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519Y1 - 우산용 집수통 - Google Patents

우산용 집수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519Y1
KR880002519Y1 KR2019850015991U KR850015991U KR880002519Y1 KR 880002519 Y1 KR880002519 Y1 KR 880002519Y1 KR 2019850015991 U KR2019850015991 U KR 2019850015991U KR 850015991 U KR850015991 U KR 850015991U KR 880002519 Y1 KR880002519 Y1 KR 8800025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sump
rainwater
water
spo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5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367U (ko
Inventor
김봉관
Original Assignee
김봉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관 filed Critical 김봉관
Priority to KR2019850015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519Y1/ko
Publication of KR8700093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3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5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우산용 집수통
제1도는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집수통에 빗물이 집수되는 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집수통에 물이 배출되는 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집수통 5 : 스프링
6 : 스펀지 7, 7' : 꼭지삽입공
8 : 집수관 9 : 격판
10 : 통공 11 : 단턱
본 고안은 우산의 꼭지에 끼워 빗물을 받을 수 있는 우산용 집수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우산의 꼭지에 끼워 빗물을 받게 한 것이 있으나 이것은 상협하광의 집수관을 우산의 꼭지에 나사식 붙이기로 고정시키므로서 집수관에 빗물이 고인 상태에서 우산의 꼭지를 상방으로 들게 되면 집수관에 고인 빗물이 쏟아져 나오는 폐단이 있으며 본체 중간부에 사복관을 일체로 연장하고 본체 상면 일측에 배수공을 제어하게 손잡이가 형성된 개폐판을 착설한 것을 본체에 빗물이 집수된 상태에서 우산꼭지를 상방으로 들어도 배수공을 개폐판이 제어하고 있으므로 빗물이 흐르지는 않으나 본체내의 빗물을 배출시킬 때에는 일일이 손잡이를 돌려 배수공을 제어하고 있는 개폐판을 열어 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빗물을 배출시키게 되면 빗물이 우산의 포지를 타고 손잡이 쪽으로 흘러내려 손잡이가 젖는 등에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집수통 내부에 스프링과 스펀지를 삽입하고 그 저면에 통공이 형성된 집수관을 삽입한 후 꼭지삽입공을 통하여 우산의 꼭지를 집수통의 나사부에 나사식으로 고정시키므로서 우산을 접게 되면 우산의 포지를 따라 빗물이 흘러내려 집수관의 통공을 통하여 집수통에 집수되게 되는데 집수통에 집수된 빗물은 집수통 내부에 삽입된 스펀지에 흡수되므로 집수통에 빗물이 집수된 후에 우산의 꼭지가 상방을 향하도록 들어도 빗물은 흘러내리지 않게 되며 우산을 펴게되면 우산살이 집수관을 집수통 내부로 밀게 되므로 집수관의 격판에 의해 스펀지가 압착되며 흡수됐던 빗물은 통공을 통하여 배출되게 되므로 우산을 펴야만 집수통에 물이 배출되게 하여 배출되는 물이 우산의 손잡이에 묻지 않게 하며 우산을 들어도 집수된 물이 흘러내리거나 일일이 집수된 물을 배출시켜 주어야하는 불편을 제거시킨 것으로서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산(1)의 꼭지(2)에 나사부(3)가 형성되고 집수통(4) 내부 상면에 나사부(3')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집수통(4) 내부에 스프링(5)과 꼭지삽입공(7)이 형성된 스펀지(6)를 삽입하고 그 저면에 격판(9)과 통공(10)이 형성되고 꼭지삽입공(7')의 주연부에 단턱(11)이 돌설된 집수관(8)을 삽입하여 우산(1)의 꼭지(2)를 집수관(8)과 스펀지(6)의 꼭지 삽입공(7), (7')을 관통시켜 집수통(4)의 나사부(3')에 나사식으로 고정시켜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12)는 우산살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우산(1)을 접어 꼭지(2)를 하방으로 향하게 세우게 되면 빗물을 집수관(8)의 통공(10)을 통하여 집수통(4)에 집수되게 되는데 집수된 물은 집수통(4) 내부에 삽입된 스펀지(6)에 흡수되게 된다. 이렇게 집수관(8)에 의해 집수된 물이 집수통(4)내에서 스펀지(6)에 흡수되므로 집수통(4)에 빗물이 집수된 상태에서 우산(1)의 꼭지(2)를 상방으로 향하게 우산(1)을 들어도 빗물이 집수통(4)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우산(1)을 다시 사용하기 위해 펴게 되면 우산(1)의 우산살(12)이 펴지면서 제3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집수관(8)을 상부로 밀게 되므로 집수관(8)의 상부 격판(9)이 스프링(5)과의 사이에 삽입되어 집수된 물을 흡수하고 있는 스펀지(6)를 압착하게 되므로 스펀지(6)는 압착되며 흡수하고 있던 빗물이 격판(9)의 통공(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이렇게 외부로 배출된 물은 우산(1)의 포지에 따라 흐르게 되므로 우산(1)의 손잡이나 우산(1) 사용자에게는 묻지 않게 되는것이며 집수관(8)의 꼭지삽입공(7')의 상부 주연부에 돌설된 단턱(11)은 접수관(8)이 상·하로 이동시 한쪽으로 기우는 등의 요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빗물이 묻은 우산(1)을 실내에 세워 놓을 때 빗물이 실내 바닥에 흘려내려 주위를 적시는 것을 방지하며 빗물이 집수통(4)에 집수된 후에 우산(1)을 들어도 우산을 펴지 않는 한 집수된 빗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집수통(4)의 빗물을 우산을 펴는 것과 동시에 배출되게 하여 일일이 집수통(4)의 빗물을 개폐변으로 배출시키는 등에 불편을 제거하여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우신(1)의 꼭지(2)에 나사부(3)와 집수통(4) 내면 상부에 나사부(3')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집수통(4) 내부에 스프링(5)과 꼭지삽입공(7)이 형성된 스펀지(6)를 삽입하고 그 저면에 꼭지삽입공(7')의 주연부에 단턱(11)이 돌설되고 격판(9)에 통공(10)이 천공된 집수관(8)을 삽입하여 우산(1)의 꼭지(2)를 집수관(8)과 스펀지(6)의 꼭지삽입공(7), (7')에 관통시켜 집수통(4)의 나사부(3')에 나사식으로 끼우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용 집수통.
KR2019850015991U 1985-12-02 1985-12-02 우산용 집수통 KR8800025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5991U KR880002519Y1 (ko) 1985-12-02 1985-12-02 우산용 집수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5991U KR880002519Y1 (ko) 1985-12-02 1985-12-02 우산용 집수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367U KR870009367U (ko) 1987-07-07
KR880002519Y1 true KR880002519Y1 (ko) 1988-07-14

