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122Y1 - 디스크 기록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기록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122Y1
KR900010122Y1 KR2019850013402U KR850013402U KR900010122Y1 KR 900010122 Y1 KR900010122 Y1 KR 900010122Y1 KR 2019850013402 U KR2019850013402 U KR 2019850013402U KR 850013402 U KR850013402 U KR 850013402U KR 900010122 Y1 KR900010122 Y1 KR 9000101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table
chuck
disk
leve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34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664U (ko
Inventor
야스오 오사다
Original Assignee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66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6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1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1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3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in containers or t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스크 기록 재생장치
제1도는 본원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록재생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크 구동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Ⅱ-Ⅱ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Ⅲ-Ⅲ선 단면도.
제4도는 조작레버를 회전조작한 상태에 있어서의 제3도와 같은 단면도.
제5도는 조작레버를 회전조작하여 처킹동작을 행한 상태에 있어서의 제2도와 같은 단면도.
본원 고안은 디스크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기억매체를 구성하는 디스크를 이용하여 신호의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하도록 한 디스크구동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디스크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면, 컴퓨터의 외부 기억장치로서 플로피디스크나 또는 광학식의 디스크가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디스크를 사용하여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할 경우에는 디스크를 구동장치의 처크에 의해 유지해서 회전시키면서, 이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헤드를 이동시켜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예를들면 광학식 디스크의 경우에는 슬라이드식의 테이블을 사용하며, 이 테이블을 인출하여 슬라이드 테이블상에 디스크를 재치하는 동시에 디스크를 슬라이드 테이블과 함께 처크위치에 이동시켜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처크장치에 의한면, 슬라이드 테이블에 의해 디스크를 처크위치에 이동시켰을 경우, 이 위치에서 로크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에 푸시푸시식의 로크장치를 사용하면, 이 슬라이드 테이블을 인출할 경우에 가볍게 슬라이드 테이블을 밀어 넣는 것만으로 되며, 이 때문에 로크의 해제를 위한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생기며, 구조가 간단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푸시푸시식의 로크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디스크에 의해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하고 있을때에 잘못하여 상기 테이블을 밀면 상기 로크가 해제되어 디크스가 테이블과 함께 튀어나올 가능성이 있고, 올바른 기입 또는 독출이 행해지지 않게 되어 버린다.
본원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디스크를 재치하고, 처크위치에 이동된 슬라이드 테이블이 인출방향으로 뜻하지 않게 튀어 나오지 않도록 하여 이것에 의해 올바른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원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디스크를 재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캐비닛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인출되어서 디스크를 재치할 수 있는 인출위치와 상기 캐비닛내에 수납되어 헤드장치에 의해 디스크를 재생할 수 있는 수납위치로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테입블과, 상기 슬라이드테이블을 상기 수납위치에서 로크하는 로크기구와, 상기 슬라이드 테이블이 수납된 위치에서 디스크를 처크와 함께 협지하는 협지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처크암과, 상기 캐비닛의 상기 개구부 근방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조작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레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처크암을 이동작동시켜서 디스크를 처크하는 동시에 상기 수납위치에 있는 슬라이드 테이블의 상기 인출위치 방향으로의 이동을 상기 조작레버에 의해 직접 저지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에, 본원 고안을 도시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원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록재생장치를 구성하는 광학식 디스크의 구동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방체형을 이루는 캐비닛(1)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캐비닛(1)내에는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테이블(2)이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테이블(2)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안내로드(3)에 의해 캐비닛(1)내에 있어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즉 좌측의 안내로드(3)가 관통하는 슬라이더(4)가 슬라이드 테이블(2)의 저판(6)에 고착되는 동시에, 우측의 안내로드(3)는 저판(6)의 절곡편에 부착된 상하 한쌍의 롤러(5)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테이블(2)은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저판(6)에는 그 대략 중앙부에 개구부(7)가 형성되어 동시에, 이 개구부(7)를 향하도록 처크(8)가 설치되어 있다. 처크(8)는 모터(9)의 출력축에 고정되어 있으며, 모터(9)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테이블(2)의 내측에는 받이판(10)이 배설되어 있다. 이 받이판(10)은 4개의 패드(11)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패드(11)에 의해 후술하는 광디스크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받이판(10)의 하면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스프링(12)이 배설되어 있으며, 이 리프스프링(12)에 의해 받이판(10)은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처크(8)의 위쪽에는 누름링(13)이 배설되어 있으며, 이 누름링(13)은 부착판(14)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부착판(14)은 그 좌우 양측에 각각 누름편(15)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받이판(10)을 내려 누르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부착판(14)은 좌우 한쌍의 처크암(16)에 의해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며, 더욱이 처크암(16)은 스테이(stay)(17)에 핀(18)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처크암(16)에는 각각 리미터(19)가 비스 고정되어 부착되어 있으며, 이들 리미터(19)가 브리지멤버(20)와 맞닿아 슬라이드 테이블(2)의 위치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슬라이드 테이블(2)을 수납위치 또는 밀어넣는 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로크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슬라이드 테이블(2)의 저판(6)에 부착되어 있는 브리지멤버(20)에는 돌출편(21)이 일체로 연설되어 있고, 이 돌출편(21)의 선단부에는 로크핀(2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핀(22)은 지지판(23)에 핀(24)을 통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로크레버(25)와 걸어 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로크레버(25)는 스프링(26)에 의해 제1도에 있어서 핀(24)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힘이 가해지고 있다.
