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625B1 - 활동완구의 소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동완구 - Google Patents

활동완구의 소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동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625B1
KR910003625B1 KR1019870010587A KR870010587A KR910003625B1 KR 910003625 B1 KR910003625 B1 KR 910003625B1 KR 1019870010587 A KR1019870010587 A KR 1019870010587A KR 870010587 A KR870010587 A KR 870010587A KR 910003625 B1 KR910003625 B1 KR 910003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rame
drive gear
sound
free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0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0134A (ko
Inventor
하시 하지메 타카
마사히로 토다
Original Assignee
이와야 가부시끼가이샤
이와야 히로가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야 가부시끼가이샤, 이와야 히로가츠 filed Critical 이와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0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63H13/02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imitating natural actions, e.g. catching a mouse by a cat, the kicking of an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1/00Self-movable toy figures
    • A63H11/18Figure toys which perform a realistic walking motion
    • A63H11/20Figure toys which perform a realistic walking motion with pairs of legs, e.g. hors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활동완구의 소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동완구
도면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 1 도는 본 발명의 소리장치의 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 부분의 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b-b선 부분의 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c-c선 부분의 단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활동완구의 분해 사시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조립 상태의 한쪽 방향의 측면도,
제 7 도는, 제 5 도의 조립 상태의 다른쪽 방향의 측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활동완구의 꼬리부의 일부를 절결한 평면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활동완구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완구체 2 : 몸체틀
3 : 앞다리틀 4 : 뒤다리틀
5 : 꼬리틀 6 : 기모 피복체
7 : 머리체틀부 8 : 안내 구멍
9 : 코틀 10 : 안내체
11 : 끼워져 통하는 구멍 12 : 끼워져 통하는 구멍
13 : 엉덩이 틀부 14 : 안내구멍
15 : 기기틀 16 : 건전지 케이스
17 : 앞쪽 지지막대 18 : 붙임고정편
19 : 안내긴홈 20 : 뒤쪽 지지막대
21 : 붙임고정편 22 : 끼워져 통하는 구멍
23 : 크랭크 축 24 : 크랭크 아암
25 : 끼워져 통하는 구멍 26 : 연결 구동편
27 : 소리장치 28 : 회전축
29 : 캠원반 30 : 입력기어
31 : 축받침 32 : 바깥둘레부
33 : 캠 34 : 안내 요입부
35 : 안내 돌기부 36 : 안내면부
37 : 지지축 38 : 요동아암
39 : 요동핀 40 : 지지편
41 : 회전축 42 : 소리기어
43 : 이빨 44 : 간격이 좁은 피치의 부분
45 : 간격이 넓은 피치의 부분 46 : 중간의 피치의 부분
47 : 출력기어 48 : 중계기어
49 : 공명복스 50 : 걸림홈
51 : 공명판 52 : 테두리 둘레부
53 : 공진 리이드 54 : 리벳트
55 : 걸어맞춤부 56 : 진동부
57 : 걸림부 58 : 걸림구멍
59 : 전동기 60 : 스위치
61 : 덮개판 62 : 피니언
63 : 기어 연결 구동기구 64 : 동력변환기구
65 : 회전축 66 : 구동기어
67 : 제1의 연결 구동기어 68 : 제2의 연결 구동기어
69 : 미끄럼 동작축 70 : 변환돌기
71 : 변환긴홈 72 : 변환기어
73 : 보스 74 : 코일 스프링
75 : 중계기어 76 : 제1의 구동기어
77 : 회전축 78 : 다리 작동기어
79 : 크랭크 축 80 : 연결구동기어
81 : 제2의 구동기어 82 : 크랭크 아암
83 : 전방 작동편 84 : 후방 작동편
85 : 돌출편 86 : 축
87 : 벨 크랭크(Bell crank) 88 : 붙임고정틀
89 : 지지축 90 : 긴홈
91 : 회동체 92 : 돌출편
93 : 핀 94 : 지지축
본 발명은 활동완구의 소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동완구에 관한 것으로, 소망의 동물을 모방한 울음소리로 울부짖도록 한 것이며, 또한 이 울부짖음에 대응한 활동동작 등을 행하는 동물을 모방한 활동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동물은 모방한 활동완구의 소리장치로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실공소 61-2430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기기틀에 풀무형상의 소리복스를 형성하며, 이 소리복스의 신축부의 편측면에 승강편의 누름 지지막대를 걸어맞춤하여, 이 누름 지지막대에 의하여 신축부를 눌러서 이동 신축 시키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또한, 일본국 실공소 61-2110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기기틀에 벨로우즈 형상의 소리체를 형성하며, 이 소리체의 주름형상의 신축부에 진동체의 붙임고정막대를 걸어, 이 진동체의 작동에 의하여 신축부를 신축시키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의 풀무형상 및 벨로우즈 형상의 소리장치의 구조에 의하면, 신축부를 완만한 조작으로 신축한 경우에는 소리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불확실성을 갖고 있어 항상 세게 또는 순간적으로 눌러 신축시키는 동작 구조가 필요 하였으며, 또한 소리가 발생한 경우에도, 신축부의 수축에 의한 배기력에 대응한 소리 이상의 높은 음이 발생할 여유는 없고, 그리고 그의 발생하는 소리는 거의 일정하여 변화성이 없으며, 또한, 단조롭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제1의 발명은, 음을 확실하게 발생할수 있도록함과 동시에, 이 발생한 음을 크게하고 또한 변화 시킬수 있도록한 활동완구의 소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 것이다.
