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651B1 -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 Google Patents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651B1
KR910001651B1 KR1019860001139A KR860001139A KR910001651B1 KR 910001651 B1 KR910001651 B1 KR 910001651B1 KR 1019860001139 A KR1019860001139 A KR 1019860001139A KR 860001139 A KR860001139 A KR 860001139A KR 910001651 B1 KR910001651 B1 KR 910001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recording medium
drive
information recording
moun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1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779A (ko
Inventor
사도시 스야마
도오루 아라가와
기요시 마사끼
소오지 오오바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시다 도시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03093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63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03201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63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15896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017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15902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588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시다 도시히꼬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6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3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434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with mechanism for subsequent vertical movement of the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32Maintaining desired spacing between record carrier and head, e.g. by fluid-dynamic spa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for flexible discs
    • G11B23/0332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for flexible discs for single discs, e.g. envelo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드라이브장치에 적용가능한 카아트리지의 일례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드라이브장치의 일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일부파단해서 자기헤드에 압압하고 있는 패드의 상태의 부분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드라이브장치의 구동유닛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파단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드라이브장치의 장착유닛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5a도, 제5b도는 각각, 제4도의 장착유닛에 카아트리지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제6a도, 제6b도는 각각, 제4도의 장착유닛에 카아트리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드라이브장치의 장착유닛의 호울더부분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8a도, 제8b도는 각각, 제7도의 호울더에 카아트리지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 및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드라이브장치의 장치유닛의 호울더부분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핀들 2 : 구동모우터
3 : 자기헤드 4 :헤드캐리지
5 : 리이드스크루우 6 : 스테핑모우터
7 : 기체 8 : 플라이휘일
11, 100, 120 : 호울더 12 : 슬라이드판
13 : 외부판 15, 16, 102, 103, 121, 122 : 작용부재
17, 18, 104, 105, 125, 126 : 이동부재
21, 22 : 풀리 25, 26 : 가느다란 로우프
29, 30, 36, 45, 46, 110, 111 : 인장스프링
32 : 판스프링 33 :조작버튼
34 : 록레버 37 : 가동아암
38 : 회동지점 39 : 가압스프링
40 : 패드 60 : 카아트리지
63, 64, 66, 67 : 개구부 74 : 라벨
80 : 셔터 81 : 유연한 밴드
82 돌기부 88 : 자기디스크
102b, 103b, 104b, 105b : 랙톱니부
108, 109 : 피니언기어 123, 124 : 계합돌기부
125a, 126a : 긴구멍 129, 130 : 고정핀.
본 발명은 컴퓨우터나 워드프로세서등의 정보처리장치의 외부기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질케이스를 가진 카아트리지에 내장된 정보기록매체를 구동해서 정보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우터의 외부기억장치로서 플로피디스크장치의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것은 플로피디스크가 취급이 용이하고, 값싸며, 테이프메모리와 같이 착탈이 가능한 것등의 이유에 의한다. 최근에는 특히 휴대운반 가능한 퍼스널컴퓨우터나 워어드프로세서에의 내장이 행해지게 되어, 이들 기기자체의 소형화, 경량화에 따른 플로피디스크장치에도 더욱 소형이고 박형인 것이 요구되고 있다. 미국특허 제4,525,758호나, 미국특허 제4,445,155호에 기재된 종류의 카아트리지를 사용하는 드라이브장치는, 카아트리지가 견고한것, 카아트리지가 드라이브장치에 장착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기록·재생용 자기헤드 삽입용의 개구부가 셔터로 차폐되어 있는 것등으로부터, 상기 외부기억장치로서 적당하다.
그러나, 종래의 드라이브장치는 더욱 소형화하려고 할 경우, 카아트리지의 구조상 문제가 있었다. 미국특허 제4,525,758호에 기재된 카아트리지는 장방형의 카아트리지의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신장된, 유연한 밴드를 가지고 있으며, 이 유연한 밴드의 일단부는 셔터에 접속되고, 타단부는 외부로부터 힘을 받기 때문에 돌기부를 가지고 있다. 종래의 드라이브장치는 이 유연한 밴드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안길이 치수)가 필요하였다. 또, 미국특허 제4,445,155호에 기재된 카아트리지는 내장되어있는 자기디스크의 정보기입금지노치가 카아트리지의 모서리에 가까운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종래의 드라이브장치는 이 노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카아트리지의 거의 전체를 드라이브장치의 내부에 격납할 필요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드라이브장치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었다.
드라이브장치를 소형화하는데 있어서 장해가 되는 또다른 하나의 점은 패드이다.
편면(片面)기록용의 드라이브장치, 즉 드라이브장치의 내부에 통상 1개의 자기헤드를 가지고, 드라이브장치에 장착된 자기디스크의 편면에만 정보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타입의 드라이브장치에서는, 자기디스크를 자기헤드에 압압하기 위하여 자기헤드에 대향배치되는 패드가 필요하다(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3,678,481호). 이 패드는, 자기헤드를 탑재하여 자기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헤드캐리지의 단부에 형성된 회동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가동아암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가동아암은 자기디스크가 자기헤드에 양호한 접촉상태로 접촉하도록 자기헤드의 방향으로 부세되고 있다.
