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300B1 - 권선장치 - Google Patents
권선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9300B1 KR910009300B1 KR1019890004843A KR890004843A KR910009300B1 KR 910009300 B1 KR910009300 B1 KR 910009300B1 KR 1019890004843 A KR1019890004843 A KR 1019890004843A KR 890004843 A KR890004843 A KR 890004843A KR 910009300 B1 KR910009300 B1 KR 9100093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piece
- core
- guide
- oper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8—Winding conductors onto closed formers or cores, e.g. threading conductors through toroidal cor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2—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 Y10T29/49071—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by winding or co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 Wire Processing (AREA)
- Magnetic Hea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권선장치의 전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권선장치의 작동편 홀더와 장력기구와의 위치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치도.
제3도는 제1도의 권선장치로 와이어를 감는 작동편의 개략적인 정면도.
제4도는 작동편 홀더와 가이드판과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5도는 제4도의 선 V-V를 따른 도면.
제6도는 가이드판이 작동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제7도는 가이드판의 부분 정면도.
제8도 내지 제10도는 각각 변형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판이 작동편 홀더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정면도 및 부분확대도.
제11도 및 제12도는 제10도의 각각 XI-XI선 및 XII-XII선에 따른 다면도.
제13도는 루프 가이드와 코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제14도는 와이어 이송장치와 코어구멍가이드 장치와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제15도는 제1도의 권선장치에 의해 코어에 와이어를 감는 공정을 a 내지 i로 차례로 나타낸 설명도.
제16도는 제15도의 권선 공정을 행하는 플로어챠트.
제17도는 기타의 실시예에 따른 권선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제18도 내지 제29도는 제17도에 도시된 권선장치에 의해 와이어편을 코어에 감는 공정을 차례로 나타낸 설명도.
제30도 내지 제31도는 그 변형실시예의 공정 설명도.
제32도는 가이드판 및 루프 가이드로 와이어를 안내하는 상태의 설명도.
제33도는 제32도의 선 XXXIII-XXXIII을 따른 가이드판과 와이어와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제34도는 제32도의 선 XXXIV-XXXIV을 따른 루프 가이드와 코어와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제35도는 코어구멍가이드와 코어와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자기헤드 8 : 작동편 홀더
9 : 와이어 삽입장치 20 : 장력기구
21a : 와이어흡인관 25 : 와이어 이송기구
31 : 가이드판 31b : 팔부분
37 : 에어실린더 35 : 가이드홈
53 : 루프 가이드 장치 58 : 코어구멍가이드
63 : 와이어공급기구
본 발명은 제1단면과 제2단면을 갖는 복수개의 폐쇄된 테모양의 코어가 서로 작은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작동편 중의 적어도 하나의 코어에, 이 코어에 삽입된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갖는 가는 와이어편을 적어도 한 번 감는 권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VTR에 사용되는 자기헤드는 단부에 2개의 폐쇄된 테모양의 코어를 가지며, 이들 코어는 서로 간격을 두고 동일평면 내에 배치된다.
이들 각 코어에는 서로 인접한 부분과 서로 떨어진 부분에, 예를 들면 지름이 50㎛의 피복와이어가 감겨진다.
이러한 자기헤드는 예를 들면 약 0.3㎜로 코어간의 간격이 좁고, 와이어 지름이 극히 가늘기 때문에 효율이 좋게 고속도로 와이어를 감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양수인은 1985년 8월 27일자 일본국 특원소 60-186683호(1987년 2월 28일자로 일본국 출원공개된 특개소 62-47104호)로 보다 신속히 와이어를 감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했다.
이러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직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작동편 홀더에, 테모양 코어를 윗쪽으로 돌출시켜서 자기헤드가 부착된다.
그 후 와이어 공급기구에 의해 와이어를 코어의 제1단면측으로 공급하고, 장력기구에 의해 코어의 제2단면측으로부터 진공압을 이용해서 와이어의 자유단을 흡인하여, 코어의 코어구멍을 통과한 와이어 부분이 필요한 길이가 되도록 이끌어낸다.
그 와이어는 코어의 제1단면측에서 작동편 홀더에 고정되어 이 고정부분보다 와이어 기구측에서 절단된다.
그러므로 작동편 홀더에 고정된 제1단부와, 제2단면에서 멀리 뻗는 제2단부를 가지는 필요한 길이의 와이어편의 코어 구멍 중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와이어편을 코어의 내측 부분, 즉 다른 코어에 인접한 코어 부분에 감을 때는, 와이어편의 제2단부를 장력기구로 지지하여 와이어편을 필요한 만큼 당겨진 상태로 하고, 와이어편이 코어의 내측부분과 접촉하는 방향으로 작동편 홀더를 180°회전시킨다.
그 때 작동편 홀더에 설치된 와이어후크 부재를 상승시킴으로써 코어의 제2단면측과 와이어의 제2단부간의 와이어편 부분을 이동시켜, 와이어편이 윗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해서, 그 와이어 후크 부재에 와이어편이 감겨지도록 작동편 홀더를 회전시킨다.
이로써 인접하는 코어와 와이어편과의 접촉이 방지된다.
와이어 후크 부재와 제2단부간의 와이어편 부분이 양 코어의 간격 위에 배치된 후 와이처후크부재를 내림과 함께 와이어 홀더를 상승시킴으로써 와이어편이 그 간격 중에 삽입된다.
와이어편이 양 코어의 간격 중에 삽입된 후 와이어편의 제2단부를 장력기구로 당겨서, 코어의 내측 부분에의 권선 공정이 완료된다.
계속해서 와이어편을 감는 경우, 제2단부를 와이어 지지부재로 지지시키고, 이 와이어 지지부재를 회전시켜서 제2단부를 코어구멍에 맞춘 후 이 지지부재를 작동편 홀더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의 장력기구에 의해 와이어편의 제2단부를 지지하여 와이어편을 필요한 만큼 당겨진 상태로 한다.
그리고 나서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하면, 계속 감을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가는 와이어를 코어의 외측부분 및 내측부분에 효율이 좋게 감을 수 있으며, 자기헤드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 또는 장치에 따르면, 코어와 코어의 간격이 아주 좁기 때문에, 그 간격 중에 와이어편을 삽입할 때 와이어편이 코어에 걸리는 수가 있다.
