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667Y1 - 동물 활동 완구 - Google Patents

동물 활동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667Y1
KR860001667Y1 KR2019820007266U KR820007266U KR860001667Y1 KR 860001667 Y1 KR860001667 Y1 KR 860001667Y1 KR 2019820007266 U KR2019820007266 U KR 2019820007266U KR 820007266 U KR820007266 U KR 820007266U KR 860001667 Y1 KR860001667 Y1 KR 860001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witching
frame
clutch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7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377U (ko
Inventor
히로시 사이고오
히로시 가네꼬
하지메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이와야 가부시기 가이샤
이와야 히로가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야 가부시기 가이샤, 이와야 히로가츠 filed Critical 이와야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20007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667Y1/ko
Publication of KR8400013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3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6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63H13/02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imitating natural actions, e.g. catching a mouse by a cat, the kicking of an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63H13/005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with self-moving head or faci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02Clockwork mechanism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물 활동 완구
제1도는 본 고안 동물 활동완구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기구를 표시한 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
제4도는 제1도의 구동 기구의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의 클러치 전환 기구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반(基盤) 14 : 세로지축(從支軸)
15 : 기계를 17 : 전동기
24 : 클러치 기구 25 : 전환기구
26 : 제1의 클러치 기어 27 : 제2의 클러치 기어
29 : 걸어맞춤홈 31 : 걸림 갈퀴
32 : 제1의 전환치차 34 : 제2의 전환치차
35 : 코일 스프링 38,42 : 작동편
39,41 : 작동체 44 : 진동편
47 : 팔체 49 : 동체를
(50) : 드럼 (51) : 타격봉
(58) : 승강편 (59) : 머리체를
(62) : 소리체
본 고안은 동물활동 완구에 관한 것이고, 예를 들어 원숭이나 펭귄등의 동물을 모방하여 형성한 완구체가 악기를 사용해서 연주한다던지, 노래를 부르는 것등의 활동 동작을 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 종류의 소위 연주 완구로서는, 예를들어 일본국 특공소 49-1935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다리체의 상부에 동체를 회동자재로 설치하고, 이 동체의 양측면에 팔체를 상하동작이 자재로 설치하는 동시에, 동체의 상부에 머리체를 경사 자재로 설치하고, 상기 팔체의 아래쪽에 있도록 상기 동체의 앞부에 드럼을 수평위치로 보존유지 가능하게 회동 가능한 축으로 지지하고, 상기 동체에 모우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축을 설치하여, 이 구동축의 양측부에 각각 개수가 다른 작동편을 돌설한 작동차를 설치하고 이작동차의 회동에 연동하여 좌우가 서로 다른 진폭으로 상하동작하는 팔체를 상기 동체에 설치하여 상기 구동축에 연동하여 왕복 운동을 하여서 상기 동체를 상기 다리체에 대하여 좌우 회동시키는 레버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구동축에 연동하여 왕복 상하동작 하여서 상기 머리체를 좌우로 경사시키는 상하동체를 