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803Y1 - 자동차 미끄러짐 방지용 유압식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 Google Patents

자동차 미끄러짐 방지용 유압식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803Y1
KR0131803Y1 KR2019960011339U KR19960011339U KR0131803Y1 KR 0131803 Y1 KR0131803 Y1 KR 0131803Y1 KR 2019960011339 U KR2019960011339 U KR 2019960011339U KR 19960011339 U KR19960011339 U KR 19960011339U KR 0131803 Y1 KR0131803 Y1 KR 01318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ston
vehicle
pilot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13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950U (ko
Inventor
김정태
Original Assignee
김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태 filed Critical 김정태
Priority to KR20199600113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803Y1/ko
Publication of KR9700619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9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8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accumulators or reservoirs fed by pumps
    • B60T13/142Systems with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175Preventing, or responsive to skidding of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정지 기능인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구조를 개량하여 자동차 제동시 미끄러짐 현상을 완전히 방지하도록 된 자동차 미끄러짐 방지용 유압식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실린더 몸체 내주면 중심부에 스프링이 탄설된 피스톤과 피스톤로드가 결합 고정된 피스톤 실린더와 실린더 몸체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주면 중심부에 밸브와 스프링이 탄설된 파이로트가 결합 고정된 파이로트 체크밸브는 좌.우측 유로로 상호 연결 관통되고, 피스톤 실린더 상부에는 오일탱크가 구비되며, 피스톤 실린더의 피스톤로드는 브레이크 페달과 연결되어 결착되고, 파이로트 체크밸브의 파이로트는 액셀러레이터 페달과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경사진 도로에서 정지 또는 정차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그 즉시 발을 떼어도 항상 브레이크를 밟고 있는 효과가 제공되어 자동차의 미끄러짐 현상을 완벽히 방지하도록 고안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미끄러짐 방지용 유압식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2도는 종래 마스터 실린더의 작동상태를 보인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a)도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의 상태도이고,
(b)도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직후의 상태도이며,
(c)도는 자동차 출발시의 상태도이다.
제4도(a)(b)는 본 고안의 적용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적용에 따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스톤 실린더 2 : 파이로트 체크밸브
3 : 실린더 몸체 4 : 밸브몸체
5 : 피스톤 6 : 피스톤로드
7 : 밸브 8 : 파이로트
9, 10 : 스프링 11, 11' : 유로
12 : 오일탱크 13 : 브레이크 파이프
14, 15 : 파이프 16 : 마스터 실린더
17 : 휘일 실린더 18 : 브레이크 페달
19 : 액셀러레이터 페달 20 : 브레이크 드럼
21 : 브레이크 22 : 휘일실린더 연결부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정지기능인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구조를 개량하여 자동차 제동시 미끄러짐 현상을 완전히 방지하도록 된 자동차 미끄러짐 방지용 유압식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브레이크는 종류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으나, 자동차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유압식 브레이크는 기능이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마스터 실린더내의 피스톤 오일을 휘일 실린더 내에 압송하고, 휘일 실린더는 유압으로 인하여 브레이크 디스크나 브레이크 드럼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타이어 휘일이 제동되는 원리로 이러한 것은 경사진 도로에서 자동차 정지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며 클러치 페달을 밟아 엔진동력과 구동부분을 단절한 다음 브레이크 페달을 계속 밟고 있어야 하며, 이때, 자동차는 정지해도 엔진이 여전히 구동됨으로써, 재출발시 클러치 페달을 밟은 후 전진기어를 넣고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어 신속히 액셀러레이터 페달에 발을 옮겨 밟아서 가속해야 하는 짧은 순간에 자동차는 차체 하중에 의하여 내리막으로 미끄러져 내려가게 된다.
