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223Y1 - 자동차용 우산꽂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우산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223Y1
KR200294223Y1 KR2020020023882U KR20020023882U KR200294223Y1 KR 200294223 Y1 KR200294223 Y1 KR 200294223Y1 KR 2020020023882 U KR2020020023882 U KR 2020020023882U KR 20020023882 U KR20020023882 U KR 20020023882U KR 200294223 Y1 KR200294223 Y1 KR 2002942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ylinder
umbrella stand
seat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8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홍
Original Assignee
김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홍 filed Critical 김시홍
Priority to KR20200200238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2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2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223Y1/ko

Link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집수수단이 설치되는 통체형 우산꽂이를 자동차의 좌석 부근에 간편히 탈.부착하거나 거치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서 우산을 보다 간편하게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집수수단에 의해 빗물이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자동차 실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우산꽂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우산꽂이{Umbrella stand for cars}
본 고안은 주로 자동차 실내에 설치하는 우산꽂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집수수단이 설치되는 통체형 우산꽂이를 자동차의 좌석 부근에 간편히 탈.부착하거나 거치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서 우산을 보다 간편하게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집수수단에 의해 빗물이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자동차 실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나 눈 등이 내리는 경우에는 우산을 사용하게 되는데, 자동차의 실내에 마땅히 우산을 보관할 마땅한 장소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바닥에 놓거나 시트의 측면에 비스듬히 우산을 세워 놓게된다. 또한 버스나 택시와 같은 영업용 차량을 이용하는 승객은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우산을 손에 들고 있거나 바닥에 놓게 된다.
또한,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트렁크 룸에 한 개 정도의 우산을 보관하고 우천이나 강설시에 꺼내 사용하며, 우천이나 강설시에는 트렁크 룸이 떨어져 있는 관계로 비에 젖은 우산을 갖고 승차하여 실내 바닥에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우산으로부터 흘러내린 빗물이 실내 바닥의 카페트에 스며들거나 시트를 적시게 되어 불결해지고 악취가 발생되므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불쾌감을 느끼게 되며, 특히 장마철이나 승객이 자주 타고 내리는 영업용 차량에서는 그 정도가 심한 실정이다.
또한, 많은 승객이 수시로 타고 내리는 버스의 경우 우산을 놓아둘 만한 마땅한 보관수단이 없기 때문에 우산을 들고 서 있는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우산에 묻어 있던 빗물이 밑으로 흘러내리면서 본인을 포함한 다른 승객의 옷이나 신발을 적시게 되므로, 가뜩이나 궂은 날씨에 승객의 불쾌지수를 더욱 높이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우산으로부터 흘러내리거나 떨어지는 빗물을 모을 수 있게 집수수단을 갖는 통구조의 우산꽂이를 자동차의 좌석 부근에 간편한 방법으로 탈부착할 수 있게 설치함으로서 강설이나 우천시 자동차 실내에서의 우산 보관을 보다 간편하게 하고, 아울러 빗물이 차량의 바닥에 떨어지지 않아 실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우산 수납실을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으로 구성하되, 장우산 또는 접는 우산을 각각 수납할 수 있게 구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버스의 경우 시트로 둘러쌓인 좌석의 수직봉체에 우산꽂이를 억지 끼움방식으로 설치하여 우산을 수납시켜 보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우산을 들고 서있는 불편함이나 옷을 적시거나 우산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산 수납실이 형성된 한 개 이상의 통체와, 통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와, 통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구와, 배수구의 하단에 설치되는 집수수단과, 통체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자동차용 우산꽂이를 구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배수구의 단부에 복수 개의 절첩부를 갖는 자라바 호스를 분리할 수 있게 결합하고, 자바라 호스의 단부에 집수용기를 결합하여 수집된 빗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수구와 통체의 기울기는 100°~ 180°로 유지하여 자연스런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통체 지지수단은 통체의 외면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되, 상기 돌출부에 복수 개의 구멍을 형성하고, 끈의 단부에 걸림구조를 갖는 걸고리를 각각 고정한 다음 상기 구멍에 끼워 걸림되게 함으로서 자동차의 좌석에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통체의 내주면에 단열재를 빙둘러 형성하고, 단열재의 내주면에 전열선을 빙둘러 감아 고정하고, 전열선의 내주측에 열전도율이 우수한 열전도체를 절연유지 되게 빙둘러 감고, 열전도체의 표면에 온도스위치를 설치한 다음 전원공급선에 접속시켜 항온 유지되게 함으로써 수납된 우산이 빨리 건조되도록 한다.