설치한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완구체는 손으로 드럼을 치면서, 몸을 좌우로 돌리고, 또한 머리를 좌우로 기울이는 동작을 하는 동시에 이 드럼은 좌우가 서로 다른 진폭의 손으로 좌우가 다른 리듬을 치므로써, 리드미컬한 드럼 연주를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조에 의하면, 완구체는 드럼을 연주할 뿐이고 또한 몸을 좌우로 돌리는 동작은 작고 또한 머리는 단지 좌우로 기울릴 뿐임으로, 드럼 연주와 그 작동상의 연결도 없고 또한 단지 드럼을 치는 것과 몸의 좌우동작 및 머리의 좌우동작을 연속적으로 행하므로 전체적으로 변화성이 결여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근래의 음악연주자는 큰 액션으로 거기다 노래를 부르면서 연주하기 때문에, 이 상태를 동물등에도 모방한 완구체를 통하여 이들을 정확하게 표현한다는 것은 대단히 곤란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워진 것으로서, 동물을 모방한 완구체가 드럼 연주를 하면서 이 드럼을 크게 옆으로 흔드는 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내고, 또한 드럼 연주와 몸을 옆으로 흔드는 회동 동작을 한후에 이 동작을 정지하는 동시에, 이번에는 머리체를 전후로 동작하며 리듬을 맞추면서 소리내어 노래를 부르는 것과 같은 동작을 하여서, 전체적으로는 동작에 악센트가 있고 변화성이 풍부하여 근래의 음악연주자의 동작을 모방한 동작을 동물을 모방한 완구체로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한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리체를 돌출한 기반과, 이 기반의 상방부에 세로로된 지축을 통하여수평방향으로 회동 자재로 설치된 기계틀과, 이 기계틀에 설치되고 소망의 동물의 형태를 모방하여 형성한 동체틀과, 이 동체틀의 상부에 전후동작이 자재로 되게 설치되고 또한 동체틀의 상부에 배설한 소리체를 피복하여서 상기 소망의 동물의 머리형태를 모방하여 형성된 머리체틀과, 상기 동체틀의 전방 하부에 설치한 드럼과, 상기 기계틀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자재로 되게 설치되어 상기 동체틀의 양측부에서 전방부로 연장된 선단부에 상기 드럼을 치는 타격봉을 가지는 팔체와, 상기 기계를 내에 설치된 구동원에 연동연결된 클러치 기구와, 이 클러치 기구와 같은 축에 설치된 전환기구와, 상기 클러치 기구의 작동에 의하여 전환동작이 상기 전환 기구를 통하여 연동되어 상기 양측의 팔체를 교대로 상하동작시키는 복수의 작동편을 가지는 양측의 회동 자재의 작동체와, 이 한쪽의 작동체와 상기 기반과를 연결하여 작동체의 회동을 상기 기계틀과 함께 상기 동체의회동으로 전환하는 작동편과, 상기 클러치 기구의 전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양측의 작동체의 회동을 정지한 후에 상기 전환 기구의 전환 동작에 의하여 연결구등 되어서 상기 머리체을 전후로 동작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소리체를 작동시키는 승강편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표시한 원숭이 형태를 모방한 연주 완구의 1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은 기반이고, 이 기반(1)의 전방 양측에 원숭이 다리를 모방하여 형성한 다리체(2)가 일체로 돌출되어 있는 동시에, 이 기반(1)의 후단 하부에 착상 돌기(3)가 돌출되고, 이 착상 돌기(3)와 상기 양측의 다리체(2)의 착상면(4)의 3점으로 기반(1)을 지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기반(1)의 상면부에 전지(a)를 수납한 수납 케이스(5)가 일체로 돌출되고, 이 수납 케이스(5)의 하면은 기반(1)의 아래쪽을 전지 수납용의 개구면으로서 연통되게 개구하고, 이 개구면에 대하여 이것을 개폐하는 뚜껑판(6)이 그 일단부에서 회동 자재로 되게 취착되고, 이 뚜껑판(6)의 다른 끝단부는 상기 기반(1)의 개구연(開口緣)에 회동자재로 취착된 걸림편(7)으로 계탈되게 되어 있다.
또 이 걸림편(7)은 상기 착상돌기(3) 및 착상면(4)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납 케이스(5)의 일측면과 이에 대한 상기 기반(1)의 주위에 형성된 주위측벽(8) 사이에, 전후로 걸림편(9)을 평행으로 개재하여 이 전후의 걸림편(9) 사이에 상면을 개구한 걸림요홈(10)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수납 케이스(5)의 상면판(11)의 중심부에 미끄럼 작동구멍(12)을 가지는 축받이(13)가 돌설되고, 이 축받이(13)의 미끄럼 작동구멍(12)내에 세로지축( 14)이 접동자재로 삽통되고, 이 세로 지축(14)의 상부에 기계를(15)의 중심부가 횡간 (橫杆)(16)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기계를(15)의 후방 하부에는 전동기(17)가 고정되어 있고, 이 전동기(17)는 스위치(18)에 의하여 상기 