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507B1 - 우산 빗물캡 - Google Patents

우산 빗물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507B1
KR101896507B1 KR1020160158421A KR20160158421A KR101896507B1 KR 101896507 B1 KR101896507 B1 KR 101896507B1 KR 1020160158421 A KR1020160158421 A KR 1020160158421A KR 20160158421 A KR20160158421 A KR 20160158421A KR 101896507 B1 KR101896507 B1 KR 101896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umbrella
storage means
cap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173A (ko
Inventor
심성엽
Original Assignee
심성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성엽 filed Critical 심성엽
Priority to KR1020160158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5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 빗물캡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양측이 개방되고 일측개구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용가능한 공간을 마련하여 우산의 선단으로부터 빗물을 저장하도록 하는 빗물저장수단, 상기 빗물저장수단의 일측개구부에 걸림고정되며 소정의 각도가 부여되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내측면에 걸림고정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중공축의 선단지지부, 상기 선단지지부의 타측 외측면에 삽입되는 것으로, 스프링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해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무게중심 추 및 상기 무게중심 추에 안착되어 빗물저장수단 타측개구부의 어느 한 면과 접촉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며, 실내 진입시나 차량 탑승시에 우산의 빗물을 일일이 제거해야 하는 불편이 줄고, 우산에 별도의 비닐을 씌울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이며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이점 및 우산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을 수용 저장함으로써 흘러내린 빗물로 인해 실내가 더럽혀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우산선단에 빗물캡이 장착된 상태에서 우산을 위로 들거나 또는 바닥에 놓을 시에 빗물캡으로부터 빗물이 새어 나오는 문제점을 개선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우산 빗물캡{Umbrella rain cap}
본 발명은 우산 빗물캡에 관한 것으로, 우산을 사용한 후 실내로 진입할 때 우산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을 수용 저장함으로써, 흘러내린 빗물로 인해 실내가 더럽혀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우산의 선단에 장착되는 우산 빗물캡에 관한 것이다.
우산은 금속제 살이나 대오리 살에 방수천 또는 유지를 발라 비가 올때 손에 펴 들고 머리 위를 가려서 비를 막는 물건의 통칭으로서, 전통적으로 대오리나 갈대로 촘촘하게 엮어 머리에 쓰는 널찍하고 움푹한 삿갓을 비가 올 때 외출용으로 이용하여 왔다.
비가 오는 날 우산을 사용하게 되면 각종 건물에 출입하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에는 우산을 접게 되는데 가장 문제점은 우산을 접었을 때 우산에 고여있거나 묻어있다가 떨어지는 빗물이 건물 바닥에 흘러내리면서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어 은행이나 백화점 등에서는 우산을 담을 수 있는 비닐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비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쓰레기 발생량을 늘리게 되고, 아울러 쓰레기 처리에 대한 어려움 및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게 됨은 물론 환경오염의 큰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64196호(고안의 명칭 : 우산용 빗물캡)에서는 내부에 수용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며 탄력을 갖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원통 형상으로 우산의 선단(1)으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을 저장하도록 한 저장수단(10); 상기 저장수단(10)에 끼움 설치되며 탄력을 갖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호리병 형상으로 우산의 선단(1)에 탈착되게 끼움 설치되어 고정되도록 한 끼움수단(20)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우산용 빗물캡은, 단순히 비닐 대신에 우산의 선단에 끼워져 빗물을 보관하는 것에 불과하지 않아 모여있는 빗물의 제거시에는 상기 빗물캡을 벗겨내어 빗물 제거 후 다시 끼워야 하는 불편함과 우산선단에 빗물캡이 장착된 상태에서 우산을 위로 들거나 또는 바닥에 놓을 시에는 빗물캡으로부터 빗물이 새어 나오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산을 사용한 후 실내로 진입할 때 우산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을 수용 저장함으로써, 흘러내린 빗물로 인해 실내가 더럽혀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우산의 선단에 장착되는 우산 빗물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캡은, 양측이 개방되고 일측개구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용가능한 공간을 마련하여 우산의 선단으로부터 빗물을 저장하도록 하는 빗물저장수단, 상기 빗물저장수단의 일측개구부에 걸림고정되며 소정의 각도가 부여되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내측면에 걸림고정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중공축의 선단지지부, 상기 선단지지부의 타측 외측면에 삽입되는 것으로, 스프링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해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무게중심 추 및 상기 무게중심 추에 안착되어 빗물저장수단 타측개구부의 어느 한 면과 접촉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선단지지부 단차부의 끝단 위쪽으로는, 복수개의 홈 형성으로 인해 우산을 펼쳤을 시에 상기 홈이 연결통로가 되어 빗물이 흘러내리는 것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실내 진입시나 차량 탑승시에 우산의 빗물을 일일이 제거해야 하는 불편이 줄고, 우산에 별도의 비닐을 씌울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이며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이점 