장치의 경우 패널을 배치하는데 편리하다는 점과 미적인 점 때문에 직각 교차 방법을 점점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한 구조는 평행사변형 차대의 네 측면부에 각각 수직 차륜을 장착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공소 62-17062호) .
본 발명은 이러한 종류의 현수 주행 차량에 속하는 것으로써, 수직 차륜과 직각 교차 방법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곡선을 갖는 굴곡방향 변환 방법에서나 직각 방향 변환 방법에서나, 동일 형상의 주행 레일을 그 하부 개구가 아래로 향하게 하여 연속 형상으로 일체식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교차부에서 차륜 하부면은 절단 상태로 되어, 차륜 외장이 확장되고, 그 부분에 넓은 내부 공간이 생긴다. 결과적으로, 차륜 하부면에 의해 지지되지 않은 차륜이 기울어져서, 확대된 차량 외장내에서 현수차는 불안정한 상태로 되므로, 차대나 차륜이 통로를 벗어나 활주홈으로 떨어지거나 차륜 외장의 내벽에 부딪히기 쉽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수직 차륜의 직각 방향 변환에 관하여 종래 기술 장치(일본 특공소 62-17062호)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 따르면, 교차부에서 수직 차륜을 사용하지 않고, 현수차가 레일 교차부를 따라 주행하는 동안 공중에 떠 있게 된다. 대신, 차대의 상부 또는 하부의 네모서리에(강으로 만들어진) 커다란 공을 제공하여 교차부에서 현수차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 장치의 문제점은 볼이 현수차의 하부 위치에 제공될 때, 볼이 차륜 밑면과 같은 높이를 유지하기가 어렵고, 볼이 현수차의 상부 위치에 제공될 때, 교차부의 현수 기둥과 볼 사이의 만족스러운 결합을 얻기 힘들다는 점이다. 게다가, 볼과 주행 레일은 서로 점 접촉만 있게 되어 원활한 회전을 얻을 수 없다. 주행 레일을 따라 직진하는 주행에서, 종래 기술 장치의 최대는, 주행 레일의 차륜 외장을 완전히 점유하는 그 형상 때문에, 현수차가 흔들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레일 벽에 관하여 회전하는 작은 수평 차륜에 의해 만족스러운 주행 상태를 제공한다. 한편, 교차부에서, 전술한 차륜 위장의 확장은 수평 안내 차륜을 쓸모 없게 만들어 패널을 정확히 앞으로 밀지 않는 한, 볼의 회전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현수차를 원하는 방향으로 진행시킬 수 없다.
게다가, 그러한 볼은 무거운 패널을 견디는 충분한 능력을 제공할 수 없다. 패널의 중량이 100㎏이상인 경우 특히, 500㎏인 경우, 상술한 연구는 적당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현수 주행 장치의 교차부에서의 주행 문제점은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종래의 현수 주행 장치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상기 요청에 부응함으로써 패널의 현수 및 주행을 확실하고 원활하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으로 긴 종단면을 갖는 평행사변형 현수차의 차대는 주행 레일을 따라 직진하는 동안, 차륜 외장의 전체 횡단면을 점유하고, 차대는 차대의 네 측면의 중심을 절개하여 제공된 차륜 장착부에 장착된 수직 차륜을 포함하고 있고, 두개의 주행 수직 차륜은 차륜 밑면상에 위치하고, 두개의 종방향 수직 차륜은 주행 레일을 따라 직진하는 동안 공중에 떠 있게 되고, 네개의 차륜은 모두 주행 레일의 활주홈의 폭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고 있다.