전지(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이 전동기(17)의 피니언 (19)에 감속치차(20)가 물려있고, 이 감속치차(20)는 그 중간부에 축방향으로 긴 구동치차(21)를 고착한 연동축(22)의 한쪽 끝단부에 고찍되고, 이 연동축(22)은 상기 기계를(15)에 회동 자재로 지지가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계틀(15)에 접동축(23)이 축방향 접동 자재로 그리고 회동자재로 가로 가설되며, 이 접동축(24)에 클러치 기구(25) 및 전환 기구(24)가 취찍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기구(23)는, 상기 접동축(23)의 한쪽 끝단부에 회동자재로 지지 가설된 제1의 클러치 기어(26)와 상기 접동축(23)에 고찍된 제2의 클러치 기어(27)로 구성되고, 상기 제1의 클러치 기어(26)의 삽통공(28)부터 외주부에는 걸어맞춤홈 (29)이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2의 클러치 기어(27)의 삽통공(30)부터 외주부는 상기 걸어맞춤홈(29)내에 계탈하는 개략 3각형상의 걸림갈퀴(31)가 상기 제1의 클러치 기어(26)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더우기 이 제2의 클러치 기어(27)의 이빨수는 제1의 클러치 기어(26)의 이빨수 보다 몇개 정도 더 많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 및 제2의 클러치 기어(26)(27)는, 상기 구동치차(21)에 항상 물려있고, 또한 제1의 클러치기어(26)에 대하여 제2의 클러치 기어(27)가 그의 걸림갈퀴 (31)를 사용하여 접속 또는 이탈하면서 연동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환 기구(25)는, 상기 접동축(23)에 고찍된 제1의 전환치차(32)와, 이 제1의 전환치차(32)에 스페이서(33)를 통하여 상기 접동축(23)에 고찍된 제2의 전환치차(3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의 전환치차(34)와 상기 기계틀(15) 사이에서 상기 접동축 (23)에 코일 스프링(35)이 감겨서 장착되고, 이 코일 스프링(35)에 의하여 접동축 (23)을 통하여 상기 제1의 클러치 기어(26)에 대하여 상기 제2의 클러치 기여(27)가 항상 근접되어 있게 세력이 가하여져 있다.
다음에, 상기 기계틀(15)에 출력축(36)이 회동 자재로 가로 가설되고, 이 출력축 (36)의 중간부에 상기 제1의 전환치차(32)가 떨어졌다 붙었다 하는 출력치차(37)가 고찍된다.
또한 이 출력축(36)의 한쪽 끝단부에는 복수의 작동편(38)을 방사형으로 돌출한 작동체로서의 작동륜(39)이 고찍되고, 이 각 작동편(38)의 회동 방향의 전면이 원호상의 걸어맞춤면(40)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출력축(36)의 다른 끝단부에는, 작동체로서의 작동원반(41)이 고착되고, 이 작동원반(41)의 내축부에는 복수의 작동편(42)이 방사형으로 일체로 돌출되고, 이 각작동편(42)은 상기 작동륜(39)의 각 작동편(38)보다 약간 많게 형성되며, 즉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륜(39)의 작동편(38)은 3개 작동원반(41)의 작동편(42)은 그것보다 1개 많은 4개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원반(41)의 외측부의 측면위치에 연동간(43)이 돌출되고, 이 연동간(43)에 진동편(44)의 상부에 형성된 안내장홈(長溝)이 회동자재로 삽통되고, 이 진동편(44)하부의 걸림부(46)는 상기 기반(1)의 걸림요부(10)내에 삽입되어, 이 작동편 (44)의 중간부가 상기 횡간(19)의 한쪽 끝단부에 회동 자재로 취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계틀(15)의 상부에는 각각 좌우의 팔체로서의 팔체(47)의 직선 상태부(48)가 양측방에서 삽입되어서 회동자재로 지지 가설되고, 이 좌우의 팔체(47)는 동체를(49)의 양측부에 형성된 안내공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동시에, 구부려저서 동체를(49)의 앞쪽으로 연장되고, 이 양측의 팔체(47)의 선단부에 드럼(50)을 치는 타격봉(47)이 취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측의 팔체(48)의 직선 상태부(52)에 연동편(520이 고착되고, 이 연동편(39)의 한쪽끝부에 각각 상기 작동륜(38)의 작동편(38) 및 작동원반(41)의 각 작동편(42)이 회동에 의하여 단속적으로 계탈하는 걸어맞춤부(53)가 돌출되고, 이 양측의 연동편(52)의 다른 끝단부와 상기 기계를(15) 사이에 코일 스프링(54)이 긴장 가설되고, 이 코일 스프링(54)에 의하여 상기 양측의 걸어맞춤부(53)는 항상 각 작동편 (38)(42)에 걸어맞춤 하도록 세력이 가하여져 있다.
다음에 상기 기계를(15)의 후방 상부에 크랭크축(55)이 회동 자재로 가로 가설되고, 이 크랭크 축(55)의 한쪽 측부에 상기 변환 기구(25)의 제2의 전환치차(34)가 계탈하는 수동(受動) 치차(56)가 고착되어 있다.