이와 같은 패드지지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헤드캐리지와 가동아암을 접속할 필요에 의해, 헤드캐리지의 드라이브장치의 안길이방향치수가 길어지며, 드라이브장치의 안길이도 길게 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문제점에 착안해서 이루어진 발명으로서, 일본특허공개번호 소화56-54665호가 있다. 이것은 자기헤드가 자기디스크를 횡절해서 움직이는 범위에 걸쳐서 자기헤드의 반대쪽에 있으며, 자기디스크를 지지하기 위하여, 자기헤드의 동작방향의 치수를 길게 한 패드를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도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즉, 일반적으로 패드는 가동아암에 고점도의 접착제 혹은 접착테이프에 의해서 부착될 경우가 많고, 또 패드자체의 두께, 가동아암의 길이 및 헤드캐리지상의 회동지점의 위치의 벗어남에 의해 자기디스크에 패드가 당접할때, 패드면과 자기헤드면과의 평행정도는 그다지 기대할 수 없다. 또한, 드라이브장치 전체를 고온 및 고습에 방치하는 환경변화에 대해서 패드재질은 크리이프변형되기 쉽고, 구면(球面)을 가지는 자기헤드 상면에 당접하고 있는 패드에 있어서는 구면의 변형이 그대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자기, 디스크를 기재한 자기헤드상의 접촉압력은 패드형상에 의해 불균일해지며, 자기디스크에의 기록재생에 있어서 높은 신뢰성을 얻는 일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길이, 높이 모두 종래보다도 대폭적으로 단축하여 소형화한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보기록매체를 내장한 카아트리지의 장착, 배출의 조작이 용이한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보기록매체를 내장한 카아트리지의 장착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록재생의 신뢰성을 향상한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라이브장치의 카아트리지장착부를 블록화해서, 드라이브장치의 생산성을 향상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아트리지의 라벨이 카아트리지를 드라이브장치에 장착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드라이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드라이브장치는 다음의 3개의 구성중 적어도 하나를 가진다. 제1은, 정보기록매체를 내장하고, 기록재생용 개구부를 개폐하거나 기록을 금지하기 위한 보호수단을 가지는 카아트리지가 드라이브장치에 장착될때에는 드라이브장치로부터 돌출하고, 드라이브장치로부터 이탈될때에는 드라이브장치에 격납되는 수단으로서, 상기 돌출, 격납동작일때에 카아트리지의 상기 개폐용 또는 기록금지용 보호수단을 작동시키는 수단을 가진 구성이다. 제2는, 드라이브장치에 장착된 카아트리지를 배출하기 위하여 조작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조작부 또는 조작버튼이, 장착된 카아트리지로부터 가장 멀리, 카아트리지에 관해서 드라이브장치의 기체(基體)와 반대쪽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제3은, 드라이브장치에 장착된 카아트리지에 내장된 기록매체에 당접하고, 상기 재생헤드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기록매체를 개재해서 배치되는 패드와, 이 패드를 일단부에서 지지하여 상기 헤드에 일정압을 부세하는 가동아암을 가지고, 가동아암은 타단부를 회동지점으로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회동지점이 기록매체의 회전방향으로 패드보다 전진한 위치에 배치되어, 기록매체가 회전하면 패드의 압압력이 증가하도록 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제1의 구성을 가질 경우에는, 카아트리지는 완전히 드라이브장치내부에 격납되지 않고, 일부가 드라이브장치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은,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정보기록매체로서 자기디스크를 내장한 카아트리지를 사용하는 드라이브장치에 적용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본 발명의 드라이브장치의 일실시예에 적용가능한 카아트리지의 일례를 도시한다. 카아트리지(60)는 기본적으로 상부케이스(61)와 하부케이스(62)와의 사이에 자기 디스크(88)가 장착된 구성을 가진다. 상부케이스, 하부케이스(61)(62)는 각각, 자기디스크(88)가 장착되는 디스크허브(90)가 회전자재케 삽입되는 중심개구부(63)(64), 드라이브장치에 장착하였을때에 자기헤드가 삽입되는 개구부(66)(67) 및 드라이브장치에 장착하였을때에 위치결정핀이 삽입되는 위치결정구멍(68)(69)(70)(71)을 가진다. 개구부(67)는 중심개구부(64)의 주위를 따라서 형성된 링형상의 돌기(65)에 회전자재케 장착된 셔터(80)에 의해서 통상 닫혀지고 있다. 개구부(66)도 같은 구성(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통상 닫혀지고 있다. 셔터(80)는 선단부에서 유연한 밴드(81)의 일단부와 접속되고, 유연한 밴드(81)의 길이방향의 이동에 의해 개구부(64)를 회동중심으로 해서 회동한다. 유연한 밴드(81)는, 스프링(83)에 의해서 걱터(80)를 닫는 방향으로 부세되고 있다.
유연한 밴드(81)는 타단부에 카아트리지로부터 노출된 돌기부(82)를 가지고 있다. 카아트리지(60)가 드라이브장치에 장착될때, 돌기부(82)가 드라이브장치에 설치된 고정부재에 당접하고, 유연한 밴드(81)는 셔터(80)를 여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자기헤드를 개구부(67)에 삽입할 수 있게 한다. 결국 본 발명의 드라이브장치의 일실시예에 적용가능한 카아트리지는, 내장된 기록매체에 대해서 정보의 기록재생을 행하기 위하여 형성된 개구부를 닫고 있는 셔터가, 카아트리지를 드라이브장치에 장착할때에 드라이브장치로부터 작용하는데 힘에 의해서 개구부를 열도록 동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것이면 된다.
제2도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드라이브장치를 뒤쪽에서 본 도면을 도시한다. 드라이브장치는 구동유닛(A)과 장착유닛(B)으로 이루어진다.
구동유닛(A)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디스크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스핀들(1)과, 스핀들(1)을 구동하는 구동모우터(2)와, 자기헤드(3)를 탑재한 헤드캐리지(4)와, 헤드캐리지(4)를 구동하는 리이드스크루우(5)와, 리이드스크루우(5)를 출력축으로서 회동시키는 스테핑모우터(6)와, 이들을 지지하는 기체(7)로 구성된다.
스핀들(1)은 일단부에서 자기디스트(88)의 중심에 형성된 디스크 허브(90)와 계합하여, 이것에 회전구동력을 부여하는 것이며, 타단부에는 플라이휘일(8)이 고정되어 있다. 구동모우터(2)는 축방향의 치수와 비교해서 직경방향의 치수가 큰 편평한 직류모우터이며, 이 축단부에는 작은 풀리(9)가 고정되어 있다. 이 작은풀리(9)와 플라이휘일(8)은 연약한 탄성을 가진 구동벨트(10)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구동모우터(2)는 필요한 회전수로 제어되고, 구동벨트(10)를 개재해서 그 구동력이 플라이휘일(8)에 전달된다.
헤드캐리지(4)는 구동유닛(A)의 안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치수와 비교해서 축방향에 대응하는 치수가 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길이 방향의 단부 부근의 윗면에 자기헤드(3)를 탑재하고 있다. 또, 다른쪽의 단부 부근 밑면에는, 리이드스크루우(5)와 계합하는 니이들(58)과, 리이드스크루우(5)에 당접하는 2개의 기준돌기(4a), (4b)와, 이 2개의 돌기(4a), (4b)를 탄성적으로 부세하여, 리이드스크루우(5)에 대해서의 접촉을 계속적으로 확보시키는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스테핑모우터(6)는, 그 출력축이 리이드스크루우(5)로 되어 있으며, 인가된 펄스신호의 수에 대응한 회전각만큼씩 간헐적으로 회전하고, 리이드스크루우(5)에 계합하는 상기 니이들(58)을 개재해서 헤드캐리지(4)에 직선방향의 구동력을 인가하고, 이것을 왕복직선운동시키며, 또 자기디스크(88)에 기록된 정보트랙의 위치에 정지 및 지지시킨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드라이브장치의 장착유닛의 일례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장착유닛은 대체로, 호울더(11), 슬라이드판(12) 및 외부판(13)으로 이루어진다.
호울더(11)의 대향하는 양측면에는 2쌍의 핀(51)∼(54)이 설치되어 있으며, 핀(51)은 작용부재(15)의 안내구멍(15a)을, 핀(52)은 작용부재(15)의 안내구멍(15b) 및 이동부재(17)의 안내구멍(17a)을 관통하고, 또핀(53)은 작용부재(16)의 안내구멍(16a)을, 핀(54)은 작용부재(16)의 안내구멍(16b) 및 이동부재(18)의 안내구멍(18a)을 관통하고, 호울더(11)의 양측면에서 작용부재(15)(16), 이동부재(17)(18)를 각각의 핀에 따라서 접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으며, 각각 호울더(11)의 양측면에 고정된다.
