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687Y1 - 토끼 동작 완구 - Google Patents

토끼 동작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687Y1
KR880003687Y1 KR2019850011456U KR850011456U KR880003687Y1 KR 880003687 Y1 KR880003687 Y1 KR 880003687Y1 KR 2019850011456 U KR2019850011456 U KR 2019850011456U KR 850011456 U KR850011456 U KR 850011456U KR 880003687 Y1 KR880003687 Y1 KR 8800036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am
rabbit
crank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1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918U (ko
Inventor
안경철
Original Assignee
대진상역 주식회사
안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상역 주식회사, 안경철 filed Critical 대진상역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1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3687Y1/ko
Publication of KR8700049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9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6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6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63H13/02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imitating natural actions, e.g. catching a mouse by a cat, the kicking of an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토끼 동작 완구
제1(a)도, 제1(b)도, 제1(c)도, 제1(d)도는 자세 지시 캠부와 뒷다리의 동작 상태도이다.
제2도는 주캠의 사시도로서 내측 클러치 캠부가 보인다.
제3도는 주캠의 자세 지시 캠부와 세로축 종절 판의 내측면의 사시도이다.
제4(a)도, 제4(b)도, 제4(c)도는 상자내에 동력 전달 기구들이 설치 평면도이다.
제5도는 진동 종절의 장착 사시도이다.
제6도는 진동 크랭크와 진동 아암의 사시도이다.
제7도는 머리통과 몸통의 조립 종단면 구성도이다.
제8도는 머리통의 조립 횡단면도이다.
제9도는 완성된 완구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타 11 : 감속기어 블럭
12 : 캠기어 13 : 클러치기어
14 : 상자 15 : 클러치 축
16 : 주캠축 17 : 주캠
18 : 가로축 종절봉 19 : 스프링
20 : 진동캠 21 : 진동축
22 : 진동기어 23 : 보행 크랭크
24 : 보행축 25 : 보행기어
26 : 클러치 캠부 27 : 세로축 종절판
27' : 지지판 28 : 장공
29 : 스프링 30 : 횡축
31 : 자세 조절레바 31' : 절개부
32 : 자세 지시캠부 33 : 앞다리
34 : 장공 35 : 돌편
36 : 뒷다리 37 : 피동 크랭크
38 : 링크 39 : 몸통
39' : 목부 40 : 발성기구
41 : 머리통 42 : 횡축
43 : 주둥이편 44 : 귀 스프링
45 : 귀받이 횡관 46 : 인장 스프링
46 : 아암 47' : 장공
48 : 연동레바 48' : 축
49 : 돌핀 49' : 장공
50 : 돌축 51 : 수동 경사원판
52 : 홈(목부) 53 : 진동 크랭크
54 : 2차 진동기어 56 : 진동 아암
55 : 횡축 57 : 링크 스프링
58 : 종절 횡축 59 : 진동 종절
60 : 상부 진동 아암 61 : 하부 진동 아암
62 : 직선면 63 : 포제 외피
171 : 제1층 보행부 172 : 제2층 정지부
173 : 제3층 진동부 174 : 제2층 2차 정지부
175 : 보행 바닥부 176 : 다리를 접는 정점부
177 : 수직 낙하부 178 : 머리 움직임 2차 바닥부
179 : 다리를 오므리는 완곡 정점부
180 : 다리를 펴면서 서는 경상 낙하부
본 고안은 토끼 동작 완구가 뛰다가 천천히 주저 앉으며 튀듯이 앞발을 들고 서서 몸을 뒤로 젖히고 머리를 좌우로 흔들며 귀와 입을 쫑긋거린 후 다시 주저 앉았다가 뛰어 가는 동작을 연속 반복적으로 행하게 한 토끼 동작 완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토끼 완구가 살아있는 토끼의 동작에 가까운 움직임을 보여 줌으로써 흥미를 자아내게 고안된 것이다.
