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870B1 - 적층체 및 적층용기 - Google Patents

적층체 및 적층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870B1
KR910008870B1 KR1019890004933A KR890004933A KR910008870B1 KR 910008870 B1 KR910008870 B1 KR 910008870B1 KR 1019890004933 A KR1019890004933 A KR 1019890004933A KR 890004933 A KR890004933 A KR 890004933A KR 910008870 B1 KR910008870 B1 KR 910008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inorganic filler
thermoplastic resin
layer
composi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4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917A (ko
Inventor
도요가쥬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이데미쯔세끼유 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홍고오 므쯔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92562A external-priority patent/JP273355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92563A external-priority patent/JP2645404B2/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쯔세끼유 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홍고오 므쯔미 filed Critical 이데미쯔세끼유 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5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28Next to second layer of polyam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36Next to polyes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5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 Y10T428/31917Next to polyene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 Y10T428/3192Next to vinyl or vinylidene chloride polyme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적층체 및 적층용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적층체의 일예를 도시한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적층체의 일예를 도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수지조성물 B : 수지조성물층
C : 열가소성수지층
본 발명은, 적층체 및 적층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강도, 강성, 내열성, 용이소각성(容易燒却性), 타발성(打拔性), 및 그 적층체를 용기로 했을 경우에 그 개구부로부터 덮개재(蓋材)를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성질 즉 덮개재 용이박리성에 뛰어난 적층체 및 그 적층체로 이루어진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근년, 래토르트식품은, 이것을 수용한 포장용기 그대로 전자레인지나 열탕에 의해 가열조리되는 일이 많다.
그와같은 포장용기는, 식품을 수용한 그대로 가열되는 것이기 때문에, 내열성, 내용출성, 내오일성이 뛰어난 수지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또, 상기 포장용기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수지는, 기계적 강도, 강성에도 뛰어날 것이 요구되고, 나아가서는 공해나 소각로의 보전등의 건지에서 용이소각성일 것도 요구된다.
이와같은 여러가지 요구에 대응할 것을 목적으로 예를들면 무기충전제 함유 수지조성물 시이트를 진공성형, 압공성형등의 열성형에 의해 제조하거나, 블로우성형에 의해 제조하고, 또 무기충전제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층과, 실질적으로 무기충전제를 함유하지 않는 수지층을 가진 다층시이트로부터 포장용기를 제조하는 제안되어 있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51-26478호 공보, 및 동 특공소 60-26028호 공보에는, 충전제의 함유량이 많은 고충전필라층과, 이 고충전필라층의 양면 각각에 적층됨과 동시에 충전제가 무첨가인지, 혹은 소량의 충전제를 함유하는 저충전필라층으로 이루어진 3층 시이트로 구성된 용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 3층시이트는, 층사이의 접착력이 약하다. 따라서, 이 3층으로 이루어진 용기 성형시이트를 따내서 포장용기를 얻는 경우, 따낸후의 용기의 에지에 있어서, 위스커의 발생이나 층사이 박리가 생긴다.
또, 동 특개소 52-63283호 공보, 동 57-15963호 공보, 동 59-165654호 공보에는, 고충전필라층의 양면 또는 한쪽면에, 무첨가 또는 5% 이하의 첨가량으로 무기필라를 함유한 층을 형성한 시이트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시이트에 있어서도, 표면특성에는 뛰어나지만, 층사이접착력은 부족해서, 따라서 포장용기를 만드는 경우, 따낸후의 용기의 에지에 있어서 위스커의 발생이나 층사이 박리가 생긴다.
또, 상기 공보에 기재된 시이트로부터 형성한 용기에 덮개재를 접착했을 경우, 그 덮개재를 박리해서 개봉하는 경우에 기재(基材)의 접착면보다도 다층시이트의 층사이 쪽이 박리강도가 작아지거나, 개봉이 곤란해진다. 또, 개봉할 수가 있었다고 해도 덮개재가 찢어지거나 용기를 구성하는 시이트의 내부층이 찢어지는 불편이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열성, 강도, 강성 및 용이소각성등에 뛰어나고 또 타발성에도 뛰어나고, 또 덮개재를 용이하게 박리하고, 개봉할 수 있는 등의 뛰어난 성질을 가진 적층체, 및 그 적층체로 이루어진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특정비율의 무기충전제를 특정의 비율로 함유시킨 수지조성물층(A)과, 열가소성수지층(C)와의 사이에, 특정비율의 무기충전제를 특정의 배합비율로 함유한 열가소성수지층(B)을 배치하므로서 이루어지는, 적어도 3층구조의 적층체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1태양으로서는, 무기충전제와 열가소성수지와의 합계계량에 대해서 20~80중량%의 비율로 배합된 인편(燐片)형상 또는 비인편형상의 무기충전제 및 열가소성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층(A)과, 열가소성수지층(C)와의 사이에, 수지조성물층(A)에 있어서의 무기충전제의 배합비율에 대해서 30~70중량%의 비율로 배합됨과 동시에, 수지조성물층(A) 속의 무기충전제가 인편형상 일때는 인편형상이고, 수지조성물층(A) 속의 무기충전제가 비인편형상 일때는 비인편형상인 무기충전제 및 열가소성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층(A)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이다.
