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060B1 - 파지기부(把持機付)리프팅 마그넷 유닛 - Google Patents

파지기부(把持機付)리프팅 마그넷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060B1
KR910008060B1 KR1019860010157A KR860010157A KR910008060B1 KR 910008060 B1 KR910008060 B1 KR 910008060B1 KR 1019860010157 A KR1019860010157 A KR 1019860010157A KR 860010157 A KR860010157 A KR 860010157A KR 910008060 B1 KR910008060 B1 KR 910008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pin
lifting magnet
cylind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0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898A (ko
Inventor
시게미 나까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나까지마 뎃꼬오쇼
시게미 나까지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26747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30993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8701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44884A/ja
Priority claimed from JP870198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44885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9120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49890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나까지마 뎃꼬오쇼, 시게미 나까지마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나까지마 뎃꼬오쇼
Publication of KR870004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66C1/0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electro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4Tine gr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14Grabs opened or closed by driving motors thereon
    • B66C3/16Grabs opened or closed by driving motors thereon by fluid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지기부(把持機付) 리프팅 마그넷 유닛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부분단면 측면도.
제2a도 및 제2b도는 각각 제1실시예에서 사용된 스파이더 브래킷의 평면도 및 단면도.
제3도는 제1실시예에서 사용된 프레임의 단면도.
제4도는 제1실시예에서 사용된 스파이더블록의 평면도.
제5도는 제1아암, 제2아암 및 선상판의 상대적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보조적인 부분 측면도.
제6도는 선상판과 관련부재의 단면도.
제7a, 7b 및 7c도는 상이한 조작단계에 있어서 제1실시예의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부분단면 전체측면도.
제9도는 제2실시예의 부분 측면도.
제10도는 제2실시예의 주 스파이더 브래킷의 평면도.
제11a도는 제2실시예의 주컬럼의 정면도.
제11b도는 제11a도의 B-B선을 따른 횡단면도.
제11c도는 제11a도의 C-C선을 따른 횡단면도.
제12a도는 제2실시예의 가동 스파이더블록의 평면도.
제12b도는 제12a도의 가동 스파이더블록의 측면도.
제13a도는 제2실시예의 쇄정기구의 정면도.
제13b도는 제13a도의 쇄정기구의 측단면도.
제14a도는 제2실시예의 요오크의 정면도.
제14b도는 제14a도의 요오크의 측면도.
제15a도는 회전구동기구의 일부절결 정면도.
제15b도는 제15a도의 회전 구동기구의 일부 절결 측면도.
제15c도는 제15a도의 회전 구동기구의 케이스부재의 평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부분 정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쇄정 기구의 개략도.
제18도는 주파워 실린더 유닛의 피스톤봉이 신장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정면도.
제19도는 주파워 실린더 유닛의 피스톤봉이 수축된 제18도의 제4실시예의 정면도.
제20도는 제18도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제21도 및 제22도는 각각 제20도에서A-A선 및 B-B선을 따른 횡단면도.
제23도는 제4실시예의 회전 구동기구의 정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회전 구동기구의 단면 평면도.
제25도는 제2아암 쇄정 기구의 정면도.
제26도는 제25도의 제2아암 쇄정기구의 종단면도.
제27도는 제4실시예에 사용된 유압회로를 보여주는 다이아그램.
제28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전체 정면도.
제29도는 제28도에 있어 B-B선을 따른 단면도.
제30도는 제28도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제31도는 제5실시예에서 사용된 회전구동기구의 정면도.
제32도는 제31도의 회전 구동기구의 단면 평면도.
제33도는 제5실시예에 사용된 유압 실린더를 보여주는 다이아그램.
제34도 및 제35도는 제1 및 제2아암이 각각 수축 및 신장되어 있는 제6실시예의 정면도.
제36도는 제6실시예의 부분단면 정면도.
제37도는 제36도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38도는 제36도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39도는 핀 제어기구의 단면도.
제40도 및 제41도는 각각 제39도의 E-E선 및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42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전체 정면도.
제43도는 제42도와 유사한 부분 단면도.
제44도는 제7실시예에 사용된 스파이더 브래킷의 평면도.
제45도는 제7실시예에 사용된 주컬럼의 정면도.
제46도 및 제47도는 제45도의 A-A선 및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48도는 제7실시예에 사용된 상부 스파이더블록의 배치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49도는 제48도의 상부 스파이더블록의 측면도.
제50도는 제48도의 상부 스파이더블록의 평면도.
제51도는 제7실시예에서 사용된 핀제어 기구의 정면도.
제52도는 제51도의 핀 제어기구의 평면도.
제53도는 접촉판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되는 개략도.
제54도는 제7실시예에서 사용된 쇄정기구의 정면도.
제55도는 제54도의 쇄정기구의 측면도.
제56도는 제7실시예에 사용된 트러니온의 정면도.
제57도는 제7실시예에서 사용된 회전 구동기구의 부분단면 정면도.
제58도는 제57도의 회전 구동기구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01, 301, 401, 501, 601, 701, 801 : 리프팅 마그넷
5 : 나사봉
15, 201, 506, 609, 709b, 809 : 스파이더블록
21, 221, 321, 421, 512, 612, 712, 820 : 제1아암
22, 222, 323, 423, 514, 614, 714, 819 : 제2아암
208, 308, 408, 504, 604, 704, 803 : 주파워실린더 유닛
203, 508, 610, 710, 821 : 보조파워실린더 유닛
204, 509, 607, 707, 823 : 회전구동기구 224, 515, 822 : 쇄정기구
본 발명은 공업용 폐기물, 해체된 기계, 파괴건물 또는 구조물로부터 재사용을 위해 회수된 물품들을 인양(lifting) 및 수송하는 기중기(크레인)에 현수될 파지기구(gripping mechanism)가 구비된 리프팅 마그넷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리프팅 마그넷의 전자 인력은 솔레노이드의 온도상승시 솔레노이드의 저항 증가로 말미암은 솔레노이드 전류의 감소로 인해 감소한다. 따라서 리프팅 마그넷의 인양능력은 주위온도의 변화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리프팅 마그넷의 인양능력의 변동은 전기 세탁기와 전기선풍기를 포함하는 가정용의 폐품, 해체된 자동차보디, 분해된 경량형강 및 파쇄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각종 재료의 잡다한 물품들을 들어 올리는 경우 특히 현저하다. 취급하기가 곤란한 그러한 물품이나 재료를 인양, 수송하는데는 두가지의 통상적 방법이 있으니, 즉 리프팅 마그넷이 장착된 기중기와 파지기구가 장착된 기중기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과, 단일 기중기에서 리프팅 마그넷과 파지기구를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그리고 교체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그것이다.
그러한 종래의 방법중, 전자의 방법은 두 기중기를 사용하므로 더 큰 투자비가 필요하고, 한편 후자의 방법은 리프팅 마그넷과 파지기구를 교체하는데 많은 시간과 작업을 요하여 유효 작업시간이 감소된다. 더욱이 좁은 작업공간에 두 개의 독립된 기중기를 설치하게되면 인양과 수송작업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기중기에 현수될 수 있고 세가지 방식, 즉 단지 리프팅 마그넷만 사용되는 방식, 단지 파지기구만 사용되는 방식 및 리프팅 마그넷과 파지기구의 양자가 조합 사용되는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파지기부 리프팅 마그넷 유닛을 제공하는 것은 본 발명의 목적이다.
기중기가 작동되는 건물의 천정의 높이가 낮고 트럭의 화물높이가 높기 때문에 인양공간이 제한을 받는 공간에서 작동가능한 파지기부 리프팅 마그넷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다.