또한 버스에 설치하는 우산꽂이의 경우, 2개 이상의 통체 내부에 우산 수납실을 각각 형성하고, 통체의 상부에 각각의 개구를 형성하고, 통체의 하부에 통체 끼리 연결되고 걸림테를 갖는 1개의 배수구를 형성하고, 일측 통체의 길이방향 외측면에 버스 좌석의 측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는 좌석의 수직봉체가 억지 통과하는 개방부와 상기 수직봉체가 결합되는 결합공과 개방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외향 만곡형의 안내부로 구성하도록 한다.
도 1 : 본 고안 우산꽂이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 : 본 고안 우산꽂이의 정면도.
도 3 : 본 고안 우산꽂이의 집수수단을 분해한 상태의 정면도.
도 4 : 본 고안 우산꽂이의 사용 상태 단면도로 집수수단이 접혀진 상태도.
도 5 : 본 고안 우산꽂이의 사용 상태 단면도로 집수수단이 확장된 상태도.
도 6 : 본 고안 우산꽂이의 다른 실시 예 단면도.
도 7 : 본 고안 우산꽂이의 사용 상태도.
도 8 : 본 고안 우산꽂이의 고정화 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도 9 : 본 고안 우산꽂이의 다른 실시 예의 가로 단면도.
도 10 : 본 고안 우산꽂이의 다른 실시 예의 세로 단면도.
도 11 : 본 고안 우산꽂이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정면도.
도 12 : 본 고안 우산꽂이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정면도.
도 13 : 본 고안 우산꽂이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도 14 : 본 고안 우산꽂이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정면도.
도 15 : 본 고안 14의 가로 단면도.
도 16 : 본 고안 14의 다른 실시 예의 가로 단면도.
도 17 : 본 고안 도 14의 세로 단면도.
도 18 : 본 고안 도 13의 사용 상태 정면도.
도 19 : 본 고안 도 13의 다른 실시 예의 사용 상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우산꽂이 (4)(4a)--우산
(6)(6a)(6b)--수납실 (8)(8a)(8b)(8c)(8d)--통체
(10)(10a)(10b)--개구 (12)(12a)--배수구
(14)--끝부분 (16)--바닥부
(18)--절첩부 (20)--자바라 호스
(22)--집수용기 (24)--빗물
(25)(27)--벨크로 테이프 (26)(54)--좌석
(28)--돌출부 (30)--구멍
(32)--끈 (33)--지지봉
(34)(36)--걸고리 (38)(64)--바닥
(40)(42)--고리 (44)--전열선
(46)--단열재 (48)--열전도체
(50)--전원공급선 (52)--온도스위치
(56)--결합부 (56a)(56b)--안내부
(58)--수직봉체 (60)--개방부
(62)--결합공 (66)--배수공
(68)--걸림테 (70)--퀵클램프
(72)--받침편 (L)--건조수단이 형성되는 구간
(θ)--통체와 배수구의 기울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우산꽂이대(2)의 기본적인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정면도이며, 도 4는 그 단면도이다.
본 고안 우산꽂이대(2)는 내부에 우산(4) 수납실(6)이 형성된 통체(8)와, 수납된 우산(4)으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을 수집(水集)하는 집수수단 또는 수납된 우산(4)으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을 수집(水集)하여 자동차의 바깥으로 배출시키는 배수수단과, 상기 통체(8)를 지지하는 걸이수단 또는 협지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통체(8)는 경질(강화)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두께가 얇은 원통형상이며, 통체(8)의 상부에는 우산(4)을 삽입할 수 있는 개구(10)가 형성되고, 통체(8)의 내부에는 우산(4)이 수납 보관되는 수납실(6)이 형성되며, 통체(8)의 하부에는 집수수단 또는 배수(排水)수단이 결합되는 배수구(12)가 형성된다.
