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767B1 - 다중식 (多重式) 압연기 - Google Patents

다중식 (多重式) 압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767B1
KR910001767B1 KR1019840001044A KR840001044A KR910001767B1 KR 910001767 B1 KR910001767 B1 KR 910001767B1 KR 1019840001044 A KR1019840001044 A KR 1019840001044A KR 840001044 A KR840001044 A KR 840001044A KR 910001767 B1 KR910001767 B1 KR 910001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support
rolls
work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834A (ko
Inventor
발트 빌프리드
쉬토이 에리히
뢰멘 한스
프리드리히 하이스터 캄프 한스
Original Assignee
에스. 엠. 에스 슈레에만-지이마아크, 악티엔게젤샤프트
알브레흐트 멜러, 빌헬름 브로흐하우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 엠. 에스 슈레에만-지이마아크, 악티엔게젤샤프트, 알브레흐트 멜러, 빌헬름 브로흐하우젠 filed Critical 에스. 엠. 에스 슈레에만-지이마아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40007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4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having 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Back-up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4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having 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Back-up rolls
    • B21B13/145Lateral support devices for rolls acting main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ement of the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중식(多重式) 압연기
제1도는 다중식 압연기의 수직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Ⅱ에 의해 둘러싸여진 부분의 확대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Ⅲ에 의해 둘러싸여진 부분의 확대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식 압연기에서 작업롤의 수평벤딩으로 인한 포물선현, M형, W형의 개략도.
제5도는 제4도의 작업롤 벤딩의 수직성분을 나타낸 개략도.
제6도는 작업롤축에서의 수직벤딩으로부터 폭과 길이 관계에 따른 결자를 나타낸 개략도.
제7도는 다양한 롤간격에 따라 작업롤의 수평 및 수직벤딩 혼합형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18, 20 : 축 15, 16, 19, 21 : 지레
17, 22 : 수직벤딩 실린더 25, 29 : 초크
26, 30 : 작업롤
본 발명은 두개의 구동되는 지지롤과, 이들 지지롤에 의한 마찰력으로 구동되는 작업롤을 갖는 다중식 압연기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롤들이 그 수평지지를 위해 지지롤의 수직축면으로부터 벗어나 위치되며 또한 지지브리지에 인접한 지지롤과 중간롤에 의해 상기 벗어난 방향에서 그 배럴(통)이 지지된다.
이러한 종류의 다중식 압연기는 이미 공지되었다. 독일특허 DE-AS 17 77 054 및 DE-AS 25 22 213에 기술된 다중식 압연기를 보면, 벤딩장치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벤딩장치에 의해 측방 지지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작업롤의 수평만곡뿐만 아니라 중심 벗어남으로 인한 만곡의 수직성분도 롤갭 윤곽에 정방향 또는 그 부방향으로 영향을 주고 그리하여 롤갭 윤곽이 배럴폭에 걸쳐 롤갭의 높이에 의해 변경될 수 있도록, 작업롤의 전체 배럴의 만곡이 특히 수평방향으로 행해질 수 있다.
