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109Y1 - 주차브레이크 레버기구 - Google Patents

주차브레이크 레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109Y1
KR910005109Y1 KR2019890002256U KR890002256U KR910005109Y1 KR 910005109 Y1 KR910005109 Y1 KR 910005109Y1 KR 2019890002256 U KR2019890002256 U KR 2019890002256U KR 890002256 U KR890002256 U KR 890002256U KR 910005109 Y1 KR910005109 Y1 KR 910005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brake
brake lever
rod
rocker
solen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2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631U (ko
Inventor
전재석
Original Assignee
전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석 filed Critical 전재석
Priority to KR2019890002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109Y1/ko
Publication of KR9000156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6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109Y1/ko

Link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차브레이크 레버기구
제 1 도는 본 고안의 개략적인 구성이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차브레이크레버 2 : 래칫
2a : 톱니 3 : 주차브레이크레버몸체
3a : 회동축 4 : 솔레노이드
4a : 작동로드 5 : 코일스프링
6 : 조절봉 7 : 회동축
8 : 로커 8a : 돌출부
8b : 장공 9 : 해제로드
9a : 제동해제버튼 10 : 액셀레이터페달
10a : 레버 11 : 연결스위치
11a, 11b : 단자 12 : 연결편
12a : 선단부 13 : 압축스프링
14 : 플렉시블와이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레버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차브레이크를 제동시킨 주. 정차의 상태에서 차량을 전진. 가속시키기 위해 액셀레이터페달을 밟아주면 자동적으로 주차브레이크의 제동상태가 해제되도록 한 주차브레이크레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는 차량을 장시간 주차시켜 두거나 언덕길등에서 일시 정차할 때 주차브레이크레버를 잡아 당겨 차량의 제동이 유지되도록 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같이 주차브레이크를 사용할때에는 차량을 출발시키기전에 반드시 먼저 주차브레이크의 제동상태를 해제시켜 주어야만 한다. 만약 주차브레이크의 제동상태를 해제시켜 주지 않고 액셀레이터 페달을 밟아주면 차량이 전진하지 않거나 또는 전진 하게 되더라도 브레이크슈우와 브레이크드럼에 손상을 주게 된다.
한편, 차량의 댓수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교통체증이 심해지는 복잡한 시내주행에서는 차량이 계속하여 주행하지 못하고 간헐적 주행을 하게 되는데, 이와같이 차량이 조금 전진한 다음 정차하여 있다가 다시 발차하는 경우가 반복되풀이 될때 정차시 부터 발차시까지 계속하여 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있어야만 하므로 운전자에 피로감을 더해주게된다.
그런데 정차한 상태에서 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있지 않고서도 주차브레이크로서 제동상태를 유지시켜 줄수도 있으나, 이는 정차시간이 어느정도 긴 경우 에는 문제가 없으나 잠깐동안 정차후에 일정거리로 잠깐 전진하였다가 다시 정차하는등의 동작이 되풀이 될때, 이때마다 일일이 주차브레이크를 사용하게 되면 차량이 출발할 때마다 주차브레이크를 다시 원위치시키면서 잠깐동안 브레이크페달을 밟았다가 놓아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동작이 뒤따르게 되므로 오히려 더 귀찮아지게 될뿐더러 안전운행에도 문제 점이 야기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때에도 주차브레이크의 제동상태를 해제 시키지 않고 발차하게 되면 상기한 바와같은 브레이크부품의 손상문제가 뒤따르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제문제점을 해소시켜 주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이 주. 