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354B1 - 농약코팅제 - Google Patents

농약코팅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354B1
KR910007354B1 KR1019880016341A KR880016341A KR910007354B1 KR 910007354 B1 KR910007354 B1 KR 910007354B1 KR 1019880016341 A KR1019880016341 A KR 1019880016341A KR 880016341 A KR880016341 A KR 880016341A KR 910007354 B1 KR910007354 B1 KR 910007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agent
pesticide
acid
fatty acid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6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267A (ko
Inventor
야스오 홈마
유타카 아리모토
Original Assignee
리카가쿠겐쿠쇼
오다 미노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카가쿠겐쿠쇼, 오다 미노루 filed Critical 리카가쿠겐쿠쇼
Publication of KR890009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in coated particulate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01N25/14Powders or granules wetta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농약코팅제
제 1도는 오렌지(orange)흑점병에 대하여 여러 종류의 약제농도와 방제(防除)값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 2도는 오렌지 흑점병에 대하여 여러 종류의 약제 농도에 따른 값과 병해로 인하여 발생되는 반점의 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표.
제 3도는 오이의 노균병(露菌病)에 대하여 병해의 상태가 중간정도(발병시 반점의 수가 200개/잎)일 때 여러종류의 약제 농도와 방제 값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 4도는 오이의 노균병에 대하여 병해의 상태에 따른 여러종류의 약제에 의한 방제 값과 병해로 인하여 발생되는 반점의 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표.
제 5도는 병의 상태가 심각할 때 여러 종류의 약제농도와 방제 값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 6도는 NaHCO3코팅제, NaHCO3제제와 NaHCO3수용액을 사용한 약제의 유해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이들 약제를 오이에 적용시켰을 때 약제의 농도와 약제에 의한 반점의 수(유해성)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농약 코팅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에 사용한 농도보다 낮은 농도에서도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게되는 농약코팅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농약제제로서는 구리제, 수은제, 및 비소제와 같은 중금속화합물, 유기염소계약제와 유기인산계약제 등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농약들은 사람이나 동물에 극히 유해하였을 뿐만 아니라 토양을 오염시킬 정도로 많은 양이 사용되어야 하므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중대한 사회적인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일특공소 57-48525호에는 지방족 다가알코올의 지방산에스테르와 탄산수소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살균제가 각종식물의 충해와 과실저장시의 병해에 대하여 방제효과가 있으며, 사람이나 동물 및 식물에 대해서도 안전성이 높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농약은 종래의 것과 동일한 양을 사용하여 원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고농도로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농도를 낮은 수준으로 한정했을 경우에는 약제를 많이 사용하여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이미 농약제제를 발명(일특원소 63 - 233902호)한 바 있으나, 이러한 제제 또한 유효성분의 농도를 비교적 높게 하는 경우에만 원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었으며, 병해의 발생상황이 심화되었을 때에는 그 효과가 감소되는 등 만적스러운 결과를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저농도로도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농약코팅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농약 유효성분분말 100중량부에 지방족다가알코올의 지방산에스테르와 인지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0.1 내지 3중량부로 코팅시켜서 된 농약코팅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농약코팅제는 지방족다가알코올의 지방산에스테르와 인지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0.1 내지 3중량부로 하여 아세톤과 같은 용매에 용해시키고, 분말상의 농약유효성분 100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혼합시킨 후 용매를 증류시켜서 제조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방족다가알코올의 지방산에스테르를 구성하게되는 지방족다가알코올로서는 탄소 원자수가 3 내지 6인 포화 또는 불포화지방족다가알코올 예를 들면,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 및 솔비탄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지방족다가알코올의 지방산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지방산으로서는 포화지방산, 예를 들면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라키산 및 비헨산을 사용하거나 불포화지방산 예를 들면,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및 리시놀레산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 혼합지방산, 예를 들면, 쇠기름, 목화씨기름, 평지씨기름 및 경화유 등의 천연동식물로부터 분리된 지방산이 사용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약 코팅제의 주성분중에 하나인 지방족다가알코올의 지방산에스테르는 상기 지방족다가알코올과 지방산을 통상의 에스테르화반응 또는 에스테르교환반응을 실시하여서 제조되게 되는 모노 -, 디 - 또는 트리에스테르이다. 