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452Y1 - 경사진도로에서의 차량 역진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경사진도로에서의 차량 역진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452Y1
KR910001452Y1 KR2019880011412U KR880011412U KR910001452Y1 KR 910001452 Y1 KR910001452 Y1 KR 910001452Y1 KR 2019880011412 U KR2019880011412 U KR 2019880011412U KR 880011412 U KR880011412 U KR 880011412U KR 910001452 Y1 KR910001452 Y1 KR 9100014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olenoid
pedal
valve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1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847U (ko
Inventor
차호현
Original Assignee
차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호현 filed Critical 차호현
Priority to KR2019880011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452Y1/ko
Priority to US07/350,620 priority patent/US4915131A/en
Publication of KR9000028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8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4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4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12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for locking of revers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8/00Brakes
    • Y10S188/02Hill ho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257Hydraulic brake line [e.g., hill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265Dividing into parallel flow paths with recombining
    • Y10T137/87378Second valve assembly carried by first valve h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265Dividing into parallel flow paths with recombining
    • Y10T137/87507Electrical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사진도로에서의 차량 역진방지장치
제l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a)는 차량이 도로를 정상운행할 때와 주차중인 때의 작동상태도, (b)는 차량에 제동장치를 작동시켰을 때의 작동상태도, (c)는 차량이 경사로에서 정차후 출발하기 위하여 클러치를 밟아 일시적으로 제동되는 상태의 작동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도시하는 예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작용설명도
제6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전기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밸브본체 5 : 피스턴
5' : 연결핀 6 : 밸브콘
7 : 작동로드 8 : 고정볼트
9 : 솔레노이도 l0 : 압축스프링
11 : 마스터실린더 13' : 악셀레이터페달스위치
14 : 사이드브레이크스위치
본 고안은 경사도로에서 일시 정차 또는 주차중이던 차량이 상향 운행을 하기 위하여 출발할 때에 출발 직전에 차량의 자중으로 하향으로 역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도로에서의 차량 역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주행중 필요에 따라 정지코자 할때 우성 브레이크페달을 밞음으로써 마스터실린더의 오일이 휠실린더에 가압되며 휠디스크나 드럼(전, 후륜에 설치된 제동장치)에 커다란 마찰력이 작용하여 차륜의 회전이 정지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동작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차량이 정지되기 전에 엔진의 회전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플라이휠기어로 부터 클러치디스크가 이탈되도록 클러치페달을 밟고 있거나 기어를 중립상태로 위치시켜 놓게 되는데 이때에는 시동을 끄지 않는한 차량이 완전히 정지하더라도 엔진의 회전은 계속된다.
그리고 정차 또는 주차중이던 차량이 다시 출발할 때에는 밟고 있던 브래이크페달에서 오른발을 떼면 제동을 걸고 있던 브레이크슈우나 또는 라이닝이 휠디스크나 드럼으로 부터 이탈되어 마찰력이 해제되므로 오른발을 브레이크페달에서 즉시 악셀레이터페달을 밟는 가속준비상태에서 왼쪽발로는 글러치페달을 밞아주면서 필요에 따른 전진 또는 후진 기아를 넣고난후 엔진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도록 악셀레이터페달을 신속한 동작으로 밟으면서 클러치페달로 부터 왼발을 서서히 떼면 엔진의 동력이 차륜에 전달되어 차량이 출발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차량의 일시 정차 또는 주차상태에서 차량을 출발시킴에 있어서 정차 또는 주차 위치가 평지일 경우에는 브레이크 페달에서 오른발을 떼어 악셀레이터페달로 옮길 때 차량은 비교적 거의 움직이지 않거나 미소하게 움직이게 되므로 전진하고자 하는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후진하게 되는 일이 없으나, 경사진 언덕이나 비탈길에 정차 또는 주차하였다가 출발하는 경우에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경사진 언덕이나 비탈길등에 정차 또는 주차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페달과 클러치페달을 함께 밟고 있는 상태이므로 브레이크페달에서 오른발을 떼어 악셀레이터페달쪽으로 옮기는 순간 차량의 제동이 풀리면서 차량이 전진하고자 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역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차량의 후진현상은, 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있던 오른발을 떼어 클러치페달로 옮기는 순간 제동이 풀린상태에서 자동차의 중량과 운전자 및 탑승자의 체중이 합해진 하중이 항상 낮은 쪽으로 작용하므로 차량은 낮은 쪽 즉, 아래쪽으로 밀어내려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후진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운전자는 차량의 제동력이 해체되는 순간 낮은 쪽으로 밀릴때 그 거리를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게 되고 가능한 한 신속히 악셀레이터를 밟아서 엔진을 가속시켜야만 차량을 경사도로의 윗쪽으로 전진시킬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차량이 경사도로에서 정차 또는 주차 후 앞으로 전진주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많은 운전경험과 고도의 기술을 가진 숙련자는 신속한 페달조작으로 후진되는 일이 없이 전진주행할 수 있게 되지만 운전이 미숙한 초보운전자나 여성운전자등은 신속한 전진가속조작이 부담되어 불안한 출발을 하게 되고 운진자나 탑승자가 불안감을 갖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언덕 아래쪽으로 후진하는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뒤따라서 차선을 순서적으로 일시 정지하고 있던 타 차량과 연쇄적으로 충돌하는 사고를 유발하게 되어 차량의 파손은 물론 충돌의 정도에 따라서는 인명피해가 발생하게 되므로 인명피해와 경제적인 피해를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있다.