트럭 보디내에 내려진 뒤 트럭의 좁은 보디에 실린 대량의 물체를 파지아암을 넓게 벌리지 않고도 파지할 수 있는 파지기부 리프팅 마그넷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네개의 파지 아암을 갖고 있으며, 장척물을 파지하기 위해서는 넷에서 둘로 그리고 다른 잡다한 물체를 파지하기 위해서는 둘에서 넷으로 작동 파지아암의 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파지기부 리프팅 마그넷유닛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파지기부 리프팅 마그넷유닛은 리프팅 마그넷, 마그넷의 흡인면의 반대측의 리프링 마그넷의 상면에 부착된 브랫킷, 브래킷일단에 직립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나사봉, 나사축의 타단에 배치된 기판, 기판에 배치된 나사봉 회전용 모우터, 그 하단은 브래킷에 그리고 상단은 기판에 고정된 프레임, 나사봉에 결합하는 안쪽으로 나사형성된 중앙공을 갖고 있는 스파이더블록, 및 각각 그 일단에서 핀으로 브래킷의 한 아암의 말단에 피봇 연결된 제1아암과, 그 일단에서는 제1아암의 타단에 핀으로 피봇 연결된 제2아암, 그 일단에서는 핀으로 스파이더 블록에 피봇 연결되어 있고 그 타단에서는 핀으로 제1아암의 중간부에 피봇 연결되어 있는 봉과, 제2아암을 제1아암에 고정하도록 제2아암에 천설된 구멍과 결합하는 핀 및 핀을 구동하는 전자석으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파지아암 조립체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파지기부 리프팅 마그넷유닛은 자화되면 인력을 발생하고 자성을 잃으면 인력을 잃는 리프팅 마그넷, 각각 일단에서 리프팅 마그넷에 피봇연결되어 있는 제1아암과 제1아암의 타단에 피봇 연결되어 있고 제1아암위로 또는 안으로 접힐 수 있는 제2아암, 제2아암을 제1아암에 고정하는 쇄정기구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파지아암 조립체, 리프팅 마그넷의 상면에 배치된 주파워실린더 유닛, 각각 주파워 실린더 유닛에 피봇 연결된 실린더와, 제1아암에 피봇 피스톤 봉을 갖고 있는 복수개의 보조파워실린더, 파지아암 조립체와 리프팅 마그넷을 선회가능하게 현수하기 위해 주파워실린더 상부에 배치설치된 십자형의 트러니온, 및 파지아암 조립체와 리프팅 마그넷을 회동하도록 십자형 트러니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 구동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파지기부 리프팅 마그넷 유닛은 자화시 인력을 발생하는 리프팅 마그넷, 하단에서 리프팅 마그넷의 상면에 피봇 연결된 주파워 실린더 유닛, 주파워 실린더 유닛의 피스톤봉의 자유단에 고정된 사지(四枝) 스파이더블록, 각각 일단에서, 사지스파이더블록에 피봇 연결된 실린더를 갖고 있는 보조파워실리더 유닛, 및 각각 일단에서 리프팅 마그넷에 피봇연결되고 중간부에서 보조파워실린더 유닛의 피스톤봉의 자유단에 피봇 연결된 제1아암, 일단에서 제1아암의 타단에 피봇연결되고 제1아암위에 접힐 수 있는 제2아암 및 제2아암을 제1아암에 쇄정시키는 쇄정기구로 되어 있는 파지아암 조립체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파지기부 리프팅 마그넷 유닛은 자화되면 인력을 발생하는 리프팅 마그넷, 리프팅 마그넷의 상면에 연결된 주파워 실린더 유닛, 주파워 실린더 유닛의 피스톤봉의 자유단에 고정된 스파이더블록 보조파워실린더 유닛, 각각 일단에서 리프팅 마그넷에 피봇 연결된 제1아암, 제1아암의 타단에 피봇 연결된 제2아암 및 제2아암을 제1아암에 대해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유닛으로 되어있는 파지아암 조립체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파지기부 리프팅 마그넷 유닛은 자화시 인력을 발생하는 리프팅 마그넷, 리프팅 마그넷의 상면에 연결된 주파워실린더 유닛, 주파워실린더 유닛의 피스톤봉의 자유단에 고정된 하부 스프이더 블록, 하부 스파이더블록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상부 스파이더블록, 상부 스파이더블록을 하부 스파이더블록에 연결시키고 연결을 풀기위한 상부 스파이더블록 조작기구, 일단에서 리프팅 마그넷에 피봇 지지된 제1아암, 일단에서 제1아암의 타단에 피봇 연결된 제2아암, 일단에서 상하 스프이더 블록에 피봇 연결된 실린더와 자유단에서 제1아암에 피봇 연결된 피스톤봉을 갖고 있는 보조파워실린더 유닛, 및 제2아암을 제1아암에 쇄정시키는 쇄정기구로 각각 되어 있는 파지아암 조립체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함께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파지기부 리프팅 마그넷 유닛은 리프팅 마그넷(1)과 네개의 파지아암 조립체의 조합체이다. 제1도, 2a도 및 제2b도에 있어서, 각각 그 밀단에 형성되어 있고 피봇핀(2a)을 지지하는 넉클을 갖고 있는 네아암을 구비한 십자상 브래킷(2)이 리프팅 마그넷(1)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고, 나사봉(5)은 그 하단에서 브래킷(2)의 중심공(3)에 끼워진 스러스트 베어링(4)내에 직립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L형상단면을 가진 네다리(6)는 제3도에 표시된 것처럼 서로의 사이에 간극을 갖고 대략 사각형 배열로 나사봉(5)주위에 직립 설치되어있고 그 하단에서 브래킷(2)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인접 다리들(6) 사이의 간극은 각각 브래킷(2)의 네아암과 일치한다. 기판(7)은 측판을 가진 다리들(6)의 상단에 고착연결되어 있다. 모우터(8), 스위치박스(9) 및 감속기어(10)는 기판(7)에 배치되어 있다. 기중기의 후크의 매달릴 시이브(11)는 측판에 설치된다. 모우터(8)의 회전력은 감속기어(10)를 통하여 나사봉(5)에 전달된다. 네개의 방사상아암을 가진 스파이더블록(15)은 나사봉(5)을 회전시킴으로써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나사봉(5)에 나사결합된다.
제4도에 예시한 것처럼, 스파이더블록(15)의 네개의 방사상아암들은 각각 인접 다리들(6)사이의 간극을 통해 방사상으로 뻗고 있다. 넉클(12)은 스파이더블록(15)의 각 방사상아암의 말단에 형성되어있고 핀(14)이 각 넉클(12)에 지지되어 있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아암 조립체는 제1아암(21)과 제2아암(22)을 갖고 있다. 제1아암(21)은 핀(2a)으로 브래킷(2)의 넉클에 피봇연결되어 있다. 연결봉(13)은 일단에서 제1아암의(21)의 중간부에 피봇 연결되어 있고 타단에서 핀(14)으로 스파이더블록(15)의 넉클(12)에 피봇 연결되어 있다. 제2아암(22)은 일단에서 핀(16)으로 제1아암(21)의 일단에 피봇 연결되고 핀으로 제2아암(22)을 제1아암(21)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멍(A 및 B)이 천설되어 있다. 선상(부채꼴)판(17)은 제1아암(21)이 핀(2a)주위에 회전할 때 제2아암(22)의 측면과 미끄럼 접촉될 수 있도록 제1아암(21)의 측면에 부분 고정되어 있다. 제6도에 도시된 것처럼 선상판(17)에는 상부의 솔레노이드(18), 솔레노이드(18)부근에 그 일단이 배치되고 지지다리(20)에 의해 중간부에서 피봇 지지된 레버(19), 레버(19)의 타단에 피봇연결된 핀(24), 핀(24)을 관통수납하는 구멍(C) 및 핀(24)을 구멍(C)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5)이 있다. 솔레노이드가 통전되면 제6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지지다리(20)상에서 레버(19)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선상판(17)의 구멍(C)이 제2아암(22)의 구멍(A 또는 B)에 일치할 때, 핀(24)은 스프링(25)의 탄성에 의해 제2아암(22)의 구멍(A 또는 B)안으로 삽입되고, 따라서 제2아암(22)은 제1아암(21)에 쇄정된다.
이렇게 구성된 파지기부 리프팅 마그넷 유닛의 조작방법을 다음에 설명하겠다.
(a) 리프팅 마그넷만의 사용
나사봉(5)을 회전시켜 스파이더블록(15)을 최상부 위치로 들어 올리면 제1아암(21)은 연결봉(13)을 통하여 핀(2a)주위로 회전된다. 선상판(17)의 구멍(C)이 대응 제2아암(22)의 구멍(A)과 일치하면, 핀(24)들은 각각 구멍(C)을 통해 구멍(A)내에 삽입되어 제7a도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 제2아암(22)들을 대응 제1아암(21)들에 고정하게되며, 그리하여 파지아암 조립체는 리프팅 마그넷(1)에 의해 인양 작동만을 위해 접혀진다.
(b) 리프팅 마그넷 및 파지아암 조립체 양자의 사용
제7a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18)가 통전되어 각 레버(19)의 일단(19a)을 끌어들여 레버(19)를 회동시키고 그리하여 각 레버(19)의 타단에 피봇 연결된 핀(24)들은 각각 스프링(25)의 탄성에 대항하여 구멍(A)으로 부터 빠진다.
그 다음 모우터(8)가 통전되어 스파이더블록(15)을 하강시키고 그리하여 제1아암(21)은 구멍(C)이 각각 제2아암(22)의 구멍(B)에 일치하도록 핀(2a)위에서 회동한다. 제1아암(21)이 회동되면, 핀(24)의 자유단이 제2아암(22)의 측면을 따라 미끄러지다가 구멍(C)이 제2아암(22)의 구멍(B)과 일치하게 되면 핀(24)은 스프링(25)의 탄성에 의해 제2아암(22)의 구멍(B)속으로 자동적으로 삽입되며, 그리하여 제7b도에 도시한 것처럼 제2아암(22)은 제1아암(21)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기중기가 작동되어 파지아암 조립체를 물체 위에 가져가게되고, 그런 뒤 모우터(8)가 작동되어 제7c도에 도시된 것처럼 스파이더블록(15)은 더욱 하강되어 파지아암 조립체를 닫게되며, 그리하여 물체는 파지아암 조립체에 파지되고 그와 동시에 리프팅 마그넷(1)에 의해 끌어당겨진다. 스파이더블록(15)은 소정의 상부지점까지 인양되고 제7b도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아암 조립체를 연다
(c) 파지아암 조립체만의 사용
(b) 작동방식에서 리프팅 마그넷은 탈자화(denagnetized)되고 단지 파지아암 조립체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네개의 파지아암 조립체를 갖고 있는 파지기부 리프팅 마그넷에 적용되어, 제1실체예의 브래빗(2), 다리(6) 및 스파이더블록(15)은 네개의 파지아암 조립체를 장착하기에 적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파지아암 조립체의 수는 네개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둘 또는 셋과 같은 임의의 갯수일 수 있고, 대상물체에 따라 임의 변경될 수 있으며, 따라서 브래킷, 다리 및 스파이더블록의 형상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다음에 설명하겠다.
제8도와 9도에 있어서, 제2실시예는 대체로 리프팅 마그넷(201), 각각 제1아암(221)과 제2아암(223)을 갖고 있는 파지아암 조립체(202), 주파워실린더(208), 및 보조파워실린더(203)로 되어 있다. 주파워실린더(208)와 보조파워실린더(203)는 파지아암 조립체(202)를 접고, 조작시키기 위해 작동된다.
