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845Y1 -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의 행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의 행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845Y1
KR910007845Y1 KR2019890007023U KR890007023U KR910007845Y1 KR 910007845 Y1 KR910007845 Y1 KR 910007845Y1 KR 2019890007023 U KR2019890007023 U KR 2019890007023U KR 890007023 U KR890007023 U KR 890007023U KR 910007845 Y1 KR910007845 Y1 KR 9100078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e tire
rope
ropes
shaf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7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20252U (ko
Inventor
김성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이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이양섭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7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845Y1/ko
Publication of KR9000202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202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8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8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B62D43/045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the wheel or its cradle being attached to one or more chains or cables for hand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의 행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행거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행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행거장치에 관련된 일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프레임 4 : 축
4a, 4b : 로우프 연결공 6a, 6b : 로우프
7 : 래치 7a, 7b : 결속공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의 행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적으로 견고히 함과 아울러 타이어의 현수중심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서 타이어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의 행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중 불시에 발생되는 타이어 펑크에 대비하기 위하여 스페어 타이어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스페어 타이어는 승용차의 경우에는 트렁크에 실려 보관되지만 트럭이나 버스의 경우는 차체 측면이나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다.
스페어 타이어를 차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종래에는 차체에 받침대를 설치하여 놓고 이 받침대로 스페어 타이러를 볼트 체결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이 방식은 스페어 타이어를 사용할 경우에 볼트를 일일히 풀어 내야하는 벌거로움이 있어서, 최근에는 래칫축에 로우프를 감아 놓고, 이 로우프에 스페어 타이어 계지용 판넬을 연결시킨 구성의 것이 범용화되고 있다.
제3도는 상술한 구조의 행거장치에 관련된 일예를 도시한다.
차체에 일체로 부착되는 세로부재(1a)(1b)와 가로부재(2a)(2b)를 교차상으로 조합하여 형성되는 프레임(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로부재(2a)(2b) 사이에 축(4)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이 축(4)의 일측단에 래칫휘일(5)이 비회전상으로 부착되고, 별도의 래치핸들로 축(4)을 회전 조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가 축(4)에는 로우프(6)의 일측단이 고정되는 한편, 타측단은 타이어(T)의 휘일 디스크(W) 중심에 끼워지는 래치(7)와 연결되어 있다.
타이어(T)는 축(4)이 회전되어 로우프(6)를 감아들임에 따라 차체에 현수되어지는 것이며, 소정의 위치로 끌어 올려진 후에는 래칫핑거(8)를 래칫휘일(5)에 물려서 제동되게 함으로써 타이어의 현수를 끝낼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의 행거장치는 로우프(6)가 래치(7)와 1점 연결되어 있어서 타이어(T)를 현수할때 무게 중심의 이동으로 인해 스스로 흔들려져서 로우프(6)가 꼬이게 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그 결과로 축(4)의 회전조작이 어렵게 되는 한편 로우프(6)의 강도를 손상시키게 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견고하게 스페어 타이어를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릴 수 있게 구성한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의 행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상호 교차 배치되는 1쌍의 세로부재와 가로부재에 의해 프레임이 형성되로, 이 프레임으로 로우프를 감기 위한 축이 래칫 회전 가능하게 가설된 스페어 타이어의 행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을 가로지르는 축의 양 대향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뚫려진 로우프 연결공에, 로우프 1쌍의 일측단을 각각 삽입 결속하고 상기 양 로우프의 타측단은 스페어 타이이와 계합되는 래치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뚫려진 결속공으로 각각 삽입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로우프 연결공 사이의 소정간격이 상기 결속공 사이의 소정간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행거장치에 관현된 주요부의 사시도로서, 제3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중복설명을 피하고 있다.
상호 교차상으로 배치되는 세로부재(1a)(1b)와 가로부재(2a)(2b)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3)에는 상기 가로부재(2a)(2b)를 관통하여 축(4)이 회동가능하게 가설되어 있고, 이 축(4)에는 래칫핑거(8)에 의해 제공되는 래칫휘일(5)이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프레임(3)의 내측을 가로지르는 축(4)의 양 대향부로 로우프 연결공(4a)(4b)이 뚫려져 있고, 이 연결공(4a)(4b)으로 1쌍의 로우프(6a)(6b)일측단이 삽입 결속되어 있다.
상기 양 로우프(6a)(6b)의 타측단은 래치(7)에 뚫려진 결속공(7a)(7b)으로 각각 삽입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양 로우프(6a)(6b)의 일측단 배치간격이 타측간의 그것보다 크게 설정되어 제2도의 도시와 같이 양 로우프(6a)(6b)는 프레임(3)의 내부에서 역사다리꼴을 이루게 된다.
스페어 타이어(T)의 장착는 축(4)이 회동 조작되어 1쌍의 로우프(6a)(6b)를 감아들임으로서 행해진다. 이과정에서 래치(7)는 1쌍의 로우프(6a)(6b)와 2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스페어 타이어(T)가 끌어 올려질 때 그 무게중심이 이동되는 일이 생기지 않으므로 안정된 상태로 끌어 올려지게 된다.
그 결과 로우프(6a)(6b)가 꺼인채로 감겨지는 일이 생기지 않게 되어 스페어 타이어(T)를 안정되고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스페어 타이어(T)를 소정위치까지 감아 올린 후의 조작은 종래 장치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스페어 타이어를 끌어 올리는 로우프를 1쌍으로 배치하여 로우프와 래치 사이가 2점 연결되게 함과 아울러 이를 감아 들이는 축에서는 배치간격보다 스페어 타이어에 끼워지는 래치에서의 간격을 좁아지게 함으로써 스페어 타이어를 감아 올리도록 풀어 내릴 때, 그 무개중심이 항상 프레임의 중앙측에 놓여 지게 하여 흔들림이 없이 안정되고 견고하게 스페어 타이어를 장착시켜 놓을 수 있는 실용성을 갖추고 있다.