또한 이러한 후진현상은 초보운전자들에게만 불안요소 및 사고의 요인으로 되는 것은 아니여, 운전경험이 많고 숙련된 운전자도 많은 짐을 실었거나 많은 승객이 탑승한 경우에는 위와 같은 후진현상에 의한 위험을 앉고 있었다.
이러한 후진현상은 경사도가 크면 클수륵 심하게 되어 사고의 위험은 더욱 커지게 되고, 이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으로 운전자는 많은 긴장속에서 악셀레이터페달에 힘을 주어 작동시키케 되므로 차량의 각 부품 즉, 엔진이나 클러치, 변속기, 만능이음, 기어장치, 타이어등 동력전달계통에 많은 무리를 주게 되어 자동차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고, 급격한 가속으로 자동차 연료의 소비도 커지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이 일시 정차한 상태 또는 주차한 상태에서 다시 출발하고자 할때에 클러치페달을 밟고 있어도 브레이크시스템이 제동작동하도록 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브레이크페달과 항상 동시에 밞고 있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가속을 위하여 악셀레이터페달을 작동시킬 때 클러치페달을 서서히 놓으면 브레이크작동이 해제되는 동작과 클러치 연결이동시에 이루어져서 차량이 전진할 수 있게 되도록 한 경사도로에서의 차량역진방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차량 자체에 구비하고 있는 전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운전의 숙련 여부에 관계없이 경사도로에 정차 또는 주차한 후 다시 전진 출발할 때 차량이 자중에 의하여 후진하는 일이 없이 전진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차량에 설치된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할 때에는 브레이크 동작에 하등의 영향으로 미치지 않으면서도 클러치페달의 링크 배면부에 접점스위치를 설치하여 클러치페달을 사용시에는 일시적으로 제동효과를 가지면서 사이드 브레이크의 기능까지도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트랜스미션에 설치된 후진기어와 전전기어 1단기어에도 접점스위치를 설치하여 차량의 주,정차 또는 출발시에만 일시적인 제동장치가 작동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경사도로에서의 차량역진방지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장치는, 마스터실린더(11')와 각 차륜측에 설치된 휠실린더(f)(f')를 오일파이프(12A)(12B)로 연결하며, 브레이크 페달(11)와 클러치페달(13) 및 사이드브레이크스위치(14)를 구비한 통상의 차량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실린더(11')와 휠실린더(f)(f')를 연결하는 오일파이프(12)의 도중에 연결되는 밸브본체(1)와, 차량의 전원에 연결된 상시 후퇴형 솔레노이드(9)를 가지는 솔레노이드밸브(SV)를 설치하며, 상기 밸브본체(1)의 내부에는 밸브본체(I)의 내부에는 상기 오일파이프(12A)에 연통되는 인입구(2A)와 오일파이프(12B)에 연통되는 인출구(2B)를 가지는 밸브실(1')을 형성하고, 밸브실(1') 내부에서 피스턴(5)와 이에 끼워지는 밸브단속링(3)을 솔레노이드(9)의 작동로드(7) 하단에 고정설치하며, 피스턴(5)과 밸브단속링(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5')에는 오일구멍(6')이 상하로 관통된 밸브콘(6)을 삽입하여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하고, 상기 클러치페달(13)의 족답에 의하여 온/오프되는 클러치페달스위치(13')를 설치하여 상시 사이드브레이크스위치(14)와 솔레노이드(9)를 전원에 대하여 병렬로 연결하고, 전진1단 기어스위치(Sf)와 후진기어스위치(Sr)를 전원과 솔레노이드(9)사이에 병렬로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오일파이프(12A) (12B) 는 밸브본체(1) 이 인입구(2A) 와 인츨구(2B)에 나사결합되는 연결니플(2A) (2B)에 의하여 연결한다.
