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740A - 우산 빗물받이 - Google Patents

우산 빗물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740A
KR20180098740A KR1020170025214A KR20170025214A KR20180098740A KR 20180098740 A KR20180098740 A KR 20180098740A KR 1020170025214 A KR1020170025214 A KR 1020170025214A KR 20170025214 A KR20170025214 A KR 20170025214A KR 20180098740 A KR20180098740 A KR 20180098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rain water
main body
co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큰별
Original Assignee
이큰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큰별 filed Critical 이큰별
Priority to KR1020170025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8740A/ko
Publication of KR20180098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0Umbrella crown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 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 꼭지부에 결합하여 우산에 묻은 빗물을 수용할 수 있는 장치로써, 우산의 꼭지부를 지면을 향하도록 세울 경우 우산에서 묻은 빗물이 흘러내려 커버부에 형성된 유수구를 통해 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우산에서 흘러내린 빗물에 의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부의 내부에 수용된 빗물은 자성에 의해 상호 결합하는 커버부와 본체부를 분리하여 용이하게 비울 수 있는 우산 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중앙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의 내측에는 제1 삽입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주 면에는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이 유입될 수 있는 다수의 유수구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커버부; 및 커버부에 형성된 유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제2 삽입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커버부와 결합하거나 분리될 수 있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우산 빗물받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우산 빗물받이 {Umbrella rain gutter}
본 발명은 우산 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 꼭지부에 결합하여 우산에 묻은 빗물을 수용할 수 있는 장치로써, 우산의 꼭지부를 지면을 향하도록 세울 경우 우산에서 묻은 빗물이 흘러내려 커버부에 형성된 유수구를 통해 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우산에서 흘러내린 빗물에 의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부의 내부에 수용된 빗물은 자성에 의해 상호 결합하는 커버부와 본체부를 분리하여 용이하게 비울 수 있는 우산 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비가 내리는 날 우산을 사용하며 외출을 한 후, 사용한 우산을 접어서 은행, 백화점 등 각종 건물의 실내에 들어가거나 버스,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에는 우산에 묻어있는 빗물이 건물 바닥에 흘러내리면서 실내 주변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실내에 우산통을 마련하여 젖은 우산을 우산통에 넣어두거나, 우산을 담을 수 있는 비닐포장지가 건물 입구에 준비되어 이 비닐포장지에 우산을 넣어 실내에 빗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우산통을 사용하는 경우, 우산통에 넣어둔 우산이 분실될 우려가 있고, 비닐포장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된 비닐포장지가 재활용이 되지 않아 쓰레기로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발생한 비닐 포장지 쓰레기는 환경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일회성 비닐포장지의 사용 및 처리로 인해 경제적 손실이 가중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일회성 비닐포장지의 사용을 자제할 수 있고, 우산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우산에서 흘러내린 빗물을 수용하여, 실내를 오염시키지 않는 새로운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10-1002625호(2010년12월21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우산의 꼭지부를 지면을 향하도록 세울 경우 우산에서 묻은 빗물이 흘러내려 커버부에 형성된 유수구를 통해 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우산에서 흘러내린 빗물에 의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부의 내부에 수용된 빗물은 자성에 의해 상호 결합하는 커버부와 본체부를 분리하여 용이하게 비울 수 있는 우산 빗물받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받이는 중앙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의 내측에는 제1 삽입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주 면에는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이 유입될 수 있는 다수의 유수구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커버부; 및 커버부에 형성된 유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제2 삽입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커버부와 결합하거나 분리될 수 있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또한, 커버부에 형성된 제1 삽입부와 본체부에 형성된 제2 삽입부에는 자성체가 각 삽입되어 커버부와 본체부가 자성에 의해 상호 결합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의 내주 면은 우산에서 흘러내린 물이 유수구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산에서 흘러내린 빗물에 의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일회성 비닐포장지의 사용을 자제할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받이가 우산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받이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받이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받이의 단면도,