또한 제2의 발명은, 상기 제1의 발명이 소리장치를 사용하여 이 소리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소리에 대응하여 완구체가 소정의 활동동작을 행하도록한 활동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 것이다. 제1의 발명의 활동완구의 소리장치는, 기기틀과, 이 기기틀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된 소리기어와, 상기 기기틀에 형성된 진동부를 상기 소리기어에 대향하게 형성한 공진 리이드를 갖는 공명복스와, 상기 기기틀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앞끝단부에 상기 공진 리이드를 눌러 움직에게 하는 지지편 및 요동핀을 갖는 요동아암과, 상기 기기틀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상기 요동아암의 요동핀을 요동하여 상기 지지편에 의하여 상기 공진 리이드의 진동부를 상기 소리기어의 이빨에 걸리고 벗겨지게하는 캠과를 마련한 것에 있다.
제2의 발명의 활동완구는, 몸체틀내에 기기틀을 형성함과 동시에 좌, 우의 앞다리틀 및 뒤다리틀을 앞, 뒤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하며, 또한 코틀을 앞, 뒤로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꼬리틀을 수평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한 완구체와, 이 완구체의 상기 기기틀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상기 좌, 우의 앞다리틀 및 뒤다리틀을 크랭크 축을 개재하여 앞, 뒤로 회전운동 시키는 제 1의 구동기어와, 상기 기기틀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상기 코틀 및 상기 꼬리틀을 크랭크 축을 개재하여 작동시키는 제 2의 구동기어와, 상기 꼬리틀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2의 구동기어로부터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운동되는 소리기어와, 상기 기기틀에 형성된 진동부를 상기 소리기어에 대응하게 형성한 공진 리이드를 가지는 공명복스와, 상기 기기틀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앞끝단부에 상기 공진 리이드를 눌러 움직이는 지지편 및 요동핀을 가지는 요동아암과, 상기 기기틀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2 의 구동기어로부터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운동되어 상기 요동아암의 요동핀을 요동하여 상기 지지편에 의하여 상기 공진 리이드의 진동부를 상기 소리기어의 이빨에 걸리고 벗겨지게 하는 캠과, 상기 기기틀에 회전운동 또한 전진과 후퇴가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전동기로부터의 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1의 구동기어와 상기 제2의 구동기어에 대하여 교호로 이 맞물림 연결 구동하는 변환기어와를 마련한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제 1의 발명의 활동완구의 소리장치는, 소리기어가 예를들면 제 1 도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캠을 갖는 캠원반이 예를들면 제 1 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먼저 캠원반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이 캠에 걸어맞춤한 요동핀이 캠의 형상에 따라서 위, 아래의 방향으로 요동됨과 동시에, 이 요동핀을 갖는 요동아암이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위, 아래의 방향으로 요동된다.
또한, 이 요동아암의 요동 동작에 의하여, 지지편이 위, 아래 방향으로 요동됨과 동시에, 이 지지편의 아래끝단부에 걸어맞춤한 공진 리이드가 위, 아래로 움직여, 이 공진 리이드의 진동부가, 회전운동되고 있는 소리기어의 각 이빨에 대하여 소정의 진폭으로서 순차 연속적으로 걸리고 벗겨지게 된다.
그리고, 이 위, 아래로 움직이는 진동부의 하강 동작과 소리기어의 각 이빨과의 미끄럼 접촉 회전운동에 의하여, 소정의 진폭의 미끄럼 접촉으로 회전음이 발생함과 동시에, 이 미끄럼 접촉의 회전음은, 공진 리이드를 개재하여 공명 복스내에 있어서 증폭되어 크게 공명되어, 예를들면, 돼지가 꿀꿀하고 울부짖음을 발생하는 것과같이 소리를 낸다.
또한, 제2의 발명의 활동완구는, 전동기가 동작함과 동시에, 변환기어의 회전운동으로 제1의 구동기어가 회전운동됨과 동시에 크랭크 축이 회전운동되어 이 크랭크 축의 양쪽 끝단부의 크랭크 아암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좌, 우의 앞다리틀이 앞,뒤로 회전운동된다. 또한, 이 좌,우의 앞다리틀의 앞, 뒤 회전운동으로서 좌, 우의 연결 구동편을 개재하여 좌,우의 뒤다리틀이 각각 앞, 뒤로 회전운동된다.
따라서, 완구체는 좌, 우의 앞다리틀 및 좌,우의 뒤다리틀의 앞, 뒤로의 회전운동 동작에 의하여 전진 보행 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소정의 시간동안 되풀이하여 행하는 것이다.