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는 주행 레일로서 일반적으로 형성된 교차부 레일에 있어서, 교차부 레일의 꼭대기에 제공된 안내 돌출부에 의해 안내되는 현수차는 현수차 차대의 상부면상에 격자상으로 절개된 안내홈과 결합된다. 이때, 현수차의 주행은 차대의 수직 주행을 보이지 않고. 주행 수직 차륜은 교차부 레일 하부면에 제공된 차륜 하부벽상에 위치시켜, 현수차 차대는 현수차의 주행 방향에 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제공된 2개 또는 4개의 수용 차륜에 의해 순차적으로 지지됨으로써, 활주홈내의 4개의 수직 차륜과 함께 현수차를 교차부 개구로 인도된다. 교차부에서 직각으로 방향 변환하는 경우, 두개의 종방향 수직 차륜을 대향한 차륜 하부벽상에 각기 위치시킨다. 교차부를 직진하는 경우는 두개의 횡방향 수직 차량을 대향한 차륜 하부벽상에 각기 위치시킨다. 차대는 안내 돌출부에 의해 안내된 다음 수용 차륜의 지지로부터 순차적으로 이탈되어 두개의 수직 차륜을 차륜 하부벽으로부터 차륜 하부면으로 주행시킨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과 특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 부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패널의 현수 주행 장치를 구성하는 현수차(1)는 주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주행레일(2)은 제1도에 도시되어 있고, 교차부 레일(3)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현수차(1)는 금속과 같은 경질 재료로 만들어지고, 넓은 정방형의 상부면(4)과 하부면(5)을 갖고 있는 평행사변형 차대(6)로 구성되어 있다. 차대(6)는 수평 방향으로 긴 종단면을 갖는다. 또한. 차대(6)는 상부면(4)의 중앙에서 하부면(5)으로 관통한 둥근 축구멍(7)을 포함한다. 축구멍(7)과 동심인 축머리 홈(8)이 차대(6)의 상부면(4)에 평탄한 원주형 요홈으로 제공되어 있다. 직사각형 종단면을 갖고 서로 직각으로 놓여있는 격자형 안내홈(9)은 상부면(4)의 전 길이에 걸쳐서 절개되어 축머리 홈(8)을 둘러싸고 있다. 안내홈(9)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을 교차부(10)라고 한다. 볼 트러스트 베어링(11)은 축머리 홈(8)에 배치되고, 둥근 막대형 부재로 된 현수축(12)은 축구멍(7)속에 삽입된다. 현수축(12)은 차대(6)의 하부면(5)을 지나 하방으로 연장하고, 현수축(12)의 축 헤드(13)는 그 상부면이 차대(6)의 상부면(4)과 높이가 같도록 축머리홈(8)에 끼워진다. 그 다음에, 현수축(12)은 차대(6)의 하부면(5)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차대(6)의 측면부(14)의 중앙에 차륜 장착부(17)가 제공되어 있는데, 그들은 각각 양 측변부에서 안내홈(9)과 근접하여 안내홈(9)으로부터 이격되어, 상부면(4)으로부터 하부면(5)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들 장착부(17)는 나중에 설명되는 수직 차륜(15)의 주행면(16)의 폭(W)에 사실상 대응하는 깊이로 내측으로 입방형으로 절개되어 있다. 차축(18)은 그 단부가 대응 측면부(14)와 사실상 동일 평면에 놓이도록 하여 각 차륜 장착부(17)의 폭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방사상 볼 트러스트 베어링(19)을 각기 갖고 있는 수직 차륜(15)은 각각의 차륜(15)이 대응 측면부(14)와 사실상 동일 평면에 놓여져, 주행 레일의 활주홈(26)과 접촉하지 않고 차대(6)의 하부면(5)을 지나 약간 돌출하도록 각기 차축(18)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것은 본 발명의 현수차(1)의 구조이다.
제2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현수차(1)는 중심선(20)에 대하여 모든 방향으로 아주 균형있게 되어 있다.
