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392B1 - 암거집배수관 - Google Patents

암거집배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392B1
KR910001392B1 KR1019870013903A KR870013903A KR910001392B1 KR 910001392 B1 KR910001392 B1 KR 910001392B1 KR 1019870013903 A KR1019870013903 A KR 1019870013903A KR 870013903 A KR870013903 A KR 870013903A KR 910001392 B1 KR910001392 B1 KR 910001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ordinary
mat
water
culv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3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497A (ko
Inventor
아끼오 야마모도
Original Assignee
아끼오 야마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오 야마모도 filed Critical 아끼오 야마모도
Publication of KR890002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ew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암거집배수관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암거집배수관의 1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제2도는 통상체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통상체 상호간 연결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4도는 통상체 매트를 그물형태의 휠터재에 피복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암거집배수관의 횡단면도.
제6도는 복수의 단위통상체 매트를 연결시켜서 만든 통상체 매트로 배수로부재를 피복시킨 상태의 단면도.
제7도는 암거집배수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8도는 암거집배수관 상호의 접속부분에 대한 사시도.
재 9도는 암거집배수관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제10도는 암거집배수관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제11도는 암거집배수관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의 단면도.
제13도는 통상체 매트를 그물모양의 휠터재로 피복시킨 예의 다른 실시도.
제14도 내지 제15도는 통상체 매트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제16도는 제15도에 도시한 통상체 매트의 굴곡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17도 내지 제22도는 통상체의 다른예를 그 연결상태 및 배수로부재의 외주면부에 배열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23도는 배수로부재의 다른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24도 및 제2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암거집배수관의 다른 실시예를 그 사용상태와 함께 도시한 단면도.
제26도는 종래 암거집배수관의 1예를 그 사용상태와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암거집배수관 2 : 배수로부재
2a : 배수로부재의 외측부 3 : 통상체 매트
7 : 축방향 수로 9 : 통상체
9a : 통상체의 외측부 11 : 그물형 휠터재
28 : 물 유입부 31 : 휠터통수부
본 발명은 배수로부재의 외측부를 필요에 따라 그물형 휠터재를 개재시켜서 통상체 매트로 피복시킴에 따라 집수부와 배수부를 분리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오랜기간 영속적으로 지반수를 효율적으로 집배수함과 동시에 외압에 대한 저항력도 크며 제작도 용이한 암거집배수관에 관한 것이다.
지반의 맹배수공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토양입자를 분리시켜 물만을 어떻게 해서 효율좋게 집배수할까에 유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그래서 종래 지반의 맹배수 공법으로서는 자갈 등으로 지반을 바꿔 자갈 상호 등에 배수공간을 형성하는 공법, 또는 독립한 투공의 모음으로 해서 집수구를 갖춘 합성수지제나 콘크리트제등의 유공파이프를 땅속에 매설하여 지반의 맹배수를 하는 공법 등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공법에 있어서는 자갈 사이에 눈막힘 현상이 쉽게 일어나고 집배수의 영속성을 화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후자의 공법에 있어서는 파이프 그 자체가 집수관으로서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배수관으로서의 기능을 가질 필요가 있는 관계상, 투공의 형성부위는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의 하측 1/4정도 높이의 부분(a)을 제거한 상측부분(b)에 형성시켜야 하므로 투공형성부위나 그 형성 숫자가 제약을 받게되고, 집수를 양호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파이프내의 수위가 파이프의 하측 1/4정도라고 하는 작은 수치로 제약되기 때문에(제5도, 제26도 도시된 수면 참조) 배수효율도 좋지 못했다.
