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801B1 - 1-β-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 Google Patents

1-β-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801B1
KR910008801B1 KR1019870002697A KR870002697A KR910008801B1 KR 910008801 B1 KR910008801 B1 KR 910008801B1 KR 1019870002697 A KR1019870002697 A KR 1019870002697A KR 870002697 A KR870002697 A KR 870002697A KR 910008801 B1 KR910008801 B1 KR 910008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sodium salt
stearylphosphate
ara
aqueous solution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2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909A (ko
Inventor
다까시 데라다
미노루 아오끼
히로시 오다끼
마나미 모로쯔미
미쯔하루 시오자끼
Original Assignee
니뽕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사까노 쓰네까즈
야마사 쇼유 가부시끼가이샤
하마구찌 미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06396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21696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1468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73993A/ja
Application filed by 니뽕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사까노 쓰네까즈, 야마사 쇼유 가부시끼가이샤, 하마구찌 미찌오 filed Critical 니뽕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8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06Pyrimidine radicals
    • C07H19/10Pyrimidine radicals with the saccharide radical esterified by phosphoric or polyphosphor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β-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및 그 모노하이드레이트의 제법
제1도는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모노하이드레이트(β형결정)의 X선 회절무늬.
제2도는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모노하이드레이트(γ형결정)의 X선 회절무늬.
제3도는 공지방법에 의해 얻어진 무정형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나트륨염의 X선 회절무늬.
제4도는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 모노하이드레이트(β형결정)의 열시차 분석의 열 분석도.
제5도는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 모노하이드레이트(γ형결정)의 열시차 분석의 열 분석도.
제6도는 공지방법에 의해 얻어진 무정형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나트륨염의 열분석도.
본 발명은 안정도가 탁월한 1-β-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및 비흡습성이고 또 안정도가 탁월한 1-β-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모노하이드레이트의 제법에 관한 것이다.
1-β-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5′-스테아릴포스페이트나트륨염(이후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나트륨염″이라함)을 제조하는 방법은 일본국 특공소 제55-49588호(1980)에 기재되어 있다. 그 기재된 방법에 의하면,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유리산) 수용액을 수산화나트륨으로 pH7.0로 조정한 후, 이렇게 조정된 수용액을 농축시키고 또 이 농축물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나트륨염을 침전시킨다.
일본국 특공소 제55-49588(1980)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수득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나트륨염은 분말형 물질이고 또는 X-선 회절에 있어서 명확한 회절 피이크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즉, 무정형 물질이다(제3도 참조)
상기 공지 방법에 의해 수득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나트륨염을 25℃의 온도 및 75%의 상대습도(RH) 조건하에서 14개월 동안 보관했을 경우, 함량이 초기 중량의 93.7중량%로 감소되었고 또 50℃ 온도 및 74%의 상대습도 조건하에서 3개월 동안 보관했을 경우, 그 함량이 초기중량의 58.6중량%로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또 1-β-D-아라비노푸라노실우라실-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나트륨이 분해생성물로 형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나트륨염을 25℃의 온도 및 93%의 상대습도 조건하에서 보관했을 경우, 이들의 중량이 12 내지 13%정도 증가되었고, 즉 나트륨염은 현저하게 높은 흡습성을 나타낸다.
전술한 사실들은 공지된 제법으로 수득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나트륨염을 의약품으로 제조하는 경우, 이들의 흡습성을 특히 고려해야 하고 또 생산품을 시판하는 경우, 생산품이 수분을 흡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엄격한 포장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밖에,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나트륨염은 안정도가 미약하고 또 활성성분으로 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제에서 활성이 매우 짧은 시간내에 분해에 의해 감소되므로, 이러한 약제는 실질적으로 시판될 수 없다.
