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862B1 - 맹배수 공법 및 암거집배수관 형성용의 배수로부재 - Google Patents

맹배수 공법 및 암거집배수관 형성용의 배수로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862B1
KR970003862B1 KR1019880004143A KR880004143A KR970003862B1 KR 970003862 B1 KR970003862 B1 KR 970003862B1 KR 1019880004143 A KR1019880004143 A KR 1019880004143A KR 880004143 A KR880004143 A KR 880004143A KR 970003862 B1 KR970003862 B1 KR 970003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cylindrical body
cylindrical
water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4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2841A (ko
Inventor
아끼오 야마모도
Original Assignee
야마모도 노부고
야마모도 히로오
신구라이 마찌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도 노부고, 야마모도 히로오, 신구라이 마찌고 filed Critical 야마모도 노부고
Publication of KR880012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2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맹배수 공법 및 암거집배수관 형성용의 배수로부재
제1도는 본 발명의 공법에 따른 암거집배수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절결 사시도.
제2도는 암거집배수관의 황단면도.
제3도는 게지돌출부와 게지구부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배수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망체로 덮혀진 원통형상체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원통형상체를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원통형상체 상호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8도는 여러개의 원통형상 매트로 배수로부재를 피복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공법을 응용하여 이루어진 맹배수구조의 사시도.
제10도는 원통체 형상매트 상호의 접합요령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제11도는 내지 제13도는 암거집배수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14도 및 제15도는 배수로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16도 및 제17도는 원통형상매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8도는 제17도에 도시한 원통형상 매트의 골곡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19도 내지 제24도는 원통형상체의 다른 예를 그 연결상태 및 배수관의 외주면부에 배열시킨 상태를 함께 도시한 단면도.
제25도 및 제26도는 배수로부재인 원통형상체매트의 덮개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27도 및 제28도는 배수로부재 상호간 접합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29도는 둥글게 말아 놓은 원통형상체 매트를 파이프 모양의 배수로부재내에 내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30도는 배수용 원통체를 여러개 겹쳐놓은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31도는 아아치형상의 연결부재를 여러개 겁쳐 놓은 상태의 측면도.
제32도는 종래 암거집배수관의 일예를 그 사용 상태와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배수로부재의 외측부에 그 하측의 소요폭 부분을 제거하여 필요에 따라 그물 형상 필터재를 개재시켜서 원통형상매트를 피복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장기간에 걸쳐 효율적으로 지반수를 집배수 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시공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맹배수 공법 및 암거집배수관 형성용의 배수로부재에 관한 것이다.
지반의 맹배수공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토양입자를 분리시켜 어떻든 물만을 효율적으로 또한 영속성을 가지고 집배수시킬 수 있도록 유의해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런데 종래의 지반맹배수공법으로서는 자갈이나 모래에 의해 지반이 물이 잘 스며들 수 있도록 배수공간을 형성하는 공법 또는, 독립된 관통 구멍들로 집수구를 갖춘 합성수지제나 구멍을 뚫어놓은 콘크리트제등을 흙중에 매설시켜 지반의 맹배수를 행하는 공법등이 있다.
그러나, 전자의 공법에 있어서는 자갈사이의 눈막힘 현상이 쉽고, 집배수의 영속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편, 후자의 공법에 있어서는 파이프 그 자체가 집배수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배수관으로서의 기능을 가져야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관통구멍의 형성부의를 제3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파이프의 하측 1/4정도 높이를 제외한 상측부(b)로 제한된다.
따라서, 천공돌설부위나 천공수에 제약이 생기게되고, 집수 상태가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파이프내의 수위가 파이프의 하측 1/4정도라는 제약때문에(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최소수위 대비)배수효율도 좋지 못했다.