리프팅 마그넷(201)과 파지아암 조립체(202)의 조립체는 선회운동을 위해 기중기의 후크(도시안됨)에 매달린 시이브(213)를 갖고있는 회전 구동기구(204)에 착탈자재로 연결되어 있다.
대략 원판상의 리프팅 마그넷(201)은 흡인면(201a)역할을 하는 편평한 하면을 갖고 있다. 브래킷(205)은 리프팅 마그넷(201)의 상면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11a도, 11b도 및 11c도에 도시된 대략 정방형관(각주)상의 주컬럼(207)은 그 하단에서 용접 등에 의해 직립상으로 브래킷(205)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다. 주파워실린더(208)는 주컬럼(207)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주파워실린더(208)와 보조파워실린더(203)는 유압식 실린더이다. 주파워실린더(208)의 실린더(281)의 하단은 핀(209)으로 브래킷(205)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있다(제9도). 스파이더블록(210)(제12a도 및 12b도)이 주파워실린더(208)의 피스톤봉(282)의 자유단에 잠금너트 등의 쇄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스파이더블록(210)은 주파워실린더(208)에 의해 주컬럼(207)의 하반부에 형성된 안내홈(271)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된다.
제10도에 표시된 것처럼, 브래킷(205)은 십자상으로 방사상으로 뻗는 네개의 아암(251)을 갖고 있다. 제1아암(221)은 일단에서 핀(206)으로 아암(251)의 말단에 피봇연결되어 있다. 보조파워실린더(203)의 피스톤봉(231)의 자유단은 핀(211)으로 제1아암(221)의 중간부에 피봇연결되어 있다. 보조파워실린더(203)의 실린더(232)의 자유단은 핀(212)으로 스파이더블록(210)에 피봇연결되어 있다.
각 파지조립체(202)는 제1아암(221)과 핀(222)으로 제1아암(221)의 타단에 피봇연결된 제2아암(223) 및 제2아암(223)을 제1아암(221)에 쇄정하기 위한 쇄정기구(224)로 구성되어 있다.
제13a도와 13b도에 도시된 것처럼, 쇄정기구(224)는 제1아암(221)에 구비된 케이싱(224a), 제2아암(223)에 천설된 구멍(223a 또는 223b)(제8도)에 삽입될 수 있도록 케이싱(224a)에 지지된 쇄정핀(224b), 제2아암(223)쪽으로 쇄정핀(223b)을 가압시키는 스프링(224c), 스프링(224c)의 탄성에 대항하여 쇄정핀(224b)을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224d), 및 유압실린더(224d)의 피스톤봉(2441d)과 쇄정핀(224b)을 상호연결하기 위한 L형상 레버(224e)로 구성되어 있다. 제2아암(223)을 제1아암(221)에 쇄정시킬 때는 피스톤봉(2241d)이 수축되어 스프링(224c)의 탄성에 의해 쇄정핀(224b)이 돌출되게 하며, 그리하여 쇄정핀(224b)은 제2아암(223)의 구멍(223a 또는 223b)속에 삽입되도록 한다. 제2아암(223)을 제1아암(221)에서 풀때는 피스톤봉(2241d)이 스프링(224c)의 탄성에 대항해서 돌출되어 구멍(223a 또는 223b)으로부터 쇄정핀(224b)을 강제로 빼낸다.
요오크(272)는 주컬럼(207)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다. 제14a 및 14b도에 도시된 것처럼 트러니온(274)은 핀(273)으로 요오크(272)에 피봇연결되어 있다. 회전 구동기구(204)의 회전요오크(241)는 핀(275)으로 트러니온(274)에 연결된다. 트러니온(274)은 인양된 물체의 중량이 리프팅 마그넷 유닛에 불규칙적으로 분포되었을 때 리프팅 마그넷 유닛의 경사질 수 있게 한다.
제15a도와 15b도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 구동기구(204)는 회전요오크(241)와 회전요오크(241)를 회전구동하는 유압구동유닛(242)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압구동유닛(242)은 밸브베이스(243), 밸브베이스(243)에 고정된 구동부재(244) 및 구동부재(244)에 장착된 한세트의 밸브(도시안됨)로 되어 있다. 회전요오크(241)의 상단(241a)에 결합하는 선상(Setorial) 회전자(245) 및 격판(246)이 구동부재(244)내에 배치되어 있다. 작용유체를 통과시키는 포오트(244a 및 244b) 및 출구포오트(244c 및 244d)는 구동부재(244)의 주벽에 형성되어 있다.(제15도) 제15c도의 연속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선상회전자(즉, 회전요오크(241))를 회전시키는데는 작용유체는 포오트(244a)를 통해 구동부재(244)내에 공급되고, 한편 작용유체는 출구포오트(244d) 및 포오트(244b)를 통해 또한 스톱밸브(도시안됨)를 통해서 배출된다. 선상 회전자(245)를 2점쇄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회전시키려면, 작용유체는 포오트(244b)를 통해 구동부재(244)내에 공급되고, 한편 작용유체는 출구포오트(244c) 및 포오트(244a)를 통해 또한 스톱 밸브를 통해(도시안됨)배출된다. 그리하여 선상회전자(245)(즉, 회전요오크(241))는 120°의 각도 범위에서 회전된다. 밀폐 고무판(245a)이 각각 선상 회전자(245)의 대향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두 대향 축두(246)는 구동부재(244)의 주벽에 설시되어 있다. 유압구동기구(242)를 크레인의 후크(제8도)에서 시이브(213)의 홈안에 매달기 위한 시이브(213) 및 시이브(213)주위에 권취된 유지와이어(215)를 위한 보호커버(214)가 각각 축두(246)에 장착되어 있다.
그렇게 구성된 파지기부 리프팅 마그넷 유닛의 조작방법은 다음에 설명하겠다.
(a) 단지 리프팅 마그넷(201) 만의 사용
유압실린더(224d)의 피스톤봉(2241d)을 신장시켜 제2아암(223)의 구멍(223b)에서 쇄정핀(224b)을 뽑아서 제2아암(223)이 해정되게 한다. 그 뒤 주파워실린더(208)를 작동하여 스파이더블록(210)을 최상부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보조파워실린더(203)의 피스톤봉(231)을 수축시킨다. 그결과 제1 및 제2아암(221 및 223)은 접히고 쇄정핀(224b)은 제1 및 제2아암(221 및 223)이 접힘에 따라 제2아암(223)을 따라 미끄러진다. 쇄정핀(224b)이 대응구멍(223a)과 일치하게 되면, 쇄정핀(224b)은 스프링(224c)의 탄성에 의해 구멍(223a)내에 삽입되어 제2아암(223)을 대응 제1아암(221)에 제8도의 2점쇄선으로 표시된 접힘 위치에서 쇄정한다. 이 상태에서 리프팅 마그넷(201)이 작동된다.
(b) 리프팅 마그넷(201)과 파지아암 조립체(202)의 사용
(a) 상태에서, 유압실린더(224d)의 피스톤봉(2241d)을 신장시켜 쇄정핀(224b)을 구멍(233a)에서 뽑고 제2아암(223)을 제1아암(221)에서 해정한다. 그런 뒤 보조파워실린더(203)의 피스톤봉(231)을 최대 범위까지 신장시키고, 그에 의해 쇄정핀(224b)은 제1아암(221)이 핀(206)주위로 회전됨에 따라 제2아암(223)을 따라 미끄러지고 제2아암(203)은 제1아암(221)에 대하여 핀(222)주위로 회동한다. 쇄정핀(224b)이 제2아암(223)의 구멍(223b)에 일치하게 되면 쇄정핀(224b)이 스프링(224c)의 탄성에 의해 구멍(223b)안에 삽입되어 제2아암(223)을 제1아암(221)에 조작위치에서 쇄정한다. 이 상태에서 리프팅 마그넷(201)은 자화되어 물체를 흡인 수집하고, 그런 뒤 스파이더블록(210)은 주파워실린더(208)에 의해 하강되어 제8도의 연속선으로 표시된 위치에서 제1 및 제2아암(221과 223)을 닫으며, 이로써 대량의 물체가 리프팅 마그넷(201)과 파지아암 조립체(202)에 의해 집혀진다. 리프팅 마그넷(201)의 탈자화후, 파지기부 리프팅 마그넷 유닛은 기중기에 의해 이동되어 물체를 소정장소에 운반한다.
(c) 파지아암 조립체(202)만의 사용
(b)의 과정과 유사하게, 스파이더블록(210)이 주파워실린더(208)에 의해 하강하여, 대량의 물체가 파지아암 조림체(202)에 의해 잡힐 수 있도록 파지아암 조립체(202)를 닫게 되며, 한편으로 리프팅 마그넷(201)은 비자화 상태로 남는다.
(d) 후크만의 사용
핀(275)을 트러니온(274)에서 뽑아 요오크(272)(그러니까 리프팅 마그넷(201)과 파지아암 조립체(202))를 회전요오크(241)에서 제거하고, 그런 뒤 후크를 회전요오크(241)에 연결하여 와이어에 의해 인양작업을 한다. 방식(a) 내지 (d)의 어느하나의 방식으로 인양작업을 할 때는 회전요오크(241)는 유압구동기구(204)에 의해 120°의 각도 범위로 회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다음에 설명하겠다.