상기 통체(8)는 원통형상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물론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통형상으로 다양화 할 수 있으며 우산(4)이 수납되는 공간구조이면 만족한다. 그리고, 직사각형상으로 형성한 경우 한 개의 수납실에 2개 또는 그 이상의 우산(4)을 함께 수납시켜 보관할 수 있는 반면 우산(4) 건조시간이 늦어질 수 있다.
상기 수납실(6)의 내경은 도 4, 도 5와 같이 전체적으로 같은 내경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6과 같이 우산(4)의 끝부분(14)이 수납되는 부분을 향 할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형성하여 통체(8)의 전체 부피를 줄이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개구(10)의 내경은 수납실(6)의 내경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구성하여 우산(4)을 수납실(6)로 쉽게 집어 넣거나, 또는 수납된 우산(4)을 쉽게 끄집어 낼 수 있도록 한다.
수납실(6)의 일측에는 집수수단이 설치된다. 즉, 수납실(6)의 바닥부(16) 일측에 형성되는 배수구(12)는 통체(8)의 바깥으로 조금 돌출되며, 우산(4)으로부터 흘러내리거나 떨어지는 빗물이 비교적 작음을 감안하여 그 내경은 수납실(6) 내경보다 휠씬 작은 구조이다.
상기 배수구(12)의 단부에는 도 3, 도 5와 같이 플렉시블한 투명호스 또는 복수 개의 절첩부(18)를 갖는 자라바 호스(20)를 손으로 쉽게 분리 결합할 수 있게 결합하고, 상기 자바라 호스(20)의 단부에는 손으로 쉽게 분리 결합할 수 있는 집수용기(22)를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자바라 호스(14)와 집수용기(22)는 자신의 형상이 유지되는 다소 연질의 투명재질로 구성하여 수집된 빗물(24)의 수위를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쉽게 분리 결합할 수 있으면서 결합부분의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여 누수(漏水)를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자바라 호스(14)는 빗물이 배수되게 상하로 개방된 구조이며,집수용기(22)의 상부는 자바라 호스(14)가 결합될 수 있게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막힌 컵구조이다.
상기 통체(8)는 미감을 갖도록 채색(도장)하거나 표면에 장식성 무늬나 그림 문자 등을 인쇄, 코팅, 열전사 하는 등의 방법으로 마감 처리할 수 있으며, 물론 투명이나 반투명으로 할 수 있다.
통체(8)를 투명이나 반투명으로 한 경우, 내부에 수납된 우산(4)의 색상을 쉽게 식별할 수 있으며, 또한 수위가 배수구(12)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에도 그 수위를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자바라 호스(20)는 복수 개의 절첩부(18)를 가지므로 평소에는 도 4와 같이 접어 그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빗물(24)이 수집되는 경우 빗물(24)의 자중에 의해 도 5, 도 6과 같이 신장(伸張)되면서 용적이 확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빗물(24)의 수위가 집수용기(22)에 머무르는 경우 자바라 호스(20)를 분리할 필요없이 집수용기(22)를 자바라 호스(20)로부터 분리시켜 내부의 빗물(24)을 제거한 다음 자바라 호스(20)에 결합하면 되며, 빗물(24)의 수위가 자바라 호스(20)에 머무르는 경우 자바라 호스(20)를 배수구(12)로부터 분리시켜 내부의 빗물(24)을 제거한 다음 배수구(12)에 결합하면 되므로 수집된 빗물(24)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된다.
상기 배수구(12)는 도 2, 도 3과 같이 통체(8)와 직각형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통체(8)와 100°이상의 둔각(100°~ 180°)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도 7에 도시한 사용 상태도에서와 같이 우산꽂이(2)를 실제로 좌석(26)에 설치했을 때 통체(8)의 기울어짐 정도를 감안하여 통체(8)와 배수구(12)의 기울기(θ)를 결정하면 될 것이다.