그런 경우 와이어의 피복이 벗겨지고 심한 경우 단선될 우려도 있다.
이러한 경우 자기코어는 불량품이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다른 코어에 인접하는 코어의 내측부분에, 와이어가 걸리지 않고 감길 수 있는 권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제1단면과 제2단면을 갖는 복수의 테모양 코어가 서로 좁은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작동편 중의 적어도 하나의 코어에, 이 코어에 삽입된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갖는 가는 와이어편을 적어도 한 번 감는 권선장치에 있어서, 조작면을 지닌 샤시부분: 그 샤시부분 위에 조작면과 직교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고, 테모양 코어를 돌출시킨 상태로 작동편을 지지하기 위한 작동편 홀더(그 작동편 홀더에 지지되는 작동편의 코어에는, 제1단면측에서 그 작동편 홀더에 고정된 제1단부와, 제2단면측에 뻗는 제2단부를 지닌 와이어편이 삽입된다.); 상기 조작면 위에 작동편 홀더에 대해 근접한 방향 및 이격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부착하고 와이어편의 제2단부를 지지하며, 와이어편을 당겨진 상태로 하는 제1장력장치; 코어의 제2단면측에서 작동편 홀더에 고정되고, 와이어편에 접촉되지 않는 불작동위치와 와이어편을 한 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하는 작동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와이어편 편향장치(이러한 작동위치에는 작동편 홀더가 그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동편 홀더와 제1장력장치간읠 와이어편 부분이 테모양 코어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와이어편 편향장치가 작동편 홀더와 함께 테모양 코어를 중심으로 180°회전시킨 후 와이어편 편향장치가 불작동위치에 돌아갈 때, 제1장력장치와 와이어 편향 장치간의 와이어편 부분을 안내하는 가이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권선장치에 따르면, 제1장력장치가 와이어편의 제2단부를 지지하여 코어와의 사이에서 필요한만큼 당겨진 상태로 지지한다.
그 후 와이어편 편향 장치가 작동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와이어편이 한편으로 돌출한 상태로 편향된다. 그 후 동작편 홀더(8)가 회전하더라도 이렇게 와이어편이 편향되어 있으므로 그 와이어편과 코어의 간섭이 방지된다.
와이어편이 서로 인접한 코어와 코어의 사이에 알맞는 위치에 배치하면 와이어편 편향 장치가 불작동 위치에 돌아간다.
와이어편 편향장치가 불작동 위치에 돌아갈 때, 인접한 코어 사이에 접근하는 와이어편이 가이드 장치에 의해 안내되어, 코어와 접촉하지 않고 그 간격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와이어가 코어에 걸리지 않고 인접한 코어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와이어 피복의 박리 및 단선이 방지되어 와이어를 코어에 효율적으로 감을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장치는 코어 제1단면측에서 동작편 홀더에 부착되며, 동작편 홀더가 회전할 때 와이어편에 접촉되지 않는 불작동 위치와, 와이어편향장치가 불작동 위치에 돌아갈 때 와이어편을 안내하는 작동위치의 사이에 있어서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판으로 구성되고, 그 가이드판은 와이어편을 서로 인접한 코어 사이에 알맞게 하는 안내홈을 가진다.
더 바람직하게는 그 안내홈은 입구 부분에 연속한 폭협부와, 입구 부분의 반대쪽에 있어서 그 폭협부에 연속한 폭광부를 가지며, 그 폭광부에 의해 코어의 권선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
[실시예]
제1도에 나타낸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권선장치(60)는 샤시부(61)를 지니며, 그 상면인 수평한 조작면(62)상에는 제3도에 나타내는 자기헤드(2)를 지지하기 위한 동작편 홀더(8)가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동작편 홀더(8)의 양측에는 예를 들면 볼 나사(64)와 같은 임의의 구동기구에 의해서 동작편 홀더(8)에 근접한 방향 및 이격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와이어 삽입장치(9)가 대향해서 설치되어 있다.
더우기 조작면상에는 동작편 홀더(8)에 예를 들면 직경 약 50㎛의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 와이어 공급기구는 예를 들면 와이어 리일과 같은 임의의 와이어 공급원과, 이 와이어 공급원에서 필요한 길이의 와이어를 동작편 홀더(8)에 공급한 후 와이어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641)가 구비된다.
부호 ″65″는 송풍파이프이며, 도시되지 않는 공기 공급원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조작면상에 분출하여 와이어가 느슨해지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그 와이어 삽입장치(9)(9′)는 와이어 단부를 당겨서 와이어를 당겨진 상태로 한 장력기구(20)(20′)와, 그 장력기구(20)(20′)에 의해 당겨진 상태로 와이어편을 지지하고 장력기구(20)(20′)쪽에서 절단하여 이 단부를 동작편 홀더(8)로 보내는 와이어 송출기구(25)(25′)를 구비한다.
이들 장력기구(20)(20′)와 와이어 이송기구(25)(25′)는 볼너트(18b)를 개재해서 볼 나사(64)(64′)상에 설치된 슬라이더 블록(18a)(18a′)에 부착되어 있으며, 볼나사(64)(64′)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더우기 와이어 이송기구(25)(25′)는 제2도의 도면에 대해 수직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하 역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의 장력기구(20)(28)는 와이어흡인관(21a)과 와이어를 클램프하기 위한 한 쌍의 클램프 핑거(21b)를 가지며, 그 와이어흡인관은 도시되지 않는 진공압원에 연결되고 에어실린더(19)에 의해서 제2도의 왼쪽에 나타낸 것처럼 수축위치와, 에어실린더(19′)에 의해서 제2도의 오른쪽에 나타낸 것처럼 신장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제2도의 오른쪽에 나타낸 것처럼, 와이어흡인관(21a′)이 신장위치에 배치되었을 때는, 그 첨단부가 뒤에 기술하는 클램프 부재로 지지된 자기헤드의 코어 구멍에 알맞도록 배치한다.