제16도에 있어서 리프팅 마그넷(301)은 주파워실린더(308)에 매달려 있다.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의 주컬럼(207)에 해당하는 어떤 부재도 갖지 않는다. 삼각형 브래킷(316)은 리프팅 마그넷(301)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고 제1아암(321)은 핀(316a)으로 각각 삼각형브래킷(316)에 피봇 연결되어 있다. 삼각형 브래킷(316)은 리프팅 마그넷(301)의 외주에 부착될 수 있다.
제2아암(323)은 각각 제1아암(321)에 피봇 연결되어 있다. 제1 및 제2아암(321 및 323)은 주파워실린더(308)의 피스톤봉(382)이 충분히 신장했을 때 파지할 수 있게 닫힌다.
제3실시예의 기타 부품과 구성은 제2실시예의 그것과 유사하다.
제17도는 변형된 쇄정기구(224)를 예시한다. 쇄정기구(224)는 핀(324g)으로 제1아암(321)에 피봇연결된 쇄정판(324f), 쇄정위치에 쇄정판(324f)을 유지하기 위한 유압실린더(324h) 및 해정스프링(324i)으로 되어있다. 제2아암(323)을 제1아암(321)에 쇄정함에 있어서는 쇄정판(324f)은 제2아암(323)에 결합하고 유압실린더(324h)의 피스톤봉은 뻗쳐져서 쇄정판을 쇄정위치에 유지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제18도 내지 27도를 참고로 앞으로 설명하겠다.
주파워실린더(504)의 후단은 흡인면(501a)을 가진 리프팅 마그넷(501)의 상면의 중앙부에 부착된 브래킷(502)에 핀(503)으로 피봇연결되어 있다. 나사부(505b)를 갖고 있는 감축부(505a)는 주파워실린더(504)의 피스톤봉(505)의 말단에 형성되어 있다.
4지 스파이더블록(506)은 피스톤봉(505)의 감축부(505a)에 끼워져서 너트(507)로 거기에 고착되어 있다.
4지 스파이더블록(506)은 4개의 사각형의 2지(두갈래진)아암(506a)을 갖고 있다. 보조파워실린더(508)의 일단은 각 2지 아암(506a)에 피봇연결되어 있다. 회전구동기구(509)의 회전축(509a)은 핀(506b)으로 4지 스파이더블록(506)의 상부에 피봇연결되어 있다.
제23도와 제24도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 구동기구(509)는 회전축(509a)의 상단(509b)과 플랜지(509c)를 수용하는 밀폐실린더(509d) 및 실린더(509d)의 내주와 회전축(509a)의 상단(509b)의 외주에 의해 획정된 공간을 분할하는 격판(509e)을 갖고 있다. 그의 대향측면에서 실린더(509d)의 내주와 밀접하는 밀폐부재(509f)가 구비된 선상 회전자(509g)는 회전축(509a)의 상단(509b)에 고정되어 있다. 입구 포오트(509h 및 509j)는 각각 격판(509e)의 일단 부근 격판(509e)의 양측에 실린더(509d)의 주벽안에 형성되어있고, 한편 출구포오트(509k 및 509l)는 각각 격판(509e)의 타단부근 격판(509e)의 양측에 실린더(509d)의 주벽내에 형성되어 있다. 작동유체가 입구 포오트(509h)를 통해 실린더(509d)에 공급되면, 선상회전자(509g)는 제24도에서 연속선으로 표시된 위치로부터 2점 쇄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회전되고 그에의해 4지 아암스파이더블록(506)이 거기 따라서 회전된다. 작동유체가 입구포오트(509j)를 통해 실린더(509d)내에 공급되면 회전축(509a) 그러니까 4지 스파이더블록(506)은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8도와 19도에 있어서, 네개의 브래킷(510)은 리프팅 마그넷(501)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각각의 제1아암(512)은 핀(511)으로 브래킷(510)의 인단에 피봇연결되어 있다. 제2아암(514)는 핀(513)으로 제1아암의 타단에 피봇연결되어 있다. 보조파워실린더(508)의 피스톤봉의 말단은 상부아암(512)의 중간부에 피봇 연결되어 있다.
제25도와 26도에 예시된 것처럼 제1아암(512)에 배치설치된 쇄정기구(515)는 커버(515a), 제2아암(514)에 형성된 구멍(514a 또는 514b)(제18도)속에 삽입될 수 있는 쇄정핀(515b), 제2아암(514)쪽으로 쇄정핀을 가압시키는 스프링(515c), 스프링(515c)의 탄성에 맞서 쇄정핀(515b)을 움직이기 위한 유압실린더(515d), 및 유압실린더(515d)의 피스톤봉(5151d)과 쇄정핀(515b)을 상호 연결하는 L형상 레버(515e)로 되어 있다. 제2아암(514)을 제1아암(512)에 쇄정시킬 때는 피스톤봉(5151d)이 수축되어 스프링(515c)의 탄성에 의해 쇄정핀(515b)이 제2아암(514)의 구멍(514a 또는 514b)안에 삽입된다. 제2아암(514)을 제1아암(512)에서 해정시킬 때는, 피스톤봉(5151d)이 신장되어 스프링(515c)의 탄성에 맞서 구멍(514a 또는 514b)으로부터 쇄정핀(515b)을 빠져나게 한다.
제18도 내지 22도에 도시된 것처럼, 안내로울러(516a)을 갖고 있는 안내파이프(516)가 주파워실린더(504)의 실린더의 수직 이동을 안내키 위해 비치설치되어 있다. 외부나사산(516b)이 안내파이프(516)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내부나사산(517a)을 가진 안내파이프 현수부재(517)는 4지 스파이더 블록(506)에 배치설치되어 있다. 안내파이프(516)는 안내파이프(516)가 안내파이프 현수부재(517)에 현수되도록 안내파이프 현수부재(517)에 나사부착된다. 슬롯(516c)은 4지 스파이더블록(506)과 안내 파이프(516)사이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안내파이프(516)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파지아암 조립체를 구동하는 유압유닛의 유압회로를 보여주는 제27도에 있어서, 탱크(518)에 저장된 작동유체는 필터(521)를 통해 펌프업되고 모우터(519)에 의해 구동되는 가변용량 펌프(520)에 의해 공급라인(522)에 이송된다.
공급라인(522)과 하역기(524)에 있는 작동유체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523)가 공급라인(522)에 배치설치되어 있다. 주파워실린더(504)는 전자밸브(525)의 솔레노이드(S1 또는 S2)에 통전함에 의해 제어된다. 주파워실린더(504)를 제어하는 분기회로는 제한기(526), 체크밸브(527) 및 파일롯 체크밸브(528)를 포함한다. 작동유체의 귀환류는 제한기(526)에 의해 제한되므로 주파워실린더(504)의 피스톤봉은 저속으로 작동된다. 주파워실린더(504)의 피스톤봉이 고속으로 수축될 필요가 있을 때는 전자밸브(529)의 솔레노이드(S3)와 전자밸브(525)의 솔레노이드(S1)가 통전되어 제한기(526)를 통하는 대신 전자밸브(529)를 통해 귀환라인(530)내로 작동유체를 흐르게 한다. 전자밸브(531)의 솔레노이드(S4 또는 S5)가 통전되어 회전구동기구(509)의 회전축(509a)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전자밸브(532)의 솔레노이드(S6 또는 S7)가 통전되어 쇄정기구의 유압실린더(515d)를 제어한다. 전자밸브(533)의 솔레노이드(S8 또는 S9)가 통전되어 보조파워실린더(508)를 제어한다.
제18도에 도시된 것처럼 제1아암(512)과 제2아암(514)이 리프팅마그넷(501)상에 접혀진 상태에서 유압실린더(515d)의 피스톤봉(5151d)이 신정되어 대응구멍(514a)으로부터 쇄정핀(515b)을 뽑아 제2아암(514)을 대응 제1아암(512)에서 해정한다. 그런 뒤 보조파워실린더(508)의 피스톤봉이 신장되어 핀(510)주위로 제1아암(512)을 회동시킨다. 제2아암(514)는 그 자신의 사(死)하중에 의해 향상 하향되기 때문에 제2아암(514)은 제1아암(512)이 열릴 때 제1아암(512)에 대해 열린다. 제2아암(514)이 제1아암(512)에 대해 열릴 때, 쇄정핀(515b)이 제2아암(514)의 측면을 따라 미끄러지고, 쇄정핀(515b)이 제2아암(514)의 대응구멍(514b)과 일치하면 쇄정핀(515b)이 스프링(515c)이 탄성에 의해 구멍(514b)내에 삽입되어 제2아암(514)을 제1아암(512)에 쇄정한다. 그런 뒤 리프팅마그넷이 자화되어 물체를 모으고, 그런 다음 주파워실린더(504)의 피스톤봉이 수축되어 제19도에 도시된 상태로 파지아암 조립체를 닫고 제19도에 있어 2점쇄선으로 표시된 위치로부터 연속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리프팅마그넷(501)을 인양한다. 이 파지조작중에는 리프팅마그넷(501)은 주파워실린더(504)의 피스톤봉의 행정(L)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인양되기 때문에, 파지기부 리프팅마그넷유닛은 거리(L)만큼 낮아지고 그에 의해 파지기부 리프팅마그넷유닛의 높이는 길이(L)만큼 감소된다. 파지기부 리프팅마그넷유닛의 높이의 감소는 예컨대 지붕이 낮은 건물에서 가공주행기중기를 사용하여 짐높이가 높은 트럭을 적재 또는 하역시에서처럼 인상조작을 위해 좁은 공간만이 허용되는 장소에서 파지기부 리프팅마그넷유닛을 조작할때에 유리하다. 제19도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아암 조립체를 닫은 뒤 대량의 물체를 보유한 파지기부 리프팅마그넷유닛은 기중기에 의해 원하는 장소에 이동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제28도 내지 33도 및 39도 내지 4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제28도에 있어서, 리프팅마그넷(601)은 자성물체를 끌어당기는 흡인면(601a)을 갖고 있다. 주파워실린더(604)의 하단은 흡인면(601a)의 반대쪽 리프팅마그넷(601)의 상면의 중앙부에 부착된 브래킷(602) 핀(603)으로 피복연결되어 있다. 주파워실린더(604)의 상단에 형성된 보스(604a)에서 반대방향으로 뻗은 한쌍의 핀(604b)은 각각 한쌍의 지지부재(605)의 하단에 피봇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리프팅마그넷(601)은 지면(紙面)에 평행으로 수평으로 뻗은 축을 가진 핀(604b) 주위로 또한 지면에 수직으로 수평으로 뻗은 축을 가진 핀(603) 주위로 회동할 수 있다. 즉, 리프팅마그넷(601)은 경사운동의 2자유도를 가지며 그래서 리프팅마그넷(601)은 경사진 상명을 가진 물체를 가깝게 끌어당길 수 있다.