한편, 통체(8) 외면의 길이방향으로 일측으로 돌출부(28)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28)에 복수 개의 구멍(30)을 고른 간격으로 형성한 다음 도 7과 같이 금속사(철사나 금속 고리) 또는 섬유사를 이용한 끈(32)의 단부에 걸림구조를 갖는 걸고리(34)(36) 또는 훅크를 각각 고정하고, 상기 걸고리(34)(36)는 돌출부(28)의 구멍(30)에 끼워 걸림되게 결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끈(32)은 우산꽂이(2)와 수납되는 우산(4)의 전체 무게를 고려하여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강도가 유지되어야 한다.
상기 끈(32)은 좌석(26)의 머리받침대(32)를 지지하는 지지봉(33)에 걸어 설치하되 배수구(12)가 개구(10)보다 밑에 위치하도록 통체(8)를 기울여 설치하면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게되며, 통체(8)의 기울기는 끈(32)의 좌우 높낮이를 조정함으로서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좌석(26)은 승용차, 승합차에 장착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28)의 구멍(30)에 걸고리(34)(36)를 결합할 때 지지봉(33)간의 이격거리를 감안하여 돌출부(28)에 형성된 복수 개의 구멍(30)중 2개를 이용하면 되며, 통체(8)의 기울기를 조정할 때에도 상기 구멍(30)의 위치를 이용하면 될 것이다.
예컨데, 돌출부(28)의 구멍(30)에 걸고리(34)(36)를 결합할 때, 개구(10)에가깝게 위치하는 구멍(30)에 걸고리(34)(36)를 끼워 결합하면 우산꽂이(2)의 무게중심이 배수구(1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통체(8)의 기울기가 크게 기울어진다.
반면, 돌출부(28)의 구멍(30)에 걸고리(34)(36)를 결합할 때, 배수구(12)에 가깝게 위치하는 구멍(30)에 걸고리(34)(36)를 끼워 결합하면 우산꽂이(2)의 무게중심이 개구(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통체(8)의 기울기가 보다 작게 기울어진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8)는 통체(8)를 중심하여 그 반대 방향에 위치하도록 하여 자바라 호스(20) 및 집수용기(22)가 자연스럽게 하향하여 집수용기(22)가 자동차의 실내 바닥(38)에 닿아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8) 대신 도 6과 같이 통체(8)의 양측에 고리(40)(42)를 일체로 형성한 다음 걸고리(34)(36)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통체(8)의 기울기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끈(32)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달성하면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바닥부(16)는 우산(4) 무게중심선과 직각방향으로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거나 또는 수평과 비슷한 정도이면 만족하며, 우산(4)의 끝부분(14)은 배수구(12)를 막거나 빗물 배수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자동차 실내 바닥(38)에 배수구멍(도시안됨)을 형성한 다음 집수용기(22)가 제거된 자바라 호스(20)의 하단부를 상기 배수구멍에 끼워 수집되는 빗물이 노면으로 바로 배수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 도 7에서 자동차의 주행에 의해 우산꽂이(2)(2a)가 전.후.좌.우로 유동되고, 또한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우산꽂이(2)(2a)에 고정화 수단을 부여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화 수단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나,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8과 같이 좌석(26)의 배면 시트 부분과 접하는 통체(8) 부분에 벨크로 테이프(25)를 접착이나 재봉하는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고, 이와 대응하는 좌석(26)의 배면 시트 부분에도 벨크로 테이프(27)를 접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여 도 8과 같이 우산꽂이(2)를 좌석(26)에 걸어 설치한 다음 벨크로 테이프(25)(27)를 서로 접합시키면 견고한 고정화가 달성되어 그 유동이나 소음이 방지된다.
그리고, 비나 눈이 오지 않는 날에는 우산꽂이(2)(2a)를 좌석(26)으로부터 분리시켜 트렁크 룸에 보관하면 될 것이다. 이때 우산꽂이(2)(2a)의 고정화 수단으로 벨크로 테이프(25)(27)를 이용하므로 우산꽂이(2)(2a)와 좌석(26)의 분리가 가능하다.
