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078B1 - 화분 형성을 억제하는 피라졸류 화합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분 형성을 억제하는 피라졸류 화합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078B1
KR910002078B1 KR1019850007017A KR850007017A KR910002078B1 KR 910002078 B1 KR910002078 B1 KR 910002078B1 KR 1019850007017 A KR1019850007017 A KR 1019850007017A KR 850007017 A KR850007017 A KR 850007017A KR 910002078 B1 KR910002078 B1 KR 910002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mixture
hydrogen
pyrazolecarboxamide
carb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7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472A (ko
Inventor
리챠드 베크 제임스
웬델린 프라이스 캐롤
Original Assignee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메어리 앤 턱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메어리 앤 턱커 filed Critical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60002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0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 C07D23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Cosmetic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분 형성을 억제하는 피라졸류 화합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화분 형성을 억제하는데 유용한 신규 피라졸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배(hybridization) 기술에 의해서 재배 식물, 특히 농작물의 내구성 및 수확량이 상당히 향상되었다. 과거에 화분 및 화분을 받아들이는 기관을 생성하는 식물 종을 교배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화분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이 발견되었다. 그러한 화합물을 사용하면 아주 간단히 교배가 된다. 교배시킬 두 종류의 식물을 길고, 비교적 좁은 플롯(plot) 중에서 서로 가까이에 단순히 파종하고 2종 중한 식물의 플롯을 화분 형성 억제제로 처리했다. 만약 화분 형성 억제제가 완전히 유효하다면, 처리 식물이 생성한 모든 종자는 잡종 종자일 것이고, 이들 잡종 종자는 비처리 식물의 화분에 기인한 것이다.
화분 형성 억제 활성을 가진 화합물이 미합중국 특허 명세서 제4,345,934호, 제4,147,528호 및 제4,238,220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구조식(I)의 화분 형성을 억제하는 피라졸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 R1및 R2는 독립적으로 할로, C1-C4알콕시, C1-C4알킬 또는 수소이며, (단, R, R1및 R2중의 적어도 1개는 수소를 의미하고, 더우기 R 및 R1중 1개만이 수소아닌 다른 그룹을 의미할때 R2는 수소아닌 다른 그룹을 의미한다.) ; R3는 하이드록시, C1-C4알콕시, C2-C4알케닐옥시 또는 카복실산염을 형성하는 식물학적 이용가능한 잔기이다.
전기한 화합물중의 한 계열은 R, R1및 R2가 클로로, 브로모, 플루오로, C1-C3알킬 또는 수소이며 R3는 하이드록시, 메톡시, 에톡시, 알릴옥시 또는 카복실산의 염을 형성하는 식물학적 이용 가능한 잔기인 화합물 군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구조식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식물학적 이용가능한 희석제로 구성된 화분 형성 억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꽃밥이 형성되기 전에 상기 구조식 화합물의 화분 형성 억제량을 식물에 투여함으로써 식용 농작물에서 화분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더우기, 본 발명은 전기한 웅성 및 자성 친변종(parent variety)의 종자를 서로 인접한 독립된 플롯에 파종하고, 전기한 자성 친종자에서 생겨난 자성 친식물을 전기한 화분 형성 억제 방법으로 처리하고(전기한 자성 친 변종은 그러한 처리에 감수성이다), 전기한 처리 자성 친식물을 전기한 웅성 친(parent) 종자에서 생성된 웅성 친식물에 의해 수분이 되게 하고 잡종 종자가 생성되게하며, 처리된 자성 친식물로부터 전기한 잡종 종자를 수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웅성 및 자성 친변종을 가진 잡종 식용곡물 종자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모든 온도는 섭씨 온도이다.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퍼센트, 비율등은 중량 단위로 표시되었다.
상기 구조식에사, C1-C4알킬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t-부필 및 이소부틸과 같은 그룹을 포함하며, C1-C4알콕시는 전형적으로 이들 그룹이 산소 원자를 통해 연결된 그룹을 포함한다.
상기 구조식의 염은 카복실산의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식물학적-이용가능한 잔기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염-형성 잔기는 알킬리금속, 아민 그룹 및 4급 암모늄 그룹을 포함한다. 특히, 소디움, 포타슘, 리튬, C1-C4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및 트리알킬아미노 그룹 및 4급 암모늄 그룹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술한 4급 암모늄은 질소 원자가 수소, C1-C4알킬, 페닐 또는 벤질 잔기로 치환된 그룹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암모늄, 테트라메틸 암모늄, 디에틸-디메틸 암모늄, 디에틸-디부틸 암모늄, 벤질-트리메틸 암모늄, t-부틸-트리메틸 암모늄, 페닐-트리에틸 암모늄, 디에틸-디프로필 암모늄, s-부틸-트리메틸 암모늄, 이소부틸-트리에틸 암모늄 등과 같은 4급 암모늄이 유용하며, 상황에 따라 통상적으로 선택된다. 더우기, 메틸아민, 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디프로필아민 등과 같은 아민이 염 형성을 위해 통상적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중 일부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한 류의 화합물은 R3가 하이드록시 및 그 염인 카복실산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류의 화합물은 R1이 수소아닌 다른 그룹이고, R 및 R2가 수소인 화합물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류는 R 및 R1이 독립적으로 클로로, 브로모, 메톡시, 에틸 또는 메틸을 의미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또다른 바람직한 류는 R 및 R2가 수소이며, R1이 클로로, 브로모, 플루오로, C1-C2알킬 또는 C1-C2알콕시인 화합물을 포함하고 ; 더욱 바람직한 류는 R1이 클로로, 에틸, 메틸 또는 메톡시인 화합물을 포함하며 ; 다른 더욱 바람직한 류는 R1이 클로로, 브로모 또는 메틸인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 화합물중의 다음 그룹은 일반인들이 본 발명을 완전히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서 언급하는 것이다.
4-카복시-1-(3-프로필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 1-(4-에틸페닐)- 4-메톡시카보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 1-(2, 4-디브로모페닐)-4-에톡시카보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 4-알릴옥시카보닐-1-(2, 3-디플루오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 4-카복시-1-(3, 4-디에틸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벤질-트리메틸암모늄 염 ; 4-카복시-1-(4-이소프로필-2-메틸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페닐-트리에틸암모늄 염 ; 4-카복시-1-(3-이소부틸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 1-(4-부틸페닐)-4-에톡시카보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 1-(3-t-부틸페닐)-4-메톡시카보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 4-카복시-1-[3-(1-메틸프로필)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 4-카복시-1-(4-메틸-3-프로필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테트라프로필암모늄 염 ; 4-카복시-1-(3-이소프로필-4-프로필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트리메틸아민 염 ; 1-(3-브로모-2-클로로페닐)-4-카복시-5-피라졸카복사마이드, 디에틸-디프로필암모늄 염 ; 1-(4-브로모-3-프로필페닐)-4-카복시-5-피라졸카복사마이드, 디페닐-디메틸암모늄 염 ; 1-2-브로모-4-메틸페닐)-4-카복시-5-피라졸카복사마이드, 벤질-트리에틸암모늄 염 ; 1-(3-브로모-4-메틸페닐)-4카복시-5피라졸카복사마이드 ; 4-카복시-1-(4-플루오로-3메틸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 4-카복시-1-(4-에틸-2-플루오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리튬 염 ; 4-카복시-1-(3, 4-디플루오로페닐 )-5-피라졸카복사마이드, 테트라(이소부틸)암모늄 염 ; 4-카복시-1-(2-프로필-4-플루오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부틸-트리메틸암모늄 염 ; 4-카복시-1-(3-에톡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소디움 염 ; 4-메톡시카보닐-1-(4-프로폭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 1-(3-이소프로폭시페닐)-4-메톡시카보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 및 4-카복시-1-(3-메톡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포타슘 염.
본 발명의 화합물은 첫 단계가 아릴 하이드라진을 알킬(알콕시 메틸렌)시아노아세테이트와 반응시켜 상응하는 1-페닐-5-아미노-1H-4-피라졸카복실레이트를 제조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그 다음에, 아미노 피라졸을 상응하는 5-할로 피라졸카복실레이트로 변환시키고, 이것을 5-시아노피라졸카복실레이트로 변환시킨다. 이 화합물이 본 발명의 화분 형성 억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중요한 중간체이다.
기본 공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5-시아노-4-피라졸카복실레이트를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와 같은 강 염기로 가수분해시켜서 원하는 4-카복시-5-피라졸카복사마이드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개요를 이하에 도시한다.
Figure kpo00002
상기 개요에서, Alk는 C1-C4알킬 그룹을 의미하고, 할로는 클로로 또는 브로모를 의미한다. 반응물을 특별히 과량 사용하지 않고서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공정의 모든 단계는 이용가능한 수율로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동몰량을 사용하면 만족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유기 반응에서 통상적으로, 고가이거나 구입하기 어려운 반응물을 완전히 이용하기 위해서, 저렴하거나 구입하기 용이한 반응물을 과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타당하다. 유사하게, 원하는 생성물의 수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공정 단계를 진행시킬 수도 있고, 또한 공정계로부터 생성물의 수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반응이 완결되기 전에 반응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상황에 따라, 둘중 어느 한가지의 공정 조작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요의 첫째 단계에서, 반응 용매로서 초산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바람직하다. 어떤 경우에는 반응혼합물중의 무기 아세테이트 염이 또한 유익하다. 그러나, 하이드라진과 시아노 아세테이트의 반응은 적당한 유기용매, 특히 메탄올 또는 에탄올 같은 저급알칸올 중에서 또한 진행된다. 반응온도를 약 50-150° 범위로 올리는 겁 바람직하다. 반응혼합물의 비점이상의 온도를 승압에서 사용하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나, 적당히 조작상의 주의만 한다면, 반응은 약 0-200°와 같은 적당한 온도에서 진행된다.
상기 개요의 활로겐화 단계는 디아조화 및 할로겐화제로서 니트로실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면 바람직하게 진행되어, 5-클로로피라졸이 생성된다. 격렬하게 혼합된 반응 혼합물중에 니트로실 클로라이드를 가스 상태로 버블링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본 염소화 반응은 비반응성 유기용매, 더욱 바람직하게는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과 같은 할로겐화 알칸 중에서 진행된다. 반응혼합물 중에서의 니트로실 클로라이드의 용해도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0-50°범위의 적당한 온도가 바람직하다.
디아조화제 및 적당한 할로겐원으로 알킬 니트리트를 사용하여 5-브로모피라졸 중간체를 제조한다. 이소아밀 니트리트, t-부틸 니트리트 등은 적당한 디아조화제이고 브로모포름 및 원소 브롬은 통상적인 브롬원이다. 반응조건은 염소화 반응과 실제적으로 동일하다.