그리하여 장방형 압연재 단면을 달성하게 할뿐만 아니라 평탄표면을 가능케하여 압연중 가장자리 물결무늬 및 중앙물결무늬를 신속하고 정확히 제어할 수 있게하는 압력분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독일특허 DE-OS 32 12 070에는 가능한 경우, 두개의 함께 작동하는 작업롤중 하나에 수평 또는 수직벤딩력이 작용하여 압연재의 평탄성 유지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공지된 다중식 압연기에서는 두개의 함께 작동하는 작업롤들중 단지 하나만이 지지롤과의 수직축면에서 벗어나 작업하는 것을 도외시하면, 이 작업롤은 부가적인 중간롤에 의해 지지골과 함께 움직이게 된다. 이외에도 수직축면으로부터 벗어나 정렬한 작업롤의 직경이 수직축면내에 놓인 작업롤이나 부가적인 지지롤의 직경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 작업롤의, 수평 및 수직 만족을 달성 하기 위한, 따라서 입체적 만곡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적 및 기능적 경비는, 두 작업롤이 단지 수평으로만 만족되고 수직면에서 중심 벗어남으로 인한 만곡의 수직 성분이 또한 롤갭 윤곽에 영향을 주는 DE-AS 17 77 054 및 DE-AS 25 22 213의 다중압연기에서 보다 더 크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일특허 DE-AS 17 77 054 및 DE-AS 25 22 213에 의해 공지된 다중식 압연기에서 간단하고 확실한 방식으로 두개의 작업롤중 최소한 하나에 엉향을 주어 양쪽 주축 방향에서 이들의 공간적인 벤딩이 일어나고, 여러가지의 벤딩특성이 보정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작업롤들을 초크내에 위치시키고 각각의 작업롤이 롤축에 평행하는 축 주위로 선회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안쪽을 향해있는 지레와 롤축에 평행하는 축 주위로 선회할 수 있게 지지되어 바깥쪽을 향해있는 지레 사이에 지지되어 있으며, 양 지레가 소속된 초크를 적극적으로 둘러싸며, 이웃하고 있는 작업롤의 서로 마주놓여 안쪽을 향하는 두 지레 사이의 한쪽에 수직벤딩실린더, 이웃하고 있는 작업롤의 서로 마주 놓여 바깥쪽을 향하는 두 지레 사이의 다른쪽에는 다른 수직벤딩실린더를 정렬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수평벤딩장치에 의해서도 작업롤들중의 하나에 대해 적어도 지지롤 및/또는 중간롤이 가압(부하인가) 될 수 있는데 있다.
본 발명의 독특한 장점은 공지기술에서는 수직방향으로 만곡된 두개의 작업롤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었으나 지금은 양 주축 방향에서 공간으로 벤딩된 하나의 유일한 작업롤만으로도 발명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데 있다.
단일 작업롤의 입체적 만곡에 의해 조정작용의 추가적 강화가 행해질 수 있을뿐만 아니라 소위 4번파 또는 그와 동시에 생기는 가장자리 및 중앙 물결무늬의 억제 또는 제거를 위해 압연재가 고도로 형상 제어될 수 있다. 그위에 작업롤이 충분히 가늘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롤갭 윤곽에 대해서 대역 포물선상 작용외에 국부 집중적인 정 또는 부의 작용이 행해지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작업롤의 초크와 서로 함께 작동하는 두 지레의 서로 마주보고 있는 두부사이가 최대 이동범위를 넘어서 운동유극을 가지고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유입측의 지레의 자유단에 인접해 위치한 두부가 롤축에 평행하는 축을 가진 링크에 의해 지지되는데 있다. 그리하여 유입측의 지레의 두부는 결속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는데, 이 결속부재의 도움으로 이 결속부의 활형움직임 때문에 생기는, 유입측에 지지된 지레와 유출측에 지지된 지레 사이의 간격변화가, 두부와 초크사이의 쇄정이 유지되면서 보정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수평 압하장치에 의해 유입측 지레의 지지부가 부하인가 될 수 있거나, 또는 유입측에 배치된 두 지레가 공통의 지지축을 가질 수도 있다. 