이와 같이 경사진 도로에서 정차 또는 주차 후 자동차 출발시 초보자 또는 운전에 미숙한 운전자 등은 조작 미숙으로 시동이 꺼지는 등 심리적으로 불안한 출발을 하게 되고, 숙련된 운전자도 경사도가 심하던가 많은 인원 탑승 및 중량의 화물 적재시 위험을 감수해야 하며, 특히, 내리막으로 미끄러지는 거리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전, 후방 차량과 충돌하여 물적 피해 및 심한 경우 인명사고를 유발시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지된 마스터 실린더 기능인 피스톤 실린더(1)와 일체로 형성된 파이로트 체크밸브(2)로 크게 구분되어 좌, 우측 유로(11)(11')로 상호 연결 관통되고, 피스톤 실린더(1) 상부에 오일탱크(12)를 구비하여 내부에 오일이 충만된 유압장치의 일종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피스톤 실린더(1)는 실린더 몸체(3) 내주면 중심부에 스프링(9)이 탄설된 피스톤(5)과 피스톤로드(6)가 결합 고정되어 피스톤로드(6) 일측이 외부로 연장 돌출되며, 피스톤 실린더(1)와 구분되어 실린더 몸체(3)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파이로트 체크밸브(2)는 내주면 중심부에 밸브(7)와 스프링(10)이 탄설된 파이로트(8)가 결합 고정되고, 피스톤로드(6)와 평행 되게 파이로트(8) 일측이 외부로 연장 돌출 되며, 피스톤 실린더(1)와 파이로트 체크밸브(2) 사이에는 좌, 우측 유로(11)(11')로 상호 연결 관통되고, 피스톤 실린더(1) 상부에는 보충용 오일탱크(12)가 구비되어 마스터 실린더 내부에 오일의 자체 소모시 보충하도록 된 것이다.
본 고안의 설치방법은 제1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 실린더(1)의 피스톤로드(6) 일측이 외부로 연장 돌출된 말단부와 브레이크 페달(18)을 연결하여 결착하고, 파이로트 체크밸브(2)의 파이로트(8) 일측이 외부로 연장 돌출된 말단부와 액셀러레이터 페달(19)을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된 구조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제4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 실린더(1)와 파이로트 체크밸브(2) 사이에 좌측 유로(11)가 형성된 실린더 몸체(3) 하부측의 일부분을 절개시킨 후 실린더 몸체(3) 하부와 실린더 몸체(3)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파이로트 체크밸브(2) 사이의 좌측 유로(11)의 위치에 파이프(14)로 연결하여 좌측 유로를 대체 형성시킬 수도 있고, 제4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 실린더(1)의 실린더 몸체(3)와 좌측 유로(11)가 형성된 실린더 몸체(3) 하부측의 일부분을 절개시킨 파이로트 체크밸브(2)의 밸브몸체(4)를 상, 하부로 분리 형성시키고, 실린더 몸체(3)와 밸브몸체(4)를 좌, 우측 파이프(14)(15)로 상호 연결하여 좌, 우측 유로를 대체 형성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에 의한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3도 (a)는 브레이크 페달(18)을 밟았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자동차를 주행중 감속 또는 정지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페달(18)을 밟으면, 피스톤로드(6)는 좌측으로 밀려들어감과 동시에 피스톤(5) 이동에 의해서 오일은 좌측 유로(11)를 통하여 이동되면서 유압을 발생시켜 파이로트 체크밸브(2)의 밸브(7)가 열리면서 오일을 이동시켜 우측 유로(11')를 통하여 피스톤 실린더(1)의 우측 내부 공간부로 오일이 유입 충만되어 유압에 의하여 피스톤(5) 이동이 정지된다.
제3도 (b)는 브레이크 페달(18)을 밟은 직후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3도 (a)의 작동이 완료된 직후 브레이크 페달(18)을 밟고 있게 되면, 내부의 오일 이동이 정지되어 유압의 평형상태를 이루고, 이 때, 파이로트 체크밸브(2) 내부에 탄설된 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하여 밸브(7)는 즉시 닫히게 되고, 브레이크 페달(18)에서 발을 떼면, 종래에의 마스터 실린더(16)는 피스톤이 후진하여 브레이크(21) 작용이 해제되는 것이나, 본 고안은 피스톤 실린더(1) 우측 내부의 오일이 유압의 평형상태를 이루므로 파이로트 체크밸브(2)의 스프링(10) 복원력에 의하여 밸브(7)가 닫힘으로서, 피스톤(5)은 우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이는 브레이크 페달(18)에서 발을 떼어도 브레이크가 강력히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도로의 경사도 및 브레이크 작동과는 무관하게 자동차는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
제3도 (c)는 자동차 출발시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자동차가 정지된 상태에서 재출발 하고자 하는 경우 운전자는 클러치 페달을 밟고 전진기어를 넣은 후 브레이크 페달(18)에서 발을 떼고 액셀러레이터 페달(19)을 밟는 순간 액셀러레이터 페달(19)과 연결된 파이로트 체크밸브(2)의 파이로트(8)를 우측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밸브(7)가 열리고 유압이 해제되면서 오일을 좌측 유로(11)로 이동시켜 피스톤 실린더(1)의 피스톤(5)은 내부에 탄설된 스프링(9)의 탄성력에 의해서 다시 원상 복귀되어 브레이크를 해제하며 자동차의 주행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제4도 (a)(b)는 본 고안의 적용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제작시 제품무게의 경량화 및 제작을 용이하게 위하여 피스톤 실린더(1)의 파이로트 체크밸브(2)에 상호 연결 관통된 좌, 우측 유로(11)(11')의 연결방식을 대체 변경시킨 것으로 본 고안과 작동상태에 의한 작용효과는 동일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세가지 동작(제3도 (a)(b)(c))을 반복함으로써, 자동차 주행시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특히, 정지 또는 정차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그 즉시 발을 떼어도 항상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는 효과가 제공되어 경사진 도로 출발시 충분한 심리적, 시간적 여유가 있으며, 자동차의 미끄러짐 현상을 완벽히 방지하여 접촉사고 방지 및 급가속 출발로 인한 엔진의 과부하 현상을 해소하는 효과가 본 고안의 특징이다.