더구나, 투공(c)이 물 유입기능에 한하지 않고 휠터작용도 동시에 행해야 하므로 투공의 눈막힘이 일어나 눈막힘부위의 집수가 완전히 불가능하게 되며, 집배수의 영속성을 지속하기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주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시킬 수 있는 신규구성의 암거집배수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암거집배수관(1)은 물 유입용의 유입개구부(6)를 갖는 배수로부재(2)외 외측부(2a)를 집수작용하는 통상체 매트(3)로 직접 피복시켜 만든 암거집배수관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 매트(3)는 상기 배수로부재(2)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방향 수로(7)를 형성시켜주기 위한 통상체(9)를 연접통상체(9, 9) 상호간에 물 유입부(28)가 형성되며, 또한 그 연접통상체(9, 9) 서로가 굴곡될 수 있도록 접속시켜 일체화시키고,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를 통상체 매트(3)로 피복시킨 상태에서 상기 축방향 수로(7)가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 통상체(9)의 외측부(9a)와의 사이로 휠터통수부(31)에 연하여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암거집배수관(1)의 1단은 물 유입용의 유입개구부(6)를 갖는 배수로부재(2)의 외축부(2a)를 그물형 휠터재(11)를 개재시켜서 집수작용을 하게하는 통상체 매트(3)로 피복시켜서 되는 암거집배수관에 있어서, 그 통상체 매트(3)는 상기 배수로부재(2)의 축방향으로 이어지는 축방향 수로(7)를 형성시키기 위한 통상체(9)를 연접통상체(9, 9) 상호간에 물 유입부(28)가 형성되며, 또한 연접통상체(9,9) 상호가 굴곡될 수 있도록 접속 일체화시켜서 이루어지고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를 통상체 매트(3)로 피복시킨 상태에서 상기 축방향 수로(7)가 배수부재(2)의 외측부(2a)와 그물형 휠터재(11)의 사이, 또는 통상체(9a)의 외측부(9a)와 그물형 휠터재(11)와의 사이로 휠터통수부(31)에 이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암거집배수관(1)의 타단은 물 유입용의 유입개구부(6)를 갖는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를 집수작용을 부여하는 통상체 매트(3)로 직접 피복시켜서 되는 암거집배수관으로, 상기 통상체 매트(3)는 상기 배수로부재(2)의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축방향 수로(7)를 형성시키기 위한 통상체(9)를 연접통상체(9, 9) 상호간에 물 유입부(28)가 형성되며, 또한 연접통상체(9, 9) 서로가 굴곡가능하게 되도록 접속 일체화하게 하고 배수부재(2)의 외측부(2a)를 통상체 매트(3)에 피복시킨 상태에서 상기 축방향 수로(7)가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 통상체(9)의 외측부(9a)의 사이에서 휠터통수부(31)에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배수로부재(2)에 씌워준 상태에 있는 통상체 매트(3)의 외측부를 망상휠터재로 피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암거집배수관(1)을 그것이 적합하게 접속시킨 상태에서 굴삭구(40)내에 소요의 배수균배로 배설시켜 흙속에 매설시키면 지반수는 통상체 매트(3)에 의해서 효율적으로 여과집수된다.
따라서, 집수된 지반수는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 통상체(9)의 외측부(9a)와의 사이에 휠터통수부(31) 또는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 그물형 휠터재(11)의 사이 또는 통상체(9)의 외측부(9a)와 그물형 휠터재(11)의 사이로 해서는 휠터통수부(31)를 여과시켜 원주방향(예컨대, 제5도에 도시한 F1방향)으로 이동하고, 또 축방향 수로(7)를 흘러서 암거집배수관(1)의 축방향(예컨대 제1도에 도시한 F2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들 원주방향, 축방향의 물의 이동의 조합현상에 의해 지반수는 흐름방향을 자유로이 변화시켜 이동하고, 유입개구부(6)로부터 배수로부재(2)내에 유입하고, 그 배수로부재(2)내를 원활하게 흘려 배출된다.
여기서, 암거집배수관(1)에 있는 휠터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지반수중에 함유되어 있는 토양입자 등은 통상체 매트(3)의 통상체 상호간의 물 유입부(28)에서 분리 포착시키며 또한 상기 물 유입부(28)에서 유입한 미소입자는 상기 휠터통수부(31)에서 분리 포착되며, 또는 통상체(9)의 축방향 수로에서 침강하여 분리, 포착되는 등 암거배수관(1)은 수차례의 필터작용을 발휘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암거집배수관(1)은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 전체를 특히 그물형 휠터부재(11)를 개재시켜 통상체 매트(3)로 피복한 것으로, 단위길이로 설정되어 있다(제1도 참조). 배수로부재(2)는, 예컨대 외주면이 매끄러운 원형 파이프 형상을 이루며, 그 외측부(2a)에는 약간 위쪽에 편위시킨 상태에서 소요간격을 두고 물 유입용의 유입개구부(6,6)가 마주보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제1도 및 제5도 참조).
통상체 매트(3)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수로부재(2)의 축방향으로 수평인 축방향 수로(7)를 형성시키기 위한 통상체(9)를 감아놓는 형태로 점차 연결시켜두고, 그 표리가 그물형태를 이루는 그물형 휠터재(11)로 덮혀져 있다(제4도 참조).