도 9, 도 10은 본 고안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로, 수납실(6)의 내주면에 전열선(44)을 갖는 건조수단을 빙둘러 설치하여 우산(4)을 신속히 건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통체(8)의 내주면에 단열재(46)를 빙둘러 형성하고, 상기 단열재(46)의 내주면에 전열선(44)을 적절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빙둘러 감아 고정하고, 전열선(44)의 내주측에 열전도율이 우수한 열전도체(48)를 빙둘러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열재(46)와 열전도체(48)는 절연재로 구성하거나 또는 단열재(46)와 전열선(44) 사이 및 열전도체(48)와 전열선(44) 사이에 절연물질을 코팅 또는 삽입시켜 절연을 달성할 수 있으며, 어떤 형태로든 전열선(44)의 전기적인 절연이 유지되어야 한다.
상기 전열선(44)은 전원공급선(50)을 통하여 자동차의 축전지에 접속하거나 또는 시거잭에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원공급선(50)의 말단이나 중간에는 도시안된 퓨즈(Fuse)와 스위치를 직렬로 접속하여 사용상의 편의와 전기적인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그리고, 단열재(46)와 열전도체(48) 사이의 공간이나 열전도체(48)의 표면에 온도스위치(52)를 설치한 다음 전원공급선(50)에 접속시켜 전열선(44)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단속(ON/OFF)되게 구성함으로써 우산(4)에 손상을 주지않는 온도 범위내에서 가열온도가 항온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은 타 산업분야에 이미 응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우산(4)이 보다 신속히 건조되는 효과가 있으며, 가열온도는 우산(4)의 재질이나 크기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으나 열전도체(48)의 표면 온도가 50℃ ~ 100℃ 범위로 유지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열선(44)은 단열재(46)의 내주면을 따라 나사식 또는 스크류식으로 빙둘러 감기며, 상기 건조수단이 형성되는 구간(L)은 도 10과 같이 우산(4)의 천이 위치하는 영역이 바람직하며, 건조수단의 양측 끝 부분 역시 전기적인 안전을고려하여 수밀과 전기절연이 유지되어야 할 것이다.
도 11, 도 12는 본 고안 또 다른 실시 예의 정면도, 도 11은 수납실(6)이 각각 형성된 통체(8)(8a)를 연접되게 설치하여 2개의 우산(4)을 수납시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며, 도 12는 도 11과 비슷한 구성이지만 접는 우산과 장우산을 각각 수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높이가 보다 상승된 통체(8b)의 수납실에 길이가 긴 장우산을 수납 보관하면 될 것이다.
상기에서 통체는 2개가 연접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물론 배수구가 한 개로 단일화 되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통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3 내지 도 19는 본 고안 또 다른 실시 예의 우산꽂이(2a)를 도시한 도면으로 버스 좌석(54) 측부에 간편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앞서 기술한 우산꽂이(2) 처럼 접는우산(4)과 장우산(4a)을 각각 수납할 수 있게 연접(접하도록 연결되는)하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통체(8c)(8d) 내부에 우산 수납실(6b)(6c)이 각각 형성되고, 통체(8c)(8d)의 상부에 각각의 개구(10a)(10b)가 형성되며, 통체(8c)(8d)의 하부에 우산 수납실(6b)(6c)이 서로 연결될 수 있게 1개의 배수구(1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 통체(8c)의 길이방향 외측면에는 버스 좌석(54)의 측부에 견고히 결합되는 결합부(56)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56)는 통체(8c)의 외측면을 따라 세로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56)는 시트로 둘러싸인 좌석(54)의 수직봉체(58)를 협지할 수 있게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수직봉체(58)가 억지 통과하는 개방부(60)와, 상기 수직봉체(58)가 결합되는 결합공(62)이 형성되며, 개방부(60)의 양측에는 상기 수직봉체(58)가 억지결합될 때 그 결합을 유도하는 외향 만곡형의 안내부(56a)(56b)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56)와 통체(8c)(8d)는 도 15와 같이 한 방향(1자형)으로 배열하거나, 또는 도 16과 같이 '┓'형 또는'┛'으로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8 처럼 우산꽂이(2a) 사용을 위하여 버스 좌석(54)에 장착할 때, 버스의 내부 바닥(64)에 형성되는 배수공(66)에 배수구(12a)를 끼워 사용하는 경우, 배수구(12a)의 외주면에 걸림테(68)를 빙둘러 형성하여 우산꽂이(2a)의 낙하를 방지도록 한다.
