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802Y1 - 테이프 와인딩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와인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802Y1
KR950007802Y1 KR92001891U KR920001891U KR950007802Y1 KR 950007802 Y1 KR950007802 Y1 KR 950007802Y1 KR 92001891 U KR92001891 U KR 92001891U KR 920001891 U KR920001891 U KR 920001891U KR 950007802 Y1 KR950007802 Y1 KR 9500078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reel
magnetic tape
magnetic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1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0357U (ko
Inventor
전명완
Original Assignee
최준식
주식회사 에스. 케이. 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식, 주식회사 에스. 케이. 씨 filed Critical 최준식
Priority to KR92001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802Y1/ko
Publication of KR9300203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03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8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8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28Reels or cores; positioning of the reels in the casset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57Guiding means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와인딩 장치
제1도는 종래 테이프 와인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내 보인 테이프 감김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와인딩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테이프 감김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사시도이고, b도는 인스펜더롤러를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공급릴 23 : 진공흡착블럭
24 : 스플라이싱유니트 25 : 가이드롤러
27 : 텐션롤러 30 : 이스펜더롤러
40 : 테이프릴 T : 마그네틱 테이프
본 고안은 테이프 와인딩장치(Tape winding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량의 테이프를 팬케이크로부터 카세트용 테이프릴로 감아주기 위한 테이프 와인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테이프 와인딩장치는 공급릴에 감긴 테이프를 테이프 카세트(tape cassette)의 테이프릴에 감는 장치로서 제1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같이 베이스 프레임(2)상에 마그네트 테이프(T)가 감긴 공급릴(3)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릴(3)의 하부에는 베이스 프레임(2) 상면에 대해 전후진가능하게 진공흡착블럭(4)이 설치되고 진공흡착블럭(4)의 상부에는 스플라이싱 유니트(5)가 상기 진공흡착블럭(4)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공급릴(3)과 진공흡착블럭(4) 사이에는 공급릴(3)로부터 공급되는 마그네트 테이프(T)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6)와 상기 마그네트 테이프(T)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롤러(7)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흡착블럭(4)과 인접되는 측에는 테이크업부(Take Up part)가 형성되는데, 이 테이크업부(10)는 상기 진공흡착블럭(4)과 평행하게 설치된 앤드롤러(end roller;11)와, 이 앤드롤러(11)로부터 공급되는 마그네틱 테이프(T)가 감기는 테이프릴(1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릴파지구(13)와, 상기 테이프릴(12)에 감기는 마그네트 테이프(T)를 눌러줄 수 있도록 하우징(14)이 설치된 롤러(15)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테이프릴(12)에 대해 전후진되는 벨트(1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테이프 와인딩장치(1)를 테이프 릴(12)이 상기 릴파지구(13)에 안착된 상태에서 작동시키게 되면 공급릴(3)에 감긴 마그네틱 테이프(T)가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6)와 텐션롤러(7)에 의해 안내되는 진공흡착블럭(4)에 공급되게 되면 상기 테이프릴(12)의 리더테이프가 절단되게 되고 상기 진공흡착블럭(4)이 전진하여 리더테이프와 마그네트 테이프(T)가 상호 중첩 또는 마주 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스플라이싱 유니트(5)가 하강하여 상기 리더테이프와 마그네틱 테이프(T)을 연결시킨 후 상승하게 된다. 상기 스플라이싱 유니트(5)가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T)는 테이프릴(12)에 감기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테이크업부(10)의 벨트(16)가 장착된 하우징(14)이 상승하여 테이프릴(12)에 감기는 마그네틱 테이프(T)를 눌러주게 된다.이와 같이 마그네틱 테이프(T)의 와인딩이 완료되게 되면 상기 하우징(14)이 하강하여 벨트(16)가 테이프릴(12)의 마그네틱 테이프(T)로부터 분리되게 되고 상기 진공흡착블럭(4)에 의해 마그네틱 테이프를 흡착한 후 커팅라이프(미도시)로서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T)를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흡착블럭(4)이 후퇴됨과 동시에 스플라이싱 유니트(5)가 하강하여 리더테이프와 마그네틱 테이프(T)를 연결시켜 테이프(T)를 연결시켜 테이프의 와인딩 작업을 완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 와인딩장치는 테이프릴에 감기는 마그네틱 테이프를 벨트(16)에 의해 눌러 주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테이크업부(10)의 벨트(16) 찢김 및 롤러(15)에 지지된 벨트(16)의 회전불량시 마그네틱테이프(T)가 구겨지거나 스크래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벨트(16)는 마그네틱 테이프(T)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연질의 재료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쉽게 마모되게 되며 이의 교체에 따른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마그네틱 테이프의 구겨짐 및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그 가동효율은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인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베이스 프레임과 이 베이스 플레임에 설치되어 마그네트 테이프를 공급하는 공급릴과, 상기 접합시키는 스플라이싱 유니트와, 상기 스플라이싱유니트의 측면에 설치되어 마그네틱 테이프를 안내하는 테이프 가이드수단과 상기 테이프 가이드수단에 안내되는 마그네틱 테이프가 감기는 테이프릴을 지지하는 테이프릴 파지구를 구비하여 된 테이프 와인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가이드수단이 익스펜더 롤러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 나타내 보인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와인딩장치는 베이스 프레임(21)상에 마그네틱 테이프(T)가 감긴 공급릴(22)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릴(22)의 수직하부에는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면에 대해 전후이송 가능하게 설치된 진공흡착블럭(23)이 설치되고, 상기 진공흡착블럭(23)의 상면에는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T)와 테이프릴(40)의 리더테이프를 접합하는 스플라이싱 유니트(24)가 설치되며 상기 공급릴(22)과 진공흡착블럭(23)사이에는 마그네틱 테이프(T)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25)와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T)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롤러(27)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흡착블럭(4)의 테이프 출구측과 인접되는 곳에는 테이프 가이드수단이 설치되는데, 이 테이프 가이드수단은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익스펜터 롤러(30)가 사용된다.
