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544Y1 - 우산용 커버 - Google Patents

우산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544Y1
KR910006544Y1 KR2019890015361U KR890015361U KR910006544Y1 KR 910006544 Y1 KR910006544 Y1 KR 910006544Y1 KR 2019890015361 U KR2019890015361 U KR 2019890015361U KR 890015361 U KR890015361 U KR 890015361U KR 910006544 Y1 KR910006544 Y1 KR 9100065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over
cap
drip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5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지 후지야마
Original Assignee
다이지 후지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지 후지야마 filed Critical 다이지 후지야마
Priority to KR2019890015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5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5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544Y1/ko

Link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우산용 커버
제1도는 본 고안의 우산을 펼친 상태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우산을 접은 상태의 정면도.
제3도 (a)는, 제2도 Ⅳ부분의 요부 확대 단면도, (b)는, (a)도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연결통의 일부로써 일부를 절결시킨 사시도.
제5 (a)는, 제4도의 변형예로써 일부를 절결시킨 사시도, (b)는, (a)도의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다수 연결통을 서로 걸림 조립 하기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에서의 위에서 눌러 다수의 연결통이 서로 걸림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8도는 (a)는 본 고안의 연결통들을 잡아 늘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b)는, (a)도의 상태에서 연결통들을 줄여넣어 서로 걸림고정 되기전의 요부 단면도. (c)는, (b)도에서 연결통들이 걸림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물받이 원통캡 부분의 분리 사시도.
제10도는 (a)는, 본 고안의 물받이 원통캡에 마지막 연결통의 덮개를 닫은 상태의 단면도, (b)는, (a)도의 a-a선 단면도, (c)는, 본 고안의 물받이 원통캡에 마지막 연결통의 덮개를 열은 상태의 단면도, (d)는, (c)도의 b-b선 단면도, (e)는, (d)도에서 덮개의 절결홈과 물받이 원통캡의 걸림돌기가 일치된 단면도.
제11도는 (a), (b)는, 제10도의 실시예로써, (a)는, 빗물이 덮개쪽으로 고이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b)는, 덜개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2도는, 본 고안의 연결통들이 줄여 넣어져 우산의 정상부에 장착 한것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제1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써 물받이 원통캡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제14도 (a)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의 마지막 연결통 부분의 일부절결 단면도. (b)는, (a)도의 C-C선 단면도, (c)는 (a)도의 저면도.
제15, 16도는, 제14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우산 2 : 우산천
3, 3Z: 연결통 m : 높이
4 : 내측 테두리 5 : 외측 테두리
6, 6 : 긴돌기 7, 7 : 짧은 돌기
8 : 물받이 원통캡 8a : 큰직경 통형상체
8b : 작은직경 통형상체 8c : 링형상 돌기부
9 : 반구형 유지부 10, 10A: 우산꼭지유지캡
11, 12 : 단턱 13 : 요입홈
14 : 팩킹 15 : 관통구멍
16 : 유출구멍 17 : 촉
18 : 촉 고정부 19, 20, 20' : 배수구멍
21, 21' : 걸림돌기 22 : 링형상의 턱
23 : 덮개 24 : 원통형상 리브
25, 25' : 절결홈 26 : 걸림턱
27 : 내경나사 28 : 유출구멍
29 : 배수구멍 30 : 원통캡
30a, 30c : 링형상 돌기 30b : 넓은 직경부
40 : 물받이 캡 41, 42 : 배수구멍
43 : 링형상 돌기 100 : 저수실
본 고안은, 빗물이 떨어지거나 흩어져 다른 물건에 닿는것을 방지하도록 한 우산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특히, 우산을 펴고자 할때에, 우산의 정상부에 접혀줄여진 우산용 커버가 흘러 내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사용후 접은 우산에 우산용 커버를 신장 시키어 우산용 커버의 초하단의 물받이 원통캡데 빗물이 고이도록 하면서, 또한 원통캡의 덮개를 열어 배수구멍을 통하여 용이하게 빗물을 바깥으로 배수 시킬 수 있는 우산용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종래에 있어서, 비오는 날에 우산을 쓴후에, 우산을 접어서 건물이나 전도차등의 안에서 가지고 다닌다거나 승용차내로 가지고 들어가면, 빗물이 바닥에 흘러 떨어진다거나, 의복을 적시기 때문에, 방수로된 천이나 비닐제의 커버에 우산을 접어넣어 씌우도록 하였다.