상기 솔레노이드(9)는 코일(9A')이 권취된 보빈(9A)내에 코어장홈(9B)을 가지는 코어(9B)를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코어(9B)에는 상기 작동로드(7)가 나사공정되며, 상기 코어(9B)와 작동로드(7)는 밸브본체(1)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안내지지체(8)와의 사이에 장전되는 압축스프링(10)에 의하여 항시 후퇴하는 방향으로 탄력설치되는 상기 후퇴형이다.
상기 안내지지구(8)와 밸브본체(1)의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8A)이 끼워지고, 중앙에는 작동로드(7)가 안내되는 안내공(8B)가 천공되어 있다.
상기 작동로드(7)의 하단에의 피스턴(5)와 밸브단속링(3)의 고정은 작동로드(7)의 하단에 연결핀공(7')을 천공하고, 피스턴(5)과 밸브단속링(3)에는 연결핀공(5')(3')을 천공하여 이에 연결핀(P)을 끼우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단속링(3)의 저면에는 벨브콘(6)의 상단부에 밀착되는 패킹(4)이 부착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l4'는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전원램프, 5B는 피스턴장홈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경사도로에서의 차량역진방지장치는, 제4도 및 제5도와 같이 차량에 장착하고 제6도와 같은 전기회로를 구성하도록 설치하며 사용하는 것이다.
차량에 장착한 상태에서 차량의 운행을 중단하고 시동을 끈 상태에서는 차량 전체의 전원이 꺼진 상태이므로 제3도(a)에서와 같이, 솔레노이드(9)의 작동로드(7)는 압축스프링(10)에 의하여 상향 복귀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작동로드(7)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피스턴(5)과 밸브단속링(3) 및 밸브콘(6)이 상승되고 이에따라 피스턴(5)과 밸브단속링(3) 및 밸브콘(6)이 상승되고 이에 따라 밸브콘(6)이 상승되어 인입구(2A)(2B)가 연통된 상태로 되며, 밸브콘(6)의 상단이 밸브단속링(3)의 하단에 부착된 패킹(4)으로 부터 이격되어 오일구멍(6')이 개방된 상태로 된다.
이때 주차할 경우에는 사이드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제동을 걸어둔다.
이 상태에서 차량의 운행을 위하여 클러치페달(13)을 밟은 상태에서 시동을 걸면 차량의 전원이 연결되고, 클러치페달(13)과 브레이크페달(11)을 밟은 상태에서 사이드브레이크를 풀고 기어를 전진1단기어로 전환시킨 다음 발진을 위하여 브레이크페달(11)을 밟고 있던 오른발을 떼어 악셀레이터페달을 밟아 서서히 가속시키면서 클러치페달(13)을 밟고 있던 왼발을 서서히 떼어주면 클러치디스크가 플라이휠기어에 밀착되면서 엔진의 동력이 트랜스미션, 프로펠러샤프트, 디퍼런셜기어를 거쳐 엑슬샤프트가 회전하게 되어 차륜이 회전하여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전원을 온시키고 사이드브레이크를 넣은 상태에서는 전원이 사이드브레이크스의치(14)를 통하여 솔레노이드코일(9A')에 인가되어 솔레노이드(9)의 코어(9B)와 작동로드(7)가 스프링(1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전진 하강하게 되어 제3도(b)와 같이 피스턴(5)과 밸브단속링(3) 및 밸브콘(6)이 하강하여 밸브콘(6)을 하강시켜 밸브본체(1)의 인입구(2A)와 인출구(2B)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클러치페달(13)을 밟고 사이드브레이크를 해제하면 클러치페달스위치(13')가 온으로 되고, 사이드브레이크 스위치(14)는 오프로 되는바, 이때 기어가 중립에 있을 경우에는 솔레노이드(9)에 전원이 공급되지 아니한다.