예를 들면, 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글리세틴모노옥토에이트, 글리세린모노콩기름 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모노목화씨기름 지방산에스테르, 트리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린모노팔미테이트 및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게 된다. 또한, 인지질로서는 식물성기름으로부터 분리된 식물성레시틴과 노른자위레시틴이 사용되며, 이로부터 분리된 포스파티딜콜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및 포스파티딜이노시탈등이 사용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농약유효성분으로서는 상온에서 고체분말 형태로 될 수 있는 것이라면 각종 농원예용살균제, 살충제 및 제초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유효성분은 비수용성인 것일 수 있으나, 수용성인 것을 사용하여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농약유효성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8 - 옥시퀴놀린구리, 염기성황산구리, 염기성염화구리, 염화제2구리, 염기성탄산구리, 메틸 1 -(부틸카르바모일) - 2 - 벤즈이미다졸카바메이트, 항생물질폴리옥신복합체, 0, 0 - 디메틸 - S - 벤질티오포스페이트, 2 - sec - 부틸페닐 - N - 메틸카바메이트와 0, 0 - 디메틸 - 2, 2, 2 - 트리클로로 - 1 - 하이드록시에틸포스페이트등의 통상의 농약유효성분이외에 동식물에 대하여 안전성이 높은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칼륨, 탄산칼슘, 탄산암모늄, 탄산수소암모늄,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인산수소이칼륨 및 인산이수소칼슘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약코팅제에 있어서, 농약유효성분과 코팅제인 지방족다가알코올의 지방산에스테르와 인지질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의 배합비율은 농약유효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중량부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만일 상기 코팅제의 농약유효성분에 대한 배합비율을 상기 범위이외의 범위로 할 경우에는 상기 농약을 물로 희석시켜 사용할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코팅제를 0.1중량부 이하로 첨가 시킬 경우에는 농약의 에멀션화가 효과적으로 일어나지 않게되며, 다른 한편으로 상기 코팅제를 3중량부이상으로 첨가시킬 경우에는 에스테르부위가 분리되게 되어 에멀션화가 효과적으로 일어나지 않게 되고 그로인해 코팅막이 유지될 수 없는 경우가 있게 된다. 결국 이러한 에멀션은 농약유효성분의 종류에 따라서 얻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농약유효성분의 분말크기는 100메쉬, 바람직하기로는 200 내지 400메쉬의 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분말크기가 너무 크면 코팅막을 유지기키기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약 코팅제는 그 농약 조성물에 필요에 따라서 보통 보조제를 부수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전착제, 습윤전착제 및 고착제등과 같이 에멀션을 파괴하지 않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농약으로 조제시킬 수 있다.
한편, 분산농도는 유효성분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며, 특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약 1내지 500ppm의 농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특히 본 발명이 다음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2g)을 아세톤 100cc에 용해시킨다. 이때 100메쉬의 체를 90%통과할 수 있는 탄산수소나트륩 미세분말 80g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충분하게 교반시킨 다음 회전식증발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켜 제거하여 분말을 얻는다.
이 분발에 카세인나트륨 분말 10g을 첨가혼합하여 유동성이 우수한 분말수화제를 얻는다.
[실시예 2]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1g)을 아세톤 100cc에 용해시킨다. 이때 100메쉬의 체를 90%통과할 수 있는 탄산수소나트륨미세분말 80g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충분하게 혼합시킨다음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증발제거하여 분말수화제를 얻는다.
[실시예 3]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0.5g)와 글리세린모노옥토에이트(0.3g)을 아세톤 100cc에 용해시킨다. 이때 100메쉬의 체를 90% 통과할 수 있는 탄산나트륨 미세분말 80g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충분하게 교반시킨 다음 회전식증발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켜 제거하여 분말을 얻는다. 이 분말에 카세인나트륨분말 10g을 첨가혼합하여 유동성이 우수한 분말수화제를 얻는다.
