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292B1 - 암거 집배수관 - Google Patents

암거 집배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292B1
KR0178292B1 KR1019950012472A KR19950012472A KR0178292B1 KR 0178292 B1 KR0178292 B1 KR 0178292B1 KR 1019950012472 A KR1019950012472 A KR 1019950012472A KR 19950012472 A KR19950012472 A KR 19950012472A KR 0178292 B1 KR0178292 B1 KR 0178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ain
drain pipe
drainag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2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1575A (ko
Inventor
박정서
Original Assignee
박정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서 filed Critical 박정서
Priority to KR1019950012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8292B1/ko
Publication of KR960041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1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2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암거 배수관을 개시한다. 이 암거 배수관은 외주면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배수관부와, 복수개의 드레인 관이 결합되어 배수관의 길이 방향으로 집수관로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의 외주면이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한 곳 이상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집수관부를 구비하여 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며, 이는 지하수의 배수가 용이하고 배수관부로의 지하수 유입이 원활하여 지하수의 배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암거 집배수관
제1도는 종래 암거 집배수관에 의해 지하수가 배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암거 집배수관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암거 집배수관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암거 집배수관의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드레인 관의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암거 집배수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7도 암거 집배수관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41 : 배수관부 33 : 드레인관
34,45 : 집수관부 47 : 드레인 매트부
35,48 : 노출부
본 발명은 암거집배수관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배수관으로의 지하수 유입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맹암거 배수관(盲暗渠 排水管)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공원, 운동장, 골프장, 도로 및 철로의 노반(露盤), 연약지반의 배수 등을 공사함에 있어서, 지하로 스며드는 지하수를 효율적으로 배수하기 위한 맹배수공법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지하수를 얼마만큼 효율적으로 집수 및 배수하는가에 달려 있다. 이러한 맹배수 공법으로는 지하에 배수공간을 만들고 이에 옥석과 자갈 등으로 채워 배수로를 형성하는 공법과, 외주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배수관을 땅속에 매설하여 지하수를 배수하는 공법 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맹배수 공법중 지하에 배수관을 매설하여 지하로 스며드는 지하수를 배수하는 공법은 상기 배수관의 구조에 따라 배수 효율이 달라지게 되므로 지하수의 효율적인 배수를 위하여 배수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배수관의 일예로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관이 길이 방향으로 놓인 상태에서 관(11) 상면에 다수개의 관통공(12)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배수관(10)은 지하수의 집수를 위한 관통공(12)이 관(11)의 상면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하수의 집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흙에 의해 관통공(12)이 쉽게 막히게 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12)을 통하여 관(11)의 내부로 유입된 지하수는 관통공(12)이 형성되지 않은 관(11)의 하측에 의해 배수되므로 배수효율이 좋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된 배수관이 대한 민국 특허 공고번호 제91-288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유입되는 유입 개구부(21)가 형성된 배수관(22)의 외주면부에 나선상의 돌조(23)를 설치하거나 독립된 원형상의 돌조를 설치하여 돌조부 배수관(24)을 형성하고, 이 돌조부 배수관(24)의 둘레에는 배수관(22)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방향수로(26)를 형성하기 위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복수개의 통상체(25)를 돌조(23)에 의해 형성된 원주방향 수로와 상기 축방향 수로(26)가 연통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로 배열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배수관(20)은 지하에 매설된 경우 지하로 스며드는 지하수는 상기 배수관(22)의 외주면에 형성된 통상체(25)에 의해 집수된 후 돌조부 배수관(24)으로 유입되고 이 유입된 지하수는 배수관(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유입개구부(21)를 통하여 배수관(22)내부로 유입되어 배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암거 집배수관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첫째;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된 배열 통상체에 의해 배수관이 감싸여져 있으므로 배수관으로의 지하수의 유입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배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없다.
둘째; 암거 집배수관이 매설되는 지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 국부적인 압력의 집중에 의해 통상체와 배수관이 파손된다.
셋째; 짧은 시간내에 많은 지하수의 유입시 즉각적인 효율이 좋지 않다.