각 클램프 핑거(21b)(21b′)는, 예를 들어 대향해서 배치된 2개의 판 스프링과, 이들 첨단에 부착된 예를 들면 우레탄 수지제 블록으로 이루어진 지지부를 가지며, 제2도 오른쪽에 나타낸 것처럼 와이어흡인관(21a′)이 에어실린더(19′)에 의해 신장되면 이들 지지부가 열려서 와이어흡인관(21a′)을 돌출시키고, 제2도 왼쪽에 나타낸 것처럼 와이어흡인관(21a)이 수축되면 닫아서 와이어를 클램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제1 및 제2의 장력기구(20)(20′)는, 에어실린더(19)(19′)에 의해서 와이어흡인관(21a)(21a′)을 클램프 핑거(21b)(21b′)에서 돌출시켰을때 진공압으로 와이어를 와이어흡인관(21a)(21a′)내에 끌어들이며, 에어실린더(19)(19′)에 의해서 와이어흡인관(21a)(21a′)을 끌어 들였을 때 와이어를 클램프 핑거(21b)(21b′)로 지지함으로써 그 와이어를 필요한 만큼 당겨진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러한 당겨진 상태에 있어서는, 와이어는 동작편 홀더(8)와의 사이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와이어로(6)에 따라서 배치된다.
제1 및 제2의 와이어 이송기구(25)(25′)는 각각 상하에 배치된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지만, 기구(25)(25′)는 좌우 대칭의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졌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여 제2도의 왼쪽만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한 쌍의 로울러(24a)(24b)가 서로 접촉되어 구동함으로써 사이에 끼어져 있는 와이어가 필요한 방향으로 송출된다.
이 제1 및 제2의 이송기구(25)(25′)는 각각의 와이어를 절단하기 위해서 커터(25a)(25a′)를 갖는다. 따라서 장력기구(20)로 지지된 와이어를 한 쌍의 롤러(24a)(24b)의 사이에 지지하여 와이어를 커터로 절단한 후, 기구(25) 전체를 도면에 대해 수직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180°회전시키고 나서 롤러(24)를 회전시키면, 와이어의 절단단이 코어 구멍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송출된다.
제2도 중앙부에 나타낸 것처럼 동작편 홀더(8)는 에어실린더(13)에 의해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으며, 또는 예를 들면 펄스 모터(14)에 의해서 조작면에 대해 수직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 동작편 홀더는 예를 들면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중간부에서 서로 접속된 2장의 클램프 부재(10a),(10b)를 가진다.
이들 클램프 부재 상부에 동작편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그 공간에 제3도에 나타내는 자기헤드(2)가, 양 축면을 각각 와이어 삽입장치(9)쪽으로 대향하고 수용된다.
클램프 부재(10a)(10b)의 하부는 그 사이에 배치된 압축스프링(12)으로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압착되어 있으므로 상부 동작편 수용공간에 배치된 자기헤드(2)는, 이들 클램프 부재와 평행으로 세게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램프 부재(10a)는 케이싱(8a)에 고정되며, 클램프 부재(10b)는 그에 대해 가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클램프 부재에 지지되고 와이어(5)가 감겨지는 자기헤드(2)는,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본체의 일단에 2개의 자기코어(1)를 가진다.
이들 자기 코어는 판자 테모양의 헤드코어(3)와 그 내외측에 감겨진 와이어편(5)을 가지며, 서로 예를 들면, 약 0.3㎜의 간격(4)을 두고 동일평면 내에 나란히 배치된다.
부호 ″3a″은 코어 구멍을 나타낸다.
더우기 동작편 홀더(8)에는 동작편(자기헤드)(2)의 반대측의 클램프부재(10b)에 와이어 편향장치로서, 와이어편을 거는 지름이 작은 후크부분(16)을 가지는 와이어 후크핀(17)이 부착되어 있다.
그 와이어 후크핀(17)은 동작편(2)의 폭방향(제2도의 도면에 대해 수직방향)의 중앙에 배치되고, 에어실린더(15)에 의해 실선으로 표시되는 불작동위치와 이점쇄선으로 표시되는 작동위치와의 사이에서 승강한다.
하강한 불작동위치에는, 후크부분(16)이 와이어로(6)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승한 작동위치에는 와이어로(6)에 배치된 와이어를 걸어서 와이어가 윗쪽으로 치우친다. 더우기 동작편 홀더(8)는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를 가진다.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 것처럼 그 가이드장치(30)는 와이어 후크핀(17)의 반대측(제2도 참조)에서 고정된 클램프부재(10a)에 부착된 가이드판(31)을 가진다.
그 가이드판(31)은 도시된 작동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헤드코어(3)를 완전히 가리는데 충분한 치수의 가로가 긴 판자로 이루어진다.
그 가이드판(31)의 한쪽으로부터는 팔부분(31b)이 뻗고 있다.
그 팔부분(31b)은 고정된 클램프부재(10a)의 외측에 형성되고, 위와 옆이 개구한 요부(32)내에 수용되며, 그 아래쪽 단부는 횡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33)에 고정된다.
그 회전축(33)은 클램프부재(10a)에 고정된 베어링(34)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그 중간부에 피니언(36)이 고정된다.
그 피니언(36)에는 에어실린더(37)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래크(38)가 맞물린다.
따라서 에어실린더(37)를 작동시킴으로써 래크(38)가 이동되며, 이와 맞물리는 피니언(36)이 회전한다.
피니언(36)이 회전함으로써 회전축(33)을 회전시켜 팔부(31b) 및 가이드판(31)이 제4도에 화살표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선회하며,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부재(10a)(10b)로 지지된 자기헤드(2), 즉 코어(3)와 평행으로 배치되는 작동위치와, 와이어와 간섭하지 않는 아래쪽 불작동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 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실린더(37)의 작동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 콤퓨터 등을 사용하는 도시하지 않는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뒤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코어(3),(3)간의 간격(4)에 와이어가 삽입될 때만 작동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위치와 불작동위치와의 사이에서 가이드판(31)을 선회시키는 이외에, 예를 들면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등, 가이드판(31)의 이동방법은 기타의 방법이라도 지장이 없다.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낸 것처럼 가이드판(31)은 도시한 작동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클램프부재(10a)(10b)에 의해 지지된 자기헤드의 코어(3),(3)간의 간격(4)에 알맞는 안내홈(35)을 가지며, 그 안내홈의 상부는 윗쪽이 넓어진 테이퍼부분(35a)로 이루어지며, 윗쪽으로부터 자기헤드(2)의 간격(4)안에 삽입되는 와이어(5)를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와이어(5)를 윗쪽으로부터 간격(4)안에 삽입할 때 와이어(5) 피복의 박리 및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그 홈(35)(35a)의 측연부는 와이어 피복이 벗겨지지 않도록 둥근 단면 형상을 구비한다.