그때문에, 본 발명에 태양에 따라, 예를들면, 열가소성수지와 다량의 무기충전제를 배합한 층과, 무기충전제를 배합하지 않는 열가소성수지층에 의해 나타나는 내열성, 강성, 내오일성, 내용출성 및 용이각성등의 뛰어난 특성을 유지하면서, 타발성 및 덮개재 용이소박리성등이 뛰어난 특성을 가진 적층체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서는, 인편형상 무기충전제와 열가소성수지와의 합계중량에 대해서 20~80중량%의 비율로 배합된 인편형상 무기충전제 및 열가소성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층(A)과, 열가소성수지층(C)와의 사이에, 비인편형상 무기충전제와 열가소성수지와의 합계중량에 대해서 20~80중량%의 비율로 배합된 비인편형상 무기충전제, 및 열가소성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층(B)을 가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내열성, 강성, 내오일성, 내용출성 및 용이소각성등에 뛰어나고, 또, 타발성 및 덮개재 용이박리성등에 뛰어난 적층시이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내열성, 강성, 내오일성, 내용출성 및 용이소각성등에 뛰어나고, 또, 타발성 및 덮개재 용이박리성 등에 뛰어난 적층체로 이루어진 적층용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 및 적층용기는, 예를들면, 타발성에 뛰어나기 때문에, 임의의 형상의 것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거나, 또, 본 발명의 적층용기는, 예를들면, 그 개구부에 덮개재를 히이트시일 했을 경우, 쉽게 그 덮개재를 벗겨서 개봉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해서, 본 발명의 적층체 및 적층용기는, 전자레인지용 용기, 래토르트 식품용 용기등에 호적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체는, 무기충전제와 열가소성수지와의 합계중량에 대해서 20~80중량%의 비율로 배합된 무기충전제 및 열가소성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층(A)과, 열가소성수지층(C)와의 사이에, 뒤에 설명하는 특정비율로 배합된 무기충전제 및 열가소성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층(B)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수지조성물층(A)]
이 수지조성물층(A)은, 본 발명의 적층체, 적층시이트 혹은 적층용기로 했을경우에, 그 요구성능인 폐기성(보다 한층 종이에 가까운 성상을 가지게함), 내열성의 향상, 강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주요부를 구성하는 층이다.
① 열가소성수지
상기 열가소성수지로서는, 예를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및 그 공중합수지, 폴리스티렌 및 그 공중합수지, 열가소성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아미드계수지등을 들 수 있고, 특히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베이스폴리머가 되는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예를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사슬형상저밀도 폴리에틸렌등의 폴리에틸렌, 아이소스택틱 폴리프로필렌, 신디오택틱 폴리프로필렌, 에택틱 폴리프로필렌등의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4-메틸펜텐-1, 이들의 혼합물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폴리올레핀으로서,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등의 올레핀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일 공중합체, 에틸렌-염화비닐공중합체, 프로필렌-염화비닐 공중합체등의 올레핀과 비닐모노머와의 공중합체등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폴리올레핀으로서, 변성 폴리올레핀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으로서는, 폴리올레핀을 불포화 카르복시산(그 무수물도 포함) 또는 그 유도체로 화학변성한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이 화학변성한 변성폴리올레핀을 제조하는데 있어서는, 폴리프로필렌등의 폴리올레핀과 불포화 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를 라디칼 발생제에 의해 반응시키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각종의 폴리올레핀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경우,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는, 멜트인덱스(MI)가 0.05~10g/10분, 바람직하게는 0.1~5g/10분, 밀도가 0.945~0.965g/㎠의 것이고, 또, 중,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는, MI가 0.1~20g/㎤의 것이다. 또, 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MI가 0.2~20g/10분, 바람직하게는 0.2~10g/10분, 밀도가 0.890~0.910g/㎤의 것이다.
또,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그 혼합비는 5~70 : 95~30, 바람직하게는 10~65 : 90~35일 것이 바람직하다. 어떻게하든, 이들 중에서 5g/10분 이하의 MI를 가진 수지를 사용하면, 열성형성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수지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을 정도이면,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각종 엘라스토머, 각종 첨가제의 1종 또는 2종이상을 배합한 것이라도 좋다.
상기 엘라스토머로서는, 예를들면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 EPR, EPDM, SBR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서는, 예를들면 착색제, 산화방지제, 가소제, 열안정제, 표면처리제, 분산제, 자외선흡수제, 대전방지제, 내후제등을 들 수 있다.
② 무기충전제
상기 무기충전제로서는, 그 형상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지조성물층(A)과 수지조성물층(B)에 각각 배합하는 무기충전제의 형상의 조합에는 주의해야 한다.
수지조성물층에 배합물 무기충전제의 조합을 제1표에 도시한다.