넷째; 통상체와 배수관의 외주면 사이에 나선형의 돌조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암거 집배수관의 구조가 복잡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배수관으로의 지하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유입되는 지하수의 변화량에 대해 즉각 배수가 가능하며 배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암거 집배수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국부적으로 가하여 지는 압력에 의해 배수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암거 집배수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어 지하수를 배수하는 암거 집배수관에 있어서, 외주면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배수관부와, 복수개의 드레인 파이프가 결합되어 배수관의 길이 방향으로 집수관로를 형성하며 상기 배수관의 외주면이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한 곳 이상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집수관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어 지하수를 배수하는 암거 집배수관에 있어서, 외주면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배수관부와, 복수개의 드레인 파이프가 결합되어 배수관의 길이 방향으로 집수관로를 형성하며 상기 배수관부의 상면부를 그 길이 방향으로 소정폭 감싸는 집수관부와, 상기 배수관부의 하면에 설치되어 배수관부를 지지하는 드레인 매트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중에 스며드는 지하수를 배수시키는 맹배수 공법에 사용되는 암거 집배수관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부(31)에 나선형의 인입부(31a)가 형성되고 이 인입부(31a)의 바닥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배수관부(31)의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관통공(3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부(31)의 외주면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S자형의 드레인 관(33)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집수관부(34)가 설치되는데, 이 집수관부(34)는 배수관부(31)의 적어도 한 곳 이상이 그 길이 방향으로 노출부(35)를 갖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배수관부(31)의 길이 방향으로의 일부가 상기 집수관부(34)에 의해 감싸여지지 않는 노출부(35)가 형성된 것이다. 여기에서 집수관부(34)를 이루는 단면이 S자형인 드레인 관 (33)의 결합은 다음과 같다. 상기 드레인 관(33)의 길이 방향 개구(33a)에 드레인 관(33‘)의 통로를 이루는 몸체(33b')의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끼워져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부(31)와 집수관부(34)는 그물상의 넷트(36)에 의해 감싸여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암거 집배수관의 다른 실시예가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배수관부(41)와, 이 배수관부(41)의 길이 방향으로 놓인 상태에서 그 상면을 감싸는 집수관부(45)와, 상기 배수관부(41)의 하면에 상기 배수관이 놓이는 드레인 매트부(47)와, 상기 배수관부(41), 집수관부(45) 및, 드레인 매트부(47)를 감싸는 그물상의 넷트(49)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수관부(41)는 외주면에 나선형의 인입부(42)가 형성되고, 이 인입부(42)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관통공(43)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관부(41)에 형성된 인입부(42)는 상기 배수관부(41)의 외주면에 나선형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43)이 집수관부(45)와 밀착되지 않게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집수관부(45)는 단면이 S자 형상의 드레인 관(46)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단면S자형의 드레인 관(46)의 결합은 드레인 관(46)의 길이 방향 개구(46a)에 드레인 관(46‘)의 통로를 이루는 몸체(46b')의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매트부(47)는 상기 배수관부(41)가 안착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면 S자형의 드레인 관이 상호 결합되어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레인 관의 결합은 상기 집수관부의 드레인 관의 결합과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드레인 매트부(47)의 양측단부와 집수관부(45)의사이는 길이 방향으로 배수관부(41)의 외주면이 노출되는 노출부(48)를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암거 집배수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암거 집배수관이 매립된 상태에서 지중으로 스며드는 지하수는 상기 집수관부(34)에 의해 집수된 후 드레인 관(33)의 통로를 따라 흐르거나 배수관부(31)의 관통공(31b)으로 유입되어 배수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관부(34)에 의해 집수되지 못한 지하수는 상기 노출된 배수관부(31)의 외주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배수관부(31)의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지중으로 스며드는 지하수의 유량의 변화가 심하여도 즉시 배수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부(41)의 노출부(48)가 양측에 위치된 경우에는 배수관부 양측에 노출된 관통공(43)으로 지하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며, 드레인 매트부(47)의 드레인 관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노출부(48)는 지중의 토양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관통공(43)이 막힐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상기 배수관부(41)와 집수관부(45) 및 드레인 매트부(47)는 넷트(49)에 의해 감싸여져 있으므로 관통공(43)으로 토양이 직접적으로 유입되어 상기 관통공(43)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가 이루어지는 암거 집배수관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배수관부의 자닥면에 드레인 매트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국부적인 가압력에 의해 배수관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배수관부의 하면에 드레인 매트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수관부의 상부에서 배수하지 못한 지하수를 배수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집수관부는 드레인관부의 길이 방향 개구에 결합된 다른 드레인관의 몸체로써 이루어지므로, 결합에 따른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배수관의 하면이 드레인 매트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굴삭한 바닥면이 고르지 못함으로써 배수관부에 가하여 지는 국부적인 압력에 의해 배수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암거 배수관을 감싸고 있는 넷트에 의해 지하수의 일차적인 필터링이 이루어지므로 배수관부 및 집수관부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배수관부의 외주면을 전체 감싸지 않아도 되므로 종래의 배수관에 비하여 그 구조가 간단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암거 집배수관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 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내에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2)

  1. 배수관부와; 각각의 단면이 S자형인 복수개의 드레인 관들이 서로에 대하여 하나의 길이 방향 개구에 다른 하나의 몸체의 일부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부의 외주면이 길이 방향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배수관의 길이 방향으로 집수관로를 형성하는 집수관부;를 구비하고, 지중에 매설되어 지하수를 배수하는 암거 집배수관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부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인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부가 노출된 부분에 대하여 소정 간격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배수관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집수관부를 감싸는 그물상의 넷트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 집배수관.