의약품 제조용으로 안정하고 또 적합한 알-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을 제조하는 신규제법을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자들의 연구열과, 안정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은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수용액 또는 현탁액을 수산화나트륨으로 pH 9.7 내지 13으로 조정하고 또 이렇게 수득한 모노나트륨염을 특정한 조건하에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모노하이드레이트로 전환시켜 수득할 수 있고, 비흡습성이고 또 안정도가 탁월한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Figure kpo00001
본 발명은 이 발견을 기초로하여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수용액 또는 현탁액을 수산화나트륨으로 pH 9.7내지 13으로 조정하고, 또 이렇게 형성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모노하이드레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A)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수용액 또는 현탁액을 수산화나트륨으로 pH 9.7 내지 13으로 조정하고, 물과 혼합가능한 유기용매를 이 수용액 또는 현탁액에 첨가하여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을 침전시키고, 이렇게 생성한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모노하이드레이트 결정을 분리하고 또 이어 분리된 결정을 100℃ 이하 온도에서 건조시키거나 : 또는(B)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수용액 또는 현탁액을 수산화나트륨으로 pH 9.7 내지 13으로 조정하고, 물과 혼합가능한 유기 용매를 이 수용액 또는 현탁액에 첨가하여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을 침전시키고, 이렇게 석출된 모노나트륨염을 분리하고, 분리한 모노나트륨염을 물과 혼합가능한 유기 용매내에 현탁시켜 형성된 결정을 현탁수용액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이렇게 분리한 모노나트륨염을 가열하여 물과 혼합가능한 유기용매내에 용해시키고 또 이렇게 형성된 용액을 냉각시켜 형성된 결정을 수용액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또 이어 분리된 결정을 100℃이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모노하이드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첨부한 도면 제1도 및 제2도는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모노하이드레이트의 X-선 회절무늬이며, 또 제1도는 β형 결정, 제2도는 γ형 결정의 X-선 회절무늬를 나타낸다. 제3도는 공지된 제법으로 수득한 무정형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나트륨염의 X-선 회절무늬를 나타낸다. 또한, 제4도 및 제5도는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모노하이드레이트의 시차열분석의 열분석도이며, 또 제4도는 β형 결정, 제5도는 γ형 결정의 열분석도를 나타낸다. 제6도는 공지된 제법으로 수득한 무정형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나트륨염의 열분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은 모노나트륨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따라 다음 3가지 형태를 취한다.
즉, pH 9.7 내지 13으로 조정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수용액 또는 현탁액으로부터 분리된 모노나트륨염은 무정형(α형)이고 또는 이 모노나트륨염의 모노하이드레이트가 β형 및 γ형의 2가지 결졍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또 본 발명은 이들 중 어느 것이라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내에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1몰당 나트륨의 비율은 0.9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0.99몰 이상으로, 대략 화학양론적 양과 일치한다. 전술한 것과 비교하여 통상적인 제법으로 수득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나트륨염내에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의 1몰당 나트륨의 비율은 약 0.75몰이다. 따라서, 통상적인 제법으로 수득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나트륨염은 상당한 양의 유리산,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를 함유하며, 또한 유리산의 높은 함량은 통상적인 제법으로 수득한 나트륨염의 높은 흡습성 및 불안정도의 원인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모노하이드레이트의 β형 및 γ형 결정은 다음과 같은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을 갖는다.
결정의 X-선 회절무늬 : 니켈 호일(foil)필터를 갖는 구리 X-선 튜브 및 섬광계수기(scintillation counter)가 설치된 X-선 회절 장치(RIGAKUDENKI사 제조)로 측정한 결정의 X-선 회절무늬는 제1도(β형) 및 제2도(γ형)에 나타내며, 또 무늬 분석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kpo00002
열법 분석 : SHIMAZU Works사 제조 열법 분석장치(형태 : DT-30)에 의한 열시차 분석한 결과, β형 128℃에서 열을 흡수하고, 또 γ 형은 98℃ 및 113℃에서 열을 흡수하는데, 이 현상은 시편으로부터 결정수가 탈수되는 것을 나타낸다. 열무게 분석 결과에 의하면, β형 및 또한 γ형에 있어서 3%의 중량 감소가 측정된다. 이 시편의 열시차 분석의 열분석도를 제4도(β형) 및 제5도(γ형)에 나타낸다.