또한, 변환기어가 변환동작되어, 제1의 구동기어로부터 떨어져 이 제1의 구동기어에 대신하여 제2의 구동기어에 이맞물림되어서, 이 제2의 구동기어가 회전운동하면, 완구체는 전진 보행하는 동작을 정지하는 한편, 제2의 구동기어의 회전운동으로, 크랭크 축이 회전운동됨과 동시에, 그의 크랭크 아암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코틀이 앞, 뒤로 움직여 완구체는 코를 실룩실룩 움직이는 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냄과 동시에, 꼬리틀이 수평방향으로 전진, 후퇴 회전운동되어, 완구체는 꼬리를 좌, 우로 흔들어, 예를들면 등에 파리등의 해충을 쫓는 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2의 구동기어가 회전운동되면, 소리기어가 예를들면, 제 1 도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됨과 동시에, 캠을 갖는 캠원반이 예를들면, 제 1 도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된다.
그리고 캠원반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이 캠에 걸어맞춤한 요동핀이 캠형상에 따라서 위, 아래의 방향으로 요동됨과 동시에, 이 요동핀을 갖는 요동아암이 위, 아래 방향으로 요동되어, 이 요동아암의 요동동작에 의하여, 지지편이 위, 아래의 방향으로 요동됨과 동시에, 이 지지편의 아래 끝단부에 걸어맞춤한 공진 리이드가 위, 아래로 움직여, 이 공진 리이드의 진동부가 회전운동되고 있는 소리기어의 각 이빨에 대하여 소정의 진폭으로 순차 연속적으로 걸리고 벗겨지게 된다.
그리고, 이 위, 아래로 움직이게 되는 진동부의 하강 동작과 소리기어의 각 이빨과의 미끄럼 접촉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소정의 진폭의 미끄럼 접촉의 회동음이 발생함과 동시에, 이 미끄럼 접촉의 회동음은, 공진 리이드를 개재하여 공명 복스내에 있어서 증폭되어 크게 공명되어, 따라서 완구체는 예를들면 돼지가 울부짖듯이 꿀꿀하는 것과같은 의음(擬音)의 소리를 발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완구체는 전진 보행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정지하여 멈추어서서, 고리를 좌, 우로 흔들면서 코를 움직이면서 꿀꿀하는 소리를 내는것과 같은 동작을 소정의 시간동안 반복하여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완구체로서, 이 완구체(1)는, 몸체틀(2)과 좌, 우의 앞다리틀(3), (3)과, 좌, 우의 뒤다리틀(4), (4)과 꼬리틀(5) 및 이들을 피복한 기모 피복체(6)로써 돼지의 형상을 모방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틀(2)은, 머리체틀부(7)의 앞부분에 앞, 뒤의 방향으로 개구한 단면이 직사각형상인 안내구멍(8)이 형성되어, 이 안내구멍(8)내에 코틀(9)의 받침끝단부에 형성된 각기둥 형상의 안내체(10)가 전진과 후퇴가 자유롭도록 끼워넣어져 있다.
또한, 이 몸체틀(2)의 복부의 앞부분 좌, 우에 상기 좌, 우의 앞다리틀(3), (3)을 앞, 뒤로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끼워넣어 통하게한 끼워져 통하는 구멍(11), (11)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복부의 뒤부분 좌, 우에 상기 좌, 우의 뒤다리틀(4), (4)을 앞, 뒤로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끼워 넣어져 통하게한 끼워져 통하는 구멍(12), (12)이 형성되고, 또한, 이 몸체틀(2)의 엉덩이 틀부(13)의 뒤부분에 상기 꼬리틀(5)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운동 자유롭도록 끼워 통하게한 안내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몸체틀(2)내에 기기틀(15) 및 건전지 케이스(16)가, 앞, 뒤로 배설 고정되고, 기기틀(15)의 앞쪽 아래부분에 옆걸기되어 앞쪽 지지막대(17)의 양쪽 끝단부가, 상기 좌, 우의 끼워져 통하는 구멍(11), (11)내에 끼워 통하게한 상기 앞다리틀(3), (3)의 위부분에 튀어나오게 형성한 붙임고정편(18), (18)의 안내긴홈(19), (19)내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끼워져 통하여 있다.
또한, 상기 건전지 케이스(16)의 뒤끝단 아래부분에 옆걸기된 뒤쪽 지지막대(20)의 양쪽 끝단부가, 상기 좌, 우의 끼워져 통하는 구멍(12), (12)내에 끼워넣어 통하게한 상기 뒤다리틀(4), (4)의 위부분에 튀어나오게 형성한 붙임 고정편(21), (21)의 받침부분의 끼워져 통하는 구멍(22), (22)내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끼워져 통하여 있다.
또한, 상기 기기틀(15)의 앞쪽 아래끝단 근방 부분에 크랭크 축(23)이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옆걸기되고, 이 크랭크 축(23)의 좌, 우의 크랭크 아암(24), (24)이, 상기 좌, 우의 앞다리틀(3), (3)의 붙임고정편(18), (18)의 받침끝단부분에 있어서 끼워져 통하는 구멍(25), (25)내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끼워져 통하여 있고, 이 좌, 우의 크랭크 아암(24), (24)에 앞끝단부를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피버트 착설한 좌,우의 연결 구동편(26), (26)의 뒤끝단 부분이 상기 좌, 우의 뒤다리틀(4), (4)의 붙임 고정편(21), (21)의 위끝단부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피버트 착설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기기틀(15)에 소리장치(2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소리장치(27)는, 상기 기기틀(15)의 앞쪽 상부에 회동축(28)이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옆걸기 되고, 이 회전축(28)의 한쪽 끝단부에는 캠원반(29)이 고정붙임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회전축(28)의 다른쪽 끝단부에는 입력기어(30)가 고정붙임되어 있다.