또한 작동위치에 있어서, 가이드판(31)의 코어(3)쪽의 측면에 적당한 수지로 스폰지 상태로 형성된 상자 모양의 탄성부재(31a)가 부착되어 있다.
그 탄성부재(31a)는 가이드판(31)이 작동위치에 선회할 때의 코어(3)에 주는 충격을 완화함과 동시에, 이미 감겨진 와이어를 지지하며, 와이어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8도 내지 12도는 가이드판(31)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변형예의 가이드판(31)은, 필요한 범위 내에서 코어(3)에 와이어(5)를 감고 와이어(5)가 코어 상부 또는 하부와 근접한 위치에 감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10도에 확대해서 나타낸 것처럼, 가이드홈(35)은 테이퍼부(35a)에 연속한 폭(t)의 폭협부(40)와, 코어(3)의 상하방향의 권선 범위를 한정한 폭(T)의 폭광부(41)를 가지며, 그 폭협부(40)와 폭광부(41)와의 사이는 둥근 연속부로 이루어진다.
폭광부(41)의 폭(T)은 코어(3),(3)간의 간격(4)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가이드홈(35)의 각부 측연부는, 제11도 및 제12도에 나타낸 것처럼 둥근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와이어(5)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 변형예의 가이드홈(35)에 따르면, 입구부(35a)로부터 삽입된 와이어는, 폭협부(40)에서 폭광부(41)에 들어가 그 폭광부(41)에 의해 한정된 범위(K)만으로 코어(3)에 감겨지며, 상하 단부에 근접한 권선 불가 범위(F)에 감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더우기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동작편 홀더(8)는, 가이드장치(30)의 반대쪽, 즉 자기헤드(2)와 와이어 후크핀(17)과의 사이에 이 와이어 후크핀(17)에 의해 와이어를 윗쪽으로 치우치게 하고 나서, 180°회전시켜 제6도에 나타낸 상태로 되었을 때, 설치되고, 또한 동작편 홀더(8)에는 와이어 후크핀(17)이 하강했을 때 형성되는 와이어 루우프를 안내한 루우프 가이드 장치(53)가 설치되어 있다.
그 루우프 가이드 장치는 에어실린더(56)로 개폐되는 하측판(54)과 상측판(55)을 가진다.
제13도에 나타낸 것처럼 이들 하측판(54)과 상측판(55)은 닫혔을 때 가이드판의 반대쪽에서 코어(3)간의 간격(4)에 알맞게 옆으로 긴 루우프 가이드홈(57)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뒤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의 루우프를 확실하게 안내한다.
더우기 제14도에 나타낸 것처럼, 동작편 홀더(8)는 와이어 이송기구(25)에서 송출되는 와이어(5)의 단부를 코어구멍(3a)에 안내하는 코어구멍가이드(58)를 가진다.
그 코어구멍가이드(58)는 임의의 작동 기구로 상하로 분할 가능한 가이드 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한 상태로 닫으면 원추형의 안내구멍을 통해서 코어구멍에 와이어(5)의 단부를 안내한다.
더우기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동작편 홀더(8)에는, 와이어 공급기구로부터 공급되어 코어 구멍에 삽입된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59)가 설치된다.
그 고정부재의 구조 및 그 작동기구는, 장력기구가 와이어를 당기는 힘에 대해 와이어를 고정할 수만 있다면, 임의의 어떤 것이라도 지장이 없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상기 권선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권선장치에 의해 자기헤드의 코어에 와이어를 감는 경우는, 제1도에 나타낸 와이어 공급기구(63)의 첨단부를 하강하여, 와이어 공급원으로부터 와이어를 끌어냄과 함께 이와 대향한 와이어 삽입장치(9)를 동작편 홀더(8)쪽으로 이동시켜 와이어 이송기구(25)를 와이어로에서 끌어들인다.
그 후 제2도의 오른쪽에 나타낸 것처럼, 에어실린더에 의해서 와이어흡인관(21a)을 클램프 핑거(21b)의 사이를 통해서 신장시켜, 와이어 첨단부를 흡인하여 코어 구멍 중에 삽입한다.
필요한 길이의 와이어를 끌어낸 후 고정부재(59)로 와이어 공급기구 쪽에서 그 와이어를 고정하여, 와이어 공급구에 설치된 커터(64)로 절단한다.
이로써 필요한 길이의 와이어편이 자기헤드의 코어구멍에 삽입되고, 그 일단은 고정부재(59)(제2도)로 고정되며, 다른 일단은 장력기구에 의해 당겨져서 필요한 만큼 당겨진 상태가 지지된다.
이로써 코어에 대해 와이어를 감을 수 있게 된다.
제15a도는 코어(3)의 내측부분에 와이어를 수 차례 감은 후의 상태이다.
도시된 상태에 앞서서 와이어편(5)는 간격(4)를 통해 장력기구로 흡인된 상태이며, 와이어 송출기구(25)의 한 쌍의 롤러(24a)(24b)내에 지지되어, 와이어 송출기구(25)의 커터(25a)로 장력기구쪽에서 절단된다.
그 후 와이어 송출기구(25)가 동작편 홀더(8) 쪽으로 이동하여 와이어 송출기구(25)의 상하가 거꾸로 된다.
이로써 와이어편의 절단단이 코어 구멍에 알맞게 되어 롤러의 회전에 의해 코어 구멍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가 제15a도로 도시된다.
이러한 경우 와이어편(5)의 절단단, 즉 제2단부 또는 첨단부를 코어구멍(3a)에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해, 제14도에 나타낸 코어구멍가이드(58)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다음에 제15도 및 제16도를 참조하여 코어(3)에 대해 와이어(5)를 감는 공정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15a도는 권선개시 상태를 나타낸다(스텝 S0).