[제1표]
Figure kpo00001
상기 무기충전제로서는, 예를들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아황산칼슘, 황산바륨등의 비인편형상 무기충전제, 및 실리카, 활석, 산화티탄, 고령토, 점토, 수산화알루미늄, 흑연, 견운모, 중정석, 질석(蛭石), 운모등의 인편형상 무기충전제,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활석, 운모 및 탄산칼슘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충전제로서 활석을 사용하는 경우, 활석으로서는, 통상, 평균입자직경이 0.5~100㎛이고, 바람직한 것은, 평균입자직경이 1~50㎛의 함수규산 마그네슘이다. 또 그 조성에 대해서 말한다면, SiO250~60%, MgO 25~40% 및 다른 성분으로된 조성을 가지고, 작열(灼熱) 감량이 1% 이하인 활석이 특히 바람직하다.
무엇보다도, 활석은, 상기와 같은 평균입자직경 혹은 조성을 가진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들면, 고도로 정제된 활석, 혹은 산처리되어 불순물등을 제거한 활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활석은 특히 표면처리등의 부가수단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 활석을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에서 얻게되는 시이트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활석표면을 친유화(親油化) 처리를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유화 처리로서는, 친유기를 가진 계면활성제, 가열에 의해 반응해서 친유기를 형성하는 중합성 단량체, 올리고머 또는 실란계 커플링제등의 배합처리를 들 수 있다.
상기 무기충전제로서 탄산칼슘을 사용하는 경우, 탄산칼슘으로서는, 통상, 평균입자직경이 0.1~50㎛이고, 특히 평균입자직경이 0.2~30㎛일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무기충전제로서는, 탄산칼슘 보다도 활석쪽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탄산칼슘보다도 활석을 무기충전제로서 사용하는 쪽이, 내열성, 강성등의 보다 뛰어난 적층체 및 적층용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활석에 탄산칼슘을 50중량% 이하의 비율로 혼합하므로서 내충격성을 개량할 수도 있다.
③ 배합비율
수지조성물층(A)에 있어서의 무기충전제와 열가소성수지와의 배합비율은, 무기충전제와 열가소성수지와의 합계 중량에 대해서 무기충전제가 20~80중량%, 바람직하게는 25~70중량%이다.
무기충전제의 배합량이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용이소각성의 저하, 강성의 저하, 내열성의 저하등을 생기게 하는 일이 있고, 또,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성형성이 악화하는 일이 있다.
④ 수지조성물층(A)의 두께
수지조성물(A)의 두께는, 본 발명의 적층체를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상위하므로, 그 용도에 따라 적당히 결정하는 것이 좋지만, 수지조성물층(A)이 본 발명의 적층체의 주요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두꺼운쪽이 바람직하다.
단, 상대적인 말을 한다면, 이 수지조성물층(A)의 두께가 적층제의 전체 두께에 대해서 40~90% 바람직하게는 50~80%일 것이 요망된다.
[열가소성수지층(C)]
상기 열가소성수지층(C)은, 수지조성물층(A)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열가소성수지로서는, 상기 열가소성수지층(A)에 있어서와 동종류의 열가소성수지이거나, 또 상위한 열가소성수지라도 좋다.
예를들면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이다.
그러나, 열가소성수지(C)는, 뒤에 설명하는 적층용기를 형성하고, 수지조성물층(B)와의 접착성을 저하시키지 않을 것을 조건으로 내열성, 내오일성에 뛰어날 것이 요망된다.
이 열가소성수지층(C)으로서는, 열가소성수지만으로 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수지조성물층(A)의 설명에 있어서 예시한 무기충전제가, 무기충전제와 열가소성수지와의 합계중량에 대해서 무기충전제가 10중량% 이하의 비율로,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이 비율의 범위내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는 일이 없다.
열가소성수지층(C)의 두께는, 통상 10~300㎛이고, 바람직하게는 20~200㎛이다.
[수지조성물층(B)]
이 수지조성물층(B)은, 상기 수지조성물층(A)과 열가소성수지층(C)과의 바인더의 기능을 담당한다. 또, 이 수지조성물층(B)에는, 무기충전제가 여러가지의 배합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① 열가소성수지
이 수지조성물층(B)의 형성에 사용되는 열가소성수지는, 수지조성물층(A)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열가소성수지로서는, 상기 열가소성수지층(A)에 있어서와 동종류의 열가소성수지이거나, 또는 상위한 열가소성수지라도 좋다.
바람직한 것은 폴리올레핀이고, 더 바람직한 것은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상기 수지조성물층(A)에 있어서 사용한 것과 동종류의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해서 수지조성물층(B)으로 만드는 것이다.
② 무기충전제
그 무기충전제로서는, 인편형상의 것이거나, 비인편형상의 것이라도 좋다. 또한, 수지조성물층(A)중의 무기충전제의 형상에 따라서, 어떠한 형상의 무기충전제를 수지조성물층(B)속에 배합할 것인가는, 제1표에 표시한 바와같다.
무기충전제로서는, 상기 수지조성물층(A)에 있어서 예시한 것과 동종류의 무기충전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지만, 인편형상의 무기충전제를 사용하는 것이면 활석이 바람직하고, 비인편형성의 무기충전제를 사용하는 것이면 탄산칼슘이 바람직하다.