운전자가 발진을 위하여 기어를 전진 1단에 놓으면 전진 1단기어 스위치(Sf)가 온으로 되어 전원은 클러치페달스위치(13')와 전진 1단기어 스위치(Sf)를 통하여 인가된다.
따라서 사이드브레이크를 해제하기 전에 기어를 전진 1단에 놓으면 그 후 사이드브레이클르 해제하더라도 솔레노이드(9)에는 계속하여 전원이 인가되어 제3도(b)와 같이 인입구(2A)와 인출구(2B)릍 차단하므로 휠실린더(f) (f')에 가압되어 있던 브레이크오일은 복귀되지 않고 제동작용을 하는 상태로 유지되어 브레이크페달(11)을 밟지 않더라도 차량이 미끄러지는 일이 없이 제동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기어를 전진 1단기어로 하고 악셀레이터페달을 밞아 서서히 가속시키는 상태에서 클러치페달(13)을 밟고 있던 왼발을 서서히 떼면 클러치페달(13)에 의하여 눌려서 온으로 되어 있던 클러치페달스위치(13')가 오프로 되어 솔레노이드(9)에는 전원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제3도(a)와 같이, 솔레노이드(9)의 작동로드(7)는 압축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하여 후퇴복귀되고 그 하단에 연결된 피스턴(5)과 밸브단속링(3) 및 밸브콘(6)이 상승하여 인입구(2A)와 인출구(2B)를 연통개방시키게 되어 휠실린더(f)(f')에 가압되어 있던 브레이크오일이 복귀되면서 제동이 해제되어 악셀레이터페달(13)을 밟는 것에 의하여 발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클러치페달스위치(13')는 제5도와 같이 클러치페달(13)을 완전히 밟은 상태로 부터 어느 정도 발을 뗀위치(제5도에서 중간위치)에 이를때까지는 클러치페달스위치(l3')가 온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중간위치 이상으로 올라가면 오프로 되는 것이다.
주행중에는 클러치페달스위치(13')와 사이드브레이크스위치(14)가 오프로 되므로 솔레노이드(9)는 후퇴복귀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SV)의 인입구(2A)와 인출구(2B)는 제3도(c)와 같이 연동개방된 상태로 유지되어 주행에 하등의 지장을 주지 아니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하여 경사도로에서의 차량의 역진을 방지하는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경사도로에서 상향 주행중 일시정차하기 위하여 브레이크페달(11)을 밟아서 정지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브레이크페달(11)을 밟는 순간 마스터실린더(11')에 의하여 브레이크오일이 가압되어 오일파이프(12a), 벨브본체(1)의 인입구(2A), 인츨구(2B) 및 오일파이프(2B)를 통하여 휠실린더(f)(f')로 가압 이송되어 브레이크작동이 이루어지며, 다음 순간에 클러치페달(13)을 밟을 때 클러치페달스의치(13')가 온으로 되며, 다음 기어를 전진 1단기어로 전환시킨 다음 중립상태로 전환시키게 되는바, 기어를 전진 1단기어로 전환하는 순간에 전진 1단기어스위치(Sf)가 온으로 되어 솔레노이드(9)에 전원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9)의 작동로드(7)가 스프링(10)에 대항하여 전진하면서 그 하단에 고정설치된 피스턴(5)과 밸브단속링(3) 및 밸브콘(6)이 하강하면서 밸브본체(1)의 인입구(2A)와 인출구(2B)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정차시간이 다소 길어지는 경우에는 사이드브레이크를 넣게 되는바 이 경우에도 사이드브레이크스위치(14)가 온으로 되어 솔레노이드(9)에 전원이 인가되므로 클러치페달(13)에서 발을 떼고 기어를 중립위치에 놓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은 밸브본체(1)의 인입구(2A)와 인출구(2B)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다시 경사도로를 상향 주행하기 위하여 발진하는 경우에는 클러치페달(13)을 밟고 기어를 전진1단기어로 넣으면 클러치페달스위치(13')와 전진 1단기어스위치(Sf)가 온으로 되므로 그 후 사이드브레이크를 해제하더라도 솔레노이드(9)에는 전원이 인가된 상태릍 유지하게 되어 인입구(2A)와 인출구(2B)가 차단되어 휠실린더(f)(f')에 가압되어 있는 브레이크오일이 복귀되지 않고 제동작용상태로 유지되며, 이때 브레이크페달(11)을 밟지 않더라도 제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 