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242B1 - 우산용 빗물 캡 - Google Patents

우산용 빗물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242B1
KR102161242B1 KR1020190059185A KR20190059185A KR102161242B1 KR 102161242 B1 KR102161242 B1 KR 102161242B1 KR 1020190059185 A KR1020190059185 A KR 1020190059185A KR 20190059185 A KR20190059185 A KR 20190059185A KR 102161242 B1 KR102161242 B1 KR 102161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umbrella
coupled
moving body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무와뿌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무와뿌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무와뿌리
Priority to KR1020190059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용 빗물 캡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용 빗물 캡은, 우산이 결합되고, 빗물이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유도핀; 상기 유도핀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유도핀과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된 이동체; 상단이 상기 몸체의 상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확장부; 및 상기 확장부를 감싸도록 상단이 상기 몸체의 상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와의 사이에 빗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산의 끝단에 설치할 수 있으며, 우산에 뭍은 빗물을 일정량 수용할 수 있으므로, 우산을 접어 실내에 입장하더라도, 우산 뭍은 빗물로 인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우산용 빗물 캡{RAIN WATER GUIDE OF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용 빗물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을 접었을 때, 우산에 뭍은 빗물이 외부에 떨어지지 않도록 빗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우산용 빗물 캡에 관한 것이다.
우산은 사용자들이 비가 내릴 때 이용하며, 사용자가 실내에 입장하기 위해 우산을 접으면, 우산에 뭍은 빗물이 그대로 실내에 떨어져 실내를 오염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건물 등에는 우산을 넣을 수 있는 비닐봉투가 제공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비닐봉투는 일회용으로 잠시 우산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된 비닐봉투의 상태와 무관하게 잠시 이용된 이후에 버려진다. 그런데, 최근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비닐봉투의 사용이 최소화되거나 금지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비가 오는 날에 우산을 입구 등에 배치된 우산 보관함을 이용하도록 권장되고 있는데, 그로 인해, 우산이 분실되는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와 같이, 우산의 분실 위험이 없고, 또한, 비닐봉투와 같은 일회용 물품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로 인해 실내를 오염시키지 않을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04880호 (2018.09.27.)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98740호 (2018.09.0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4196호 (2012.12.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우산에 장착하여 우산에 뭍은 빗물이 실내를 오염시키지 않을 수 있는 우산용 빗물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용 빗물 캡은, 우산이 결합되고, 빗물이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유도핀; 상기 유도핀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유도핀과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된 이동체; 상단이 상기 몸체의 상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확장부; 및 상기 확장부를 감싸도록 상단이 상기 몸체의 상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와의 사이에 빗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중심 몸체부; 상기 중심 몸체부의 상단에 상기 중심 몸체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빗물이 상기 몸체와 커버의 사이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빗물 가이드부; 및 상기 중심 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중심 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삽입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삽입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횡단면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가 상기 몸체에서 이격되도록 동작할 때, 상기 배출부와 이동체 사이에 빗물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바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일 측이 상기 중심 몸체부 및 빗물 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빗물 가이드부를 상기 중심 몸체부에 결합시키고, 상기 다수의 돌출바 사이에 상기 빗물 가이드부에서 가이드된 빗물이 상기 몸체와 커버 사이에 유입되도록 빗물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 몸체부의 중앙에 상기 우산이 삽입되는 우산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산 삽입홈에는 우산이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체에 복원력이 작용되도록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된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에는 상기 스프링이 수용되는 스프링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부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된 다수의 확장판; 상기 다수의 