[결정의 수분함량]
칼피셔 방법(Karl Fischer′s method)에 의한 결정의 수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 β형 결정의 수분함량은 3.0%이고 또 γ형 결정의 수분 함량은 2.92%이며, 이 데이터는 분자식 C27H29N3NaO8PㆍH2O으로부터 계산된 이론치 2.92%와 일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A) 안정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의 제조 : 안정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은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수용액 또는 현탁액을 수산화나트륨으로 pH 9.7 내지 13으로 조정한 다음, 이어 조정된 용액으로부터 모노나트륨염을 분리하여 수득될 수 있다.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수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는,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를 수용매에 용해시키거나 현탁시켜 제조한 용액외에,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를 함유하는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나트륨염을 수용매에 녹이거나 현탁시켜 제조한 수용액 또는 현탁액등과 같은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를 함유하는 어떤 수용액 또는 현탁액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수용매로서는, 물 또는 물의 혼합용매 및 물과 혼합가능한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물과 혼합가능한 유기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및 프로판올과 같은 저급 알코올, 아세톤 및 메틸에틸케톤과 같은 케톤 및 고리상 에테르,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디옥산과 같은 5원 또는 6원 고리를 갖는 고리상 에테르를 들 수 있다.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 비율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기용매의 혼합율은 혼합된 용매를 기준으로 하여 약 50부피%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를 녹이거나 또는 현탁시키는데 사용되는 물의 양은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1중량부당 0.5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5 중량부이다.
수산화나트륨으로 조정되는 수용액 또는 현탁액의 pH 범위는 9.7 내지 13,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2.5이다.
또한, 고체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수용액 또는 현탁액의 pH 조정에 사용할 수 있지만, 조정을 쉽게 실행할 수 있는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액 또는 현탁액의 pH조정은 최적온도하, 바람직하게는 50℃이하 온도에서 실행할 수 있다. pH조정에 의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형성은 반응이 중화되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종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의 분리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반응액을 농축 건조시켜 모노나트륨염을 수득하는 방법, 농축된 반응액을 냉각시켜 모노나트륨염을 석출하는 방법 또는 전술한 물과 혼합가능한 유기용매를 반응액에 첨가하여 모노나트륨염을 석출시키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이렇게 석출된 모노나트륨염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건조시킨다.
물과 혼합가능한 유기용매는 모노나트륨염을 석출시키는데 충분한 양으로 반응액에 첨가될 수 있고, 또 이 용매는 반응액내에서 물양의 2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배량으로 통상 첨가된다.
(B)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모노하이드레이트의 제조 :
전술한 바와같이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및 수산화나트륨의 반응액으로부터 분리하여 습윤상태로 수득한 모노나트륨염을 전술한 물과 혼합가능한 모노나트륨염 중량의 3 내지 5배양의 유기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에 현탁시키고, 또 이렇게 제조된 혼합물을 30°내지 90℃(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온도)에서 10분 또는 그 이상(바람직하게는 30분 또는 그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시간)동안 교반한후, 이렇게 형성된 결정을 수집하고 또 100℃미만, 바람직하게는 10°내지 100℃온도에서 건조시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모노하이드레이트의 β형 결정을 수득한다.
β형 결정은 또한 전술한 물과 혼합가능한 유기 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및 수산화나트륨의 고농축된 반응액에 첨가시키고, 이어 30° 내지 90℃ 온도에서 연속적으로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이렇게 형성된 결정을 분리하고 또 분리된 결정을 건조시키는 단계에 의해서도 수득될 수 있다.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모노하이드레이트의 γ형 결정은 β형 결정을 물과 혼합가능한 유기용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내에 녹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온도로 가열하고 또 이렇게 형성된 용액을 서서히 냉각시켜 결정을 석출시키는 단계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γ형 결정은 또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및 수산화나트륨의 반응액으로부터 분리한 습윤상태의 모노나트륨염을 감압하에서 건조시키고, 이어 이렇게 수득한 모노나트륨염을 예를들어 약 30° 내지 약 60℃, 바람직하게는 약 60℃ 온도로 가열하면서 물과 혼합가능한 용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내에 녹이고, 이렇게 형성된 용액을 서서히 냉각시켜 결정을 석출시키고, 이렇게 석출된 결정을 수집하고 또 수집된 결정을 감압하, 100℃ 미만의 온도에서 건조시킨다.
