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453Y1 - 자동차용 역진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역진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453Y1
KR910001453Y1 KR2019880004966U KR880004966U KR910001453Y1 KR 910001453 Y1 KR910001453 Y1 KR 910001453Y1 KR 2019880004966 U KR2019880004966 U KR 2019880004966U KR 880004966 U KR880004966 U KR 880004966U KR 910001453 Y1 KR910001453 Y1 KR 910001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control
control device
plunger
revers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4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0947U (ko
Inventor
류충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이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이양섭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4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453Y1/ko
Publication of KR8900209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09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4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12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for locking of revers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6Hill holder; Start aid systems on inclined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inclination or change of direction, e.g. negotiating bends
    • B60T8/245Longitudinal vehicle 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역진제어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계통도
제2도의 (a)(b)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역진제어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의 (a)(b)(c)(d)도는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한 요부 작동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W1: 클리치조작 감지스위치 SW2: 변속기의 후진변속조작 감지스위치
SW3: 속도 감지스위치 10 : 역진제어장치
11 : 솔레노이드 코일 12 : 인입구
12' : 토출구 13 : 플런져 실린더
15 : 보스 16,16' : 소음방지용 패드
17 : 캡 18 : 플런져
19 : U홈 20 : 밸브막
21 : 안내공 22 : 스프링
23, 23' : 유로 24 : 유압평형용 유로
본고안은 자동차의 역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언덕길의 주행중 정지 상태에서 재출발하는 경우에 운전자의 미숙한 조작에 관계없이 최적상태로 동력 전달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자동제어 되어 자동차가 역진하거나 엔진의 정지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자동차의 역진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데, 자동차가 언덕길을 주행중에 신호대기 및 차량의 정체 등 여타 요인으로 인하여 정차한 후, 재출발하는 경우에는 엔진에 무리한 부하가 걸려 엔진이 정지하거나 또는 클러치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전진기어를 넣고 브레이크 페달을 놓으면서 가속페달을 밟아 출발하려는 순간에 밟은 시간동안 동력 전달 장치에는 무동력상태가 되어 차량은 자체 하중에 의해 후진하게 되므로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언덕길에서 차량이 역진하지 않고 순조롭게 출발시키는 것은 운전자의 숙달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출발조작은 신속하면서도, 클러치 디스크가 플라이 휠에 살며시 닿게끔 하여야 하는데 초보운전자들은 클러치 페달과 변속 기어의 조작 그리고 가속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의 순간적인 교체조작이 미숙하여 언덕길의 출발에 대한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이에 대한 불안감마저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초보운전자들은 언덕길의 무난한 출발을 위해 숙달되기까지는 임시적인 수단으로 주차 브레이크레버를 당겨 제동한 후 출발시 클러치 페달을 놓음과 동시에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서서히 놓으면서 출발하곤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차량으로 언덕길에서 순조롭게 출발하기 위해서는 출발에 따른 일련의 조작을 순간적으로 수행하는 운전자의 감각능력과 순발력에 의존해야 하며, 또 다른 수단으로는 자동 변속기를 채택 할 수 있겠으나 이는 고가인 반면에 연료소모율이 매우 높고, 고장시의 대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인 즉, 차량의 언덕길에서 출발시에 본의 아닌 후진과 엔진정지 등의 폐단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역진제어 장치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휠 실린더로 유동되는 유로를 솔레노이드 작용에 의해 작동되는 플런져의 선단에 형성된 밸브막에 의해 유로가 차단되어 클러치 페달만 밟고 브레이크 페달을 놓아도 제동이 풀리지 않고 계속 제동되어져 차량이 역진되거나 엔진이 정지되는 일이 없이 전술한 목적을 실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계통도로서, 클러치 조작 감지스위치(SW1)와 변속레버 조작감지 스위치(SW2) 및 속도감지스위치(SW3)를 직렬로 역진 제어장치(10)에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되, 역진제어 장치(10))에는 통상의 마스터실린더(30)와 휠 실린더(40)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제2도의 (a)(b)도는 본 고안의 역진제어 장치(1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일측 외주부에 솔레노이드 코일(11)이 권회되고, 제동유 인입구(12)가 마련된 플런져 실린더(13)의 전,후측에는 토출구(12')를 감는 커버(14)와 보스(15)가 형성되어 소음방지용 패드(16)가 끼워지는 캡(17)을 각각 나사 체결하였으며, 플런져 실린더(13)의 중앙에는 횡방향의 유로(23)를 갖는 플런져(18)를 내입시키되, 상기 플런져(18)는 그 절반부위의 외주부에 상기 제동유 인입구(12)와 동일 선상으로 U홈(19)을 마련하고, 상기 횡방향 유로(23)과 직교되도록 하여 종방향 유로(23')를 형성하여, U홈(19)을 기준으로 전방은 원추형으로 형성한 외주에는 밸브막(20)을 설치하고, 후방은 내부에 외측으로 확개되도록 3단턱을 갖는 유압평형용 유로(24)와 안내공(21)이 형성되며, 이 안내공(21)과 상기 보스(15)와의 사이에는 스프링(22)을 탄지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역진제어 장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릍 제3도의 (a)(b)(c)(d)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정상적인 운행시 클러치 페달을 밞지 않은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 마스터 실린더(30)에서 발생된 제동유의 유압은 제3도의 (a)도와 같이 역진제어장치(10)의 제동유 인입구(12)를 통해 플런져(18)의 종방향 유로(23') 및 횡방향 유로(23)의 제동유 토출구(12')를 거쳐 각 휠 실린더(40)에 전달되어 제동력을 발생하게 되며,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가한 힘을 해제하면 제동류를 상기의 역순 즉, 제3도의 (d)도와 같은 화살표 방향으로 역류되어 제동력이 해제되는 종래의 제동 장치와 동일하게 작용한다.