그러나, 커버는 우산과 별개로 되어 있으므로 우산의 사용후나 사용시마다 커버를 씌우거나 벗기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어서 번거롭고, 또한 커버를 잃어 버리거나 떨어뜨려서, 비닐제 커버가 건물의 출입구에 갖추어져 있지 않는 경우에는 젖은 우산을 그대로 건물내로 가지고 들어가야 하므로 빗물이 흩어져 떨어지게 되며, 건물의 출입구에 커버가 갖추어져 있는 경우에도 건물로부터 나올때에는 커버를 버리는 일이 많아서, 자원의 낭비와 폐기물이 증가되는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여러개의 연결통을 신축이 자유롭도록 연결하여 형성한 커버를 우산의 정상부에 형성하여, 우산 사용한후에 커버를 우산의 정상부로부터 신장 시키어 우산의 바깥쪽을 씌우고 재차 우산을 사용할때에는 커버를 우산의 정상부쪽으로 접어 줄인후 우산을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커버를 우산에서 분리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한 것이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우산용 커버에 있어서는 별도의 커버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는 것에 대하여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할수 있었으나, 커버의 각각 의 연결통에 형성되어 있는 한쪽의 내측 테두리와 다른쪽에 상기 내측 테두리보다 큰직경의 외측 테두리와 이 외측 테두리의 안쪽에 내측 테두리가 형성되어, 우산을 접은후 우산의 정상부의 커버를 우산 손잡이쪽으로 폈을때에 연결통들이 걸려지도록 하고, 우산을 펴고자 할때에는 커버를 우산 손잡이쪽으로부터 우산의 정상부쪽으로 줄여접어 각각의 연결통들이 상기 외측 테두리의 안쪽에 형성된 내측 테두리에 다른 연결통의 외측 테두리가 단순히 얹혀지도록 되어 있어 특히, 자동 우산의 경우 우산을 위로 향하여 들어서 펴고자할때 커버의 연결통들이 흘러 내려서 방해가 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우산의 커버내의 빗물의 배수에 있어서도, 최선단의 마지막 연결통으로 그대로 흘러 내리도록 되어서 반드시 상기의 우산을 빗물받는 곳에 보관하여야 하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우산을 접었을때의 우산처느이 길이를 적당한 갯수로 분할한 길이 보다 약간 길게한 높이를 가지며, 한쪽에 내측 테두리가 형성되고 다른쪽에 상기 내측 테두리보다 큰직경의 외측 테두리와 이 외측 테두리의 안쪽에 니측 테두리를 갖는 원추형의 여러개의 연결통을, 인접하는 상호의 연결통이 빠지지 않도록 하고 또한 연속하여 신축이 자유롭게 차례로 연결되도록 하는 우산용 커버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통의 외측 테두리의 안쪽에 원주방향으로 긴돌기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긴돌기와 일정간격을 두고 그의 주위에 짧은 돌기를 형성하여 각 연결통을 접었을때 인접하는 다른 연결통의 외측 테두리가 상기 짧은 돌기를 넘어 긴돌기와 짧은돌기 사이에 끼워맞춤이 유지되도록하고, 상기 마지막 연결통 내의 물받이 원통캡 한쪽끝단에 반구형 유지부와 유출구멍이 형성된 우산꼭지 유지캡이 고정되고 다른쪽 끝단에는 촉고정부와 배수구멍이 형성된 끝단에 덮개가 끼워져 일정 간격으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물받이 원통캡의 촉고정부 주위에 종방향의 배수 구멍과 이 배수구멍 아래에 횡방향의 배수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이 배수구멍의 아래에 횡방향의 배수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이 배수구멍의 아래에 걸림돌기가 형성됨과 동시에 걸림돌기의 아래에 링 형상의 턱이 형성되고, 덮개안에 원통형의 리브와 개구부의 테두리에 대향되게 절결홈이 형성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우산꼭지 유지캡은 물받이 원통캡에 접착 고정되는 단턱과 반구형 유지부 아래의 단턱과의 사이에 형성한 요입홈에 팩킹이 형성되고, 중앙에 반구형 유지부와 연결되어 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의 주위에 유출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마지막 연결통을 물받이 원통캡으로 하고 이 물받이 원통캡에 우산꼭지 유지캡을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우산꼭지 유지캡에 내경의 나사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첨부도며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우산(1)의 우산용 커버를 구성하는 다수의 연결통(3)들은 우산천(2)의 중앙으로부터 튀어나온 우산촉(17)의 정상부에 장착되며 평상시에는 우산(1)이 개폐동작에 지장이 없도록 연결통(3)들을 접은(길이를 접어 줄인)상태로 하여 유지한다.