이밖에, 본 발명에 따른 안정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및 이들의 모노하이드레이트의 출발물질인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는 일본국 특공소 제55-49588호(1980)에 기재된 방법과 같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법으로 수득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은 안정도가 탁월하고, 또 모노나트륨염의 모노하이드레이트는 비흡습성이며 또 안정하므로 이 두 화합물은 의약품 제조용으로 적합하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되며 이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500g을 물 1.5리터에 첨가하고 또 이 혼합액의 pH를 수산화나트륨으로 10.8로 조정한 후, 이 혼합액에 에탄올 6리터를 첨가한다. 이 혼합액을 16시간 동안 방치하여 냉각시키고, 이렇게 형성된 침전물을 원심분리법으로 수집하여 습윤상태의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을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한 젖은 염을 감압하의 30℃에서 건조시켜, 융점 223℃(분해)의 무정형(α형)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332g을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한 생성물의 순도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따라 99.5%이고 또
Figure kpo00003
(273nm,0.1N NaOH)는 152.3이다.
모노나트륨염을 석출시키기 위해 에탄올 대신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디옥산을 첨가하여도 전술한 것과 같은 동일한 결과를 얻는다.
[실시예 2]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건조물질) 2.40g에 물 6ml를 첨가하고 또 이 혼합액을 1N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pH 12.0로 조정한 후, 이 혼합액에 에탄올 30ml를 첨가하며 또 이 혼합물을 5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 혼합액을 16시간동안 방치하여 냉각시킨 후, 침전물을 여과법으로 수집하고 또 감압하 30℃에서 10시간동안 건조시켜 융점 220℃(분해)의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α형)1.83g을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한 생성물의 순도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따라 99.5%이며 또
Figure kpo00004
(273nm, 0.1N NaOH)는 150.9이다.
[실시예 3]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2.40g에 물 10ml를 첨가하고 또 이 혼합액을 교반하면서 수산화나트륨으로 혼합액을 pH 10.0으로 조정한 후, 이렇게 형성된 용액을 감압하에서 농축건조시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α형) 2.30g을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한 생성물의 융점은 219.8℃(분해)이고, 순도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따라 99.1%이며 또
Figure kpo00005
(273nm, 0.1N NaOH)는 152.6이다.
[실시예 4]
N4,O2,O3-트리아세틸-아라-C-5′-포스페이트 트리-n-부틸 암모늄염 6.4g(10mmol)에 스테아릴알코올 5g, 피리딘 30ml 및 p-톨루엔술포닐클로라이드 8g을 첨가하고 또 이 혼합물을 40℃에서 3시간동안 유지시킨다. 이어, 물 50ml 및 클로로포름 50ml를 첨가한 후 반응혼합물을 추출한다.
클로로포름 용액내에서 트리아세틸 화합물의 탈아세틸화는 암모니아 수용액 및 에탄올 20ml를 첨가시켜 수행할 수 있고 또 탈아세틸액을 물로 추출한다.
수성층을 모은후, 진한 염산을 첨가하여 수성층의 pH를 2.5로 조정하여, 석출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를 여과하여 수집한다. 이렇게 수득한 침전물에 물 20ml를 첨가한 후 이 용액을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10.5로 조정하고, 이 용액에 에탄올 80ml를 첨가한다. 생성한 침전물을 여과법으로 수집하여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α형)을 젖은 상태로 수득하고, 또 젖은 물질을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건조시켜 융점 221℃(분해)의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α형)을 4.20g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한 생성물의 순도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따라 99.62%이며 또
Figure kpo00006
(273nm, 0.1N NaOH)는 151.4이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10g에 물 50ml를 첨가한 후, 이 혼합액을 교반하면서 pH 10.5로 조정하기 위해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한다.
이 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한 후, 95% 에탄올 120ml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여 모노나트륨염을 석출시키고 또 이 석출한 모노나트륨염을 여과법으로 수집한다.
