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120B1 - 이동벽의 현수장치 - Google Patents

이동벽의 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120B1
KR930000120B1 KR1019880017282A KR880017282A KR930000120B1 KR 930000120 B1 KR930000120 B1 KR 930000120B1 KR 1019880017282 A KR1019880017282 A KR 1019880017282A KR 880017282 A KR880017282 A KR 880017282A KR 930000120 B1 KR930000120 B1 KR 930000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vertical
suspension device
intersection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7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027A (ko
Inventor
신이찌 가지따
Original Assignee
꼬마니 가부시끼가이샤
쯔가모또 미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꼬마니 가부시끼가이샤, 쯔가모또 미끼오 filed Critical 꼬마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5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동벽의 현수장치
제1a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현수 장치의 측면도.
제1b도는 제1a도의 A부분의 확대 종단면도.
제1c도는 제1a도의 B부분의 확대 종단면도.
제2도는 동 주행 레일의 종단면 사시도.
제3도는 동 현수 장치와 주행 레일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4도는 동 교차부 레일의 교차부 차륜 외피의 하부 절반부의 횡단면도.
제5도는 동 교차부 레일과 현수 장치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제4도에 있어서 교차부 레일과 현수장치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현수 장치를 아래쪽에서 본 평면도.
제9도는 교차부 레일의 교차부 차륜 외피의 상부 절반부의 횡단면도이며, 현수 장치와의 현수 장치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현수장치 2 : 주행레일
3 : 교차부 레일 7 : 레이디얼 보올 베어링
14 : 상면부 16 : 수평 차륜
17 : 현수 볼트 23 : 미끄럼 홈
26 : 안내홈 30 : 드러스트 보올 베어링
31 : 턴 테이블
본 발명은 예를들어 가동 격벽의 벽 패널(이하 패널이라 한다)과 같은 이동벽을 현수하여 주행(이동)시키는 현수장치 및 그 주행 레일의 기술로서, 패널의 방향 변환 특히, 직각으로 교차하는 주행 레일에 있어서의 방향 변환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량의 무거운 패널의 현수에 적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패널의 현수, 주행에는, 종단면이
Figure kpo00002
태이고, 양 개방 선단부가 앞쪽 중앙에 미끄럼 홈을 남기면서 안쪽으로 직각 돌출되어 형성된 차륜 하부 지지면을 갖는 가로로 긴 주행 레일을 천정에 부설하고, 짐수레(카트)의 바퀴와 같이 직립 상태로 회전하는 현수 장치의 차륜을 상기 차륜 지지면상에 위치시켜, 현수볼트를 미끄럼 홈 사이에서 차틀로부터 늘어뜨려서 현수 장치를 미끄럼 홈 사이에서 차틀로부터 늘어뜨려서 현수 장치를 주행 레일내에 설치하고, 현수 볼트에 패널의 상단면부를 연결하는 수직 차륜 형태의 현수장치(예를들자면 일본국 특허 공개 소화 50-20496호, 특허 공개 소화 60-7114호 등)와, 상기 현수 볼트에 직접 수평 차륜을 설치하고, 이것과 패널을 연결하는 수평 차륜 형태의 현수 장치(예를들자면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화 55-24288호 등)가 있다.
총괄하여, 본 발명도 포함해서 이들 현수 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요구된다. 즉, 안정된 주행이 얻어지는 것과, 방향 변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방향 변환은, 칸막이를 새롭게 만들거나 또한 그것을 해소하기 위해서, 패널을 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결점은, 우선 주행 레일에 있어서, 직진행에 있어서, 현수 볼트를 미끄럼 홈 사이에 수직으로 유지하여 주행시키기 어렵다는 것이다. 즉, 전자에 있어서의 수직 차륜은, 자칫하면 주행 레일의 내벽에 마찰하거나 충돌하거나 하고, 후자의 수평 차륜은 차륜 하면의 일점에서 패널의 중량을 받쳐주는 것이므로, 차륜 하부 지지면의 위를 지그재그로 가기 쉽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상기 종래의 기술등에 있어서는, 차륜을 수납하는 차륜의 외피의 형상을 복잡한 것으로 하거나, 유도륜을 부가하거나 하여, 주행시에 있어서 현수의 평형 유지에 노력하고 있으나, 이 중량급 패널에 관해서는 좋은 결과가 아직 얻어지지 않았다. 그 가장 큰 원인은, 현수 장치의 입상의 높이가 높거나, 횡으로 길고 큰 형상으로 되기 때문이다.