지지부재(605)의 상단은 트러니온(606)에 피봇연결되어 있고, 트러니온은 수평면에서 회동할 수 있는 회전구동기구(607)에 피봇연결되어 있다.
제31도와 32도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구동기구(607)는 상단(607b)과 플랜지(607c)를 갖고 있는 회전축(607a), 회전축(607a)의 상단(607b)과 플랜지(607c)를 수용하는 밀폐실린더(607d), 실린더(607d)의 내주와 회전축(607a)의 상단(607b)의 외주에 의해 획정되는 공간을 분할하는 격판(607e), 회전축(607a)의 상단(607b)에 고정된 선상회전자(607g), 및 실린더(607d)의 내주와 밀접되도록 선상회전자(607g)의 양측에 부착된 밀폐부재(607f)로 되어 있다. 입구포오트(607h 또는 607j)는 격판(607e)의 일단의 양측에서 실린더(607d)의 주벽에 형성되어 있고, 한편 출구포오트(607k 및 607l)는 격판(607e)의 타단의 양측에서 실린더(607d)의 주벽내에 형성되어 있다. 작동유체가 입구포오트(607h)를 통해 실린더(607d)내에 공급될 때, 선상회전자(607g)는 제32도에 있어 연속선으로 표시된 위치로부터 2점쇄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선상회전자(607g)가 회전되면 트러니온(606)은 회전축(607a)에 의해 회전된다. 작동유체가 입구포오트(607j)를 통해 실린더(607d)내에 공급되며, 트러니온(606)은 회전축(607a)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제30도에 도시된 것처럼 상호직교하는 방사상 2지아암(609a)를 갖고 있는 스파이더블록(609)은 주파워실린더(604)의 피스톤봉(608)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다. 보조파워실린더(610)의 일단은 각각 2지아암(609a)에 피봇연결되어 있다.
제29도에 표시된 것처럼 4개의 브래킷(611)이 리프팅마그넷(601)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4개의 제1아암(612)의 각각은 그 인단에서 브래킷(611)에 피봇연결되어 있다. 제2아암(614)은 핀(615)으로 제1아암(612)의 타단에 피봇연결되어 있다. 제2아암(614)을 조작하는 유압실린더(616)는 핀(616a)으로 제1아암(612)의 타단에 착탈다능하게 피봇연결되어 있다(제39도). 제39도와 40도에 도시된 것처럼 핀(616a)은 랙(616b)을 갖고 있고, 핀제어기구(638)의 케이싱(638a)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케이싱(638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638c)에 고정된 피니온(638b)은 랙(616b)과 결합한다. 레버(638e)는 회전축(638c)에 고정된다. 작은 유압실린더(표시안됨)에 의해 밀리고 끌리는 와이어(케이블)(638d)(상품명 : Cablex PushPull Cable
Figure kpo00001
)는 레버(638e)에 연결되어 반대방향으로 레버(638e)를 회동한다. 핀(616a)은 레버(638e)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는 피니온(638b)에 의해 축방향의 대향방향으로 이동된다. 핀(616a)의 인단은 핀(616a)이 유압실린더(616)의 구멍(616c)에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둥글게 되어 있다. 핀(616a)의 좌향행정을 조정하고 핀(616a)의 좌향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조정가능 스토퍼(638f)가 케이싱(638a)에 구비되어 있다. V형상의 센터링부재(638g)가 핀(616a)이 유압실린더(616)의 구멍(616c)속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616)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해 케이싱(638a)의 측벽의 내면상에 설치되어 있다. 유압실린더(616)가 제2아암(614)상에 배치된 스프링홀더(614a)에 의해 유지된 스프링(614b)에 의해 대략 바른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제2아암(614)이 접혀질 때, 핀(616a)은 제39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좌측으로 이동되어 와이어(638d)를 당김으로써 유압실린더(616)의 구멍(616c)으로부터 분리되고 그리하여 랙(616b)과 결합하는 피니온(638b)을 레버(638e)를 통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2아암(614)이 물체를 파지하기 위해 제28도에서 1점쇄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제1아암(612)에서 현수될 때 핀(616a)은 제 39에 표시된 위치로 이동되고 레버(638e)를 통해 피니온(638b)을 레버(638e)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유압실린더(616)의 구멍(616c)속에 삽입된다. 핀(616a)을 유압실린더(616)의 구멍(616c)안에 삽입한 뒤, 유압실린더(616)의 피스톤봉은 신장되어 파지작용을 위해 핀(615) 주위로 제2아암(614)을 회동시킨다.
제1아암(612)은 주파워실린더(604)와 보조파워실린더(610)에 의해 핀(613)주위로 회전된다. 제1아암(612)에 피봇연결된 쇄정레버(617)는, 제1아암(612)과 제2아암(614)이 제28도에서 연속선에 의해 표시된 것처럼 리프팅마그넷(601)상에서 접어질 때 제2아암(614)에 착설된 후크부재(618)와 결합하여 제2아암(614)을 제1아암(612)에 고정한다. 쇄정레버(617)는 작은 유압실린더(표시안됨)에 의해 일단에서 쇄정레버(617)에 연결된 와이어(619)를 당김에 의해 후크부재(618)로부터 해제된다.
본 발명에 파지아암 조립체를 제어하기 위한 유압유닛의 유압회로를 보여주는 제33도에 있어서, 작동유체는 필터(623)를 통해 탱크(620)로부터 펌프업되고 모우터(621)로 구동되는 가변용량 펌프(622)에 의해 공급라인(624)에 공급된다. 공급라인(624)과 하역기(626)에 있는 작동유체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기(625)가 공급라인(624)에 배치설치되어 있다. 주파워실린더(604)를 제어하는 분기회로는(628), 제한기(628), 체크밸브(629) 및 파일롯 체크밸브(630)를 포함한다. 작동유의 귀환류는 제한기(628)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주파워실린더(604)의 피스톤봉은 저속으로 작동된다. 주파워실린더(604)의 피스톤봉이 고속으로 수축될 필요가 있을 때는 전자밸브(631)의 솔레노이드(S3)와 전자밸브(627)의 솔레노이드(S1)가 통전되어 제한기(628)를 통하는 대신에 전자밸브(631)를 통해 작동유체를 귀환라인(682)내에 유입하게 한다. 전자밸브(633)의 솔레노이드(S4 또는 S7)가 통전되어 회전구동기구(607)의 회전축(607a)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전자밸브(634)의 솔레노이드(S6 또는 S7)가 통전되어 보조파워실린더(610)의 피스톤봉을 신장 또는 수축한다. 전자밸브(635)의 솔레노이드(S8 또는 S9)가 통전되어 제2아암(614)을 제어하기 위해 유압 실린더(616)의 피스톤봉을 신장 또는 수축시킨다.
작동을 설명하면, 주파월실린더(604)와 보조파워실린더(610)를 작동하여 제1아암(612) 및 제2아암(614)을 펼쳐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회동시킨다. 그 뒤, 레버(638e)를 와이어(638d)로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핀(616a)을 유압실린더(616)의 각 구멍(616c)안에 삽입하고 그리하여 제2아암(614)이 각각 제1아암(612)에 대해 핀(615)주위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그 다음 파지아암 조립체를 기중기로 낮추에 제2아암(614)을 물체내에 밀어넣는다. 그후, 전자밸브(627)의 솔레노이드(S1 및 S2)가 타이머와 같은 적당한 수단의 제어하에 교대로 통전되어 약 200mm의 제2아암(614)의 자유단의 왕복범위(V)에서 제2아암(614)을 진동시키며 그리하여 제2아암(614)이 물체 본덩어리안에 깊이 밀려들게 한다. 그런 뒤 유압실린더(616)의 피스톤봉을 신장시켜 2점쇄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제2아암(614)을 회동시켜 리프팅마그넷(601)과 제2아암(614) 사이에 물체를 지지한다. 그 뒤, 파지기구가 장착된 리프팅마그넷유닛을 인양시켜 기중기로 이동하여 물체를 소망하는 장소에 운반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제34도 내지 38도를 참고로 앞으로 설명하겠다.
