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369Y1 - 자동차용 출발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출발 보조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369Y1
KR0124369Y1 KR2019950043705U KR19950043705U KR0124369Y1 KR 0124369 Y1 KR0124369 Y1 KR 0124369Y1 KR 2019950043705 U KR2019950043705 U KR 2019950043705U KR 19950043705 U KR19950043705 U KR 19950043705U KR 0124369 Y1 KR0124369 Y1 KR 01243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u
clutch
vehicle
pedal
sta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3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1015U (ko
Inventor
김맹규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3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369Y1/ko
Publication of KR9700310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10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3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3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or preventing, skidding of wheels
    • B60K28/165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or preventing, skidding of wheels acting on elements of the vehicle drive train other than the propulsion unit and brakes, e.g. transmission, clutch, different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3Failsaf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출발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에서 클러치 페달(50)과 브레이크 페달 그리고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연동작용을 운전자의 숙련도에만 의존하게 됨은 초보자의 경우 언덕길에서 시동이 꺼지거나 후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러치 페달(50)과 릴리이스 실린더(51)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팽창 속도를 저하시키는 어큐믈레이터(1)와, 상기한 어큐물레이터(1)에 연결된 ECU(2)와, 상기한 ECU(2)에 연결되어 있는 차속 센서(3)와, 상기한 ECU(2)에 연결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4)로 구성함으로써 초보자의 운전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출발 보조 장치(A supplementary device for starting a car)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출발 보조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주요부를 도시한 회로도.
제3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어큐믈레이터 2:ECU
3:차속 센서 4:솔레노이드 밸브
본 고안은 출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에서 언덕길 출발 시 후진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출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체와 새시로 구분되는 바, 상기한 새시는 엔진, 동력 전달 장치, 서스펜션등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 구성되어 있고, 차체는 상기한 각 장치를 지지함과 아울러 외관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자동차는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동력 전달 장치를 통해 구동축에 전달함으로써 여기에 결합된 타이어를 회전시켜 자동차를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동력 전달 장치는 통상 엔진과의 동력을 간헐 전달시키는 클러치 어셈블리와, 상기한 클러치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엔진의 회전을 변화시키게 되는 트랜스미션과, 상기한 트랜스미션에 연결되어 양측 타이어의 회전수를 적절하게 조절해주는 차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클러치 어셈블리는 엔진과 트랜스미션을 연결, 차단하게 되어 자동차의 구동을 제어하는 중요한 장치인 바, 이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된 클러치 페달(50)과, 상기한 클러치 페달(50)과 연결된 릴리이스 실린더(51)와, 상기한 릴리이스 실린더(51)에 연결됨과 아울러 트랜스미션(T)에 설치된 클러치 어셈블리(5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클러치 어셈블리(52)는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50)을 밟게 되면 이와 연동하는 릴리이스 실린더(51)를 통해 클러치 어셈블리(52)에 압력을 전달함으로써 클러치 디스크를 트랜스미션(T)의 플라이 휠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물론, 동력 연결 시는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50)을 놓게 되면 클러치 디스크가 다시 플라이 휘일에 밀착됨으로써 동력이 전달된다.
상기한 자동차는 정차 후 다시 출발하기 위해서는 브레이크 페달(미 도시)을 밟고 있는 상태에서 클러치 페달(50)을 해제시키면서 브레이크 페달(미도시)을 연동 해제시킴과 아울러 액셀러레이터 페달(미도시)을 밟아야 된다.