활석 및 탄산칼슘에 대해서는, 상기 수지조성물층(A)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같다.
상기 무기충전제로서 탄산칼슘을 사용할 경우, 상기 수지조성물층(A)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통상, 평균입자직경이 0.1~50㎛이고, 특히 평균입자직경이 0.2~30㎛인 탄산칼슘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또 70중량%보다 많으면 열가소성수지층(C)과의 접착성이 저하하고, 어느경우에도, 강성, 내열성은 본질적으로는 수지조성물층(A)에서 확보되어 있으므로 바인더층으로서의 기능, 특히 열가소성수지(C)와의 접착성을 고려해서 선정할 것이 필요하다.
③ 배합비율 및 층의 두께
수지조성물층(A)과 수지조성물층(B)에 있어서의 무기충전제의 형상의 조합이 상기 제1표의 (1)과 (2)이면, 수지조성물층(A)에 있어서의 무기충전제의 배합비율에 대해서 무기충전제가 30~70중량%, 바람직하게는 35~65중량%이다.
상기 배합비율을 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즉, 0.2≤Ao≤0.8이면, 0.3≤Bo/Ao≤0.7 단, Ao는 수지조성물층(A)중의 열가소성수지와 무기충전제의 합계량에 대한 무기충전제의 중량, Bo은 수지조성물층(B)중의 열가소성수지와 무기충전제와의 합계량에 대한 무기충전제의 중량을 표시한다.
또, 수지조성물층(A)에 인편형상 무기충전제가 사용된 경우에, 수지조성물층(B)에 비인편형상의 무기충전제가 사용되었을 때에는(상기 제1표속의 조합(3)), 이 인편형상 무기충전제의 배합량은, 수지조성물(B)에 있어서의 비인편형상 무기충전제와 열가소성수지와의 합계량에 대해서 20~80중량%, 특히 25~70중량%일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제1표에 있어서의 (1) 및 (2)의 경우, 무기충전제의 배합량이, 수지조성물층(A)에 있어서의 무기충전제의 배합비율에 대해서 30중량%보다 적으면, 수지조성물층(A)과의 접착성이 저하하고, 어느 것으로해도 용기성형 시이트로 부터의 용기의 따내기 특성이 저하됨과 동시에, 적층용기에 있어서의 덮개재와의 적응성이 저하하는 것이 있다.
또, 상기 제1표에 있어서의 (1) 및 (2)의 경우, 비인편형상 무기충전제의 배합량이, 수지조성물층(B)에 있어서의 비인편형상 무기충전제와 열가소성수지와의 합계량에 대해서 20중량% 미만이면, 수지조성물층(A)과의 접착성이 저하하고, 또, 80중량%를 초과하면 열가소성수지층(C)과의 접착성이 저하함과 동시에 성형성도 저하한다. 따라서, 내열성, 강성, 소각성등의 점에서 수지조성물층(A)에 있어서의 조성에 가까운 배합비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조성물층(B)의 두께는, 통상 10~300㎛이고, 바람직하게는, 15~250㎛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수지조성물층(B)과 열가소성수지층(C)과의 층 두께의 합계두께가 40㎛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일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체의 적층구성]
본 발명의 적층체는, 수지조성물층(B)을, 수지조성물층(A)과 열가소성수지층(C)과의 사이에 바인더층(중간층)으로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로서는, 예를들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지조성물층(A)의 양외면에 수지조성물층(B)을 적층하고, 그 수지조성물층(B)의 양 외면에 상기 열가소성수지층(C)을 적층한 구성인 5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지조성물층(A)에 수지조성물층(B)을 적층하고, 그 수지조성물층(B)에 상기 열가소성수지층(C)을 적층한 구성인 3층으로 된 적층체를 들수 있다.
또, 제2도에 도시한 3층의 적층구조에 다시, 수지조성물층(A)의, 수지조성물층(B)을 적층한 것과는 반대의 표면에, 가스바리이어층을 적층해서 이루어진 4층구조, 또는 가스바리이어층에 수지조성물층(A)을 적층한 5층, 수지조성물층(A) 및 열가소성수지층(C)을 적층한 6층이라도 좋다. 이 경우, 가스바리이어층에 접하는 층에, 필요에 따라 접착제수지 또는 접착체층을 형성해도 좋다.
가스바리이어층으로서는, 적어도 산소의 투과성이 적고, 성형가공가능한 수지 이면 특히 제한은 없고, 예를들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덴, 할로겐함유폴리에틸렌(예를들면, 폴리클로로 폴리플루오로 에틸렌 등)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등을 들 수 있다.
[적층체에 있어서의 각층 사이의 박리강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지조성물층(A)과 수지조성물층(B)와의 박리강도 및 수지조성물층(B)과 수지조성물층(C)와의 박리강도가, 어느것이나 1.5㎏/15㎜ 폭이상일 것이 좋다.