다음에, 주행 레일에 있어서 패널의 방향 변환에 대해서, 종래, 수직 차륜의 현수 장치에서는, 교차부(분기부)에서는, 직진하는 레일에 대해 완만한 곡선에 의한 굴곡 교차를 하도록 하고, 수평 차륜의 현수 장치에서는, 레일의 직각 교차가 행해지고 있었으나, 직각 교차에 의한 주행 레일의 배치가, 패널의 설치 운영에도 편리하며, 천정면의 미관상으로도 뛰어난 등 이점이 많으므로, 수직 차륜의 현수 장치에서도, 직각 교차의 방향 변환 방법이 사용되도록 되어 왔다.
그 구조는, 직방체의 차체의 4개의 측면부에 각각 수직 차륜을 설치한 것이다(예를들면, 일본국실용신안 공고소화 61-9958호, 실용신안공고소화 61-36708호, 특허공고소화 62-17062호).
본 발명은, 이 종류의 것에 속하고, 수직 차륜의 현수 장치이며, 또한 교차부는, 직각 교차의 것이다. 주행 레일의 교차부에 있어서는, 상기 곡선의 굴곡 교차로도, 본 발명에 따르는 직각 교차로도, 같은 형상의 주행 레일을 미끄럼 홈을 아래로 한 하방 개구의 연속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하는 것으로, 교차부에서는, 차륜의 밑이 절단 상태로 되어, 차륜 외피는 넓혀져서 넓은 공간으로 된다. 이로 인하여, 차륜 하부 지지면의 받침을 잃은 차륜은 기울어지고, 넓혀진 교차부 차륜 외피안에서 현수 장치는 불안정한 상태로 되어, 차틀이나 차륜을 미끄럼 홈 사이에 떨어뜨리거나, 차륜 외피 내벽에 충돌하기도 한다.
교차부에 있어서 이와 같은 사태에 대처하기 위해 채택되고 있는 종래의 장치의 연구에 대해서, 본 발명에 관련된 수직차륜의 현수장치의 직각 교차에 대해서도 기술하면, 상기 종래의 기술(일본국 실용신안공고 소화 61-9958호외)과 같이, 교차부에서는, 수직 차륜을 띄워서 사용하지 않고, 차틀의 위 또는 아래의 4모서리부 등에 설치한 큰 볼(강구)에 의해, 현수 장치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 종래의 장치의 결점은, 차륜 하부 지지면과 같은 높이에 있어서의 아래의 볼의 떠받침이 곤란하거나 또는 위의 볼과 교차부의 현수 기둥과의 끼워 맞춤이 정교하게 되지 않는 것이다. 즉, 주행 레일에 있어서 차륜을 차륜 하부 지지면에 적재시켜 유지해온 현수 장치의 높이가, 교차부 레일에서는 상기하는 바와 같은 차륜 하부 지지면의 받침이 절단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높이의 유지가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볼과 주행 레일과의 접촉은, 점 접촉이며, 이로 인한 회전이 매끄럽지 못한 결점이 엿보인다. 이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주행 레일이 직진하는 경우에는, 차틀을 차륜 외피내에 가득 형성하여, 현수 장치의 진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레일벽에 관계하여 회전하는 적은 수평 차륜을 사용해서, 좋은 주행 상태를 얻는 것이나, 교차부 차륜 외피는, 주행 레일의 차륜 외피보다 넓은 상태이므로, 현수 장치의 진행을 가이드(안내)하는 상기 수평 차륜의 역할은 이루어질 수 없게 되어, 정확하게 패널을 진행 방향으로 누르지 아니하면, 상기 볼의 회전은 제멋대로이며, 소정의 방향으로 현수 장치를 진행시킬 수가 없다.