주행 레일(2)은 금속과 같은 경질 재료로 만들어져, 하부가 개방된 u자형 횡단면을 갖는 수평방향으로 긴 레일 부재(21)로 구성된다. 레일 부재(21)의 측면부(22)는 개방 하부 단부에서 내측으로 직각으로 구부려져서, 현수차(1)의 차륜(15)의 주행면(16)의 폭(W)보다 약간 큰 폭을 갖는 차륜 하부면(23)을 제공한다. 차륜 하부면(23)은 수평으로 연장하여, 현수차(1)의 차대(6)의 서로 대향한 차륜 장착부(17)들 사이의 거리(X)에 대응하는 공간을 그들 사이에 남긴다. 그 결과, u자형 주행 레일은 차륜 외장(24)을 형성한다. 차륜 하부면(23)의 개방 단부는 하방으로 직각으로 구부려져, 수평으로 긴 하부 측면부(25)를 형성한다. 하부 측면부(25)의 개방 단부는 내측으로 직각으로 구부려져 수평으로 연장되어, 현수차(1)의 수직 차륜(15)의 차륜 직경(Y)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활주홈(26)을 이루고, 하부 수용부(27)를 형성한다. 하부 측면부(25)와 하부 수용부(27)로 구성된 프레임부는 레일 기초부(28)를 형성한다. 하부 수용부(27)는 그 개방 단부가 하방으로 직각으로 더 구부려져 하방으로 천정 패널(도시되지 않음)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연장하여 활주홈벽(29)을 형성한다. 활주홈벽(29)을 외측으로 직각으로 구부려 수평 방향으로 연장시켜 천정 패널 수용부(30)를 형성하거나 또는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것이 본 발명의 주행 레일(9)의 구조이다.
이제, 제3도 및 4도를 참조하여 교차부 레일(3)을 설명하겠다. 일반적으로, 교차부 레일(3)은 주행 레일(2)이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고 있고, 교차부 개구(31)를 중심으로 활주홈(26)이 서로 교차하고 있다.
교차부 차륜 외장(34)은, 서로 인접한 측면부(22)를 하방으로 연장시켜 측면 연장부(32)를 형성한 다음에 이들 측면 연장부(32)를 수평으로 연장하는 하부 수용부(27)의 하부 수용부 연장부(33)와 연결함으로써. 교차부 레일(3)에 형성된다. 수용부 연장부(33)로부터 위로 솟아 있는 차륜 하부벽(35)을 교차 차륜 외장(34)에 제공하여 차륜 하부면(23)의 폭과 높이에 대응하는 폭과 높이를 갖는 작은 벽 부재를 형성한다. 이러한 차륜 하부벽(35)은 서로 교차하는 주행 레일(2)의 차륜 하부면(23)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연결되어, 측면 연장부(32)와 접촉하고 활주홈(26)근처까지 돌출함으로써, 측면 연장부(32)와 하부 수용부 연장부(33)와 일체로 교차부 레일 기초부(36)를 형성한다.
차대 기초부(40)는, 서로 교차하는 활주홈(26)속으로 돌출하는 일없이, 교차부 레일 기초부(36)의 차륜 하부벽(35)에 의해 한정된 프레임 안쪽에 고정된다. 차대 기초부(40)는 금속과 같은 경질 재료로 만들어진 작은 직각 이등변삼각형 프리즘(37)과, 프리즘(37)의 삼각형 밑면(38)의 중앙으로부터 외측 즉, 교차 방향(현수차(1)와 차대(6)의 주행방향)에 관하여 약 45°의 경사각으로 놓여 있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차축(18a)과, 이 차축(18a)상에 장착된 방사상 볼 베어링(19a)을 사용하고 있는 수용 차륜(39)을 구비하고 있다. 두개 또는 네개의 차대 기초부(40)가 교차부 개구(31)에 대향하여 제공되고, 차축(18a)은 교차부 개구(31)를 향하여 또는 역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이들 부품을 배치하는데 있어서, 작은 삼각형 프리즘(37)의 상부면은 차륜 하부벽(35)의 상부면보다 상당히 낮게 위치하고, 수용 차륜(39)은 작은 삼각형 프리즘(37)의 상부면과 차륜 하부벽(35)보다 상당히 높게 돌출시켜 교차부 레일 기초부(36)의 하부 수용부 연장부(33)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차축(18)이 교차부 개구(31)를 향한 경우에는, 실시예와 같이, 이등변 부분(41)이 차륜 하부벽 (35)과 접촉하고, 차축(18)이 역방향을 향한 경우에는, 이등변 부분(41)이 활주홈(26)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은 원주형 안내 돌출부(43)는 레일 교차부의 꼭대기(42)의 네 모서리로부터 교차부 차륜 외장(34)속으로 돌출시켜 고정한다. 이들 작은 원주형 안내 돌출부(43)는 현수차의 현수축(12)이 교차 개구(31)에 위치할 때 현수차(1)의 안내홈(9)의 교차부(10)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수직으로 돌출해 있다. 안내 돌출부(43)의 돌출 정도는 안내홈(9)과 결합하여 그속에 끼워질 수 있는 정도로 한다. 제4도는 제3도의 선 A-A를 따라 취한 교차부 레일(3)의 횡단면도이다.