  2. 배수관부와; 각각의 단면이 S자형인 복수개의 드레인관들이 서로에 대하여 하나의 길이 방향 개구에 다른 하나의 몸체의 일부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부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상면부를 소정폭 감싸도록 설치된 집수관부;를 구비하는, 지중에 매설되어 지하수를 배수하는 암거 집배수관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부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인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각각의 단면이 S자형인 복수개의 드레인 관들이 서로에 대하여 하나의 길이 방향 개구에 다른 하나의 몸체의 일부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부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하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집수관부와의 사이에 소정 간격의 배수관 노출부가 형성되도록 설치된 전체적으로 평탄한 드레인 매트부; 및, 상기 배수관 노출부에 대하여 소정 간격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배수관의 상부면에 설치된 집수관부와 하부면에 설치된 드레인 매트부를 감싸는 그물상의 넷트;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 집배수관.
KR1019950012472A 1995-05-18 1995-05-18 암거 집배수관 KR0178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472A KR0178292B1 (ko) 1995-05-18 1995-05-18 암거 집배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472A KR0178292B1 (ko) 1995-05-18 1995-05-18 암거 집배수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575A KR960041575A (ko) 1996-12-19
KR0178292B1 true KR0178292B1 (ko) 1999-04-01

Family

ID=1941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2472A KR0178292B1 (ko) 1995-05-18 1995-05-18 암거 집배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82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459B1 (ko) * 2003-12-18 2006-12-13 김문용 하수관 받침용 지중관 매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575A (ko) 199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6331B1 (ko) 유공관을 이용한 구조물 지하배수공법
CN1136364C (zh) 排水方法及使用于此方法的排水管
KR100616123B1 (ko)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2006336338A (ja) 水抜管及び水抜管を用いた排水方法
KR0178292B1 (ko) 암거 집배수관
KR101924402B1 (ko) 유공관을 구비하는 배수 시스템 및 그의 배수 방법
KR100641069B1 (ko)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방법
KR200148217Y1 (ko) 암거 집배수관
KR101208704B1 (ko) 암거 집배수관
JP3140982B2 (ja) ドレン管束を用いた水処理設備
KR20010000999U (ko) 배수관
KR20000012145A (ko) 집 배수관
KR970003862B1 (ko) 맹배수 공법 및 암거집배수관 형성용의 배수로부재
KR0178293B1 (ko) 지하수 배수장치
KR100655383B1 (ko) 지하층 바닥 배수시공 방법
KR910002886B1 (ko) 암거집배수관
KR20010000998U (ko) 배수관
JPS6220504Y2 (ko)
KR20030031084A (ko) 옹벽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208830283U (zh) 一种苗木排水盲沟
JPH0449243Y2 (ko)
KR100322386B1 (ko) 연약지반개량용앵커플레이트
JPH0285412A (ja) 暗渠排水管による排水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暗渠排水管
KR200271631Y1 (ko) 도로 하부의 지하수 배수관
JPS611705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