[실시예 4]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0.5g)와 글리세린모노옥토에이트(0.3g)을 아세톤 100cc에 용해시킨다. 이때 100메쉬의 체를 90%통과할 수 있는 탄산칼륨미세분말 80g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충분하게 교반시킨 다음 회전식증발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켜 제거하여 분말을 얻는다. 이 분말에 카세인 나트륨분말 10g을 첨가혼합하여 유동성이 우수한 분말수화제를 얻는다.
[실시예 5]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0.5g)와 글리세린모노옥토에이트(0.3g)을 아세톤 100 cc에 용해시킨다. 이때 100메쉬의 체를 90% 통과할 수 있는 탄산암모늄미세분말 80g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충분하게 교반시킨 다음 회전식증발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켜 제거하여 분말을 얻는다. 이 분말에 카세인나트륨분말 10g을 첨가혼합하여 유동성이 우수한 분말수화제를 얻는다.
[실시예 6]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0.5g)와 글리세린모노옥토에이트(0.3g)을 아세톤 100cc에 용해시킨다. 이때 100메쉬의 체를 90% 통과할 수 있는 탄산수소암모늄미세분말 80g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충분하게 교반시킨 다음 회전식증발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켜 제거하여 분말을 얻는다. 이 분말에 카세인나트륨분말 10g을 첨가혼합하여 유동성이 우수한 분말수화제를 얻는다.
[실시예 7]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0.5g)와 글리세린모노옥토에이트(0.3g)을 아세톤 100 cc에 용해시킨다. 이때 100메쉬의 체를 90% 통과할 수 있는 탄산수소칼륨미세분말 80g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충분하게 교반시킨 다음 회전식증발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켜 제거하여 분말을 얻는다. 이 분말에 카세인나트륨분말 10g을 첨가혼합하여 유동성이 우수한 분말수화제를 얻는다.
[실시예 8]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2.5g)와 글리세린모노옥토에이트(1.5g)을 아세톤 100 cc에 용해시킨다. 이때 100메쉬의 체를 90% 통과할 수 있는 염화칼륨미세분말 80g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충분하게 교반시킨 다음 회전식증발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켜 제거하여 분말을 얻는다. 이 분말에 카세인나트륨분말 10g을 첨가혼합하여 유동성이 우수한 분말수화제를 얻는다.
[실시예 9]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0.58g)와 글리세린모노옥토에이트(0.3g)을 아세톤 100cc에 용해시킨다. 이때 100메쉬의 체를 90% 통과할 수 있는 염화나트륨미세분말 82g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충분하게 교반시킨 다음 회전식증발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켜 제거하여 분말을 얻는다. 이 분말에 카세인나트륨분말 10g을 첨가혼합하여 유동성이 우수한 분말수화제를 얻는다.
[실시예 10]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0.8g)을 아세톤 100cc에 용해시킨다. 여기에 벤레이트(메틸 1 - (부틸카르바모일) - 2 - 벤즈이미다졸카바메이트)80g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충분하게 혼합시킨다음 용매를 완전히 증발제거하여 분말을 얻는다. 이 분말에 카세인나트륩분말 10g을 첨가혼합하여 유동성이 우수한 분말수화제를 얻는다.
[실시예 11]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0.5g)와 글리세린모노옥토에이트(0.2g)을 아세톤 100cc에 용해시킨다. 이때 폴리옥신 AL(항생물질폴리옥신복합체) 80g과 락토오스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충분하게 교반시킨 다음 용매를 완전히 증발제거하여 분말을 얻는다. 이 분말에 화이트카본 5g을 첨가혼합하여 유동성이 우수한 분말수화제를 얻는다.
[실시예 12]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0.5g)와 글리세린모노옥토에이트(0.2g)을 아세톤 100cc에 용해시킨다. 이때 키타진 P(0, 0 - 디에틸 - S - 벤질티오포스페이트)80g과 락토오스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충분하게 교반시킨 다음 용매를 완전히 증발제거하여 분말을 얻는다. 이 분말에 화이트카본 5g을 첨가혼합하여 유동성이 우수한 분말수화제를 얻는다.