이상이 교차부 레일(3)의 구조이다.
이제, 첨부된 모든 도면 특히, 제1도와 제5도 내지 7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현수차(1)가 주행 레일(2)에 조립된 상태가 제8도에 도시되어 있고. 현수차(1)가 교차부 레일(3)에 조립된 상태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주행 레일(2)은 활주홈(26)이 하방으로 개방되게 하여 직각 종횡으로 천정 방면에 설치된다. 이때, 주행 레일(2)은 서로 교차하고, 교차부 레일(3)이 배치되고, 하부 측면(25)이 측면 연장부(32)와 연결되는 외에(예를 들어, 활주홈(26) 사이에) 서로 인접하거나 접촉한 부분은 함께 연결되어 고정된다.
제1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현수차(1)는 주행 레일(2)의 차륜 외장(24)내에 끼워져, 횡방향 수직 차륜(15)이 차륜 하부면(23)상에 위치되고, 종방향 수직 차륜(15)은 레일 기초부(28) 위쪽에 띄워진다. 동시에, 현수축(12)은 활주홈(26)을 통하여 현수되고, 두개의 현수차(1)의 현수축(12)은 패널의 상부 단부면의 두 종방향 위치(도시되지 않음)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현수차(1)의 차대(6)는 주행 레일(2)의 사실상 전 차륜 외장(24)을 점유함으로써, 패널을 밀어 좌우 수직 차륜(15)을 회전시킬 때, 현수차가 차륜 외장(24)의 내부벽에 충돌하거나 차륜이 통로를 벗어나지 않게 되어, 중심선(20)에 대하여 균형이 잘 잡힌 만족스러운 주행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방사상 볼 베어링(19)을 갖는 수직 차륜(15)은 1톤 및 5톤과 같은 중량을 갖는 무거운 패널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수직 차륜(15)들은 각각 500㎏의 중량을 견딜 수 있다. 차륜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중량 부담 능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수직 차륜(15)의 차륜 직경(Y)은 본 발명의 차륜 장착부(17)의 구조 때문에 쉽게 증대시킬 수 있다. 현수차(1)는 지나치게 높거나 지나치게 수평으로 길지 않고, 사실상, 입방 상부면을 갖는 차대(6)와 크기 범위의 치수를 유지하고 있다.