이렇게 수집한 습윤상태(수분함량 약 20 중량%)의 8.5g에 달하는 모노나트륨염을 에탄올 30ml에 현탁시키고 또 90분간 이 현탁액을 교반한 후, 이렇게 처리된 현탁액을 여과하여 결정을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한 결정을 감압하 40℃에서 건조시켜 융점 221℃(분해)의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모노하이드레이트(β형 결정)을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한 생성물의 X선 회절분석의 결과는 제1도 및 표 1에 나타내고, 또 생성물의 열시차 분석의 결과는 제4도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실시예 5에서 수득한 습윤상태의 모노나트륨염을 감압하 60℃에 16시간동안 건조시킨다. 이렇게 건조된 생성물의 6g을 60℃로 가열에 의해 메탄올에 녹이고, 또 완전히 생성물을 녹인후, 이렇게 형성된 용액을 서서히 냉각시켜 결정을 석출시키고 또 이 결정을 여과법으로 수집하고 또 감압하 60℃에서 건조하여 융점 226℃(분해)의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모노하이드레이트의 γ형 결정을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한 결정의 X-선 회절 분석한 결과를 제2도 및 표 1에 나타내고, 열시차 분석의 결과는 제5도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10g에 물 30ml를 첨가하고 또 5N 수산화나트륨으로 이 혼합액의 pH를 10.5로 조정한 후, 이렇게 형성된 용액을 약 40℃에서 교반하면서 에탄올 50ml를 첨가하여 모노나트륨염을 석출시킨다.
이 혼합물을 65℃로 가열하고 또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모노하이드레이트(β형)의 씨(seed)결정을 첨가한 후, 이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5시간 동안 온도를 유지시켜 결정을 형성한다. 결정화 종료를 현미경으로 확인한 후, 이 혼합물에 에탄올 20ml를 첨가하고 또 이 혼합물을 점차 냉각시킨다.
하루밤 지난후, 결정을 여과하고 또 감압하에서 건조시켜 융점 220℃(분해)인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모노하이드레이트(β형 결정)를 8.9g%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한 생성물의 순도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따라 99.7%이고 또
Figure kpo00007
(273nm, 0.1N NaOH)는 153.0이다.
[시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제법으로 수득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의 탁월한 안정도는 하기 실험에 의해 설명된다.
1. 시편
A. 본 발명의 생성물 :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B. 본 발명의 생성물 :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C. 비교시편 : 일본국 특공소 제55-49588호(1980)에 기재된 제법으로 제조된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나트륨염.
2. 시험방법 : 칭량병내에 본 발명의 생성물(시편 A 및 B) 및 비교시편(시편 C) 각 1g씩을 건조기(상대습도 74 내지 76%)내 포화 NaCl 용액상에서 각각 25℃에서 14개월 동안 및 50℃에서 3개월 동안 보관하고, 또 시편내에서 보관전 및 보관후의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의 양, 및 분해생성물의 양을 측정한다.
3. 시험결과 : 보관 전후의 측정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kpo00008
표 2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노나트륨염은 25℃ 및 상대습도 76%에서 14개월동안 보관한 후 및 50℃ 및 상대습도 74%에서 3개월동안 보관한 후에도 분해하지 않으며, 또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모노나트륨염은 안정하다. 한편 상기와 동일한 조건하의 비교시편에서는 함량감소가 측정되며, 또한 특히 50℃ 및 상대습도 74%에서 보관한 후 함량감소가 현저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시험예 2]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모노하이드레이트(β형 결정 및 γ형 결정)의 보관시 흡습성 및 안정도를 하기와 같이 시험한다.
흡습성 5mmHg의 감압하 50℃에서 건조된 β형 결정 및 γ형 결정을 25℃ 및 상대습도 93%의 조건하에서 3일간 보관하지만, 그러나 β형 및 γ형 모두 중량에서 아무런 변화가 없다. 즉, 이 두 결정은 비흡습성이다.
보관상의 안정도 시험(가혹한 안정도 시험) :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모노하이드레이트(β형 및 γ형)를 65℃ 및 상대습도 73%에서 1개월동안 보관하고, 또 보관후 함량을 측정한다.