코어(3)의 내측부분에 권선을 행하는 경우, 롤러(24)를 회전시키면서 와이어편(5)의 단부를 코어구멍(3a) 쪽으로 송출하여 와이어흡인관(21a)를 신장시켜서 진공흡인한다(스텝 S1)
그 후 와이어흡인관(21a)을 끌어들이고 클램프 핑거(21b)로 와이어(5)의 단부를 지지하면서 장력기구(20) 전체를 후퇴시킨다(스텝 S3).
이러한 상태는 제15b도로 도시된다.
그 후 제15c도에 나타낸 것처럼 와이어 후크핀(17)을 상승시켜(스텝 S4), 동작편 홀더(8)를 180°회전시킨다(스텝 S5).
그 때 와이어편(5)은 와이어 후크핀(17)에 의해 윗쪽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코어(3)와 접촉하지 않는다.
그 후 제15d도에 나타낸 것처럼 가이드판(31)을 작동위치에 배치하여(스템 S6), 동작편 홀더(8)를 상승시킨다(스텝 S7).
그 때 가이드판(31)의 가이드홈(35)은 와이어편(5)을 안내하므로 와이어편의 손상이 방치된다.
다음에 루프 가이드장치(53)를 제15f도에 나타낸 것처럼, 코어(3)와 와이어 후크핀(17)과의 사이에 배치하여 와이어 후크핀(17)을 하강시키고, 와이어흡인관(21a)을 상승시켜서 와이어(5)를 흡인한다(스템 s8,9).
그 후 장력기구(20)를 후퇴시킨다(스템 S10).
그 때 와이어 후크핀(17)으로부터 와이어(5)가 빠짐에 따라 형성된 와이어(5)의 루우프는, 루우프 가이드(53)의 가이드 구멍(56)으로 안내되므로, 기타의 부재에 걸리거나 와이어 자체가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5g도는 장력기구(20)를 후퇴시키고 코어(3)의 내측 부분에 한 번 권선이 종료한 상태를 나타낸다.
코어(3)의 내측 권선수가 소정의 값이 되었는지 판단하여(스텝 S11), 소정의 값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와이어 송출기구(25)에 의해 제15a도의 상태로 배치시켜 전술한 공정을 반복한다(스텝 S2).
코어(3)의 내측부분의 권선수가 소정의 값에 도달한 경우에는 외측부분의 권선이 시작된다(스텝S1).
이측부분에 와이어(5)를 감는 경우, 제15a도의 상태에서 스텝 S2과 마찬가지로 롤러(24)를 회전시키면서, 이에 대향한 쪽으로부터 진공흡입을 하여 장력기구(20)를 후퇴시킨다(스텝 S12,13).
그 후 제15f도에 나타낸 것처럼 동작편 홀더(8)를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180°회전시킨다(스텝 S14).
이로써 제15i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3)의 외측부분에 와이어가 감겨진다.
이러한 공정이 반복됨으로써 소정의 권선수에 도달 한 후, 인접된 다른 코어(3)에 대한 와이어(5)의 권선이 종료한다(스텝 S15,16).
이어서 제17도 내지 제35도를 참조로 해서 제2의 실시예에 따른 권선장치를 설명한다.
이 권선장치는 상기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며, 따라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7도에 나타낸 것처럼, 이 권선장치(60)는 와이어 삽입장치(9″)가 하나만 구비된다.
그 와이어 삽입장치(9″)는 장력기구(20″)로서 팔부재(9″a)와 이 팔부재(9″a)의 양단에 부착된 와이어 지지부재, 즉 척(50)(51)을 구비한다.
그 팔부재(9″a)는 그 중앙의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각 척(50)(51)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2개의 클램프 핑거부재(50a)(51a)에 의하여 와이어를 교대로 잡을 수 있다.
이들 동작기구는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권선장치에 의해서 자기헤드의 코어에 와이어를 감는 경우, 제18도 내지 3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행한다.
이들 도면 중, 도면 번호에 A가 붙은 도면은 측면도, B가 붙은 도면은 평면도를 각각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먼저 제18a도, 제18b도에 나타낸 것처럼, 동작편 홀더에 지지된 자기헤드(2)에서 이겻한 쪽의 척(51)으로 와이어편(5)을 삽입한다.
이런 상태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권선장치에 의한 공정 중, 제15a도의 공정에 해당한다.
그 와이어편(5)의 삽입은, 자기헤드(2)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한 쌍의 2개의 척(50)(51)중, 하강한 왼쪽 척(51)으로 와이어편(5)을 잡아서, 그 척(51)을 척(50)과 함께 자기헤드(2)의 코어(3)에 접근시킴으로써 행한다.
이로써 잡힌 와이어편(5)의 첨단이 코어구멍(3a)내에 삽입된다.
와이어편(5)의 첨단이 코어구멍(3)에 삽입되면, 자기헤드(2)의 오른쪽의 윗쪽에서 클랜프 핑거부를 열고 대기하고 있던 척(50)이, 제19a도, 제19b도에 나타낸 것처럼, 하강하여 와이어편(5)의 첨단쪽을 잡는다.
다음에 제20a도, 제20b도에 나타낸 것처럼, 척(51)이 열려서 윗쪽으로 이동되며, 척(50)이 척(51)과 함께 자기헤드(2)에서 멀어진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로써 와이어편(5)이 코어(3)에서 떨어진다.
그 후 제21a도, 제21b도에 나타낸 것처럼, 윗쪽에서 대기하고 있던 척(51)이 하강하여 와이어편(5)을 잡고, 척(50)은 클램프 핑거를 열어서 윗쪽으로 이동된다.
와이어편(5)의 단부가 착(50)에서 착(51)으로 바꾸어 들려진 뒤, 이들 척(50)(51)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와이어편 반전공정에 들어간다.
와이어편 반전공정은, 제22도에 나타낸 것처럼, 와이어편이 바꾸어 들려진 후 척(50)(51)을 자기헤드(2)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와이어편(5)이 척(51)에 걸리지 않는 정도까지 느슨해지고 나서 제23도에 나타낸 것처럼, 척(50)(51)을 180° 반전시켜, 그대로 자기헤드(2)에 접근시킨다.