현수 패널이 교차부 레일(3)에 위치할 때, 좌우 수직 차륜(15)은 제5도 내지 7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차대(6)의 수직 운동없이 차륜 하부면(23)으로부터 차륜 하부벽(35)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차대는 교차부 레일 기초부(36)의 수용 차륜(39)에 의해 순차적으로 지지되어, 안내 돌출부(43)를 안내홈(9)과 결합하면서 진행한다. 안내 돌출부(43)는 안내홈(9)의 교차부(10)와 결합하게 되고, 좌우 및 전후 수직 차륜(15)은 교차부 레일 기초부(36) 및 활주홈(26)위의 공중에 위치된 다음, 현수차(1)(현수축(12)는 교차부 개구(31)에 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상태의 현수차(1)는 이동중에 차륜 하부면(23)의 절단에 의한 어떠한 충격도 받지 않는다. 수용 차륜(39)의 높이를 차대(6)의 하부면(5)의 높이까지 위치시킴으로써 교차부 레일(3)에서의 현수차(1)(차대 6))의 수직 이동을 피할 수 있다. 현수차(1)가 동일 방향으로 직진하는 경우나 직각으로 방향 변환하는 경우에도, 수직 차륜(15)은 각 방향에서 차륜 하부벽(35) 근처에 정반대로 위치하여, 직진하는 경우에 좌우의 수직 차륜(15)이 차륜 하부벽(35)상에 위치되고, 직각 변환하는 경우에는 전후의 수직 차륜(15)이 차륜 하부벽(35)상에 위치된다. 동시에, 안내 돌출부(43)에 의해 안내되고, 차륜(35)에 의한 지지로부터 점점 해제되어, 현수차(1)는 차륜 하부면(23)으로 이동하여, 정확하고 안전하게 교차부를 통과하게 된다.
제3도에서 볼 수 있듯이, 두개 또는 네개의 차륜(39)이 교차부 개구(31)에 대하여 일자형 또는 십자형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진행시에, 차대(6)는 수용 차륜(39)의 주행면에 선마찰을 가하여 그것을 회전시킨다. 수용 차륜(39)는, 도면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현수차(1)의 차대(6)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각(45도)으로 차대(6)를 지지하지만, 수용 차륜(39)의 방사상 볼 베어링(19a)의 회전력 및 하중 부담력은 수직 차륜(15)의 방사상 볼 베어링(19)의 회전력 및 하중 부담력에 따라 전혀 변하지 않게 되어 원활한 회전과 충분한 하중 부담력이 얻어진다.
차대 기초부(40), 차륜 하부벽(35) 및 현수차(1)의 차륜 장착부(17)에 관한 연구는 레일 교차부에 관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상당히 해소시켜, 현수되는 무거운 패널의 주행을 원활하고 확실하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의 주행 방향의 변환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예를 들면, 수용 차륜의 개수는 2개로 하는 대신에 4개로 할 수도 있다.

Claims (6)

  1. 패널의 현수 주행 장치에 있어서, (1)사각형 차대와, 상기 차대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축구멍과, 상기 축구멍의 상부에 상기 축구멍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축머리 홈과, 볼트러스트 베어링에 의해 상기 차대에 지지되어 상기 축구멍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한 현수축과, 상기 축머리 홈을 감싸고 서로 격자상으로 직교하도록 하여 상기 차대의 상기 상부면에 형성된 안내홈과. 상기 차대의 네 측면부에 절단 형성된 차륜 장착부와, 상기 차륜 장착부의 각각에 제공된 차축에 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두 쌍의 수직 차륜을 각각 구비하고 있는 현수차와, (2)상기 현수차의 상기 차대를 수용하는 차륜외장과, 상기 수직 차륜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차륜 하부면과, 상기 차륜 하부면의 내측 하방에 형성된 레일 기초부와, 상기 현수축이 주행하는 활주홈을 각각 구비하고 있는 주행 레일과, (3)상기 주행 레일이 서로 십자형으로 교차하는 위치에 설치된 교차부 레일에 있어서, 상기 주행 레일의 활주홈에 연결되어 교차부 개구를 중심으로 서로 직각으로 교차된 활주홈과, 상기 현수차의 상기 차대를 수용하는 교차부 차륜 외장과, 상기 주행 레일의 상기 차륜 하부면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인 차륜 하부벽과, 이 차륜 하부벽이 배치된 교차부 레일 기초부와, 상기 현수차의 상기 수직 차륜이 상기 차륜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차륜 하부벽으로 이동할 때 상기 차대를 지지하도록 상기 교차부 레일 기초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현수차의 상기 차대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된 수용 차륜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차대 기초부를 구비하고 있는 교차부 레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의 현수 주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차륜은 상기 현수차의 상기 차대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약 45도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의 현수 주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대 기초부의 각각은 작은 직각 이등변 삼각형 프리즘과, 이 작은 삼각형 프리즘으로부터 상기 현수차의 상기 차대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한 차축과, 이 차축에 상기 수용 차륜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방사상 볼 베어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의 현수 주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차가 주행하는 동안. 상기 두 쌍의 수직 차륜중의 한 쌍만이 상기 차륜 하부면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차륜 하부면을 따라 회전 이동하고, 수직 차륜중의 다른 한 쌍은 지지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의 현수 주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부 레일은, 상기 현수차가 상기 교차부 레일 위를 주행할 때 상기 현수차의 주행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교차부 레일의 꼭대기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차대의 상기 안내홈과 결합되어 있는 안내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의 현수 주행 장치.