5-할로피라졸을 소디움 시아나이드, 리튬 시아나이드 또는 포타슘 시아나이드와 같은 알칼리금속 시아나이드와 시안화시키는 반응은 통상적 방법으로 진행된다. 시안화 반응은 불활성 유기용매중에서 진행되며, 어프로틱 용매가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및 헥사메틸 포스포라마이드는 본 단계에서 특히 바람직한 용매이다. 약 50-200°,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0-140°의 범위의 승온에서 시안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4-카복시-5-피라졸카복사마이드를 제조하는 가수분해 단계는 에탄올 수용액중에서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를 사용하면 매우 용이하게 진행된다. 통상적으로 염기를 최소량의 물에 용해시키고, 에탄올에 가하여 반응 매체를 제조한다. 소디움 하이드록사이드 및 리튬 하이드록사이드와 같은 기타 알칼리금속 하이드록사이드도 또한 본 공정에 유용하다. 비슷하게, 에탄올 수용액을 제외한 기타 빈응용매, 특히 메탄올, 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다른 알코올 수용액이 유용하다. 가수분해는 약 50-100° 범위의 적당한 승온, 가장 바람직하게는 반응혼합물의 환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 진행된다.
알킬아릴 하이드라진, 특히 3-메틸-및 3-에틸-페닐하이드라진을 제조하는 개량된 방법은 상응하는 아닐린을 소디움 니트리트와 반응시켜 디아조늄 염을 제조하고, 생성된 염을 문헌에 기록된대로 포타슘 설파이트와 반응시킴으로써 진행된다. [Houben-Wehl, Methoden der Organische Chemie, Vol. 10/2, P. 180(1967)].방금 언급한(알콕시메틸렌)시아노아세테이트를 사용하고 싶지 않으면, 에탄올 수용액과 같은 수성 반응혼합물중 염기성 조건에서 아릴 하이드라진을 디알킬 알콕시메틸렌말로네이트와 반응시켜 또한 피라졸을 제조할 수 있다. 그러한 폐환 반응은 5-위치에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며, 4-위치에 알콕시카보닐기를 가지는 피라졸을 제조한다. 그 다음 단계는 산성 알코올과 같은 산성 조건에서 하이드록시피라졸을 가수분해 시키는 반응이며, 이 단계에서 알콕시 카보닐 그룹이 제거된다. 결과로 얻어진 중간체를 빌스마이어 시약과 반응시키고, 하이드록시기를 염소 원자로 대체시키고, 동시에 4-위치에 포밀기를 삽입시킨다. 황산 존재하, 알칸올 중에서 과산화 수소와 반응시켜 포밀을 알콕시카보닐로 변환시킨다. 결과로 얻어진 생성물은 5-클로로-4-알콕시카보닐피라졸이며, 이것은 전술한 기본적인 공정에서와 같은방법으로 니트릴로 변환된다.
알칸올 수용액 또는 케톤 수용액 중에서 화합물을 적당한 염기와 접촉시키는 것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4-카복시-5-피라졸카복사마이드의 염을 쉽게 제조한다. 알칼리 금속염이 필요할때, 염기는 적당한 알칼리금속 하이드록사이드, 알콕사이드, 카보네이트 또는 비카보네이트이다. 4급 암모늄 염을 제조할 때에는 적당한 4급 암모늄 할라이드, 설포네이트, 하이드록사이드, 메탄설포네이트 등을 적당한 유기 용매중에서 산과 혼합시킨다. 염은 0-100°범위의 적당한 온도에서 제조된다.
4-카복시 그룹이 에스테르화된 화합물은 4-카복시 화합물을 유기용매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소량의 광산 존재하에서, 메탄올, 알릴 알코올 또는 에탄올과 반응시킴으로써 통상적으로 용이하게 제조된다. 또한 산의 알칼리금속 염을 알릴, 메틸 또는 에틸 할라이드와 반응시켜 에스테르를 제조한다. 50-100°범위의 적당한 온도가 매우 만족스러우며, 반응 시간은 통상적으로 짧다. 에스테르화 반응을 보조해주기 위해서 결합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통상적으로 필요하지 않다.
다음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 화합물 제조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1
4-카복시-1-(3-클로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가열 맨틀 및 콘덴서가 장치된 22L 플라스크에 탈이온수 2L 초산 7.55L, 소디움 아세테이트 1.37kg, 3-클로로페닐 하이드라진. 염산 1.923kg 및 에틸(에톡시메틸렌)시아노아세테이트 1.854kg을 가했다. 혼합물을 환류온도, 약 95°가 될때까지 서시히 가온하고, 그 온도에서 4시간 교반했다. 혼합물을 약 10°로 냉각하고, 너무 가득차서 교반할 수 없지 않을 정도로 약간 많은 물을 첨가했다. 10°에서 약 1시간 혼합물을 교반하고 여과했다. 물로 고체물을 세척하고, 진공 깔때기 상에서 여과 덩어리(filter cake)에 공기를 주입시켜 건조시켰다. 고체물을 변성 알코올 13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가열하고 환류시켰다. 승온에서 여과하고, 교반시키면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생성물 2.195kg을 얻었다. 여액을 농축하고 연속적으로 결정화시켜 부가적인 중간 생성물 170g을 얻었다. 결국 에틸 5-아미노-1-(3-클로로페닐)-4-피라졸카복실레이트를 2.365kg 얻었다.
상기 중간체를 클로로포름 13L에 용해시키고, 주위온도에서 니트로실 클로라이드를 버블링 처리하였다. 수용액중의 소디움 니트리트 1.23kg을 농-염산 7.2L에 서서히 가해서 니트로실 클로라이드를 만들었다. 니트리트 첨가를 조절해서, 첨가 시간이 2시간 걸리고 반응혼합물의 최대 온도가 35°가 되게 했다. 니트로실 클로라이드 생성이 완결된 후에 반응혼합물을 주의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고, 혼합물을 가열 환류시키고 그 온도에서 1시간 교반했다. 냉각시키고 하룻밤 교반하고 소디움 설페이트로 탈수시키고 여과했다. 용매를 진공하 제거하고 고체물을 변성 알코올로 결정화시켜 에틸 5-클로로-1-(3-클로로페닐)-4-피라졸카복실레이트 2.002kg을 얻었다.
상기 중간체를 무수 디메틸포름아마이드 13L에 녹이고, 여기에 무수 소디움 시아나이드 686g을 첨가했다. 혼합물을 100°에서 4시간 교반하고, 주위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밤새 냉각했다. 교반하면서 혼합물을 빙수 40L에 가했다. 수성 혼합물을 약 45분간 교반하고 여과한 후 고체물을 물로 여러번 세척했다. 고체를 무수 에탄올로 재결정화시켜 에틸 1-(3-클로로페닐)-5-시아노-4-피라졸카복실레이트 1.591kg을 얻었다.
상기 중간체의 1.445kg 부분을 변성 에탄올 14L에 가하고 약 50°까지 가열했다. 여기에 부가적으로 에탄올 5L, 물 1L 및 85%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1.035kg을 가했다. 혼합물을 환류(76-77°)하에서 약 2시간 교반했다.
하룻밤 방치, 냉각시켜 주위온도가 되게 했다. 혼합물을 약 70°가 되게 다시 가열해서 모든 고체물을 용해시키고, 빙수 25-30L를 가하고, 농-염산을 가해서 pH를 1-2로 낮췄다. 10°에서 약 1시간 혼합물을 교반하고 여과했다. 고체물을 물로 세척하고 50°에서 건조시켜 원하는 생성물 1,024kg을 얻었다.
m.p. : 223-225°, 원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C11H8N3O3Cl에 대하여,
이론치 : C ; 49.73, H ; 3.04, N ; 15.82
실측치 : C ; 49.81, H ; 2.82, N ; 15.61
실시예 2
4-카복시-1-(3-플루오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에틸 5-시아노-1-(3-플루오로페닐)-4-피라졸카복실레이트 5.5g 부분 및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4.7g을 환류 온도에서 에탄올 100ml에 녹였다. 환류 온도에서 혼합물을 2시간 교반했다. 혼합물을 냉수로 희석하여 350ml가 되게 하고, 약간 가열해서 용액을 얻고 얻은 용액을 염산으로 산성이 되게 했다. 소량의 얼음을 첨가해서 생성물을 침전시키고,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수집하고 에탄올-물로 결정화시켜 목적 생성물 3.6g을 얻었다.
m.p. : 215-216°, 원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C11H8N3O3F에 대하여,
이론치 : C ; 53.01, H ; 3.21, N ; 16.87
실측치 : C ; 53.16, H ; 3.27, N ; 16.91
실시예 3
4-카복시-1-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에틸 5-시아노-1-페닐-4-피라졸카복실레이트 4g 부분을 변성 에탄올 60ml 중의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2g과 반응시켜 목적생성물 2.7g을 얻었다.
m.p. : 234-235°, 원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C11H9N3O3에 대하여,
이론치 : C ; 57.14, H ; 3.92, N ; 18.17
실측치 : C ; 57.38, H ; 3.93, N ; 18.37
실시예 4
4-카복시-1-(4-클로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에틸 1-(4-클로로페닐)-5-시아노-4-피라졸카복실레이트 3.7g을 변성에탄올 60ml 및 물 60ml 중의 소디움 하이드록사이드 2g과 반응시켜 목적생성물 2.3을 얻었다.
m.p. : 249-250°, 원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C11H8N3O3Cl에 대하여,
이론치 : C ; 49.73, H ; 3.04, N ; 15.82
실측치 : C ; 49.94, H ; 3.32, N ; 15.78
실시예 5
4-카복시-1-(2, 4-디클로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에틸 1-(2, 4-디클로로페닐)-5-시아노-4-피라졸카복실레이트 2.5g을 50% 에탄올 수용액 60ml 중의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1g과 반응시켜 정제생성물 1.2g을 얻었다.
m.p. : 239-240°, 원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C11H7N3O3C12에 대하여,
이론치 : C ; 44.03, H ; 235, N ; 14.01
실측치 : C ; 44.05, H ; 2.64, N ; 13.83
실시예 6
1-(4-브로모페닐)-4-카복시-5-피라졸카복사마이드.