한편, 버스 내부 바닥(64)에 배수공(66)을 형성하기 곤란한 경우 좌석별로 설치되는 상기 우산꽂이(2a)의 배수구(12a)를 별도의 배수관(도시안됨)에 연결시켜 배관하는 방법으로 배수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우산꽂이(2a)의 하부는 배수공(66)에 끼워지는 배수구(12a)에 의해 견고함이 보장되나, 우산꽂이(2a)의 상부는 결합부(56)에 의해 지지되므로 그 지지력을 더 보강할 필요성이 있다.
도 19는 퀵클램프(70) 또는 밴드를 이용하여 우산꽂이(2a)의 상부가 수직봉체(58)에 견고히 지지되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퀵클램프(70) 또는 밴드는 통체(8c)에 고정화시키거나 또는 분리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구(12a)의 상부에 위치하는 통체(8c)의 경우 수납되는 우산이 배수구(12a)를 막을 수 있으므로 도 16과 같이 상기 통체(8c)의 수납실(6a) 하부에받침수단, 이를테면 받침편(72)을 형성하거나 받침망을 설치하여 우산의 낙하를 방지함으로서 원활한 배수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 또는 눈이 오는 날 비에 젖은 우산(4)(4a)을 우산꽂이(2)(2a)에 수납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이 용이할 뿐 아니라, 수납 우산(4)(4a)으로부터 흘러내린 빗물이 집수용기(22)에 고이거나 배수구(12a)를 통하여 자동차 바깥으로 바로 배수되므로 비닐봉지와 같이 사용이 불편하고 번거로운 수납물건이 불필요할 뿐 아니라 빗물에 실내 바닥(38)(64)으로 흘러내려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없어 자동차 실내의 청결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우산(4)(4a)이 수납되어 정리 정돈되므로 거추장스러움이 방지되어 실내의 쾌적함이 유지된다.
또한, 자동차의 실내에 보관되므로 우천시 트렁크 룸까지 가지 않고 바로 사용 및 수납 보관할 수 있으며, 우산꽂이(2)(2a)를 간편하게 설치하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눈이나 비가 오지 않는 평소에는 트렁크 룸에 우산꽂이(2)(2a)를 설치하여 우산(4)(4a)을 수납시켜 보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과 모방을 행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집수수단을 갖는 우산꽂이를 자동차 좌석부근에 간편한 방법으로 설치한 다음 사용한 우산을 수납 보관할 수 있으며, 수납된 우산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 등은 별도로 수집하여 처리하거나 바로 배수시킬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실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간의 활용도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한 우산을 우산꽂이에 넣어 보관함으로서 미관이 보다 향상될 뿐 아니라,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우산이 수납되어 정리 정돈되므로 거추장스러움이 방지되어 실내의 쾌적함이 유지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자동차용 우산꽂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 우산 수납실(6)이 형성된 통체(8)와, 통체(8)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10)와, 통체(8)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구(12)와, 배수구(12)의 하단에 설치되는 집수수단과, 통체(8)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구성하여서 된 자동차용 우산꽂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 집수수단은 배수구(12)의 단부에 복수 개의 절첩부(18)를 갖는 투명 자라바 호스(20)를 분리할 수 있게 결합하고, 자바라 호스(20)의 단부에 투명 집수용기(22)를 분리할 수 있게 결합하여서 된 자동차용 우산꽂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통체(8)를 지지하는 수단은 통체(8)의 외면 길이방향으로 돌출부(28)를 형성하고, 돌출부(28)에 복수 개의 구멍(30)을 형성하고, 끈(32) 단부에 걸림구조를 갖는 걸고리(34)(36)를 각각 고정하고, 상기 걸고리(34)(36)응 구멍(30)에 끼워 걸림되게 하여서 된 자동차용 우산꽂이.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수납실(6)의 내경은 우산(4)의 끝부분(14)이 수납되는 부분을 향 할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우산꽂이.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통체(8)의 내주면에 단열재(46)를 빙둘러 형성하고, 단열재(46)의 내주면에 전원공급선(50)을 갖는 전열선(44)을 빙둘러 감아 고정하고, 전열선(44)의 내주측에 열전도율이 우수한 열전도체(48)를 절연되게 빙둘러 설치하여서 된 자동차용 우산꽂이.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통체(8) 외면에 벨크로 테이프(25)를 고정하여 이와 대응하는 좌석(26) 배면 시트의 벨크로 테이프(27)와 접합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자동차용 우산꽂이.