이하 이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통상체(9)는 전체가 합성수지의 일체 성형품이며,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벽(12)의 양단을 역방향으로 말아줌에 따라 수로가 되는 두개의 연접 공실부(14,15)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말아넣은 끝단과 중앙벽과의 사이에 물 유입구가 되는 개구부(16, 16)를 형성시킨 단면이 S자형 통상체의 상기 중앙벽(12)에 양말아 놓은 끝단에서 양측으로 돌출하듯 돌조(17, 17)를 형성시켜두고, 상기 공실부(14, 15)의 외면에는 서로 끼워맞춤기능의 계지조구(20)를 역방향으로 돌출시키도록 설치한다.
상기 계지돌조(19)는 돌조(21)의 선단부 양측에 횡단면이 T자형인 계지부(22)를 팽설시킨다.
따라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돌조(19)의 선단측 부분(23)을 예컨대 양 돌조편(26, 26)의 탄성작용에 대항해서 계지조구(20)내로 끼워 넣으면 계지부(22)와 계지편(27)과의 계합에 의해 계지돌조(19)는 계지조구(20)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통상체(9, 9) 서로는 접속되는 것이다.
이 접속된 통상체는 그 접속부(29)의 헐거움에 따라 일정한도내에서 굴곡가능함과 동시에 접속부(29)에 형성된 간격(g)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반수를 적극적으로 유입통과시키는 물 유입부(28)가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통상체(9)는 배수로부재(2)의 전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로 설정되어지며 상기한 요령으로 점차 접속, 일체화되며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를 덮어씌우는 통상체 매트(3)가 된다(제4도참조).
또, 통상체 매트(3)가 찌러지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서 통상체 상호를 점착 테이프(도시않됨)로써 연결시키는 것이 좋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해서 형성시킨 통상체 매트(3)를 예컨대 자루형태의 그물형 휠터재(11)내로 넣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체 매트(3)의 표리가 그물형 휠터재(11)로 덮혀진 상태를 하고 있게 된다. 상기 통상체 매트(3)로 그물형 휠터재(11)를 개재키켜서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를 피복함에는 상기 망상휠터재(11)로 피복시켜 이루어지는 통상체 매트(3)로써 배수로부재(2)를 포함해서 양단의 통상체(9a, 9b) 서로를 계지돌조(19)와 계지조구(20)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일체화시킴과 동시에 (제5도 참조) 필요에 따라 통상체 매트(3)와 배수로부재(2)를 점착 테이프 또는 철선 등의 결속부재(도신 않됨)로 결속한다.
이와 같이 구성시킨 결과, 본 발명의 암거집배수관(1)은, 제1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 그물형 휠터재(11)와의 사이 또는 통상체(9)의 외측부(9a)와 그물형 휠터재(11)와의 사이의 휠터통수부(31)에 이루어지는 배구로부재(2)의 축방향(F2)으로 이어진 축방향 수로(주로해서 내개구공실부(14))를 갖는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통상체(9)의 다른쪽 공실부(15)는 바깥쪽으로 열려진다. 또, 상기 외측개구공실부(15)도 때로는 축방향 수로(7)로 유효하게 기능을 갖는 경우가 있는 수도 있으나 이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배수로부재(2)의 지반상태 등에 따라서 상기 배수로부재(2)를 통상체 매트(3)로 2중, 3중 또는 2이상으로 피복하는 수도 있다. 또, 통상체 매트(3)는 예컨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통상체 매트(3a) 여러개를 그 측단부에서 접합(32)시켜 형성시키는 것도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암거집배수관(1)을 이용해서 지반의 맹배수공을 시공하는 요령의 1예를 설명함과 동시에 본 실시예에 따른 암거집배수관(1)의 작용을 설명한다.
즉, 제7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거집배수관(1)을 그 유입개구부(6)가 측부에 위치하도록(제5도 참조) 예컨대 접속관체(33)를 이용해서 배수로 부재(2, 2)의 단수(35, 35)가 순차접속된 상태에서 굴삭구(36)내에 소요의 배수균배로 배설한다.
그때, 암거집배수관(1)의 외측이 자갈, 모래, 겨 등으도 이루어지는 휠터재료로 되는 휠터층(37)에 의해 둘러쳐진 상태로 되고, 그 후 상기 암거집배수관(1), 휠터층(37)을 흙속에 묻는다.