또한 이 크랭크 축(55)의 한쪽끝단의 크랭크 아암(57)에 승강편(58)의 하단부가 회동 자재로 취착되고, 이 승강편(58)의 상단부에 상기 동체를(49)의 상부에 설치된 머리체를(59)에 가로 가설된 압동간(60)의 한쪽측부에 회동 자재로 취착되어 있다.
상기 머리체틀(59)은, 상기 동체를(49)의 상부에 지지 가설한 지축(61)에 회동 자재로 취착되고 또한 이동체틀(49)의 상부에는 상기 압동간(60)에 의하여 작동되는 원숭이의 우는 소리를 모방하여 소리내는 소리체(62)가 수납되어 있다.
상기 머리체틀(59)은 원숭이의 머리 형태를 모방하여 형성되고, 전면에는 원숭이의 얼굴을 모방한 얼굴틀(6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동체를(49)은 원숭이의 동체 형태를 모방하여 형성되고, 이 동체를( 49)은, 상기 기계틀(15)에 대하여 삽통한 취착축(64) 및 취착축(64)과 다른 위치에서 동체틀로부터 들출되어 기계틀(15)의 취착공(65)내로 밀어넣은 취착간(66)에 의하여 연결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동체틀(49)의 전방 하부에 상부에 걸림요홈(67)를 가지는 취착 지지틀(68)이 형성되고, 이 취착지지를(68)에 상기 드럼(50)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취착틀(69)이 붙었다 떨어졌다가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지고, 또한 이 취착틀(69)의 상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봉(70)이 상기 걸림요홍(67)내에 붙었다 떨어졌다가 자유롭게 걸어맞춤되어 있다.
그리고 이 드럼(50)은 상기 상하동작되는 양측의 팔체(47)의 타격봉(51)에 의하여 고대로 치게 되게 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동체를(49)의 외측부 및 양측의 팔체(47)은 원숭이를 모방하여 기모한 피복체(71)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는 동시에, 하반신에는 다시 바지(72)가 입혀져 있고, 또 머리체(59)의 머리부에는 원숭이를 모방하여 기묘한 피복체(73)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작용을 설명한다.
스위치(18)를 넣으면 전동기(17)가 작동하고, 피니언(19) 및 감속치차(20)를 거쳐서 구동치차(21)가 연동 구동된다.
그리고 이 구동치차(21)의 회동에 의하여, 이 구동치차(21)에 물려있는 클러치 기구(24)의 제1 및 제2의 클러치 기어(26)(27)가 소정의 시간 연동 회동 되며는, 제1의 클러치 기어(26)보다 약간 이빨수가 많은 제2의 클러치 기어(27)는 이 회동에 따라서 차차 제1의 클러치 기어(26)에서 떨러져 나가는 동시에, 제2의 클러치 기어(27)의 걸림갈퀴(31)가 제1의 클러치 기어(26)의 걸어맞춤(29)에서 이탈하고, 결국에는 이 걸림갈퀴(31)의 길이만큼 제2의 클러치 기어(27)는 코일 스프링(35)에 대항하여 제1의 클러치 기어(26)로부터 접접축(23)을 따라 회동하면서 축방향으로 접동 이동한다.
이 제2의 클러치 기어(27)의 회동 이동에 의하여, 이 접동축(23)에 설치한 전환 기구(25)의 제1 및 제2의 전환치차(32)(33)도 함께 코일 스프링(35)에 대항하여 제2의 클러치 기어(27)의 이동방향으로 연동되고, 제2의 전환치차(34)는 수동치차 (56)에서 이탈하는 동시에, 제1의 전환치차(32)는 출력축(36)의 출력치차(37)에 물려서 이 출력치차(37)를 연결구동 회동한다.
이 출력치차(37)의 회동에 의하여, 출력축(36)의 양단부에 취착된 작동륜(39) 및 작동원반(41)이 연동 회동되고, 이 작동륜(39)의 각 작동편(38)은 이에 대한 연동편(52)의 걸어맞춤부(53)를 코일스프링(54)에 대항하여 단속적으로 밀어올리면서 회동하고, 또 작동원반(41)의 각 작동편(42)은 이에 대응하는 연동편(52)의 걸어맞춤부 (53)를 코일 스프링(54)에 대항하여 단속적으로 밀에 올리면서 회동한다.