제2도 및 제3도 (a)에 나타낸 바오같이 우산용 커버는 우산(1)을 접었을때의 우산천(2)의 길이를 적당한 갯수로 분할한 길이보다 약간 길게한 높이(m)로써 여러개의 속이빈 연결통(3)을 형성한다.
또한, 우산(1)을 접은 상태로하여 우산통 커버를 신장(길게펴늘린) 상태로 하면, 젖은 우산천(2)의 바깥둘레를 방수 피복 할 수가 있다.
다음에, 상기 우산용 커버의 상세한 설명을 제3도 내지 제5도에서 설명한다.
이 우산용커버는, 제4도와같이 차례로 직경이 작은 원통형상을 한 여러개의 짧은길이의 연결통(3)이 사용된다.
이 연결통(3)은, 예를들면 폴리프로필렌등과 같이 가요성을 가지는 비교적 연질인 플라스틱재로써 형성되며, 작은직경쪽의 끝단 안쪽둘레의 내측테두리(4)가 큰 직경쪽의 끝단부 바깥둘레에 외측테두리(5)가 각각 링형상으로 튀어나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통(3)에는 큰직경쪽의 끝단부와 인접하는 내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서 긴 길이의 원통형상을한 긴돌기(6), (6)가 마주보는 상태로 튀어나와 형성되어 있다.
이 각 긴돌기(6), (6)와 소정의 간격을둔 내측 위치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2개를 1조로하는 짧은길이의 원호형상으로써 상기 긴돌기(6), (6)보다 돌출 높이를 낮게한 짧은돌기 (7), (7)가 마주보는 상태로 튀어나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예에서 제5도 (a) 및 (b)에 나타낸 바와같이 짧은돌기(7), (7)를 반구형상으로 형성 할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차례로 직경을 작게한 닮은꼴로 형성된 여러개의 각 연결통(3)들은, 제3도 (a) 및 제5도 (b)와같이 동형상으로 끼워맞춤되며 이들의 각 연결통들은 제7도 및 제8도와 같이 인접 끝단부가 서로 걸림 상태로 차례로 연결되어 신축 자재한 일체의 우산용 커버가 형성된다.
이때, 다수의 연결통(3)들의 조립에 있어서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연결통(3)들을 큰직경쪽의 끝단부 바깥둘레의 외측 테두리(5)가 위쪽으로 향하도록 순차적으로 올려 놓은후, 위에서 밀어누르면, 각 연결통(3)의 외측테두리(5)가 긴돌기(6), (6)들을 타고 넘어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서로 연결된 우산용 커버를 구성할수가 있다.
그리고, 이 우산용 커버를 제2도와같이 신장 상태로 하면, 우산(1)의 손잡이 가까이까지 우산천(2)이 덮혀지도록 연결통(3)의 길이와 본래의 수가 설정되어 있다.
이 우산용 커버는, 각 연결통(3)을 제8도 (a)와 같이 신장 시킨 때에, 내측의 연결통(3)의 외측 테두리(5)가 외측의 연결통(3)의 내측테두리(4)에 걸려져, 이 외측의 연결통(3)의 외측 테두리(5)는 다시 외측의 연결통(3)의 내측테두리(4)에 걸려지기 때문에, 이로써 우산용 커버의 신장시에 있어서의 각 연결통(3)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한, 우산용 커버의 각 연결통(3)을 줄여 겹쳐지게 하면, 제8도 (b)와 같이 내측의 연결통(3)의 외측 테두리(5)가 외측의 연결통(3)의 짧은돌기(7), (7)에 일단 걸려지고, 이외측의 연결통(3)의 외측 테두리(5)는 다시 외측의 연결통(3)의 짧은돌기(7), (7)에 일단 걸려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더 신축 방향으로 누르며, 외측 테두리(5)가 짧은돌기(7), (7)를 각각 타고 넘어서 제8도 (c)와 같이 외측 테두리(5)와 긴돌기(6), (6)와 짧은돌기(7), (7) 사이에 끼워져 들어가, 외측 테두리(5)는 긴돌기(6), (6)와 짧은돌기(7), (7)사이에 끼워져 들어간다.