이 방법에 따라 특히 가역동력부를 가진 다중식 압연기의 운전의 경우 간단한 방식으로 일정한 작용조건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작업롤-초크에는 서로 대향하는 종측부에, 서로 협동하는 두 지레의 두부에 있어 서로 맞보는 발톱 모양의 지지부에 맞물리는 단차부가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압력조정기구에 의해 수직벤딩실린더 및/또는 수평벤딩실린더가 힘을 받게 되고, 압력조정기구는 최소한 하나의 작업롤의 만곡형상특성에 자유선택적 작용을 줄 수 있을뿐만 아니라, 상부에 정렬된 편평도 제어기구와도 연결되어 있다. 한편으로는 지지롤과 다른 한편으로는 롤갭에 있는 압연재 사이에 팽팽히 및 탄성이나 가소적으로 매설된 작업롤은 하중 배분하에서 압연조건이 변경되어도 평탄한 표면을 가진 장방형 단면의 압연재를 얻을 수 있도록 정 또는 부로 만곡될 수 있다. 두 공동작용 지레에 의해 작업롤 지지 초크가 안내봉상 안내부를 가짐으로써 간단한 방식으로, 수직위치에서도 측방지지부를 위치 적합화시킬 필요없이 두 지지부재 방향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수직조정운동을 수직으로부터 필요한대로 기울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적어도 수평벤딩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작업롤에 소속되어 있는 중간롤은 안내링크를 통해서 유출측에 지지된 지레내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수편벤딩장치에 의해 부하될 수 있는 지지롤이 유출측 지지지레에 대한 지지축에 대해 두 양단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고 그 일단은 지지축선을 통하는 수직면의 앞에 그리고 타단은 그 수직면의 뒤에 놓이게 하면 다중압연기의 최적작용을 위해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바깥쪽을 향해 놓여 있는 지지브리지 근처의 하부 지레에 스토퍼를 정렬하고, 이 지레의 아랫방향으로의 운동범위를 한정해주는 것이다. 끝으로, 지레의 두부에는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측면이 개방된 U형 단면을 갖는 2개의 안내부가 놓이며 그 안내부에 작업롤의 초크가 안내 블록으로 맞물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을 기술코자 한다.
제1도는 롤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수직절단한 다중식 롤압연기를 나타내는데 공지된 바와 같이 두개의 를스탠드(1)가 있으며, 창(2)내에는 두개의 지지롤(3,4)이 초크(5,6)상에 놓여있다. 지지롤(3,4)의 초크(5,6)는 롤스탠드(1)내에 위치되어 있는 균형유지실린더(7,9) 내지 (8,10)와 함께 작동한다.
두개의 지지롤(3,4)사이의 공간내에는 지지블록(11)이 놓여 있으며, 양 롤스탠드(l)사이의 바깥쪽으로 롤면의 상하에 횡목같이 지지브리지(12,13)가 형성되어 있다.
롤스탠드(1)의 지지블록(11)내에는 수평축(14), 두개의 지레(15,16)가 모두 일체로 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벤딩실린더(17)에 의해 결합된다. 지지브리지(12) 인접부위에는 수평축(18) 둘레를 돌아가게 되어있는 지레(19)가 놓여있으며, 지지브리지(13)의 인접부위에는 수평축(20) 둘레를 돌아가게 되어있는 지레(20)가 있다. 양 지레(19,21)는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수직벤딩실린더(22)에 의해 서로 결합장치를 이루고 있다.
상부 지레(15,19)의 서로 마주보고 있는 두부(23,24)는 상부 작업롤(26)을 위한 초크부(25)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와 대응하는 하부 지레(16,21)의 두부(27,28)는 하부 작업롤(30)의 초크(29)를 지지한다.
양쪽에서 같이 작동하는 지레(15,19) 또는 (16,21)중의 하나의 두부 특히 안쪽을 향해 놓여있는 유입측 지레(15) 또는 (16)의 두부(23) 또는 (27)이 작업롤(26) 또는 (30)의 종축방향에 대해 수평축을 갖는 링크(31) 또는 (32)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중요한 사실이다.
제3도는 상부 작업롤(26)과 초크(25)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만을 볼 수 있는데, 사실은 측부에 서로 방향을 달리하면서 두개의 단차부(33)를 갖는 초크(25,29)가 있으며 이들 사이에는 경계부(34)가 있다.
초크(35) 또는 (29)의 경계부(34)는 지레(15) 또는 (16)의 두부(23) 또는 (27)의 발톱형의 물림지지부(35)에 물려져 있으며, 반대편에 있는 경계부(34)도 지레(19) 또는 (21)의 두부(24)의 물림지지부(36)와 맞물려져 있다.