상기 캠원반(29)은, 상기 회전축(28)에 고정붙임한 중심부의 축받침(31)을 중심으로하여 바깥둘레부(32)의 안쪽둘레벽에는 음을 변화시키는 캠(33)에 형성되고, 이 캠(33)은 불규칙 형상의 안내 요입부(34)와 안내 돌기부(35)와를 반달형상의 안내면부(36)를 개재하여 교호로 반복된 연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기틀(15)의 앞끝단 위부분에 지지축(37)이 옆걸기되어, 이 지지축(37)에 요동아암(38)의 받침끝단부가 위, 아래 방향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축받침되고, 이 요동아암(38)의 앞끝단부의 바깥쪽 부분에는 상기 아암원반(29)의 캠(33)에 걸어맞춤하여 캠(33)의 회전운동에 따라 요동하는 요동핀(39)이 수평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앞끝단부의 안쪽부분에는 지지편(4)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기틀(15)에 상기 회전축(28)의 아랫방향 부분에 위치하여 회동축(41)이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옆걸기되고, 이 회동축(41)의 한쪽부분에, 즉 상기 요동아암(38)의 지지편(40)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둥근 톱형상의 소리기어(42)가 고정붙임되어 있다. 이 소리 기어(42)의 테두리 둘레부에 형성된 각 이빨(43)은, 소리에 높고 낮음의 차이가 생기도록 이빨(43)과 이빨(43)의 사이의 피치를 소정의 범위마다 다르게 형성하여, 즉 고음을 발생시키는 피치의 간격은 좁은 피치의 부분(44)으로, 저음을 발생시키는 피치의 간격은 넓은 피치의 부분(45)으로, 이 간격이 좁은 피치의 부분(44)의 피치와 간격이 넓은 피치의 부분(45)의 피치와의 사이에는 이들의 중간의 피치의 부분(46)을 각각 소정의 범위로 순차 배설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축(41)의 다른쪽 부분에는 상기 입력기어(30)에 이맞물림한 출력기어(47)를 갖는 중계기어(48)가 고정붙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기틀(15)의 위부분에 아래면 부분을 개구한 공명복스(49)가 고정붙임되고, 이 공명복스(49)의 아래면 부분의 개구 둘레부에 있어서 걸림홈(50)내에 공명판(51)의 테두리둘레부(52)가 고정붙임되고, 이 공명판(51)의 중간부분에 판스프링으로 되는 공진 리이드(53)의 대략 중간부분이 리벳트(54)로서 멈춰져있다. 이 공진 리이드(53)의 앞끝단부분에 상기 지지편(40)의 아래끝단부분을 위쪽으로 힘이 가하여져 걸어 맞춤한 걸어맞춤부(55)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걸어맞춤부(55)의 아래끝단부분에는 상기 소리기어(42)의 각 이빨(43)에 걸리고 벗겨지는 진동부(56)가 형성되고, 이 공진 리이드(53)의 뒤끝단부의 걸림부(57)가 상기 공명복스(49)의 개구 둘레부에 형성된 걸림구멍(58)내에 끼워넣어져 통하여 걸려져 있다.
그리고 이 공진 리이드(53)에 의하여 상기 요동아암(38)의 요동핀(39)이 항상 상기 캠(33)에 걸어맞춤 하도록 힘이 가하여져 있다.
다음에, 상기 기기틀(15)의 뒤쪽부분에 전동기(59)가 고정붙임되고, 이 전동기(59)는 상기 건전지 케이스(16)내의 건전지에 스위치(60)를 개재하여 접속되고, 이 스위치(60)는 상기 건전지 케이스(16)에 개폐가 자유로운 덮개판(61)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동기(59)의 피니언(62)에 기어 연결 구동기구(63)를 개재하여 동력변환기구(64)가 연결 구동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동력변환기구(64)는, 상기 기기틀(15)에 상기 기어 연결 구동기구(63)에 의하여 회전운동되는 회전축(65)을 개재하여 가로방향으로 긴 구동기어(66)가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축걸침되고, 상기 기기틀(15)에 상기 구동기어(66)를 공통의 구동원으로서 이 구동기어(66)에 이맞물림된 제1의 연결 구동기어(67) 및 제2의 연결 구동기어(68)가 미끄럼 동작축(69)을 개재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축걸침되어 있다.
상기 제1의 연결 구동기어(67)는, 상기 미끄럼 동작축(69)에 고정붙임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2의 연결 구동기어(68)는, 상기 미끄럼 동작축(69)에 회전운동 또한 축방향으로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도록 축걸침되고, 이 제2의 연결 구동기어(68)의 중심부보다 바깥쪽 부분에는, 상기 제1의 연결 구동기어(67)의 변환돌기(70)가 회전운동에 의하여 걸리고 벗겨지는 변환긴홈(71)이 반달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제1의 연결 구동기어(67) 및 제2의 연결 구동기어(68)는 상호 이빨수의 개수를 다소 다르게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의 연결이 구동기어(68)의 바깥쪽 부분에 있어서 미끄럼 동작축(69)에는 변환기어(72)가 회전운동 또한 축방향으로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도록 축걸침되고, 이 변환기어(72)와 상기 제2의 연결 구동기어(63)와는 각각의 축받침 보스(73)를 개재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걸려있고, 이 변환기어(72)와 상기 기기틀(15)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동작축(69)에는 코일 스프링(74)이 감겨져, 이 코일 스프링(74)에 의하여 변환기어(72) 및 제2의 연결 구동기어(68)는 항상 제1의 연결 구동기어(67)쪽으로 향하여 힘이 가하여져 있다.