이로써, 우산용 커버는, 줄여 겹쳐질때에 있어서의 각 연결통(3)들의 줄여 겹쳐지는 방향으로 탈락이 방지됨과 동시에, 줄여 겹친후에 있어서의 각 연결통(3)의 신장 방향으로의 흘러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에, 빗물받이 부분의 상세한 설명을, 제9도 및 제10도에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빗물받이 부분은 우산천(2)에 부착하여 물방울로써 방울져 떨어진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수실(100)이 내부에 형성된 물받이 원통캡(8)과, 이 물받이 원통캡(8)의 한쪽끝단부에 장착되어 우산(1)의 우산축의 앞끝단에 형성된 우산촉(17)를 고정불임하는 반구형 유지부(9)와, 이물받이 원통캡(8)의 다른쪽 끝부에 장착되어 저수실(100)에 저장한 빗물을 소정의 장소로 적절히 배출할 수 있도록한 물빼는 덮개(23)로써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우산축 반구형 유지부(9)는 중앙에 촉(17)의 관구멍(15)이 뚫려진 술잔 형상의 통형상체로써, 이 통형상체의 외주에는, 1쌍의 링형상 단턱(11), (12)이 튀어나와 있다.
이 링형상 단턱(11), (12)사이에는 링형상 요입홈(13)이 형성되고, 이 링형상 요입홈(13)내에는 링형상의 팩킹(14)이 장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술잔형상 부분의 목부분에는 빗물 유출구멍(16)이 뚫려져 있다.
상기 물받이 원통캡(8)은 윗부분쪽의 큰직경 통형상체(8a)와 아래쪽의 작은 직경 통형상체(8b)로써 일체로 형성된 통형상체 이고, 이 큰직경 통형상체(8a)의 아래끝단부의 외주에는 링형상 돌기부(8c)가 튀어나와 형성되어 있다.
이 큰직경 통형상체(8a)의 바닥판 중앙에는, 상기 관통구멍(15)을 관통한 촉(17)의 앞끝단이 끼워맞춤되는 촉 고정부(18)가 형성되고, 이 촉 고정부(18)의 주위의 바닥판면에는 작은직경 통형상체(8b)쪽으로 연결되어 통하는 원호형상의 배수구멍(19)이 뚫려져 있다.
또한 작은 직경 통형상체(b)에는, 내, 외를 연결되어 통하는 것같이 뚫려진 여러개의 각 배수구멍(20), (20')과, 아래끝단 테두리의 외주를 팽출시킨 링형상의 턱(22)과, 이 턱(22)과 협동하여 상기 물빼는 덮개(23)에 걸어멎춤되는 여러개(도면에서는 2개)의 걸림돌기(21), (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물뺀는 덮개(23)는, 중앙으로부터 원통형상 리브(24)가 튀어나와 형성되어 걸림턱(26)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걸림턱(26)의 일부를 반경 방향으로 절결하여 절결홈(25), (25')이 형성 되어있다.
이 물빼는 덮개(23)는, 물받이 원통캡(8)의 걸림돌기(21), (21')와 절결홈(25), (25')을 꼭들어 맞게한 위치로하여, 작은 직경 통형상체(8b)내로 원통형상 리브(24)를 끼워넣으면, 걸림턱(26)이 링형상의 턱(22)를 타고 넘어서 물받이 원통캡(8)에 장착된다.
또한, 장착된 물빼는 덮개(23)는 제10도 (e)와 같이 걸림돌기(21), (21')와 절결홈(25), (25')의 위치를 일치시킨 상태로하여 밀고 당기면, 제10도 (a)와 같이 배수구멍(20), (20')이 닫힌 위치와, 제10도 (b)와 같이 배수구멍(20), (20')이 열린 위치의 사이를 미끄럼 이동 시킬수가 있다.