에틸 1-(4-브로모페닐)-5-시아노-4-피라졸카복실레이트 3.5g 부분을 환류하에서 2시간동안 에탄올 50ml 중의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2.15g과 반응시켜 목적생성물 2.45g을 얻었다.
m.p. : 251-252.5°, 원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C11H8N3O3Br에 대하여,
이론치 : C ; 42.61, H ; 2.60, N ; 13.55
실측치 : C ; 42.84, H ; 2.72, N ; 13.29
실시예 7
4-카복시-1-(3, 4-디클로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에틸 1-(3, 4-디클로로페닐)-5-시아노-4-피라졸카복실레이트 15g을 에탄올 200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5.6g을 첨가했다. 반응혼합물을 환류하에서 1시간 교반하고, 다량의 얼음을 첨가한 후 염산을 가하여 산성이 되게 했다. 혼합물을 여과한 후, NMR 스펙트럼 분석한 결과,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4-카복시-5-시아노피라졸로 구성된 것을 발견했다. 중간체의 2g 부분을 계속해서 분석하고, 나머지 고체물을 에탄올 200ml 중에 다시 녹이고,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5.6g과 함께 환류하에서, 18시간 교반했다. 혼합물을 얼음에 붓고, 산성화시킨 후 여과했다. 고체물을 에탄올로 재결정화 시킨다음, ap에탄올을 용출제로 사용하여 모용액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한 분획을 농축 건조시키고, 잔사를 메탄올로 재결정화시켜 목적생성물을 얻었다.
m.p. : 249-250°, 원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C11H7N3O3Cl2에 대하여,
이론치 : C ; 44.03, H ; 2.35, N ; 14.00
실측치 : C ; 43.93, H ; 2.37, N ; 13.91
실시예 8
4-카복시-1-(4-메틸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에틸 5-시아노-1-(4-메틸페닐)-4-피라졸카복실레이트 10g에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5.6g 및 물 200ml를 가해서 용액을 만들었다. 혼합물을 환류하에서 8시간 교반하고, 3일간 방치했다 혼합물을 얼음에 붓고, 산성이 되게한 후 여과했다. 여과하여 얻은 고체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ml 중에서 가열하고 녹지 않은 고체물을 분리, 탈수시켜 목적생성물 4.25g을 얻었다.
m.p. : 260°분해, DMSOd6중에서 NMR 분석하여 생성물을 확인했다.
NMR : δ 2.36(s, 3), 메틸 ; 7.32(d, 2), 아로마틱, 7.45(d, 2), 아로마틱 ; 8.01(s, 1), 피라졸 ; 7.91(s, 1), 카복사마이드 ; 8.33(s, 1), 카복사마이드.
실시예 9
1-(3-브로모페닐)-4-카복시-5-피라졸카복사마이드.
에틸 1-(3-브로모페닐)-5-시아노-4-피라졸카복실레이트 14g 부분을 환류하, 에탄올 200ml 중에서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6g과 함께 2시간 교반하여 가수분해시켰다. 혼합물을 얼음에 붓고, 산성화시킨 후 여과하고, 고체를 에탄올/물로 결정화시키고 168℃에서 탈수시켜 목적생성물 10g을 얻었다.
m.p. : 215-217°분해
생성물을 CDCl3/DMSOd6중에서 NMR 분석했다.
NMR : δ 7.06(s, 1), 카복사마이드 ; 7.30-7.64(m,4), 아로마틱 ; 8.08(s, 1), 피라졸 ; 9.1(s, 1), 카복사마이드.
실시예 10
4-카복시-1-(3-메틸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에틸 5-시아노-1-(3-메틸페닐)-4-피라졸카복실레이트 9g 부분을 에탄올 200ml 중에 용해시키고,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5.8g을 가했다. 혼합물을 4시간동안 환류하 교반하고,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산성화시켰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실시예 8에서와 같이 고체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해서 목적 생성물 3.8g을 얻었다.
m.p. : 209-211°, 원소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12H11N3O3에 대하여,
이론치 : C ; 58.77, H ; 4.52, N ; 17.13
실측치 : C ; 58.58, H ; 4.63, N ; 16.85
실시예 11
4-카복시-1-(4-플루오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에틸 5-시아노-1-(4-플루오로페닐)-4-피라졸카복실레이트의 2.5g 부분을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2.6g과 혼합하고 변성에탄올 100ml 중에서 4시간동안 환류하 교반했다. 냉각시키고, 산성화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진공 농축하고 아세톤으로 재결정화시켜 목적화합물 2.8g을 얻었다.
m.p. : 232°분해, 원소분석하여 동정하였다.
C11H8N3O3F에 대하여,
이론치 : C ; 53.02, H ; 3.24, N ; 16.86
실측치 : C ; 53.27, H ; 3.02, N ; 16.69
실시예 12
4-카복시-1-(2, 3-디클로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에틸 1-(2, 3-디클로로페닐)-5-시아노-4-피라졸카복실레이트의 15g 부분을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6g과 함께 에탄올 200ml 중에서 하룻밤 환류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하고, 생성물을 함유한 분획을 수집하고 증발 건조시켰다. 잔사를 에탄올-물로 재결정화시켜 목적 생성물 1.31g을 얻었다.
m.p. : 228-230°, 생성물을 원소분석하여 동정하였다.
C11H7N3O3Cl2에 대하여,
이론치 : C ; 44.03, H ; 2.35, N ; 14.00
실측치 : C ; 44.04, H ; 2.39, N : 13.88
실시예 13
4-카복시 -1- (3-클로로-4-메틸페닐) -5-피라졸카복사마이드.
에틸 1-(3-클로로-4-메틸페닐)-5-시아노-4-피라졸카복실레이트 9.5g 부분을 에탄올 250ml에 용해시키고,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2g을 첨가했다. 혼합물을 30분간 환류하 교반했다. 물 100ml를 가하고,혼합물을 부가적으로 4시간동안 환류하 교반했다. 생성물의 분리를 시도했지만, 분리하기가 어려운 혼합물임을 알았다. 전체 반응 혼합물을 플라스크로 옮기고, 에탄올 수용액에 다시 용해시키고 증기 중탕에서 1시간동안 부가적인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6g과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초산 수용액으로 희석하고 여과하고 고체물을 탈수시켜 목적생성물 5.2g을 얻었다.
m.p. : 228-232°분해, 원소분석하여 생성물을 동정하였다.
C12H10N3O3Cl에 대하여,
이론치 : C ; 51.53, H ; 3.60, N ; 15.02
실측치 : C ; 51.80, H ; 3.36, N ; 14.92
실시예 14
메틸 5-아미노카보닐-1-(3-클로로페닐)-4-피라졸카복실레이트.
4-카복시-1-(3-클로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2.2g 부분을 메탄올 40ml에 현탁시켰다. 염화수소를 화합물중에 1분간 버블링했다. 화합물을 2시간 환류하 교반하고 빙수에 붓고, 희석 소디움 하이드록사이드 수용액으로 염기성화시켰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체를 탈수시키고 톨루엔으로 결정화시켜 목적생성물 1.7g을 얻었다.
m.p. : 191-192°, 원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C12H10N3O3Cl에 대하여,
이론치 : C ; 51.53, H ; 3.60, N ; 15.02
실측치 : C ; 51.23, H ; 3.71, N ; 14.83
실시예 15
알릴 5-아미노카보닐-1-(3-클로로페닐)-4-피라졸카복실레이트.
4-카복시-1-(3-클로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3.33g 부분을 메탄올 35ml 슬러리화하고 소디움 메톡사이드 0.68g을 가했다. 메탄올을 진공하 제거시켜 출발물질의 소디움 염을 얻었다. 얻은 염을 톨루엔 35ml 중의 트리에틸아민 1.26g 및 알릴 브로마이드 1.51g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하룻밤 환류 교반했다. 혼합물을 빙수 150ml에 붓고, 포화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용액으로 염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150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함수로 세척하고, 탈수시키고 진공 농축하여 고체를 얻고, 얻은 고체를 톨루엔으로 재결정화시켜 정제된 생성물 1.48g을 얻었다.
m.p. : 132-133°, 원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C14H12N3O3Cl에 대하여,
이론치 : C ; 55.00, H ; 3.96, N ; 13.74
실측치 : C ; 55.15, H ; 3.96, N ; 13.70
실시예 16
에틸 5-아미노카보닐-1-(3-클로로페닐) -4-피라졸카복실레이트.
4-카복시-1-(3-클로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의 2.5g 부분을 순수 에탄올 50ml에 현탁시키고 산성화시키고, 에스테르화 시킨 후, 상기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했다. 목적생성물 1.64g을 얻었다.
m.p. : 132°, 원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C13H12N3O3Cl에 대하여,
이론치 : C ; 53.16, H ; 4.12, N ; 14.31
실측치 : C ; 53.37, H ; 4.04, N ; 14.61
실시예 17
메틸 5-아미노카보닐 -1-(3-메틸페닐)-4-피라졸카복실레이트.
메탄올 30ml 중의 4-카복시-1-(3-메틸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3g의 현탁액중에 염화수소를 1분간 버블링했다. 혼합물을 2시간동안 환류 교반하고 하룻밤동안 냉각시켰다. 빙수 150ml에 붓고, 희석 가소성다 용액으로 염기성화했다. 여과하여 침전물을 회수하고, 탈수시키고 톨루엔으로 재결정화하고, 활성탄으로 처리해서 목적화합물 1.16g을 얻었다.
m.p. : 167-168°, 원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C13H13N3O3에 대하여,
이론치 : C ; 60.23, H ; 5.05, N ; 16.21
실측치 : C ; 60.18, H ; 4.99, N ; 16.08
실시예 18
4-카복시-1-(3-메틸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소디움염.
4-카복시-1-(3-메틸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3g을 에탄올 30ml 중에 슬러리화시키고. 소디움메톡사이드 0.66g을 가했다. 혼합물을 잠시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농축건조했다. 잔사를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활성탄으로 처리하고 재결정화시켰다. 생성물은 습윤성이 강했으며, 분석하기 전에 100°에서 8시간 건조시켰다. 원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C12H10N3O3Na에 대하여,
이론치 : C ; 53.94, H ; 3.77, N ; 15.72
실측치 : C ; 54.11, H ; 3.73, N ; 15.52
실시예 19
4-카복시-1-(3-클로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소디움 염.
4-카복시-1-(3-클로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6.14g 부분을 메탄올 60ml 중에 슬러리화하고, 소디움 메톡사이드 1.25g을 가했다. 혼합물을 수 분간 교반하고 여과했다. 여액을 진공농축하고, 잔사를 메탄올 50ml에 용해시키고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여 결정화시켰다. 고체를 여과 수집하고 탈수시켜 목적염 4.55g을 동종하였다.
m.p. : 274-276°, 원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C11H7N3O3ClNa에 대하여,
이론치 : C ; 45.93, H ; 2.45, N ; 14.61
실측치 : C ; 46.10, H ; 2.26, N ; 14.58
실시예 20
4-카복시-1-(3-클로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포타슘 염.