도 5는 커버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체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받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우산이 펼쳐진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받이가 우산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받이가 우산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받이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받이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받이의 단면도, 도 5는 커버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체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받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우산이 펼쳐진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받이가 우산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받이는, 도 4를 참조하면, 돌출부(12), 제1 삽입부(14), 및 유수구(16)가 형성된 커버부(10), 제2 삽입부(22)가 형성된 본체부(20), 자성체(30), 및 본체부 마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받이의 전체적인 작동방식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받이가 도 1과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10)와 본체부(20)가 자성에 의해 결합한 상태에서 우산 꼭지부의 단부가 커버부(10)에 결합한다. 그리고 우산 꼭지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우산을 세우게 되면, 우산에 묻은 빗물이 하방으로 흘러내려 커버부(10)로 유입되고, 커버부(10)에 유입된 빗물은 커버부(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흘러내려 커버부(10)의 돌출부(12) 둘레를 따라 내주면에 형성된 유수구(16)를 통해 본체부(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수용된다.
여기서, 커버부(10)와 본체부(20)는 본체부(20)의 내측에 저장된 빗물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커버부(10)와 본체부(20)를 분리하여 본체부(20)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을 비울 수 있도록 색이 투명한 소재를 사용하여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받이를 구성하는 커버부(10)와 본체부(20)의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커버부(10) 및 커버부(10)와 결합하는 본체부(20)의 형상이 별모양, 사각형 등의 다각형 모양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빗물받이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커버부(10)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하측이 아래에 서술된 본체부(20)와 결합하고, 상측이 우산의 꼭지부와 결합하는 구성요소로써, 커버부(10)의 중앙부에는 우산 꼭지부의 단부와 접하는 돌출부(12)가 커버부(10)의 상면에서 링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커버부(10)에 형성된 돌출부(12)는 우산에서 흘러내린 빗물이 돌출부(12)의 외측 즉, 커버부(10)의 내주 면(18)으로 유입되게 하는 경계면 역할과 커버부(10)로 유입된 빗물이 돌출부(12)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물막이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우산 꼭지부와 커버부(10) 상호 간의 결합방식은 커버부(10)에 형성된 둘출부의 내측에 양면 테이프, 양면 벨크로 등의 접착 부재(미도시)가 삽입되어 우산 꼭지부의 단부와 커버부(10) 상호 간이 결합하게 된다.
또한, 우산 꼭지부와 커버부(10) 상호 간의 결합방식은 커버부(10)가 영구적으로 우산 꼭지부에 부착될 수도 있고, 탈부착 가능한 방식으로도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돌출부(12)의 내측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제1 삽입부(14)가 커버부(1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이 제1 삽입부(14)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체(30)가 개방된 상부를 통해 삽입된다.
제1 삽입부(14)에 삽입된 자성체(30)는 우산 꼭지부와 커버부(10)를 결합시킬 때 사용하는 양면 테이프 또는 양면 벨크로 등의 접착 부재가 제1 삽입부(14)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부착되어 제1 삽입부(14) 내측에 수용된 자성체(30)가 제1 삽입부(14)의 외측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2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커버부(10)의 내주 면(18)에는 우산에서 흘러내린 빗물이 본체부(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커버부(10)의 중앙부에 형성된 돌출부(12)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유수구(16)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다.
본체부(20)는 도 2와 도 3 및 도 6를 참조하면, 커버부(10)와 결합하거나 본체부(20) 내측에 수용된 빗물을 비우기 위해 분리될 수 있으며, 내부에 커버부(10)에 형성된 유수구(16)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자성체(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된 제2 삽입부(22)가 본체부(20)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20)의 제2 삽입부(22)에 삽입된 자성체(30)가 제2 삽입부(22)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3과 도 4 및 도 7 과 도 8에 도시된 본체부 마개(40)가 본체부의 하면에 부착되어 자성체(30)를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제2 삽입부(22)의 개방된 면을 덮으며 밀폐시킨다.
한편, 커버부(10)와 본체부(20)를 결합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0)에 형성된 제1 삽입부(14)의 하방에 본체부(20)에 형성된 제2 삽입부(22)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커버부(10)에 형성된 제1 삽입부(14)와 본체부(20)에 형성된 제2 삽입부(22)에 삽입된 자성체(30)에 의해 커버부(10)와 본체부(20)가 자성에 의해 상호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부(10)의 내주 면(18)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주 면(18)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 즉 커버부(10)의 돌출부(12)가 위치한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하여 우산에서 흘러내려 커버부(10)로 유입된 빗물이 중력에 의해 유수구(16) 방향으로 흘러서 본체부(2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커버부 12 - 돌출부
14 - 제1 삽입부 16 - 커버부
20 - 본체부 22 - 제2 삽입부
30 - 자성체 40 - 본체부 마개