Claims (1)

  1. 상호 교차 배치되는 1쌍의 세로부재와 가로부재에 의해 프레임이 형성되고, 이 프레임으로 로우프를 감기 위한 축이 래칫 회전 가능하게 가설된 스페어 타이어의 행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의 내측을 가로지르는 축(4)의 양 대향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뚫려진 로우프 연결공(4a)(4b)에 로우프(6a)(6b)의 일측단을 각각 삽입 결속하고, 상기 양 로우프(6a)(6b)의 타측단은 래치(7)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뚫려진 결속공(7a)(7b)으로 각각 삽입연결시키며, 상기 로우프 연결공(4a)(4b) 사이의 소정간격이 상기 결속공(7a)(7b) 사이의 소정간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의 행거장치.
KR2019890007023U 1989-05-29 1989-05-29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의 행거장치 KR9100078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7023U KR910007845Y1 (ko) 1989-05-29 1989-05-29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의 행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7023U KR910007845Y1 (ko) 1989-05-29 1989-05-29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의 행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0252U KR900020252U (ko) 1990-12-13
KR910007845Y1 true KR910007845Y1 (ko) 1991-10-07

Family

ID=19286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7023U KR910007845Y1 (ko) 1989-05-29 1989-05-29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의 행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8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0252U (ko) 1990-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8126A (en) Wheeled vehicle winch assembly
KR910007845Y1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의 행거장치
JPS6265894A (ja) 車両持上げ装置のための支持装置
JP4206523B2 (ja) 車両のスペアタイヤ格納構造
GB2126273A (en) Curtain sided vehicles
CA2149483A1 (en) Rescue vehicle for a cable railway and method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rescue vehicle
CN209872023U (zh) 一种车载被覆线架
JPS641903Y2 (ko)
CN213566317U (zh) 一种稳定的电动车用车把
KR950001407Y1 (ko) 자동차의 견인장치
JP4751197B2 (ja) スペアタイヤ搭載装置
JPH0577770A (ja) 車両のスペアタイヤ取付装置
JPH0337346Y2 (ko)
JPH027067Y2 (ko)
JPH06270620A (ja) 台車間の連結装置
JPH0547731Y2 (ko)
JPH0629170Y2 (ja) バスのスペアタイヤ格納装置
US20020005450A1 (en) Temporary rotation clamping mechanism for a cable reel
JPS58141920A (ja) 車輌の車体カバ−装置
JP2567654Y2 (ja) 主として自動車陸送車に使用されるフック装置
KR19990031288U (ko) 화물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탈, 장착장치
JPH04372434A (ja) 車両用ステップ
KR0182672B1 (ko) 화물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JPH0221296Y2 (ko)
JPH041326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8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