이는 종래 작동 완구의 움직임이 사람동작을 연기하게 하는 것과 크게 다른 것이며 토끼의 동작을 재현시킴에 있어서도 네발로 뛰다가 천천히 주저 앉으며 앞발을 들고 일어서 몸을 뒤로 젖히며 이때에 머리를 좌우로 흔들고 독특한 소리를 내며 귀와 입을 쫑긋거린 후 다시 주저 앉았다가 뛰어가는 연속 동작을 연속 반복하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원은 소형 건전지 모타(1)이며, 회전력은 감속기어 블럭(11)을 거쳐 캠기어(12)와 클러치기어(13)를 계속적으로 회전시킨다.
이들, 동력 전달기구들은 금속제 상자(14)내에 장치되고 있고 클러치 축(15)과 주캠축(16)은 금속제 상자를 가로질러 있다.
또, 머리 진동 캠(20)이 장착된 진동축(21)상의 진동기어(22) 및 진동크랭크(53)축상의 2차 진동기어(54)와 상자 측벽으로 보행 크랭크(23)를 돌출시킨 보행축(24)상의 보행기어(25)는 클러치기어(13)와 교대로 맞물리고 또 클러치기어(13)가 이들 두 기어(22), (25)사이에 머물때에는 보행 크랭크(23)나 진동캠(20) 및 진동 크랭크(53)는 정지 상태에 있다.
가로축 종절봉(18)의 움직임을 자세히 설명하면 횡이송 가능한 클러치 축(15)에는 스프링(19)이 끼워져 있어서 스프링(19)이 클러치 축(15)을 주캠(17)쪽으로 밀어주고 클러치 축(15)단부의 종절봉(18)은 상기한 클러치 캠부(26)의 계단형에 따라서 스프링(19)을 가압하면서 클러치 축(15)을 밀어주게 되는데 가로축 종절봉(18)이 제1층 보행부(171)에 닿아 있을 때에는 클러치기어(13)는 보행기어(25)에 맞물려 보행 크랭크(23)만을 회전시키다가, 제2층 정지부(172)에 의해 밀리면서 클러치기어(13)는 보행기어(25)와 분리되어 공회전하므로 보행크랭크(23)의 회전이 정지되며, 다시, 제3층 진동부(173)에 밀리면 클러치기어(13)를 진동기어(22) 및 2차 진동기어(54)에 물려주어 진동캠(20) 및 진도 크랭크(53)를 회전시키다가 주캠(17)이 더 회전하여 가로축 종절봉(18)이 클러치 캠부(26)의 제2층 제2차 정지부(174)와 접촉되면 클러치 축(15)은 스프링(19)의 압축되었던 복귀탄성으로 진동기어(22)와 분리되어 다시 공회전 상태에 있고, 제1층 보행부(171)와 가로축 종절봉(18)이 접촉된 때에는 같은 스프링(19)의 미는 힘으로 클러치기어(13)는 보행기어(25)와 물리게 되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보행크랭크(23)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는 것이다.
또 하나의 종절은 주캠(17)의 외측면에 장치된 세로축 종절판(27)이며, 이 세로축 종절판(27)은 자세지시캠(32)의 보행 바닥부(175) 다리를 접는 정점부(176), 바닥을 차는 수직 낙하부(177), 머리 움직임 2차 바닥부(178), 다리를 오므리는 완곡 정점부(179) 및 다리를 펴면서 서는 경사 낙하부(180)에 순차로 접속되고, 세로축 종절판(27) 일단의 지지판(27')상에 뚫린 장공(28)이 주캠축(16) 돌출 단부에 끼워져 의지되며, 그 말단부가 스프링(29)으로 상부를 당겨매고 횡축(30)으로 상자 (14)에 유착된 자세 조절 레바(31)의 횡축(30)상부에 링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세로 종절판(27)과 자세 지시캠부(32)의 동작을 상기한 클러치 캠부(26)에 의한 보행 크랭크(23) 및 진동캠(20)의 동작과 그 동작이 목적하는 바를 관련지어 설명하면 토끼 완구가 뛰기 위하여 보행 크랭크(23)가 회전할때 세로축 종절판(27)은 보행 바닥부(175)를 진행하고, 토끼 완구가 뛰던 동작을 멈추고 주저앉는 동작을 위하여 보행 크랭크(23)가 정지되어 있을때 세로 종절판(27)은 다리를 접는 정점부(176)에 밀려 자세 조절레바(31)의 저단부가 급격히 그리고 크게 안으로 굽고, 이어서 토끼 완구가 튀어오르듯이 앞발을 들고 서기 위하여 세로 종절판(27)이 스프링(29)의 인장력으로 정점부(176)에서 수직 낙하부(177)를 낙하하여 일시에 2차 바닥부(178)로 떨어지므로 자세 조절레바(31)의저단부가 이때 일시에 밖으로 펴지고, 토끼 완구가 앞발을 들고 서있는 자세에서 머리를 흔들기 위하여 세로축 종절판(27)이 2차 바닥부(178)상을 진행할때 진동축(21)상의 진동캠(20)이 회전되며, 다시 , 토끼 완구가 튀는 자세를 취하기 위하여 진동캠(20)의 회전이 정지되었을때 세로축 종절판(27)은 완곡 정점부(179)에서 경사 낙하부(180)를 미끄러져 내려 자세 조절 레바(31)의 저단부가 밖으로 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클러치 캠부(26)와 자세 조절캠부(32)의 지시에 따르는 두개의 종절의 관련 동작의 주캠의 1회전에 따라 일행정이 완료되고, 이러한 동작은 주캠(17)의 지속적인 회전운동으로 연속된다.
