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512Y1 - 버스용 우산 보관대 - Google Patents

버스용 우산 보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512Y1
KR930005512Y1 KR2019910006571U KR910006571U KR930005512Y1 KR 930005512 Y1 KR930005512 Y1 KR 930005512Y1 KR 2019910006571 U KR2019910006571 U KR 2019910006571U KR 910006571 U KR910006571 U KR 910006571U KR 930005512 Y1 KR930005512 Y1 KR 9300055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umbrella
locking
bus
connect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6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334U (ko
Inventor
문보승
Original Assignee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조래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조래승 filed Critical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6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512Y1/ko
Publication of KR9200213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3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5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12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umbrell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버스용 우산 보관대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우산보관대가 버스의 도어 안쪽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2 : 연결판넬
3 : 걸림판넬 4 : 끼움구멍
5 : 끼움고리 6 : 안내부재
7 : 걸림턱 8 : 배수호오스
9 : 관통구멍 10 : 곡면부
11 : 끼움부재 12 : 우산
13 : 4각구멍
본 고안은 버스에 장착되는 우산보관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스의 도어 안쪽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우산을 보관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천시객실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수 있도록 한 버스용 우산 보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 버스의 탑승객이 우산을 소지하여 버스에 탑승하게 될 때, 승객이 우산을 손으로 들고 있거나 좌석 주머니에 우산을 끼워두거나 혹은 객실 바닥에 우산을 눕혀 두어야 한다. 그런데, 승객이 우산을 손으로 잡고 있을 경우 본인 또는 주위 탑승객의 의복이 젖게 될뿐만 아니라 버스가 흔들릴 경우 한손에는 우산을 들고 있으므로, 탑승객의 행동을 제약하여 불편하고, 또 우산을 좌석주머니에 끼워두게 되면 좌석이 젖게되어 습기가 차게됨에 따라 좌석이 변질되어 수명이 짧아지게 되며 또 상기와 같이 우산을 보관하거나 또는 우산을 객실 바닥에 눕혀둘 경우에는 객실 바닥에 빗물이 흐르게 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면서 버스의 객실 내부를 통행하는데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버스의 도어 안쪽에 설치하여 승객이 우산을 보관할수 있는 버스용 우산보관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버스의 도어 안쪽에 형성된 다수개의 끼움구멍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끼움고리가 구비되면서 이 끼움고리 반대쪽에는 양쪽 수직 방향으로 단면이 ㄴ자 형상의 안내부재 및 이 안내부재 사이 아래쪽에 수평방향의 걸림턱이 각각 고정됨과 동시에, 이 걸림턱 바로 위에 다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연결판넬과, 양쪽에 상기 연결판넬의 안내부재에 끼워 걸려질수 있는 끼움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부에 4각 구멍이 형성되고, 단면이 아랫쪽으로 점점 좁아지는 ㄷ자형상의 걸림판넬로 구성되어, 버스의 도어 안쪽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연결판넬의 끼움고리를 각각 끼운다음 이 연결판넬의 안내부재 윗쪽에서 걸림판넬의 끼움부재를 아랫쪽으로 끼우면 이 걸림판넬의 아랫쪽이 연결판넬의 걸림턱에 걸쳐지게 된다. 따라서, 연결판넬과 걸림판넬 사이에 우산을 끼워 보관하면 우산에 묻어있는 빗물이 아랫쪽으로 흘러 상기 연결판넬의 관통구멍과 도어 내부에 끼워진 배수호오스를 지나 차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버스의 탑승용 도어(1)을 체결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는 연결판넬(2)과 이 연결판넬(2)과 소정의 공간을 형성해 주면서 결합수단을 매개로 조립된 걸림판넬(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판넬(2)의 도어(1)쪽 코너부에는 체결수단으로서 이 도어(1)에 형성된 끼움구멍(4)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끼움고리(5)가 구비되고, 이 끼움고리(5)의 반대쪽면 양쪽에 결합수단으로서 수직 방향으로 단면이 ㄴ자 형상인 안내부재(6)와 이 안내부재(6)사이 아랫쪽에 걸림턱(7)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이 걸림턱(7)바로 윗쪽에는 배수수단으로서 빗물이 관통하여 도어(1)에 끼워진 배수호우스(8)로 연결되어지는 관통구멍(9)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연결판넬(2)에 끼워 조립되는 걸림판넬(3)은 ㄷ자 형상으로 아랫쪽으로 내려갈수록 점점 좁아져 그 하부에 곡면부(10)가 형성되고 이 걸림판넬(3)의 양단에 상기 연결판넬(2)의 안내부재(6)에 끼워지도록 끼움부재(11)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걸림판넬(3)의 상부 부근에는 연결판넬(2)과 걸림판넬(3)사이에 끼워진 우산(12)을 쳐다볼수 있는 다수개의 4각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다음에 설명한다.
먼저 연결판넬(2)의 코너부에 구비된 끼움고리(5)를 도어(1)에 형성된 끼움구멍(4)에 억지끼움식으로 탄력적으로 끼움 다음, 이 연결판넬(2)의 안내부재(6)에 걸림판넬(3)의 끼움부재(11)를 윗쪽에서 아랫쪽으로 삽입시킨다. 이때, 이 걸림판넬(3)의 하단이 연결판넬(2)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걸림턱(7)위에 걸쳐지게 되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우산보관대가 뻐스의 도어(1)내측에 조립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조립된 연결판넬(2)과 걸림판넬(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버스에 탑승한 승객의 우산(12)을 다수개 끼워 보관하면, 우산(12)에 묻어있는 빗물이 우산(12) 또는 상기 연결판넬(2)이나 걸림판넬(3)의 측벽을 타고 아랫쪽으로 흘러내린다. 이때, 상기 걸림판넬(3)의 아랫쪽에 곡면부(1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빗물이 고이지 않고, 곡면부(10)하부에 모인 빗물은 상기 연결판넬(2)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구멍(9)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타단부가 도어(1)의 외벽부에 형성된 구멍내에 삽입된 배수호오스(8)를 통과하여 차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도어(1)에 체결된 연결판넬(2)이나 이 연결판넬(2)에 끼워 조립되는 걸림판넬(3)은 우천시가 아닐 경우, 즉 우산(12)을 보관할 필요가 없을경우에는 걸림판넬(3)을 도어(1)에서 분리하여 별도의 장소에 보관할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연결판넬(2)의 안내부재(6)의 안쪽에 걸림판넬(3)의 끼움부재(11)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판넬(2)의 안내부재(6)와 걸림판넬(3)의 끼움부재(11)를 서로 반대쪽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안내부재(6) 바깥쪽에서 서로 반대쪽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안내부재(6)바깥쪽에서 끼움부재(11)를 끼워서 연결판넬(2)에 걸림판넬(3)을 고정해서 결합할수 도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본 고안의 버스용 우산보관대에 의하면 버스의 도어에 체결되는 연결판넬의 안내부재에 걸림판넬의 끼움부재를 기워 조립함으로써 상기 연결판넬과 걸림판넬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내에 승객의 우산을 다수개 보관할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우천시에 버스내부가 우산에 묻어있는 빗물로 오염되지 않음과 동시에, 탑승객이 우산을 들고 있는 것에 이해 본인 또는 주위의 탑승객의 옷을 적시지도 않으며, 또한 손에 우산을 들고 있지 않아 행동반경도 제악받지 않는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버스의 도어(1)에 형성된 끼움구멍(4)에 결합되도록 끼움고리(5)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판넬(2)과, 이 연결판넬(2)에 결합되어 우산을 보관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 연결판넬(2)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ㄴ자형상의 안내부재(6)에 결합되는 끼움부재(11)가 형성되어 있는 걸림판넬(3)로 이루어진 버스용 우산 보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넬(2)의 안내부재(6)사이 아랫쪽에 걸림판넬(3)을 받쳐주는 걸림턱(7)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우산보관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넬(2)에는 그 아랫쪽에 관통구멍(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9)에는 상기 연결판넬(2)의 하부에 모인 빗물을 차체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배수호오스(8)의 일측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우산보관대.
KR2019910006571U 1991-05-08 1991-05-08 버스용 우산 보관대 KR930005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6571U KR930005512Y1 (ko) 1991-05-08 1991-05-08 버스용 우산 보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6571U KR930005512Y1 (ko) 1991-05-08 1991-05-08 버스용 우산 보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334U KR920021334U (ko) 1992-12-18
KR930005512Y1 true KR930005512Y1 (ko) 1993-08-23