따라서, 지반수는 자갈 등으로 이루어진 휠터층(37) 및 암거집배수관(1)의 최외층을 형성하는 휠터재(11)에 의해서 직경이 큰 입자가 여과된 후 통상체 매트(3)의 물 유입부(29)를 지나 휠터통수부(31)에 다다르지만 망상휠터재(11)를 통과한 지반수중에 함유되어 있는 토양입자 등의 입자는 상기 물 유입부(28)에서 분리, 포착된다(제5도 참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암거집배수관(1)이 통상체(9)에 의해 형성되는 외개구공실부(15)를 갖추기 때문에 물 유입부(28)로 향하는 지반수중의 토양입자는 그것이 물 유입부(28)에 다달으는 전단계에서 바깥개구공실부(15)내로 유입하고, 상기 공실부(l5)에 포착된다.
특히, 상기 외개공실부(15)는 이와 같이 휠터작용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물 유입부(58)로 향하는 토양입자 등의 입자량이 그 만큼 작게된다. 물 유입부(28)를 통과한 지반수는 통수부(31)를 통과해서 원주방향(f1)으로 이동함과 동시에(제5도 참조) 축방향 수로(7)내를 축방향(F2)(제1도 참조) 이동할 수 있고 이들 원주방(Fl), 축방향(F2)의 물 이동의 조합현상에 의해 지반수는 흐름방향을 자유로이 변해 이동하고 유입개구부(6)로부터 배수로부재(2)내에 유입된다(제5도 참조).
그때, 미소립자가 휠터통수부(31)에서 분리, 포착되기 때문에 토양입자가 극히 작은 깨끗한 물이 유입개구부(6)로부터 배수로부재(2)내에 유입하게 되어 이와 같이 배수로수재(2)내에 유입된 유입수는 그 배수로부재(2)를 원활히 흘러 배출되게 된다. 또, 지반수가 원주방향(Fl) 및 축방향(F2)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어떤 집배수부분에 있는 집수량이 과잉되는 경우라든지, 집배수부분에 있는 유입개구부가 막히는 현상이 있어도 유입수는 축방향 수로(7)내를 하류측으로 빠르게 흐름과 동시에 원주방향으로도 이동하고 소요유입개구부(6)내에 유입하는 것이다.
그때, 축방향 수로(7)가 병설되어 있기 때문에 그 축방향 수로(7)내에 있는 토양입자 등의 퇴적상태 등에 의해 유입수는 자연의 흐름에 따라서 적정히 잘 흐르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암거집배수관(1)이 외개구공실부(15)를 갖추어 예컨대 배수로부재(2)내에 유입하도록 수량이 과잉되는 경우에는 휠터통수부(31)에 일단 다달은 물이 물 유입부(28)로부터 유출되고, 적정의 외측 개구공실(15)내를 흘러 하류측의 적소에서 다시 물 유입부(28)를 통과해서 횔터통수부(31)에 닿아 상기와 같이 배수로부재(2)내에 유입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또, 물 유입부(28)에는 집수할 지반수의 수량이 과잉인 경우에는 그 지반수쪽의 일부분이 외개구공실부(l5)내에 유입해서 하류측으로 흘러 하류측의 적소에서 물 유입부(28)를 통과해서 휠터통수부(31)에 다다르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외개구공실부(15)의 작용은 축방향 수로(7)로의 작용을 하며 내개구공실부(14)의 축방향 수로(7)에 있는 배수작용을 원조하는 것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첨부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에 통상체 매트(3)를 그물형 휠터재를 개재시킬 필요가 없이 직접적으로 덮어씌워 통상체 매트(3)에 의해서 형성되는 축방향 수로(7)가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 통상체(9)의 외측부(9a)와의 사이에 휠터통수부(31)에 이어지도록 구성시켜 이루어진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에 통상체 매트(3)를 그물형 휠터재 등의 다른 것을 개재시키지 않고 직접 씌워서 통상체 매트(3)에 의해서 형성되는 축방향 수로(7)가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 통상체(9)의 외측부(9a)와의 사이에 휠터통수부(31)에 연하여지도록 구성시킴과 동시에 배수로부재(2)에 피복시킨 상태에 있는 통상체 매트(3)의 외측부를 망상휠터재(11)로 피복시켜 만든다.