상기 익스펜더 롤러(30)는 제4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환봉상의 몸체(31) 양측 가장자리에 몸체(31)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된 테이프가이드부(32)가 설치되고, 상기 테이프 가이드부(32)와 인접되는 몸체(31)의 외주면에는 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33)가 형성되어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익스펜더롤러(30)의 하측에는 상기 앤드롤러에 안내되는 마그네틱 테이프(T)가 감기는 테이프릴(40) 지지용 테이프릴 파지구(28)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와인딩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공급릴(22)로부터 공급되는 마그네틱 테이프(T)가 가이드롤러(25)와 텐션롤러(27)에 안내되어지고,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T)는 진공흡착블럭(23)에 의해 흡착되게 되면 테이프릴 파지구(28)에 장착된 테이프릴(40)의 리드테이프가 절단되게 되고 상기 진공흡착블럭(23)이 전진하여 절단된 리드테이프와 마그네틱 테이프(T)는 각각의 단부가 중첩 또는 마주 대향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스플라이싱유니트(24)가 하강하여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T)와 리드테이프를 가열 접합한 후, 상기 스플라이싱유니트(24)는 상승함과 동시에상기 스플라이싱유니트(24)상기 스플라이싱유니트(24)는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테이프릴 파지구(28)에 지지된 테이프릴(30)에 가이드수단에 의해 안내되는 마그네틱 테이프(T)가 감기게 된다.
이때에 상기 가이드수단인 익스펜더 롤러(30)는 그 몸체(31)의 외주면에 이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3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테이프릴(30)에 감기는 마그네틱 테이프(T)가 느슨하게 감기거나 이탈(drop-out)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익스펜더 롤러(3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33)가 내측 테이프 가이드부(32), 즉 지지브라켓이 설치된 축의 테이프 가이드수단(32)과 인접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에 의해 안내되는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T)는 외측으로 미세한 추력을 받게 되어 상기 테이프가 몸체(31) 외주면을 따라 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이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릴(30)에 감기는 마그네틱 테이프(T)의 가장자리가 일치되도록 감기게 되어 종래와 같이 마그네틱 테이프(T) 가장자리가 구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테이프 와인딩 장치(20)는 종래의 테이프릴에 감기는 마그네틱 테이프를 눌러주는 벨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이에 따른 테이프 와인딩장치의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마그네틱 테이프의 와인딩에 따른 불량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 테이프 와인딩장치는 테이프 가이드수단인 익스펜더 롤러를 사용함으로써 와인딩되는 테이프의 구겨짐과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마그네틱 테이프의 와인딩에 따른 불량률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베이스 프레임과, 이 베이스 프레임이 설치되어 마그네트 테이프를 공급하는 공급릴과, 상기 공급릴로부터 공급된 마그네틱 테이프를 테이프릴의 리더테이프와 접합시키는 스플라이싱 유니트와, 상기 스플라이싱유니트의 측면에 설치되어 마그네틱 테이프를 안내하는 테이프 가이드수단과 상기 테이프 가이드수단에 안내되는 마그네틱 테이프가 감기는 테이프릴을 지지하는 테이프릴 파지구를 구비하여 된 테이프 와인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가이드수단이 익스펜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와인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펜더롤러(30)가 환봉상의 몸체(31) 양측 가장자리에 외주면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된 테이프 가이드부(32)와 상기 몸체(3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33)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와인딩 장치.
KR92001891U 1992-02-10 1992-02-10 테이프 와인딩 장치 KR9500078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1891U KR950007802Y1 (ko) 1992-02-10 1992-02-10 테이프 와인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1891U KR950007802Y1 (ko) 1992-02-10 1992-02-10 테이프 와인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357U KR930020357U (ko) 1993-09-24
KR950007802Y1 true KR950007802Y1 (ko) 1995-09-21

Family

ID=19328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1891U KR950007802Y1 (ko) 1992-02-10 1992-02-10 테이프 와인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8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357U (ko) 199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8587A (en) Device for connecting web end portions
US47475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up taping tape loaded with electronic parts therein
KR950007802Y1 (ko) 테이프 와인딩 장치
US45724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loading a plurality of tape cassettes
GB1203179A (en) A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film into a film cartridge
KR910009300B1 (ko) 권선장치
US4770359A (en) Tape defect eliminating method and apparatus
JPS6153293B2 (ko)
KR950002042Y1 (ko) 테이프 와인딩장치
JPS63280404A (ja) テ−プワインダを有する巻線機
US5332167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utting and attaching lengths of leader tape to lengths of magnetic tape and winding them onto supply and take up reels
JP2767277B2 (ja) インナーリードボンダ
JPH07121778B2 (ja) 多軸ターレット型巻取機のシート切断端処理装置
JPH0626512Y2 (ja) テープの自動巻取り装置
RU1801771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ачи лент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на сборочный барабан
JP3286368B2 (ja) 帯状材料のサイクル差吸収装置
JPS6210281Y2 (ko)
JPH0349386Y2 (ko)
JPS6257403B2 (ko)
EP0567718B1 (en) Cutting and splicing unit for automatic cassette loading machines and method of loading tape carried out by the same
JPH02127353A (ja) テープの自動巻取り方法及び装置
JPH0322415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422307B2 (ko)
JPH0621883U (ja) テープ切断装置
JPS5928542Y2 (ja) スプライ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