상기 박리강도가 1.5g/15㎜ 폭미만이면, 덮개재와 밀봉후에 덮개재를 개봉할 때에, 상기 수지조성물층(A)과 수지조성물층(B)와의 사이, 혹은 상기 수지조성물층(B)과 수지조성물층(C)와의 사이에 층간박리가 생기는 일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같은 박리강도는, 수지조성물층중의 열가소성수지, 무기충전제의 종류 및 그 배합비율등을 적당히 선정함으로서 조정할 수 있다.
[적층체의 제조법]
본 발명의 적층체는, T다이법, 인플레이션법등을 사용한 공압출(共押出) 시이트류 성형법 다층블로우성형법, 다층사출성형; 압출라미네이트법, 드라이라미네이트법, 웨트라미네이트법, 호트멜트라미네이트법, 무용제라미네이트법등의 라미네이트법등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공압출성형법에 의해, 본 발명의 적층체로 이루어진 적층시이트를 얻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층용기]
본 발명의 적층용기는, 특히 제한되지 않고 블로우성형법, 사출성형법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지만, 상기 적층시이트체를 진공성형, 압성형등의 열성형법에 의해 제조된다.
적층용기로서는, 용기로서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면 그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를들면, 컵형상, 트레이형상, 상자형상, 봉지형상등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트레이형상, 컵형상, 상자형상과 같은 개구부를 가진 적층용기에 있어서는 식품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다음, 상기 개구부에 덮개재를 형성해서 밀봉하는 것이 좋다. 또, 봉지형상등의 형태를 가진 적층용기에 있어서는, 개구부를 열융착하므로서 밀봉된다. 어느 형태의 적층용기에 있어서도, 상기 열가소성수지층(C)을 안쪽층으로 하는 적층용기가 바람직하다.
[실시예 1]
열가소성수지(1)로서,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상품명; 이데미쯔 폴리에틸렌 520 MB; MI=0.4; 밀도 0.964g/㎤)가 60중량%이고, PP(폴리프로필렌, 상품명; 이데미쯔 폴리프로 E-100G; MI=0.5; 밀도 0.91g/㎠)가 40중량%인 HDPE와 PP와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무기충전제(2)로서, 평균입자직경이 12㎛인 활석을 사용하였다.
스크로우직경이 각각 50㎜Ø, 50㎜Ø 및 65㎜Ø인 3대의 압출기와, 피이드블록 및 플랫다이를 사용해서,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장 바깥층이 열가소성수지층(C), 그 안쪽에 수지조성물층(B), 그리고 중심에 수지조성물층(A), 그 바깥쪽에 다시 수지조성물층(B)과, 가장 바깥층으로서 열가소성수지층(C)으로 된 3종 5층의 적층시이트를 성형하였다.
또한, 수지조성물층(A)은, 열가소성수지(1)의 배합량이 50중량%이고, 또 무기충전제(2)의 배합량이 50중량%이고, 그 층의 두께가 800㎛이다. 또 수지조성물층(B)은, 열가소성수지(1)의 배합량이 75중량%, 무기충전제(2)의 배합량이 25중량%이고, 그층의 두께가 어느것이나 50㎛이다. 또, 열가소성수지층(C)은, 열가소성수지(1)뿐이고, 그층의 두께는 어느것이나 50㎛이다. 전체층중의 충전량은 44중량%이였다.
얻게된 적층시이트를 이하와 같이 해서, 평가하였다.
[박리강도]
얻게된 적층시이트로부터 15㎜ 폭의 단책(短冊) 형상 샘플을 얻었다. 이 샘플의 한쪽의 층의 수지조성물층(A)과 수지조성물층(B)과의 계면, 및 수지조성물층(B)과 열가소성수지층(C)과의 계면을 각각 50㎜만 박리하고, 인취(引取)속도 300㎜/분으로 박리했을 때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타발성]
이 릿히사(서독)제의 열성형기 RDM 63/10형으로, 용기에 열성형한 직후 그 적층시이트를 따내고, 적층시이트에 구경 74㎜Ø의 구멍을 뚫었다. 적층시이트에서 따낸 구멍에 뒤로젖혀서, 표면층이 얇은 층으로 찢어지는 현상(소위 Delamination(데라미)라 칭함) 및 표면층의 실자음의 유무에 의해서 평가하였다. 그 평가기준은, 데라미.실자음이 전혀 없는 경우, Excellent[◎]라하고, 데라미가 2개 이내/100개를 Good[○]로 하고, 데라미가 3개이상/100개를 [×]로 하였다.
[덮개재용이 박리성]
열가소성수지(1)로 이루어진 층에 대해서, 용이박리성을 가지고, 열가소성수지(1)로 이루어진 층과의 박리강도가 1.5㎏/15㎜ 폭의, 시이트란층을 가진 2축연신 나일론 필름을 덮개재로서 사용하였다.
그 덮개재와 얻게된 적층시이트를 히이트시일 한후, 그 덮개재와 얻게된 적층시이트를 인위적으로 박리하고, 얻게된 적층시이트의 표면상태를 관찰하였다.