즉, 양측의 각 작동편(38)(42) 사이의 골짜기부에 걸어맞춤부(53)가 위치한 경우에는 걸어맞춤부(53)는 코일 스프링(54)에 의하여 골짜기로 내려가서 걸어맞춤하고, 이 걸어맞춤부(53)에 작동편(38)(42)이 걸어맞춤한 경우에는, 작동편(38)(42)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54)에 대항하여 걸어맞춤부(53)를 밀어 올리면서 작동편(38) (42)이 통과한다.
따라서 양측의 연동편(52)은, 이 작동편(38)(42)의 수탕의 차이에 의하여 상하동작되는 회수가 달라지는데, 이 작동편(38)(42)에 의하여 각각 상하동작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양측의 연동면(52)이 상하동작되며는, 이 연동편(52)을 고착한 각각의 팔체(47)도 함께 상이한 진폭으로 상하동작되는 동시에, 이 양측의 팔체(47)의 선단부에 취착한 타격봉(51)이 상하동작되어, 이 타격봉(51)이 드럼(50)의 상면을 소정의 진폭으로 치게 된다.
따라서 완구체(A)는, 양측의 타격봉(51)으로 각각 좌우가 다른 진폭으로 즉, 상이한 리듬으로 드럼(50)을 치며 드럼(50)을 연주하는 것 같은 동작을 표현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즉, 상기 출력축(36)에 의하여 한쪽의 작동원반(41)이 회동되려는, 이 작동원반(41)의 편심위치에 돌출한 연동간(43)의 회동에 의하여, 이 연동간 (43)에 안내장홈(45)을 통하여 회동 자재로 연결한 진동편(44)은 횡간(16)을 지점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진동편(44)의 하부의 걸림부(46)는 기반(1)에 형성된 걸림요홈(10)내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진동편(44)이 회동되며는, 진동편(44)의 걸림부(46)를 지점으로 이 진동편(44)을 통하여 기계를(15)의 회동으로 전환되는 동시에, 이 기계를 (15)은 기반(1)의 수납 케이스(5)에 세워서 설치한 세로지축(14)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황복회동된다.
또한 기계를(15)의 회동에 의하여, 이 기계를(15)에 취착한 동체를(49)이 일체로 되어서 몸을 옆방향으로 비트는 것 같이 좌우 방향으로 왕복 회동된다.
따라서, 완구체(A)는 양측의 타격봉(51)으로 드럼(50)을 치면서 연주하고, 몸을 좌우로 흔들며, 리듬을 맞추면서 드럼(50)을 연주하는 것 같은 동작을 표현한다.
또한 이 경우, 완구체(A)가 몸을 좌우로 흔드는 동작을 하면, 즉 기계를(15)을 통하여 동체를(49)이 기계를(15)과 같이 좌우로 왕복 진동되며는 이 회동 방향의 관성력에 의하여 착상면을 감소하게 형성한 착상돌기(3)와 착상면(4)의 3점으로 지지된 완구체(A)는 약간의 동작으로 차차 회동되고, 따라서 완구체(A)는 방위(方位)를 점차로 회동 변환하면서 양측의 타격봉(51)으로 드럼(50)을 치며 연주하면서 몸을 좌우로 흔들고, 리듬을 맞추면서 드럼을 연주하는 것 같은 동작을 나타낸다.
다음에 상기 동작을 소정 시간 반복한 후에는, 코일 스프링(35)으로 세력이 가하여져 있는 제2의 클러치 기어(27)의 걸림갈퀴(31)가 회전함에 따라서 차차 압동되면서 제1의 클러치 기어(26)의 측면을 접동하고, 그리고 이 걸림갈퀴(31)가 다시 걸어맞춤홈 (29)내에 걸어맞춤한다.
이 걸림갈퀴(31)가 걸어맞춤홈(29)내에 계합하는 동시에, 코일 스프링(35)의 복귀력에 의하여 접동축(23)을 거쳐서 제2의 클러치 기어(27)가 제1의 클러치 기어(26)에 대한 근접방향으로 접동되고, 제2의 클러치 기어(27)는, 제1의 클러치 기어(26)에 그 걸어맞춤홈(29)내에 걸림갈퀴(31)를 삽입한 상태로서 일체적으로 연결구동 회동된다.