  7. 2개 이상의 통체(8c)(8d) 내부에 우산 수납실(6b)(6c)을 각각 형성하고, 통체(8c)(8d)의 상부에 각각의 개구(10a)(10b)를 형성하고, 통체(8c)(8d)의 하부에 통체(8c)(8d) 끼리 연결되고 걸림테(68)를 갖는 1개의 배수구(12a)를 형성하고, 일측 통체(8c)의 길이방향 외측면에 좌석(54)의 측부에 결합되는 결합부(56)를 형성하여서 된 자동차용 우산꽂이.
  8. 청구항 7에 있어서 ; 결합부(56)는 좌석(54)의 수직봉체(58)가 억지 통과하는 개방부(60)와, 상기 수직봉체(58)가 결합되는 결합공(62)과, 개방부(60)의 양측에 형성되는 외향 만곡형의 안내부(56a)(56b)로 구성하여서 된 자동차용 우산꽂이.
KR2020020023882U 2002-08-09 2002-08-09 자동차용 우산꽂이 KR2002942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882U KR200294223Y1 (ko) 2002-08-09 2002-08-09 자동차용 우산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882U KR200294223Y1 (ko) 2002-08-09 2002-08-09 자동차용 우산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223Y1 true KR200294223Y1 (ko) 2002-11-04

Family

ID=7307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882U KR200294223Y1 (ko) 2002-08-09 2002-08-09 자동차용 우산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2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546A (ko) 2017-12-03 2019-06-12 김건호 이동식 자동차용 우산꽂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546A (ko) 2017-12-03 2019-06-12 김건호 이동식 자동차용 우산꽂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3100A (en) Car tarpaulin combination device with a storing bag
KR100746130B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겸용 우산보관함
KR200294223Y1 (ko) 자동차용 우산꽂이
CN201217381Y (zh) 充气式防尘防晒多用车衣
KR19980011389U (ko) 차량의 실내에 구성되는 우산보관구조
EP0101764A1 (en) Covers
KR0131302Y1 (ko) 자동차의 시트 우산걸이
JP4150931B2 (ja) 車内用傘立て
KR101987802B1 (ko) 휴대용 접이식 차량막
KR200199664Y1 (ko) 휴대용 우산 보관 케이스
JP3442352B2 (ja) 車載用傘収納ケース
KR20200001055U (ko) 보행 및 차량 탈착 우산
JP2002127759A (ja) 自動車用日除装置
CN205512852U (zh) 一种防风暖手雨伞
KR19980039171U (ko) 조수석 등받이에 장착된 우산꽂이
KR900003507Y1 (ko) 승용차용 카바 장치
KR19990001626A (ko) 우산보관을 위한 자동차용 센터필러의 구조
JP3095824U (ja) 自動車上部ボディーカバーシートのセット・収納装置。
MXPA99000757A (en) Folding outer cover for vehicu
JP2003080953A (ja) 折り畳み式乗用車カバー
KR200244451Y1 (ko) 차량의 우산 보관 장치.
CA2527592A1 (en) Portable snow shell for vehicles
CN203974507U (zh) 汽车遮阳罩
KR200210517Y1 (ko) 차량용 다용도 케이스
KR200149806Y1 (ko) 승용차의 우산꽂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