주파워실린더(704)의 하단은 리프팅마그넷(701)의 흡인면(701a)반대측의 리프팅마그넷(701)의 상면의 중앙부에 부착된 브래킷(702)에 핀(703)으로 피봇연결되어 있다. 제36도에 예시된 것처럼 나사부(708c)를 가진 감축부(708b)가 주하부실린더(704)의 피스톤봉(708a)의 말단에 형성되어 있다. 상호 직각으로 방사상의 외향으로 뻗은 2지아암(709a)을 가진 4지 스파이더블록(709b)은 너트(708d)로 감축부(708b)에 고정된다. 각 보조파워실린더(710)의 일단은 2지아암(709a)에 피봇연결되어 있다. 스파이더블록(709b)의 상단은 회전구동기구(707)의 회전축(707a)에 핀(709c)으로 피봇연결되어 있다. 회전구동기구(707)의 구성은 제5실시예의 회전구동기구의 구성과 같다. 내부나사산(736a)을 가진 안내파이프 지지부재(736)는 스파이더블록(709b)에 장착되어 있다. 그 상단의 외주에 형성된 외부나사산(737a)를 갖고 있고 안내로울러(737a)를 회전지지하는 안내파이프(737)는 안내파이프 지지부재(736)에 나사부착되어 있다. 그래서 안내파이프(737)는 안내파이프 지지부재(736)에 현수되어 있다.
리프팅마그넷(701)의 상면에 부착된 네개의 브래킷(711)에 피봇연결된 제1아암(712) 및 제1아암에 피봇연결된 제2아암(714)의 각각의 구성은 제5실시예의 것과 같다.
유압유닛의 구성도 제5실시예에서 사용된 유압유닛의 것과 같다.
제6실시예의 조작방식은, 리프팅마그넷(701)이 주파워실린더(704)의 피스톤봉이 거리(L)만큼 수축될 때 거리(L)만큼 상승한다는 점에서 제5실시예와는 상이하다. 따라서 주파워실린더(704)의 피스톤봉이 일정거리 수축될 때 파지기부 마그넷유닛은 리프팅마그넷(701)의 흡인면(701a)의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동일거리만큼 하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6실시예의 작동높이는 감소되고 그래서 제6실시예는 좁은 인양공간만이 이용가능한 장소에서 유리하게 작동될 수 있다.
주파워실린더(704)의 피스톤봉은 옹복되고 제2아암(714)의 자유단은 제35도에 도시한 것처럼 약 20mm의 범위(V)에서 왕복되어 제2아암(714)을 인양될 물체속에 깊이 밀어넣고, 그런 뒤 유압실린더(716)의 피스톤봉은 신장되어 파지아암 조립체로 물체를 파지한다.
제5 및 제6실시예는 제2아암(714)이 진동되어 쌓인 물체내에 깊이 밀어 넣어지고 그런다음 제2아암이 물체를 파지하기 위해 닫쳐지기 때문에 더 많은 양의 물체를 파지할 수 있다.
제6실시예는 파지아암 조립체가 파지동작을 위해 닫힐 때 리프팅마그넷(701)은 하강되기 때문에 좁은 인양공간만이 허용되는 장소에서 조작하기에 특히 유리하다.
더욱이, 제5 및 제6실시예의 제2아암(714)은 제1아암에 매달려 대략 수직위치로 쌓인 물체내에 투입되므로 제5 및 제6실시예는 좁은 보디를 가진 트럭에 적재된 물체를 파지하는데 사용하기에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제42도 내지 58도를 참고로 하여 아래에 설명하겠다.
제42도 및 43도에 있어서, 주브래킷(802)은 리프팅마그넷(801)의 흡인면(801a)의 반대쪽 리프팅마그넷(801)의 상면의 중앙부에 부착되어 있다. 주브래킷(802)은 방사상 외향으로 뻗고 각각 그 자유단에 형성된 2지부(802a)를 갖고 있는 방사상 4지아암(802b)을 갖고 있다. 주파워실린더(803)는 주브래킷(802)의 상면의 중앙부에(804)에서 피봇연결되어 있다. 그의 각 측벽의 상반부에 형성된 안내슬롯(805a)을 가진 정방형 주컬럼(805)은 주브래킷(802)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트러니온 조립체(806)는 주컬럼(805)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다. 외부나사산(803b)은 주파워실린더(803)의 피스톤봉(803a)의 자유단의 주변에 형성되어 있다. 2지아암(807a)과 그 중심부에 형성된 내부나사산(807b)을 가진 하부 스파이더블록(807)은 피스톤봉(803a)의 자유단에 나사부착되어 있고 너트(808)는 하부 스파이더블록(807)을 피스톤봉(803a)에 쇄정하기 위해 피스톤봉(803a)의 자유단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너트(808)의 외주는 제50도에서처럼 하주 스파이더블록(807)의 2지아암(807a)에 직각으로 뻗은 두 2지아암(809a)를 가진 상부 스파이더블록(809)의 내주에 끼워진다. 핀(812)을 수납하는 구멍(810)은 상부 스파이더블록(809)과 너트(808)를 통해 형성되어 있다. 핀(812)은 핀제어기구(811)에 의해 구멍(810)에 삽입되고 빠진다. 트러니온 조립체(806)의 저면에서 돌출하는 보스(813)를 밀접 수납하는 2지부(809b)는 상부 스파이더블록(809)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핀(816)을 수납하는 구멍(814)은 2지부(809b)와 트러니온 조립체(806)의 보스(813)를 통해 형성되어 있다. 핀(816)은 유압실린더(815)에 의해 구멍(814)에서 빠지고 삽입된다.
제51도, 52도 및 53도는 핀제어기구(811)를 도시한다. 기판(811b)은 트러니온 조립체(806)의 하면에 매달린 레그(811a)에 달려있다. 활주기부(811d)를 안내하는 안내슬라이드(811d)는 기판(811b)의 대향측면에 행성되어 있다. 활주기부(811c)는 유압실린더(811e)에 의해 안내슬라이드(811d)를 따라 대향방향으로 이동된다. 핀(812)을 클림핑시키고 클림핑을 풀기 위한 유압실린더(811f)로 작동되는 클램핑장치(811g)는 활주기부(811c)에 장착되어 있다. 접촉판(811h)은 스프링(811i)의 탄성에 의해 핀(812)의 인단과 접촉유지되어 있다. 스토퍼(811j)는 활주기부(811c)의 전방향이동을 제한한다.
네개의 보조파워실린더(821)중 두 개의 보조파워실린더(821)의 실린더는 핀으로 2지아암(807a)의 말단에 피봇연결되어 있고, 보조파워실린더(821)의 나머지 실린더는 각각 2지아암(809a)의 말단에 핀으로 피봇연결되어 있다. 4개의 제1아암(820)의 각각은 주브래킷(802)의 2지아암(802a)의 말단에 핀(817)으로 피봇연결된 일단과 제2아암(819)에 핀(818)으로 피봇연결된 타단을 갖고 있다. 보조파워실린더(821)의 피스톤봉(821a)의 자유단은 제1아암(820)의 중간부에 핀(822')으로 피봇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제1아암(820)은 주파워실린더(803)와 보조파워실린더(821)에 의해 제1 및 제2아암이 접혀지는 2점쇄선으로 표시된 리프팅 마그넷(801) 상부의 위치와 제1 및 제2아암이 뻗어진 연속선으로 표시된 리프팅마그넷(801) 하부의 위치의 사이에 희동된다(제42도).
제54도와 55도에 도시된 쇄정기구(822)는 각각의 제1아암(820)에 설치되어 있다. 쇄정기구(822)는 케이싱(822a), 제2아암(819)에 형성된 구멍(819a 또는 819b)에 삽입되고 빠지도록 케이싱(822a)에 축방향으로 가동적으로 지지된 쇄정핀(822b)(제43도), 제2아암(819)쪽으로 쇄정핀(822b)을 가압시키는 스프링(822c), 스프링(822c)의 탄성에 맞서 쇄정핀(822b)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822d), 및 쇄정핀(822b)과 유압실린더(822d)의 피스톤봉(8221d)을 상호연결시키는 L형상레버(822e)로 되어 있다. 쇄정기구(822)에 의해 제2아암(819)을 쇄정시키는데 있어서는 피스톤봉(8221d)은 스프링(822c)의 탄성에 의해 수축되어 쇄정핀(822b)이 구멍(819a 또는 819b)안에 삽입되게 하여, 제2아암(819)을 해정시킬때는 스프링(822b)의 탄성에 맞서서 피스톤봉(8221d)은 신장되어 쇄정핀(822b)을 구멍(819a 또는 819b)에서 빠지게 한다.
제56도에 도시된 것처럼, 트리니온 조립체(806)는 주브래킷(802)에 고정된 주컬럼(805)의 상단에 고정된 기부(816a), 기부(816a)에 설치된 베어링부재(816b), 및 베어링부재(816b)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축(816c)으로 되어 있다. 핀(816d)은 축(816c)의 중심부에서 대향하여 반대방향으로 뻗어 있다. 축(816c)은 핀(816d)에 의해 회전구동기구(823)의 회전축(823a)에 피봇연결되어 있다. 보스(813), 레그(811a)에 의해 현수된 기판(811b) 및 유압실린더(815)를 안착하는 시이트(816e)가 가부(816a)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59도 및 58도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구동기구(823)는 상단(823b)과 플랜지(823c)를 가진 회전축(823a), 회전축(823a)의 상단(823b)과 플랜지(823c)를 수용하는 밀폐실린더(823d), 실런더(823d)의 내주와 회전축(823a)의 상단(823b)의 외주에 의해 획정된 공간을 분할하는 격판(823e) 및 실린더(823d)의 내주에 밀접하고 회전축(823a)의 상단(823b)에 고정된 밀폐부재(823f)와 함께 그 양단에 배치된 선상회전자(823a)로 되어 있다 입구포오트(823h 및 823)는 격판의 양측에 격판(823e)의 일단 부근실린더(823d0의 주벽에 형성되어 있고, 한편 출구포오트(823k 및 823)는 격판의 양측에 격판(823e)의 타단부근의 실린더(823d)의 주벽에 형성되어 있다. 작동유체가 입구포오트(823h)를 통해 실린더(823d)내에 공급될 때, 선상회전자(823g)는 연속선으로 표시된 위치에서 2점쇄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회동된다. 따라서 트러니온 조립체(806), 그래서 트러니온 조립체(806)로부터 매달려있는 기구는 회전축(823a)의 축주위로 회전축(823a)에 의해 회전된다. 작동유체가 입구포오트(823)를 통해 실린더(823d)내에 공급될 때, 트러니온 조립체(806), 그래서 트러니온 조립체(806)에 매달린 기구는, 회전축(823a)에 의해 대향방향으로 회동된다.