특히 언덕길에 주차 또는 정차한 후 다시 출발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브레이크 페달과 액셀러레이터 페달 그리고 클러치 페달(50)의 연동 작용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즉, 클러치 페달(50)의 해제가 너무 빠르게 되면 시동이 꺼지게 되고, 너무 느리면 자동차가 뒤로 밀리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 그리고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연동 작용을 운전자의 숙련도에만 의존하게 됨은 초보자의 경우 언덕길에서 시동을 꺼뜨리거나 후진하게 되어 사고 및 교통 체중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 그리고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연동 작용 미숙에 따른 교통 체증과 사고 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출발 보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클러치 페달과 릴리이스 실린더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팽창 속도를 저하시키는 어큐믈레이터와, 상기한 어큐믈레이터에 연결된 ECU와, 상기한 ECU에 연결되어 있는 차속 센서와, 상기한 ECU에 연결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상세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출발 보조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와 주요 부분 확대 회로도로서, 클러치 페달(50)과 릴리이스 실린더(51)의 사이에 설치된 어큐믈레이터(1)와, 상기한 어큐믈레이터(1)에 연결된 ECU(2)와, 상기한 ECU(2)에 연결되어 있는 차속 센서(3)와, 상기한 ECU(2)에 연결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4)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클러치 페달(50)의 동작 후 클러치 페달(50)이 역진할 때 어큐믈레이터(3)에 의해 클러치 페달(50)의 원위치 속도가 저하되어 반 클러치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운전자가 언덕등에서 정차한 후 출발하기 위하여 클러치 페달(50)에서 발을 떼면서 브레이크 페달을 해제시킴과 아울러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밟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클러치 페달(50)은 어큐믈레이터(3)에 의해 매우 느리게 원위치됨으로써 실질적으로 반클러치 상태가 되고, 이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해제시키게 되면 클러치에 의해 제동력이 발생됨으로써 후진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반클러치 상태가 됨으로써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밟게 되면 동력이 전달되면서 자동차가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즉, 어큐믈레이터(3)에 의해 클러치 페달(50)이 천천히 원위치 됨으로써 자동차가 후진하지 않고 전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자동차의 주행 후 일정한 속도 이상이 되면 차속 센서(2)가 이를 감지하여 ECU(1)에 전달하게 된다.
ECU(1)가 이를 감지하면 솔레노이드 밸브(4)를 동작시킴으로써 어큐믈레이터(3)를 통하는 유체를 우회시킴으로써 클러치가 정상 동작하게 되는 바, 주행 시의 변속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정차 후 출발 시 반클러치 상태가 되도록 어큐믈레이터를 설치함으로써 언덕에서의 출발 시 후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동이 꺼지지 않고도 출발이 용이하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 출발시 자동차에 내장된 ECU(2)를 이용하여 클러치 장치를 반클러치상태로 되도록 한 자동차용 출발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ECU(2)에 연결되어 있되, 클러치페달(50)과 릴리이스실린더(51)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팽창속도를 저하시키는 어큐믈레이터(1)와, 상기 ECU(2)에 연결되어 있는 차속센서(3) 및, 상기 ECU(2)에 연결되어 있는 솔레노이드밸브(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출발 보조 장치.
KR2019950043705U 1995-12-19 1995-12-19 자동차용 출발 보조 장치 KR01243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3705U KR0124369Y1 (ko) 1995-12-19 1995-12-19 자동차용 출발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3705U KR0124369Y1 (ko) 1995-12-19 1995-12-19 자동차용 출발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015U KR970031015U (ko) 1997-07-24
KR0124369Y1 true KR0124369Y1 (ko) 1998-08-17

Family

ID=19435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3705U KR0124369Y1 (ko) 1995-12-19 1995-12-19 자동차용 출발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3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015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7077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я тормозной системой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RU2002133870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я тормозной системой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3168721B2 (ja) 電気自動車の走行制御装置
KR0124369Y1 (ko) 자동차용 출발 보조 장치
JPH0217967Y2 (ko)
JPH0568396B2 (ko)
JPS59143747A (ja) 電動駐車ブレ−キ装置
KR100383933B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0130524Y1 (ko) 자동차 미끄러짐 방지용 유압식 제어장치
JPH066144U (ja) 車両制動装置
KR100337312B1 (ko)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의 제동 장치
KR100384531B1 (ko) 자동차용 자동식 주차제동장치
JPH0520594Y2 (ko)
KR0131244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
JPH0526704B2 (ko)
KR200236934Y1 (ko) 자동변속기를 갖춘 자동차의 주차장치
KR200264025Y1 (ko) 자동차 경사도로 후진 밀림 방지기
KR19980040171A (ko) 자동차용 클러치 어셈블리
KR19980044899U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20010035585A (ko)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 시스템
KR20030075843A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0184842B1 (ko) 자동차의 주차보조장치
KR200156433Y1 (ko) 자동차용 반클러치 자동조절장치
KR100405527B1 (ko) 주차브레이크 자동작동장치
JPH051923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