두부(23,24,27,28)의 각각에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대향하는 측방이 개방된 U자형의 두 안내부(38)가 고정되어 있으며, 초크(25) 또는 (29)의 안내블록부(39)와 맞물려 있음을 제3도에서 명확히 볼 수 있다.
제2도에서, 안쪽에 놓여있는 하부 지레(16)는 지지블록(11)에 인접한 스토퍼(40)에 의해 그 아래로의 운동범위가 정해지며, 하부 지레(21)는 지지브리지(13)에 인접한 스토퍼(41)에 의해 운동범위가 한정된다.
스토퍼(40,41)는 간단한 롤 교환을 목적으로 하는 상기한 기술의 다중식 압연기에 있어서 이 압연기의 작업롤(26,30)의 정렬을 수직벤딩실린더(17,22)와 함께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지레(15,19)(16, 21)의 두부(23,24)(27,28)에 관련된 초크(25,29)와 함께 작업롤이 내외부로 이송되는 것을 확실히 해준다.
제1도 및 2도에서 보면, 작업롤(28,29)의 축면(42-42)은 지지롤(3,4)의 축면(43-43)에 대해 롤압연기의 외측에 정렬되어 있으며, 양 축면(42-42) 및 (43-43) 사이의 거리는 측량이 가능한데 이 거리는 거의 작업롤의 직경의 반에 해당되며, 이보다 약간 작게나 크게 할 수도 있다
제1도 및 2도에서 알 수 있듯이 작업롤(26,30)은 지지롤(3,4)에 비해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갖는데 이들의 직경비는 약 1 : 5 정도이며 이보다 다소 크게 또는 작은 비율로 할 수도 있다.
작업롤(26,30)의 수직방향, 지지롤(3,4)에 대한 방향, 롤공간(44)내에 차지하고 있는 롤 점유부에 대한 방향으로의 벤딩은 지레(15,16)에 인접해 결합되어 있는 수직벤딩실린더(17)와 지레(19,21)에 인접한 수직벤딩실린더(22)에 의해 이루어진다. 수평방향으로의 벤딩은 최소한 작업롤(26,30)중 하나에서 일어날 수 있다.
상부 작업롤(26)은 지지브리지(12)에 인접한 지지를(46)을 향해 놓여있는 지레(19)내의 중간롤(45)과 함께 작동한다. 또한 하부 작업롤(30)도 지지브리지(13)에 인접한 지지를(48)를 향해 놓여있는 지레(21)내의 중간롤(47)과 함께 작동한다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를 보면, 지지를(46)과 중간롤(45)상 및 상부작입롤(26)상에 수평벤덩장치(49)가 영향을 가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데 이 수평벤딩장치는 상부 지지브리지(12)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지지브리지(13)내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벤딩 장치(50)에 의해 지지를(48), 중간롤(47), 하부 작업롤(42)등이 영향을 받게 되어 있다.
제2도는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를(46), 중간롤(45), 상부 작업롤(26)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수평벤딩 장치(49)만을 도시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를(48), 중간롤(47), 작업롤(30)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하부 지지브리지(13)내에 수평 벤딩장치(50)를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도 있다.
상기한 경우에 중요한 문제는, 수평벤딩장치(49) 또는 (50)과 함께 작동하는 두개의 단부장치 사이에 있는 지지롤(46) 또는 (48)의 수평적 위치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이를위해 지레(19) 또는 (21)의 지지축(18) 또는 (20)에 의해 앞뒤로 움직이는 수직면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중요한 문제는, 지레(19) 또는 (21)내의 중간롤(45) 또는 (47)이 측면안내부에 의해 지지되어 종축에 대해 경사식으로 스스로 위치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위치변경은 작업롤(26) 또는 (30)상에 수평벤딩장치(49) 또는 (50)이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작업롤과 지지롤의 각기 다른 직경을 고르게 맞추어주기 위한 지지롤 작업에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언급하면, 수평압하장치를 롤스탠드(1)에 특히 유입측의 지지블록(11)에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롤이 역회전될 때도 다중식 압연기의 작업이 계속될 수 있도록 확실히 해주기 위한 것이다.