또한, 볼은, 패널의 부담력이 약하고, 100kg이상 특히 500kg을 초과하는 중량급 패널을, 교차부에 있어서 주행시키려면, 이 연구는 부적합하며, 볼에 대한 패널의 부담을 다시 수직차륜의 부담으로 전환하여 교차부를 탈출하는 데에 중대한 결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볼에 의한 교차부 주행에는, 난점이 많은 것으로 생각이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현수 장치의 결점을 해소하고 또한 상기한 요청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 특히 중량급 패널의 현수, 주행을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이동벽의 현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현수 장치등에 상기 볼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주행 레일에 있어서 현수 장치의 직진행에 있어서, 직방체의 차틀 및 수직 차륜을, 차륜 외피내에 거의 가득하게 거두어, 차틀 측면부에 1중 또는 2중으로 설치한 3개 이상의 수직 차륜중, 좌우의 수직 차륜을 차륜 하부 지지면 위에 적재하고 전후의 수직 차륜을 하부 지지부 위에 띄우는 상태로 하여, 차틀의 상면부의 4모서리부에 수평 차륜을 설치하여 안내홈에 따라서 주행하고, 주행 레일의 종횡 직각 교차 형상의 개략 형상에 있어서, 교차부 하부 수용부에 차륜 하부 지지면과 면을 같게한, 드러스트보올 베어링등의 턴 테이블을, 현수 장치의 수직 차륜의 축심과 축심 끼리를 밖으로 배치한 레일은, 현수 장치의 앞의 현수 상태의 수직 차륜을 턴 테이블로 적재한 후 좌우의 수직 차륜도 턴 테이블 위에 적재하고, 교차부 레일의 상부 단면을 잘라내고 설치한 안내 홈에 수평 차륜을 안내시키면서, 차례로 교차점 개구에 이르고, 교차점 개구는 수직 차륜을 턴 테이블 위에 적재하며, 직진 또는 직각 굴절의 방향 변환에서는, 턴 테이블 위의 좌우 또는 전후의 수직 차륜을 대향하는 차륜 하부 지지면으로 차례로 적재하고 또한 안내홈에 가이드되어서, 교차부를 탈출하도록 한 것이다.
그래서, 특히 중량급 패널중에서도, 무겁다고 볼 수 있는 패널에 사용하는, 현수 장치의 굵은 현수 볼트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다음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현수 장치에 있어서 현수 장치(1)는 주로 제1도,제3도,제5도 및 제8도에 도시되어 있고, 주행 레일(2)은 제2도 및 제3도에, 교차부 레일(3)은 제4도, 제5도 및 제9도로 도시되어 있다.
현수장치(1)는, 금속등 경질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직방체의 차틀(4)의 측면부(5,5,5,5)에서, 각각 차축(6,6,…)을 바깥쪽으로 직각이 되도록 돌출시키고, 이 차축(6)에 레이디얼보올 베어링(7)의 수직 차륜(8)을 3개 이상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한다. 혹은 측면부의 중앙부를 세로로 직각으로 잘라내어 2단 측면부(9)에, 각각 차축(6,6,…)을 바깥쪽으로 직각이 되도록 돌출시키고, 이 차축(6)에도 레이디얼 보올 베어링(7)의 수직 차륜(8)을, 측면부(5)에 있어서 수직 차륜(8)과 2중으로 설치하고, 3개 이상으로 한다.
측면부(5)에 있어서 수직 차륜(8)의 바퀴 폭은 W로 하고 2단 측면부(9)에 있어서 수직 차륜(8)의 바퀴폭은 W'로 한다. 수직 차륜(8)의 설정은, 다른 측면부(5)에서 외주부(10)를 돌출시켜서는 아니되고, 또한, 차틀(4)의 하면부(11)에서는 돌출 상태로, 외주부(10,10,…)를 서로 면이 고르게 하고, 또한, 서로의 수직 차륜(8,8,…)을 상접하지 않고 회전이 자유롭도록 한다. 또한, 대향하는 하나의 측면부(5,5) 및 2단 측면부(9,9)(이것을 진행 방향에 대한 전후부로 한다)에 있어서 전후의 수직 차륜(8,8,…)의 축심(12,12,…)은, 후술하는 교차부 레일(3)의 2개의 턴 테이블의 축심(13,13)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다. 차틀(4)의 상면부(14)의 4모서리부(15,15,15,15)에서 차축(6,6,6,6)을 위쪽으로 직각이 되도록 돌출시킨다. 이 차축(6)은, 회전이 자유롭게 하여 고정시켜도 좋다. 이 차축(6)에 레이디얼 보올 베어링(7)의 수평 차륜(16)을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한다. 이 수평 차륜(16)의 바퀴 지름폭을 X로 한다.
차틀(4)의 하면부(11)의 중앙에서 현수 볼트(17)를 아래쪽으로 수직하게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한다.
이상이, 본 발명의 현수 장치(1)의 구조이다.