이동부재(17)(18)의 카아트리지 당접부(17b)(18b)는, 호울더(11)의 양측면에 있는 안내구멍(19)(20)을 관통해서 호울더(11)의 내부공간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호울더(11)내에 삽입된 카아트리지의 선단면이 당접부(17b)(18b)에 당접하도록 되어 있다.
또, 호울더(11)의 밑면의 카아트리지 지지부(11a)(11b)에는 외주부에 안내홈을 가지는 수지제의 풀리(21)(22)가 각각 축(23)(24)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25)(26)은 강도가 높고, 또한 외력이나 온·습도변화에 대해서 신축량이 극히 적으며, 또 유연성이 풍부한 합성섬유제의 가느다란 로우프이며, 그 한쪽 단부는 이동부재(17)(18)의 당접부(17b)(18b)에 형성된 구멍(17c)(18c)에 관통고정되어 있고, 다른쪽의 단부는 작용부재(15)(16)의 훅부(15c)(16c)에 고정되어 있다. 또 가느다란 로우프(25)(26)는 각각 풀리(21)(22)의 안내홈(21a)(22a)에 계합되면서 안내된다. 또 호울더(11)의 카아트리지 지지부(11a)(11b)의 단부에 형성된 훅부(27)(28)와 작용부재(15)(16)의 훅부(15c)(16c)와의 사이에는 각각 인장스프링(29)(30)이 설치되고, 2개의 작용부재(15)(16)를 호울더(11)의 훅부(27)(28)의 방향으로 탄성부세하고 있다. 이 탄성력에 의해 가느다란 로우프(25)(26)에는 소정의 장력이 부여되고, 이동부재(17)(18)는 작용부재가 받는 힘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탄성부세되고, 이동부재(17)(18)의 이동가능한 범위내에서 카아트리지 삽입구(11c)의 가장가까운쪽으로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가느다란 로우프(25)(26)는 항상 느슨함이 없는 상태에서 이동부재(17)(18)와 작용부재(15)(16)를 각각 접속하고 있다. 또. 풀리(21)(22)가 가느다란 로우프(25)(26)를 개재해서 인장스프링(29)(30)의 발생하는 힘의 방향을 반전시키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호울더(11)에는, 그외에 자기디스크(88)의 디스크허브(90)를 구동유닛의 스핀들(1)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부세하기 위한 클램퍼(31)와 판스프링(32)이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판(12)은 상기 핀(51)∼(54)가 계합하고, 이것을 구동하기 위해 캠부(12a)∼(12d)를 가지는 U자형상의 부재이며, 그것의 거의 중심위치에 조작버튼(33)이 고정되어 있다.
외부판(13)은 록레버(34) 및 가동아암(37)를 지지한다.
록레버(34)는 축(35)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관통되고, 외부판(13)의 밑면에 지지되어 있다.
(40)은 자기헤드(3)(제2도)가 작동범위에 걸쳐서 자기헤드(3)의 반대쪽에 있게 하기 위하여, 자기헤드(3)의 작동방향의 치수를 길게 한 패드이며, 가동아암(37)의 단부부근의 밑면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아암(37)의 또 다른쪽의 단부는, 가동아암(37)을 탄성부세하기 위한 가압스프링(39)과 함께 회동지점(38)에 의해서 회동자재케 관통지지되어 있으며, 회동지점(38)의 양단부는 외부판(13)의 밑면에 고정되고, 그 고정위치, 즉 회동지점(38)의 위치는, 회전구동되고 있는 자기디스크의 회전방향으로 패드(40)보다 전진한 위치에 배치한다. 다시 말하면, 회동지점(38)은 회전하는 자기디스크에 접촉하고 있는 패드(40)로부터 자기디스크의 표면이 유출한다고 생각되었을 경우, 패드(40)의 위치보다 하류쪽에 배치한다.
가압스프링(39)은 그 양단부가 외부판(13)의 윗면에 계합지지되고, 중앙의 굴곡부(39a)가 가동아암(37)의 윗면에 당접하여 가동아암(37)의 단부를, 따라서 패드(40)를 자기헤드(3)방향으로 탄성부세한다. 가동아암(37)은 카아트리지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때에는, 호울더(11)에 형성된 돌기(11d)와 당접해서 회동이 방해되고 있다.
호울더(11)에 부착된 핀(51)∼(54)은 슬라이드판(12)의 안쪽으로부터 캠부(12a)∼(12d)를 각각 관통계합하면서, 또한 외부판(13)의 안쪽으로부터 외부판(13)에 형성된 세로로 긴구멍(13a)∼(13d)과 계합하고, 호울더(11)는 상하방향, 즉 구동유닛에 대해서 접근 및 이간하도록, 왕복평행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슬라이드판(12)은 호울더(11)의 이동방향과 대체로 직각 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며, 일단부가 돌기(41)(42)에, 타단부가 외부판(13)의 돌기(43)(44)에 각각 계지된 인장스프링(45)(46)에 의해 카아트리지의 삽입방향(제5A도 및 제5B도에 있어서의 화살표 C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부세되고 있다.
록레버(34)는 일단부가 돌기(34c)에, 타단부가 외부판(13)의 돌기(47)에 계지된 인장스프링(36)에 의해, 절결부(34a)가 슬라이드판(12)에는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부세되고 있다. 따라서, 카아트리지가 배출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드판(12)의 절결부(12e)와 계합하고, 카아트리지가 삽입될때에는 계합이 떨어지도록 회동한다.
다음에, 이 장착유닛을 가지는 드라이브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카아트리지(60)가 장착유닛(B)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제5A도 및 제5B도에 도시한다.
슬라이드판(12)은 조작버튼(33)이 완전히 압입된 상태(제5A도, 제5B도에 있어서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으며, 록레버(34)의 절결부(34a)와, 슬라이드판(12)의 절결부(12e)가 계합하고 있으며, 록레버(34)는, 인장스프링(45)(46)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상기 슬라이드판(12)을 외부판(13)에 대해서 지지하고 있다.
호울더(11)는 핀(51) ∼(54)이 슬라이드판(12)의 캠부(12a)∼(12d)에 의해서 상승된 상태이기 때문에, 기체(7)로부터 가장 이간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 좌우의 작용부재(15)(16)는, 인장스트링(29)(30)에 의해서 카아트리지의 삽입구(11c)와 반대방향으로 탄성부세되고, 각각의 선단부에 형성된 계합돌기(15d)(16d)를 포함한 작용부재(15)(16) 전체가, 장착유닛(B)의 내부에 격납되어 있다. 작용부재(15)(16)에 가해지는 탄성력은 가느다란 로우프(25)(26)에 전달되고, 도중에 풀리(21)(22)에 의해서 힘의 방향이 반전되고, 이동부재(17)(18)에 각각 가해진다. 이것에 의해 이동부재(17)(18)는, 그것이 이동가능한 범위내에서 카아트리지삽입구(11c)에 가장 가까운쪽으로 탄성부세되고 있다.