또한, 이 표면상태가 양호한 경우를 Excellent[○]로 하고, 이 표면층에 데라미가 때때로 있는 것을 Fair[△]로 하고, 이 표면층이 파단되어 있는 것이 Poor[×]로서 평가하였다.
상기 각 평가 결과를 제2표에 표시한다.
[실시예 2]
수지조성물층(B)을, 80중량%의 열가소성수지와, 20중량%의 무기충전제로서 구성한 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5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시이트를 작성하고, 그 성능을 조사하였다.
평가 결과를 제2표에 도시한다.
[실시예 3]
수지조성물층(B)을, 70중량%의 열가소성수지와, 30중량%의 무기충전제로 구성한 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제2표에 도시한다.
[실시예 4]
수지조성물층(B)을, 65중량%의 열가소성수지와, 35중량%의 무기충전제로 구성한 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제2표에 도시한다.
[실시예 5]
수지조성물층(A)을, 40중량%의 열가소성수지와, 60중량%의 무기충전제로 구성한 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제2표에 도시한다.
[실시예 6]
수지조성물층(B)을, 85중량%의 열가소성수지(1)와, 15중량%의 무기충전제(2)로 구성한 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제2표에 도시한다.
[실시예 7]
수지조성물층(B)을, 80중량%의 열가소성수지(1)와, 20중량%의 무기충전제(2)로 구성한 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제2표에 도시한다.
[실시예 8]
수지조성물층(A) 및 수지조성물층(B)중의 무기충전제를 탄산칼슘(비인편형상)으로 한 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제2표에 도시한다.
[비교예 1]
수지조성물층(B)을, 40중량%의 열가소성수지와, 60중량%의 활석으로 구성하고, 수지조성물층(A)을, 50중량%의 열가소성수지와, 50중량%의 활석으로 구성한 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제2표에 도시한다.
[비교예 2]
수지조성물층(B) 및 수지조성물층(A)을, 50중량%의 열가소성수지와, 50중량%의 활석으로 구성한 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제2표에 도시한다.
[비교예 3]
수지조성물층(B)을 60중량%의 열가소성수지와, 40중량%의 활석으로 구성하고, 수지조성물층(A)을, 50중량%의 열가소성수지와, 50중량%의 활석으로 구성한 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제2표에 표시한다.
또한, 전체층중의 무기충전제의 양은 46중량%이였다.
그 결과는, 박리강도가, 수지조성물층(B)과 수지조성물층(13)과의 사이에서는, 1.4㎏/15㎜ 폭이고, 수지조성물층(B)과 열가소성수지층(C)과의 사이에서도, 박리불가하였다. 타발성은 poor이고, 또 용이 박리성도 poor이였다. 또, 적층체의 연소칼로리는 5,700cal/g이였다. 또 인장탄성율은 22,000㎏/㎠이였다.
[제2표]
Figure kpo00002
[실시예 9]
열가소성수지로서,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상품명; 이데미쯔 폴리에틸렌 520 MB; MI=0.4; 밀도 0.964g/㎤)가 60중량%이고, PP(폴리프로필렌, 상품명; 이미데쯔폴리프로 E-100G; MI=0.5; 밀도 0.91g/㎤)가 40중량%인 HDPE와 PP와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스크루우직경이 각각 50㎜Ø, 50㎜Ø 및 65㎜Ø인 3대의 압출기와 피이드블록 및 플랫다이를 사용해서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수지조성물층(A) 수지조성물층(B) 및 열가소성수지층(C)으로 이루어진 3종 5층의 적층시이트를 성형하였다.
또한, 수지조성물층(A)은, 50중량%의 상기 열가소성수지와 인편형상 무기충전제임과 동시에 평균입자직경이 12㎛인 50중량%의 활석으로 이루어지고, 층의 두께가 800㎛이다. 수지조성물층(B)은, 50중량%의 상기 열가소성수지와, 비인편 형상무기충전제인 동시에 평균입자직경의 2㎛인 50중량%의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지고, 층의 두께가 50㎛이다. 열가소성수지층(C)은, 상기 열가소성수지뿐이고, 층의 두께가 50㎛이다. 얻게된 적층시이트에 대해서, 그 박리강도, 타발성 및 용이박리성 덮개재 적합성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측정ㆍ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제3표에 표시한다.
또 인장탄성율은 하기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인장탄성율]
JIS K 630/에 준거하였다.
[실시예 10]
수지조성물층(B)을, 40중량%의 열가소성수지와, 60중량%의 탄소칼슘으로 구성한 외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제3표에 도시한다.
[실시예 11]
수지조성물층(B)을, 60중량%의 열가소성수지와, 40중량%의 탄산칼슘으로 구성한 외는, 상기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제3표에 도시한다.
[실시예 12]
수지조성물층(B)을, 70중량%의 열가소성수지와, 30중량%의 탄산칼슘으로 구성한외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제3표에 도시한다.
[실시예 13]
수지조성물층(B)을, 80중량%의 열가소성수지와, 20중량%의 탄산칼슘으로 구성하고, 수지조성물층(A)을, 40중량%의 열가소성수지와, 60중량%의 활석으로 구성한 외는 상기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제3표에 도시한다.