제1a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수 장치(1)는, 중심선(18)에 대해, 전후 좌우 대칭으로 평행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b도는, 제1a도의 A부분의 확대 종단면도이며, 동일하게 제1c도는 제1a도의 B부분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다음에, 주행 레일(2)은, 금속 등 경질의 소재로 형성되며, 종단면 하향 개구의
Figure kpo00003
형상 신장 부재(19)의 측면부(20,20)의 양 개방 선단부를, 안쪽으로 직각이 되도록, 거의 상기 수직 차륜(8)의 주행면(21) 폭(W), 또는, 상기 2단 측면부(9)에도 수직차륜 (8)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주행면 폭(W')을 더한(W+W')폭만큼 돌출시켜서 차륜 하부 지지면(22,22)으로 한다. 또다시, 차륜 하부 지지면(22)의 개방 선단부를 연장시켜, 내벽을 깊게 수평으로 잘라내는 형상으로 하여, 앞쪽 중앙에 상기 현수장치(1)의 현수 볼트(17)가 활주 운동하는 미끄럼 홈(23)을 남기고, 돌출시켜서 가로 길이의 하부 지지부(24,24)로 한다. 또한, 상기 종단면
Figure kpo00004
형상의 상부면부(25)에, 상기 현수장치(1)를 탐재할때, 수평 차륜(16,16)이 위치하는 곳에, 수평 차륜(16)의 직경 (X)폭만큼 아래쪽으로 개구하도록 하여 직각으로 잘라낸 가로로 긴 안내홈 (26,26)을 설치한다. 안내홈(26,26)의 끼는 돌출부를 중간 칸막이부로 한다. 안내홈(26,26)의 끼는 돌출부를 중간 칸막이부로 한다. 중간 칸막이부는 설치하거나 안하거나 상관없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주행 레일(2)의 중공 내부를 차륜 외피(27)로 한다. 현수장치(1)는 차륜외피(27)내에 거의 가득하게 수용된다(제3도).
이상이, 본 발명의 주행 레일(2)의 구조이다.
다음에, 이 주행 레일(2,2,…)을, 종횡으로 또한 각 미끄럼 홈(23)을 교차점 개구(28)를 중심으로 십자형으로 교차된 개략 형상의, 교차부 레일(3)에 대해서 기술한다. 교차부레일(3)은, 상기 개략 형태에 있어서, 교차부 하부 지지부(29,29,29,29)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 교차부 하부 지지부(29)에, 상기 차륜 하부 지지면(22)과 면이 일치하여, 드러스트 보올 베어링(30)을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여, 턴 테이블 (31, 31, 31, 31)로 한다. 패널이 경량인 경우, 드러스트 보올 베어링 이외의 것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턴 테이블의 축심(13)은, 사용시에 있어서, 현수장치(1)의 수직 차륜(8)의 축심 (12)을 벗어나 있는 것으로 한다(제6도). 턴 테이블(31)은, 교차하고 있는 차륜 하부 지지면 (22,22)의 일부를 잘라내어서 설치하여도 좋다(제4도). 또한, 교차하고 있는 미끄럼 홈(23,23)에서 돌출 상태로 되어 있어도, 상기 현수 볼트(17)의 미끄럼이 가능하면, 특별한 문제는 없다. 상부 단면(32)에 잘라내어 설치되는 안내홈(26,26)사이의 상기 중간 칸막이부를, 교차부 중간 칸막이부(33)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교차부 레일(3)의 중공 내부를, 교차부 차륜 외피(34)로 한다.
이상이, 본 발명의 교차부 레일(3)의 구조이다. 본 발명은, 상기 현수장치(1), 주행 레일(2) 및 교차부 레일(3)로 형성되는 이동벽의 현수장치(35)이다.
다음에, 전체 도면 특히 제3도, 제5도, 제6도, 제7도 및 제9도에 의해, 본 발명의 이용방법 및 효과에 대해서 상술한다. 주행 레일(2)에의 현수장치(1) 조립 상태는 제3도에서 도시되고 있다. 또한, 교차부 레일(3)에의 조립 상태는 것은, 제5도에 도시되고 있다.