그러나, 클러치 페달을 밟게 되면 플런져(18)에 전기가 통하고, 따라서 솔레노이드 코일(11)에 의해 플런져(18)와 캡(17)은 자성체가 되고, 플런져 실린더(13)는 비자성체이므로, 플런져(18)의 우단이 S극으로 자화되고, 캡(17)의 좌단이 N극으로 자화되어 서로 끌어 당기는 힘에 의하여 플런져(18)가 후퇴하게 되므로서, 이와동시에 밸브막(20)이 후퇴하면서 제동유 인입구(12)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마스터 실린더(30)에서 제동유압이 인입구(12) 측에 고압으로 작용하여 제3도의 (b)도와 같이 밸브막(20)을 밀치고, 플런져 실린더(13)에 유입되어 각 휠 실린더(40)에 작용므로서 제동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에 가한 힘을 해제하고 클러치 페달을 밟고 있으면, 휠 실린더(40)측의 유압마스터 실린더(30)측의 유압보다 고압인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의 힘이 해제되므로써 제동유압은 제3도의 (c)도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30)측으로 역류하려고는 하나, 밸브막(20)이 역류를 막아주게 되어 벨브막(20)더욱더 인입구(12)에 밀착되어 유로를 막기 때문에 제동력은 해제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언덕길에서 정차시 브레이크 페달 및 클러치 페달을 밟았다가 브레이크 페달에 가한 힘을 해제하더라도 상기와 같은 역진제어 장치(10)의 작용에 의해 클러치만 밟고 있으면,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해제되지 않으므로써 차량은 후퇴하지 않고 정지되며, 출발하고자 할때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던 발로 가속페달을 밟으면서 클러치 페달에 가한 힘을 서서히 해제하게 되면 동력이 전달되면서 동시에 플런져(18)가 스프링(22)의 탄성에 의해 복귀되어 유로가 개방되고 제동유가 역류되면서 제동력이 해제되어 차량은 정숙하게 출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차량의 출발 조작이 정숙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보조적으로 역진제어 장치를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스위치(SW1)(SW2)(SW3)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위치 1(SW1)은 클러치 페달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클러치 페달을 밟을 때에만 접속되고, 평상시에는 항상 단락되도록 구성하고, 스위치(SW2)는 변속기의 변속레버 후진위치에 장착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항상접속되고 후진 기어를 넣었을 때에만 단락되어 차량이 후진 할때에는 역진 제어 장치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스위치(SW3)은 속도 감지 센서와 연결하여 센서로부터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개폐작용을 하게 되는데, 양의 속도가 1㎞/h이상일 때에는 항상 단락되며, 정지시에는 접속되어 지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스위치들은 모두 직렬로 연결되어 다음의 조건에 만족하여야만 역진제어 장치(10)가 작동하도록 역진 제어장치(10)의 솔레노이드 코일(11)에 직렬 연결된다.
첫째, 차량이 완전히 정차할 것.
둘째, 클러치 페달을 밟을 것.
셋째, 후진기어를 넣지 않은 상태이어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의 조건 중 한가지라도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본 고안의 역진제어 장치(10)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일반 차량과 동일한 제동 작동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기존에 개발된 역진방지 장치와 비교하여 설명하면 차량이 움직일때 역진방지 장치의 작동을 막아주는 스위치(SW3)가 설치되어 있어 주행중 클러치 페달을 밟고 브레이크 페달을 한번 밟아서 속도를 감속시킨 후 변속을 할때 클러치 페달에서 발을 댈때까지 계속 브레이크가 잡히는 기존 장치의 페달에서 발을 댈때까지 계속 브레이크가 잡히는 기존 장치의 폐단이 방지되며, 후진기어를 넣었을때 역진방지 장치와 작동을 방지하는 스위치(SW3)가 있으므로 언덕길에서 후진시킬 필요가 있을때는 후진기어를 넣고 브레이크 페달과 클러치 페달을 모두 풀어야만 차량이 움직이는 기존 장치를 보완하여 후진기어만 넣으면, 일반 차량과 같이 클러치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도 후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여러 작용을 보완하였기 때문에 본 고안의 역진제어 장치의 장착으르 인한 운행상의 장애 요인은 발생되지 않게 하였다.