그리고, 이 로크레버(25)의 선단부에는 절삭되어 이루어진 로크부(27)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로크부(27)를 향하도록 경사편(2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편(28)에 의해 푸시푸시식의 로크장치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크레버(25)를 지지하는 지지판(23)은 기판(29)에 부착되는 동시에, 이 기판(29)에는 리프스프링(30)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리프스프링(30)은 브리지멤버(20)을 통해 슬라이드 테이블(2)을 밀어내도록 힘이 가해지고 있다.
다음에, 상기 처크암(16)을 회전조작하기 위한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이 기구는 조작레버(31)를 구비하고 있으며, 조작레버(31)는 크랭크축(32)의 선단부에 고착되어 있다. 이 크랭크축(32)에는 크랭크레버(33)가 고착되는 동시에, 크랭크레버(33)의 선단부는 핀(34)을 통해 작동레버(35)에 연결되어 있다. 작동레버(35)는 스테이(36)에 핀(37)을 통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으며, 더욱이 이 작동레버(35)의 선단부는 핀(38)을 통해 상기 부착판(14)의 직립편(直立片) (39)과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이 디스크 구동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디스크 구동장치에 광디스크(42)를 재치하여 제5도와 같이 독출을 행할 경우에는 프론트패널(40)의 개구부(44)를 통해 슬라이드 테이블(2)을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우측으로 인출하는 동시에 이 슬라이드 테이블(2)의 받이판 (10) 상에 광디스크(42)를 재치한다. 광디스크(42)는 받이판(10)의 패드(11)에의해 지지되게 된다.
이와같이 해서 광디스크(42)를 슬라이드 테이블(2)상에 재치하였으면 이 슬라이드 테이블(2)을 이번에는 반대로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위치에 밀어 넣는다.
슬라이드 테이블(2)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한쌍의 안내로드(3)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고, 재치되어 있는 디스크(42)의 중심부가 처크(8)의 중심과 일치하는 처크위치까지 이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슬라이드 테이블(2)이 밀어 넣어지면, 이 슬라이드 테이블(2)의 저판(6)에 부착되어 있는 브리지멤버(20)의 돌출편(21)에 설치되어 있는 로크핀(22)이 지지판(23)에 핀(24)을 통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로크레버(25)의 로크부(27)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어 맞추어지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테이블(2)이 브리지멤버(20)를 통해 리프스프링(30)에 의해 눌려져도 이 슬라이드 테이블(2)이 튀어 나오는 일이 없어진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레버(31)를 크랭크축(32)과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조작한다. 그리고, 조작레버(31)의 같은 방향의 회전은 그 최대각도가 핀(43)에 의해 규제된다.
이 레버(31)에는 크랭크축(32)을 통해 크랭크레버(33)가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크랭크레버(33)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이 크랭크레버(33)의 선단부의 핀(34)이 작동레버(35)를 누르게 되고, 작동레버(35)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37)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이 작동레버(35)와 핀(38)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직립편(39)을 갖는 부착판(14)은 아래쪽으로 눌리게 된다.