제4도는 상기한 방법에 따른 다중식 압연기에서 작업롤의 수평벤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보면 왼쪽이 작업롤의 첫번째 상태인 포물선 형태이고 오른쪽이 작업롤의 두번째 상태인 벤딩형태를 알 수 있는데 이 벤딩 형태는 소위 M형 또는 W형으로 작업롤을 충분히 가늘게 설치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제5도는 제4도에 따른 작업롤의 수평벤딩으로부터 수직성분이 주어졌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왼쪽이 첫번째 상태인 포물선 형태이고 오른쪽이 두번째 상태인 M형 및 W형의 벤딩형태이다.
제6도는 작업롤축에서의 수직벤딩으로부터 폭과 길이 관계에 따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제7도는 다양한 롤사이 간격에 따라 작업롤의 수평 및 수직벤딩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에서 a) 및 b)는 벤딩효과가 강한 것을 나타내주는 한편, c) 및 d)는 작업롤의 두번째 상태에서의 벤딩형태를 보여주는데 벤딩효과의 서로의 관계를 알 수 있다.

Claims (12)

  1. 두개의 구동되는 지지롤과 이들 지지롤에 의한 마찰력으로 구동되는 작업롤로 구성되며, 작업롤들이 그 수평지지를 위해 지지롤의 수직측면으로부터 벗어나 위치되며 또한 지지브리지에 인접한 지지롤과 중간롤에 의해 상기 벗어난 방향에서 그 배럴(통)이 지지되는 다중식 압연기에 있어서, 작업롤(26, 30)을 초크(25, 29)내에 위치시키고, 각각의 작업롤이 롤축에 평행하는 축(14)주위로 선회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안쪽을 향해있는 지레(15 또는 16)와 롤축에 평행하는 수평축(18 또는 20)주위로 선회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바깥쪽을 향해있는 지레(19 또는 21)사이에 지지되어 있으며, 양 지레(15 19 또는 16, 21)가 소속되어 있는 초크(25 또는 29)를 둘러싸며, 이웃하고 있는 작업롤(26 및 30)의 서로 마주놓여 안쪽을 향하는 두 지레(15 및 16)사이에는 수직벤딩실린더(17)가, 이웃하는 작업롤(26 및 30)의 바깥쪽을 향해 서로 맞서있는 지레(19 및 21)들 사이에는 다른 수직벤딩실린더(22)가 정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다중식 압연기.
  2. 제1항에 있어서, 수평벤딩장치(49 또는 50)에 의해 작업롤(26 또는 30)중의 하나에 대해 적어도 지지롤(46 또는 48), 또는 중간롤(45 또는 47), 또는 지지롤과 중간롤이 부하인가 되는 것이 특징인 다중식 압연기.
  3. 제1항 및 2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작업롤(26 또는 30)의 초크(25 또는 29)와 공동작용하는 양지레(15,19 또는 16,21)의 서로 마주보는 두부(23, 24 또는 27, 28)사이에는 지레(15, 19 또는 16, 21)의 최대 선동범위를 넘어 운동유극을 가지고 결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다중식 압연기.
  4. 제3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바깥쪽을 향하는 지레(15 및 16)의 자유단에 인접해 위치한 두부(23, 27)가 롤축에 평행하는 축을 가진 링크(31, 32)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다중식 압연기.
  5. 제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안쪽을 향하는 지레(15, 16)의 지지부(11, 14)를 수평압하장치에 의해 부하인가하는 것이 특징인 다중식 압연기.
  6. 제5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안쪽을 향해 서로 대향하여 정렬되어 있는 두 지레(15 및 16)가 공동의 지지축(14)을 갖는 것이 특징인 다중식 압연기.