그 후 제24a도, 제24b도에 나타낸 것처럼, 와이어편(5)의 첨단이 자기헤드(2)에 접근한 곳에서 제25a도, 제25b도에 나타낸 것처럼, 척(50)(51)을 자기헤드(2)와 접촉되지 않도록 윗쪽으로 상승시킴과 동시에 와이어편(5)의 선단이 간격(4)의 중심과 맞도록 척(50)(51)을 옆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그와 달리 자기헤드(2)를 옆으로 이동시켜도 지장없다.
척(50)(51)은 제26도에 나타낸 것처럼, 자기헤드(2)를 너머간 곳에서 원래의 위치까지 하강된다.
그 후 척(50)(51)이 자기헤드(2)에서 멀어진 방향으로 이동되면, 와이어편(5)은 가이드판(31)에 의해 안내되어 간격(4)안에 삽입된다.
그 때 제32도 내지 제34도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제1실시예에 상용된 것과 비슷한 가이드판(31)과 루우프 가이드(53)에 의해 와이어편(5)이 안내되므로 와이어의 손상이 방지된다.
제27도는 코어 내측부분에 감긴 와이어편(5)을 당겨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 후 상기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코어 내측부분에 원하는 회수의 권선을 실시할 수 있다.
코어(3) 내측부분의 권선을 끝낸 후, 제28도에 나타낸 것처럼, 자기헤드(2)를 중심으로 척(50)(51)을 180° 회전시키면, 제29도에 나타낸 것처럼, 와이어편(5)이 코어(3) 외측부분에 감겨진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편(5)의 단부를 반전시켜(제22,23도), 코어구멍(3a)에 와이어편(5)을 삽입한다.
그 와이어편(5)의 단부를 코어구멍(3a)에 삽입하는 경우, 코어구멍가이드(57)를 배치함으로써, 와이어편(5)의 단부를 코어구멍(3a)에 확실히 삽입할 수 있다.
이들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코어 외측부분에 원하는 회수권선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코어 외측 부분에 권선을 실시할 때, 제28도 및 제29도에 나타낸 것처럼, 척을 회전시킴을 대신해 제30도 및 제31도에 나타낸 것처럼, 동작편 홀더(8)를 회전시킴으로써 자기헤드(2)를 회전시키도록 해도 지장 없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또는 변경이 가능한 것이 분명하다.
Claims (19)
- 프레임과 같은 코어들 사이에 설치된 작은 간격과 함께 작동편(2)상에 옆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 제1 및 제2단면이 있으며, 와이어편이 프레임과 같은 코어 안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프레임과 같은 코어(3)들의 하나 이상의 둘레에 최소한 한 번 이상 감겨져 제1 및 제2단부가 있게 되는 와이어편을 감는 권선장치가; 작동표면이 있는 베이스(61); 작동편과 작동편으로부터 뻗은 프레임과 같은 코어를 잡아주기 위하여 상기 작동표면에 수직인 축선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상에 설치된 작동편 홀더(8) 및, 첫 번째 단면측에서 상기 작동편 홀더에 고정된, 첫 번째 단부와 상기 작동편 홀더안에 끼워지는 두 번째 단면을 향해 뻗은 두 번째 단부가 있는 와이어편; 와이어편의 두 번째 단부를 잡아주고 와이어편의 팽팽함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작동편 홀더에 가까이 및 멀리 떨어지도록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 표면상에 설치된 첫 번째 장력기구(20); 상기 와이어 편향기구가 와이어편과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비작동 위치와 와이어편이 한 쪽으로 편향되어지고 상기 작동편 홀더와 상기 첫 번째 장력기구 사이에서 프레임과 같은 코어와 함께 와이어편과의 접촉이 상기 작동편 홀더가 회전축선에 대해 회전되어 질 때에는 이루어지지 않도록 해주는 작동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코어의 두 번째 단면측에서 상기 작동편 홀더에 고정되어진 와이어 편향기구(17); 상기 와이어 편향기구가 프레임과 같은 코어의 각 단면이 역전되어 위치되어지는 위치로 상기 작동편 홀더와 함께 회전되어진 후 상기 와이어 편향기구가 비작동 위치로 되돌아갈 때 상기 첫 번째 장력기구와 상기 와이어 편향기구 사이에서 와이어편을 안내하는 가이드기구(30) 등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기구(30)에는 상기 작동편 홀더가 회전되어질 때 상기 가이드판이 와이어편을 간섭하지 않는 비작동위치와 상기 와이어 편향기구가 비작동위치로 되돌아갈 때와 와이어편을 안내하는 작동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프레임과 같은 코어의 첫 번째 끝단측면에서 상기 작동편 홀더에 부착되어지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작동위치에 있을 때 인접한 코어들 사이의 갭과 맞추어지는 가이드홈(35)이 있는 가이드 플레이트(31)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35)이 바깥쪽으로 확장되는 팬과 같은 유입부를 포함하고 있고, 와이어편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모서리부분이 활 모양으로 라운딩 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35)이 상기 유입부와 함께 계속해서 폭이 좁은 부분과 상기 유입부 반대쪽에서 상기 폭이 좁은 부분과 함께 계속해서 폭이 큰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폭이 큰 부분이 프레임과 같은 코어의 감김범위(winding range)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표면(62)에는 상기 작동표면에 설치되어져 있어, 상기 와이어 편향기구가 비작동 위치로 되돌아간 후, 상기 와이어편의 두 번째 끝부분을 클램핑시키고, 프레임과 같은 코어 쪽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첫 번째 장력기구와 프레임과 같은 코어 사이의 와이어부분 및 상기 작동편 홀더에 가까와지도록 및 멀어지도록 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첫 번째 와이어 이송기구(25)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표면(62)에는 상기 와이어 편향기구가 비작동 위치로 되돌아간 후 와이어편이 두 번째 끝부분을 통하여 상기 첫번째 장력기구에 의해 팽팽히 팽창되어 유지되어질 때 작동편에 의해 잡혀져 있는 것으로부터 두 번째 끝표면상에 와이어편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루프를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과 같은 코어의 두 번째 끝면측에서 상기 작동편 홀더에 부착되어져 있는 루프 가이드기구(53)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가이드기구(53)는 거의 동일 평면안에 배치되어지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들이 서로 접촉되어지는 작동위치와 상기 플레이트 부재들이 서로 분리되어지는 비작동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며, 와이어편의 루프가 작동위치에서 끼워지는 구멍을 형성하는 두 개의 플레이트 부재들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표면(62)에는 프레임과 같은 코어의 코어구멍을 통하여 상기 첫 번째 와이어 이송기구에 의해 끼워진 와이어편의 두 번째 끝부분을 받아들이고 와이어편의 