또한 이 제2의 클러치 기어(27)의 접동에 의하여, 접동축(23)에 취착된 제1의 전환치차(32)는 출력치차(37)로보부러 이탈하는 동시에, 이와같은 축의 제2의 전환치차(34)는 수동치차(56)에 물려서 이것을 연결구동한다.
그리고 제1의 전환치차(32)가 출력치차(37)에서 이탈하는 동시에, 이 출력치차 (37)의 출력을 동력원으로 하는 상기 각종 동작은 정지된다.
또한 상기 제2의 전환치차(34)가 수동치차(56)에 물리는 동시에, 이 수동치차 (56)를 취착한 크랭크 측(55)이 연동되고, 이 크랭크 측(55)의 크랭크 아암(57)에 승강편(58)을 통하여 연동 연결된 압동간(60)이 승강하게 된다.
그리고 압동간(60)의 승강동작으로 압동간(60)이 소리체(62)의 신축부(62a)를 압동 신축시켜 소리체(62)를 소리내게 하는 동시에, 이 승강편(58)의 승강 동작으로 압동간(60)을 통하여 지축(61)을 지점으로 머리체틀(59)을 전후동작 시킨다.
따라서 완구체(A)는, 연주를 일시적으로 정지하고, 또는 연주 사이에 머리를 전후로 흔들며, 리듬을 맞추면서 소리내어 노래하는 것 같은 동작을 나타낸다.
다음에 상기의 동작을 소정 시간 반복한 후에 다시 제1의 클러치 기어(26)에서 제2의 클러치 기어(27)가 이탈하면 상기 노래를 부르는 등의 동작이 정지되는 동시에 상기 연주하는 것 같은 동작을 하게 되는 것으로, 그리고 상기 각 동작을 순차 반복하여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완구체(A)는 원숭이 형태를 모방하여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펭권과 같은 동물을 모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하면, 기계를내에 설치한 구동원을 작동하여 이것에 연동 연결된 클러치 기구를 작동하려는, 이 클러치 기구의 작동에 의하여 전환동작된 클러치 기구와 같은 축의 전환 기구를 통하여 양측 작동체가 연동 회동되는 동시에, 이 작동체의 복수의 작동편에 의하여 양측의 팔체가 소정의 진폭으로 교대로 상하동작되고, 따라서 완구체는 양측의 타격봉으로 드럼을 치고 소정의 리듬으로 드럼을 연주하는 것 같은 동작을 나타낸다.
또한 이와 동시에, 한쪽의 작동체와 기반을 연결한 진동편이 작동체의 회동에 의하여 크게 연동 회동되는 동시에 이 진동편을 거쳐서 작동체의 회동을 상기 기계를 및 동체틀의 세로 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수평회동으로 확실하게 전환되게 하여 동체틀 이좌우로 크게 그리고 리드미컬하게 왕복 회동되고, 따라서 완구체는 드럼 연주를 하면서 이 드럼을 크게 옆으로 흔드는 것 같은 동작을 나타내는 동시에 몸을 동시에 크게 옆으로 흔들며, 전신을 사용하여 춤추려 연주하는 것 같은 동작을 나타내고, 또한 이 동작을 반복하여 행하는 것이다.
또 클러치 기구의 변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양측의 작동체의 회동이 정지되는 동시에, 전환 기구의 전환 동작에 의하여 이에 연동 연결된 승강편이 확실하게 승강하고, 이 승강편이 머리체틀을 전후 동작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소리체를 소리내게 하고, 따라서 완구체는 드럼 연주 및 몸을 옆으로 흔드는 동작을 정지한 위치에서 머리체를 전후로 동작하면서 리듬을 맞추며 소리 내서 노래부르는 것 같은 동작을 나타낸다.
또한 클러치 기구 및 전환 기구를 설치하여, 이 전환동작에 의하여 각종 동작을 확실히 전환하고 또한 다음 동작으로 이행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체적으로는 동작에 악센트가 있어서 현저하게 변화성이 풍부하고, 근래의 액션이 큰 음악 연주자의 동작을 동물을 모방한 완구체로 확실하게 표현할 수가 있다.