제11도는 배수로부재(2, 2) 상호를 점착성 죠인트 테잎(39)을 이용해서 접속시킴과 동시에 통상체 매트(3, 3) 상호의 연결부(40)가 배수로부재(2)의 주위를 통상체 매트(3)에서 피복하고 또한 통상체 매트 상호의 연결부(40)를 그물형 휠터재의 위로부터 점착성 죠인트 테잎(41)으로 덮혀짐에 의해서 배수로부재(2)와 통상체 매트(3)를 안전상태로 일체화시켜 이루어지는 암거집배수관을 도시한 것이다.
또, 이 암거집배수관에 있어서는 유입개구부(6)가 배수로부재(2)의 상측부분에서 여러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또, 통상체 매트(3)의 측단부 상호의 연결은 통상체 매트(3)의 표리를 덮는 그물형 휠터재(11)의 측단부 연결대부(42, 42)(제13도 참조)를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침 등으로 일체화함에 따라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이 구성시킨 암거집배수관에 있어서 배수로부재(2, 2) 상호의 연결부에 감겨진 죠인트 테잎(39)은 배수로부재(2)의 원주면과 통상체 매트(3)의 내면부와의 사이에 유무간격(44)을 형성하는 기능도 갖는다.
제14도 제15도는 통상체 매트(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죠인트 테잎(45)을 이용해서 통상체(9)을 인접망상체(9, 9) 상호 사이에 물 유입부(28)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인접통상체(9, 9) 상호가 일정 범위에서 굴곡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제16도 참조) 일체화하여 이루어진다.
제17도 내지 제22도는 통상체의 다른 실시예를 그 접속상태 및 배수로부재(2)의 주변에 배열시킨 상태를 동시에 도시한 단면도이며,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통상체 접속부인 물 유입부(28)에서 유입된 지반수는 원주방향, 축방으로 유입되어 배수부재(2)내로 유입된다.
또, 제17도 내지 제19도는 상기 실시예에서 도시한 5자형 통상체의 일부 형태를 변형시켜서 이루어지는 통상체를 이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특히 제19도는 통상체 매트(3)를 구성하는 일부의 통상체를 내개공실부(14, 14) 또는 외개공실부(15, 15) 상호가 인접하도록 접속시킨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수로부재(2)에 유입개구부(6)를 설치한 모양은, 상기 실시예에서 도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비교적 직경이 적은 유입개구부를 분산상태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개구부(투공)이 형성된 배수로부재(2)가 본 발명에서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개구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제23도에 도시한 배수로부재(2)는 U자형을 이루는 배수용 통체(46)의 마주향하는 상단부를 아아치형의 연결부재(47)로 소요간격마다에 연결시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암거집배수관(1)은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를 그물형 휠터재(11)로 피복시킨 후 그 피복부를 통상체 매트(3)로 피복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입개구부(6)를 갖는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를 통상체 매트(3)로 피복한다함은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 전체를 통상체 매트(3)로 피복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구성된 암거집배수관의 집배수성에 지장이 없는한 배수로부재(2)와 외측부(2a)를 그 길이방향 소요폭부분을 제외하고 유입개구부(6)를 덮듯이 통상체 매트(3)로 피복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 일예로 해서는 제24도, 제25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24도에 도시한 암거집배수관(1)은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를 그 길이방향 소요폭부분(49)(사용상태로서는, 예컨대 동도면에서 길이방향 하측부분 또는 상측부분)을 제거하여 필요에 따라 그물형 휠터재(11)를 개재시켜서 통상체 매트(3)로 피복하고, 또 상기 배수로(2)와 통상체 매트(3)를 점착테이프 또는 철선 등의 결속부재(도시 않됨)에 의해서 결속시켜주는 것이며, 유입개구부(6)는 배수로부재(2)의 상측옆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암거집배수관은 이하의(1)(2)번에서 서술하여 보는 바와 같이 집수부와 배수부를 분리시켜서 집수효율 및 배수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있기 때문에 지반수를 효율적으로 단시간내에 집배수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유효한 집배수를 장기간 영속시킬 수 있다.