상기 부착판(14)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크암(16)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작 레버(31)의 조작에 의해 처크암(16)이 지점핀(18)을 중심으로 하여 제5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처크암(16)에 부착판(14)을 통해 부착되어 있는 누름링(13)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며, 슬라이드 테이블(2) 상에 재치되어 있는 광디스크(42)를 처크(8)에 밀어 붙여 처킹동작을 행한다. 동시에 상기 부착판(14)의 누름편(15)이 받이판(10)을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이 받침판(10)을 광디스크(42)에서 이간시킨다.
따라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42)는 처크(8)와 연결되며, 더욱이 상기 조작레버(31)의 회전조작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전원스위치가 투입되기 때문에, 모터(9)에 의해 광디스크(42)가 구동되게 된다. 그리고, 이 광디스크(42)의 하면에 기입되어 있는 정보가 도시하지 않은 광학식 독출헤드에 의해 독해되게 된다.
소정의 독출동작이 끝나면 상기 조작레버(31)를 역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이 조작에 연동해서 크랭크레버(33) 및 작동레버(35)를 통해 처크암(16)이 상승되기 때문에 받이판(10)의 누름편(15)에 의한 누름이 해제되어 받이판(10)은 리프스프링(12)에 의해 상승한다. 따라서, 이 받이판(10)에 의해 광디스크(42)도 밀려 올라와 상기 처크(8)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개구부(44)를 통해 슬라이드 테이블(2)을 밀어넣는 방향으로 조금 민다. 그러면, 슬라이드 테이블(2)에 연결되어 있는 브리지멤버(20)에 설치되어 있는 로크핀(22)이 스프링(26)의 작용에 의해 로크레버(25)의 경사편(28) 아래쪽으로 들어간다. 그러면, 리프스프링(30)의 누르는 힘에 의해 로크핀(22)이 로크레버(25)를 밀어 올려 진동운동을 하게 하여 로크핀(22)과 로크레버(25)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따라서 리프스프링(30)에 의해 슬라이드 테이블(2)은 밀려 나오고, 이 테이블(2)에서 광디스크(42)를 꺼낼 수 있게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기록재생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크 구동장치에 의하면, 처크동작을 행하기 위해 조작레버(31)를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조작하면, 특히 제5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이 조작 레버(31)는 슬라이드 테이블(2)의 전면측에 위치하며, 이 슬라이드 테이블(2)이 프론트패널(40)의 개구부(44)을 통해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위치로 변위하게 된다. 따라서, 처크동작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테이블(2)이 뜻하지 않게 밀려 들어가 푸시푸시식의 로크장치를 구성하는 로크레버(25)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더라도 이 조작레버(31)가 슬라이드 테이블(2)이 튀어 나오는 것을 직접 방지하게 되어 이 광디스크(42)에 의한 독출동작이 뜻하지 않게 저해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처크동작을 행하기 위한 처크암(16)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미터(19)가 비스 고정되어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 리미터(21)는 처크동작이 행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제2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테이블(2)의 저판(6)과 연결된 브리지멤버(20)와 간섭하는 일이 없지만, 처크동작이 행해졌을 경우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리지멤버(20)의 선단부와 맞닿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처크동작이 행해졌을 경우에는 다시 슬라이드 테이블(2)을 밀어 넣을려고 해도, 이 리미터(19)에 의해 밀어 넣는 동작이 저지되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테이블(2)을 다시 밀어 넣을 수 없기 때문에 푸시푸시식의 로크기구를 구성하는 로크레버(25)와 로크핀(22)과의 걸어맞춤의 해제가 행해지지 않게 되어, 이 리미터(19)에 의해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것에 의해서도 도중에서 독출동작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로크핀(22)이 설치되어 있는 브리지멤버(20)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스(41)에 의해 슬라이드 테이블(2)의 저판(6)에 고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브리지멤버(20)의 비스삽통공이 비스의 직경보다도 상당히 크게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브리지 멤버(20)를 슬라이드 테이블(2)에 대해 특히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로크핀(22)이 로크레버(25)와 걸어 맞추어질 때의 슬라이드 테이블(2)의 정지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되며, 슬라이드 테이블(2)과 디스크(42)와의 간섭을 방지하여 디스크(42)를 바른 위치에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은 캐비닛의 개구부의 근방에 설치된 조작레버를 왕동 조작하면, 이 조작 레버가 슬라이드 테이블의 인출을 직접 저지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원 고안에 의하면 슬라이드 테이블이 뜻하지 않게 인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처크암에 의해 리미터를 설치하고, 이 처크암이 작동하도록 이동되면 리미터가 슬라이드 테이블의 밀어 넣는 방향으로 이동을 