[실시예 13]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0.5g)과 글리세린모노옥토에이트((0.2g)을 아세톤 100cc에 용해시킨다. 이때 바사(BPMC : 2 - sec - 부틸페닐 - N - 메틸카바메이트) 8g과 락토오스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충분하게 교반시킨 다음 용매를 완전히 증발제거하여 분말을 얻는다. 이 분말에 화이트카본 5g을 첨가혼합하여 유동성이 우수한 분말수화제를 얻는다.
[실시예 14]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0.5g)과 글리세린모노옥토에이트(0.2g)을 아세톤 100cc에 용해시킨다. 이때 DEP(0, 0 - 디메틸 - 2, 2, 2 - 트리클로로 - 1 - 하이드록시에틸포스페이트)80g과 락토오스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충분하게 교반시킨 다음 용매를 완전히 증발제거하여 분말을 얻는다. 이 분말에 화이트카본 5g을 첨가혼합하여 유동성이 우수한 분말수화제를 얻는다.
[실시예 15]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0.5g)과 글리세린모노옥토에이트(0.2g)와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0.1)을 아세톤 100cc에 용해시킨다. 이때 비알라포스(Journal of Antibiotics(J.A.), 1983, Vol. 36, No. 8, PP. 1040-1044에서 볼수 있음) 80g과 락토오스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충분하게 교반시킨 다음 용매를 완전히 증발제거하여 분말을 얻는다. 이 분말에 화이트카본 5g을 첨가혼합하여 유동성이 우수한 분말수화제를 얻는다.
[시험예 1 내지 3]
본 발명에 따른 여러종류의 탄산염과 탄산수소염코팅 제수용액의 효과를 평가하고, 선출원(일특원소 63-233902)과 종래의 농약수용액과 비교한다.
이들 결과의 비교는 500ppm과 200ppm의 농도를 갖는 여러 가지 농약수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적용 또는 분무시킨 후 4일 및 6일 지난다음에 방제 값을 결정하고 동시에 사용된 농약의 유해성을 평가하므로서 실시되게 된다. 이에 대한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다음 표 1에서, 수용액농도가 200ppm일 때 방제 값은 ( )에 표시되어 있고, 각 농약의 유해성에 대해서는 용액의 농도(200 및 500ppm)와는 관계없이 거의 같음을 알 수 있다.
비교대상으로서, 유효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용액을 사용했을때의 효과를 다음 표 1의 대조란에 기재하였다.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약 코팅제를 종래에 사용된 농약 및 농약제제와 비교하여 볼 때 200ppm과 500ppm등의 저농도로 사용한 경우에도 방제 값이 현저하게 향상되었으므로 상당히 효과적이라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탄산나트륨
Figure kpo00001
(주) ( )의 농도로 약제를 사용했을 때는 ( )의 방제 값을 갖는다.
[시험예 14 내지 19]
본 발명의 농약코팅제를 메틸 1 - (부틸카르바모일) - 2 - 벤즈이미다졸카바메이트, 항생물질폴리옥신복합체, 0, 0 - 디에틸 - S - 벤질티오포스페이트, 2 - sec - 부틸페닐 - N - 메틸카바메이트, 0, 0 - 디메틸 - 2, 2, 2 - 트리클로로 - 1 - 하이드록시에틸포스페이트와 비알라포스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상기 농약코팅제의 농도를 변화시켜 그 효과의 변화를 시험하기 위하여 오이 및 토마토회색노균병에 대한 방제 값, 총채 벌레와 담배거세미나방(prodenia litura)에 대한 사충율 컬리도크(Rumex obtrusifolius L)에 대한 약효지수를 평가한다. 상기 방제 값은 다음과 같은 관계식으로 산출한다.
방제 값(%) =
Figure kpo00002
한편, 약효지수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에 의해서 산출할 수 있다.