여기서 소음방지용 패드(16)(16')는 플런져(18)의 전후 작동시 커버(14) 및 캡(17)과 충돌할때의 충격완화 소음 방지를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의 역진 제어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언덕길을 주행하던 중 제동정차 후에는 클러치 페달만을 밟고 있으면 차량이 후퇴하지 않게되며 출발시에는 차량의 후진없이 양호한 출발효과를 제공하게 되어 안전운행에 지대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초보 운전자들에게도 숙련된 기술을 요하지 않고도 언덕길에서의 정숙한 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마스터 실린더(30)와 휠 실린더(40)의 사이에 장착되어지는 역진제어 장치(10)에 있어서, 클러치 조작 감지스위치(SW1)와 후진변속 조작 감지 스위치(SW2) 및 속도감지 스위치(SW3)를 직렬로 역진제어 장치(10)에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되, 역진제어 장치(10)는 일측 외주부에 솔레노이드 코일(11)이 권회되고, 제동유 인입구(12)가 마련된 플런져 실린더(13)의 전, 후측에는 토출구(12')를 갖는 커버(14)와 보스(15)가 형성되어 소음방지용 패드(16)가 끼워지고 캡(17)은 각각 나사 체결하였으며, 플런져 실린더(13)의 중앙에는 횡방향으르 유로(23)를 갖는 플런져(18)를 내입시키되, 상기 플런져(18)는 그 절반부위이 외주부에 상기제동유 인입구(12)와 동일 선상으로 U홈(19)을 마련하고, 상기 횡방향 유로(23)와 직교되도록 하여 종방향유로(23')를 형성하며, U홈(19)을 기준으로 전방은 원추형으로 형성된 외주에 밸브막(20)을 설치하고, 후방은 내부에 외측으로 확개되도록 3단턱을 갖는 유압평형용 유로(24)와 안내공(21)이 형성되며, 이 안내공(21)과 상기 보스(15)와의 사이에는 스프링(22)을 탄지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역진제어 장치.
KR2019880004966U 1988-04-07 1988-04-07 자동차용 역진제어 장치 KR910001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4966U KR910001453Y1 (ko) 1988-04-07 1988-04-07 자동차용 역진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4966U KR910001453Y1 (ko) 1988-04-07 1988-04-07 자동차용 역진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947U KR890020947U (ko) 1989-11-01
KR910001453Y1 true KR910001453Y1 (ko) 1991-03-04

Family

ID=1927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4966U KR910001453Y1 (ko) 1988-04-07 1988-04-07 자동차용 역진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4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947U (ko) 198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0554B1 (ko) 제동 제어장치의 자동 조종회로
US5381135A (en) Vehicle deceleration alerting device
US4515259A (en) Clutch-operated hill holder brake system
KR910001453Y1 (ko) 자동차용 역진제어 장치
US3433336A (en) Throttle operated brake holder
EP0067190A1 (en) Device for maintaining a vehicle stationary
KR100371871B1 (ko) 자동차의 편륜제동 시스템
KR200299327Y1 (ko) 주차브레이크 자동제어장치.
US4915131A (en) Hill-holder
KR100405500B1 (ko) 차량의 밀림 방지 장치
KR101856333B1 (ko) 급발진을 막아주는 엑셀 페달에 의한 차량의 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들
KR850000073Y1 (ko) 전자석을 이용한 자동차용 유압식 역진제어장치
KR970007717B1 (ko)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
KR900002256B1 (ko) 소형차량의 역진방지장치
KR100224395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의 라이닝슈우 자동리턴장치
KR970006772Y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100192358B1 (ko) 자동차의 역진제어장치
JPS6343854A (ja) ブレ−キ液圧保持装置の制御装置
KR0184842B1 (ko) 자동차의 주차보조장치
KR880002142B1 (ko) 자동차의 안전 제동장치
KR0120251Y1 (ko) 자동 파킹 브레이크 겸용 브레이크 장치
KR0154041B1 (ko) 자동차의 클러치 페달 해방장치
KR0131697Y1 (ko) 자동변속기의 오버드라이버 제어장치
KR100187324B1 (ko) 힐과 토우 운전기술 용이작동 장치
KR100428085B1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 작용시 운행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