정차할때 주차브레이크레버를 잡아당겨 제동유지시키고, 출발할 때에는 별도의 주차브레이크 제동해제 작동을 하지 않고 단순히 액셀레이터페달만을 밟아 주면 주차브레이크의 제동상태가 해제되도록 한 주차브레이크 레버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주차브레이크의 몸체 상부에 작동로드를 갖춘 솔레노이드가 부착되고, 이 솔레노이드의 작동로드선단에는 길이를 조절할수 있도록 되면서 코일스프링이 탄력설치된 조절봉이 결합되며, 이 조절봉에는 해제로드와 일체로 결합되면서 래칫의 톱니에 걸려진 로커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의 -단자에는 액셀레이터페달이 회동됨에 따라 ON/OFF되도록 된 연결스위치가 연결된 구조로되어, 주차브레이크레버가 당겨져 제동이 로크된 상태에서, 차량을 출발시켜주기 위해 액셀레이터페달을 밟아주게 되면, 상기 연결스위치가 ON되면서 솔레노이드를 통전시켜 주게되고, 이어 솔레노이드의 작동로드가 당겨 지면서 로커를 회전시켜 주게 되어 래칫의 톱니에 걸려진 로커를 해제시켜 주게 되며, 이에 따라 인정상태로 유지되면서 제동을 로크시켜 주고 있던 플레시블와이어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주차브레이크레버가 원래위치로 회전되면서 제동상태를 자동적으로 해제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주차브레이크레버(1)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쪽 원주면에 톱니(2a)가 형성되면서 차체에 고정된 래칫(2)에 주차브레이크레버몸체(3)가 회동축(3a)을 중심으로 회동될수 있도록 설치되고, 이 주차브레이크레버몸체(3)상부에는 작동로드(4a)가 내장된 솔레노이드(4)가 부착되며, 이 솔레노이드(4)의 작동로드(4a)선단에는 길이를 조절할수 있도록 보울트형상으로 되면서 그 외주면에 코일스프링(5)이 장착된 조절봉(6)이 결합되는 한편, 이 조절봉(6)에는 회동축(7)의 중심을 일정각도로 회동되면서 상기 래칫(2)의 톱니(2a)에 걸려지거나 벗겨지도록 된 돌출부(8a)를 갖춘 로크(8)의 상단부가 결합되고, 이 로커(8)의 중간부에는 다른 끝부위에 제동해제버튼(9a)이 부착된 해제로드(9)가 회동될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기 로커(8)의 상단부에는 장공(8b)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봉(6)과의 상호작동에 따른 거리 편차를 흡수해 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4)의 (+)단자는 밧데리의 (+)단자에 연결되고, (-)단자는 전선을 매개로 액셀레이터페달(10)에 인접되게 설치되면서 한쌍의 단자(11a,11b)를 갖춘 연결스위치(11)의 한쪽 단자에 연결되는바, 여기서 상기 연결스위치(11)의 내부에는 T자형 연결편(12)이 압축스프링(13)에 의해 탄력설치되고, 이 연결편(12)의 다른끝 선단부(12a)는 액셀 레이터페달(10)을 밟지않은 상태에서 이 액셀레이터 페달(10)의 레버(10a)에 긴밀히 접촉하도록 되는데, 만일 차량을 출발시켜 주기 위해 이 액셀레이터페달(10)을 밟아주게 되면 상기 압축스프링(1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결편(12)이 하강되면서 양쪽 단자(11a,11b)를 도통시켜 주게 되므로 상기 솔레노이드(4)의 (-)단자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주차브레이크몸체(3)하단에는 공지의 브레이크 기구(도시안됨)에 연결된 플렉시블와이어(14)가 연결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한다.
차량을 장시간 주차시켜주거나, 또는 일시정차 시켜주기 위해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차브레이크레버(1)를 A방향으로 당겨주게되면, 회동축(3a)을 중심으로 주차브레이크레버몸체(3)도 A방향으로 회동됨과 더불어 로커(8)의 돌출부(8a)가 래칫(2)의 톱니(2a)끝부위와 차례로 접촉되면서 윗쪽으로 상승되어 일정위치에서 톱니(2a)에 걸려지게 되고, 상기 주차브레이크레버몸체(3)하단에 연결된 플렉시블와이어(14)가 C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양쪽 뒷바퀴의 브레이크슈우를 드럼에 밀착시켜 제동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이때 상기 주차브레이크레버몸체(3)는 플렉시블와이어(14)의 D방향 인장력에 의해 원래위치, 즉 B방향으로 회전되려고 하는 힘을 받고 있는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상태에서 차량을 출발시켜 주기 위해 운전자가 클러치페달을 떼면서 액셀레이터페달(10)을 밟아주게 되면 이 액셀레이터페달(10)의 레버(10a)에 접촉되어 있던 연결편(12)의 선단부(12a)가 압축스프링(13)의 복원력에 의해 하강되면서 연결스위치(11)의 양쪽 단자(11a,11b)를 도통시켜주게 되므로 차체에 흐르고 있던(-)전류가 솔레노이드(4)의 (-)단자에 공급되므로, 이 솔레노이드(4)가 자화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4)의 작동로드(4a)가 제 1 도에서 오른쪽으로 당겨지면서 이 작동로드(4a)의 선단에 결합된 조절봉(6)을 끌어당겨주게 되므로, 이 조절봉(6)에 상단부의 장공(8b)을 매개로 결합된 로커(8)가 회동축(7)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이에 따라 래칫(2)의 톱니(2a)에 걸려져 제동상태를 유지시켜 주고 있던 상기 로커(8)의 돌출부(8a)가 톱니(2a)로 부터 해제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C방향으로 