약효지수 =
Figure kpo00003
윗 식에서 T. D와 N. T. D는 처리구역과 비처리구역을 말한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즉, 오이와 토마토의 회색노균병에 대해서, 메틸 1 - (부틸카르바모일) - 2 - 벤즈이미다졸카바메이트코팅제의 방제 값은 종래의 같은 농약수용액에 비하여 10내지 80ppm의 농도범위로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비약적으로 증가하였다.
오이와 토마토의 회색노균병에 대해서 항생물질폴리옥신복합체코팅제의 방제 값은 25내지 100ppm의 농도에서 종래의 농약수용액의 방제 값이 50% 이하인데 비하여 90%이상이었다.
더욱이, 토마토의 노균병에 대하여, 0, 0 - 디에틸 - s - 벤질티오포스페이트는 60 내지 480ppm의 농도에서 비코팅수용액의 방제 값은 24내지 36%인데 비교하여 89 내지 98%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사실은 코팅제가 상기와 같은 병해에 대하여 상당히 효과적이라고 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 2 - sec - 부틸페닐 - N - 메틸카바메이트코팅제는 50내지 150ppm의 농도에서 총채벌레의 사충율이 보통 비코팅 제수용액은 5 내지 18%인데 비하여 75 내지 96%로 높다.
또, 0,0-디메틸-2,2,2-트리클로로-1-하이드록시에틸 포스페이트코팅제는 50 내지 150ppm의 농도에서 tabacco cutdown의 사충율이 보통 비코팅제수용액은 0 내지 15%인데 비하여 76 내지 100%로 높다.
또한, 소위 비알라포스 코팅제는 60내지 150ppm의 농도범위에서 컬리 도크에 대한 약효지수가 비코팅수용액에 비하여 2 내지 3배가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표 2a]
Figure kpo00004
[표 2b]
Figure kpo00005
[시험예 20 내지 32]
본 발명에 따른 농약코팅제, 농약제제 또는 농약 수용액을 200ppm과 500ppm의 농도로 제조하고, 각각의 방제 값과 유해성을 측정한다.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회수 20 내지 30에서 본 발명의 코팅제는 상기 농약과 농약수용액에 비하여 높은 방제 값을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모든 시험에서 이들 농약의 유해성은 없었다.
[표 3]
Figure kpo00006
(주) ( )의 농도로 약제를 사용했을 때는 ( )의 방제 값을 갖는다.
다음에, 오렌지흑점병에 대하여 NaHCO3수용액을 사용했을 때(△-△), 일특원소 63-233902호의 약제(올레산모노글리세라이드와 글리세린모노옥토에이트를 3 : 1로 혼합시킨 혼합물 100부에 NaHCO380 내지 200부를 현탁시켜 제조된 것)을 사용했을 때 (□ - □), 본 발명의 NaOH3코팅제를 사용했을 때(○ - ○)의 방제효과결과를 이들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제 1도에 비교하여 나타내었다.(시험예 20)
즉, 약제농도를 0 내지 2,000ppm으로 변화시켰을 때 종래의 농약수용액은 2,000ppm의 농도에서 방제 값이 약 10% 정도에 불과하였으며, 일특원소 63-233902호의 약제는 1,000ppm의 농도부근에서 방제 값이 80%인데 반하여 본 발명의 코팅제는 250ppm의 농도에서도 97% 정도의 높은 방제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코팅제가 낮은 농도에서도 다른 두약제의 방제 값보다 극히 효과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첨부도면 제 2도는 감귤류식물의 혹피증발생상태{병해의 반점수 2,000개 / 입(○), 900개 / 잎(□)와 400개 / 잎(△)}에 대하여 농도를 변화(250,500 및 2,000ppm)시킬 때 방제 값과 상기 3종류의 약제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표로서, 이 도면에서 A는 본 발명의 코팅제이고, B는 NaHCO3약제이며 C는 미코팅된 NaHCO3수용액이다.