먼저, 천정쪽에 주행 레일(2,2,…)을 미끄럼 홈(23)을 아래로 향하게 개구시켜서, 직각 종횡으로 설치하고, 교차하는 곳을 교차부 레일(3,3,…)에 설치하여, 주행 레일(2)의 각 부와 상호 인접 내지 맞닿는 종류[예를들자면 미끄럼 홈(23)]를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제3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주행 레일(2)의 차륜 외피(27)내로 현수 장치(1)를 가져가고 좌우의 수직 차륜(8,8,8,8)을 차륜 하부 지지면(22,22)에 탑재하며, 전후의 수직 차륜(8,8,8,8)을 하부 지지부(24,24)위에 띄우고, 수평 차륜(16)을 안내홈(26)내에 거두며, 동시에 현수 볼트(17)를 미끄럼 홈(23)사이로부터 늘어뜨리고, 패널의 상단면의 전후부(도시않음)에, 2개의 현수장치(1,1)의 현수 볼트(17,17)를,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하여, 현수 이동벽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있어서, 제3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현수장치(1)는, 주행 레일(2)의 차륜 외피(27)내에, 거의 가득차게 수용되어 있으며, 수평 차륜(16,16,…)은, 안내홈(26)의 내벽에 따라 접촉하여 현수장치(1)의 요동을 규제하고, 이동벽을 밀어 움직여서, 좌우의 수직 차륜(8,8,…)을 회전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하는 바와 같이 차륜 외피(27)내벽으로 추돌하거나, 차륜의 빠짐을 일으키는 일이 전혀 없고, 중심선(18)에 대해서 평형이 유지되어, 안정된 양호한 주행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예를들자면 1t, 5t의 중량급 패널의 현수 주행에 대해서도, 레이디얼 보올 베어링(7)의 수직 차륜(8)은, 충분히 견딜 수가 있다. 실시예의 수직 차륜(8) 1개는, 500kg의 부담력을 갖는다. 현수장치(1)는, 높거나 가로로 긴 형상으로 되지 아니하고, 편평한 직방체의 형상으로 거의 정돈이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이동벽을 교차부 레일(3)(제4도)로 진행시키면, 제6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먼저, 떠있는 상태로 진행해온 수직 차륜(8,8,…)의 앞의 수직 차륜(8,8,…)이 턴 테이블(31,31)위에 얹혀진다. 이동벽의 운동을 받아 턴 테이블(31)은 회전하기 시작하고, 이와 동시에 이것에 얹은 수직 차륜(8)도 회전하기 시작하고, 뒤에서 얹쳐오는 좌우의 수직 차륜(8,8,…)도 회전하면서 턴 테이블(31)위를 통과하여 간다.
턴 테이블의 축심(13)과, 이것을 향하는 수직 차륜(8)의 축심(12)이 서로 일치하지 아니하므로, 상기하는 바와 같은 회전이 얻어지는 것이며, 회전이 얻어지므로서, 현수장치(1)의 교차점 개구(28)로의 진입, 도달은 매끈하게 이루어진다. 또는, 이 진입, 도달에는, 현수장치(1)의 수평 차륜(16,16,…)을 유도하는, 안내홈(26)의 작용이 기여하고 있다. 또한, 턴 테이블(31)은, 현수장치(1)를 적재한 차륜 하부 지지면(22)과 면 일치되어 있으며, 상기 볼의 예와 같은 교차부에서의 받침의 위치의 차이에 의한 장해를 전혀 일으키지 않는다. 턴 테이블(31)은 또한, 수직 하중에 대해 강력한 부담력을 갖는 드러스트 보올 베어링(30)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량급 패널의 이동벽이 안고 있던 교차부에서의 곤란한 점은 해소되었다. 또한, 중량급 패널을 현수하는 경우, 수직 차륜(8)을 대형으로 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현수 볼트(17)도 눈이 굵은 것을 사용한다. 이 경우, 현수볼트(17)의 굵기에 따라서, 이것을 통과시키는 미끄럼 홈(23)의 폭도 넓어지지 아니할 수가 없다. 따라서 측면부(5)(2단 측면부(9)를 포함함)에, 2개의 수직 차륜(8,8)을 갖는 현수 장치는, 상기 넓어져 있는 미끄럼 홈(23)을 을 가로지르는데 있어서, 상기 현수장치(1)의 뒤 좌우의 수직 차륜(8)이나 뒤의 전후의 수직 차륜(8)을 미끄럼 홈(23)사이에 떨어뜨리는 위험이 있다. 즉, 4점 혹은 최소한 3점에 있어서, 턴 테이블(31)위에 현수장치(1)를 지지하지 않으면 안되는 수직 차륜(8,8,…)이, 2점에서 내지는 1점에서 지지하는 사태를 초래하는 것이다. 여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측면부(5)에 있어서, 3개 이상의 수직 차륜(8,8,…)을 모으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현수장치(1)는, 차틀(4)을 경사시키지 아니하고, 또는, 수직차륜(8)과 교차부 차륜 외피(34)와의 충돌도 없고, 교차저 개구(28)에 달한다 (제5도, 제7도).