확장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확장판을 연결하는 상부 연결판; 및 상기 다수의 확장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확장판을 연결하는 하부 연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는, 상기 중공이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에 형성된 중공을 통해 상기 몸체와 커버의 사이에 수용된 빗물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중공부의 외측에 상기 확장부 및 커버가 차례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공부의 내측면에 상기 유도핀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유도핀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산의 끝단에 설치할 수 있으며, 우산에 뭍은 빗물을 일정량 수용할 수 있으므로, 우산을 접어 실내에 입장하더라도, 우산 뭍은 빗물로 인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빗물을 수용하는 빗물 캡에 빗물이 수용되면 그로인해 확장부가 확장될 수 있어, 많은 양의 빗물이 빗물 캡에 유입되더라도 빗물 캡 외부로 빗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확장부를 확장시키기 위해 탄성부가 구비됨에 따라 탄성부를 통해 빗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확보할 수 있어, 다량의 빗물이 수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빗물 캡을 우산에 탈착할 수 있도록 우산의 끝단에 결합될 수 있어, 기존의 우산에 편리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캡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캡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캡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캡이 우산에 결합된 상태에서 빗물이 수용될 때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캡이 우산에 결합된 상태에서 빗물이 수용될 때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로, 도 5와 다른 각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캡이 우산에 결합된 상태에서 빗물이 배출될 때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캡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캡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캡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용 빗물 캡(100)은, 몸체(110), 유도핀(120), 스프링(130), 확장부(140), 이동체(150) 및 커버(16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우산(200)에 결합되고, 우산(200)에서 흐르는 빗물을 일 측(본 실시예에서, 몸체(110)의 하부 방향)으로 모으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몸체(110)는, 중심 몸체부(111), 가이드홈(113), 빗물 가이드부(115), 빗물 관통홀(117) 및 우산 삽입홈(119)을 포함한다.
중심 몸체부(111)는, 상부에 빗물 가이드부(115)가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단차를 가지며 직경이 감소될 수 있다. 이때, 중심 몸체부(111)는 횡단면이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심 몸체부(111)의 상부에 빗물 가이드부(115)가 형성되고, 빗물 가이드부(115)의 하부에 중심 몸체부(111)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돌출바(111a)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바(111a)는 중심 몸체부(111)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돌출바(111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 개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다수의 돌출바(111a)는 수직 방향의 길이를 가지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데, 빗물 가이드부(115)에 의해 모인 빗물이 이격된 다수의 돌출바(111a) 사이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겠지만, 확장부(140) 및 커버(160)가 중심 몸체부(111)의 외주면을 덮도록 배치될 때, 다수의 돌출바(111a)에 의해 빗물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돌출바(111a)의 상단을 보면, 내측이 중심 몸체부(111)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외측이 빗물 가이드부(115)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돌출바(111a)가 이격됨에 따라 빗물 가이드부(115)와 중심 몸체부(111) 사이에 빗물이 중심 몸체부(111)의 외주면으로 유입될 수 있는 빗물 관통홀(11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심 몸체부(111)의 상부면에 우산(200)이 삽입될 수 있는 우산 삽입홈(119)이 형성될 수 있다. 우산 삽입홈(119)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내측면에 우산(200)의 끝단과 결합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우산 삽입홈(119)은 장우산이 결합될 수 있게 소정의 깊이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깊이와 폭은 우산(20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중심 몸체부(111)는 하부에 삽입부(111b)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11b)는 중심 몸체부(111)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11b)의 외주면 폭은 돌출바(111a)가 형성된 중심 몸체부(111)의 외주면 폭보다 작도록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11b)는 후술할 이동체(15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부(111b)가 이동체(150)에 삽입되면, 중심 몸체부(111)의 외측의 빗물이 이동체(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경로가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111b)의 외주면에 가이드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13)은 유도핀(120)의 양 끝단이 삽입되고, 유도핀(120)이 가이드홈(113)의 형상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홈(113)의 형상은 대략 하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몸체부(111)의 삽입부(111b)에서 