가동아암(37)은 가압스프링(39)의 부세력에 대항하며서 호울더(11)의 돌기부(11d)에 의해서 지지되고, 외부판(13)의 윗면과 거의 평행해지는 자세로 지지되고 있다. 이때, 호울더(11)의 안쪽공간에는 카아트리지(60)의 삽입을 방해하는 어떤 것도 존재하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카아트리지(60)가 삽입구(11c)로부터 압입되고, 호울더(11)의 내부로 화살표(c)방향으로 이동해가면, 카아트리지의 선단면(60a)은 먼저 좌우의 이동부재(17)(18)의 당접부(17b)(18b)에 대체로 동시에 당접한다. 이 시점으로부터 이동부재(17)(18)는 카아트리지(60)의 움직임에 종속된다. 즉, 카아트리지(60)가 화살표(c)방향으로 더욱 이동을 계속하면, 이것과 일체가 되어서 이동부재(17)(18)도 이동한다 또, 작용부재(15)(16)는 가느다란 로우프(25)(26)에 의해서 이동부재(17)(18)와 접속되기 때문에 이동부재(17)(18)의 이동에 따라, 작용부재(15)(16)는 이동부재(17)(18)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그 이동량과 같게 끌어당겨진다.
상기 끌어당기는 정도에 있어서, 작용부재(15)(16)는 인장스프링(29)(30)으로부터 항상 끌어당기는 방향과 역방향의 탄성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가느다란 로우프(25)(26)에는 느슨함이 발생하지 않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작용부재(15)(16)는 계합돌기(15d)(16d)가 형성된 선단부분이 장착유닛(B)의 외부로 먼저 돌출하고, 카아트리지(60)가 장착유닛(B)에 삽압됨에 따라 그 삽입량과 같은 길이의, 작용부재(15)(16)가 장착유닛(B)의 외부로 돌출해 간다. 한편, 카아트리지(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장된 셔터(80)를 구동하기 위한 유연한 밴드(81)를 가지고 있으며, 그 일단부에 돌기부(82)가 형성되어 있다. 유연한 밴드(81)와 돌기부(82)는 카아트리지(60)의 한쪽측면에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용부재(15)(16)는 그 돌출동작의 도중에있어서 어느 한쪽의 계합돌기, 즉 계합동기(15d) 혹은 계합돌기(16d)중의 어느 것인가가, 카아트리지(60)의 돌기부(82)와 당접계합하여 유연한 밴드(81)를 카아트리지의 삽입방향(화살표(c)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 킨다.
카아트리지(60)가, 좌우의 이동부재(17)(18)를 따라 화살표(c)방향으로 더욱 삽입되면, 카아트리지(60)의 선단면(60a)은 다음에 록레버(34)의 굴곡부(34d)에 당접한다.
록레버(34)는 인장스프링(36)에 의해 화살표(E)(제5A도) 방향의 모우먼트가 가해지고 있으며, 따라서 골국부(34b)로부터는, 이것에 당접하는 선단면(60a)에 대해서 화살표(c)와 반대방향의 힘, 즉 카아트리지(60)를 복귀시키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카아트리지(60)를, 이 힘에 대항해서 삽입함으로서 록레버(34)에는 화살표(E)와 역방향의 모우먼트가 가해지며, 록레버(34)는 그 방향으로 회동되어 록레버(34)선단의 절결부(34a)와 슬라이드판(12)의 절결부(12e)와의 계합이 해제된다.
이 시점에 있어서, 작용부재(15)(16)는 그 돌출동작이 종료하고, 그 선단부의 계합돌기(15d)(16d)는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고 있다. 즉, 계합돌기(15d) 흑은(16d)에 의해서 이송된 유연한 밴드(81)의 돌기부(82)는 카아트리지(60)에 내장된 셔터(80)를 완전히 열기 위한 충분한 위치까지 도달하고 있으며, 카아트리지(60)에 형성된 개구부(66)(67)는 개구된 상태가 된다.
계합이 해제된 슬라이드판(12)은 인장스프링(45)(46)의 부세력에 의해서 화살표(c)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따라 슬라이드판(12)의 캠부(12a)∼(12d)는 각각 핀(51)∼(54)을 외부판의 세로로 긴구멍(13a) ∼(13d)을 따라서, 접동, 하강시키고, 이것에 의해 호울더(11) 및 그 내부에 지지된 카아트리지(60)는 구동유닛(A)에 대해서 접근하는 것같이 대체로 평행이동을 행한다.
호울더(11)의 이동에 의해, 돌기(11d)도 이동하며, 가동아암(37)은 돌기(11d)의 이동에 따라 그 윗면과 접촉하면서, 가압스프링(39)의 부세력에 의해서 회동지점(38)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패드(40)는 헤드캐리지(4)상의 자기헤드(3)에 접근하는 것같이 이동한다.
카아트리지(60)가 상기와 같이 대체로 평행이동을 완료하고, 소정의 위치에 지지된상태, 즉 카아트리지가 완전히 드라이브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제6A도, 및 제6B도에 도시한다. 슬라이드판(12)은 조작버튼(33)이 최대로 돌출한 상태(도면에 있어서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으며, 호울더(11) 및 카아트리지(60)는 일련의 장착동작중에서 구동유닛(A)의 기체(7)에 가장 접근하고, 한편, 조작버튼(3)으로부터는 가장 이간하고있다.
또한, 카아트리지(60)에 내장된 자기디스크(88)는 자기헤드(3)에 대해서 패드(40)에 의해 압압되어 있으며, 정보의 기록재생이 가능한 상태에 유지되어 있다. 패드(40) 및 가동아암(37)은 외부판(13)의 회동지점(38)에 지지되고, 그 지점이 자기디스크(88)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패드(40)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디스크(88)가 정지하고 있을 경우와 회전하고 있을 경우에서는, 패드(40)가 자기디스크(88)를 자기헤드(3)에 압압시키는 압압력이 변화한다. 이 이유는 이하와 같이 설명된다.