규제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원 고안에 의하면 특히 처크동작중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테이블의 위치규제를 정확하게행할 수 있는 동시에 슬라이드 테이블이 밀어 넣는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예를들면 푸시푸시식의 로크장치를 사용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이 로크 장치가 슬라이드 테이블의 밀어 넣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디스크(42)를 재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캐비닛(1)에 형성된 개구부(44)로부터 인출되어서 디스크(42)를 재치할 수 있는 인출위치와 상기 캐비닛(1)내에 수납되어 헤드장치에 의해 디스크(42)를 재생할 수 있는 수납위치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테이블(2)과, 상기 슬라이드 테이블(2)을 상기 수납위치에서 로크하는 로크기구와, 상기 슬라이드 테이블(2)이 수납된 위치에서 디스크(42)를 처크(8)와 함께 협지하는 협지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처크암(16)과, 상기 캐비닛(1)의 상기 개구부(44) 근방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조작레버(13)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레버(3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처크암(16)을 작동시켜서 디스크(42)를 처크하는 동시에 상기 수납위치에 있는 슬라이드 테이블(2)의 상기 인출 위치방향으로의 이동을 상기 조작레버(31)에 의해 직접 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크암(16)에 리미터(19)를 설치하고, 상기 처크암(16)이 상기 디스크(42)를 처크하고 있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드 테이블(2)을 밀어 넣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KR2019850013402U 1984-11-13 1985-10-15 디스크 기록 재생장치 KR90001012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4172199U JPH0441492Y2 (ko) 1984-11-13 1984-11-13
JP(U)172199 1984-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664U KR860006664U (ko) 1986-06-25
KR900010122Y1 true KR900010122Y1 (ko) 1990-10-31

Family

ID=30729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3402U KR900010122Y1 (ko) 1984-11-13 1985-10-15 디스크 기록 재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41492Y2 (ko)
KR (1) KR900010122Y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6062B2 (ja) * 1976-10-30 1984-09-01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小屋組
JPS5877081A (ja) * 1981-10-30 1983-05-10 Teac Co 記録媒体デイスク駆動装置
JPS5919266A (ja) * 1982-07-23 1984-01-31 Canon Electronics Inc 磁気デイスクのクランプ及びイジエクト装置
JPS5936062U (ja) * 1982-08-30 1984-03-06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スクプレ−ヤ
JPS59138047U (ja) * 1983-03-07 1984-09-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磁気デイスク駆動装置のロツク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86849U (ko) 1986-06-06
KR860006664U (ko) 1986-06-25
JPH0441492Y2 (ko) 199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5436A (en) Disk cartridge positioning mechanism for an information storage disk drive system
US4642717A (en) Mechanism for lifting and lowering magnetic head i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KR950001830B1 (ko) 디스크 구동장치
JPS6161184B2 (ko)
JPS60501333A (ja) フレキシブルな磁気ディスクのクランプ・イジェクト機構
US4789912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f rotary head type
KR910001651B1 (ko)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KR900010122Y1 (ko) 디스크 기록 재생장치
US4660111A (en) Pad lifting mechanism of a floppy disk device
JPH0313904Y2 (ko)
EP0822549A1 (en) Disk player
JPS6316810B2 (ko)
JPH0142848Y2 (ko)
EP0867876A1 (en) Disk recording-reproducing device
JPH0216447Y2 (ko)
JPS6120261A (ja) フレキシブル・デイスク・ドライブ用作動機構
JPH0621079Y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3090576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装置
JP2559717Y2 (ja) ディスク装置
JPH0320925Y2 (ko)
JPS6040995Y2 (ja) テ−プレコ−ダのテ−プシフタ−装置
JP2661322B2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ク駆動装置
JPH0610543Y2 (ja) 磁気記録装置
JPH0221461A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H0743785Y2 (ja) 回転ヘッド式テーププレーヤのピンチローラ位置決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