당겨져 있던 플렉시블와이어(14)의 복원력에 의해 주차브레이크레버몸체(3)가 회동축(3a)을 중심으로 원래위치, 즉 B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와이어(14)가 D방향으로 풀러지면서 뒷바퀴 제동기구의 브레이크슈우를 작동시켜 브레이크드럼과의 제동상태를 해제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다른 주차브레이크레버(1)는 주차브레이크레버몸체(3)의 상단에 부착된 솔레노이드(4)가, 액셀레이터페달(10)의 레버(10a)에 접촉설치된 연결편(12)이 연결스위치(11)의 양쪽 단자(11a, 11b)를 ON시켜줌에 따라 자화되면서 작동로드(4a)에 연결된 로커(8)를 회동시켜 래칫(2)과의 물림상태를 해제시켜 차량의 제동작동을 자동적으로 해제시켜주도록 되어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초보운전자의 안전주행을 보조해 줌과 더불어 브레이크기구의 내구성도 향상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돌출부(8a)를 갖춘 로커(8)와, 이 로커(8)의 중간부에 연결된 해제로드(9)및, 상기 로커(8)의 돌출부(8a)에 맞물리도록 된 톱니(2a)를 갖추면서 차체에 고정된 래칫(2)에 회동될수 있도록 결합된 주차브레이크레버몸체(3)를 갖춘 주차브레이크레버에 있어서, 상기 주차브레이크몸체(3)의 상부에 작동로드(4a)가 내장된 솔레노이드(4)가 부착되고, 이 작동로드(4a)선단에는 길이를 조절할수 있도록 되면서 외주면에 코일스프링(5)이 장착된 조절봉(6)이 결합되며, 이 조절봉(6)에는 상단부에 형성된 장공(8b)을 매개로 상기 로커(8)가 연결되는 한편, 액셀레이터페달(10)의 레버(10a)에는 연결스위치(11)의 연결편(12)이 접촉됨과 더불어 상기 연결스위치(11)의 양쪽 단자(11a,11b)중 한쪽단자(11a)가 상기 솔레노이드(4)의 (-)단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브레이크레버기구.
KR2019890002256U 1989-02-28 1989-02-28 주차브레이크 레버기구 KR910005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2256U KR910005109Y1 (ko) 1989-02-28 1989-02-28 주차브레이크 레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2256U KR910005109Y1 (ko) 1989-02-28 1989-02-28 주차브레이크 레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631U KR900015631U (ko) 1990-09-01
KR910005109Y1 true KR910005109Y1 (ko) 1991-07-20

Family

ID=7016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2256U KR910005109Y1 (ko) 1989-02-28 1989-02-28 주차브레이크 레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1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631U (ko) 199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109Y1 (ko) 주차브레이크 레버기구
KR100361275B1 (ko) 페달식 주차브레이크의 주차해제장치
US6079794A (en) Brake-actuating device
JPH03276850A (ja) 小型電動車
KR920001044Y1 (ko) 자동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JPS6347541Y2 (ko)
JPH0534997Y2 (ko)
KR200149580Y1 (ko) 자동차의역진방지장치
KR100380933B1 (ko) 차량용 전동식 파킹브레이크 장치
KR200143693Y1 (ko)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풀림 방지장치
JP2758295B2 (ja) 小型電動車
KR0184825B1 (ko) 차량의 주.정차시 미끄럼 방지장치
KR200167968Y1 (ko)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0128270Y1 (ko) 브레이크 자동고정장치
KR100428085B1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 작용시 운행 제어장치
JPH0437829Y2 (ko)
KR100206043B1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제어장치
KR100405528B1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장치
KR200171852Y1 (ko) 자동차 역진 방지장치
JPS6347540Y2 (ko)
KR0184828B1 (ko) 주차브레이크 록킹시 출발방지장치
JPS5851091Y2 (ja) シンタイシヨウガイシヤヨウジドウシヤウンテンソウチニオケル ブレ−キロツクソウチ
KR900002750Y1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장치
JPS5957051A (ja) 車両用制動力保持装置
JPH051366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