패드(40)가 소정의 초기압압력으로 자기디스크(88)에 압압되어 있고, 자기디스크(88)가 회전하였을 경우, 패드(40)의 접촉면과 자기디스크(88)의 표면과의 사이에는 마찰력이 발생한다. 이 마찰력에 의해 패드(40)는 자기디스크(88)와 함께 이동하려고 하고, 이것에 의해 가동아암(37)은 회동지점(36) 주위의 모우먼트를 받는다. 그런데, 가동아암(37)과 자기디스크(88)는 평행하지 않고 90°미만의 각도를 이루어서 접촉하고 있으며(제2도), 자기디스크(88)의 회전방향이 화살표(G)방향이기 때문에, 마찰에 의해 발생된 상기 모우먼트는, 가동아암(37)을 자기디스크(88)에 압압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다음 순간에는, 상기 초기압압력과 상기 마찰에 기인해서 발생된 압압력이 자기디스크에 가해지게 되나, 상술한 발생이유에 의해 더욱 그 압압력도 확대된다. 그러나, 여러가지 조건에 의해 상기 압압력은 무한대로 확대된다는 의미는 아니며, 어떤 값으로 수렴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하면 마찰에 기인해서 발생하는 상기 압압력은 초기압압력의 수%로부터 수10%정도이다. 상기 마찰에 기인해서 발생하는 압압력은, 초기압압력, 가동아암(37)의 회전지점(38)으로부터 패드접촉면까지의 거리, 자기디스크(88)의 표면으로부터 회동지점(36)까지의 (최단)거리, 패드(40)와 자기디스크(88)의 표면과의 사이의 마찰계수에 의해서 대체로 결정된다. 따라서, 장착유닛의 설계에 있어서는 상기 초기압압력 또는 회동지점의 위치를 변화함으로서 회전시의 압압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결과, 패드(40)와 자기헤드(3)와의 평행정도(精度)를 기대할 수 없을 경우, 즉 본 실시예와 같이 가동아암(37)의 회동지점(38)을 장치 본체 상부에 설정함으로 자기헤드(3)윗면에 대한 위치벗어남의 요인이 증가하고, 또한 가동아암(37)의 위치벗어남, 패드(40)의 두께방향의 벗어남등을 포함해서 자기헤드(3) 윗면에 대한 접촉상태가 불균일해질 경우에 있어서도, 자기디스크(88)의 회전에 따라 패드(40)의 압압력이 증가하고, 패드(40)와 자기디스크(88)를 개재한 자기헤드(3)와의 접촉상태가 양호해진다. 또 환경변화. 예를 들면 고온 흑은 고습의 상태에서 장시간 드라이브장치가 방치되었을 경우에도, 패드(40) 및 자기디스크(88)는 크리이프변형을 일으켜서 구면형상을 가지는 자기혜드의 형상흔적이 패드(40) 및 자기디스크(88)에 형성되어불안정한 접촉상태가되나, 회전시에는 패드(40)의 압압력이 증가해서 패드(40)의 변형에 의한 불균일한 접촉상태는 개선되어 온다.
다음에 카아트리지(60)가 배출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배출에 있어서는 조작버튼(33)을 화살표(H)방향으로 압압하고 슬라이드판(12)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조작은 조작버튼(33)과 카아트리지(60)가 가장 이간된 상태로부터 개시되기 때문에 조작에 요하는 공간이 충분하게 확보되어 있으며, 조작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슬라이드판(12)의 이동에 따라서 슬라이드판의 캠부(12a)∼(124)는 각각 핀(51)-(54)을 외부판(13)의 세로로 긴구멍(13a)∼(13d)을 따라서, 접동, 상승시키고, 그것에 의해 호울더(11) 및 그 내부에 지지된 카아트리지(60)는 구동유닛(A)의 기체(7)에 대해서 이간하는 것같이 대체로 평행이동을 행한다.
호울더(11)의 이동에 의해, 돌기(11d)도 상승하고, 가동아암(37)은 돌기(11d)의 이동에 따라서 그 윗면에 접촉지지되어서 가압스프링(39)의 부세력에 대항하면서 회동지점(38)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패드(40)는, 자기디스크(88)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서, 이것과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드판(12)이 제5A도, 제5B도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록레버(34)는 화살표(E)방향으로 회동하여, 그선단부의 절결부(34a)와 슬라이드판(12)의 절결부(12e)가 계합한다.
이때, 호울더(11)는 구동유닛(A)의 기체(7)로부터 가장 이간된 상태에서 지지되고, 또 가동아암(37)은 외부판(13)의 윗면과 거의 평행해지는 자세로 지지된다. 또, 카아트리지(60)는 기체(7)상의 위치결정핀(7a)(제2도)과의 감합이 해제되며, 배출이동이 가능해진다.
카아트리지(60)의 배출력은 주로 좌우의 이동부재(17)(18)로부터 가해진다. 즉 이동부재(17)(18)는 인장스프링(45)(46)의 발생력을 작용부재(15)(16)로부터 가느다란 로우프(25)(26)을 개재해서 전달되어, 화살표(c)와 역방향으로 부세되고 있으며, 이것이 배출력이 된다. 따라서 카아트리지(60)는 좌우의 이동부재(17)(18)에 부세되고, 이것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면서 화살표(c)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작용부재(15)(16)는 화살표(c)방향으로 이동부재(17)(18)의 이동량과 같게 끌어당겨진다. 따라서, 작용부재(15)(16)는 카아트리지(60)과 장착유닛(B)으로부터 배출됨에 따라서, 그 배출량과 같은 길이의 작용부재(15)(16)가 장착유닛(B)의 내부로 끌려들어간다. 한편, 카아트리지(60)가 가진 유연한 밴드(81) 및 그 선단부에 설치된 돌기부(82)는 카아트리지(60)자체가 내장하는 스프링(83)에 의해 항상 탄성부세되고 있다. 이 부세력은 카아트리지(60)의 배출과정에 있어서, 작용부재(15)(16)의 이동방향과 같기 때문에, 유연한 밴드(81) 및 돌기부(82)는 작용부재(15)(16)의 이동에 추종해서 이동한다. 따라서 카아트리지(60)에 있어서는 유연한 밴드(81)에 연결된 셔터(80)가 카아트리지(60)의 개구부(66)(67)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작용부재(15)(16) 및 이동부재(17)(18)가 동작을 끝낸 상태에서는, 제5A도, 제5B도에 도시한 장착유닛(B)이 상태와 마찬가지이다. 즉, 좌우의 작용부재(15)(16)는 각각 선단부에 형성된 계합돌기(15d)(16d)를포함한 작용부재(15)(16)전체가 장착유닛(B)의 내부에 격납되고, 그것에 의해 좌우의 이동부재(17)(18)는, 그것이 이동가능한 범위내에서 카아트리지 삽입구(11C)에 가장 가까운 쪽으로 탄성부세된다. 또, 카아트리지(60)의 개구부(66)(67)는 셔터(80)에 의해 완전히 차폐된 상태가 된다. 다만, 카아트리지(60)는 장착유닛(B)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정지하고, 장착유닛(B)의 배출동작에 의해 그 전체가 장치 밖으로 탈락되는 것은아니다. 카아트리지(60)를 조작자가 빼냄으로서 그 배출이 완료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작용부재에 의해서 기능시켜야 할 대상이 기록매체에 대해서 정보의 기록, 재생을 행하기 위한 개구부를 개폐하는 수단, 즉 셔터와, 이것을 구동하기 위하여 설치된 유연한 밴드 및 그 선단부의 돌기부였으나, 본 발명의 드라이브장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작용부재에 의해서 기능시켜야할 대상이 기록매체에 대해서의 정보의 기록을 금지하는 수단, 즉 일반적으로 기업금지용 또는 착오소거방지용이라고 불리는 노치이며, 이 유무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작용부재를 갖추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중에서 이동부재로부터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소정의 방향의 힘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수단, 즉 가느다란 로우프(25)(26)는 본 발명의 구성에 적당한 것이면 어느 것이나 좋으며, 예를 들면 아주 얇은 금속제 와이어, 혹은 그것을 복수개 합친 것이어도 된다. 