  6. 패널의 현수 주행 장치에 있어서, (1)금속과 같은 경질 재료로 만들어져 수평 방향으로 긴 종단면을 갖고 있는 평행사변 차대와, 상기 차대의 상부면의 중앙으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차대의 하부면으로 관통하는 축구멍과, 상기 축구멍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상기 축구멍과 동심으로 하여 상기 축구멍의 상부에 편평한 원주형 요홈과 같이 절단된 축머리홈과, 상기 차대의 상기 상부면의 전 길이에 걸려서 상기 차대의 상기 상부면이 절단된 직사각형 종단면을 갖고 격자형으로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여 교차부를 형성하는 안내홈과, 볼 드러스트 베어링에 의하여 상기 차대에 지지되어 상기 축구멍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하고 상부면이 상기 차대의 상부면과 동일면상에 놓이도록 하여 상기 차대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현수축과, 수직 차륜의 폭에 대응하는 깊이로 내측으로 직각 절단되어 상기 차대의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하부면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연장하고 양 측면부의 상기 안내홈과 접촉하거나 그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차대의 네 측면부의 중앙에 절단된 차륜 장착부와, 단부가 상기 측면부와 거의 동일 평면에 놓이도록 하여 상기 차륜 장착부와 폭의 중앙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돌출한 차축과, 상기 안내홈과 접촉함이 없이 차대의 하부면을 지나 돌출하여 상기 측면부와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하여 상기 차축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수직 차륜을 각각 구비하고 있는 현수차와, (2)금속과 같은 경질 재료로 만들어, 종단면 하부가 개방된 u자형 횡단면을 갖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레일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레일 부재의 측면은 차륜 하부면이 상기 현수차의 수직 차륜의 주행면의 폭보다 약간 큰 폭을 갖도록 개방 하부단부가 내측으로 직각으로 구부려져 있고, 상기 차륜 하부면은 수평으로 연장하여 상기 현수차의 차대의 대향한 차륜 장착부들 사이의 거리에 상당하는 공간을 남김으로써 차륜 외장을 형성하고, 차륜 하부면의 개방 단부는 하방으로 직각으로 구부려져 수평으로 긴 하부 측면부를 형성하고, 하부 측면부의 개방 단부는 내측으로 직각으로 구부러진 다음 수평으로 연장하여 그들 사이에 상기 현수차의 수직 차륜의 차륜 직경에 해당하는 폭을 갖는 활주홈을 남김으로써 하부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측변부와 상기 하부 수용부는 레일 기초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하부 수용부는 그 개방 단부가 하방으로 직각으로 더 구부려져 천정 패널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로 