Family

ID=19313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6571U KR930005512Y1 (ko) 1991-05-08 1991-05-08 버스용 우산 보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51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267A (ko) * 2002-09-11 2004-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우산꽂이
KR100482806B1 (ko) * 2002-11-02 2005-04-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히트 덕트에 설치되는 우산 꽂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334U (ko) 199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5253A (en) Tent canopy rain awning
KR930005512Y1 (ko) 버스용 우산 보관대
US6257259B1 (en) Removably mountable laterally extensible frame
US6913385B1 (en) Swimming pool storage device
JP2552805B2 (ja) 蔵型収納付き建物
KR19980047897U (ko) 자동차의 우산 보관대
KR19980011389U (ko) 차량의 실내에 구성되는 우산보관구조
KR850000959Y1 (ko) 우산 보관대
US2922472A (en) Extensible automobile awning and cantilever support therefor
KR0155134B1 (ko) 자동차 도어 트림의 우산꽂이
KR0131302Y1 (ko) 자동차의 시트 우산걸이
KR19990027242A (ko) 자동차 실내용 우산 보관장치
JPH0655882U (ja) ルーフトランク
KR200294223Y1 (ko) 자동차용 우산꽂이
KR200199664Y1 (ko) 휴대용 우산 보관 케이스
KR0134069Y1 (ko) 버스의 대걸레 보관용 박스
KR200162535Y1 (ko) 자동차용 우산꽂이
KR19980041349U (ko) 우산걸이 구조
KR200351361Y1 (ko) 차량용 사다리
KR19990025942A (ko) 버스용 우산꽃이
KR100482806B1 (ko) 버스의 히트 덕트에 설치되는 우산 꽂이
KR200163552Y1 (ko) 차량의 우산보관함
JPS581269Y2 (ja) 玄関ユニツト用傘立て
KR19980014022U (ko) 자동차 트렁크룸의 우산 보관구조
KR950010259Y1 (ko) 절첩식 우산보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9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