같은 변환수단의 하나인 풀리(21)(22)대신에 간단한 안내편이 설치되어도 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장착된 카아트리지(60)가 드라이브장치로부터 그 전체길이의 1/3정도 돌출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사용된 카아트리지(60)는, 그 기록재생용 개구부(66)(67)를개폐하기 위하여 돌기부(82)의 작용을 받아서 유연한 밴드(81)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나, 종래의 드라이브장치는 돌기부(82)를 포함하는 만큼의 깊이 치수를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유닛(B)의 내부로부터 작용부재(15)(16)가 돌출하고, 돌기부(82)의 이동범위에 걸쳐서 이것에 작용하기 때문에 드라이브장치 자체의 길이, 즉 카아트리지(60)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드라이브장치의 깊이치수는 카아트리지(60)의 그것보다도 대폭적으로 단축된다. 이 특징은 또 다른 이점을 가진다. 즉, 카아트리지(60)의 케이스에 부착되어 있는 표시용 라벨(74)이, 카아트리지(60)가 드라이브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드라이브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카아트리지가 어떤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카아트리지인지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카아트리지(60)는 좌우의 이동부재(17)(18)로부터 삽입된 방향과 역방향의(제5A도, 제5B도의 화살표C와 역방향의)부세력을 항상 받고 있으나, 카아트리지(60)에 형성된 위치결정용 구멍(68)(70) 또는(69)(71)에 구동용 유닛(A)의 기체(7)상의 위치결정핀(7a)(제3도)이 감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부세력에 의해서 이동되는 것은 아니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드라이브장치의 변환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7도에서는 제4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은 구성의 부분은 설명을 알기 쉽게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호울더(100)에는 작용부재(102)(103)가 호울더(100)를 따라서 접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작용부재(102)(103)는 각각, 카아트리지(60)의 셔터(80)를 개폐하기 위하여 유연한 밴드(81)에 형성된 돌기부(82)에 작용하기 위한 계합돌기(102a)(103a)와 랙톱니부(102b)(103b)를 갖추고 있다. 호울더(100)에는 또한 그것에 따라서 접동가능하게 이동부재(104)(105)가 부착되어 있다. 이동부재(104)(105)는 각각, 랙톱니부(104a)(105a)와 핀(106)(107)을 갖추고 있다. 핀(105)(107)은 호울더(100)의 안쪽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카아트리지(60)가 삽입되면 카아트리지(60)와 당접해서 삽입방향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서 이동부재(104)(105)가 카아트리지 삽입방향으로 이동한다. 작용부재(102)(103)와 이동부재(104)(105)는 각각의 랙톱니부(102b)(103b) 및(104a)(105a)가 호울더(100)에 회전자재케 부착된 피니언기어(108)(109)와 맞물려 있으므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접동을 행한다. 또, 이동부재(104)(105)는 각각 인장스프링(110)(111)에 의해 카아트리지(60)의 삽입방향의 역방향으로 부세되고 있으므로, 작용부재(102)(103)는 카아트리지(60)의 삽입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부세되고 있다. 호울더(100)의 양측면에 설치된 2쌍의 핀(112)∼(115)은 작용부재(102)(103)를 접동가능하게 유지하면서, 제4도의 슬랑드판(12)과 같은 슬라이드판의 안쪽으로부터 그 캠부를 관통계합하고, 다시 제4도의 외부판(13)과 같은 외부판에 형성된 세로로 긴구멍에 계합하고 있다.
다음에 제7도의 실시예의 동작을 제8A도, 제8B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8A도에 있어서, 카아트리지(60)는 미삽입의 상태이며, 인장스프링(110)(111) 및 피니언기어(108)(109)의 연동작용에 의해, 이동부재(104)(105)는 도면의 왼쪽방향으로, 작용부재(102)(103)는 오른쪽 방향으로 부세되고 있으며, 따라서 작용부재(102)(103)는 드라이브장치의 내부에 격납된 상태이다.
카아트리지(60)가 호울더(100)내로 삽입되고, 그 내부를 이동해 가면, 카아트리지(60)는 먼저 좌우의 이동부재(104)(105)에 설치된 핀(106)(107)에 당접한다. 이것에 의해 핀(106)(107) 및 이동부재(104)(105)는 카아트리지(60)와 일체가 되어서 이동하고, 피니언기어(108)(109)를 회동시킨다. 따라서, 이것과 맞물려 있는 작용부재(102)(103)는 이동부재(104)(105)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드라이브장치의 외부로 돌출한다. 또, 작동부재(102)(103)의 이동에 의해, 그 선단부의 계합동기(102a)(103a)중의 어느것인가가 카아트리지(60)의 돌기부(82)와 당접, 계합하고, 유연한 밴드(81)를 이동시키며, 카아트리지(60)의 개구부(66)(67)를 개구해 간다.
한편, 카아트리지(60)가 더욱 삽입되므로서 슬라이드판을 지지하고 있는 록이 해제되고, 슬라이드판은 카아트리지(60)의 삽입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하고, 호울더(100) 및 카아트리지(60)는 소정의 위치까지 대체로 평행이통을 행한다.
제8B도는 카아트리지(60)가 상기와 같이 대체로 평행이동을 완료하고,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 한다.
카아트리지(60)의 개구부(66)(67)는 완전히 개구하고 있으며, 또 카아트리지(60)자체는 일부가 드라이브장치로부터 돌출한 상태이며, 라벨부(74)를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내용은 변환수단에 대해서의 것이며, 다른 동작은 기본적으로 제4도의 실시예에 대해서 제5A도, 제5B도, 제6A도 및 제6B도를 사용해서 설명한 내용과 같다. 또한, 카아트리지(60)배출시의 동작은 상기한 카아트리지(60) 삽입시의 동작과 반대이며, 용이하게 이해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드라이브장치의 변환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9도에 있어서도, 제4도의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한 부분은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9도에 있어서, 작용부재(121)(122)는 호울더(120)의 양측면을 따라서 접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각각 선단부에 카아트리지(60)의 돌기부(82)와 당접하기 위한 계합돌기(123)(124)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부에 긴구멍(125a)(126a)이 각각 형성된 이동부재(125)(126)는 각각 일단부에서 작용부재(121)(122)의 후단부근에 고정된 핀(131)(13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동부재(125)(126)의 각각의 타단부에는 호울더(120)의 안쪽으로 돌출한 핀(127)(128)이 부착되어 있다. 핀(127)(128)은, 카아트리지(60)가 호울더(120)내에 삽입되었을때에 카아트리지(60)와 당접한다. 이동부재(125)(126)의 중앙부에 긴구멍(125a)(126a)에는 각각 호울더(120)의 원면에 부착된 고정핀(129)(130)에 끼워넣어져 있다.