[비교예 4]
수지조성물층(B)을, 90중량%의 열가소성수지와, 10중량%의 탄산칼슘으로 구성한 외는 상기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제3표에 표시한다.
[비교예 5]
수지조성물(B) 및 수지조성물층(A)을, 50중량%의 열가소성수지와, 50중량%의 탄산칼슘으로 구성한 외는 상기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제3표에 도시한다.
[비교예 6]
수지조성물(B) 및 수지조성물층(A)을, 70중량%의 열가소성수지와, 30중량%의 탄산칼슘으로 구성한 외는 상기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제3표에 도시한다.
[비교예 7]
수지조성물층(B)을, 50중량%의 열가소성수지와, 50중량%의 활석으로 구성하고, 수지조성물층(A)을, 50중량%의 열가소성수지와, 50중량%의 탄산칼슘으로 구성한 외는 상기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제3표에 도시한다.
제3표에 도시한 바와같이, 비교예 4에 대해서는, A/B 사이의 박리강도 및 타발성에 떨어지고, 비교예 5, 6에 대해서는 인장탄성율에 떨어지고, 비교예 7에 대해서는, C/B 사이의 박리강도 및 타발성에 떨어진다.
[제3표]
Figure kpo00003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들면, 열가소성수지와 다량의 무기충전제를 배합한 층과, 무기충전제를 배합하지 않는 열가소성수지층에 의해 나타나는 내열성, 강성, 내오일성, 내용출성 및 용이소각성등의 뛰어난 특성을 유지하면서, 내충격성, 타발성 및 용이박리성 덮개재 적합성등이 뛰어난 특성을 가진 적층체 혹은 적층시이트를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열성, 강성, 내오일성, 내용출성 및 용이소각성등에 뛰어나고, 또, 내충격성, 타발성 및 용이박리성 덮개재 접합성등에 뛰어난 적층체 혹은 적층시이트로 이루어진 적층용기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적층용기는, 예를들면, 타발성에 뛰어나기 때문에, 임의의 형상의 것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거나, 또, 본 발명의 적층용기는, 예를들면, 덮개재와 같이 히이트시일해서 사용해도, 용이하게 덮개재를 벗겨서 개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해서, 본 발명의 적층체 및 적층용기는, 전자레인지용용기, 래토르트 식품용용기등에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무기충전제와 열가소성수지와의 합계중량에 대해서 20~80중량%의 비율로 배합된 인편형상 또는 비인편형상의 무기충전제, 및 열가소성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층(A)과, 열가소성수지층(C)와의 사이에, 수지조성물층(A)에 있어서의 무기충전제의 배합비율에 대해서 30~70중량%의 비율로 배합됨과 동시에, 수지 조성물층(A) 속의 무기충전제가 인편형상일때는 인편형상이고, 수지조성물층(A) 속의 무기충전제가 비인편형상일때는 비인편형상인 무기충전제 및 열가소성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층(B)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2. 인편형상 무기충전제와 열가소성수지와의 합계중량에 대해서 20~80중량%의 비율로 배합된 인편형상 무기충전제, 및 열가소성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층(A)과, 열가소성수지층(C)과의 사이에, 비인편형상 무기충전제와 열가소성수지와의 합계중량에 대해서 20~80중량%의 비율로 배합된 비인편형상 무기충전제, 및 열가소성수지를 함유한 수지조성물층(B)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3. 제2항에 있어서, 비인편형상 무기충전제의 배합량이 25~70중량%인 것으로 이루어진 적층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무기충전제가 활석 또는 탄산칼슘인 것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가소성수지가, 폴리올레핀계수지, 폴리염화비닐 혹은 그 공중합수지, 폴리스틸렌 혹은 그 공중합수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수지 또는 폴리아미드계수지인 것으로 이루어진 적층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압출성형법에 의해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시이트인 적층체.
  7. 제1항 또는 제2항의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수지조성물(A)이, 용기의 내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용기.
  8. 제1항 또는 제2항의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열가소성수지층(C)이, 용기내면을 형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용기.