다시 물빼는 덮개(23)을 회전시키어, 제10도 (d)와 같이 걸림돌기(21), (21')와 절결홈(25), (25')의 위치를 겹치지 않도록 비키어 놓으면, 배수구멍(20), (20')을 제10도 (c)와 같은 상태로 유지 시킬수가 있다.
또한, 상기 물받이 원통캡(8)에는 예를들면 ABS수지등의 경질의 프라스틱재가, 상기 반구형 유지부(9)와 물빼는 덮개(23)에는 예를들면 폴리프로필렌등의 비교적 연질이고 가요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재가 사용된다.
다음에, 상기 빗물받이 부분의 조립에 있어서는, 우선 우산용 커버를 줄여 접은 상채에서 최선단에 장착된 연결통(3Z)의 작은 직경쪽 개구부로부터 물받이 원통캡(8)의 큰직경 통형상체(8a)쪽 끝단부를 삽입하고, 먼저 링형상 요입홈(13)내에 팩킹(14)을 끼운 반구형 유지부(9)를 연결통(3Z)의 큰직경쪽 개구부로부터 삽입하며, 이 물받이 원통캡(8)과 반구형 유지부(9)의 각 끝단부를 눌러넣은 상태로 끼워맞춤 시킴과 동시에, 양자간에는 접착제를 개재 시키어 고정붙임 상태로 연결 시킨다.
이로써, 빗물 받이부분에는 우산용 커버가 연결되며, 이 연결된 우산용 커버는, 최선단의 연결통(3Z)의 앞끝단쪽에 형성된 내측테두리(4)가, 신장시에는 상기 링형상 단턱(12)에 줄여접은 때에는, 상기 링형상 돌기부(8c)에 각각 걸려짐과 동시에, 이 링형상 단턱 및 돌기부(12), (8c)사이를 물받이 원통캡(8)의 바깥둘레면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다.
따라서, 이 최선단 연결통(3Z)의 안쪽둘레면은 상기 링형상의 팩킹(14)에 미끄럼 접촉되어, 우산(1)으로부터 방울져 떨어진 빗물이 물받이 원통캡(8)의 바깥둘레면을 따라서 외부로 유출하는것을 막을 수 있도록 팩킹(14)에 시일할수 있다.
또한, 이 우산용 커버를 우산(1)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제11도와 같이 최선단의 연결통(3Z)내에 수용된 반구형 유지부(9)의 관통구멍(15)에 촉(17)을 끼워넣어서, 이 촉(17)의 선단부가 상기 촉고정부(18)에 끼워맞춤 시킴과 동시에 우산천(2)의 선단부가 반구형 유지부(9)의 술잔형상의 내면에 자리를 잡는 위치로 밀어넣는 상태에서 끼워맞춤 시킨다.
이 촉(17)에는 미리 접착제를 도포하여 양간 사이를 굳게 붙이는 상태로 연결시키어 이로써 우산(1)은 빗물받이부를 개재하여 우산용 커버의 연결통(3)에도 연결된다.
이 우산(1)에 장착된 우산용커버는, 우산(1)을 사용할때는 연결통(3)들을 줄인 상태로하여 즉, 제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우산의 펼치고 접는 동작에 지장이 없도록 우산측의 정상부에 유지 시키어 놓고, 또한, 우산(1)을 사용한 후에는, 연결통(3)들을 신장 상태로하여 접힌 우산의 우산천의 바깥둘레를 방수 피복하여 당해 우산(1)에 접촉하여도 의복을 버리는 일이 없도록 할수가 있다.