4-카복시-1-(3-클로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4.25g 부분을 85%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1.03g을 함유한 순수 에탄올 40ml 중에 슬러리화했다. 혼합물을 환류온도가 되도록 가열했다. 환류 혼합물에 소량의 물을 첨가하여 완전한 용액을 얻고, 주위온도가 되게 냉각 했다. 마지막으로, 얻은 용액을 냉장고 중에서 냉각하고 여과하여 목적화합물 3.32g을 얻었다.
m.p. : 300°이상(분해), 원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C11H7N3O3ClK에 대하여,
이론치 : C ; 43.50, H ; 2.32, N ; 13.83
실측치 : C ; 43.26, H ; 2.09, N ; 13.55
실시예 21
4-카복시-1-(3-클로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이소프로필아민 염.
4-카복시-1-(3-클로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4.25g 부분 및 이소프로필아민 1.42g을 순수 에탄올 50ml에 가하고, 수분간 교반했다. 혼합물을 농축 건조시키고 메탄올-디에틸 에테르로 재결정화시켜 목적화합물 4.4g을 얻었다.
m.p. : 157-164°, 원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C14H14N4O3Cl에 대하여,
이론치 : C ; 52.10, H ; 4.68, N ; 17.36
실측치 : C ; 52.16, H ; 4.77, N ; 17.19
실시예 22
4-카복시-1-(3-클로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테트라부틸 암모늄 염.
4-카복시-1-(3-클로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3.26g을 메탄올 50ml에 슬러리화하고, 1M 테트라부틸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용액 12ml를 가했다. 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하고, 진공 농축 건조시켜 생성물 5.2g을 얻었다.
m.p. : 12O-121°, 원소분석하여 생성물을 동정하였다.
C27H43N4O3Cl 대하여,
이론치 : N ; 11.05
실측치 : N ; 11.07
실시예 23
4-카복시-1-(3,4-디메틸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에틸 5-시아노-1-(3,4-디메틸페닐)-4-피라졸카복실레이트 2.5g 부분을 에탄올 50ml 및 물 12ml 중에서 21/4시간 환류하에서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1.3g으로 가수분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물 300ml에 부었다. 혼합물 수용액을 여과하고 농-염산으로 산성화시키고 여과했다. 고체물을 탈수시키고 에탄올/몰로 재결정화시켜 목적화합물 1.62g을 얻었다.
m.p. : 231-232.5°, 원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C13H13N3O3에 대하여,
이론치 : C ; 60.23, H ; 5.05, N ; 16.21
실측치 : C ; 60.47, H ; 4.94, N ; 16.05
제조예 1
에틸 5-클로로-1-(3-메틸페닐)-4-피라졸카복사마이드.
3-메틸페닐하이드라진.염산 38.5g 부분 및 디에틸 에톡시메틸렌말로네이트 52.4g을 에탄올 250ml 중에 슬러리화하고 혼합물에 50% 수성가성소다 46g 및 물 250ml를 가했다. 얼음 중탕으로 온도를 37°가 되게 조정했다.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하룻밤 교반하고, 에탄올을 진공하 제거했다. 결과로 얻어진 현탁액을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염을 제거했다. 고체를 디클로로메탄 200ml로 두번 세척하고, 물 1L 중에서 50°가 되게 가열했다. 염산을 가하여 혼합물의 pH를 1로 되게 산성화시키고, 주위온도에서 하룻밤 교반했다. 고체물을 여과해서 건조시켜 에틸 5-하이드록시-1-(3-메틸페닐)-4-피라졸카복실레이트 57.4g을 얻었다.
m.p. : 85-86.5°.
상기 생성물 54.4g 부분을 부탄올 100ml 및 농-염산 200ml에 가하고, 혼합물을 가열하고 환류시켰다. 카복실레이트가 없어질때까지 계속 가열하고,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확인했다. 부탄올을 진공하 제거해서 5-하이드록시-1-(3-메틸페닐)피라졸.염산 43.4g을 얻었다.
m.p. : 136 -140°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40.4g 부분을 질소하에서 10°로 냉각하고 여기에 디메틸포름아마이드 8.9g을 서서히 가했다. 혼합물을 주위온도에서 30분간 교반하고, 여기에 상기 중간체의 21.4g을 가했다. 혼합물을 50°가 되도록 잠시 가열하고 100℃에서 18시간 교반했다. 에탄올 50ml를 냉각된 혼합물에 가하고, 이것을 빙수 500ml에 부었다. 혼합물 수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250ml로 3회 추출하고, 수집된 유기층을 함수로 세척하고, 탈수 및 농축해서 오일상의 물질 23.5g을 얻었다. 오일을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석유 에테르를 가해 결정화시켜 5-클로로-1-(3-메틸페닐) -4-피라졸카복스알데히드 16.5g을 얻었다.
m.p. : 54-57°
50% 과산화수소 5.4g을 15°에서 농황산 17.2g에 적가하고, 혼합물을 주위온도에서 2시간 교반했다. 온도를 15°이하로 유지하면서 혼합물을 에탄올 41.4ml중의 상기 중간체 피라졸 4.4g의 5°용액에 적가했다. 첨가후, 혼합물을 5°로 냉각하고, 30분간 교반했다. 밤새 주위온도로 서서히 가온하고, 물 50ml로 희석했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탈수하고 진공농축해서 에틸 5-클로로-1-(3-메틸페닐)-4-피라졸카복실레이트 4.6g을 얻었다.
실시예 24
4-카복시-1-(3-에틸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3-에틸아닐린의 60.6g 부분을 0°에서 농염산 132g 및 얼음 67g에 가하고, 부가적으로 얼음 67g을 가하고 혼합물을 다시 0°로 냉각했다. 여기에 온도를 6°이하로 유지하면서 물 75ml에 녹인 소디움 니트리트 36.3g을 1시간에 걸쳐 적가했다. 동시에, 물 750ml중의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163.8g의 용액중에 설퍼 디옥사이드를 버블링 함으로써 포타슘 설파이트 용액을 제조했다. pH 이 4.7이 될때까지 설퍼 디옥사이드를 계속 첨가했다. 얼음 67g을 가하고 용액을 0°로 냉각했다.
온도가 8°까지 상승하는 동안에 2제조물을 가능한 한 빨리 혼합했다. 혼합물을 증기욕상에서 70°까지 가열하고, 그 온도에서 1시간 교반했다. 혼합물을 0°로 냉각하고, 여과하여 침전물을 분리하고 탈수시켰다. 고체물을 다량의 에탄올로 재결정화시켜 포타슘 3-에틸페닐하이드라진 설포네이트 70.9g을 얻었다.
m.p. : 195°이상(분해).
상기 중간체의 15.0g 부분을 물 150ml 및 염산 75ml중, 80°에서 소량의 활성탄과 함께 교반하고, 뜨거운 동안에 혼합물을 여과했다. 여액을 밤새 주위온도로 냉각하고 흔들자마자 즉시 침전이 생기기 시작했다. 여과하여 고체물을 분리하고, 탈수하여 3-에틸페닐하이드라진·염산 5.5g을 얻었다.
m.p. : 147-157°
연속적인 반응으로부터 얻은 상기 중간체의 10.7g을 부분을 에탄을 100ml중의 에틸(에톡시메틸렌) 시아노아세테이트 및 소디움아세테이트 10.2g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20시간 환류하 교반했다. 혼합물을 잘 저어주면서 빙수 400ml중에 서서히 붓고, 고체를 여과 분리하고, 탈수했다. 고체를 에탄올 수용액으로 재결정화시켜 에틸 5-아미노-1-(3-에틸페닐)-4-피라졸카복실레이트 12.7g을 얻었다.
m.p. : 79-79.5°
상기 중간체의 10.2g 부분을 최소량의 클로로포름중에 용해시키고, 주위온도에서 1분동안 용액중에 염화수소 가스를 버블링했다. 얼음 중탕에서 20-35°범위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20분간 용액중에 니트로실 클로라이드 가스를 버블링했다.
혼합물을 증기욕상에서 가열하여 과량의 니트로실 클로라이드를 제거하고, 상분리지로 혼합물을 탈수시키고 유기 분획을 진공 농축했다. 1,2-디클로로에탄을 용출제로 사용한 HPLC에 의해 잔사를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한 분획을 수집하고 진공 농축하여 에틸 5-클로로-1-(3-에틸페닐)-4-피라졸카복실레이트 2.9g을 오일로 얻었다.
연속 반응에 의해 얻은 상기 중간체의 8.9g부분을 디메틸 포름아마이드 35ml 및 소디움 시아나이드 3.4g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약 100°에서 6시간 가열했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부가적으로 소량의 소디움 시아나이드를 가하고, 혼합물을 100°에서 2시간 더 가열했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빙수 300ml에 부었다.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 300ml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탈수시키고 농축하고 1,2-디클로로에탄을 용출제로 사용한 HPLC에 의해 정제된 오일상의 생성물 7.9g을 얻었다. 생성물을 함유한 분획을 농축하여 에틸 5-시아노-1-(3-에틸페닐)-4-피라졸 카복실레이트 6.1g을 오일상으로 얻었다.
상기 중간체의 2.5g 부분을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1.6g을 함유한 에탄올 25ml에 가하고, 혼합물을 20분간 환류 온도에서 가열했다. 물 50ml를 가하고 혼합물을 1.5시간 환류하 가열하고, 혼합물을 물 100ml에 부었다. 혼합물을 농-염산으로 산성화시킨 후 밤새 냉각하고 여과하여 목적화합물 2.0g을 얻었다.
m.p. : 176-177.5°, 원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C13H13N3O3에 대하여,
이론치 : C ; 60.23, H ; 5,05, N ; 16.21.
실측치 : C ; 60.03, H ; 4.83, N ; 15.93.