더우기, 관통공(c)이 물 유입작용만 아니라 필터 작용도 동시에 하므로 이 관통공(c)의 눈막힘에 의해 이 눈막힘부위의 집수가 불가능하게되고 집배수의 영속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고, 경제성도 우수한 맹배수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맹배수공법(이하 "공법"우로 약칭함)은 물 유입용의 유입개구부(15)가 원통부(7)에 이어지도록 형성된 배수로 부재(2)의 외측부(2a)에 집수작용을 주는 원통형 상체매트(3)를 직접적으로 피복시켜되는 암거집 배수관(1)을 그 외측이 자갈, 옥석, 모래 등의 필터재로 이루어지는 필터층(51)에 의해서 둘러싸인 흙속에 매설시키는 맹배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체 매트(3)는 배수로부재(2)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인접 원통형상체(17, 17)상호간에 물 유입부(38)가 형성되는 한편 그 인접원통체(17, 17)서로가 굴곡될 수 있어서 일체로 접속시켜 이루어지고 이렇게 구성시킨 원통형상체 매트(3)를 소요되는 배수균배에 따라 굴삭구(42)내에 설치시킨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에 유입개구부(15)의 존재하지 않는 하측 소요폭 부분(34)을 제외하고 유입개구부(15)를 덮도록 직접 피복시키며 그 피복 부분에 있어서는 상기 축방향 수로(16)가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 원통형상체(17)의 외측부(17a)와의 사이에 필터 통수부(40)에 이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공법의 예로는 물유입용의 유입개구부(15)가 원통부(7)에 이어지도록 설계된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에 그물형상(망상)필터재(36)를 개재시켜서 원통형상체매트(3)를 피복시켜서 이루어지는 암거집배수관(1)을 그 외측에 자갈, 옥석, 모래등의 필터재로 이루어지는 필터층(51)에 의해서 둘러싸인 형태로 흙속에 매설하는 맹배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체매트(3)는 배수로부재(2)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방향수로(16)를 형성하기 위한 원통형상체(17)를 인접하는 원통형상체(17,17)사이에 물 유입부(38)가 형성되며 또한, 그 인접하는 원통형상체(17,17)가 서로 굴곡 되어질 수 있도록 일체로 접속시켜 완성되며, 이와같이 구성시킨 원통형상체매트(3)를 필요한 배수균배에 따라 굴삭구(42)내에 설치시킨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에 유입개구부(15)의 존재하지 않는 하측소요폭 부분(34)을 제외하고, 유입개구부(15)를 덮도록 그물형상필터재(36)를 개재시켜 덮고, 그 피복부분에 있어서는 상기 축방향수로(16)가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 그물형상필터재와의 사이 또는 원통형상체(17)의 외측부(17a)와 망상필터재(36)와의 사이인 필터통수부(40)에 이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다른 공법의 예로서는 물 유입용의 유입개구부(15)가 원통부(7)에 이어지게 설계된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에 집수작용을 하는 원통형상체매트(3)를 직접피복시켜서 되는 암거집배수관(1)을 그 외측에 자잘, 옥석, 모래등의 필터재로 이루어지는 필터층(51)에 의해서 둘러싸인 상태에서 흙중에 매설하는 맹배수공법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 매트(3)는 배수로부재(2)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방향수로(16)를 형성시키기 위한 원통형상체(17)를 인접 원통형상체(17, 17)상호간에 물유입부(38)가 형성되며, 또한 그 인접하는 원통형상체(17, 17)상호가 굴곡되어지도록 일체로 접속시켜 이루어지며, 이렇게 구성시킨 원통형상체매트(3)를 필요한 배수균배에 따라 굴삭구(42)내에 설치한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에 유입개구부(15)의 존재하지 않는 하측의 소요폭부분(34)을 제외하고 유입개구부(15)를 덮도록 직접 피복시켜 이 피복부분에 있어서는 상기 축방향 수로(16)가 배수로 부재(2)의 외측부(2a)와 원통형상체(17)의 외측부(17a) 사이의 필터통수부(40)에 이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배수로부재(2)에 씌운 상태에 있는 원통형상체 매트(3)의 외측부를 그물 형상필터재(39)로 피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법의 다른 