조작에 있어서는 각각 제1 및 제2아암으로 되어 있는 네개의 파지아암 조립체, 또는 두 파지아암 조립체가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조각 물체를 파지함에 있어서는 네개의 파지아암 조립체가 사용되고 장척물체를 파지시에는 두 파지아암 조립체가 사용된다.
4파지 아암 조립체의 사용 :
상부 스파이더블록(809)은 유압실린더(815)의 피스톤봉을 수축함으로써 핀(816)을 구멍(814)에서 뽑음으로써 보스(813)에서 해방되고, 핀(812)은 상부 스파이더블록(809)과 너트(808)를 통해 형성된 구멍(810)안으로 삽입되어 4지아암 스파이더블록의 상부 스파이더블록(809)과 하부 스파이더블록(807)을 결합한다. 핀(812)은 다음 방법으로 구멍(810)안에 삽입된다. 핀(812)이 구멍(810)의 외부에 위치될 때, 유압실린더(811f)의 피스톤봉은 수축되어 클램핑장치(811g)로 핀(812)을 파지하고, 유압실린더(811e)의 피스톤봉은 수축되어 활주기부(811c)를 후단위치(우측끝)에 위치시킨다. 유압실린더(811e)의 피스톤봉이 신장되어 활주기부(811c)가 스토퍼(811j)와 접촉하게 되는 선단위치(좌측끝)에 활주기부(811c)를 이동시키고, 그에 의해 클램핑장치(811g)에 의해 클램핑된 핀(812)은 상부 스파이더블록(809)과 너트(808)를 통해 형성된 구멍(810)안에 삽입된다. 그런 뒤, 유압실린더(811f)의 피스톤봉이 신장되어 클램핑장치(811g)로부터 핀(812)을 해방시키며, 그런 뒤 유압실린더(811e)의 피스톤봉이 수축되어 클램핑장치(811g)와 함께 활주기부(811c)를 후단위치에 이동한다.
그런 뒤, 유압실린더(822d)의 피스톤봉(8221d)이 신장되어 제2아암(819)의 구멍(819a)으로부터 쇄정핀(822b)을 뽑고, 그리하여 제2아암(819)이 각각 제1아암(820)으로부터 해정된다. 그 뒤, 보조파워실린더(821)의 피스톤봉이 신장되어 핀(817)주위로 제1아암(820)을 각각 회동한다. 제2아암(819)은 그 사하중에 의해 제1아암(820)으로부터 현수되므로, 제1아암이 외부로 회동될 때 제1아암(820)에 대해 열린다. 쇄정핀(822b)이 각각 제2아암(819)의 구멍(819b)과 일치하면, 쇄정핀(822b)이 각각 스프링(822c)의 탄성에 의해 구멍(819b)내에 삽입된다. 그리하여 제2아암(819)이 대응하는 제1아암(820)에 쇄정된다.
이 상태에서 리프팅마그넷(801)이 자화되어 흡인력에 의해 물체를 수집하고, 그런 뒤 주파워실린더(803)의 피스톤봉이 수축되어 제1아암(820)과 제2아암(819)이 제42도에 있어 연속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부 스파이더블록(809)과 하부 스파이더블록(807)의 조합품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런 뒤 파지기부 리프팅마그넷유닛은 상승되고, 그런 뒤 물체를 파지하는 파지기부 리프팅마그넷유닛은 물체를 소망장소에 수송하기 위해 수평이동된다.
2파지아암 조립체의 사용 :
주파워실린더(803)의 피스톤봉이 신장되어 제48도에 도시된 위치로 상부 스파이더블록(809)을 상방 이동시킨다.
그 뒤, 유압실린더(815)의 피스톤봉이 신장되어 상부 스파이더블록(809)과 보스(813)를 통해 형성된 구멍(814)안으로 핀(816)을 삽입시키며 그런 뒤 핀(812)은 클램핑장치(811g)에 의해 클램핑되고 클램핑장치는 수축되어 상부 스파이더블록(809)에서 핀(812)을 뽑으며, 그리하여 상부 스파이더블록(809)은 하부 스파이더블록(807)에서 해방되어 핀(816)으로 보스(813)에 연결된다. 그리하여 2파지아암 조립체의 제1아암(820)과 제2아암(819)은 접혀져 제42도의 2점쇄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저장된다.
한편, 하부 스파이더블록(807)에 피봇연결된 제1아암(820)에 피봇연결된 주파워실린더(803)와 보조파워실린더(821)가 장척물 파지조작을 위해 작동된다. 2파지아암 조립체의 방향은 회전구동기구(823)에 의해 장척물의 길장방향에 따라 적당히 조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7실시예는 4파지아암 조립체중 2파지아암 조립체를 사용함으로써 곤란없이 조각물체는 물론 장착물체를 취급할 수 있다. 더욱이, 파지기부 리프팅마그넷유닛의 형상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핀을 조작함으로써 2파지아암 조립체를 가진 형상 또는 4파지아암 조립체를 가진 형상으로 쉽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파지기부 리프팅마그넷유닛은 리프팅마그넷과 유압제어되는 파지아암 조립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인양조작중 리프팅마그넷에 전원공급이 중단되어도 인양된 물체가 낙하될 위험이 없고, 리프팅마그넷의 인력의 부족 또는 리프팅마그넷의 인력의 감소는 파지아암조립체에 의해 보충될 수 있기 때문에, 파지기부 리프팅마그넷유닛에는 소형경량의 리프팅마그넷을 장착하여 파지기부 리프팅마그넷유닛의 중량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어느 정도 특정하여 바람직한 양태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에서 벗어남이 없이 여러변화와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자화되었을 때 인력을 발생하고 탈자화되었을 때 인력을 소실하는 리프팅마그넷(1), 리프팅마그넷의 흡인면에 대향하여 리프팅마그넷(1)의 상면에 부착된 브래킷(2), 일단에서 브래킷(2)에 회전가능하게 직립하여 지지되는 나사봉(5), 각각 브래킷(2)의 하나의 아암의 말단에 핀(2a)으로 피봇연결된 제1아암(21), 제1아암(21)의 타단에 핀(16)으로 피봇연결된 제2아암(22)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파지아암 조립체, 나사봉(5)의 타단에 배치된 기판(7), 나사봉(5)을 회전시키기 위해 기판(7)에 배치된 모우터(8)로 구성된 파지기부 리프팅마그넷유닛에 있어서, 상단에서 기판(7)에 고정된 프레임(6), 하단에서 브래킷(2)에 고정되고 상단에서 기판(7)에 고정된 프레임(6), 나사봉(5)과 결합되는 내부나사산부착 중앙공을 가진 스파이더블록(15), 일단에서 핀(14)으로 스파이더블록(15)에 피봇연결되고, 타단에서 핀으로 제1아암(21)의 중간부에 피봇연결된 봉(13), 및 핀(24)을 제2아암(22)에 형성된 구멍(A, B)에 삽입함으로써 제2아암(22)을 제1아암(21)에 쇄정시키는 쇄정기구를 포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마그넷유닛.
  2. 자화되었을 때 인력을 발생하고 탈자화되었을 때 인력을 소실하는 리프팅마그넷(201), 각각 일단에서 리프팅마그넷(201)에 피봇연결된 제1아암(221)과 제1아암에 피봇연결된 제2아암(223)으로 된 복수개의 파지아암 조립체(202)로 구성되는 파지기부 리프팅마그넷유닛에 있어서, 제2아암(223)은 제1아암(221)의 타단에 피봇연결되어, 리프팅마그넷(201)에 연결되지 않으며, 제1아암(221)위로 또는 안으로 접힐 수 있으며, 제2아암(223)을 제1아암(221)에 쇄정시키는 쇄정기구(224), 리프팅마그넷(201)의 상면에 배치된 주파위실린더유닛(208) 또는 전기구동수단, 각각 주파워실린더유닛(208) 또는 전기구동수단에 피봇연결된 실린더를 가지고 있는 복수개의 보조파워실린더유닛(203) 또는 보조전기구동장치, 제1아암(221)에 피봇연결된 피스톤봉(231), 파지아암 조립체(202)와 리프팅마그넷(201)을 회동가능하게 매달기 위해 주파워실린더유닛(208) 또는 전기구동수단위에 배치된 십자형상 트러니온(274), 파지아암 조립체(202)와 리프팅마그넷(201)을 회전시키기 위해 십자형상 트러니온(274)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 회전구동기구(20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마그넷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아암 조립체(202)는 주파워실린더유닛(208)의 피스톤봉(282)의 자유단에 고정된 4지아암 스파아더블록(210), 각각 일단에서 4지아암 스파이더블록(210)에 피봇연결된 실린더를 가진 보조파워실린더유닛(203), 보조파워실린더유닛(203)의 피스톤봉(231)의 자유단에 중간부에서 피봇연결된 제1아암(221)으로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마그넷유닛.