또한 우산(1)에 부착하여 차차 방울져 떨어진 빗물은, 상기 유출구멍(16)을 통하여 물받이 원통캡(8) 내의 저수실(100)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이빗물은 덮개(23)의 개폐에 따라서 배수구멍(20), (20')으로부터 소망의 시간과 장소에서 적절히 배출 시키는데, 이 배수처리의 상세한 설명은 제1도 (a), (b)에 의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1도 (a)와 같이 덮개(23)를 물받이 원통캡(8)쪽으로 밀어 넣어서 배수구멍(20), (20')을 막아놓으면, 상기 유출구멍(16)을 통하여 물받이 원통캡(8)내의 저수실(100)에 차차 유입된 빗물은, 배수구멍(19)를 통하여 덮개(23)의 원통형상 리브(24)내의 공간에 저류되며, 이 원통형상 리브(24)내의 공간이 빗물로 만수상태가 되어, 수위가 올라가면, 적어도 상기 저수실(100)가 만수 상태로 되기까지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장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저장된 빗물을 배수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덮개(23)을 회전 시킨면서 잡아당기어 제11도 (b)와 같이 배수구멍(20), (20')을 해방 상태로 하면, 상기 저수실(100) 및 원통형상 리브(24)내의 공간에 있는 빗물을 바깥으로 배출 시킬수가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제14도 (a), (b), (c)에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우산용 커버는, 다수의 연결통(3)부분과, 이 연결통(3) 아래의 빗물받이 부분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연결통(3)은 상기한 실시예의 연결통(3)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빗물받이 부분은 물받이 원통캡(30)과 우산꼭지 유지캡(10A)으로써 형성되고, 이 물받이 원통캡(30)에는 우산용 커버의 최선단에 장착된 연결통(3Z)이 연결된다.
상기 우산꼭지 유지캡(10A) 및 물받이 원통캡(30)은, 각각 링형상 돌기(30a), (30c)를 형성하고, 물받이 원통캡(8)의 속이빈 내부는 저수실(100)을 형성함과 동시에, 저면에는 빗물을 바깥으로 배출시키는 다수의(도면에서 3개) 배수구멍(29)이 뚫려져 있다.
또한, 원통캡(30)은, 각 링형상 돌기(30a), (30c) 사이에 형성된 연결통(3Z)에 대한 미끄럼면의 일부가 넓은 직경으로 되어, 이 넓은 직경부(30b)는 연결통(3Z)을 줄인때에 연결통(3Z)내로 눌려 들어간 상태에서 끼워맞춤되어 연결통(3)들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우산꼭지 유지캡(10A)에는, 중심부에 내경나사(27)가 형성되어 있어 그의 바깥쪽에는 저수실(100)로 연결되어 통하는 유출구멍(28)이 뚫려져 있다.
상기 내경나사(27)에는 예를들면 기존의 2단으로 접는 우산(1)으로부터 촉의 캡을 빼내고, 그의 외경나사를 직접 나사 조립하여, 우산(1)에 우산용 커버를 떼고 붙이고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링형상 돌기(30a), (30c) 사이에는, 연결통(3)의 외선단의 연결통(3Z)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연결통(3)들의 신축시에는 연결통(3Z)의 내측테두리가 링형상 돌기(30a), (30c)에 각각 걸려진다.
또한, 상기 유출구멍(28)을 통하여 우산(1)으로부터 방울져 떨어지는 빗물이 저수실(100)내로 차차 떨어져, 이 빗물은 직접 바깥으로 배출되지 않고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당해 저수실(100)내로부터 배수구멍(29)을 통하여 소량씩 차차 배출된다.
또한 본 고안의 우산용 커버는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들면 제13도 및 제15도, 제16도와 같이 요지의 범위내에 있어서 각종의 변형을 할수가 있다.
제13도의 우산용 커버는, 상기 한 제1실시예에 의한 우산용 커버와 같이 연결통(3)들과, 빗물받이 부분으로 부터 저수 및 재수구조의 부분을 제거한 빗물받이 부분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빗물받이 부분은, 상기 우산축의 우산꼭지 유지캡(10)에 있어서의 유출구멍이 없는 구조의 우산축 유지부와, 상기 원통캡(8)에 있어서의 배수구멍이 없는 구조에 의한 물받이 원통캡(8)과 상기 물받이 덮개(23)와 같이 잡아뺄수 없는 굳게 붙인 상태로써, 물받이 원통캡(8)의 선단에 덮어씌운 덮개(23)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우산용 커버에서는 연결통(3) 들내의 빗물은 최선단의 연결통(3Z)내가 만수 상태로 된 때에 이 연결통(3Z)과 연결되는 연결통(3)과의 접합부 사이로부터 바깥으로 차차 배수 되는데 통상은 그렇게 저류되지 않기 때문에 우산용 커버를 거꾸로 세워서 배수 시킨다.