카아트리지(60)를 호울더(120)에 삽입하면, 핀(127)(128)이 카아트리지(60)와 당접하여. 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부재(125)(126)는 고정핀(129)(130)를 지점, 고정핀(131)(132)을 작용점으로해서 회동한다. 따라서, 작용부재(121)(122)는 카아트리지(60)의 삽입방향과 반대로 이동해서 장착장치의 외부로 돌출한다. 이것에 따라, 계합돌기(123)(124)가 카아트리지(60)의 셔터(80)와 연동하는 유연한 밴드(81)의 돌기부(82)를 압압하여, 카아트리지의 개구부(66)(67)를 연다. 카아트리지(60)가 호울더(120)에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는, 개구부(66)(67)는 전체가 열린 상태가 되며, 카아트리지(60)자체는 라벨부를 포함하는일부가 드라이브장치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외의 동작은 이미 설명한 내용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카아트리지의 배출시의 동작은, 상기 삽입시의 동작과 반대이며,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의 실시예에 의거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정보기록매체는 자기디스크였으나, 광디스크라든가 혹은 그외의 원리에 의거한 임의의 기록매체이어도 되며, 자기디스크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카아트리지는 기록, 재생용 개구부의 셔터가 개폐되는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예를들면 기록재생을 금지하는 기타의 수단등 임의의 수단이 장착시에 작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사용하는 기록매체 흑은 카아트리지의 모양에 따라서 구동유닛도 여러가지 구성의 것이 사용될 수 있는것은 말할 것도 없다.

Claims (18)

  1. 셔터수단이 헤드창을 덮는 닫힌 위치와 헤드창이 열린 개방 위치사이에서 가동가능한 헤드창(66), (67) 및 셔터수단(80)을 가진 카아트리지(60)에 내장된 정보기록매체(88)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브장치에있어서, 내부에 삽입되는 카아트리지를 장착하는 카아트리지 장착유닛(B)과, 카아트리지가 카아트리지 장착유닛으로 삽입되는 경우 카아트리지의 헤드창을 개방하도록 카아트리지의 셔터수단을 닫힌 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가동하기 위하여 카아트리지 장착유닛내에 설치된 셔터개방수단(15)∼(18), (21), (22), (25), (26)과, 카아트리지 장착유닛이 장착된 기체(7)를 가지며, 카아트리지 장착유닛내에 기록매체를 구동하기 위한구동수단(1).(2), (8)∼(10) 및 카아트리지 장착유닛내에 삽입된 카아트리지의 헤드창을 통하여 기록매체를액세스하기 위한 판독/기록헤드(3)를 상기 기판위에 구비한 구동유닛(A)으로 구성되고, 상기 셔터개방수단은, 카아트리지가 카아트리지 장착유닛(B)내부로 삽입되는 카아트리지 삽입방향으로 카아트리지(60)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수단(17), (18) :(104), (105) :(125), (126)과, 이동수단의 이동에 의해 생성된 제1힘을 소정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2힘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작동가능하게 이동수단에 접속되어 있는변환수단(21), (22), (25), (26) :(102b), (103b), (104a), (105a), (108), (109) :(125a), (126a), (129), (130)과, 작용수단을 카아트리지 장착유닛으로 대략 완전히 둘러싸고 있는 제1위치와 작용수단의 일부가 카아트리지 장착유닛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위치 사이에서 가동가능하고, 상기 닫힌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카아트리지의 셔터수단을 이동하도록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제2힘에 의해 움직이도록 하기 위하여 변환수단과 작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작용수단(15), (16) :(102), (103) :(121), (12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은, 일단부가 이동수단에, 타단부가 작용수단에 고정된 스트링(25), (26)과, 이 스트링을 안내하는 안내수단(21), (22)으로 이루어진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21), (22)이 풀리로 이루어진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은, 이동수단(104), (105)에 설치된 제1랙부(104a), (105a), 작용수단(10·2), (103)에 설치된 제2랙부(102b), (103b) 및 상기 제1 및 제2랙부에 대해서 반대쪽에서 맞물리는피니언기어(108), (109)로 이루어진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은, 이동수단(125), (126)의 회동동작을 작용수단(121), (122)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125), (126)은 판형상의 이동부재이고, 상기 변환수단은 이동부재 중앙부 부근에 형성된 구멍(125a).(126a)과 이 구멍에 느슨하게 삽입된 고정핀(129), (130)으로 이루어진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21), (22), (25), (26) :(102b), (103b), (104a), (105a), (108), (109) ;(125a), (126a), (129), (130)은, 이동수단의 직선운동을 이동수단의 직선운동 방향과 반대방향의 작용수단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아트리지 장착유닛(B)은, 카아트리지를 지지하고, 구동유닛(A)의 기체에대해서 접근 및 이간운동이 가능한 호울더(11) : (100) : (120)과, 상기 호울더의 이동방향(C)과 대체로 직각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고 소정의 방향으로 부세된 슬라이드판(12)과 : 상기 슬라이드판을 지지하는 외부판(13)과, 카아트리지를 카아트리지 장착유닛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도록 상기 슬라이드판에 연결되어 있는 조작부(33)로 이루어진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판(13)은, 장착된 상기 카아트리지에 관해서 상기 기체(7)와 반대쪽에 배치된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을더(11); (100) :(120)는 양측면에 적어도 한쌍의 핀(51), (52), (53), (54) :(112), (113), (114), (115)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판(12)은 양측면에 상기 핀과 계합하는 캠부(12a), (12b), (12c), (12d)를 가지며, 상기 와부판(13)른 양측면에 상기 핀과 계합해서 상기 호울더를 안내하는 수직으로 연장된 구멍(13a), (13b), (13c), (13d)을 가지고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재(15), (16); (102), (103); (121), (122)는 호울더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재(15), (16) ;(102), (103); (121), (122)는 상기 호울더의 양측면에 설치된 적어도 한쌍의 핀(51), (52), (53), (54); (112), (113), (114), (115)을 안내해서 이동하는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88)는 유연한 디스크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유연한 디스크를 상기판독/기록헤드(3)에 압압하는 패드(40)와, 일단부에 상기 패드를 지지하는 가동아암(37)을 구비하고, 상기유연한 디스크위에 상기 패드의 압압력이 상기 유연한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서 증가하도록 한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아암의 피벗(38)이, 상기 패드(40)가 상기 유연한 디스크와 접속한 위치보다도 상기 유연한 디스크의 회전방향으로 전진한 상기 유연한 디스크의 위치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33)는 장착된 상태에 있는 카아트리지로부터 가장면 위치 및 장착된상태에 있는 카아트리지에 관해서 상기 기체(7)와 반대쪽에 배치된 정보기록매체의 기록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아트리지 장착유닛은, 구동유닛에 연결되고 내부에 카아트리지가 카아트리지 삽입방향으로 삽입되는 외부판(13)과, 외부판의 내부로 삽입되는 카아트리지를 수납하고 카아트리지를 카아트리지의 일부가 외부판밖으로 돌출된 완전삽입위치에서 지지하는 호울더(11), (100) :(120)와, 카아트리지를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서 유지하는 유지수단(12)과, 유지수단에 조작가능하게 연결되고 유지수단을 해제하기 위하여 조작자에 의해 조동가능하여 카아트리지를 카아트리지 장착유닛으로부터 분리하도록 하는 조작부(33)로 구성되어 있는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카아트리지가 외부판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수동유닛으로부터 카아트리지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18. 제16항에 잇어서, 상기 이동수단 및 상기 작용수단이 호울더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 브장치.