Claims (3)

  1. 중앙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의 내측에는 제1 삽입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주 면에는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이 유입될 수 있는 다수의 유수구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커버부; 및
    커버부에 형성된 유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제2 삽입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커버부와 결합하거나 분리될 수 있는 본체부
    를 포함하는, 우산 빗물받이.
  2. 제1항에 있어서,
    커버부에 형성된 제1 삽입부와 본체부에 형성된 제2 삽입부에는 자성체가 각 삽입되어 커버부와 본체부가 자성에 의해 상호 결합할 수 있는 것
    을 포함하는, 우산 빗물받이.
  3. 제1항에 있어서,
    커버부의 내주 면은 우산에서 흘러내린 물이 유수구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우산 빗물받이.
KR1020170025214A 2017-02-27 2017-02-27 우산 빗물받이 KR20180098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214A KR20180098740A (ko) 2017-02-27 2017-02-27 우산 빗물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214A KR20180098740A (ko) 2017-02-27 2017-02-27 우산 빗물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740A true KR20180098740A (ko) 2018-09-05

Family

ID=63594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214A KR20180098740A (ko) 2017-02-27 2017-02-27 우산 빗물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87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454B1 (ko) 2019-03-21 2019-11-07 주식회사 나무와뿌리 빗물 캡 및 우산
KR102161242B1 (ko) 2019-05-21 2020-09-29 주식회사 나무와뿌리 우산용 빗물 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454B1 (ko) 2019-03-21 2019-11-07 주식회사 나무와뿌리 빗물 캡 및 우산
KR102161242B1 (ko) 2019-05-21 2020-09-29 주식회사 나무와뿌리 우산용 빗물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19231T3 (es) Dispositivo de articulacion e un tapabocas o tapa con relacion a un marco especialmente de registro de calzada.
KR20180098740A (ko) 우산 빗물받이
KR101428652B1 (ko) 휴대용 우산 보관함
KR101138305B1 (ko) 빗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커버를 갖춘 안전 우산
JP2015223328A (ja) 傘及び傘カバー装置
KR200491847Y1 (ko) 우산 케이스
KR101614219B1 (ko) 빗물 흘림 방지 캡 및 이를 가지는 우산
KR20010000031U (ko) 빗물받이용 우산캡
KR20140005340U (ko) 비닐봉지 마개장치
KR200313434Y1 (ko) 우산손잡이에 우산커버 보관함이 구비된 우산
KR100745702B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우산
KR101021737B1 (ko) 방수 커버 수납용 하부 덮개를 구비한 우산
KR200447681Y1 (ko) 우산
KR20170130068A (ko) 방수 겸용 빗물받이 케이스 일체형 우산
KR101988568B1 (ko) 휴대용 우산통
KR200244327Y1 (ko) 우산주머니 보관집이 구비된 우산
JP3007643U (ja) 傘用集水器
JPS62164405A (ja) 傘における水溜め
KR20130022192A (ko) 우산
KR200304792Y1 (ko) 방수케이스 일체형 우산
KR100396174B1 (ko) 수용함을 갖는 우산
KR200323561Y1 (ko) 물받이가 구비된 우산
KR100898421B1 (ko) 빗물받이 케이스가 내장되는 우산
JPS6115151Y2 (ko)
KR200343721Y1 (ko) 수납통이 형성된 절첩식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