제15도의 우산용 커버는 상기한 제1실시예에 의한 우산용 커버와 같이 연결통(3)과, 상기 제2실시예에 의한 원통캡(30)에 개폐가 자유롭도록한 물받이 캡(40)르 장착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원통캡(30)에서는, 저면이 없는 통형상체로서 끝단부의 바깥둘레에 외경나사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외경나사 부분의 일부에 배수구멍(41), (41)이 뚫려져 있다.
물받이 캡(40)은 상기 원통캡(30)의 개구 끝단부를 막는 통형상체로써, 이 내경나사에 나사맞춤하는 내경나사와, 이 내경나사 부분의 일부에 뚫려져 회전시에 상기 배수구멍(41), (41)에 연결되어 통하는 배수구멍(42), (42)과, 연결통들을 줄일때에 최선단의 연결통(3Z)의 내측테두리(4)가 걸려지는 링형상 돌기(43)로써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경나사와 외경나사를 나사맞춤 시키어 배수구멍(41)과 배수구멍(42)이 연결되어 통하지 않는 상태로 놓으며, 저수실(100)내에 빗물이 저장되며, 배수구멍(41)과 배수구멍(42)이 연결되어 통하게 놓으면, 저장된 빗물을 바깥으로 배출 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우산꼭지 유지캡(10A)와 원통캡(30)을 앞서 별개체로 만들어, 최선단의 연결통(3Z)의 큰직경쪽으로부터 삽입한 우산꼭지 유지캡(10A)과 최선단의 연결통(3Z)의 작은직경 쪽으로부터 삽입한 원통캡(30)을 서로 끼워맞춤 시킴과 동시에 양자간에 접착제를 개재 시키어 일체로 굳게 붙임한다.
이로써 우산용 커버에 대한 빗물받이 부분의 연결을 용이하게 또한 견고하게 할 수가 있다.
제16도의 우산용 커버는 상기한 제2실시예에 의한 우산용 커버와 같이 저수 및 배수구조의 부분을 없앤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물받이 원통캡 (30)은 상기 우산꼭지 유지캡(10A)에 있어서의 유출구멍이 없는 구조의 우산꼭지 유지캡(10A)과, 상기 원통캡(30)에 있어서의 배수구멍이 없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알수 있는 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우산용 커버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 할수가 있다.
연결통 들을 줄인 상태로써 우산축에 장착된 신축커버는 내측의 연결통의 외측 테두리가 외측의 연결통의 짧은돌기를 타고넘어 긴 돌기와 짧은돌기 사이에 끼워맞춤되어 있기 때문에 이 연결구조에 의하여 우산용 커버는 신장방향으로 벗겨져 떨어지는 일이없이 유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예로서 우산축의 정상부를 위로하여 우산을 펼치는 경우에도, 개폐 동작은 방해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의 우산용 커버와 빗물받이 부분의 연결구조에 의하여, 우산용 커버를 우산천의 바깥둘레에 덮어 씌운다던지, 덮어씌운 커버를 우산천의 바깥둘레로부터 벗길때의 신축 동작시에 각 연결부분에 강한 힘이 가하여져도 가 연결통이 쉽게 벗겨져 나가지 않도록 견고히 유지된다.
또한, 물받이 원통캡내의 저수실에 우산으로부터 차차 방울져 떨어진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물받이 덮개의 개폐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바깥으로 배수 시킬수가 있기 때문에, 바닥을 적시는 일이 없음과 동시에, 젖은 우산을 임의의 정소에 보관 할수가 있다.