앞뒤의 다리는 상기한 보행 크랭크와 자세 조절레바에 각각 장착되어 앞뒷다리에 각각 필요한 동작을 주게 된다.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앞다리(33)는 보행 크랭크(23)에 연동되며 그 상부의 장공(34)은 상자(14) 측벽의 고정돌펀(35)에 의지되어 있다.
앞다리(33)운동은 보행 크랭크가 회전하면 그 끝이 상하전후 운동을 함으로 뛰는 동작이 된다.
뒷다리(36)는 피동 크랭크(37)단부에 유착됨과 동시에 자세 조절 레바(31) 끝의 절개부(31')에 끼워지고 상단부는 앞다리 (33)와 링크(38)로서 연동된다.
뒷다리(36)끝의 운동은 앞다리(33)끝이 상하전후 운동을 하는데 반하여 수동 크랭크(37)끝에 의지되어 저부가 원호운동을 한다.
이러한 앞 뒷다리의 운동을 적당히 빠른 속도로 진행시키면 토끼 완구는 앞다리로 바닥에서 몸을 뛰우면서 뒷다리로 박차게 되어 토끼가 깡총깡총 뛰는 움직임 된다.
앞다리의 보행 운동이 다리를 빠르게 세운 상태로 정지되면 뒷다리로 다리를 바르게 세운 상태로 정지되어 토끼 완구는 서 있는 자세가 된다.
이때에 상기한 바와 같이 정점부(176)가 세로축 종절판(27)을 밀어내어 자세 조절레바(31)의 타단이 안으로 크게 굽으면 뒷다리(35)도 안으로 크게 굽혀져서 토끼 완구는 앞다리(33)를 세우고 궁둥이가 바닥에 닿게 주저 앉은 모양이 된다.
이와 같은 자세에서 다음 동작으로 세로축 종절판(27)이 수직 낙하부(177)에서 낙하하면 스프링(29)의 인장력으로 자세 조절 레바(31)는 뒷다리(36)를 일시에 뒤로 뻣치므로 토끼 완구는 그 탄성 반력으로 앞다리를 들고 몸을 뒤로 젖힌 자세가 된다.
이때에는 진동캠이 작동되어 머리를 진동시키며 이 진동이 진행되는 동안 세로축 종절판(27)이 자세 조절캠부(32)의 2차 바닥부(178)를 진행한다.
이 동작이 종료되면 진동캠의 동작은 멎고 세로축 종절판(27)이 완곡 정점부(179)에 천천히 오르면서 자세조절 레바(31) 및 뒷다리(36)가 안으로 굽어짐에 따라 토끼 완구의 앞다리는 천천히 내려와 앉은 모양이 되고, 다시 세로축 종절판이 경사 낙하부(180)를 타고 보행 바닥부(175)까지 서서히 내려옴에 따라 자세 조절레바(31) 및 뒷다리(36)가 바른 자세로 서게 되어 본래의 보행 자세가 되며, 이때에 상기한 바와 같이 보행 크랭크(23)가 동작되어 다시 뛰는 모습이 된다.