다음에, 상기 기기틀(15)의 대략 중간 아래부분에 중계기어(75)를 마련하고, 또한, 상기 변환기어(72)가 걸리고 벗겨짐이 자유롭도록 이맞물림하는 제1의 구동기어(76)가 회전축(77)을 개재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축걸침되고, 이 제1의 구동기어(76)의 중계기어(75)는 상기 크랭크 축(23)에 고정붙임된 다리 작동기어(78)에 이맞물림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기틀(15)의 대략 중간위부분에 크랭크 축(79)이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축걸침되고, 이 크랭크 축(79)의 한쪽끝단부에는 상기 소리장치(27)의 중계기어(48)에 이맞물림한 연결 구동기어(80) 및 상기 변환기어(72)가 걸리고 벗겨짐이 자유롭도록 이맞물림하는 제2의 구동기어(81)가 고정붙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크랭크 축(79)의 한쪽끝단부 크랭크 아암(82)에는 전방 작동편(83) 및 후방 작동편(84)의 받침끝단부가 각각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피버트 착설되고, 이 전방 작동편(83)의 앞끝단부에 상기 코틀(9)의 안내체(10)의 돌출편(85)이 축(86)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작동편(84)의 앞끝단부에 벨크랭크(Bell crank)(87)의 한쪽끝단부가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축받침되고,이 벨크랭크(87)는 상기 건전지 케이스(16)의 뒤끝단 위부분의 붙임 고정틀(88)을 개재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붙임고정되고, 이 벨크랭크(87)의 다른쪽 끝단부의 긴홈(90)내에 상기 꼬리틀(5)의 받침끝단부의 회동체(91)에 돌출된 돌출편(92)의 핀(93)이 삽입되고, 이 회동체(91)는 상기 붙임고정트(88)에 지지축 (94)을 개재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붙임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한다. 스위치(60)를 "온"시키면, 전동기(59)가 작동됨과 동시에, 피니언(62) 및 기어 연결 구동기구(63)를 개재하여 동력변환기구(64)의 구동기어(66)가 회전운동된다.
또한 이 구동기어(66)의 회전운동으로, 제1의 연결 구동기어(67) 및 제2의 연결 구동기어(68)가 회전운동되는데, 이 경우에 제1의 연결 구동기어(67)의 변환돌기(70)가 제2의 연결 구동기어(68)의 변환긴홈(71)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즉 제1의 연결 구동기어(67)에 대하여 제2의 연결 구동기어(68)가 근접한 상태로 회전운동하는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74)에 힘이 가하여져 있는 변환기어(72)가 제1의 구동기어(76)에 이맞물림하여 이 제1의 구동기어(76)가 회전운동되는 것이어서, 이 제1의 구동기어(76)와 일체의 중계기어(75)에 의하여 다리 작동기어(78)가 회전운동되고, 크랭크 축(23)이 회전운동됨과 동시에 이 크랭크 축(23)의 양끝단부의 크랭크 아암(24), (24)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좌, 우의 앞다리틀(3), (3)이 각각 앞다리 지지막대(17)의 양끝단부를 중심으로하여 앞, 뒤로 회전운동된다.
또한, 이 좌, 우의 앞다리틀(3), (3)의 앞, 뒤 회전운동으로 좌, 우의 연결 구동편(26), (26)이 앞, 뒤로 움직임과 동시에, 이 좌, 우의 연결 구동편(26), (26)에 의하여 좌, 우의 뒤다리틀(4), (4)이 각각 뒤쪽 지지막대(20)의 앞끝단부를 중심으로하여 앞, 뒤로 회전운동된다. 따라서, 제1의 연결 구동기어(67)에 대하여 제2의 연결 구동기어(68)가 근접한 상태로 회동되는 경우에는 완구체(1)는 좌, 우의 앞다리틀(3), (3) 및 좌, 우의 뒤다리틀(4), (4)의 앞, 뒤의 회전운동 동작에 의하여 전진 보행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소정의 시간동안 되풀이하여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구동기어(66)의 회전운동으로 제1의 연결 구동기어(67) 및 제2의 연결 구동기어(68)가 다시 회전운동되어, 이 상홍의 연결 구동기어(67), (68)의 이빨수가 서로 다르므로 제1의 연결 구동기어(67)의 변환돌기(70)가 제2의 연결 구동기어(68)의 변환긴홈(71)으로부터 점차 빠져나오는 한편, 이 변환돌기(70)에 의하여 제2의 연결 구동기어(68) 및 변환기어(72)가 코일 스프링(74)에 대향하여 점차 축방향으로 눌려져 움직이게되고, 이 변환돌기(70)의 앞끝단부가 변환긴홈(71)으로부터 빠져나와 제2의 연결 구동기어(68)의 측면에 걸어맞춤하여 이것에 미끄럼 접촉 이동하게 되면, 이 제2의 연결 구동기어(68)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74)에 대항아여 축방향으로 눌려져 움직이게 되는 변환기어(72)는, 제1의 구동기어(76)로부터 떨어져, 이 제1의 구동기어(76)에 대신하여 제2의 구동기어(81)에 이맞물림되어, 이 제2의 구동기어(81)를 회전운동 시킨다. 따라서, 다리 작동기어(78)가 회전운동되지 않게 되므로, 완구체(1)는 전진 보행하는 동작을 정지한다.