배수부(111c)까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1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11b)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일 측면 및 타 측면에 동일한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배수부(111c)는 삽입부(111b)의 하부에 형성되고, 가이드홈(113)이 형성된 면은 삽입부(111b)와 동일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가이드홈(113)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서 삽입부(111b)의 외주면보다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즉, 배수부(111c)는 삽입부(111b)가 이동체(150)에 삽입되지 않을 때, 빗물이 중심 몸체부(11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도하여 이동체(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유도핀(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유도핀(120)의 양 끝단은 삽입부(111b)의 외주면에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홈(113)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도핀(120)은 가이드홈(113)의 형상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유도핀(120)은 후술할 이동체(150)에 형성된 유도핀 삽입홈(158)에 삽입되어 이동체(15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스프링(130)은, 중심 몸체부(1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단이 돌출바(111a)의 하단에 접촉되고 하단이 이동체(150)의 스프링 삽입홈(156)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130)은 중심 몸체부(111)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이동체(150)와 유도핀(120)이 이동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확장부(140)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중심 몸체부(1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따라서 확장부(140)의 내측에 스프링(130)이 배치될 수 있다. 확장부(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다수의 확장판(142)이 이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수의 확장판(142)은 수직 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다수의 확장판(142)의 상단 및 하단에 다수의 확장판(142)이 연결된 상부 연결판(144) 및 하부 연결판(14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확장판(142)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다수의 확장판(142) 사이에 사이홀(148)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확장부(140)는 다수의 확장판(142)이 형성된 상태로, 플레이트 형상을 말아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 형상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확장부(14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 확장부(140)는 상단은 몸체(110)의 상단에 결합되는데, 보다 정확한 위치는 빗물 가이드부(115)의 하단의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확장부(140)가 몸체(110)의 상단에 결합됨에 따라 확장부(140)의 내측에 다수의 돌출바(111a)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확장부(140)의 하단은 이동체(150)에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동체(150)가 이동됨에 따라 확장부(140)의 형상을 변형될 수 있다.
이동체(150)는, 몸체(110)의 하단에 결합되며, 유도핀(120)이 내측에 형성된 유도핀 삽입홈(158)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체(150)는 내부에 중공의 형상의 빗물 배출홀(154)이 형성된 중공부(152)가 형성되고, 중공부(152)의 내측에 형성된 빗물 배출홀(154)을 통해 빗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중공부(152)의 내측에 형성된 빗물 배출홀(154)의 내측면에 유도핀 삽입홈(158)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도핀 삽입홈(158)은 유도핀(120)의 양 측면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삽입되며, 그에 따라 유도핀 삽입홈(158)에 유도핀(120)이 삽입됨에 따라 유도핀(120)과 이동체(150)가 결합될 수 있고, 유도핀(120)과 이동체(150)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중공부(15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스프링 삽입홈(15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130)의 복원력은 이동체(150)가 이동될 때 작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도핀(120) 및 스프링(130)을 제외한, 몸체(110), 확장부(140) 및 이동체(150)는 각각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유도핀(120) 및 스프링(130)은 금속 소재로 제조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유도핀(120) 및 스프링(130)도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으며, 몸체(110), 확장부(140) 및 이동체(150)는 금속 소재로 제조될 수도 있다.
커버(160)는 몸체(11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160)의 상단은 몸체(110)의 상단에 결합되고, 커버(160)의 하단은 이동체(15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16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중공에 확장부(140)가 배치되도록 몸체(110)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160)는 실리콘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확장부(140)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실리콘 소재의 커버(160) 형상도 달라질 수 있다. 즉, 커버(160)는 내부에 빗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형성되는데, 커버(160)와 내측면과 몸체(110)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에 빗물이 수용될 수 있다.