위와 같이 다리가 장착된 상자(14)는 내부가 중공부인 몸통(39)속에 내장되고 다리의 움직임이 방해를 받지 않게 된 구멍을 통하여 다리들은 몸통(39)밖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몸통(37)의 내측 앞가슴 부위에는 풍구식 발성기구(40)가 고정되어 있다.
머리통(41)은 몸통의 목부(39')에 회전 자재하게 유착되어 있다.
머리통(41)내에서 횡축(42)으로 머리통의 앞쪽 열린곳에 유착된 주둥이편(43)과 뒷통수 열린곳으로 귀스프링(44)을 돌출시킨 귀받이 횡관(45)이 장착되어 있다. 귀받이 횡관(45)에는 인장 스프링(46)을 잡아 매고, 주둥이편(43)의 저단부와 귀받이 횡관(45)의 아암(47)은 머리통(41)에 축(48')으로 유착된 연동레바(48)의 양단에 연동된다.
이들의 연동관계를 자세히 하면 주둥이편(43)끝의 돌핀(49)은 연동레바(48)끝의 장공(49')에 끼워지고, 연동레바(48)타단의 돌축(50)은 귀받이 횡관(45) 아암의 장공(47')에 끼워진다.
또 연동레바(48)의 저부에는 수동 경사 원판(51)이 머리통(41)의 목부 터진데를 바라보게 고정되어 있고 머리통(41)의 저부 한쪽은 갈라진 홈(5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머리통(41)은 몸(39)의 목부에 장착된 후 수동 원판(51)을 밀면 연동 레바(48)의 돌축(50)이 아암(47)을 위로 올려 귀받이 횡관(45)상의 귀 스프링(44)끝을 내리고, 동시에 횡축(42)으로 유착된 주둥이편(43)의 저부의 돌핀(49)을 연동 레바 장공(49')이 끌어당겨 주둥이편(43)을 머리통(41) 열린곳에서 머리통 내측으로 끌어들인다.
수동 경사 원판(51)을 밀던 상태에서 놓아두면 귀받이 횡관(45)에 잡아 매둔 스프링(46)의 당김으로 귀 스프링(44)의 끝은 위로 올라가고 주둥이편(43)을 밖으로 내민다.
이러한 진동의 반복을 적당한 속도로 진행하면 토끼 완구가 귀와 입을 쫑긋거리는 움직임을 보인다.
다시, 상자(14)에 유착된 진동 아암(56)은 링크 스프링(57)로써 2차 진동 크랭크(53)와 연동되며, 진동아암(56)의 상단부는 목부(39')의 열린곳을 통하여 머리통(41)의 홈(52)에 끼워진다.
그리하여 클러치 기어(13)와 2차 진동기어(54)가 맞물려 돌때에는 진동 크랭크(53)의 진동이 링크 스프링(57)을 통해 진동 아암(56)끝을 전후로 흔들어 주므로 머리통(41)은 좌우로 흔들리는 운동을 한다.
또 다른, 종절 횡축(58)이 상자(14)에 유착되고 진동 종절(59)이 진동캠(20)에 닿게 되며 종절상의 상부 진동아암(60)끝은 복부(39')의 터진데를 통하여 머리통(41)속의 수동 경사 원판(51)에 닿고, 하부 진동 아암(61)끝을 몸통(39)내측 앞가슴 부위의 발성기구(40)에 닿는다.
그리하여 진동기어(22)가 클러치 기어(13)와 맞물려 돌면 진동캠(20)이 회전하여 진동 종절(59)을 진동시키고 이 진동은 상부 진동아암(60)이 머리통(41)속의 수동원판(51)을 흔들어 주며 동시에 하부 진동 아암(61)이 발성기구(40)를 진동시키므로 "꽥" "꽥"거리는 토끼 고유의 발성을 발하게 된다.
위와 같은 귀 스프링(44), 주둥이편(43), 및 발성기루(40)는 토끼 완구가 앞발을 들고 몸을 세웠을 때에 클러치 기어(13)가 진동기어(22) 및 2차 진동기어(54)에 동시에 물림으로써 동작되므로 토끼가 뛰다가 뒷발로 서서 고개를 흔들고 귀와 입을 쫑긋그리는 동작을 하며 동시에 발성하게 되는 것이다.