또한, 제2의 구동기어(81)가 변환기어(72)에 의하여 회전운동되면, 크랭크 축(79)이 회전운동됨과 동시에, 그의 크랭크 아암(82)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전방 작동편(83) 및 후방 작동편(84)이 앞, 뒤 방향으로 전진, 후퇴되어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전방 작동편(83)의 전진, 후퇴의 움직임에 의하여 돌출편(85) 및 축(86)을 개재하여 안내체(10)가 안내구멍(8)내를 앞, 뒤 방향으로 전진, 후퇴되어 움직여서, 따라서 코틀(9)이 앞, 뒤로 움직여 완구체(1)는 코를 실룩실룩 움직이는 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낸다.
또는 후방 작동편(84)의 전진, 후퇴의 움직임에 의하여 벨크랭크(87)와, 돌출편(92) 및 핀(93)을 개재하여 회동체(91)가 지지축(94)을 중심으로하여 수평방향으로 전진, 후퇴되어 회전운동되어서, 따라서 꼬리틀(5)이 수평방향으로 전진, 후퇴되어, 완구체(1)는 꼬리를 좌, 우로 흔들어 예를들면 등에 파리 등의 해충을 쫓는 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2의 구동기어(81)가 회전운동되면, 연결 구동기어(80) 및 중계기어(48)의 회전운동으로 출력기어(47) 및 입력기어(30)를 개재하여 캠원반(29)이 제 1 도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된다.
그리고, 캠원반(29)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이 캠(33)에 걸어맞춤한 요동핀(39)이 캠(33)의 형상을 따라서 위, 아래 방향으로 요동됨과 동시에, 이 요동핀(39)를 갖는 요동아암(38)이 지지축(37)을 중심으로하여 위, 아래 방향으로 요동된다. 또한, 이 요동아암(38)의 요동 동작에 의하여, 지지편(40)이 위, 아래 방향으로 요동됨과 동시에, 이 지지편(40)의 아래끝단부에 걸어맞춤부(55)를 걸어맞춤한 공진 리이드(53)가 위, 아래로 움직여, 이 공진 리이드(53)의 진동부(56)가, 회전운동되고 있는 소리기어(42)의 각 이빨(43)에 대하여 소정의 진폭으로 순차 연속적으로 걸리고 벗겨진다.
이 위, 아래로 움직이는 진동부(56)의 하강 동작과 소리기어(42)의 각 이빨(43)의 미끄럼 접촉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소정의 진폭의 미끄럼 접촉 회동음이 발생함과 동시에, 이 미끄럼 접촉 회동음은, 공진 리이드(53) 및 공명판(51)을 개재하여 공명복스(49)내에 있어서 증폭되어 크게 공명된다.
즉, 캠원반(29)의 캠(33)에 있어서, 이 캠원반(29)의 회전운동에 동반하여 그의 안내 요입부(34)에 요동아암(38)의 요동핀(39)이 걸어맞춤하고 있는 경우에는, 지지편(40)에 의하여 공진 리이드(53)의 진동부(56)가 누르지 않기 때문에 이 진동부(56)는, 회전운동하는 소리기어(42)의 각 이빨(43)에 걸어맞춤하지 않으며, 또한 요동핀(39)이 안내면부(36)로부터 안내 돌기부(35)로 향하여 걸어맞춤한 경우에는, 지지편(40)에 의하여 공진 리이드(53)의 걸어맞춤부(55)가 점차 아래 방향으로 눌려져, 진동부(56)는, 회전운동하는 소리기어(43)의 소정의 위치에서 각 이빨(43)에 단속적으로 걸어맞추하며, 또한 캠원반(29)이 회전운동되어 이 요동핀(39)이 그의 안내 돌기부(35)의 가장높은 위치에 걸어맞춤한 경우에는, 지지편(40)에 의하여 공진 리이드(53)의 걸어맞춤부(55)가 다시 아래 방향으로 눌려져, 진동부(56)는 회전운동하는 소리기어(42)의 소정의 위치에서 각 이빨(43)의 골부분에 단속적으로 걸어맞춤된다.