예로서는 물유입용의 유입개구부(15)가 원통부(7)에 이어지게 설계된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에 집수작용을 하는 원통형상체매트(3)를 직접적으로 피복시켜 이루어지는 암거집배수관(1)을 그 외측에 자갈, 옥석, 모래 등의 필터재로 이루어지는 필터층(51)으로 둘러씌운 상태에서 흙속에 매설하는 맹배수공법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체 매트(3)는 배수로부재(2)의 축방향으로 이어지는 축방향수로(16)를 형성시키기 위한 원통형상체(17)를 인접하는 원통형상체(17, 17) 상호간에 물유입부(38)가 형성되며, 또한 인접하는 원통형상체(17, 17)서로가 굴곡될 수 있도록 일체로 접속시켜 이루어져 이렇게 구성시킨 원통형상체매트(3)를 필요한 배수균배에 따라 굴삭구(42)내에 설치시킨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에 유입개구부(15)의 존재하지 않는 하측의 소요폭부분(34)을 제외하고, 유입개구부(15)를 덮도록 직접 덮어씌워 그 피복부분에서는 상기 축방향수로(16)가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 원통형상체(17)의 외측부(17a)사이에 필터통수부(40)에 이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배수로부재(2)에 덮어씌워지는 상태에서 원통형상체매트(3)의 외측부를 그물형상필터재(39)로 피복하고, 또한 이 그물형상 필터재(39)의 하단부분(39a)(전체길이를 따라 끼워 넣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을 배수로부재(2)와 원통형상체매트(3)의 하단부분(46)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암거집 배수관 형성용의 배수로부재(2)는 전체가 힙성수지로써 제작된 배수용원통체(5)와 이 배수용원통체(5)의 마주 향하는 상단부를 소요간격마다에 연결하는 아아치형상의 연결부재(6)로 구성되며, 상기 배수용원통체(5)는 원통관의 상측부분이 절제된 형태를 갖는 상방이 개구된 원통부(7)를 갖추며, 이 마주 향하는 상단부분은 걸림돌출부 또는 걸림구로 되어 있고, 한편 상기 연결부재(6)는 하방이 개구된 아아치 모양을 가져서 그 마주 향하는 하단부는 상기 걸림돌출부 또는 걸림구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걸림구 또는 걸림돌출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공법에 의하면 지반수는 원통형상체 매트(3)의 존재에 의해 효율적으로 여과집수된다.
이 집배수 작용에는 원통형상체매트(3)의 접속부인 물유입부(38)을 통해 적극적 집수작용 및 원통형상체 매트(3)와 배수로부재(2)와의 사이(52)를 통한 적극적 집수작용의 두 형태가 있다.
또, 후자의 집수작용은 원통형상체 매트(3)와 배수로부재(2)와의 사이(52) 하단부(53)에 있는 지반수를 그 하단부로써 선상을 이루는 취수부에서 필요에 따라 그물형상필터재(36)가 개재되어 있는 상기 사이(52)를 통해 상승되며 집수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하단부(53)가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의 선상취수부가 내려가게 되어 그만큼 집수성능이 향상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집수된 지반수는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 원통형상체(17)의 외측부(38)사이의 필터통수부(40) 또는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 그물형상의 필터재(36)사이 또는 원통형상체(17)의 외측부(17a)와 그물형상필터재(36)사이로써의 필터통수부(40)에 닿아 원주방향(예컨대 제2도에 도시한 화살표 F1방향)으로 이동하고, 또 축방향수로(16)를 흘러 암거집배수관(1)의 축방향(예컨대 제1도에 도시한 화살표 F2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원주방향 축방향의 물의 이동이 조합되는 현상에 의해 지반수는 흐름방향이 자유롭게 변화되면서 이동하고 유입개구부(15)에서 배수로부재(2)의 원통부(7)내에 유입되며, 이 원통부(7)내를 원활하게 흘러 말단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암거집배수관(1)의 필터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원통형상체 매트(3)의 물 유입부분(38)을 통해서 집수되어 예로서는 지반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토양입자등의입자는 이물유입부(38)에서 분리, 포착되며, 이후 상기 필터통수부(40)에서 분리, 포착되거나 원통형상체(17)의 축방향 수로에서 침강되어 분리, 포착되는등 여러번의 필터작용을 거치게 된다.