  4. 제2 또는 3항에 있어서, 주파워실린더유닛(803)의 피스톤봉(803a)의 자유단에 고정된 하부 스파이더블록(807), 하부 스파이더블록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상부 스파이더블록(809), 상부 스파이더블록(809)을 하부 스파이더블록(807)에 연결하고 불리하는 상부 스파이더블록 작동기구, 일 단에서 상부(809) 또는 하부(807) 스파이더블록에 피봇연결된 실린더(821)를 가진 보조파워실린더 유닛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마그넷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쇄정기구는 제1아암(21)이 핀(2a) 주위로 회전할 때 제2아암(22)의 측면과 접촉하여 미끄러지도록 제1아암의 측면에 부분고정된 선상판(17), 상기 선상판(17)의 상부에 고정된 솔레노이드(18), 일단이 솔레노이드(18)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선상판(17)상에서 지지다리(20)에 의해 중간부에서 피봇지지된 레버(19), 레버(19)의 타단에 피봇연결되고 축방향이동가능하게 지지된 핀(24), 핀(24)을 제2아암(22)쪽으로 가압하여 핀(24)이 제2아암(22)에 형성된 구멍(A,B)과 일치될 때 구멍(A,B)속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스프링(2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마그넷유닛.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쇄정기구(224)는 제1아암(221)에 구비된 케이싱(224a), 제2아암(223)에 형성된 구멍(223a,223b)의 하나에 삽입되도록 케이싱(224a)에 지지되는 쇄정핀(224b), 쇄정핀(224b)을 제2아암(223)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24c), (224c)의 탄성에 대항하여 쇄정핀(224b)을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224d), 유압실린더(224d)의 피스톤봉(2241d)을 쇄정핀(224b)과 상호연결시키는 L형상레버(224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마그넷유닛.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2아암(614)을 회전시키는 상기 유압유닛은 실린더의 후단에서 제1아암(612) 및 제2아암(614)의 연결부에 근접하여 제2아암에 (614)에 피봇연결되고, 그 말단에서 제1아암(612)에 피봇연결되는 피스톤봉을 가진 유압실린더(616), 케이싱(638a), 유압실린더(616)의 피스톤봉의 말단을 제1아암(612) 피봇연결하고 케이싱(638a)에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랙(616b)을 구비한 축방향가동핀(616a), 핀(616a)의 랙(616b)과 결합하는 피니온(638b), 피니온(638b)에 고정되고 케이싱(638a)에 지지되는 회전축(638c), 회전축(638c)에 고정된 레버(638e), 핀(616a)이 전진, 수축하도록 레버(638e)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레버(638e)의 자유단에 연결된 제어케이블(638d), 유압실린더(616)의 피스톤봉의 말단을 유압실린더(616)의 피스톤봉의 말단에 형성된 구멍(616c)에 핀(616a)으로 중심맞춤하기 위해 케이싱(638a)에 부착된 센터링부재(638g)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마그넷유닛.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기구(607)는 상단부(607b)와 플랜지(607c)를 가진 회전축(607a), 회전축(607a)의 상단부(607b)와 플랜지(607c)를 수용하며, 그 외주벽에 작동유체를 수납하는 입구포오트(607h,607j)와 작동유체를 배출하는 출구포오트(607k,607l)을 구비한 밀폐실린더(607d), 실린더(607d)의 내주와 회전축(607a)의 상단(607b)의 외주에 의해 획정된 공간을 분할하는 격판(607e), 회전축(607a)의 상단부(607b)에 고정된 선상회전자(607g), 실린더(607d)의 내주와 밀접되도록 선상회전자(607g)의 양측에 부착된 밀폐부재(607f)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마그넷유닛.
KR1019860010157A 1985-11-29 1986-11-29 파지기부(把持機付)리프팅 마그넷 유닛 KR910008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67479A JPS62130993A (ja) 1985-11-29 1985-11-29 掴み機付きリフテイングマグネツト
JP60-267479 1985-11-29
JP61087018A JPS62244884A (ja) 1986-04-17 1986-04-17 掴み取り機付きリフテイングマグネツト
JP61-087019 1986-04-17
JP61-087018 1986-04-17
JP8701986A JPS62244885A (ja) 1986-04-17 1986-04-17 掴み取り機付きリフテイングマグネツト
JP61-091209 1986-04-22
JP61091209A JPS62249890A (ja) 1986-04-22 1986-04-22 掴み取り機付きリフテイングマグネツ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898A KR870004898A (ko) 1987-06-02
KR910008060B1 true KR910008060B1 (ko) 1991-10-07

Family

ID=27467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0157A KR910008060B1 (ko) 1985-11-29 1986-11-29 파지기부(把持機付)리프팅 마그넷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15631A (ko)
EP (1) EP0224002B1 (ko)
KR (1) KR910008060B1 (ko)
DE (1) DE367928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011144Y (es) * 1989-07-24 1990-09-01 Roman Guerra Justo Herramienta para recogida de metales ferrosos.
FR2651220B1 (fr) * 1989-08-29 1991-11-29 Koehl Jean Marie Grappin retractable a electro-aimant.
US5762388A (en) * 1996-08-08 1998-06-09 Carlton G. Smith Grapple
US6168219B1 (en) * 1996-08-08 2001-01-02 David M. Futa Grapple
US6155619A (en) * 1999-02-04 2000-12-05 Jay A. Kirkpatrick Grapple having one or more tines that include a magnet
DE19911897B4 (de) * 1999-03-17 2008-02-21 Woko Gmbh Lasthebemagnet
US6511113B1 (en) * 1999-09-09 2003-01-28 Timothy J. Kulage Self-adjusting connector and related methods of connecting
US8443859B2 (en) * 2010-09-18 2013-05-21 A. Raybond Et Cie Bonding tool for attaching prepared adhesive to bonding part
CN102927233B (zh) * 2012-10-30 2015-04-15 江苏科技大学 一种垂直滚珠丝杠副传动装置
US9132995B2 (en) * 2013-12-04 2015-09-15 Innovative Minds Ll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able grappling hook
GB2522690B (en) 2014-02-03 2016-12-14 Caterpillar Work Tools Bv Gripping device for machine
CN105621220A (zh) * 2016-03-14 2016-06-01 湖南理工学院 电磁圆盘吊装自动保护装置
CN105600676B (zh) * 2016-03-17 2017-10-03 山东港源海洋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升降设备的抓取装置
KR102469866B1 (ko) * 2021-02-24 2022-11-22 김완수 마그네트형 그래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4642C (ko) *
DE501512C (de) * 1930-07-02 Guenther Matoni An einer Traverse angebrachte Greiferzange
CH107148A (de) * 1923-10-23 1924-10-01 Bucher Heinrich Heuzange, welche an einer Laufkatze aufgehängt ist.
FR737135A (fr) * 1932-02-13 1932-12-07 Griffes pour électro-aimants de levage
US2850189A (en) * 1956-05-14 1958-09-02 M P Mccaffrey Inc Grapple
GB958539A (en) * 1961-11-01 1964-05-21 Joseph Westwood & Company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grabs
FR2049627A5 (ko) * 1969-06-20 1971-03-26 Raffin Rene
US3736018A (en) * 1971-09-10 1973-05-29 Us Navy Hydraulic claw with locking mechanism
US3795421A (en) * 1972-11-29 1974-03-05 P Vohl Grapple assembly
SU590239A1 (ru) * 1976-03-17 1978-01-30 Проектн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Главного Упарвления Пути Мпс Многочелюсной грейфер дл ферромагнитных материалов
JPS595656U (ja) * 1982-06-30 1984-01-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クランプ装置の油圧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24002B1 (en) 1991-05-15
US4715631A (en) 1987-12-29
EP0224002A1 (en) 1987-06-03
DE3679286D1 (de) 1991-06-20
KR870004898A (ko) 1987-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060B1 (ko) 파지기부(把持機付)리프팅 마그넷 유닛
CN204873452U (zh) 一种发动机缸体用夹具
US5411304A (en) Grab bucket of electrohydraulic pressure type with lifting magnet
CN111232814A (zh) 一种用于无人起重机的吊具装置及其使用方法
JPS63501945A (ja) 荷重用フック
CN205472474U (zh) 搬运装置
CN210264589U (zh) 一种水平钻机换杆辅助装置
KR101577762B1 (ko) 유압식 영구자석척 운용을 위한 그래플 크레인
CN108408566A (zh) 一种具有升降翻转式吊钩的吊具
JP3072587B2 (ja) 長尺物掴み旋回吊具
JP2824033B2 (ja) マスト機構
JP2894083B2 (ja) クレーンアームの吊り具構造
JP2563254Y2 (ja) フォークリフト着脱作業機
CN216072717U (zh) 一种金属型铸造用起重机的吊装夹具
CN110422746A (zh) 一种兼有磁选功能的抓斗
CN113120743A (zh) 一种铸造用组合芯吊具
CN213562656U (zh) 棒料吊装吊具
CN220264940U (zh) 一种电葫芦用挂件装置
CN208249766U (zh) 一种涂装生产线用吊运装置
JP2002302381A (ja) 玉掛けワイヤーロープの勾配調整方法及びその勾配調整装置
JPH0572880U (ja) リフティングマグネット付電動油圧式グラブバケット
CN214243568U (zh) 一种俯仰油缸控制系统及吊装设备
JPH07215661A (ja) スクラップ処理作業機
CN211971509U (zh) 一种吊具
CN210236871U (zh) 模具钢铸坯用吊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