교차점 개구(28)에 달하면, 실시에에서는 제7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단 측면부(9)에 있는 수직차륜(8)을 제외하고, 측면부(5)에 있는 수직 차륜(8,8,…)은 턴 테이블(31)위에 있으며, 현수 장치(1)가, 그대로 같은 방향으로 직진하는 경우에도, 직각으로 방향 변환을 하는 경우라도, 수직 차륜(8,8)은, 각각의 진행 방향의 차륜 하부 지지면(22,22)가까이에 위치하고 또한 마주하고 있으며, 또다시 그 차륜 하부 지지면 (22)과 턴 테이블(31)과는 면이 일치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동벽을 그 방향으로더욱 밀어내면, 수평 차륜(16)은, 안내홈(26)의 안내를 받으며, 직진의 경우에는, 전후의 수직 차륜(8)의 앞의 수직 차륜(8,8,…)이 턴 테이블(31)에서 떨어지고, 좌우의 수직 차륜(8,8,…)도 턴 테이블(31)을 떨어져서 마주하는 차륜 하부 지지면(22)으로 얹쳐서 진행하고, 직각으로 방향 변환하는 경우에는, 좌측(또는 우측)의 수직 차륜(8,8,…)이 턴 테이블(31)에서 떨어지고, 전후의 수직차륜(8,8,…)도 턴 테이블(31)을 떨어져서 대향하는 차륜하부 지지면(22)으로 얹고, 차례로 된 턴테이블(31)의 받침으로 떨어져서, 교차부 레일(3)에서 이탈하여 진행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교차부에 있어서 상기하는 종래의 장치의 난점은 전혀 생기지 않는다. 더욱이 중량급의 이동벽이라도 충분히 견디어 내는 것을 실증하고 있다.
현수 장치(1)에 있어서 수평 차륜(16)의 차축(6)의 상단부에, 반구, 원추, 각추 등 끝이 뾰족한 안내 돌출부를 일체로 혹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주행 레일(2)에 안내돌출홈이나, 교차부 레일(3)에 교차부 안내 돌출홈을, 안내홈(26)을 또다시 깊이 잘라내어 설치하여, 현수 장치(1)의 주행을 보다 안정시키고, 교차부에 있어서의 보다 정확한 진행을 얻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이동벽의 현수 이동장치(35)를 구성하는 현수 장치(1), 주행 레일(2) 및 교차부 레일(3)의 어느 것도 구조가 간소하며, 종래의 장치의 복잡화에 의한 대형화, 높은 제작비, 고장의 다발의 난점을 회피하고 있으며, 특히 볼에 의한 받침을 폐지한 것, 교차부 레일(3)에 드러스트 보올 지지(30)등으로 구성되는 턴 테이블(31)을 설치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종래의 장치의 결점을 해소하고, 특히 중량급 패널을 이동벽으로 하는 것에 공헌하는 것으로서,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은 매우 높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이 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6)

  1. 차틀의 4방향의 측면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평 차축을 돌출시키고, 각 수평 차축에는 수직 차륜을 수직면내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며, 상기 차틀의 상면부에서 위쪽으로 수직 차축을 돌출시키고, 각 수직 차축에는 수평 차륜을 수평면내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며, 상기 차틀의 하면부의 거의 중앙부에서 현수 볼트를 아래쪽으로 수직하게 연장 설치하여 형성되는 현수 장치와, 내부의 축방향으로, 상기 현수 장치를 이동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차륜 외피를 갖고, 이 차륜 외피는, 상기 수직 차륜중 서로 대향하는 2방향의 측면부의 수직 차륜을 지지하여 회전 주행시키는 차륜 하부 지지면과, 상기 차륜 하부 지지면의 거의 중앙부의 축방향을 따라 아래측으로 개구되고, 그 가운데를 상기 현수 장치의 상기 현수 볼트가 미끄러지는 미끄럼 홈과, 상기 현수 장치의 상기 수평 차륜을 받아들여서 안내하도록 상기 차륜 외피의 상면측에 형성된 안내홈을 구비하고, 상기 2방향의 수직 차륜에 대해 직행하는 다른 2방향 수직 차륜을 떠있는 상태로 하도록 구성되는 주행 레일과, 상기 주행 레일을 4방향으로 직교 십자형으로 교차시켜서 연결하기 위한 교차부 레일로서, 4방향의 상기 주행 레일의 미끄럼 홈에 연결되는 직교 십자형의 미끄럼 홈과, 각각 상기 현수 장치의 상기 차륜 하부 지지면 및 이와 동일 평면 상태로 연속하는 교차점 차륜 하부 지지면을 구비한 교차부 레일로 구성되는 이동벽의 현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 차축 및 수진 차륜은 상기 차틀의 4방향 측면부의 각각에 각각 3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교차부 레일에는, 교차점 하부 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교차점 하부 지지부에는, 그 상면이 상기 교차점 차륜 하부 지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또한 