즉, 몸체(110)의 빗물 가이드부(115)에 의해 모인 빗물이 빗물 관통홀(117)을 통해 유입되면, 몸체(110)를 감싸도록 배치된 커버(160)의 내측에 빗물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겠지만, 확장부(140)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커버(160)의 내측이 빗물이 수용될 수 있다.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캡이 우산에 결합된 상태에서 빗물이 수용될 때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캡이 우산에 결합된 상태에서 빗물이 수용될 때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로, 도 5와 다른 각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캡이 우산에 결합된 상태에서 빗물이 배출될 때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빗물 캡(100)의 형상이 변형된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빗물 캡(100)의 형상이 변형되기 전의 형상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의 외력 등으로 이동체(150)가 몸체(110) 측으로 이동하면, 가이드홈(113)의 형상을 따라 유도핀(120)이 이동되고, 가이드홈(113)의 상단 형상에 의해 유도핀(120)이 걸려 유도핀(12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이동체(150)가 이동되면, 이동체(150)에 결합된 확장부(140)의 하단이 상부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확장부(14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외측 방향으로 다수의 확장판(142)이 벌어져 대략 호의 형상으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확장부(140)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확장부(140)의 외측에 배치된 커버(160)는 확장부(140)의 형상에 따라 늘어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렇게 확장부(140) 및 커버(160)가 확장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 가이드부(115)를 통해 빗물이 빗물 가이드부(115) 내측에 모일 수 있고, 빗물 가이드부(115)에 모인 빗물은 빗물 관통홀(117)을 통해 커버(160)의 내측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체(150)가 상부로 이동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152)의 내측에 배수부(111c) 및 삽입부(111b)가 삽입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이동체(150)의 빗물 배출홀(154)이 폐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체(150)에 형성된 빗물 배출홀(154)이 폐쇄되고, 확장부(140)의 형상이 변형되어 빗물 캡(100)의 커버(160) 내부에 빗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빗물 캡(100)의 내부에 빗물이 수용될 수 있다.
이렇게 이동체(150)가 상부로 이동된 상태로 고정됨에 따라, 이동체(150)의 빗물 배출홀(154)이 삽입부(111b)에 의해 폐쇄되어 확장부(140)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에 빗물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체(150)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작시키면, 유도핀(120)이 가이드홈(113)을 따라 상부로 이동된 다음, 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체(150)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유도핀(120)은 가이드홈(113)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도핀(120)이 가이홈의 하단으로 이동하면서 이동체(15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확장부(140)는 몸체(110) 측에 인접하도록 형상이 다시 변형될 수 있고, 이동체(150)의 중공부(152)에서 삽입부(111b)가 빠질 수 있다. 이렇게 삽입부(111b)가 중공부(152)에서 빠져 삽입부(111b)와 단차가 형성된 배수부(111c)에 의해 배수부(111c)와 중공부(152) 사이의 간격이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체(150)의 빗물 배출홀(154)이 개방되어 커버(160)의 내측에 수용된 빗물이 빗물 배출홀(15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빗물 캡
110: 몸체
111: 중심 몸체부
111a: 돌출바
111b: 삽입부
111c: 배수부
113: 가이드홈
115: 빗물 가이드부
117: 빗물 관통홀
119: 우산 삽입홈
120: 유도핀
130: 스프링
140: 확장부
142: 확장판
144: 상부 연결판
146: 하부 연결판
148: 사이홀
150: 이동체
152: 중공부
154: 빗물 배출홀
156: 스프링 삽입홈
158: 유도핀 삽입홈
160: 커버
200: 우산

Claims (12)

  1. 우산이 결합되고, 빗물이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유도핀;
    상기 유도핀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유도핀과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된 이동체;
    상단이 상기 몸체의 상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확장부; 및
    상기 확장부를 감싸도록 상단이 상기 몸체의 상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와의 사이에 빗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중공이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에 형성된 중공을 통해 상기 몸체와 커버의 사이에 수용된 빗물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중공부의 외측에 상기 확장부 및 커버가 차례로 결합된 우산용 빗물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중심 몸체부;
    상기 중심 몸체부의 상단에 상기 중심 몸체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빗물이 상기 몸체와 커버의 사이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빗물 가이드부; 및
    상기 중심 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바를 포함하는 우산용 빗물 캡.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중심 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삽입부에 형성된 우산용 빗물 캡.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삽입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횡단면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가 상기 몸체에서 이격되도록 동작할 때, 상기 배출부와 이동체 사이에 빗물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우산용 빗물 캡.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바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일 측이 상기 중심 몸체부 및 빗물 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빗물 가이드부를 상기 중심 몸체부에 결합시키고,
    상기 다수의 돌출바 사이에 상기 빗물 가이드부에서 가이드된 빗물이 상기 몸체와 커버 사이에 유입되도록 빗물 관통홀이 형성된 우산용 빗물 캡.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심 몸체부의 중앙에 상기 우산이 삽입되는 우산 삽입홈이 형성된 우산용 빗물 캡.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우산 삽입홈에는 우산이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우산용 빗물 캡.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에 복원력이 작용되도록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된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우산용 빗물 캡.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에는 상기 스프링이 수용되는 스프링 삽입홈이 형성된 우산용 빗물 캡.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된 다수의 확장판;
    상기 다수의 확장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확장판을 연결하는 상부 연결판; 및
    상기 다수의 확장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확장판을 연결하는 하부 연결판을 포함하는 우산용 빗물 캡.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내측면에 상기 유도핀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유도핀 삽입홈이 형성된 우산용 빗물 캡.