뒷다리(36)의 뒷면은 직선면(62)으로 하여 토끼 완구가 앉았을 때에 자세의 안정을 유지할 수 있고 머리통 몸통, 다리 및 귀 스프링에 포제 외피(63)을 씌워 두며 눈을 머리에 붙여주고 주둥이와 수염을 달아 전체 외양이 살아있는 토끼 모양을 닮게 만든다.
또 상자(14)의 덮개를 토끼 완구의 배쪽에 구비하여 건전지를 갈아끼울 수 있게 하고 모타를 스위치를 달아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토끼 작동 완구는 상기한 여러 동작이 연속적으로 또는 주합적으로 반복됨으로써 토끼의 생태적 습관을 지극히 가깝게 표현하여 토끼 완구가 뛰다가 앞발을 들고 일어서 몸을 뒤로 젖히며 이때 머리를 흔들면서 귀와 입을 쫑긋거리고 동시에 발성하여 다시 주저앉다가 바르게 서서 뛰는 동작을 연속할 수 있게 된 토끼 동작 완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소형 건전지를 전원으로 하여 토끼 동작을 행함에 있어 네발로 뛰다가 멈추고 앉았다가 다시 뛰는 동작과 함께 두귀와 입이 움직이며 소리를 내는 동작을 하게 된 공지의 작동 완구에 있어서, 앉은 자세에서 앞발을 들고 벌떡 일어서는 동작과 다시 앞발을 내려앉는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세로축 종절판(27)의 말단부를 스프링(29)로 탄발시키고 횡축(30)으로 상자에 유착시킨 자세 지시레바(31)의 횡축 상부에 링크시켰으며, 세로축 종절판(27)에 대응되는 수직 낙하부(177)과 완곡 정점부(179), 경사 낙하부(180)가 형성된 자세 지시캠부(32)를 주캠(17) 일측면에 형성시키고, 뒷다리(36)를 자세 조절레바(31)끝의 절개부(31')에 끼운 구성과, 머리를 좌우로 움직이는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링크 스프링(57)으로 진동 크랭크(53)에 연동되는 진동 아암(56)의 선단부를 목부(39')의 열린곳을 통하여 머리통의 목부홈(52)에 끼운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토끼 동작 완구.
KR2019850011456U 1985-09-07 1985-09-07 토끼 동작 완구 KR8800036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1456U KR880003687Y1 (ko) 1985-09-07 1985-09-07 토끼 동작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1456U KR880003687Y1 (ko) 1985-09-07 1985-09-07 토끼 동작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918U KR870004918U (ko) 1987-04-21
KR880003687Y1 true KR880003687Y1 (ko) 1988-10-15

Family

ID=1924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1456U KR880003687Y1 (ko) 1985-09-07 1985-09-07 토끼 동작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36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918U (ko) 198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3676A (en) Moving animal toy
JPS631874B2 (ko)
US7364489B1 (en) Electromechanical toy
EP1059974B1 (en) Toy having jumping action
US6168160B1 (en) Ring toss game with moving target
KR880003687Y1 (ko) 토끼 동작 완구
JP2016067867A (ja) 笛玩具
KR910003625B1 (ko) 활동완구의 소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동완구
US6439949B1 (en) Moving toy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JPH05115621A (ja) 推進可動動物玩具
US4245425A (en) Toy horse with mechanism to produce trotting sound
JPS6341039Y2 (ko)
GB2063691A (en) Drummer doll
US7163430B1 (en) Walking toy figure
KR900001969Y1 (ko) 동물활동 완구
JPH087917Y2 (ja) 遠隔操縦動物玩具
KR860002587Y1 (ko) 동물 활동 완구
RU202139U1 (ru) Юла
JP7295542B2 (ja) インタラクティブ型知育玩具
JPS6317515Y2 (ko)
KR880004188Y1 (ko) 강아지 동작 완구
JPH0433913Y2 (ko)
JPS6226146Y2 (ko)
JP3076166U (ja) 動く飾り付筆記用具
JPH04270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10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