상기 현수 장치의 수직 차륜의 축심과는 벗어난 축심의 주위에서 회전 가능한 턴테이블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벽의 현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은 드러스트 볼 베어링의 턴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벽의 현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틀의 측면을 절결하여 2단 측면부를 설치하고 이 2단 측면부에도 수직 차륜을 축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벽의 현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 하부는, 차륜 외피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현수 장치의 각 측면에 설치된 수직 차륜의 폭(W)이상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벽의 현수장치.
  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 하부는, 상기 현수 장치의 각 측면에 설치된 수직 차륜의 폭(W)과 상기 2단 측면부에 설치된 상기 수직 차륜의 폭(W')의 합계 이상으로 상기 차륜 외피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벽의 현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차륜을 축지지하고 있는 차축의 상단에 안내 돌출부를 형성하고, 주행 레일 및 교차부 레일에는 상기 안내 돌출부가 안내될 안내 돌출홈 및 교차부 안내 돌출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벽의 현수 장치.
KR1019880017282A 1988-09-21 1988-12-23 이동벽의 현수장치 KR930000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36961A JPH0627440B2 (ja) 1988-09-21 1988-09-21 移動壁の吊設装置
JP63-236961 1988-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027A KR900005027A (ko) 1990-04-13
KR930000120B1 true KR930000120B1 (ko) 1993-01-09

Family

ID=17008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7282A KR930000120B1 (ko) 1988-09-21 1988-12-23 이동벽의 현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627440B2 (ko)
KR (1) KR930000120B1 (ko)
CN (1) CN10141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8269B2 (ja) * 2007-06-22 2012-09-05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
CN105712198A (zh) * 2016-04-17 2016-06-29 昆山克鲁克机电设备有限公司 改进的起重机型轨滑车
JP6835351B2 (ja) * 2016-11-21 2021-02-24 岡田装飾金物株式会社 ランナー及びレール
CN109138681A (zh) * 2018-10-13 2019-01-04 陈新 一种侧面轨道与侧面轨道滑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161B (zh) 1991-10-02
CN1041327A (zh) 1990-04-18
JPH0285490A (ja) 1990-03-26
JPH0627440B2 (ja) 1994-04-13
KR900005027A (ko) 199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1102B1 (ko) 이동벽의 현수장치
KR930000120B1 (ko) 이동벽의 현수장치
KR910009723B1 (ko) 패널의 현수 주행 장치
JPH0454299Y2 (ko)
WO1989009320A1 (en) Travelling apparatus for suspended panel
JPH0280777A (ja) パネルの吊設走行装置
JPH076318B2 (ja) パネルの吊設走行装置
JPH0465949B2 (ko)
JPH0446465Y2 (ko)
JPH0431980Y2 (ko)
JPH01284680A (ja) パネルの吊設走行装置
JPH049427Y2 (ko)
JPH01192975A (ja) パネルの釣設走行装置
JPH0425505Y2 (ko)
JPH0626709Y2 (ja) 間仕切りパネル吊下げ装置
JPS5916466Y2 (ja) 可動間仕切壁の吊金具
JPS6332284Y2 (ko)
JPH0431976Y2 (ko)
JPH0431979Y2 (ko)
JP2605532Y2 (ja) 移動壁の走行装置
JPH049424Y2 (ko)
JPH0465950B2 (ko)
JP3641804B2 (ja) 移動間仕切装置における交差部走行装置
JPH0431975Y2 (ko)
JPH044815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