  7.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작업롤-초크(25 및 29)에는 서로 대향하여 놓여있는 종축부에 인접해서, 서로 협동하는 두 지레(15, 19 및 16, 21)의 두부(23 및 24 또는 27 및 28)에서 물림지지부재(35 및 36)내에 물려져 있는 단차부(3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다중식 압연기.
  8.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압렵조정기구에 의해 수직벤딩실린더(17 및 22), 또는 수평벤딩실린더(49 또는 50), 또는 수직벤딩실린더와 수평벤딩실린더가 부하인가 될수 있고, 압렵조정기구는 상부에 정렬된 편평도 조정기구와 결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다중식 압연기.
  9.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적어도 수평벤딩장치(49 또는 50)에 의해 부하인가 될 수 있는 작업롤(26 또는 30)에 소속되어 있는 중간롤(45 또는 47)은 안내링크를 통하여 바깥쪽으로 향하는 지레(19 또는 21)내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특징인 다중식 압연기.
  10.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수평벤딩장치(49 또는 50)에 의해 부하인가 될 수 있는 지지롤(46 또는 48)이 유출측에 지지된 지레(19 또는 21)의 지지축(18 또는 48)에 대하여 두 양단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고, 그 일단은 지지축선을 통하는 수직면의 앞에 또한 타단은 그 수직면의 뒤에 놓여있는 것이 특징인 다중식 압연기.
  11.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바깥쪽을 향해 놓여있는 하부지레(21)에는 그 지지브리지(13)에 스토퍼(41)를, 안쪽을 향해 놓여 있는 하부지레(16)에는 지지블록(11)에 스토퍼(40)를 설치하는 것이 특징인 다중식 압연기.
  12. 제7항에 있어서, 지레(15, 19 및 16, 21)의 두부(23, 24 및 27, 28)에는 간격을 가지고 마주보며 측면이 개방된 두 안내부(38)가 U형 단면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고, 이 안내부(38)에는 초크(25 및 29)가 그의 안내블록(39)으로 맞물려 있는 것이 특징인 다중식 압연기.
KR1019840001044A 1983-03-11 1984-03-02 다중식 (多重式) 압연기 KR9100017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308673.7 1983-03-11
DE3308673A DE3308673A1 (de) 1983-03-11 1983-03-11 Mehrwalzengerue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834A KR840007834A (ko) 1984-12-11
KR910001767B1 true KR910001767B1 (ko) 1991-03-23

Family

ID=619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044A KR910001767B1 (ko) 1983-03-11 1984-03-02 다중식 (多重式) 압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598566A (ko)
EP (1) EP0118812B1 (ko)
JP (1) JPS59166306A (ko)
KR (1) KR910001767B1 (ko)
DE (2) DE3308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561B2 (ja) * 1985-04-03 1994-03-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圧延機のロ−ルベンデイング装置
DE3605614A1 (de) * 1986-02-21 1987-08-27 Schloemann Siemag Ag Walzgeruest mit vertikal in staenderfenstern verschieblichen einbaustuecken
JPH0741290B2 (ja) * 1986-08-08 1995-05-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多段圧延機
DE69009362T2 (de) * 1989-09-08 1994-09-08 Hitachi Ltd Walzwerk und Walzverfahren.