실시예 25
4 -카복시-1-(3-메톡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3-메톡시페닐하이드라진·염산 34.9g을 부분을 초산 300ml 물 100ml, 소디움 아세테이트 36g 및 에틸(에톡시메틸렌) 시아노아세테이트 37.2g에 첨가했다. 혼합물을 증기 욕상에서 밤새 가열하고 냉각시키고,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빙수 1L에 부었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체를 공기-탈수하고 활성탄을 함유한 에탄올 수용액으로 재결정화시켜 에틸 5-아미노-1-(3-메톡시페닐)-4-피라졸카복실레이트 27.4g을 얻었다.
m.p. : 66-67°
상기 중간체의 13.3g 부분을 브로모포름 80ml중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5°로 냉각했다. 여기에, t-부틸니트리트 10.5g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주위온도가 되도록 가온하고, 증기 중탕상에서 15분간 가열했다. 진공 농축해서 검은색 오일 21.1g을 얻고,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1N 염산으로 세척하고, 물, 포화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함수로 연속해서 세척하고 탈수시킨 후 진공 농축해서 검은색 오일을 얻고, 이것을 에틸 아세테이트 : 헥산(1 : 3)을 용출용매로 사용한 HPLC에 의해 정제해서, 에틸 5-브로모-1-(3-메톡시페닐) -4-피라졸카복실레이트 10.6g을 얻었다.
m.p. : 77-79°
상기 중간체의 3.6g을 부분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 20ml중의 소디움 시아나이드 1.2g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100°에서 10시간 가열했다. 부가적으로 소디움 시아나이드 0.3g을 가하고, 혼합물을 100°에서 밤새 가열하고, 빙수 100ml에 부었다. 여과하여 침전물을 분리하고 탈수시키고, 활성탄을 함유한 에탄올로 재결정화시켜서 에틸 5-시아노-1-(3-메톡시페닐)-4-피라졸카복실레이트 1.0g을 얻었다.
m.p. : 84 -85°
상기 중간체의 0.95g 부분을 에탄올 25ml 및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0.6g에 가하고, 혼합물을 가열하고 환류시켰다. 물 10ml를 가하고, 혼합물을 1.5시간 환류하 가열했다. 냉각 및 여과하고, 여액을 물 100ml에 부었다. 수성 혼합물을 농-염산으로 산성화시키고 격렬하게 교반하고 밤새 냉각했다. 여과하여 침전물을 분리하고 탈수하고, 에탄올 수용액으로 재결정화시켜 목적화합물 0.4g을 얻었다.
m.p. : 213-216° 원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C12H11N3O4에 대하여,
이론치 : C ; 55.17, H ; 4.24, N ; 16.08.
실측치 : C ; 55.12, H ; 3.99, N ; 15.83.
회분 형성 억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본 발명 화합물을 면밀하게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를 이하에 설명한다.
시험1
본 명세서에 기륵된 실험은 미국 인디애나주 중부 지방에서 실시된 포장 실험이다. 가을에 오번(Auburn) 및 보우(Beau) 밀의 스트립을 파종함으로써 실험을 시작했다. 일부 스트립을 10월 4일에 나머지 스트립을 10월 14일에 파종했다. 일이 성장하기에 적당한 비료와 혼합하여 파종시에 포장에 비료를 주었다. 오번 및 보우 밀의 스트립 가까이에 1 : 1 : 2로 혼합된 콜드웰(Caldwell), 오번(Auburn) 및 타이탄(Titan)밀의 화분을 퍼뜨리는(pollen-shedding) 플롯을 파종했다. 화분을 퍼뜨리는 플롯을 에이커당 종자 100파운드의 비율로 10월 1일에 파종핵.
본 실험에서 사용된 시험 화합물은 상기 실시예 1의 화합물이다. 용량비로 아세톤 : 변성 알콜을 1 : 1로 혼합해서 투여용 화합물을 조제했다. 유기 용액을 물에 희석하고 투여하기에 적당하도록 폴리 소베이트 20을 0.25% 첨가했다. 투여 비율은 모두 에이커당 500갈론의 용량 비율이었고, 잎에 분무하는 방법으로 시험플롯에 투여했다.
밀을 파종한 다음해 4월 26일에 화합물을 처음 투여했다. 화합물을 복합 투여한 곳에는 일 주일 간격으로 추후 투여하였다.
오번 및 보우 밀의 밴드 사이에 시험 플롯이 놓여있게 하였으며, 오번 및 보우 밀은 화분을 퍼뜨리는 밀플롯에 의해 수분이 되는 잡종 밀을 생산하는 자성 플롯이 되었다. 각 시험 플롯의 크기는 4줄×13피트였다.
밀 이삭이 발생할때, 각 처리 플롯중의 일부 이삭(head)을 이삭 수분 투명 봉지(smail-grain pollinator glassinebag)로 감쌌다. 각 시험 플롯의 각 줄에서 5개 이삭을 봉지로 감쌌다.
종자가 형성되었을 때 봉지로 감싼 식물에서의 이삭당 종자의 수를 세어서 화분 형성이 억제되는 정도를 측정했다. 왜냐하면, 이들 종자는 다만 자가 수분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비처리 대조군 플롯중의 이삭당 종자의 수를 세는 것과 같이, 각 시험 플롯중의 봉지로 감싸지 않은 식물에서의 이삭당 종자의 수를 세었다.
각 처리 방법에 따라 두 플롯을 처리하고 다음 표에 결과를 평균치로 나타냈다.
각 밀의 변종 및 각 파종 날짜에 대하여 데이터를 따로따로 기록하였다. 먼저 파종한 플롯을 "에이커 1"이라고 기재하고 나중에 파종한 것을 "2"라 기재했다. "수정(fertility)"이라 기재된 난은 처리된 봉지로 감싼 식물의 이삭당 종자의 수가 비처리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서 기록된 것이므로 화분 형성 정도를 직접 나타낸다.
"잡종(hybrid)"이라 기재된 난은 처리하고 봉지로 감싸지 않은 식물의 이식당 종자의 수와 처리하고 봉지로 감싼 식물의 이삭당 종자의 수 사이의 차이를 비처리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서 기록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란(column)은 비처리 대조군 식물이 생성한 종자와 비교하여, 생성된 잡종 종자의 양을 기록한 것이다. "수정" 백분율을 "잡종" 백분율과 비교하여, 생성된 잡종 종자의 순도를 평가했다.
[표 1]
Figure kpo00003
10월에 밀을 파종하고 다음해 5월 4일 또는 5월 10일에 오번 및 보우 밀 플롯의 동일 구획내의 부가적인 플롯을 한번처리했다. 이들 실험 결과를 다음 표에 나타냈다.
[표 2]
Figure kpo00004
시험 2
실시예 1의 화합물을 밀의 61변종에 투여했다. 각 시험 플롯은 3×2 피트 손으로 파종하는 줄로 되어 있고, 3그룹 사이사이에는 2피트의 간격이 있었다.10월 5일에 인디애나주 중부 지방에 플롯을 파종했다. 다음해 5월 5일에 3레프리케이트중의 2플롯을 에이커당 5파운드 및 에이커 당 10파운드의 비율로 실시예 1의 화합물을 분무하고, 3번째 레프리케이트를 비처리 대조군으로 하였다.
식물을 봉지로 감쌌다. 시험 1에 기재한 방법과 동일하게, 봉지로 감싼 식물, 봉지로 감싸지 않은 식물 및 비처리 식물의 종자
Figure kpo00005
(set)을 계수했다. 이들 실험에서 사용된 화분은 시험 1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화분을 퍼뜨리는 밀 혼합물의 밴드에 의해 제공된 것이다.
비처리 대조군 식물의 수정율과 비교하여, 봉지로 감싼 처리 식물의 수정율을 다양하게 나타내는 밀 변종의 수로서, 이 실험 그룹에 대한 데이타를 요약해서 표 3에 기록했다.
[표 3]
Figure kpo00006
시험 3
본 발명 화합물을 평가하기 위해서 표준화된 온실 시험을 사용하였다. 멸균 모래/롬 토양중의 4인치 용기중에 용기 당 4종자씩 왈드론(Waldron) 밀을 파종함으로써 시험을 시작했다. 양호한 온실 환경에서 밀이 자랄 수 있게 해주었고, 시험 화합물로 식물을 3회 처리했다. 종자를 파종한 후 약 22일후에 처음 처리를 하고, 첫번째 처리 후 약 3일 및 약 10일에 2번째 및 3번째 처리를 하였다.
시험할 농도에 따라, 폴리소베이트 20을 용량비로 10% 함유한 아세톤 : 변성알코올(1 : 1, 용량비)의 5ml에 2레프리케이트에 대해 3번 투여하기 위한 적당한 화합물의 양을 용해시켜서 시험하기 위한 각 화합물의 조성물을 조제했다. 용해되지 않는 화합물을 용매중에 미세하게 분산시켰다. 주위온도에서 유기 혼합물을 30ml가 되게 탈이온수로 희석했다. 수성 현탁액을 2개 용기의 밀 잎에 고르게 분무했다.
각 시험에서 비처리 대조군을 준비했다.
처리한 식물이 생성하는 작은 이삭(spikelet)의 수 및 작은 이삭당 종자의 수로서 실험 결과를 기록했다. 정상 식물당 작은 이삭의 평균 수는 약 15이며, 작은 이삭당 종자의 수는 약 1.5-2.5범위에서 변한다.
다음 표에, 레프리케이트 실험 결과를 평균치로 나타냈다. 실험 결과가 동시에 행한 비처리 대조군의 결과와 다르지 않을때, 비활성을 단순히 "N"으로 나타냈다.
[표 4]
Figure kpo00007
[표 5]
Figure kpo00008
[표 6]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표 7]
Figure kpo00012
[표 8]
Figure kpo00013
[표 9]
Figure kpo00014
[표 10]
Figure kpo00015
[표 11]
Figure kpo00016
[표 12]
Figure kpo00017
시험 4
4일 간격으로 화합물을 오직 2번 투여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시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방법 및 데이타를 기록하는 방법은 동일하다.
[표 13]
Figure kpo00018
시험 5
시험예 4의 시험방법을 다시 적용하였지만, 이 경우에 있어서 화합물을 2번 투여하는 사이의 간격은 6일이었다.
[표 14]
Figure kpo00019
Figure kpo00020
Figure kpo00021
Figure kpo00023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이며, 또한 본 화분 형성을 억제하는 방법의 실시를 위해 바람직한 화합물은 4-카복시-1-(3-클로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4 -카복시-1-(3-메틸페닐)-5-피졸카복사마이드, 4-카복시-1-(3-에틸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4-카복시-1-(3,4-디클로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및 4-카복시-1-(3-메톡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이다. 방금 열거한 화합물의 알칼리 금속염, 암모늄 염 및 모노, 디 및 트리(C1-C4알킬)아민 염은 본 발명의 또한 바람직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분 형성 억제 처리에 감수성인 식용 농작물에서 화분 형성을 억제하는데 유용하며, 투여하기 위해서 화합물을 혼합한 조성물 및 화분 형성을 억제하기 위해서 화합물을 투여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이다.
꽃밥이 형성되기 전에, 화합물을 식물에 투여해야 한다. 식물의 이삭은 일정시간동안에 성숙하고 같은 포장중의 다른 식물은 다른 시기에 성숙한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우수한 결과를 얻을려면, 처리 할 포장중의 대부분의 성숙한 식물에서 꽂밥이 형성되기 전에 화합물을 투여해야 한다.
