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368Y1 - 집수통이 설치된 우산 - Google Patents

집수통이 설치된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368Y1
KR890000368Y1 KR2019860001274U KR860001274U KR890000368Y1 KR 890000368 Y1 KR890000368 Y1 KR 890000368Y1 KR 2019860001274 U KR2019860001274 U KR 2019860001274U KR 860001274 U KR860001274 U KR 860001274U KR 890000368 Y1 KR890000368 Y1 KR 8900003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water
sump
drth
screw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1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2982U (ko
Inventor
김영모
Original Assignee
김영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모 filed Critical 김영모
Priority to KR2019860001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368Y1/ko
Publication of KR8700129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29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3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3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집수통이 설치된 우산
제1도는 본 고안의 부분절취 사시도.
본 고안은 우산의 꼭지에 집수통을 설치하여 우산에 묻은 빗물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집수통에 고인물을 쉽게 뺄 수 있게한 집수통이 설치된 우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우산을 사용한 후 실내에 우산을 접어 세워놓으면 우산에 묻었던 빗물이 실내에 흘러 내리므로 별도의 우산꽂이통을 활용하기도 하였으나 우산꽂이통이 없는 곳에는 우산에 묻었던 빗물이 그대로 흘러내려 주위를 적시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없이하도록 제안된 종래의 우산은 우산의 꼭지에 집수통을 나착한 것이 있었으나 우산꼭지의 집수통에 고인 물을 버리기 위하여서는 우산을 반대로 세워야 하고 반대로 세운 경우에 집수통에 고인물이 우산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사용자의 옷이나 주위를 적시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없이하도록 우산꼭지에 고무와 같은 유연한 재질로된 집수통을 고정하되 스프링을 탄지시키므로서 우산꽂이통이 없는 곳에서 우산을 사용후 접어 세워놓으면 우산에 묻은 빗물이 집수통에 흘러들어 바닥을 적시지 않으며 집수통에 고인 물을 뺄때에는 우산을 세워놓은 상태로 우산을 누르면 집수통이 겹쳐지면서 집수통내의 물이 외부로 분리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옷이나 주위를 적시지 않고도 집수통의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한 집수통이 설치된 우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구성은 우산꼭지(1)에 결합되는 나사홈(2)을 집수통(8)을 중앙에 형성하고, 그 주위에는 안내판(3)을 설치하되 안내판(3) 외측에 집수구멍(4)들을 형성하며, 그 외측에 턱(5)을 연이어 형성하고, 턱(5)의 하측으로 탄성재로된 몸통벽부(6)를 일체로 형성하되, 나사홈(2)의 하측과 몸통밑면(6') 사이에 스프링(7)을 탄지시켜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탄성재로된 몸통벽부(6) 내부에서 나사홈(2)의 하측과 몸통밑면(6') 사이에는 스프링(7)이 탄지되어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몸통벽부(6)가 제1도와 같이 일정한 형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우산을 사용한 후 실내에 우산을 접어 세워 놓으면 우산에 묻었던 빗물이 우산을 타고 아래로 흘러내려가 몸통벽부(6)의 상부 외측으로 연이어 형성된 턱(5) 내측으로 흐르게 되고 집수구멍(4)들을 통하여 이 빗물은 몸통벽부(6) 내부에 고이게 되므로 실내 바닥으로 흐르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후, 몸통벽부(6) 내부에 고인 빗물을 뺄때에는 우산을 세워 놓은 상태에서 우산을 아래로 누르면 나사홈(2)의 하측과 몸통밑면(6') 사이에 탄지된 스프링(7)이 압축되면서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된 몸통벽부(6)가 눌려 접혀지므로 몸통체적이 축소되고 이에 따라 집수통(8)에 고여있던 빗물은 안내판(3) 외측에 형성된 집수구멍(4)들을 통하여 외부로 분사되는데 이때 집수구멍(4)의 상부내측에 형성된 안내판(3)이 빗물이 우산쪽으로 분사되는 것을 막아주므로 물믈은 우산 외측으로만 분사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옷이나 주위를 적시지 않고도 집수통(8) 내부에 고인물을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누르고 있던 우산을 놓으면 압축되었던 스프링(7)이 복귀됨과 동시에 겹쳐진 상태로 눌려있던 몸통벽부(6)도 복귀되므로 평상시와 같은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이 우산을 수회 눌러줌으로써 집수통(8)에 고인물을 완전히 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우산에서 꼭지로 흐르는 빗물을 집수통에 수집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집수통에 고인 물을 주위나 옷을 적시지 않고 배출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우산꼭지에 결합되는 나사홈과 집수구멍이 형성된 집수통을 우산꼭지에 끼운 우산에 있어서, 집수구멍(4)위에 안내판(3)의 형성하고, 집수통(8)의 몸통벽부(6)을 탄성재로 형성하며, 나사홈(2)의 타측과 몸통밑면(6') 사이에 스프링(7)을 탄지시켜 된 집수통이 설치된 우산.
KR2019860001274U 1986-02-05 1986-02-05 집수통이 설치된 우산 KR8900003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1274U KR890000368Y1 (ko) 1986-02-05 1986-02-05 집수통이 설치된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1274U KR890000368Y1 (ko) 1986-02-05 1986-02-05 집수통이 설치된 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2982U KR870012982U (ko) 1987-09-05
KR890000368Y1 true KR890000368Y1 (ko) 1989-03-09

Family

ID=19248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1274U KR890000368Y1 (ko) 1986-02-05 1986-02-05 집수통이 설치된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36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273B1 (ko) * 2019-08-28 2020-01-28 곽민서 빗물받이용 우산캡
KR102070274B1 (ko) * 2019-08-28 2020-01-28 곽현욱 빗물받이용 우산캡
KR102161242B1 (ko) * 2019-05-21 2020-09-29 주식회사 나무와뿌리 우산용 빗물 캡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242B1 (ko) * 2019-05-21 2020-09-29 주식회사 나무와뿌리 우산용 빗물 캡
KR102070273B1 (ko) * 2019-08-28 2020-01-28 곽민서 빗물받이용 우산캡
KR102070274B1 (ko) * 2019-08-28 2020-01-28 곽현욱 빗물받이용 우산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2982U (ko) 198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368Y1 (ko) 집수통이 설치된 우산
US5178175A (en) Removable rain water collecting device for umbrellas
CN109700145A (zh) 一种可压缩的雨伞沥水套
US5381812A (en) Rain water collecting device for umbrellas
CN209825446U (zh) 一种防滴水雨伞
US4066170A (en) On-wall umbrella holder
KR0117468Y1 (ko) 우산의 빗물 받이 캡
JPH0574316U (ja) 雨傘専用水受器
KR850000959Y1 (ko) 우산 보관대
JPH0576315U (ja) 傘構造
JPS582818Y2 (ja) ごみ除け付き雨樋集水器
CN2142278Y (zh) 雨伞积水器
JPH047814Y2 (ko)
CN219397364U (zh) 一种医用的尿液采集瓶
JPS62164405A (ja) 傘における水溜め
JPS6230966Y2 (ko)
KR102000223B1 (ko) 우산용 빗물 받이 캡
JPS6335619Y2 (ko)
KR200282829Y1 (ko) 물 받이 우산꼭지
KR200199646Y1 (ko) 물 받이 우산
JPH0613531U (ja) 雨傘の雫受け器
JPH04170901A (ja) 雨傘用雨水受具及び雨水受カバー
KR910007575Y1 (ko) 제습기의 배수 장치
JPH0414994U (ko)
JP3358058B2 (ja) 傘の水滴捕捉用具とそれを用いた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