따라서 극히 흥취가 있고, 또한 구매의욕을 조장야기하는 연주 완구름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4)

  1. 다리체(2)를 돌설한 기반(1)과, 이 기반(1)의 상부에 세로로된 지축(14)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된 기계틀(15)과, 이 기계틀(15)에 설치된 소망의 동물 형태를 모방하여 형성한 동체틀(49)과 이 동체틀(49)의 상부에 배치된 소리체(62)를 피복하여 상기 소망의 동물의 머리 형태를 모방하여 형성된 머리체틀 (59)과, 상기 동체틀(49)의 전방 하부에 설치된 드럼(50)과 상기 기계틀(15)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동체틀(49)의 양측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선단부에 상기 드럼(50)을 치는 타격봉(51)을 가지는 팔체(47)로 구성되고, 상기 기계틀 (15)은 전동기(17)의 피니언(19)과 감속치차(20) 구동치차(21)로 되어 있는 클러치 기구(24)와, 이 클러치 기구(24)와 같은 축에 설치된 전환 기구(25)와, 상기 클러치 기구(24)의 작동에 의하여 전환 동작된 상기 전환 기구(25)를 통하여 치차(37)로 연결구동되고 상기 양측의 팔체 (47)를 교대로 상하동작시키는 복수의 작동편(38)(42)을 가지는 양측의 회동 가능한 작동체(39)(41)와, 이 한쪽에 작동체(41)와 상기 기반(1)과를 연결하여 작동체(41)의 회동을 연동간(43)과 안내장홈(45)의 상호작동으로 상기 기계틀(15)과 같이 상기 동체틀 (49)의 회동으로 전환하는 진동편(44)과, 상기 클러치 기구(24)의 걸림갈퀴(31)가 걸어맞춤홈(29)에 결합되는 전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양측의 작동체(39)(41)의 회동이 정지된 후에 상기 전환 기구(25)의 전환 동작에 의하여 제2의 전환치차(34)와 수동치차(56)가 맞물려져 연동 상기 머리체틀(59)을 크랭크 아암(57)의 작동으로 전후로 동작시키는 동시에 상기 소리체(62)를 소리내게 하는 승강편(58)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활동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24)는 걸어맞춤홈(29)을 가지는 제1의 클러치 기어(26)와 상기 걸어맞춤홈(29)에 대하여 계탈하는 걸림갈퀴(31)를 가지며 또한 제1의 클러치 기어(26)보다 이빨수를 약간 많게한 제2의 클러치 기어(2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활동 완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환 기구(25)는 작동체(39)(41)를 연동하는 제1의 전환치차(32)와 승강편(58)을 연동하는 제2의 전환치차(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활동 완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24) 및 전환 기구(25)는 같은 축(23)에 취착되고 또한 이에 세력을 가하는 코일 스프링(3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활동 완구.
KR2019820007266U 1982-09-14 1982-09-14 동물 활동 완구 KR860001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7266U KR860001667Y1 (ko) 1982-09-14 1982-09-14 동물 활동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7266U KR860001667Y1 (ko) 1982-09-14 1982-09-14 동물 활동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377U KR840001377U (ko) 1984-04-30
KR860001667Y1 true KR860001667Y1 (ko) 1986-07-25

Family

ID=72147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7266U KR860001667Y1 (ko) 1982-09-14 1982-09-14 동물 활동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6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377U (ko) 198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9473A (ja) 動物活動玩具
US6220921B1 (en) Movable frog toy
AU731294B2 (en) Toy having jumping action
JPS6048776A (ja) ぶらんこ玩具
KR860001667Y1 (ko) 동물 활동 완구
US4355481A (en) Mechanical carousel top
KR910003625B1 (ko) 활동완구의 소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동완구
JPS6121107Y2 (ko)
US3354577A (en) Motor operated simulated soldier and gun toy
JPS60253483A (ja) 動物遊戯玩具
US5203559A (en) Bowling apparatus having spring driven wind-up striker
US4245425A (en) Toy horse with mechanism to produce trotting sound
JPH087917Y2 (ja) 遠隔操縦動物玩具
US9474987B1 (en) Multiple sonic motion devices
JPS6125515Y2 (ko)
KR900000514B1 (ko) 자석을 이용한 춤추는 인형완구
JPS6121108Y2 (ko)
KR860002973Y1 (ko) 활동 완구
JPS6126386B2 (ko)
JPS60246780A (ja) 動物活動玩具
JPS6122631Y2 (ko)
JP2504056Y2 (ja) もぐら叩きおもちゃ
JP3002721U (ja) 的当て玩具
JPH0357272Y2 (ko)
JPS6121104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