Family

ID=7028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5991U KR880002519Y1 (ko) 1985-12-02 1985-12-02 우산용 집수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5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367U (ko) 198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5633B2 (en) Rainwater collection and diverging system
US9038320B1 (en) Downspout for a gutter system with an integrated rainwater holding chamber
FR2855734B1 (fr) Cafetiere filtre avec distribution d'eau chaude dans le couvercle.
KR880002519Y1 (ko) 우산용 집수통
US3033222A (en) Portable urine collecting device with overflow handle
KR890000368Y1 (ko) 집수통이 설치된 우산
KR950003179Y1 (ko) 우산의 빗물받이 및 배출장치
KR830001901Y1 (ko) 우산용 빗물받이통
JPS595679U (ja) 排水トラツプ
KR200169243Y1 (ko) 양변기의 절수구
JPS6230966Y2 (ko)
KR200262247Y1 (ko) 씽크대용 배수구
KR200282829Y1 (ko) 물 받이 우산꼭지
JPS5851268Y2 (ja) 厨房家具
JPS6016698Y2 (ja) 洗面器の排水路に対する異物受け具
JPS6335619Y2 (ko)
KR200265026Y1 (ko) 세제보관 용기
JP2559749Y2 (ja) シンクのごみ収納排水装置
JP3358058B2 (ja) 傘の水滴捕捉用具とそれを用いた傘
JPS5833178Y2 (ja) 排水トラツプ
KR0118044Y1 (ko) 냉장고 물분배기의 배수장치
KR20140100080A (ko) 케이스를 구비한 우산
KR820001759Y1 (ko) 자동 단수 밸브
KR102423046B1 (ko) 전기밥솥의 응축수 배수 구조체
KR920006795Y1 (ko) 유출량조절식 양변기 세척액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