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910Y1 - 커버 수납부를 갖는 우산 - Google Patents

커버 수납부를 갖는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910Y1
KR200311910Y1 KR20-2003-0002630U KR20030002630U KR200311910Y1 KR 200311910 Y1 KR200311910 Y1 KR 200311910Y1 KR 20030002630 U KR20030002630 U KR 20030002630U KR 200311910 Y1 KR200311910 Y1 KR 2003119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over
handle
presen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6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철
Original Assignee
신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철 filed Critical 신동철
Priority to KR20-2003-00026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9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9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버 수납부를 갖는 우산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지주및 그 일단에 연결되는 손잡이(130)가 일체로 연결되는 우산본체;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마련된 캡 및 상기 공간의 내측에 수납토록된 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손잡이의 내측에 커버를 수납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커버 수납부를 갖는 우산{An umbrella with part for keeping sheath}
본 고안은 커버 수납부를 갖는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손잡이가 일체로 연결되는 우산본체와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탄성연결되는 보관함및, 상기 보관함에 수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손잡이의 내측에 커버를 수납하도록 하고, 커버가 내장되는 수납부의 개폐가 손쉽게 이루어 지도록 하는 커버 수납부를 갖는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비나 자외선등을 피하도록 하는 일정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그 면적을 확대및 축소하는 형상을 갖도록 되고, 미 사용시 커버의 내측에 수납되어 우산의 확대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거나 보관의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그런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우산커버는 이를 우산에 따로이 보관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커버를 분실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며, 이로 인해 지하철이나 건물내로 들어갈 때 젖은 우산에서 흘러내리는 물기때문에 실내가 지저분해 지는 등 쾌적한 실내환경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한편, 이를 방지 하기위해 건물의 진입구에 비닐커버를 마련해 놓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일회용 비닐로서 물자낭비의 원인은 물론 환경적으로 좋지 못하다.
한편, 현재 사용되고 있는 우산커버는 우산이 수납되어질 때, 너무 타이트(tight)하여 마른 상태에서는 수납이 용이하나, 우산이 젖어 있는 경우에는 커버에 수납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우산에 커버가 준비되어 있는 경우에도 커버를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상기에서 지적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우산의 손잡이 및 커버의 단부에는 가방끈 같은 곳에 걸 수 있는 걸이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불편한 점이 있었다.
종래 우산 커버에 관한 기술로서 우산주머니 보관집이 구비된 우산이 등록실용신안 244327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손잡이(11)가 구비된 우산(10)과 상기 우산(10)을 넣어 보관하는 우산주머니(20)로서 구성되며, 상기 우산(10)의 손잡이(11)측에 그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재(30); 상기 연결부재(30)의 타단에 연결되어 우산주머니(20)를 수용하며, 그 전면으로 광고부(41)가 형성된 보관집(40); 상기 보관집(40)의 입구(42)를 열고 닫도록 설치되는 덮개(50); 상기 보관집(40)과 덮개(50)에 설치되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착부재(60)(61)로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우산주머니 보관집이 구비된 우산은, 손잡이(11)에 연결되는 별도의 보관집(40)에 의해 우산주머니(20)를 보관하여야 하여 연결부재(30)의 파손이 빈번하고, 이에 의하여 손잡이(11)와 보관집(40)이 쉽게 분리될수 있고, 보관집(40)이 외부로 노출되어 보관에 따른 간섭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간섭에 따른 부하에 의해 연결부재(30)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잡이의 내측에 커버를 수납하도록 하고, 커버가 내장되는 수납부의 개폐가 손쉽게 이루어 지도록 하는 커버 수납부를갖는 우산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커버의 일단이 수납부에 연결되는 상태로 우산을 보관하거나 커버 자체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버 수납부를 갖는 우산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젖은 우산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우산커버를 우산보다 크게하고 우산 및 우산커버의 일측에 걸이수단을 마련한 우산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우산주머니 보관집이 구비된 우산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버 수납부를 갖는 우산을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버 수납부를 갖는 우산으로서 캡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수납부를 갖는 우산으로서 커버수납부 상단에 누름판이 구비된 것을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손잡이에 손잡이줄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우산본체 130...손잡이
200...보관함 220...스프링
230...록커 260...커버수납공간
300...커버 330c...탄성밴드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손잡이가 일체로 연결되는 우산본체;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탄성연결되며, 커버를 수납토록 형성되는 보관함; 및, 상기 보관함에 수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커버 수납부를 갖는 우산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버 수납부를 갖는 우산을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버 수납부를 갖는 우산으로서 캡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수납부를 갖는 우산으로서 커버수납부 상단에 누름판이 구비된 것을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손잡이에 손잡이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우산은, 우산 손잡이의 내부에 우산커버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통상적인 우산과 같이, 본 고안의 우산도 펼쳐졌을 때 빗물을 차단하는 시트(미도시)와 지주(120)및 그 일단에 연결되는 손잡이(130)가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손잡이(130)의 일단에는 커버수납공간(210)을 개폐하는 캡(500)이 마련되고 상기 캅(500)에는 젖은 우산커버에서 흐르는 물을 배출키 위한 물배출공(560)이 구비된다. 캡(500)은 손잡이(130)에 나사결합(도 3) 또는 연결편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손잡이(130)의 일측에는 후크(610)가 연결되는 복수의 손잡이줄(600)이 설치되는데 가방끈(700) 등에 우산을 용이하게 매어 놓을 수 있다.(도 6)
한편, 수납공간(210)의 저부 내면 둘레에는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러버편으로 이루어진 탄성걸림편(550)이 구비되는데 상기 탄성걸림편(550)은 수납공간(210)의 하단부 중앙으로 우산커버(220)의 출입을 제한하여 인위적으로 상기 커버(220)를 빼내지 않은 경우에는 자연적으로 하방으로 낙하되지 못하도록, 그러나 재질은 연질의 고무 등으로 형성하여 쉽게 굴곡되고 쉽게 원상회복하는 형태로 한다.
한편, 커버수납공간(210)의 상단에는 우산손잡이(130) 상단부(135)와의 사이에 스프링이 개재되면서 손잡이의 일측에 형성되는 노브(540)에 의해 승하강되도록된 누름판(570)이 설치되는데, 수납되어진 커버(220)를 용이하게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우산커버(2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우산커버는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젖은 우산이라도 쉽게 우산커버에 삽입되도록 한 것이 특징이며, 개구부에는 2가닥의 조임줄(710)이 돌출되어 있고 그 중 한가닥에는 연결고리(610)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젖은 우산이라고 용이하게 우산커버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하고 있는 가방 끈 등에 쉽게 착탈가능토록 한다. 우산커버의 재질은 통상 사용하는 방수천을 사용하며, 접었을 때 부피가 줄어들어 수납공간(210)에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제작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손잡이의 내측에 커버를 수납하여 커버를 수납하도록 하고, 커버를 수납공간에서 쉽게 꺼내도록 하여 우산 커버의 본래적 기능을 향상시켰다.
또한, 상기 커버 및 우산손잡의 일단에 연결고리를 구비하여 우산 자체의 보관이 간편해져서 우산 및 커버의 분실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5)