이와 같이하여 요동핀(39)이 캠(33)의 각부의 위치에 있어서, 안내 요입부(34)로부터 안내면부(36)를 지나서 안내돌기부(35)로 순차 걸어맞춤함으로써, 지지편(40)에 걸어맞춤부(55)가 걸어맞춤되어 지지된 공진 리이드(53)의 진동부(56)가 소리기어(42)의 각 이빨(43)에 순차 소정의 진폭으로 걸리고 벗겨지고 하는 것인데, 이때에, 공진 리이드(53)의 진동부(56)가 각 이빨(43)에 있어서, 피치가 간격이 좁은 피치의 부분(44)에서 걸리고 벗겨지는 경우에는, 이 진동부(56)와 피치의 간격이 좁은 피치의 부분(44)과의 미끄럼 접촉 회동음은 비교적 높은 음색이 발생하여, 이 높은 음색이 공명복스(49)에서 증폭되어 공명되며, 또한, 공진 리이드(53)의 진동부(56)가 각 이빨(43)에 있어서 피치가 간격이 넓은 피치의 부분(45)에서 걸리고 벗겨지는 경우에는, 이 진동부(56)와 피치의 간격이 넓은 피치의 부분(45)과의 미끄럼 접촉 회동음은 비교적 낮은음이 발생하여, 이 낮은 음색이 공명복스(49)에서 증폭되어 공명된다. 이로써, 완구체(1)는 동물의 돼지가 울부짖듯이 꿀꿀하는 거와같은 의음의 소리를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완구체(1)는 전진보행하는 동작을 정지하여 멈추어서서, 꼬리를 좌, 우로 흔들면서 코를 움직이며 꿀꿀하는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동작을 소정의 시간동안 되풀이하여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에, 구동기어(66)에 의하여 제1의 연결 구동기어(67) 및 제2의 연결 구동기어(68)가 다시 회전운동되어, 제1의 연결 구동기어(67)의 변환돌기(70)와 제2의 연결 구동기어(68)의 변환긴홈(71)이 일치하면, 코일 스프링(74)의 복귀력에 의하여 변환기어(72) 및 제2의 연결 구동기어(68)가 제1의 연결 구동기어(67)에 향하여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제2의 연결 구동기어(68)의 변환긴홈(71)내에 제1의 연결 구동기어(67)의 변환돌기(70)가 삽입되어, 제1의 연결 구동기어(67)와 제2의 연결 구동기어(68)와는 다시 근접되어 회전운동된다.
또한, 이 제1 및 제2의 연결 구동기어(67), (68)의 근접회전운동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74)에 의해 눌려진 변환기어(72)는, 제2의 구동기어(81)와의 이맞물림으로부터 떨어져, 다시 제1의 구동기어(76)에 이맞물림된다.
그리고, 이 변환기어(72)가 제2의 구동기어 (81)로부터 떨어짐으로 인하여, 완구체(1)의 상기 꼬리를 좌, 우로 움직이면서 코를 움직여 꿀꿀 울부짖는 소리의 동작이 정지되고, 또한 이 변화기어(72)가 제1의 구동기어(76)에 이맞물림됨으로써, 완구체(1)는 다시 상기와 같이 전진 보행하는 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의 발명에 의하면, 소리기어의 각 이빨에 대하여 공명복스의 공진 리이드의 진도부를 걸어 맞춤함으로써 활동완구의 소리음을 간단 또한 확실하게 발생 시킬수가 있고, 또한 이 발생한 소리음과 공진 리이드를 개재하여 공명복스에서 크게 공명 시킬수가 있고, 또한 소리기어의 각 이빨에 대향하는 공명복스의 공진 리이드에서 진동부의 작동을 캠에 의하여 콘트롤 함으로써, 소리음을 확실하게 변화 시킬수가 있어, 따라서, 소리음을 발생하는 활동완구의 소리장치로서 가장 적합한 것이다.
또한, 제2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진 보행하는 동작과, 코틀의 앞, 뒤 움직임 동작 및 꼬리틀의 수평 회전운동 동작과를 변환동작하는 완구체에 상기 제1의 발명의 소리장치를 사용한 것이어서, 완구체는 전진 보행 동작의 정지시에 있어서 이 소리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소리음에 대응하여 코틀을 앞, 뒤로 움직임으로써, 돼지가 흡사 코를 움직이면서 소리를 지르는 것과 같은 동작 상태를 나타내며, 또한, 이 동작시에 있어서 꼬리틀을 수평으로 회전운동 시킴으로서, 돼지가 흡사 꼬리를 흔들어 해충을 쫓는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내며 코를 움직이면서 소리를 지르는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내어, 따라서 전체적으로 극히 흥취심이 있고 또한 오락성이 높은 활동완구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2)

  1. 기기틀(15)과, 이 기기틀(15)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된 소리기어(42)와, 상기 기기틀(15)에 형성된 진동부(56)를 상기 소리기어(42)에 대향하게 형성한 공진 리이드(53)를 갖는 공명복스(49)와, 상기 기기틀(15)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앞끝단부에 상기 공진 리이드(53)를 누르는 지지편(40) 및 요동핀(39)을 갖는 요동아암(38)과, 상기 기기틀(15)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상기 요동아암(38)의 요동핀(39)을 요동하여 상기 지지편(40)에 의하여 상기 공진 리이드(53)의 진동부(56)를 상기 소리기어(42)의 이빨(43)에 걸리고 벗겨지게 하는 캠(33)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완구의 소리장치.