브레이크페달(11)을 밟고 있던 오른발을 떼어 악셀레이터페달을 밟아 가속시키면서 클러치페달(13)을 밟고 있던 왼발을 서서히 떼면 클러치페달(13)이 제5도의 중간위치에 이를때 까지는 클러치페달스위치(13')가 온으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브레이크페달(11)로 부터 발을 떼어 악셀레이터페달을 밟는 순간에 제동이 풀리면서 차량이 역진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경사도로를 후진으로 상향 주행중 정지하였다가 재발진하는 경우나 경사도로에서 주차하였다가 후진으로 상향 재발진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상향전진시의 작동에 있어서 전진1단기어스위치(Sf) 대신 후진기어스위치(Sr)이 작용하여 차량이 역진하는 것을 학실하게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작용에서 보듯이 본 고안의 장치는 브레이크(11)나 사이드브레이크를 사용하여 제동한 상태에서 차량이 일반적인 조작순서에 따라서 작동되는 것이어서 정상주행시 즉, 전진1단기어로 출발을 한 차량이 2단, 3단등의 고속기어변속시에는 브레이크를 사용치 않게 되므로 주행중 기어변속을 위하여 클러치페달(13)을 밟아 클러치페달스위치(13')가 온으로 되더라도 상술한 제동작용은 일어나지 않게 되어 주행에는 하등의 지장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장치는, 신호등이 위치한 곳이나 경사가 있는 언덕길등과 같이 1단기어를 사용하게 되는 곳에서 일시정차 또는 주차 후 재발진할 때에만 제동작용을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장치는 오일파이프(12A)(12B)를 통하여 휠실린더(f)(f')에 가압된 브레이크오일이 송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9)가 작용하여 인입구(2A)와 인출구(2B)를 차단하더라도 제동과는 전혀 무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갈이 본 고안에 의하면 경사도로에서 임시 정차 또는 주차하였다 재 발진하는 경우 초보자는 물론이고 화합물을 가득실은 화물차량이나 많은 승객이 탑승한 승합자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로 하여금 경사도로에서 조금도 역진하는일 이 없이 손쉽고 안전하게 출발할 수 있으며, 또한 불안한 마음이 없이 편안한 마음을 가지고 운전에만 전념할 수 있게 되어 안전운행에 크게 공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급작스런 악셀레이터 조작에 의하여 파생되었던 동력전달장치의 무리한 작동과 각종 부품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수명이 연장되며, 경제적인 불이익은 물론 정신적 불이익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마스터실린더(11')와 각 차륜측에 설치된 휠실린더(f)(f')를 오일파이프(12A)(12B)로 연결하며, 브레이크페달(11)과 클러치페달(13) 및 사이드브레이크스위치(14)를 구비한 통상의 차량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실린더(11')와 휠실린더(f)(f')를 연결하는 오일파이프(12)의 도중에 연결되는 밸브본체(1)와, 차량의 전원에 연결된 상시 후퇴형 솔레노이드(9)를 가지는 솔레노이드밸브(SV)를 설치하며, 상기 밸브본체(1)의 내부에는 밸브본체(1)의 내부에는 상기 오일파이프(12A)에 연통되는 인입구(2A)와 오일파이프(12B)에 연통되는 인출구(2B)를 가지는 밸브실(l')을 형성하고, 밸브실(1')내부에서 피스턴(5)와 이에 끼워지는 밸브단속링(3)을 솔레노이드(9)의 작동로드(7) 하단에 고정설치하며, 피스턴(5)과 밸브단속링(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5')에는 오일구멍(6')이 상하로 관통된 밸브콘(6)을 삽입하여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하고, 상기 클러치페달(13)의 족답에 의하여 온/오프되는 클러치페달스위치(13')를 설치하여 상시 사이드 브레이크스위치(14)와 솔레노이드(9)를 전원에 대하여 병렬로 연결하고, 전진1단기어스위치(Sf)와 후진기어스위치(Sr)를 전원과 솔레노이드(9)사이에 병렬로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도로에서의 차량역진방지장치.