KR1019890004933A 1988-04-14 1989-04-14 적층체 및 적층용기 KR910008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562 1988-04-14
JP88-92562 1988-04-14
JP63092562A JP2733550B2 (ja) 1988-04-14 1988-04-14 積層体および積層容器
JP63092563A JP2645404B2 (ja) 1988-04-14 1988-04-14 積層体および積層容器
JP88-92563 1988-04-14
JP92563 1988-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917A KR900015917A (ko) 1990-11-10
KR910008870B1 true KR910008870B1 (ko) 1991-10-24

Family

ID=26433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933A KR910008870B1 (ko) 1988-04-14 1989-04-14 적층체 및 적층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960648A (ko)
EP (1) EP0338402B1 (ko)
KR (1) KR910008870B1 (ko)
AT (1) ATE140185T1 (ko)
AU (1) AU612251B2 (ko)
CA (1) CA1305650C (ko)
DE (1) DE68926797T2 (ko)
NZ (1) NZ2287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25643D0 (en) * 1991-12-03 1992-01-29 Courtaulds Films & Packaging Polymeric films
WO1997002948A1 (en) * 1995-07-07 1997-01-30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Multilayer film material and pouches made from the material
GB9523781D0 (en) * 1995-11-21 1996-01-24 Amtico Co Floor coverings and films for use therein
US6383589B1 (en) 1999-03-29 2002-05-07 Pechiney Plastic Packaging, Inc. Multilayer plastic structures, containers made therefrom, and methods of making the structures
IT1315220B1 (it) * 1999-12-13 2003-02-03 Ipm Ind Plastica Monregalese Telone di foglia pluristrato di materia plastica per pacciamature e/ocome barriera di contenimento di sostanze di trattamento in
US6935378B2 (en) * 2003-06-23 2005-08-30 Tokai Rubber Industries, Ltd. Vibration absorbing hose
TW201231279A (en) * 2011-01-19 2012-08-01 Ming-Yu Chen Composite composition and polymer indoor decorative material
US20130133295A1 (en) * 2011-11-24 2013-05-30 Bakhtiar Alam Shah Polymer Sheet with Improved Barrier Properties
US9415990B2 (en) * 2013-02-13 2016-08-16 Cryovac, Inc. Bag-in-box system for use in dispensing a pumpable product
US10172369B2 (en) * 2014-01-02 2019-01-08 Bemis Company, Inc. Film for embossing hot processes food items
CN109749369B (zh) * 2018-11-29 2021-11-02 常州回天新材料有限公司 太阳能电池背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0670A (en) * 1972-12-15 1975-08-19 Du Pont Laminated film structure
JPS5513433B2 (ko) * 1974-08-29 1980-04-09
JPS5263283A (en) * 1975-11-20 1977-05-25 Sumitomo Bakelite Co Ltd Laminated plastic sheets
JPS5715963A (en) * 1980-07-04 1982-01-27 Denki Kagaku Kogyo Kk Multilayer sheet
JPS5725949A (en) * 1980-07-22 1982-02-10 Toyo Ink Mfg Co Manufacture of laminate
US4618528A (en) * 1982-08-05 1986-10-21 Allied Corporation Polymer films containing platelet particles
US4528235A (en) * 1982-08-05 1985-07-09 Allied Corporation Polymer films containing platelet particles
JPS59165654A (ja) * 1983-03-11 1984-09-18 三菱油化株式会社 深絞り熱成形法
JPS6026028A (ja) * 1983-07-25 1985-02-08 Daicel Chem Ind Ltd ポリアミドエラストマ−の製造法
US4629596A (en) * 1984-05-02 1986-12-16 Shell Oil Company Non delaminating regrind
US4567089A (en) * 1984-07-23 1986-01-28 Mitsubishi Petrochemical Co., Ltd. Thermoforming propylene polymer laminated sheet
DE3438736A1 (de) * 1984-10-23 1986-04-24 Hoechst Ag, 6230 Frankfurt Coextrudierte mehrschichtige und biaxial gestreckte, opake polyolefin-folie mit verbesserten mechanischen eigenschaf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H0615227B2 (ja) * 1985-06-05 1994-03-02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樹脂積層体
GB2195947B (en) * 1986-10-10 1990-01-10 Bcl Ltd Heat-sealable polypropylene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26797D1 (de) 1996-08-14
ATE140185T1 (de) 1996-07-15
EP0338402A2 (en) 1989-10-25
EP0338402B1 (en) 1996-07-10
AU612251B2 (en) 1991-07-04
EP0338402A3 (en) 1990-05-16
DE68926797T2 (de) 1997-01-16
NZ228758A (en) 1991-09-25
KR900015917A (ko) 1990-11-10
US4960648A (en) 1990-10-02
CA1305650C (en) 1992-07-28
AU3304689A (en) 1989-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4104A (en) Multi-layer film
EP0204324B1 (en) Resin laminate
AU605034B2 (en) Multilayer structure and easily openable container and lid
CA1157191A (en) Heat sealable packaging film producing a peelable seal
US5061532A (en) Multilayer structure and easily openable container and lid
EP0812874B1 (en) Easy-to-break-through film
KR910008870B1 (ko) 적층체 및 적층용기
AU5920498A (en) Sealable film
EP0746468A1 (en) Polymeric films
WO2010039376A1 (en) Film composition with controlled properties
EP0858885A2 (en) Multi-layer structure, container using sam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645404B2 (ja) 積層体および積層容器
JP2733550B2 (ja) 積層体および積層容器
JP2001030430A (ja) カバーフィルム
JP3828974B2 (ja) 高密封,易開封性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589371B2 (ja) 多層構造物、易開封性容器及び蓋材
JP2004299393A (ja) 多層積層樹脂フィルム
JP2683701B2 (ja) 積層体および積層容器
JP4253916B2 (ja) 積層体
JPH0458788B2 (ko)
JPH10166529A (ja) 積層フィルム
JP3137325B2 (ja) 多層シート
JP3238371B2 (ja) 複合多層シート
JP2765944B2 (ja) 積層体
JPH02387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