하방으로 연장됨으로써 활주홈벽을 형성하고, 활주홈벽은 외측으로 직각으로 구부려져 수평 방향으로 약간 연장되어 천정 패널 수용부를 형성하거나 천정 패널 수용부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는 주행 레일과, (3)서로 직각으로 놓여 있는 상기 활주 레일로 일반적으로 각각 구성된 교차부 레일에 있어서, 활주홈은 교차부 개구를 중심으로 서로 직각으로 십자형으로 교차하고 있고, 서로 인접한 상기 측변부는 하방으로 연장하여 측면 연장부를 형성하고, 이것과 수평으로 긴 상기 하부 수용부 연장부와 연결되어 교차부 차륜 외장을 형성하고. 차륜 하부벽은 상기 교차부 차륜 외장에 제공된 상기 차륜 하부면의 폭과 높이에 대응하는 폭과 높이로 상기 수용부 연장부로부터 돌출해 있고, 상기 차륜 하부벽은 상기 활주 레일 교차부의 차륜 하부면과 동일 평면에 놓이도록 서로 연결되어 측변부 연장부와 일체식으로 활주홈의 근처까지 돌출하여 교차부 레일 기초부를 형성하고, 차축은 금속과 같은 경질 재료로 만들어진 작은 직각 이등변삼각형 프리즘의 삼각형 횡단면 밑면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해 있고. 서로 교차하는 활주홈속으로 돌출하는 일없이 차대 기초부가 상기 교차 레일 기초부의 차륜 하부벽에 의해 한정된 프레임내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상기 차축에 장착되어 있는 방사상 볼 베어링을 갖는 수직 수용 차륜이 장착된 차대 기초부는 상기 교차부 개구에 대향하여 또는 역방향으로 두개 또는 네개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작은 삼각형 프리즘의 상부면은 차륜 하부벽의 상부면보다 상당히 낮게 위치해 있고, 수용 차륜은 소형 삼각형 프리즘의 상부면 보다 상당히 높게 돌출시켜 교차부 레일 기초부의 하부 수용부 연장부 위쪽에 위치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작은 원주형 안내 돌출부는 레일 교차부의 꼭대기의 네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교차부 차륜 외장속으로 돌출해 있고, 수직으로 돌출해 있는 상기 작은 실린더형 안내 돌출부는 차량의 현수축이 상기 교차부 개구에 위치될 때 현수차의 안내홈의 상기 교차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교차부 레일을 구비하고 있고, (4)상기 주행 레일과 상기 교차부 레일은 천정 방면에 부설되어 있고, 주행 레일에 있는 현수차는 상기 차륜 외장의 거의 전 공간을 점유하여, 그중 두개의 좌우 수직 차륜은 상기 차륜 하부면상에 높이고 그중 두개의 전후 수직 차륜은 공중에 고정된 상태로 주행하고, 현수차는 교차부 레일 기초부의 상기 수용 차륜에 의해 지지되어, 수직으로 이동하는 일없이, 교차부 레일로 이동하고, 상기 안내 돌출부가 상기 안내홈의 각 교차부에 위치되고 수직 차륜이 활주홈에 위치되어 교차부 개구에 도달되고, 현수차의 방향 변환은 상기 전후 수직 차량이 대향 차륜 하부벽에 놓임으로써 이루어지고, 현수차의 직진 이동은 상기 좌우 수직 차륜이 대향 차륜 하부벽에 놓임으로써 이루어지고, 현수차는 순차적으로 차륜 하부면을 향하여 주행하여, 그 차대는 수용 차륜에 의한 지지로 부터 순착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의 현수 주행 장치.