밀 및 보리에서, 식물의 이삭이 겨우 지표면에 있는 동안, 즉 길이가 약 2mm일때, 꽃밥이 발생하며, 식물은 약 4-5개 잎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삭이 성장하고 꽃밥이 성장하는 시기를 예정하기 위해서 때때로 견본 식물을 절단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삭 길이가 다만 몇 mm일때 화합물을 투여하면 우수한 결과를 얻는다. 적당한 처리 시기를 정하기 위해서, 다른 식물에서의 발생 징후를 비교해 보는 것이 좋다.
꽃밥이 형성되기 전에, 화합물을 식물에 단순히 투여하는 것이 아니라, 공급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공급(supplying)"이란 용어는 식물이 화합물을 흡수하고, 화합물이 목표 기관에 유효하도록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경우에 있어, 꽃밥이 형성되기 전에, 화합물이 흡수 공급되도록 화합물을 일찍 충분히 투여해야 한다.
본 발명을 실시할 경우에는 본 발명 화합물의 유효량을 식물 또는 식물이 자라는 토양에 투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화합물을 잎에 투여할때 분산제중의 화합물의 농도를 고려하여 유효량을 정할 수도 있고, 또 바람직하게는 토지 단위 면적당 투여할 화합물의 양을 고려하여 유효량을 정할 수도 있다. 화합물의 농도는 유용한 척도이다. 왜냐하면, 잎에 투여할 화합물의 양은 잎이 보지하는 분산액의 양에 의해 제한될 것이기 때문이다. 주어진 식물의 크기에 대하여, 식물이 보지하는 화합물의 양은 일정하기 때문에 단지, 분산액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이러한 방법으로 투여하는 화합물의 양을 증가시킨다. 사정에 따라서, 화합물의 유효농도는 중량비로 백만당 약 100-약 2000부 범위이다. 유효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잎의 즙이 많은 정도, 잎의 성장 속도 및 투여시의 기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잎에 투여할 경우의 바람직한 농도는 중량비로 백만당 약 500-약 1500부이다.
토지 단위 면적당 용량으로 화합물 투여량을 정해서, 토양에 투여하거나 잎에 투여할때 이용한다. 물론, 잎에 투여한 조성물이 모두 잎에 뭍어있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항상 잎에 투여한다는 것은 결국 일부 토양에도 투여하는 결과가 된다는 것은 당연하다. 일반적으로 농지 에이커당 약 1-약 40파운드의 화합물 비율이 유용하다. 에이커당 약 1-약 20파운드의 비율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을 에이커당 약 1-약 10파운드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다.
중복 투여(multiple dose) 방법으로 화합물을 투여하면, 효과가 더욱 우수하며, 중복 투여 형태로 투여할때는 총 화합물의 양이 더욱 적은 것이 효과적이라는 몇몇 징후가 있다. 모든 쉼이 동시에 꽂밥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중복 투여하면, 화합물을 오랫동안 농장 또는 토양에 저장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에 비추어 그 결과를 알 수 있다.3-10일 간격으로 화합물을 2-4회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잎에 투여할때 본 발명 화합물을 2-4회 투여하고, 각 투여시마다 에이커당 화합물을 약 1/4-약 3파운드의 비율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더우기, 각 투여시마다 중량비로 화합물을 백만당 약 200-약 1000부 함유하는 분산제를 투여하고, 식물의 잎을 도포하기 위해서 분산제를 투여하는 경우에, 화합물을 2-3회 투여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히 바람직한 투여방법은 한번 투여시에 에이커당 화합물 약 1-약 10파운드의 비율로 식물이 자라는 토양에 투여하는 것이다.
화분 형성을 억제하기 위해서 본 발명 화합물을 투여하는 식물은 밀, 보리, 옥수수, 귀리, 호밀, 쌀, 수수 및 트리티케일을 비롯한 식용 농작물이다. 바람직한 종은 밀, 보리, 호밀 및 트리티케일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종은 밀 및 보리이고, 가장 바람직한 종은 밀이다.
특히 본 발명 화합물을 투여한 식물은 그러한 처리에 감수성인 식물에 한정된다. 즉, 화합물을 적당히 투여했을때, 화합물이 화분 형성을 억제하는 식물에 한정된다.
변종들간에 동일 변종내에서 개체간에 현저한 편차가 관찰되기 때문에 이렇게 식물을 한정한다. 예를 들어, 보리에서, 일부 변종은 활성을 위해 기타 변종들이 필요로 하는 만큼 많은 화합물을 여러번 필요로 한다. 한편, 밀중의 개체간 활성차는 비교적 작다.
다른 종의 경우에 옥수수가 특히 좋은 예이지만, 화합물에 대한 개체간 감수성차는 변종간의 차보다 더욱 해석하기 어렵다. 옥수수의 경우에, 모든 식물이 감수성인 변종은 없지만 개체 감수성인 식물이 있다. 그러므로, 그러한 종에서 감수성 식물을 검색하고, 이들 식물이 생성한 종자를 사용해서 교배에 사용하기 위한 감수성 식물의 변종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특히 옥수수와 같은 종의 경우에, 본 발명을 적당히 이용하기 위해서 몇몇 실험이 필요하다. 그러나, 식물 경작자들은 그 실험을 잘 알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시험의 특징은 본 명세서의 시험 부분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며, 숙련된 독자는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및 본 명세서의 내용에 의해 감수성인 식물 또는 변종을 동정하고 화합물의 적당한 투여 농도를 결정하는 통상적인 실험 계획을 쉽게 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은 본 발명의 화분 형성 억제법을 이용한 잡종 종자의 생산이다. 웅성 및 자성 친 식물이 될 변종의 종자를 분리된 그렇지만 인접한 플롯에 파종한다. 물론 자성 친 변종은 본 발명의 처리에 감수성이어야 한다. 플롯의 크기 및 위치가 중요하다. 옥수수의 경우와 같이, 밀 및 보리와 같은 일부 종은 다량의 화분을 생성하지 않으므로, 화분이 멀리 날라가서 자성 식물을 높은 백분율로 수분시키는 것을 기대할 수 없다. 그러므로, 자성 플롯은 상대적으로 좁아야 한다.
예를 들어, 플롯의 긴축이 부는 바람을 가로 질러 향하게 하고, 폭은 다만 몇줄인 긴 하나 걸러 플롯에 웅성 및 자성 친 종자를 효과적으로 파종했다.
새싹(tiler)이 성장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자성 친 변종 종자를 조밀하게 파종하는 것이 유리하다. 왜냐하면, 새싹(tiler)은 주 식물보다 늦게 성장하므로, 새싹 이 있게되면 화합물을 투여할 적당한 시기를 결정하는데 혼동이 생기기 때문이다.
상세하게 전술한대로, 적당한 시기에 자성 친 플롯에 화합물을 투여해서, 이들 식물이 화분을 생성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들 식물은 웅성 친 식물에 의해 수분이 돼서 잡종 종자를 생성하며, 이들 잡종 종자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확된다.
본 발명 화합물을 혼합한 조성물은 여러 형태가 있다. 본 화합물은 식물의 잎에 투여할때나 식물이 자라는 토양에 투여할때 모두 유용하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농화학적 조성물의 모든 물리적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가장 경제적이고 바람직한 조성물은 농축물-유화성 또는 물-분산성 조성물이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조성물은 유화성 농축물, 현탁 농축물 및 수화성 분말 및 과립제를 포함하며, 이것들은 모두 농화학 분야에서 통상적인 것이다. 그러나, 이것들에 대해 검토한 이유는 완전히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농축 조성물중의 화합물의 농도는 본 화합물의 이용과는 완전히 무관하다. 그러한 조성물을 투여하기 위하여 물중에 희석한다. 화합물의 투여 비율은 조성물을 물중에 희석하는 비율, 또는 농토 면적당 투여하는 조성물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이렇게 해서, 농축된 조성물로부터 목적하는 투여 비율을 얻었다. 그러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활성성분을 약 1-약 95% 함유한다.
본 화합물의 유화성 농축물은 수-혼화성 유기용매 및 유화제의 혼합물인 식물학적으로 이용가능한 희석제중에 용해된 화합물의 통상적인 농도를 함유한다. 일반적으로, 이용가능한 유기용매는 방향족, 특히 크실렌계 및 석유분획, 말하자면 중질방향족 나프타와 같은 특히 석유의 나프탈렌 및 올레핀 분획을 포함한다. 로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테르핀계 용매 및 2-에톡시에탄올과 같은 복합 알코올도 또한 종종 사용되며, 디메틸아세타마이드와 같은 아마이드는 특히 본 화합물과 사용가능하다. 유화성 농축물을 위한 적당한 유화제는 일반적으로 중량비로 농축물의 약 1-약 10% 범위의 양으로 사용되며, 알킬-벤젠설포네이트류, 알킬설페이트류, 알킬페놀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과 같은 비이온성 물질중에서 선택되며, 특히 알킬설페이트의 금속 및 아민염중에서 선택된다.
수화성 분말은 화합물 및 불활성 담체 및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식물학적으로 이용가능한 희석제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불활성 담체는 어태풀지트 점토, 몬트모릴로니트 점토, 규조트 및 정제 실리카와 같은 쉽게 물에 분산되는 분말상 물질중에서 선택된다. 수화성 분말용 계면활성제는 설폰화 리그닌류 및 나프탈렌 설포네이트류 및 전술 유화성 농축물에 대해 예로든 것중에서 선택된다. 수화성 분말을 과립형태로 압착해서 수화성 과립을 만를 수 있으며, 수화성 과립은 먼지가 없으며, 계량하기에 용이하고 붓기에 용이하다는 잇점이 있다. 물에 첨가했을때, 적당히 혼합된 수화성 과립제는 분산되어 미세한 현택액이 된다.
식물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수성 희석제중에 미세분말 형태로 분산 및 현탁된 화합물을 경제적인 목적으로 비교적 고농도 함유한 현탁제 형태로 화합물을 조제할 수도 있다 현탁제용 계면활성제계는 수화성 분말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하지만, 장기간 화합물을 분산된 형태로 유지할 수 있어야만 한다. 화합물 입자가 현탁액중에 비교적 밀집되게 존재하도록 하기 위해서, 현탁액중에 불활성 염을 용해시키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용액의 밀도를 조정하는 것이 때때로 적당하다.
농축 조성물을 희석하여 제조한 화합물의 수성 분산제를 잎에 투여할때, 보조제를 사용하면 분산제가 잎을 습윤시키는 힘 및 잎에 부착되는 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식물성 검, 유화된 폴리부텐류, 양이온성 및 기타 계면활성제 및 리그닌 유도체와 같은 보조제를 종종 사용한다. 본 발명 화합물의 수성 분산제중에 보조제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고 규칙적으로 결과를 개선시킨다. 재배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시판보조제 및 통상적인 계면활성제도 분산제중에 몇십 퍼센트 범위의 농도로 유효하게 사용된다.