및 우산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을 수용 저장함으로써 흘러내린 빗물로 인해 실내가 더럽혀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우산선단에 빗물캡이 장착된 상태에서 우산을 위로 들거나 또는 바닥에 놓을 시에 빗물캡으로부터 빗물이 새어 나오는 문제점을 개선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우산용 빗물캡의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캡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캡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지지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우산용 빗물캡의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캡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캡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캡은, 빗물저장수단(10)과 지지부재(20), 선단지지부(30)와 무게중심 추(50) 그리고 스프링(6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빗물저장수단(10)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우산의 선단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저장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양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설명하였으나, 빗물을 수용하기에 더 적합한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고 나사산을 이용하여 분리되는 형상이 되도 무방하다.
상기 빗물저장수단(10)의 일측개구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개구부에는 패킹(미도시)가 끼워지며, 소정의 각도가 부여되어 형성된 지지부재(20) 외측이 상기 일측개구부의 돌출부에 걸림고정 되어 끼워진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 내측으로는, 일체로 형성되는 선단지지부(30)의 단차부가 걸림고정되는데, 선단지지부(30)가 상기 지지부재(20) 내측에 걸림고정된 후의 간격은 지지부재(20) 좌측끝단에서부터 안쪽으로 2~3mm를 두고 형성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때, 상기 선단지지부(30) 외측에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의 전면으로는 패킹(미도시)가 끼움된다.
한편, 상기 빗물저장수단(10) 돌출부가 형성된 일측개구부와 상기 지지부재(20)는, 탈부착식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선택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지지부재(20)는 무게감을 주기 위하여 구리로 형성해도 상관없으나 구리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선단지지부(30) 단차부의 끝단 위쪽으로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어 우산을 펼쳤을 시에 상기 홈을 따라 빗물이 흘러내리는 연결통로가 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게중심 추(50)는 선단지지부(30) 단차부의 타측 외측면에 끼움되는 것으로 스프링(60)이 안착되어 빗물저장수단(10)의 후방일측 내부와 접촉되며, 상기 스프링(60)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무게중심 추(50)와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마련한다.
한편, 상기 스프링(60)은 일반적인 스프링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플라스틱이나 고무 및 합성수지 등과 같은 재질의 스프링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우산 빗물캡은 우산에 탈부착되어 사용됨이 바람직할 것이나, 제조과정에서 우산과 고정이 되는 고정식으로 되어 사용되어도 괜찮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캡의 목적은, 비 오는날 우산의 선단에 삽입된 종래의 우산 빗물캡을 사용하면서 빗물저장수단(10)의 물이 공기압으로 일정위치까지 차게 되어 이동시에 물이 흐르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2 내지 4에서와 같이, 우산의 선단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저장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양측이 개방된 빗물저장수단(10)에는 일측개구부에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빗물저장수단(10) 일측개구부의 돌출부에는, 지지부재(20)의 중공축 외측이 걸림고정 되어 끼워지고 우산의 선단이 삽입될 때 빗물의 흐름을 제한하기 위한 선단지지부(30)의 내부에는 패킹(미도시)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선단지지부(30)의 전면에는 스프링(60)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해 돌출부를 형성하는 무게중심 추(50)에 스프링(60)이 안착되어 빗물저장수단(10)의 후방일측 내부와 접촉하며, 우산 선단에서의 힘이 선택적으로 스프링(60)에 가해질 때에 선단지지부(30) 방향으로 밀어준다.
즉, 우산 선단에 우산 빗물캡이 삽입된 상태에서 바닥방향 수직으로 향하게 되면 스프링(60)이 빗물저장수단(10) 내에 있는 무게중심 추(50)의 무게로 인해 바닥방향으로 내려가게 되어 상기 무게중심 추(50)가 빗물저장수단(10)의 타측에 밀착되므로 상기 선단지지부(30)의 복수개의 홀이 개방되어 빗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또한 바닥방향으로부터 90° 또는 직각에 가까운 방향일 때는 무게가 없으므로 스프링(60)이 선단지지부(30)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어 저장되어 있는 빗물이 흐를 수 없게 된다.
이때, 상기 선단지지부(30)의 외측에 복수개 형성되는 구멍 전면에 패킹(P, 미도시)으로 끼움하게 되면 진공상태가 되어 빗물이 빗물이 새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우산 빗물캡이 삽입된 상태에서 우산을 펼치게 되면, 우산의 창살이 펼치면서 밀어주게 되면 상기 선단지지부(30) 단차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을 따라 빗물이 흘러내리게 된다.
상기와 같은 우산 빗물캡은, 실내 진입시나 차량 탑승시에 우산의 빗물을 일일이 제거해야 하는 불편이 줄고, 우산에 별도의 비닐을 씌울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이며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이점 및 우산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을 수용 저장함으로써 흘러내린 빗물로 인해 실내가 더럽혀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우산선단에 빗물캡이 장착된 상태에서 우산을 위로 들거나 또는 바닥에 놓을 시에 빗물캡으로부터 빗물이 새어 나오는 문제점을 개선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빗물저장수단 20 지지부재
30 선단지지부 50 무게중심 추
60 스프링