(1) 본 발명의 암거집배수관은 배수로부재의 외측부를 필요에 의해 그물형 휠터재를 개재시켜 선상집수부를 형성하는 통상체 매트로 피복하기 때문에 이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이 여하한 종류의 공간(주로 통상체매트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 배수로부재내 공간 및 그물형 휠터재가 개재되는 경우에는 그 그물형 휠터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인 서로가 연통되어진 공간)에 합리적으로 분할되며, 이들 각 공간이 각각 독립적으로 물과 토양입자를 분리시키는 집수작용 및 배수작용을 최대한 유효하게 발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암거집배수관은 물 유입작용과 휠터작용을 동일 투공에 행하도록 구성시킨 상기한 종래의 유공파이프와는 그 본질을 전혀 다르게 하고 효율적으로 집수가능하다.
또, 지반수는 원주방향, 축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원주방향, 축방향 물의 이동 조합현상에 의하여 배수로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유입구개구부의 일부가 눈막힘 현상이 발생해도 이 눈막힘 부분의 지반수는 눈막힘 유입개구부의 하류측으로 빠르게 흘러 하류측에 존재하는 유입개구부로부터 배수로부재내에 유입된다.
이와 같이, 어떤 유입개구부에 대해 본 경우 그 유입개구부에는 그 부위부분의 지반수가 유입할 뿐만 아니라 거기부터 떨어진 부분에 있어서 집수되어 이동해온 지반수도 유입한다.
이상에서 명백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암거집배수관은 집수의 영속성을 갖게되는 것이다.
(2) 더우기, 본 발명의 암거집배수관은 상기 작용에서 살펴본대로 여러겹의 휠터작용(통상체 매트의 물유입부에 있는 토양입자의 분리, 포착, 통상체의 축방향 수로에 있는 침강에 의한 토양입자의 분리, 포착등)을 발휘하기 때문에 배수로부재의 유입개구부에는 입자형태가 작은 물질을 함유한 깨끗한 물이 유입한다. 따라서, 상기 배수로부재에 있어서는 토양입자의 퇴적에 의해서 그 내부공간이 좁아지게 되어 배수성이 악화될 염려가 없고, 이와 같이 입자가 작은 물질의 깨끗한 물이 배수로부재의 유입개구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그 유입개구부를 크게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은 갯수의 유입개구부에 의해서도 축방향 수로내로 유입한 물을 빠르게 배수료부재내로 유입시킬 수가 있다.
이에 따라 통상체 매트의 존재 등에 의해서 배수로부재의 외주부에 물의 층이 형성되는고로 유입개구부를 배수로부재의 상부측에 형성시켜도 되고, 상기한 종래의 유공배수란에 있는 경우와는 달리 배수로부재내의 수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배수로부재내의 유량을 많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더불어서, 암거집배수관의 매설에 따른 다소의 배수균배 편차가 있거나 편압을 받아서 암거집배수관이 부분적으로 침하한 경우에도 배수로부재내에 있는 배수작용을 확실하게 보증할 수도 있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암거집배수관은 효율적이며 영속적으로 배수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암거집배수관은 배수로부재의 주위가 통상체 매트로 피복되어져 탄성이 부가된 「가요성관」의 구조를 가지므로 종래의 단일겹으로된 관체인 유공파이프에 비해 내구력이 상당히 높고 토압에 의해 파손도 적다.
본 발명에 따른 암거집배수관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여러겹의 휠터작용을 하므로 앞에 설명한 유공파이프를 이용해서 지반의 맹배수공을 시공하는 경우에 비해 휠터재료를 절약할 수 있음과 동시에 휠터재료의 품질에 대한 조건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암거집배수관에 의하면 재료비 및 공정수가 줄어 시공단가가 절약되며, 공기의 단축도 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암거집배수관은 배수로부재의 외측부를 통상체 상호를 접속 일체화시켜서 되는 통상체매트에 의해서 피복하는 구성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그 제작을 숙련을 요하지 않고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더구나, 종래의 유공파이프를 그대로 배수로부재로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단가의 절담도 꾀할 수 있다.

Claims (6)

  1. 물 유입용의 유입개구부(6)를 갖는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를 집수작용을 하는 통상체 매트(3)에 직접적으로 피복시켜서 이루어지는 암거집배수관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 매트(3)는 배수로부재(2)의 축방향수로(7)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연접통상체(9, 9) 상호간 연결부인 물 유입부(28)를 형성시키며 상기 연접통상체(9, 9)는 서로가 굴곡될 수 있도록 접촉 일체화 되어지되, 상기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를 통상체 매트(3)로 피복시킨 상태에서 상기 축방향 수로(7)는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 통상체(9)의 외측부(9a) 사이의 휠터통수로(31)로 이어지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집배수관.