농축 조성물의 수성 분산제를 잎 또는 식물이 자라는 토양에 투여한다. 토양에 투여할 경우에는 과립제 형태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효과적이다. 과립형태의 농업용 조성물은 통상적인 투여입자 크기를 가진 과립상 담체에 대해 통상적으로 약 1-약 10% 중량비의 비교적 낮은 농도로 사용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전형적으로 입자 크기 범위는 표준 미국 체 크기 기준에 의거하여 20-60메쉬이다. 점토, 모래,분말화된 돌, 콘코브 그릿 등과 같은 담체가 종종 사용되며, 용이성 및 경제성에 따라 선택된다. 화합물 및 담체가 아닌 보조제 또는 기타 성분을 화합물을 담체에 적용하는 용매의 소량과 함께 사용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불필요하다. 또한 담체를 분말 형태로 공급할 수도 있고, 분말 담체를 분말 화합물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압착하고 혼합물을 원하는 입자 크기가 되도록 과립화해서 조성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의 조성물의 다음과 같은 특이한 예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후술하는 조성물은 화합물을 조제하는 방법의 단순한 예이며, 예로든 모든 조성물은 전술한 시험에서 사용되었다. 농화학자는 다음 조성물을 예로 삼아 본 발명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사용하여 목적하는 조성물 형태를 쉽게 제조할 수 있다.
조성물 1
0.4% 과립제
실시예 1의 화합물 0.4%
30/60메쉬 어태풀지트 99.6%
조성물 2
1% 과립제
실시예 1의 화합물 1.03%
30/60메쉬 어태풀지트 98.97%
조성물 3
1.2% 과립제
실시예 1의 화합물 1.24%
30/60메쉬 어태풀지트 98.76%
조성물 4
2% 과립제
실시예 1의 화합물 2.06%
30/60메쉬 어태풀지트 97.94%
조성물 5
3% 과립제
실시예 1의 화합물 3.09%
30/60메쉬 어태풀지트 96.91%
조성물 6
4% 과립제
실시예 1의 화합물 4.12%
30/60메쉬 어태풀지트 95.88%
조성물 7
5% 과립제
실시예 1의 화합물 5.15%
30/60메쉬 어태풀지트 94.85%
조성물 8
6% 과립제
실시예 1의 화합물 6.19%
30/60메쉬 어태풀지트 93.81%
조성물 9
10% 과립제
실시예 1의 화합물 10.31%
30/60메쉬 어태풀지트 89.69%
조성물 10
15% 과립제
실시예 1의 화합물 15.46%
30/60메쉬 어태풀지트 84.54%
조성물 11
0.5% 과립제
실시예 10의 화합물 0.52%
30/60메쉬 어태풀지트 99.48%
조성물 12
1.5% 과립제
실시예 10의 화합물 1.55%
30/60메쉬 어태풀지트 98.45%
조성물 13
2.5% 과립제
실시예 10의 화합물 2.58%
30/60메쉬 어태풀지트 97.42%
조성물 14
3.75% 과립제
실시예 10의 화합물 3.75%
30/60메쉬 어태풀지트 96.13%
조성물 1-14 모두는 화합물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의 적당량중에 용해시키고, 담체에 용액이 스며들게 해서 제조된다. 필요하면, 고온에서 용매를 농축한다.
조성물 15
1파운드/갈론 현탁액
실시예 10 화합물 12.1%
플루로닉 P-104(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0%
실리콘 기포 억제제 0.2%
프로필렌글리콜 6.0%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1.0%
크산탄 검 0.1%
물 79.6%
어트리션 밀중에서, 화합물을 P-104, 거품 억제제 및 물과 함께 45분간 분쇄하고, 나머지 성분과 혼합한다.
조성물 16
25% 수화성 분말
실시예 10의 화합물 26.9%
음이온성 습윤제를 함유한 리그닌 소디움 염 10.0%
정제 실리카 10.0%
카올린 점토 53.1%
상기 성분을 완전히 혼합하고, 햄머밀을 통과시키고 에어 임팩트 밀을 통과시켜 혼합물을 분쇄했다.
조성물 17
0.5파운드/갈론 현탁제
실시예 10의 화합물 6.2%
터지톨 TMN-6(비이온성 계면활성제) 5.0%
정제 실리카 0.5%
실리콘 기포 억제제 0.1%
2% 크산탄 검 5.0%
물 83.2%
현미경으로 관찰했을때, 입자의 50%가 1미크론보다 작을때까지 화합물과 물, 실리카 및 기포 억제제를 어트리션 밀중에서 분쇄한 다음 현탁액을 나머지 성분과 혼합했다.
조성물 18
1파운드/갈론 현탁제
실시예 10의 화합물 12.1%
터지톨 TMN-6 1.0%
폴리폰 H(리그닌 설포네이트 염) 2.0%
5%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현탁액 20.0%
2% 크산탄 검 현탁액 5.0%
실리콘 기포 억제제 0.2%
물 59.7%
어트리션 밀중에서, 화합물을 터지톨, 폴리폰 및 물과 분쇄하고 나머지 성분과 혼합했다.
조성물 19
1파운드/갈론 현탁제
실시예 10의 화합물 12.1%
터지톨 TMN-6 1.0%
폴리폰 H 2.0%
5%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현탁액 20.0%
2% 크산탄 검 현탁액 5.0%
프로필렌글리콜 6.0%
실리콘 기포 억제제 0.2%
물 53.7%
어트리션 밀중에서 화합물을 터지톨, 폴리폰 및 물과 분쇄하고 나머지 성분과 혼합했다.
조성물 20
1파운드/갈론 현탁제
실시예 10의 화합물 12.1%
마콘 12(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0%
5%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현탁액 20.0%
2% 크산탄 검 현탁액 5.0%
실리콘 거품 억제제 0.2%
물 61.7%
어트리션 밀중에서 화합물을 마콘, 기포 억제제 및 물과 함께 분쇄하고, 나머지 성분과 혼합했다.
조성물 21
1파운드/갈론 현탁제
실시예 10의 화합물 12.1%
마콘 12 1.0%
프로필렌글리콜 6.0%
5%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현탁액 20.0%
2% 크산탄 검 현탁액 5.0%
실리콘 기포 억제제 0.2%
물 55.7%
어트리션 밀중에서 화합물을 마콘, 기포 억제제 및 물과 함께 분쇄하고, 나머지 성분과 혼합했다.
조성물 22
1파운드/갈론 현탁제
실시예 10의 화합물 12.1%
플루로닉 P-104 1.0%
5%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현탁액 20.0%
2% 크산탄 검 현탁액 5.0%
실리콘 거품 억제제 0.2%
물 61.7%
어트리션 밀중에서 화합물을 플루로닉, 거품 억제제 및 물과 함께 분쇄하고, 나머지 성분과 혼합했다.
조성물 23
1파운드/갈론 현탁제
실시예 10의 화합물 12.1%
플루로닉 P-104 1.0%
5% 마그네슘 암루미늄 실리케이트 현탁액 20.0%
2% 크산탄 검 현탁액 5.0%
실리콘 거품 억제제 0.2%
프로필렌글리콜 6.0%
물 55.7%
어트리션 밀중에서 화합물을 플루로닉, 거품 억제제 및 물과 함께 분쇄하고, 나머지 성분과 혼합했다.
조성물 24
1파운드/갈론 현탁제
실시예 1의 화합물 12.1%
마콘 12 5.0%
프로필렌글리콜 6.0%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1.0%
크산탄 검 현탁액 0.1%
실리콘 거품 억제제 0.2%
물 75.6%
화합물을 마콘, 거품 억제제 및 물과 함께 분쇄하고, 나머지 성분과 혼합했다.
조성물 25
1파운드/갈론 현탁제
실시예 10의 화합물 12.1%
마콘 12 10.0%
프로필렌글리콜 6.0%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1.0%
크산탄 검 현탁액 0.1%
실리콘 거품 억제제 0.2%
물 70.6%
어트리션 밀중에서, 화합물을 마콘 절반량, 거품 억제제 및 물과 함께 분쇄하고 나머지 성분과 혼합했다.
조성물 26
1파운드/갈론 현탁제
실시예 1의 화합물 12.2%
터지톨 TMN-6 10.0%
정제 실리카 1.0%
2% 크산탄 검 현탁액 10.0%
실리콘 거품 억제제 6.2%
폴리폰 0.3%
물 66.3%
어트리션 밀중에서, 입자 50%의 크기가 코울터 카운터로 검사했을때 1.9미크론 이하가 될때까지 화합물을 실리카, 터지톨 및 물과 함께 분쇄했다. 분쇄한 현탁액을 나머지 성분과 혼합했다.
조성물 27
25% 수화성 분말
실시예 1의 화합물 25.8%
리그닌 소디움 염+음이온성 습윤제 10.0%
정제 실리카 10.0%
카올린 점토 54.2%
실현실용 에어 임팩트 밀에서 입자 50%의 크기가 코울터 카운터로 검사했을때,4.1미크론 이하가 될때까지 혼합물을 분쇄했다.
조성물 28
5% 현탁제
실시예 1의 화합물 5.0%
소디움 나프탈렌 포름알데히드 농축물 3.0%
30% 포름알데히드 0.4%
크산탄 검 0.4%
프로필렌글리콜 5.0%
물 86.2%
평균 입자 크기가 3미크론이 될때까지 혼합물을 분쇄했다.
조성물 29
5% 현탁제
평균 입자 크기가 6미크론이 될때까지 혼합물을 분쇄했다는 것을 제외하고, 본 조성물은 조성물 28과 동일하다.
조성물 30
5% 과립제
실시예 1의 화합물 5.0%
25/50메쉬 어태풀지트 95.0%
조성물 31
5% 과립제
실시예 1의 화합물 5.0%
염료 1.0%
25/50메쉬 어태풀지트 94.0%
조성룰 32
5% 과립제
실시예 1의 화합물 5.0%
모래 95.0%
화합물을 N-메틸피롤리딘중에 용해시키고, 용액의 적당량을 담체와 혼합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조성물30-32를 제조했다.