Claims (3)

  1. 양측이 개방되고 일측개구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용가능한 공간을 마련하여 우산의 선단으로부터 빗물을 저장하도록 하는 빗물저장수단; 상기 빗물저장수단의 일측개구부에 걸림고정되며 소정의 각도가 부여되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내측면에 걸림고정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중공축의 선단지지부; 상기 선단지지부 단차부의 끝단 위쪽으로는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는 우산 빗물캡에 있어서,
    상기 선단지지부의 타측 외측면에 삽입되는 것으로, 스프링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해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무게중심 추;
    상기 무게중심 추에 안착되어 빗물저장수단 타측개구부의 어느 한 면과 접촉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이 우산 선단에 우산 빗물캡이 삽입되어 바닥방향 수직으로 향할 때, 빗물저장수단 내에 있는 무게중심 추의 무게로 인해 바닥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무게중심 추가 빗물저장수단의 타측에 밀착되면 선단지지부의 복수개의 홀이 개방되어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바닥에서부터 직각방향으로 향 할 때에 스프링이 선단지지부 방향으로 밀어주어 빗물의 흐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캡.
  2. 삭제
  3. 삭제
KR1020160158421A 2016-11-25 2016-11-25 우산 빗물캡 KR101896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421A KR101896507B1 (ko) 2016-11-25 2016-11-25 우산 빗물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421A KR101896507B1 (ko) 2016-11-25 2016-11-25 우산 빗물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173A KR20180059173A (ko) 2018-06-04
KR101896507B1 true KR101896507B1 (ko) 2018-09-10

Family

ID=6262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421A KR101896507B1 (ko) 2016-11-25 2016-11-25 우산 빗물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5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454B1 (ko) * 2019-03-21 2019-11-07 주식회사 나무와뿌리 빗물 캡 및 우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07736Y (zh) * 1993-10-08 1995-09-20 黄俊隆 伞用集水头
CN2210566Y (zh) * 1995-01-13 1995-10-25 李静宜·杰西 伞的雨水收容与排除之构造
KR200464196Y1 (ko) * 2011-04-20 2012-12-18 김용세 우산용 빗물캡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8717U (ko) * 1988-11-14 1990-05-24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07736Y (zh) * 1993-10-08 1995-09-20 黄俊隆 伞用集水头
CN2210566Y (zh) * 1995-01-13 1995-10-25 李静宜·杰西 伞的雨水收容与排除之构造
KR200464196Y1 (ko) * 2011-04-20 2012-12-18 김용세 우산용 빗물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173A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24528T3 (es) Dispositivo de almacenamiento con mejoras.
JP6212631B2 (ja) ルーフテント
KR200481329Y1 (ko) 욕실용 선반
KR101896507B1 (ko) 우산 빗물캡
US6892897B2 (en) Collapsible storage device with movable closure element
KR100746130B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겸용 우산보관함
JP2009207468A (ja) 果実袋
KR200449655Y1 (ko) 보조손잡이캡이 부설된 밀폐형 접이식 우산
KR200199664Y1 (ko) 휴대용 우산 보관 케이스
KR101326452B1 (ko) 자동차의 러기지룸용 러기지커버
JP3144986U (ja) ティッシュケース
KR200444884Y1 (ko) 빗물 제거용 우산 스탠드 장치
KR20110004584U (ko) 우산손잡이 일체형 방수 커버
KR200276166Y1 (ko) 차량용 우산가방
KR200311910Y1 (ko) 커버 수납부를 갖는 우산
KR102041454B1 (ko) 빗물 캡 및 우산
KR200321302Y1 (ko) 내접식우산
KR930005512Y1 (ko) 버스용 우산 보관대
KR200330021Y1 (ko) 승용차용 절첩식 상부 캡
JP6471280B1 (ja) 傘掛け
KR101187847B1 (ko) 다용도 매트
KR200447819Y1 (ko) 우산 꽂이함
KR200429126Y1 (ko) 차량용 그늘 막 지지 구조
KR101363396B1 (ko) 물놀이 튜브
KR20170002651U (ko) 제습제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