  2. 물 유입용의 유입개구부(6)를 갖는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를 그물형 휠터재(11)를 개재시켜서 집수작용을 하도록한 통상체 매트(3)로 피복시켜 형성되는 암거집배수관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 매트(3)는 상기 배수로부재(2)의 축방향으도 연장되는 축방향 수로(7)를 형성시키기 위해서 통상체(9) 상호간을 연결한 물 유입부(28)를 만들고, 또한, 연접통상체(9, 9)는 서로가 굴곡될 수 있도록 일체로 연결접촉시키며,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를 통상체 매트(3)에 피복시킨 상태에서 상기 축방향 수로(7)가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 그물형 휠터재(11)의 사이, 또는 통상체(9)의 외측부(9a)와 망상휠터재(1) 사이의 휠터통수부(31)로 이어지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집배수관
  3. 물 유입용의 유입개구부(6)를 갖는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를 집수작용을 부여하는 통상체 매트(3)로 직접 피복시켜서 되는 암거집배수관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 매트(3)는 상기 배수로부재(2)의 축방향수로(7)를 형성시키기 위해서 연접통상체(9, 9) 상호간에 물 유입부(28)를 형성시키며, 또한 상기 연접통상체(9, 9) 상호가 굴곡될 수 있도록 일체로 접속시켜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를 통상체 매트(3)로 피복시킨 상태에서 상기 축방향 수로(7)가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 통상체(9)의 외측부(9a)와의 사이인 휠터통수부(31)에 이어지도록됨과 동시에, 배수로부재(2)에 씌워진 상태에 있는 통상체 매트(3)의 외측부를 그물형 휠터부재로 피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집배수관.
  4. 제1, 2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에는 얇은 데이터 형상물이 점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집배수관.
  5. 제1, 2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통상체(9)는 서로 유격있는 상태로 일체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집배수관.
  6. 제1,2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통상체 매트(3)는 통상체(9)가 서로 죠인트 테잎(45)을 이용하여 일체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집배수관.
KR1019870013903A 1986-12-30 1987-12-07 암거집배수관 KR910001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309566 1986-12-30
JP30956686 1986-12-30
JP???61-309566? 1986-12-30
JP???62-179778? 1987-07-18
JP62-179778 1987-07-18
JP62179778A JPS63265011A (ja) 1986-12-30 1987-07-18 暗渠集排水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497A KR890002497A (ko) 1989-04-10
KR910001392B1 true KR910001392B1 (ko) 1991-03-04

Family

ID=26499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3903A KR910001392B1 (ko) 1986-12-30 1987-12-07 암거집배수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265011A (ko)
KR (1) KR9100013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49911B2 (ja) * 2015-06-12 2019-07-24 株式会社データ・トゥ 非開削ドレイン管埋設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497A (ko) 1989-04-10
JPS63265011A (ja) 1988-11-01
JPH0525963B2 (ko) 199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7688B2 (en) Stormwater chamber detention system
KR200490374Y1 (ko) 교량용 집수구
JPS61238312A (ja) 直接フラツシユフイルタおよびこれに特に有用なフイルタ円板
KR910001392B1 (ko) 암거집배수관
KR970003862B1 (ko) 맹배수 공법 및 암거집배수관 형성용의 배수로부재
KR910002886B1 (ko) 암거집배수관
JPS61274713A (ja) 多重ディスク流体フィルター
WO2007096837A2 (en) A water filter and a water collector
KR910002885B1 (ko) 암거집배수관
JPH0215691B2 (ko)
KR910004003B1 (ko) 암거 집배수관
JPH0525964B2 (ko)
RU70302U1 (ru) Скважинный фильтр для вязкой нефти
JPS6367486A (ja) 暗渠集排水管
KR100883616B1 (ko) 협잡물 거름용 스크린을 구비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0178292B1 (ko) 암거 집배수관
JP2003268793A (ja) 地層の集排水部材
JPH0624413Y2 (ja) 屈曲可能なマット状集排水管
JPS61274009A (ja) 盲排水工法
KR0140059Y1 (ko) 암거 집배수관
JPS62273335A (ja) 暗渠集排水管
KR930004979Y1 (ko) 배수전
JPH0472005B2 (ko)
JPH0617569B2 (ja) 屈曲可能なマット状集排水管
KR100834532B1 (ko) 합류식 하수구의 토사유입 방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19991007

Effective date: 200004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