Claims (8)

  1. 다음 구조식(II)의 니트릴을 가수분해시켜서 R3가 하이드록시인 구조식(I) 화합물을 제조하고 임의로 염류와 또는 에스테르화시키거나 R3가 하이드록시기가 아닌 구조식(I) 화합물로 전환시켜서 구조식(I)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24
    Figure kpo00025
    상기식에서, R,R1및 R2는 독립적으로 할로, C1-C4알콕시, C1-C4알킬 또는 수소를 의미하고(단, R,R1및 R2중의 적어도 1개는 수소이며, 또한 R 및 R1중의 다만 하나만이 수소아닌 다른 그룹을 의미할때, R2는 수소아닌 다른 기를 의미한다) ; R3는 하이드록시 C1-C4알콕시, C2-C4알케닐옥시 또는 카복실산염을 형성하는 식물학적 이용가능한 잔기를 의미한다.
  2. 구조식(I) 화합물
    Figure kpo00026
    상기식중, R,R1및 R2는 R,R1과 R2중 적어도 하나가 수소이고, 또한 R과 R1중 어느 하나만이 수소가 아닌 다른기 일때 R2가 수소가 아닌 다른기를 의미한다는 조건하에 독립적으로 할로, C1-C4알콕시, C1-C4알킬 또는 수소를 나타내고 ; R3은 하이드록시, C1-C4알콕시, C2-C4알케닐옥시 또는 카복실산 염을 형성하는 식물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잔기를 나타낸다.
  3. 제 2 항에서, R,R1및 R2가 독립적으로 클로로, 브로모, 플루오로, C1-C3알킬 또는 수소를 나타내고, R3가 메톡시, 에톡시, 알릴옥시 또는 카복실산 염을 형성하는 식물학적으로 적용가능한 잔기를 나타내는 구조식( I )의 화합물.
  4. 제2 또는 3항에서, R3가 하이드록시 또는 카복실산 염을 형성하는 식물학적으로 적용가능한 잔기를 나타내는 구조식(I)의 화합물.
  5. 제 2 항에서, R과 R2가 수소를 나타내고, R1은 수소가 아닌 구조식(I)의 화합물.
  6. 제 2 항에서, 4-카복시-1-(3-클로로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또는 그 염.
  7. 제 2 항에서, 4-카복시-1-(3-메틸페닐)-5-피라졸카복사마이드 또는 그 염.
  8. 제 2 항에서, 구조식(I)인 화합물과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식물학적으로 적용가능한 희석제를 함유하는 화분 형성 억제 조성물.
KR1019850007017A 1984-09-25 1985-09-24 화분 형성을 억제하는 피라졸류 화합물의 제조방법 KR910002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5406184A 1984-09-25 1984-09-25
US754061 1984-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472A KR860002472A (ko) 1986-04-26
KR910002078B1 true KR910002078B1 (ko) 1991-04-03

Family

ID=24623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017A KR910002078B1 (ko) 1984-09-25 1985-09-24 화분 형성을 억제하는 피라졸류 화합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2) US4666504A (ko)
EP (1) EP0177242B1 (ko)
JP (1) JPS6187668A (ko)
KR (1) KR910002078B1 (ko)
CN (1) CN1016398B (ko)
AT (1) ATE49197T1 (ko)
AU (1) AU581927B2 (ko)
BG (1) BG60351B2 (ko)
BR (1) BR8504722A (ko)
CA (1) CA1262911A (ko)
CS (1) CS259532B2 (ko)
DD (1) DD236870A5 (ko)
DE (1) DE3575129D1 (ko)
DK (1) DK432685A (ko)
DO (1) DOP1985004354A (ko)
ES (1) ES8703141A1 (ko)
FI (1) FI853644L (ko)
GR (1) GR852318B (ko)
HU (1) HU196291B (ko)
IL (1) IL76463A0 (ko)
NZ (1) NZ213590A (ko)
PH (1) PH21852A (ko)
PL (1) PL148599B1 (ko)
PT (1) PT81174B (ko)
RO (1) RO92792B (ko)
SU (1) SU1440343A3 (ko)
ZA (1) ZA8573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1326A (en) * 1986-03-19 1989-01-31 Eli Lilly And Company 1-phenylpyrazole-4,5-dicarboxylic acid derivatives, composition containing them, and pollen formation inhibiting method of using them
US4966623A (en) * 1986-03-19 1990-10-30 Ackmann Stephen A Use of gametocidal pyrazoles to produce hybrid seed
KR870008849A (ko) * 1986-03-19 1987-10-21 메어리 앤 턱커 생식자 박멸효능을 갖는 피라졸류
US4913604A (en) * 1987-09-23 1990-04-03 Vargus Ltd. Tool Manufacturing Co. Thread milling tool
EP0366792A1 (de) * 1988-03-17 1990-05-09 Vsesojuzny Nauchno-Issledovatelsky Inst. Selskokhozyaistv. Biotekh. Vsesojuznoi Ak. Selskokhozyaistv. Nauk Imeni V.I. Lenina Verfahren zur sterilisation von pflanzlichen pollen
DE3931786A1 (de) * 1989-09-23 1991-04-04 Basf Ag Pyrazol-3-carbonsaeureamide
ID21775A (id) * 1996-10-25 1999-07-22 Yoshitomi Pharmaceutical Senyawa-senyawa 1-fenilpirazol dan penggunaan farmasinya
DK175612B1 (da) * 2003-11-11 2004-12-27 Vks Inventa As Ophængningsarrangement samt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t sådant arrangement
CN110731265B (zh) * 2019-12-05 2021-04-02 河北省农林科学院旱作农业研究所 一种饲用小黑麦新种质的杂交选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2163A (en) * 1970-01-30 1975-11-25 Upjohn Co Organic compounds and process
US4147528A (en) * 1973-04-23 1979-04-03 Rohm And Haas Company 6-Oxopyrimidine plant growth regulators
US4134987A (en) * 1976-01-14 1979-01-16 Huppatz John L Compounds and compositions
US4345934A (en) * 1977-03-10 1982-08-24 Rohm And Haas Company Method of producing hybrid cereal grain seeds by application of 1-aryl-1,4-dihydro-4-oxo(thio)-pyridazines
US4238220A (en) * 1977-07-15 1980-12-09 Rohm And Haas Company 1-Aryl-5-carboxy-2-pyridones and derivatives thereof
DE2747531A1 (de) * 1977-10-22 1979-04-26 Basf Ag Substituierte 3-aminopyrazole
DE2829289A1 (de) * 1978-07-04 1980-01-24 Basf Ag Pyrazolaetherderivate
FR2486940A1 (fr) * 1980-07-18 1982-01-22 Ugine Kuhlmann Procede de preparation de phenyl-1 carbamoyl-3 pyrazolones-5
GR75799B (ko) * 1980-10-03 1984-08-02 Ici Plc
DE3129429A1 (de) * 1981-07-25 1983-02-10 Basf Ag, 6700 Ludwigshafen 5-amino-1-phenyl-pyrazol-4-carbonsaeure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bekaempfung unerwuenschten pflanzenwuchses
KR870008849A (ko) * 1986-03-19 1987-10-21 메어리 앤 턱커 생식자 박멸효능을 갖는 피라졸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148599B1 (en) 1989-11-30
HUT39329A (en) 1986-09-29
AU4768085A (en) 1986-06-05
KR860002472A (ko) 1986-04-26
CA1262911A (en) 1989-11-14
EP0177242A2 (en) 1986-04-09
US4666504A (en) 1987-05-19
US4775409A (en) 1988-10-04
CS678385A2 (en) 1988-03-15
CS259532B2 (en) 1988-10-14
BR8504722A (pt) 1986-07-22
ES8703141A1 (es) 1987-02-01
EP0177242A3 (en) 1986-05-28
PT81174B (pt) 1988-01-22
AU581927B2 (en) 1989-03-09
RO92792B (ro) 1987-12-01
PH21852A (en) 1988-03-25
JPS6187668A (ja) 1986-05-06
FI853644L (fi) 1986-03-26
RO92792A (ro) 1987-11-30
CN85107078A (zh) 1987-04-01
DD236870A5 (de) 1986-06-25
GR852318B (ko) 1986-01-24
PL255491A1 (en) 1987-08-24
NZ213590A (en) 1988-08-30
ZA857343B (en) 1986-07-30
ES547260A0 (es) 1987-02-01
DE3575129D1 (de) 1990-02-08
EP0177242B1 (en) 1990-01-03
FI853644A0 (fi) 1985-09-23
BG60351B2 (bg) 1994-11-30
HU196291B (en) 1988-11-28
IL76463A0 (en) 1986-01-31
SU1440343A3 (ru) 1988-11-23
DK432685A (da) 1986-03-26
DK432685D0 (da) 1985-09-24
CN1016398B (zh) 1992-04-29
PT81174A (en) 1985-10-01
ATE49197T1 (de) 1990-01-15
DOP1985004354A (es) 199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37488C1 (ru) Производные 3-циано-5-алкокси-1-арилпиразолов и композиция на их основе
US4643757A (en) Herbicidal 4-benzoyl-1-methyl-5-hydroxypyrazoles
US4345934A (en) Method of producing hybrid cereal grain seeds by application of 1-aryl-1,4-dihydro-4-oxo(thio)-pyridazines
KR910002078B1 (ko) 화분 형성을 억제하는 피라졸류 화합물의 제조방법
US4059434A (en) Cycloalkanapyrazole herbicides
JPH0225886B2 (ko)
US4661145A (en) Plant growth regulating 1-aryl-1,4-dihydro-4-oxo(thio)-pyridazines
JPH05140126A (ja) トリアゾール誘導体および除草剤
US4915727A (en) Plant male sterilant
JPH05178844A (ja) 除草性化合物
JPH04234368A (ja) 4,5,6,7−テトラヒドロ−3−アリール−インダゾール、そ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除草剤としてのそれらの用途
US4753674A (en) Herbicidal composition containing a phenoxyalkylamide derivativ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eeds by the use of the same
GB2145411A (en) Gametocidal pyridazinylcarboxylic acid derivatives
US4108628A (en) Cycloalkanopyrazole herbicides mixtures
US4055409A (en) Pyrazole plant growth regulants
US4801326A (en) 1-phenylpyrazole-4,5-dicarboxylic acid derivatives, composition containing them, and pollen formation inhibiting method of using them
CS196411B2 (en) Cereals growth regulator
US4966623A (en) Use of gametocidal pyrazoles to produce hybrid seed
HU206598B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pollen-forming containing pyrazol derivatives as active component
US4902808A (en) Process for preparing 4-carboxy-1-(3,5-dimethylphenyl)-5-pyrazolecarboxamide
US4462821A (en) Substituted thiosemicarbazides, their manufacture and use as plant growth regulants
JP2514016B2 (ja) インド―ル誘導体
JPS5976068A (ja) 複素環式化合物、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らを含む除草剤組成物
KR900001162B1 (ko) 식물성장 조절용 트리아졸류
KR810000185B1 (ko) 사이클로알칸 아피라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222 Remand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REMAND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