Claims (4)

  1. 우산을 접었을때의 우산천의 길이를 적당한 갯수로 분할한 길이보다 길게한 높이를 가지며, 한쪽에 내측 테두리가 형성되고 다른쪽에 상기 내측테두리보다 큰 직경의 외측테두리와 이 외측 테두리의 안쪽에 내측 테두리를 갖는 원추형의 여러개의 연결통을 인접하는 상호의 연결통이 빠지지 않도록 하고, 또한 연속하여 신축디 자유롭게 차례로 연결되도록 하는 우산용 커버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통(3)의 외측테두리(5)안쪽에 원주방향으로 긴돌기(6), (6)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긴돌기(6), (6)와 일정 간격을 두고 그의 주위에 짧은돌기(7), (7)를 형성하여 각 연결통(3)을 접었을때 인접하는 다른 연결통(3)의 외측테두리(5)가 상기 짧은돌기(7), (7)를 넘어 긴돌기(6), (6)와 짧은돌기(7), (7) 사이에 끼워맞춤이 유지되도록하고, 상기 마지막 연결통(3)내의 물받이 원통캡(8) 한쪽끝단에 반구형 유지부(9)와 유출구멍(16)이 형성된 우산꼭지 유지캡(10)이 고정되고 다른쪽 끝단에는 촉고정부(18)와 배수구멍(19), (20), (20')이 형성된 끝단에 덮개(23)가 끼워져 일정간격으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용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우산꼭지 유지캡(10)은 물받이 원통캡(8)에 접착고정되는 단턱(11)과 반구형 유지부(9) 아래의 단턱(12)과의 사이에 형성한 요입홈(13)에 팩킹(14)이 형성되고 중앙에 반구형 유지부(9)와 연결되어 통하는 관통구멍(15)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15)의 주위에 유출구멍(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우산용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물받이 원통캡(8)의 촉고정부(18) 주위에 종방향의 배수구멍(19)과 이 배수구멍(19) 아래에 횡방향의 배수구멍(20), (20')이 각각 형성되고 이 배수구멍(20), (20')의 아래에 걸림돌기(21), (21')가 형성됨과 동시에 걸림돌기(21), (21')의 아래에 링형상턱(22)이 형성되고 덜개(23)안에 원통형의 리브(24)와 개구부의 테두리에 대향되게 절결홈(25)(25')이 형성된 걸림턱(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용 커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마지막 연결통(3Z)을 물받이 원통캡(8)으로하고 이 물받이 원통캡(8)에 우산꼭지 유지캡(10A)을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우산꼭지 유지캡(10A)에 내경나사(27)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용 커버.
KR2019890015361U 1989-10-21 1989-10-21 우산용 커버 KR9100065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5361U KR910006544Y1 (ko) 1989-10-21 1989-10-21 우산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5361U KR910006544Y1 (ko) 1989-10-21 1989-10-21 우산용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544Y1 true KR910006544Y1 (ko) 1991-08-26

Family

ID=19291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5361U KR910006544Y1 (ko) 1989-10-21 1989-10-21 우산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5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305B1 (ko) * 2011-12-16 2012-04-26 (주)한동알앤씨 빗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커버를 갖춘 안전 우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305B1 (ko) * 2011-12-16 2012-04-26 (주)한동알앤씨 빗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커버를 갖춘 안전 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4454B1 (en) Collapsible umbrella with sheathing handle
US5135017A (en) Umbrella cover
KR910006544Y1 (ko) 우산용 커버
US5425388A (en) Telescopic safety umbrella case
JP2015223328A (ja) 傘及び傘カバー装置
JP2676418B2 (ja) 雨傘用カバー
KR200319726Y1 (ko) 우산커버
JPH07143906A (ja) 折畳み傘の収納具
JP3039090U (ja) 排水構造を有する雨傘用防水筒
KR200268406Y1 (ko) 접기가 용이한 커버 일체형의 우산
KR100745702B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우산
KR20010000031U (ko) 빗물받이용 우산캡
JP3072597U (ja) 水抜き装置を有する傘カバー
US11246387B2 (en) Umbrella having built-in waterproof case
KR200311890Y1 (ko) 빗물받이용 우산캡
JPH1057129A (ja) 傘カバー
KR200251155Y1 (ko) 3단 절첩식 우산용 커버
JPH1014634A (ja) 伸縮カバー筒付傘
JPS62164405A (ja) 傘における水溜め
KR890000368Y1 (ko) 집수통이 설치된 우산
JPH047814Y2 (ko)
JP2006320698A (ja) 傘および傘用カバー
KR200271435Y1 (ko) 우산
KR102113516B1 (ko) 가방용 우산걸이
JP2002291509A (ja) 収納体付き折り畳み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6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