즉, 제 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팅제는 병해상태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각 약제농도에서 높은 방제 값을 보이고 있으며, 감귤류식물의 혹피증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으나, 종래 특허원소 63-233902호의 농약제제(올레산모노글리세라이드와 글리세린모노옥타에이트가 3 : 1로 혼합된 혼합물 100부에 NaHCO380 내지 200부를 현탁시켜서 제조된 것)와 미코팅된 NaHCO3수용액은 높은 약제 농도로 사용되었을 때에만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반점의 수를 적게할 수 있다. 즉, 병해의 초기에만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제 3도는 발병상태가 중간(200개/잎)정도일 때 오이의 노균병에 대한 약제의 각 농도에서의 방제 값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에서 ○ - ○, □ - □ 와 △ - △는 각각 NaHCO3코팅제, NaHCO3제제 및 NaHCO3수용액을 나타낸다.(시험예 11)
제 3도를 통하여 볼 때 본 발명의 농약코팅제는 다른 농약에서 관찰된 것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
제 4도는 제 2도의 농도와 같이 변화시키면서 오이의 노균증의 병해상태에 따라 방제 값과 3종류의 서로 다른 NaHCO3제제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본 발명의 코팅제는 여러종류의 농도(250,500, 1,000ppm)에서도 병해가 심각한 오이의 노균증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는 약제로서 첨부도면에서 △,▲,□,■,○,●는 병해의 반점수가 40, 150, 200, 280, 510및 975개/잎인 것을 나타낸다. 또 A, B, C는 제 2도에 정의한 것과 같다.
제 5도는 오이노균증의 병해가 심각한 상태(병해의 반점수 450개/잎)하에서 약제의 농도를 변화시켰을때의 NaHCO3제제의 방제 값과 여기에 사용된 약제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오이의 노균증이 심각하게 일어났을 때 본 발명의 코팅제가 종래 수용액과 일특허원소 63 - 233902호의 농약제제에 비하여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 6도는 농약제제의 농도와 밤점의 수(유해성)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면에서 종래수용액과는 달리 일특원소 63 - 233902호의 농약제제와 본 발명의 코팅제는 4,000ppm이하의 농도에서 유해성이 나타나지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약코팅제는 코팅되지 않은 농약과 농약제제 (일특원소 63-233902호)의 방제 값보다 우수한 방제 값을 갖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농약수용액과 상기한 농약제제를 사용한다면 일반적으로 발병에 대한 반점의 수가 증가하게 되고, 그로인한 방제 값은 병이 점진됨으로써 낮아지게 되나, 본 발명의 농약코팅제는 그러한 경향은 보이지 않게 되며 안정한 약효를 보이게 된다.
본 발명의 코팅제가 나타내는 유해성에 있어서는 병에 따라 반점의 수를 기초로하여 평가한 결과 대조(농약유효성분을 함유하지 않음)로 관찰된 것과 거의 같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농약유효성분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지방산다가알코올의 지방산에스테르와 인지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0.1 내지 3중량부로 코팅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코팅제.
  2. 제 1항에 있어서의 농약코팅제에는 전착제, 습윤전착제와 고착제를 첨가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
  3. 제 1항에 있어서, 지방산다가알코올은 탄소원자수가 3 내지 6인 포화 또는 불포화지방산다가알코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이며, 지방산은 포화 또는 불포화산과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코팅제.
  4. 제 3항에 있어서, 지방산다가알코올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 및 솔비탄이며, 지방산은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라키산, 비헨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리시놀레산, 쇠기름, 목화씨기름, 평지씨기름과 경화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코팅제.
  5. 제 1항에 있어서, 에스테르는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린모노옥토에이트, 글리세린모노콩기름 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모노목화씨기름 지방산에스테르, 트리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린모노팔미테이트와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코팅제.
  6. 제 1항에 있어서, 인지질은 식물성기름으로부터 분리된 식물성레시틴과 노른자위레시틴이 사용되며, 이로부터 분리된 포스파티딜콜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과 포스파티딜이노시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코팅제.
  7. 제 1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은 상온에서 고체분말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코팅제.
  8. 제 7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은 수용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코팅제.