당겨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작동편 홀더에 가깝게 및 멀리 떨어지게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첫 번째 장력기구 반대쪽에서 상기 작동표면상에 설치되어진 두 번째 장력기구(20)가 있고, 와이어편의 두 번째 끝부분을 클램핑하고 와이어편의 두 번째 끝부분을 프레임과 같은 코어쪽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첫 번째 장력기구와 프레임과 같은 코어 사이의 와이어편 부분 및 작동편 홀더에 가까와지도록 및 멀리 떨어지도록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첫 번째 와이어 이송기구 반대쪽에서 상기 작동표면에 설치되어진 두 번째 와이어 이송기구(25)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편 홀더(8)에는 상기 두 번째 이송기구(25)로부터 코어 구멍 안으로 이송되어진 와이어편의 두 번째 끝부분을 안내하기 위한 코어구멍가이드기구(58)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구멍가이드기구가 작동위치에서 코어구멍 방향을 향하여 테이퍼진 가이드구멍을 포함하고 있고, 와이어편의 두 번째 끝부분의 이송방향과 평행한 축선을 따라 서로 분리되어지고, 상기 가이드블록들이 서로 접촉되어지는 작동위치와 상기 가이드블록들이 서로 분리되어지는 비작동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두 개의 가이들블록들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 프레임과 같은 코어들 사이에 설치된 작은 간격과 함께 작동편(2)상에 옆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 제1 및 제2단면이 있으며, 와이어편이 프레임과 같은 코어 안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프레임과 같은 코어(3)들의 하나 이상의 둘레에 최소한 한 번 이상 감겨져 제1 및 제2단부가 있게 되는 와이어편을 감는 권선장치가; 작동 표면이 있는 베이스(61); 작동편과 작동편으로부터 뻗은 프레임과 같은 코어를 잡아주기 위하여 상기 작동표면에 수직인 축선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된 작동편 홀더(8) 및, 첫 번째 단면 측에 상기 작동편 홀더에 고정된 첫 번째 단부와 상기 작동편 홀더안에 끼워지는 두 번째 단면을 향해 뻗은 두 번째 단부가 있는 와이어편 ; 와이어편의 두 번째 단부를 잡아주기 위하여 상기 작동편 홀더(8)에 가깝게 및 멀리 떨어지게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작동표면상에 설치되어지고, 상기 작동표면에 수직인 축선에 대해 회전되어질 수 있고 상기 작동표면에 가까운 첫 번째 위치와 이 첫 번째 위치와 간격이 떨어진 두 번째 위치 사이에서 이동 되어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클램프기구(50,51)를 포함하고 있는 장력기구(20″) ; 및 상기 클램프부재가 와이어편의 두 번째 단부를 클램프하고 두 번째 위치에 위치되어져 있는 동안 상기 작동편 홀더용 작동 및 상기 작동편 홀더를 가로질러 상기 장력기구를 이동시키는 작동 중의 하나를 수행함으로써 와이어편의 두 번째 단부가 프레임과 같은 코어의 첫 번째 단면측에 위치되어진 후 상기 클램프부재가 첫 번째 위치로 돌아갈 때 와이어편을 안내하는 가이드기구(30)등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기구(30)에는 와이어편의 두 번째 끝부분이 프레임과 같은 코어의 첫 번째 끝면으로 이동되어질 때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와이어편을 간섭하지 않는 비작동위치와 상기 와이어 편향기구가 비작동 위치로 되돌아갈 때 와이어편을 안내하는 작동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프레임과 같은 코어의 첫 번째 끝면측에서 상기 작동편 홀더에 부착되어지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작동위치에 있을 때 인접한 코어들 사이의 갭과 맞추어지는 가이드홈(35)이 있는 가이드 플레이트(31)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35)이 바깥쪽으로 확장되는 팬과 같은 유입부를 포함하고, 와이어편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각 모서리가 활 모양으로 라운딩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35)이 상기 유입부와 함께 계속해서 폭이 좁은 부분(40)과 상기 유입부 반대쪽에서 상기 폭이 좁은 부분과 함께 계속해서 폭이 큰 부분(41)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폭이 큰 부분이 프레임과 같은 코어의 감김 범위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표면(62)에는 와이어편의 두 번째 끝부분을 클램핑하는 상기 클램프부재가 첫 번째 위치로 되돌아간 후 상기 장력기구에 의해 팽팽히 팽창되어 유지되어질 때 작동편에 의해 잡혀져 있는 것으로부터 두 번째 끝표면상에 와이어편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루프를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과 같은 코어의 두 번째 끝면측에서 상기 작동편 홀더에 부착되어져 있는 루프가이드기구(53)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가이드 기구(53)는 거의 동일 평면 안에 배치되어지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들이 서로 접촉되어지는 작동위치와 상기 플레이트 부재들이 서로 분리되어지는 비작동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며, 와이어편이 루프가 작동위치에서 끼워지는 구멍을 형성하는 두 개의 플레이트 부재(54,55)들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기구가 첫 번째 및 두 번째 끝부분과 이들 사이에 뻗어있고 상기 작동 표면과 수직으로 뻗어 있는 회전축선이 있는 아암부재(9a) 및,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끝부분에 각각 부착되어지고 교대로 와이어편을 클램프 시킬 수 있는 두 개의 클램프부재(50,51)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편 홀더(8)에는 다른 하나의 클램프부재보다 상기 작동편 홀더로부터 좀 더 멀리 위치되어진 상기 클램프 부재들 중의 하나가 와이어편의 두 번째 끝부분을 잡고 상기 작동편 홀더쪽으로 이동되어질 때 프레임과 같은 코어의 코어구멍으로 와이어편의 두 번째 끝부분을 안내하기 위한 코어구멍가이드(58)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구멍가이드기구(58)가 작동위치에서 코어구멍 방향을 향하여 테이퍼진 가이드 구멍을 포함하고 있고, 와이어편의 두 번째 끝부분의 이송방향과 평행한 축선을 따라 서로 분리되어지고, 상기 가이드 블록들이 서로 접촉되어지는 작동위치와 상기 가이드 블록들이 서로 분리되어지는 비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두 개의 가이드 블록들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3088575A JPH01259516A (ja) | 1988-04-11 | 1988-04-11 | 巻線装置 |
JP88575 | 1988-04-11 | ||
JP?63-88575 | 1988-04-1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16595A KR890016595A (ko) | 1989-11-29 |