Claims (1)

  1. 실린더 몸체(3) 내주면 중심부에 스프링(9)이 탄설된 피스톤(5)과 피스톤로드(6)가 결합 고정된 피스톤 실린더(1)와 실린더 몸체(3)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주면 중심부에 밸브(7)와 스프링(10)이 탄설된 파이로트(8)가 결합 고정된 파이로트 체크밸브(2)는 좌.우측 유로(11)(11')로 상호 연결 관통되고, 피스톤 실린더(1) 상부에는 오일탱크(12)가 구비되며, 피스톤 실린더(1)의 피스톤로드(6)는 브레이크 페달(18)과 연결되어 결착되고, 파이로트 체크밸브(2)의 파이로트(8)는 액셀러레이터 페달(19)과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미끄러짐 방지용 유압식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KR2019960011339U 1996-05-10 1996-05-10 자동차 미끄러짐 방지용 유압식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KR01318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1339U KR0131803Y1 (ko) 1996-05-10 1996-05-10 자동차 미끄러짐 방지용 유압식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1339U KR0131803Y1 (ko) 1996-05-10 1996-05-10 자동차 미끄러짐 방지용 유압식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950U KR970061950U (ko) 1997-12-10
KR0131803Y1 true KR0131803Y1 (ko) 1998-12-15

Family

ID=19455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1339U KR0131803Y1 (ko) 1996-05-10 1996-05-10 자동차 미끄러짐 방지용 유압식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80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950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9619A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unwanted rolling away of a vehicle
JPH0562100B2 (ko)
JP2009515752A (ja) 自動車のブレーキ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S6099755A (ja) スリツプ防止制御付ハイドリツクブレーキシステム
US3433336A (en) Throttle operated brake holder
KR0131803Y1 (ko) 자동차 미끄러짐 방지용 유압식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US7497523B2 (en) Pressure locking master cylinder
KR910001452Y1 (ko) 경사진도로에서의 차량 역진방지장치
KR0130524Y1 (ko) 자동차 미끄러짐 방지용 유압식 제어장치
JPH0568396B2 (ko)
JPS63188556A (ja) 自動車のアンチスキツド装置
CN111674371B (zh) 用于汽车的左脚刹车及制约系统
JPS63265754A (ja) 自動車のアンチスキツド装置
CN113619547A (zh) 用于辅助防止车辆溜坡的制动压力阀及防溜坡控制方法
KR100212438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보조장치
KR0167908B1 (ko) 차량의 경사노면 출발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0131244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
KR960015024B1 (ko) 경사지에서의 차량 밀림 방지장치
KR200156433Y1 (ko) 자동차용 반클러치 자동조절장치
JPH0649440B2 (ja) 車両用ブレ−キ装置
KR200196982Y1 (ko) 자동차의 경사로 밀림방지장치
JPH10288229A (ja) 自動クラッチの制御方法
KR880000564B1 (ko) 자동차 클러치 전후진 브레이크 장치
KR20050052140A (ko) 차량의 밀림 방지 장치가 구비된 브레이크 페달
JPH0717386A (ja) 車両用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