  9. 제 7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은 8 - 옥시퀴놀린구리, 염기성황산구리, 염기성염화구리, 염화제 2구리, 염기성탄산구리, 메틸 1 - (부틸카르바모일) - 2 - 벤즈이미다졸카바메이트, 항생물질폴리옥신복합체, 0, 0 - 디에틸 - S - 벤질티오포스페이트, 2 - sec - 부틸페닐 - N - 메틸카바메이트와 0, 0 - 디메틸 - 2, 2, 2 - 트리클로로 - 1 - 하이드록시에틸포스페이트 등의 통상의 농약유효성분이외에 동식물에 대하여 안전성이 높은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칼륨, 탄산칼슘, 탄산암모늄, 탄산수소암모늄,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인산수소이칼륨 및 인산이수소칼슘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코팅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은 그 분말크기가 100메쉬의 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조절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코팅제.
  11. 제 10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의 분말크기는 200 내지 400메쉬의 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코팅제.
KR1019880016341A 1987-12-08 1988-12-08 농약코팅제 KR910007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10497A JPH0764681B2 (ja) 1987-12-08 1987-12-08 農薬コーティング剤
JP62-310497 1987-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267A KR890009267A (ko) 1989-08-01
KR910007354B1 true KR910007354B1 (ko) 1991-09-25

Family

ID=1800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6341A KR910007354B1 (ko) 1987-12-08 1988-12-08 농약코팅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23950A (ko)
JP (1) JPH0764681B2 (ko)
KR (1) KR910007354B1 (ko)
CA (1) CA1334823C (ko)
FR (1) FR2623973B1 (ko)
GB (1) GB22133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4681B2 (ja) * 1987-12-08 1995-07-12 理化学研究所 農薬コーティング剤
US5460817A (en) * 1988-01-19 1995-10-24 Allied Colloids Ltd. Particulate composition comprising a core of matrix polymer with active ingredient distributed therein
WO1993022914A1 (en) * 1992-05-12 1993-11-25 Church & Dwight Company, Inc. Polyfunctional bicarbonate-containing agrochemical compositions
US5338551A (en) * 1992-07-02 1994-08-16 Lajoie M Stephen Polyfunctional agrochemical bicarbonate-containing compositions
JP2711619B2 (ja) * 1992-07-23 1998-02-10 理化学研究所 殺菌殺虫組成物
US5556631A (en) * 1994-09-30 1996-09-17 Kelley; Donald W. Water resistant pesticide compositions
DE69715025T2 (de) 1996-10-25 2003-04-30 Monsanto Technology Llc St Louis Zusammensetzung und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pflanzen mit exogenen chemikalien
PL190079B1 (pl) * 1996-10-25 2005-10-31 Monsanto Technology Llc Kompozycja herbicydowa oraz sposób traktowania roślin
US5968222A (en) * 1997-02-07 1999-10-19 Cargill, Incorporated Dust reduction agents for granular inorganic substances
JP3399789B2 (ja) * 1997-07-15 2003-04-21 理化学研究所 植物病害防除剤
AU3740499A (en) * 1998-04-29 1999-11-16 Henkel Corporation Agricultural adjuvant
WO2003059063A1 (en) * 2002-01-09 2003-07-24 Summerdale, Inc. Fungicide compositions
KR100468002B1 (ko) * 2002-02-19 2005-01-24 이수양 염분을 주재료로 하는 분말형 잔디보호용 제초제의 제조방법
US7820594B2 (en) * 2003-01-09 2010-10-26 Coleman Robert D Pesticid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use
US20060008486A1 (en) * 2004-07-06 2006-01-12 Lewis Susan E Multifunctional compositions having combined insecticidal, mitacidal and fungicidal activity
US10004826B2 (en) 2010-10-06 2018-06-2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Implantable human liver tissue constructs and uses thereof
WO2012054479A1 (en) * 2010-10-18 2012-04-26 Tiger-Sul Products Llc Coated fertilizer particles
US9137991B1 (en) * 2012-01-26 2015-09-22 Floratine Products Group, Inc. Choline contain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EP2872155A4 (en) 2012-07-10 2016-07-13 Univ Pennsylvania BIOMATERIALS TO IMPROVE THE INTEGRATION OF THE IMPLANT WITHIN THE HOST
US11338065B2 (en) 2015-10-08 2022-05-2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In situ expansion of engineered devices for regen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6545A (en) * 1970-08-27 1972-12-19 Itt Foliar sprays
US3799755A (en) * 1971-01-12 1974-03-26 D Rack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plant substrate body
US4394149A (en) * 1978-02-24 1983-07-19 Szoka Jr Francis C Plant nutriment compositions and method of their application
JPS5511556A (en) * 1978-07-13 1980-01-26 Rikagaku Kenkyusho Bactericidal agent for agriculture and horticulture
GB2075344A (en) * 1980-04-21 1981-11-18 Stauffer Chemical Co Slow release herbicide granules
DE3029159A1 (de) * 1980-08-01 1982-02-25 Sandvik Conveyor Gmbh, 7012 Fellbach Einrichtung zum aufgeben von stueckguetern auf foerderbaender o.dgl.