JP3121471B2 (ja) * 1993-04-22 2000-1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圧延機および圧延方法
DE10243677A1 (de) * 2002-09-20 2004-04-01 Sms Demag Ag Reibungsarmes Biegesystem in einem Mehrwalzen-Walzgerüst
US7185522B2 (en) * 2005-05-10 2007-03-06 T. Sendzimir, Inc. Side supported 6-high rolling mill
DE102008032524A1 (de) 2008-07-10 2010-01-14 Sms Siemag Aktiengesellschaft Walzenanordnung
US8365563B2 (en) * 2009-11-16 2013-02-05 Quad Engineering, Inc. Methods for reducing ridge buckles and annealing stickers in cold rolled strip and ridge-flattening skin pass mill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64299A (en) * 1928-10-04 1932-06-21 Ind Methods Company Rolling mill
US3003373A (en) * 1953-01-21 1961-10-10 Schloemann Ag Multi-roll stand for rolling mills
GB792523A (en) * 1955-04-18 1958-03-26 Schloemann Ag Improved means for keeping working rolls in contact with backing rolls and supporting rollers in rolling mills
DE1527713A1 (de) * 1966-06-28 1970-01-15 Schloemann Ag Mehrwalzengeruest
DE1602219A1 (de) * 1967-10-16 1970-06-18 Schwermaschb Kom Ernst Thaelma Mehrwalzengeruest
US3653968A (en) * 1970-05-04 1972-04-04 Union Carbide Corp Solid state electrochemical cells
SE389036B (sv) * 1972-03-03 1976-10-25 Thaelmann Schwermaschbau Veb Multipelvalsverk
DE2522213C3 (de) * 1975-05-17 1980-05-14 Schloemann-Siemag Ag, 4000 Duesseldorf Mehnvalzengerust
US4059002A (en) * 1976-10-20 1977-11-22 Schloemann- Siemag Aktiengesellschaft Multi-roll rolling mill stand
CH636991B (de) * 1977-08-10 Ciba Geigy Ag Verfahren zum faerben oder nachbehandeln von polyesterfasern.
JPS57165104A (en) * 1981-04-02 1982-10-1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Multiple stages rolling mill having shape controlling function
JPS5823508A (ja) * 1981-07-31 1983-02-1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形状制御機能を有する圧延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18812B1 (de) 1990-08-01
EP0118812A3 (en) 1985-01-09
JPS59166306A (ja) 1984-09-19
JPH0261841B2 (ko) 1990-12-21
KR840007834A (ko) 1984-12-11
DE3308673A1 (de) 1984-09-20
DE3482842D1 (de) 1990-09-06
US4598566A (en) 1986-07-08
EP0118812A2 (de) 1984-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45966B2 (en) Process and device for intentionally influencing the geometry of roughed-down strips in a roughing-down stand
US4543810A (en) Six-high rolling stand
KR910001767B1 (ko) 다중식 (多重式) 압연기
KR101906707B1 (ko) 열간 마무리 탠덤 압연기의 판 프로필 제어 방법 및 열간 마무리 탠덤 압연기
US4453393A (en) Four high mill of the paired-roll-crossing type
US4898013A (en) Installation for levelling a metal strip
US8186422B2 (en) Method for the continuous casting of thin metal strip and 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
KR100829026B1 (ko) 금속 연속 주조 장치, 특히 강 연속 주조 장치
EP2697003B1 (en) Feed roll assembly and method for operating a feed roll assembly
KR100504358B1 (ko) 롤의 휨을 2차원적으로 제어하는 압연기
JP2013505139A (ja) モジュール的な案内装置
JP2013505139A5 (ko)
US4674309A (en) Apparatus for correcting the thickness profile of a strip to be rolled in a multiple stand hot strip mill train
KR100504356B1 (ko) 판 또는 스트립 압연용 압연기
JP7332995B2 (ja) デフレクターロール及びそのデフレクターロールを用いた鋼板の製造方法
KR20090056142A (ko) 핀치 롤 구조체
US5187965A (en) Roll stand for a planetary rolling mill
EP01620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the free passage of heavy-gauge material through a flying drum shear
WO2023006731A1 (de) Verfahren und anlage zum warmwalzen von metallenem walzgut
JPH11314101A (ja) H形鋼の圧延方法
JPH02280901A (ja) 形鋼の圧延方法
JPS6277105A (ja) ロ−ル胴が湾曲している複数個のロ−ルを備えた圧延機
JPH035012A (ja) 形鋼の圧延装置
JPS61129219A (ja) 圧延機のガイ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