  2. 몸체틀(2)내에 기기틀(15)을 형성함과 동시에, 좌, 우의 앞다리틀(3), (3) 및 뒤다리틀(4), (4)을 앞, 뒤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하며, 또한 코틀(9)을 앞, 뒤로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꼬리틀(5)을 수평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한 완구체(1)와, 이 완구체(1)의 상기 기기틀(15)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상기 좌, 우의 앞다리틀(3), (3) 및 뒤다리틀(4), (4)을 크랭크 축(23)을 개재하여 앞, 뒤로 회전운동 시키는 제1의 구동기어(76)와, 상기 기기틀(15)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상기 코틀(9) 및 상기 꼬리틀(5)을 크랭크 축(79)을 개재하여 작동 시키는 제2의 구동기어(81)와, 상기 기기틀(15)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의 구동기어(81)로부터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운동되는 소리기어(42)와, 상기 기기틀(15)에 형성된 진동부(56)를 상기 소리기어(42)에 대향하게 형성한 공진 리이드(53)를 갖는 공명복스(49)와, 상기 기기틀(15)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앞끝단부에 상기 공진 리이드(53)를 누르는 지지편(40) 및 요동핀(39)를 갖는 요동아암(38)과, 상기 기기틀(15)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2의 구동기어(81)로부터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운동되어 상기 요동아암(38)의 요동핀(39)을 요동하여 상기 지지편(40)에 의하여 상기 공진 리이드(53)의 진동부(56)를 상기 소리기어(42)의 이빨(43)에 걸리고 벗겨지게한 캠(33)과, 상기 기기틀915)에 회전운동 또는 전진, 후퇴가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전동기(59)로부터의 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1의 구동기어(76)와 상기 제2의 구동기어(81)에 대하여 교호로 이맞물림 연결 구동하는 변환기어(72)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완구.
KR1019870010587A 1987-06-09 1987-09-24 활동완구의 소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동완구 KR910003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143822 1987-06-09
JP62143822A JPS63309291A (ja) 1987-06-09 1987-06-09 活動玩具の鳴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活動玩具
JP?62-143822 1987-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134A KR890000134A (ko) 1989-03-11
KR910003625B1 true KR910003625B1 (ko) 1991-06-07

Family

ID=1534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0587A KR910003625B1 (ko) 1987-06-09 1987-09-24 활동완구의 소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동완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10226A (ko)
JP (1) JPS63309291A (ko)
KR (1) KR9100036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0161A (en) * 1988-02-19 1991-07-09 Irwin Toy Limited All-fours walking doll
US5884427A (en) * 1996-07-30 1999-03-23 Lenz; Eric D. Movement assembly for use with animal decoy
JP4332276B2 (ja) 2000-02-28 2009-09-16 株式会社センテクリエイションズ 表情変化装置
US6439949B1 (en) * 2001-05-04 2002-08-27 Mattel, Inc. Moving toy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US7695341B1 (en) 2002-11-27 2010-04-13 Hasbro, Inc. Electromechanical toy
US6773327B1 (en) * 2002-02-12 2004-08-10 Hasbro, Inc. Apparatus for actuating a toy
US6843703B1 (en) * 2003-04-30 2005-01-18 Hasbro, Inc. Electromechanical toy
US7785166B1 (en) 2006-08-24 2010-08-31 Kirby Richard C Sound-controllable game call
CN102068820B (zh) * 2010-12-28 2013-06-12 高圣荣 爬行玩具
US11957991B2 (en) * 2020-03-06 2024-04-16 Moose Creative Management Pty Limited Balloon to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82841B (de) * 1955-02-28 1960-06-02 Georg Koehler Spielzeugvogel mit Federwerkantrieb
US2940755A (en) * 1957-10-09 1960-06-14 A E Warnberg Toy horse
GB879993A (en) * 1959-02-18 1961-10-11 Fritz Collishan Toy figure in particular a toy bird
JPS5729828U (ko) * 1980-07-25 1982-02-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134A (ko) 1989-03-11
US4810226A (en) 1989-03-07
JPS63309291A (ja) 1988-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3625B1 (ko) 활동완구의 소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동완구
US4913676A (en) Moving animal toy
KR900007158Y1 (ko) 동물 활동 완구
US2715296A (en) Toy stethoscope
JP3549546B2 (ja) 飛上り動作をする玩具
KR910003624B1 (ko) 활동완구의 동작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동완구
CN110193207A (zh) 口部开合与发声同步的动物玩具
KR900001969Y1 (ko) 동물활동 완구
JPS6341039Y2 (ko)
JPH087917Y2 (ja) 遠隔操縦動物玩具
GB2119264A (en) Animated doll, with rocking support
JP3006590U (ja) 上下動玩具
KR860002587Y1 (ko) 동물 활동 완구
US6537127B1 (en) Kissing doll
JPH0741517Y2 (ja) 音声発生玩具
KR900004769Y1 (ko) 고양이 완구
KR860001667Y1 (ko) 동물 활동 완구
JP2580441Y2 (ja) 音声発生玩具
KR870000304Y1 (ko) 활동 동물 완구
JPH0539593U (ja) 縫いぐるみ玩具
KR880003687Y1 (ko) 토끼 동작 완구
JPH0421594Y2 (ko)
JPS6317515Y2 (ko)
KR860001666Y1 (ko) 동물 활동 완구
JPH04215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