그 결과, β형 결정 및 γ형 결정 모두의 보관후 함량은 보관전의 값과 동일한 99.9%이다. 즉, 아라-C-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모노하이드레이트는 거의 분해하지 않고 또 매우 안정하다.

Claims (7)

1-β-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5′-스테아릴포스페이트의 수용액 또는 현탁액을 수산화나트륨으로 pH 9.7 내지 13으로 조정하여 1-β-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을 침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β-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수용액 또는 현탁액이 pH 10.0 내지 12.5로 조정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1-β-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이 물과 혼합가능한 유기용매를 첨가시킴으로써 석출되는 방법.
(A) 1-β-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5′-스테아릴포스페이트 수용액 또는 현탁액을 수산화나트륨으로 pH 9.7 내지 13으로 조정하고, 이 수용액 또는 현탁액에 물과 혼합가능한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1-β-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을 침전시키고 이렇게 생성된 혼합액을 연속적으로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형성된 모노하이드레이트 결정을 혼합액으로부터 분리하고 또 이어 분리된 결정을 100℃미만의 온도에서 건조시키거나 ; 또는 (B) 1-β-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5′-스테아릴포스페이트 수용액 또는 현탁액을 수산화나트륨으로 pH 9.7 내지 13으로 조정하고, 이 수용액 또는 현탁액에 물과 혼합가능한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1-β-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을 침전시키고, 이렇게 석출된 모노나트륨염을 분리하고, 분리한 모노나트륨염을 물과 혼합 가능한 유기용매내에 현탁시키고, 형성된 결정을 현탁수용액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분리한 모노나트륨염을 물과 혼합가능한 유기용매내에 녹이고 또 형성된 용액을 냉각시켜, 형성된 결정을 수용액으로부터 분리하고, 또 이어 분리한 결정을 100℃ 미만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1-β-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모노하이드레이트의 제조방법.
제4항에 있어서, 1-β-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5′-스테아릴포스페이트 수용액 또는 현탁액이 pH 10.0 내지 12.5로 조정되는 방법.
제4항에 있어서, 모노나트륨염이 저급 알코올내에 현탁되는 방법.
제6항에 있어서, 저급 알코올이 메탄올, 에탄올 또는 프로판올인 방법.
KR1019870002697A 1986-03-24 1987-03-23 1-β-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KR910008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063963A JPS62221696A (ja) 1986-03-24 1986-03-24 1−β−D−アラビノフラノシルシトシン−5′−ステアリルりん酸モノナトリウム塩・1水和物
JP63963/86 1986-03-24
JP63963 1986-03-24
JP114680/86 1986-05-21
JP114680 1986-05-21
JP61114680A JPS62273993A (ja) 1986-05-21 1986-05-21 1−β−D−アラビノフラノシルシトシン−5′−ステアリルりん酸ナトリウム塩の新規製造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909A KR870008909A (ko) 1987-10-22
KR910008801B1 true KR910008801B1 (ko) 1991-10-21

Family

ID=26405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2697A KR910008801B1 (ko) 1986-03-24 1987-03-23 1-β-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4812560A (ko)
EP (1) EP0239015B1 (ko)
KR (1) KR910008801B1 (ko)
AU (1) AU592165B2 (ko)
CA (1) CA1270820A (ko)
DE (1) DE3773716D1 (ko)
ES (1) ES2031462T3 (ko)
HU (1) HU1964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73716D1 (de) * 1986-03-24 1991-11-21 Nippon Kayaku Kk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onosodiumsalz und dessen monohydrat von 1-beta-d-arabinofuranosylcytosin-5'stearylphosphat und diese enthaltend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DE69330392T2 (de) * 1992-04-03 2001-11-08 Nippon Kayaku Kk Cytarabine Ocfosfate enthaltende harte Kapsel
PE20011061A1 (es) 2000-02-01 2001-11-20 Procter & Gamble Cristalizacion selectiva del acido 3-piridil-1-hidroxi-etiliden-1,1-bisfosfonico sodio como el hemipentahidrato o el monohidrato
US6562974B2 (en) 2000-02-01 2003-05-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geminal bisphosphonates