KR1019880007752A 1988-02-10 1988-06-27 패널의 현수 주행 장치 KR9100097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29529A JPH02104882A (ja) 1988-02-10 1988-02-10 パネルの釣設走行装置
JP61-29529 1988-02-10
JP88-29529 1988-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808A KR890012808A (ko) 1989-09-19
KR910009723B1 true KR910009723B1 (ko) 1991-11-29

Family

ID=12278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7752A KR910009723B1 (ko) 1988-02-10 1988-06-27 패널의 현수 주행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29631A (ko)
JP (1) JPH02104882A (ko)
KR (1) KR910009723B1 (ko)
CN (1) CN10351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803188U1 (de) * 1988-03-09 1988-09-15 Dorma-Glas Gesellschaft für Glastürbeschläge und -Konstruktionen mbH, 4902 Bad Salzuflen Schiebetürvorrichtung
DE10329518B4 (de) * 2003-06-30 2008-01-24 Dorma Gmbh + Co. Kg Führungseinrichtung für eine Schiebetür
EP1794398B1 (de) * 2004-09-20 2016-05-11 Hawa Ag Vorrichtung zur lagerung von verschiebbaren trennelementen
CN101670505B (zh) * 2009-09-25 2012-05-23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拆卸滑车机构
NL2004223C2 (nl) * 2010-02-11 2011-08-15 Espero Bv Railsysteem, alsmede inrichting omvattende een dergelijk railsysteem en een verplaatsbare drager.
CN102897231B (zh) * 2012-11-02 2015-08-12 北京市华都峪口禽业有限责任公司 运输种蛋的厢式货车
CN109013355A (zh) * 2018-08-28 2018-12-18 韩金玉 智能分拣机器人专用轨道
CN109093105A (zh) * 2018-09-18 2018-12-28 宝钢工程技术集团有限公司 一种运输装置
CN116084215B (zh) * 2023-04-10 2023-06-02 北京九州一轨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稳定型道岔组件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8916A (en) * 1971-04-23 1973-01-09 American Standard Inc Movable wall panel systems
JPS5020496A (ko) * 1973-06-26 1975-03-04
US3843995A (en) * 1973-08-20 1974-10-29 American Standard Inc Trolley for movable wall panels
US4245440A (en) * 1979-05-14 1981-01-20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Cable and fabric roof structure
JPS5524288A (en) * 1979-07-23 1980-02-21 Naniwa Seitei Kk Looseness preventing method for screw clamping
DE3148464C3 (de) * 1980-12-08 1992-06-11 Itoki Kosakusho Vorrichtung zum verfahren beweglich aufgehaengter trennwaende
JPS607114A (ja) * 1983-06-26 1985-01-14 Yusaku Shiba トランス用コイルボビン
JPS607116A (ja) * 1983-06-27 1985-01-14 Toshiba Corp 箔状巻線の製造方法
ZA863718B (en) * 1985-05-30 1986-12-30 Boc Group Inc Production of clay and refractory materials in periodic kil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04882A (ja) 1990-04-17
KR890012808A (ko) 1989-09-19
CN1035150A (zh) 1989-08-30
US4829631A (en) 198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723B1 (ko) 패널의 현수 주행 장치
JP4232938B2 (ja) 玩具組立セット及びその車両
KR0141102B1 (ko) 이동벽의 현수장치
KR930000120B1 (ko) 이동벽의 현수장치
JPH0131730Y2 (ko)
JPH0280777A (ja) パネルの吊設走行装置
JP3641804B2 (ja) 移動間仕切装置における交差部走行装置
JP2893196B2 (ja) 移動壁用調整装置
JPS63110379A (ja) 移動パネルの湾曲走行装置
JPS5916466Y2 (ja) 可動間仕切壁の吊金具
JPS6231154B2 (ko)
JPH01284680A (ja) パネルの吊設走行装置
JPS6332284Y2 (ko)
JPH049424Y2 (ko)
JPH0454299Y2 (ko)
JPS58213969A (ja) 移動壁用吊車
JPH076318B2 (ja) パネルの吊設走行装置
JPS63147076A (ja) 移動パネルの湾曲走行装置
JPS5841340Y2 (ja) 可動間仕切壁の吊金具
JPS63236883A (ja) 三層水平車輪の釣車装置
JPH0425502Y2 (ko)
JPS59117774U (ja) 吊下げ移動用断熱壁パネル
JPH0220795B2 (ko)
JPH0448152B2 (ko)
JPS63251586A (ja) 互い違い四輪車輪の釣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