  1. 시트와 지주(120)및 그 일단에 연결되는 손잡이(130)가 일체로 연결되는 우산본체;
    상기 손잡이(130)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210)을 개폐하도록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마련된 캡(500);및,
    상기 공간(210)의 내측에 수납토록 된 우산커버(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커버 수납부를 갖는 우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210)의 하단부에는 수납되어진 커버(220)가 하방으로 낙하되지 못하도록 탄성걸림편(550)이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수납부를 갖는 우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손잡이(130)의 일측에는 2이상의 손잡이줄(60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하는 커버 수납부를 갖는 우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20)는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하되 개구부에는 2가닥의 조임줄(710)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줄의 한 가닥에는 연결고리(6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커버 수납부를 갖는 우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의 상단부에는 스프링(520)이 개재되고 노브(540)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누름판(570)이 설치되어 수납되어진 커버(220)를 하방으로 용이하게 낙하시킬 수 있도록된 구성임을 특징으로하는 커버 수납부를 갖는 우산.
KR20-2003-0002630U 2003-01-28 2003-01-28 커버 수납부를 갖는 우산 KR2003119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630U KR200311910Y1 (ko) 2003-01-28 2003-01-28 커버 수납부를 갖는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630U KR200311910Y1 (ko) 2003-01-28 2003-01-28 커버 수납부를 갖는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910Y1 true KR200311910Y1 (ko) 2003-05-01

Family

ID=4940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630U KR200311910Y1 (ko) 2003-01-28 2003-01-28 커버 수납부를 갖는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9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4854B2 (en) Water bag for bicycle riders
KR200445380Y1 (ko) 방수커버가 일체화된 우산
WO2005021106A3 (en) Canopy for co-sleeper, crib or play yard
US20020124876A1 (en) Umbrella structure for releasing wind
KR200311910Y1 (ko) 커버 수납부를 갖는 우산
CN209489603U (zh) 伞套
KR100655402B1 (ko) 빗물받이 우산집
KR200449655Y1 (ko) 보조손잡이캡이 부설된 밀폐형 접이식 우산
KR100869629B1 (ko) 휴대용 우산커버
CN209498860U (zh) 一种带伞套的雨伞
JP6644382B2 (ja) 折りたたみ傘収納袋
KR200313434Y1 (ko) 우산손잡이에 우산커버 보관함이 구비된 우산
KR101896507B1 (ko) 우산 빗물캡
KR200475750Y1 (ko) 해먹
KR100745702B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우산
KR200447819Y1 (ko) 우산 꽂이함
KR200244327Y1 (ko) 우산주머니 보관집이 구비된 우산
KR200440331Y1 (ko) 빗물받이 우산집
KR200425963Y1 (ko) 쓰레기 봉투 지지대
KR20210066667A (ko) 빗물 배출 기능이 있는 우산
KR100396174B1 (ko) 수용함을 갖는 우산
KR200188829Y1 (ko) 가방에 착, 탈 가능한 우산주머니
US20030000613A1 (en) Protective bag for covering equipment motors and the like
KR200401138Y1 (ko) 우산 케이스
KR20110004584U (ko) 우산손잡이 일체형 방수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