PL369670A1 (en) 2002-01-14 2005-05-02 Novartis Ag Combinations comprising epothilones and anti-metabolites
US7524831B2 (en) 2005-03-02 2009-04-28 Schering Corporation Treatments for Flaviviridae virus infec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440B2 (ko) * 1973-11-08 1980-05-01
JPS5289681A (en) * 1976-01-22 1977-07-27 Yamasa Shoyu Co Ltd Preparation of aracytidine -5# phosphoric acid ester derivatives
JPS552601A (en) * 1978-06-20 1980-01-10 Yamasa Shoyu Co Ltd Anti-tumor agent for non-injection use
JPS55129299A (en) * 1980-03-14 1980-10-06 Yamasa Shoyu Co Ltd 1-beta-d-arabinofuranosyl-cytosine-5'-phosphoric alkyl ester
DE3773716D1 (de) * 1986-03-24 1991-11-21 Nippon Kayaku Kk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onosodiumsalz und dessen monohydrat von 1-beta-d-arabinofuranosylcytosin-5'stearylphosphat und diese enthaltend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JP3236058B2 (ja) * 1992-04-14 2001-12-04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オーディオ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70820A (en) 1990-06-26
HUT44270A (en) 1988-02-29
ES2031462T3 (es) 1992-12-16
HU196429B (en) 1988-11-28
AU7047587A (en) 1987-10-01
DE3773716D1 (de) 1991-11-21
US5049663A (en) 1991-09-17
US4812560A (en) 1989-03-14
AU592165B2 (en) 1990-01-04
EP0239015A3 (en) 1989-03-22
KR870008909A (ko) 1987-10-22
EP0239015B1 (en) 1991-10-16
EP0239015A2 (en) 1987-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7649B1 (en) Novel crystal of monohydrate of heterocyclic bis(phosphonic acid) derivative
US2446102A (en) Complex salts of streptomycin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KR100399765B1 (ko) 결정형 마크로리드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910008801B1 (ko) 1-β-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EP0135044A1 (en) Tripamide inclusion compou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AU767136B2 (en) Dinucleotide crystals
JP3824894B2 (ja) P1,p4−ジ(ウリジン5’−)テトラホスフェート又はその塩の製造法
KR940008595B1 (ko) I-β-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모노하이드레이트 및 이 모노하이드레이트를 함유하는 약제 조성물
KR101963570B1 (ko) 무정형 디뉴클레오사이드 폴리포스페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US3687932A (en) Crystalline cytidine-5{40 -diphosphate choline monohydrate and production thereof
US3532684A (en) Molecular compounds of inosine and tryptophan
MXPA96001957A (en) Process for the obtaining of the 2 ', 3'-dideshidro-3'-desoxitimidina polimorfica, form
FI108035B (fi) Menetelmä terapeuttisesti käyttökelpoisen oktadekyyli-[2-(N-metyylipiperidino)etyyli]fosfaatin valmistamiseksi ja menetelmä sen puhdistamiseksi
CA2101571A1 (en) Crystalline dihydrate of a cephalosporin dihydrate salt and injectable compositions thereof
EP0533940A1 (en) Crystalline potassium thionicotinamide-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and production thereof
KR102597553B1 (ko) 3',3'-cGAMP의 수화물 결정
SU545259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замещенных циклосериновых соединений или их солей
KR100212939B1 (ko) 새로운 결정구조의 시타라빈 옥포스페이트 나트륨염 일수화물
KR100195375B1 (ko) 디아데노신 사인산사나트륨염 12수화물 결정
US3109001A (en) X-ray diffraction pattern of crystalline
JP3964809B2 (ja) ジヌクレオチドの製造法
US4151348A (en) Crystallized potassium salt of adenosine-5-diphosphoric acid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JPS6335639B2 (ko)
CN113801182A (zh) 一种阿扎胞苷晶型d
PL163358B1 (pl) Sposób wytwarzania trichlorowodorku dezoksyspergualiny w nowej krystalicznej postaci PL P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