KR2019880011412U 1988-07-12 1988-07-12 경사진도로에서의 차량 역진방지장치 KR9100014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412U KR910001452Y1 (ko) 1988-07-12 1988-07-12 경사진도로에서의 차량 역진방지장치
US07/350,620 US4915131A (en) 1988-07-12 1989-05-10 Hill-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412U KR910001452Y1 (ko) 1988-07-12 1988-07-12 경사진도로에서의 차량 역진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847U KR900002847U (ko) 1990-02-06
KR910001452Y1 true KR910001452Y1 (ko) 1991-03-04

Family

ID=19277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1412U KR910001452Y1 (ko) 1988-07-12 1988-07-12 경사진도로에서의 차량 역진방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915131A (ko)
KR (1) KR91000145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01668A1 (de) * 1991-01-22 1992-07-23 Akebono Brake Ind Bremsfluessigkeits-steuervorrichtung
US5452946A (en) * 1994-04-15 1995-09-26 Warner; Donald A. Hill holding brake control system
DE19504077A1 (de) * 1995-02-08 1996-08-14 Bosch Gmbh Robert Magnetventil mit Druckbegrenzung für schlupfgeregelte Kraftfahrzeug-Bremsanlagen
US8543303B2 (en) * 2011-02-01 2013-09-24 Rollfree Tek, Llc Anti-rollback control system for hybrid and conventional powertrain vehicles
US20110172868A1 (en) * 2011-02-01 2011-07-14 Essam Tawfik Marcus Anti-rollback Control System for Motor Vehicles
US20110166756A1 (en) * 2011-02-01 2011-07-07 Essam Tawfik Marcus Anti-rollback Control System for Hybrid and Conventional Powertrain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4821A (en) * 1947-12-22 1951-11-13 Chrysler Corp Brake holding device and vacuum switch actuated control circuit therefor
US3592228A (en) * 1968-08-08 1971-07-13 Tetsuo Kukuminato Magnet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15131A (en) 1990-04-10
KR900002847U (ko) 199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9093B1 (ko) 차량의브레이크제어장치
KR910001452Y1 (ko) 경사진도로에서의 차량 역진방지장치
US5101945A (en) (Clutch-brake pedal) brake system
US6659245B1 (en) One wheel brake system of automobile
KR900000391B1 (ko) 자동차 역진 방지장치
KR0167908B1 (ko) 차량의 경사노면 출발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920000777Y1 (ko) 경사도로에서의 차량역진 방지장치
KR900002256B1 (ko) 소형차량의 역진방지장치
KR100241716B1 (ko) 자동차의 경사로 밀림방지장치
KR0131803Y1 (ko) 자동차 미끄러짐 방지용 유압식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CN202271990U (zh) 手动挡汽车自动防溜装置
KR19980056276A (ko) 자동차의 안전 주차장치
KR200169236Y1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브레이크 시스템
KR920001839Y1 (ko) 자동 클러치 장치
KR900002910Y1 (ko) 자동차의 역진제어장치
KR970007714B1 (ko) 자동변속기의 주차브레이크 장치
KR0181856B1 (ko) 차량의 발진 제한장치
KR100224273B1 (ko) 차량 일방향 브레이크장치
KR0124369Y1 (ko) 자동차용 출발 보조 장치
KR19980060241U (ko) 자동변속 차량의 비상시 주차 브레이크 강제 구동장치
KR890000092Y1 (ko) 자동차의 언덕정차시 후진자동 제동장치
JPH11141669A (ja) 自動車で前方へ走行中に急ブレーキを行ったときに自動的 にギアがr(リバース)に入りタイアが後転して自動車を 止め、後方へ走行中に急ブレーキを行ったときには自動的 にギアが1(ロー)に入りタイアが前転して自動車を止め る制動装置
KR0130524Y1 (ko) 자동차 미끄러짐 방지용 유압식 제어장치
KR0138001Y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제동등 자동 점등회로
KR100401823B1 (ko) 자동변속기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잠금해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3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