KR1020190059185A 2019-05-21 2019-05-21 우산용 빗물 캡 KR102161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185A KR102161242B1 (ko) 2019-05-21 2019-05-21 우산용 빗물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185A KR102161242B1 (ko) 2019-05-21 2019-05-21 우산용 빗물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1242B1 true KR102161242B1 (ko) 2020-09-29

Family

ID=72661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185A KR102161242B1 (ko) 2019-05-21 2019-05-21 우산용 빗물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2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3768A (en) * 1985-11-12 1987-11-03 Lee Ching Chang Umbrella drip cup with discharge valve
KR890000368Y1 (ko) * 1986-02-05 1989-03-09 김영모 집수통이 설치된 우산
KR200464196Y1 (ko) 2011-04-20 2012-12-18 김용세 우산용 빗물캡
KR20180098740A (ko) 2017-02-27 2018-09-05 이큰별 우산 빗물받이
KR20180104880A (ko) 2017-03-14 2018-09-27 주식회사 디와이비 친환경 외장형 빗물받이가 구비된 우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3768A (en) * 1985-11-12 1987-11-03 Lee Ching Chang Umbrella drip cup with discharge valve
KR890000368Y1 (ko) * 1986-02-05 1989-03-09 김영모 집수통이 설치된 우산
KR200464196Y1 (ko) 2011-04-20 2012-12-18 김용세 우산용 빗물캡
KR20180098740A (ko) 2017-02-27 2018-09-05 이큰별 우산 빗물받이
KR20180104880A (ko) 2017-03-14 2018-09-27 주식회사 디와이비 친환경 외장형 빗물받이가 구비된 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17919A1 (en) Tent movable between a collapsed position and a latched erect position
US5806143A (en) Three-segmented expandable pull rod of luggage
US8469423B1 (en) Telescopic hot stick with controlled button movement feature
DE69825540T2 (de) Zusammenlegbarer Behälter
US5261434A (en) Combination umbrella and golf ball retriever
EP0083384A1 (en) Full extension locking device of damper
KR101054546B1 (ko) 개폐가 용이한 원형 맨홀덮개
US9282793B2 (en) Control mechanism of full-automatic multi-folded umbrella
KR102024805B1 (ko) 차량 고정형 텐트
KR102161242B1 (ko) 우산용 빗물 캡
CN105444739A (zh) 用于水平仪的可移除端盖组件
US6378674B1 (en) Arresting members of an expandable pull rod of luggage
EP1120057A1 (en) Foldable umbrella
KR101804427B1 (ko) 원활한 전개가 가능한 캐터필러형 방충망
KR101382886B1 (ko) 자동차 트렁크용 밸브형 드레인 플러그
KR101769572B1 (ko)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KR102041454B1 (ko) 빗물 캡 및 우산
DE102018202485A1 (de) Tragbarer Schirmständer
KR101749594B1 (ko) 다단 신장되는 가이드바가 구비된 슬라이딩 도어
KR102330104B1 (ko) 악취차단이 가능한 배수트랩
KR100686949B1 (ko) 우산 커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우산
KR101896507B1 (ko) 우산 빗물캡
EP1781886B1 (en) Improved rolling mosquito net provided with foldaway guides
US3799180A (en) Umbrella handle
KR200304792Y1 (ko) 방수케이스 일체형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