KR910009300B1 true KR910009300B1 (ko) | 1991-11-09 |
Family
ID=13946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004843A KR910009300B1 (ko) | 1988-04-11 | 1989-04-11 | 권선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4988047A (ko) |
EP (1) | EP0337281B1 (ko) |
JP (1) | JPH01259516A (ko) |
KR (1) | KR910009300B1 (ko) |
DE (1) | DE68914186T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9160B1 (ko) * | 2010-11-29 | 2012-03-20 | 이광일 | 트랜스포머 권선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07442A (en) * | 1992-09-10 | 1996-04-16 | Tokin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toroidal coils |
JP3534119B2 (ja) * | 1993-04-13 | 2004-06-07 | ソニー株式会社 | フック式巻線機およびフック式巻線方法 |
ATE147190T1 (de) * | 1993-05-28 | 1997-01-15 | Amatech Gmbh & Co Kg | Wickelkopf |
JP3341870B2 (ja) * | 1995-03-17 | 2002-11-05 | 田中精機株式会社 | トロイダルコイル巻線機及び巻線方法 |
DE102016205048B3 (de) * | 2016-03-24 | 2017-07-13 | Wafios Aktiengesellschaft | Spannkopfeinheit für Drahtbiegemaschine |
CN112107056B (zh) * | 2020-09-18 | 2022-06-21 | 凯高玩具(重庆)有限公司 | 一种绕发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607878A (en) * | 1960-11-01 | Standard Telephones And Cables Mfg. Co. (Canada) Ltd. | Toroidal winding machine | |
EP0108343A1 (fr) * | 1982-11-09 | 1984-05-16 | Sarcem Sa | Procédé de bobinage automatique de bobines toroidales miniatures et machine pour sa mise en oeuvre |
JPS59201406A (ja) * | 1983-04-28 | 1984-11-1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巻線方法および巻線装置 |
CH667160A5 (en) * | 1983-07-08 | 1988-09-15 | Meteor Ag | Automatic video coil winding device - has rotary winding head synchronised with horizontal movement of threading hook through coil former |
US4568032A (en) * | 1983-07-26 | 1986-02-04 | Kabushiki Kaisha Toshiba | Winding apparatus |
JPS60186683A (ja) * | 1984-03-06 | 1985-09-24 | 井関農機株式会社 | 穀類乾燥機 |
WO1986001029A1 (fr) * | 1984-07-23 | 1986-02-13 | Meteor Ag | Dispositif pour enrouler des bobines electriques munies d'un noyau ferme |
JPS61129319A (ja) * | 1984-11-27 | 1986-06-17 | Sumitomo Electric Ind Ltd | ヒ−トパイプを使用した冷房装置 |
JPS6247104A (ja) * | 1985-08-27 | 1987-02-28 | Toshiba Corp | 巻線方法 |
JPH06247104A (ja) * | 1993-02-26 | 1994-09-06 | Sumitomo Rubber Ind Ltd | 空気入りスペアタイヤ |
-
1988
- 1988-04-11 JP JP63088575A patent/JPH01259516A/ja active Pending
-
1989
- 1989-04-05 DE DE68914186T patent/DE68914186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9-04-05 US US07/333,587 patent/US4988047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9-04-05 EP EP89105991A patent/EP0337281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9-04-11 KR KR1019890004843A patent/KR91000930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9160B1 (ko) * | 2010-11-29 | 2012-03-20 | 이광일 | 트랜스포머 권선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337281B1 (en) | 1994-03-30 |
EP0337281A1 (en) | 1989-10-18 |
US4988047A (en) | 1991-01-29 |
DE68914186D1 (de) | 1994-05-05 |
JPH01259516A (ja) | 1989-10-17 |
DE68914186T2 (de) | 1994-10-06 |
KR890016595A (ko) | 1989-1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680067B (zh) | 用于板状工件的激光加工设备 | |
KR910009300B1 (ko) | 권선장치 | |
EP0210600A1 (en)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winding coil on toroidal core | |
KR930002050B1 (ko) | 권선장치와 그 방법 | |
US491731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wire to form coil using hook | |
JP4052260B2 (ja) | 印字装置及び線状体製造装置 | |
JP4363815B2 (ja) | プリント基板加工装置 | |
JPS5851018A (ja) |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機 | |
KR960000921B1 (ko) | 코일 권선기계 | |
CA3193850A1 (en) | Cutting device and method for severing non-woven-in sections of threads or filaments woven in textile ribbons | |
US5381983A (en) | Apparatus for drawing out a web end from a web roll | |
KR102535130B1 (ko) | 스펀지 연속 절단장치 | |
JPH08229747A (ja) | 放電加工機 | |
KR950007802Y1 (ko) | 테이프 와인딩 장치 | |
JP2572446B2 (ja) | 空心コイル巻線挿入装置 | |
JP2703333B2 (ja) | 磁気ヘッドの巻線装置 | |
JPH0343710Y2 (ko) | ||
JP4077954B2 (ja) | 板材曲げ加工装置 | |
JPH046189Y2 (ko) | ||
JP2544862Y2 (ja) | 糸条巻取機への糸掛けガイド装置 | |
JPH038088B2 (ko) | ||
JPH0693412B2 (ja) | テ−プワインダを有する巻線機 | |
KR900001870Y1 (ko) | 테이프 레코더 | |
JPH02119109A (ja) | 磁気ヘッド用巻線機 | |
JPS6147616A (ja) | 巻線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61025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