KR1019860001139A 1985-02-19 1986-02-19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KR9100016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030936A JPH0616338B2 (ja) 1985-02-19 1985-02-19 カ−トリツジ装着装置
JP60-30936 1985-02-19
JP60-32010 1985-02-20
JP60032010A JPH0616339B2 (ja) 1985-02-20 1985-02-20 カ−トリツジ装着装置
JP60158962A JPS6220171A (ja) 1985-07-18 1985-07-18 フロツピデイスクドライブ装置
JP60-158962 1985-07-18
JP60159027A JPH071588B2 (ja) 1985-07-18 1985-07-18 ドライブ装置
JP60-159027 1985-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779A KR860006779A (ko) 1986-09-15
KR910001651B1 true KR910001651B1 (ko) 1991-03-16

Family

ID=2745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1139A KR910001651B1 (ko) 1985-02-19 1986-02-19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94481A (ko)
EP (1) EP0192470B1 (ko)
KR (1) KR910001651B1 (ko)
DE (1) DE368160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6924B2 (ja) * 1986-07-14 1996-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光磁気記録装置
US4979061A (en) * 1986-10-17 1990-12-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ssette load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cassette insertion force
US5172362A (en) * 1987-05-15 1992-12-15 Hirachi, Ltd. Recording medium loading mechanism
US5297117A (en) * 1987-05-19 1994-03-22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loading and unloading and manually unloading a recording medium
US5146447A (en) * 1987-09-28 1992-09-08 Kabushiki Kaisha Toshiba Optical/optomagnetic disk apparatus
US4928192A (en) * 1987-12-23 1990-05-22 Konica Corporation Process for identifying disks and automatically configuring a disk drive system
JPH0739100Y2 (ja) * 1988-04-04 1995-09-0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デイスクカートリツジ
US5025436A (en) * 1988-12-20 1991-06-18 Literal Corporation Disk cartridge positioning mechanism for an information storage disk drive system
US5187622A (en) * 1990-08-20 1993-02-16 Teac Corporation Magnetic disk drive apparatus having a protection mechanism for protecting a magnetic head from collision with a magnetic disk when loading or unloading the magnetic disk
US5502704A (en) * 1991-03-29 1996-03-26 Sony Corporation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3116559B2 (ja) * 1991-10-23 2000-12-11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における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装着装置
JPH06223471A (ja) * 1993-01-29 1994-08-12 Sony Corp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5381402A (en) * 1993-07-07 1995-01-10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Removable disk cartridge for use with a rotary actuated disk drive
US5590109A (en) * 1993-09-17 1996-12-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Disc apparatus
US5768241A (en) * 1993-11-06 1998-06-16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Shutter operating mechanism for magneto-optical disk driv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8481A (en) * 1970-03-13 1972-07-18 Ibm Data storage apparatus employing a single magnetic disk
FR2123927A5 (ko) * 1971-02-05 1972-09-15 Honeywell Bull Soc Ind
US4315289A (en) * 1979-10-09 1982-02-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gnetic disk drive machine
JPS56130861A (en) * 1980-03-17 1981-10-14 Victor Co Of Japan Ltd Reproducing device for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S5736473A (en) * 1980-08-14 1982-02-27 Sony Corp Rotating driving device
US4525758A (en) * 1981-06-19 1985-06-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rtridge
US4546396A (en) * 1981-11-09 1985-10-08 Staar, S. A.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for recording and/or playback apparatus
US4419703A (en) * 1981-11-16 1983-12-06 Dma Systems Corporation Disc cartridge loading mechanism
KR840003098A (ko) * 1981-12-18 1984-08-13 미다 가쓰시게 카세트 장착장치
JPS5999285U (ja) * 1982-12-21 1984-07-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S59151366A (ja) * 1983-01-31 1984-08-29 Toshiba Corp 磁気デイスク装置
EP0137965B1 (en) * 1983-08-20 1989-04-05 Hitachi Maxell Ltd. Disc cartridge
JPS6051682U (ja) * 1983-09-16 1985-04-1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テ−プカセツト
JPS60117464A (ja) * 1983-11-30 1985-06-24 Teac Co 磁気デイスク駆動装置
JPS60214473A (ja) * 1984-04-09 1985-10-26 Mitsubishi Electric Corp 磁気デイスク装置のロ−デイング機構
JP3792787B2 (ja) * 1996-06-18 2006-07-05 アイシン高丘株式会社 ディスクロータの鳴き予測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94481A (en) 1988-12-27
EP0192470A3 (en) 1988-02-10
EP0192470A2 (en) 1986-08-27
DE3681604D1 (de) 1991-10-31
KR860006779A (ko) 1986-09-15
EP0192470B1 (en) 1991-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651B1 (ko)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US4794479A (en) Shuttering mechanism for a cassette with a shutter moving arm
EP0167167B1 (en) Disc case
US4745500A (en) Disk drive for cartridge disks
US4823214A (en) Disk drive for cartridge disks
US5974026A (en) Anti-rattle mechanism for a removable video disk cartridge
US5898539A (en) Disk apparatus having a slide member sliding along a side wall of a frame
JPH041941B2 (ko)
KR101061887B1 (ko) 디스크 카트리지 및 이 디스크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디스크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US7162726B2 (en) Disk apparatus
JPS61217961A (ja) マイクロフロツピデイスクドライブのカ−トリツジ着脱機構
JPH0616339B2 (ja) カ−トリツジ装着装置
JP3658078B2 (ja) 記録再生装置
JP2006172522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5978179A (en) Removable cartridge hard disk drive with an inner crash stop
JPH0789431B2 (ja) ディスクカセット装置
KR800001426Y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磁氣記錄 再生裝置)
JP2515313Y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093959B2 (ja) ディスク装置
JP3440535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900010122Y1 (ko) 디스크 기록 재생장치
JP3097236B2 (ja) テープカセット
JP2616501B2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JP4062836B2 (ja) フロッピーディスク・ドライブ
JPH0620368A (ja) 磁気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3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