DE3226147A1 (de) * 1982-07-13 1984-01-19 A. Nattermann & Cie GmbH, 5000 Köln Verfahren zur einkapselung von bioziden wirkstoffen
JPS5955803A (ja) * 1982-09-22 1984-03-31 ア−・ナツタ−マン・ウント・シ−・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殺線虫剤組成物
JPS5955804A (ja) * 1982-09-22 1984-03-31 ア−・ナツタ−マン・ウント・シ−・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殺カビ剤組成物
JPH0764681B2 (ja) * 1987-12-08 1995-07-12 理化学研究所 農薬コーティング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23950A (en) 1992-06-23
KR890009267A (ko) 1989-08-01
CA1334823C (en) 1995-03-21
GB8828682D0 (en) 1989-01-11
JPH01151501A (ja) 1989-06-14
FR2623973B1 (fr) 1993-10-08
JPH0764681B2 (ja) 1995-07-12
GB2213378B (en) 1991-08-14
FR2623973A1 (fr) 1989-06-09
GB2213378A (en) 198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354B1 (ko) 농약코팅제
DE3225703C1 (de) Phospholipidkonzentrat und seine Verwendung als Hilfsstoff zum Herstellen und Austragen von Pflanzenschutzmittel enthaltenden Spritzbruehen
JP5325118B2 (ja) バイオサイド組成物(i)
DE1542925C3 (de) Verwendung von Ketonen zur Abweisung von Haustieren
DE3324336C2 (de) Stabilisierte Pflanzenschutzmittel-Suspension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4319263A1 (de) Pflanzenbehandlungsmittel
DD209952A5 (de) Verfahren zum ausbringen von pflanzenschutzmittelspritzbruehen
EP0160182A2 (en) Insecticidal aqueous-based micro emulsion compositions
JP2010519264A (ja) バイオサイド組成物(ii)
LT3660B (en) An insecticidal transparent emulsion
RU2526632C2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е композиции
JP2711619B2 (ja) 殺菌殺虫組成物
JPH0539206A (ja) 殺虫剤
DE3210188C2 (de) Fungizide Zusammensetzung auf Basis von 1-Isopropyl-carbamoyl-3-(3,5-dichlorphenyl)-hydantoin sowie Verfahren zum Schutz von Kulturen
DE69809793T2 (de) Synergistische fungizide und/oder bakterizide zusammensetzungen
DE3344433C2 (de) Fungicide Zusammensetzungen auf Phosphitbasis und ihre Verwendung
DE19814092A1 (de) Pflanzenschutzmittel
JPH11335209A (ja) 雑草防除用組成物
JPH08217605A (ja) 除草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除草方法
JPH1129413A (ja) 殺虫、殺ダニ、植物用抗菌剤
DD202100A5 (de) Neue nematizid-zusammensetz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DE2647165A1 (de) Herbicides mittel gegen wilden hafer
JPH06227928A (ja) 懸濁状殺ダニ剤組成物
JP2994583B2 (ja) 農薬組成物
WO2000027195A1 (fr) Agent insecticide, acaricide et antibacterien pour pla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