또, 통상체매트(3)와 배수로부재(2)와의 사이(52)를 통해서 집수하는 경우에는 지반수중의 토양입자 등은 필터통수부(40)에서 분리, 포착되어 진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의 공법에 따른 암거집배수관(1)을 예시한 것으로, 이 암거집배수관(1)은 굴삭구내에 설치된 배수로부재(2)의 외측 소요부분에 특히 그물형상 필터재(36)을 개재시켜서 원통형상체 매트(3)를 피복시킴에 따라 시공현장에서 구성된다.
배수로부재(2)는 제1도-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체가 합성수지등으로써 제작되며 배수용 원통(5)과 아아치형상의 연결부재(6)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배수용원통체(5)는 원통관의 1/4정도 부분이 잘려진 형태를 갖는 상방이 개구된 원통부(7)를 갖추며, 그 마주보는 상단부분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초단양측에 걸림단부(9, 9)를 구비하는 걸림돌출부(10)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연결부재(6)는 배수용원통체(5)의 곡률등을 따라서 설정된 소요길이를 갖는 하방이 개구된 아아치형상을 가지며, 그 마주보는 하단부는 걸림구부(11)로 되어 있다.
이 걸림구부(11)는 상기 걸림돌출부(10)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U자형태를 가지며, 이에 마주보는 구벽편(12, 12)의 하단내쪽에는 걸림돌출부(10)의 상기 걸림단부(9, 9)와 결합되는 걸림돌기(13, 1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예컨대 양 구벽편(12, 12)의 탄성작용에 거꾸로 걸림돌출부(10)를 걸림구부(11)내에 끼워 넣으면 걸림단부(9)와 걸림돌기(13)의 걸어맞춤에 의해 배수용원통체(5)와 아아치 형상의 연결부재(6)와는 일체화된다. 그리고 이같은 요령에 의해 배수용원통체(5)의 마주 향하는 상단부를 아아치형상의 연결부재(6)에 의해서 소요간격마다에 연결시키면 제4도와 같이 원통부(7)에 이어지는 물 유입용의 유입개구부(15)를 갖춘 안정상태에 있는 배수로 부재(2)기 필요한 곳에 구성되어지게 된다.
또, 상기 걸림돌출부(10)와 계지구부(11)는 역의 형태로 형성시켜도 좋다.
더구나, 배수용원통체(5)의 상단부와 아아치형상의 연결부재(6)의 하단부와의 접합은 상기 실시예에서 기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걸어맞춤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통상체매트(3)는 본 실시예에서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배수로부재의 축방향으로 이어지는 축방향수로(16)(제1도 참조)를 형성하기 위한 원통형상체(17)를 약간 헐겁게 접속시켜 이루어진다.
이 원통형상체(17)는 전체가 합성수지의 일체성형품으로, 제6∼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벽(19)의 양단을 역방향으로 돌려끼움에 따라 수로가 되는 인접한 두개의 공실부(16a, 16b)를 형성하고, 또한 돌려끼움단과 중앙벽(19)과의 사이에 물유입구가 되는 개구부(22, 22)를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단면이 S자형의 원통주체의 상기 중앙벽(19)에 양돌려 끼움단사이에서 양측에 돌출되게끔 돌조(23)를 형성시키고, 공실부(16a, 16b)의 외면에는 서로 걸어맞취지도록 걸림돌조(25)와 걸림조구(26)를 형성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돌조(25)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돌조(27)의 선단부 양측에 걸림부(29, 29)를 형성시킨 횡단면이 T자형상으로 되어있다.
또, 걸림돌조(25)의 선단측부분(30)이 여유를 가지고 끼워진 상태가 되도록 구부(31)를 마주 향하는 한쌍의 돌출편(32, 32)에 의해서 형성시킴과 동시에 각 돌출편(32, 32)의 선단부에는 상기 걸림부(29, 29)와 걸어 맞취지는 반원의 활골로 구부러진 걸림편(33, 33)이 마주 향하도록 연설되어 있다.
또, 걸림돌조(25)의 돌조길이는 걸림조구(26)의 구심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돌조(25)의 선단축 부분(30)을 예컨대 양돌출편(32, 32)의 탄성작용에 대항해서 걸림조구(26)내에 약간 헐겁게 끼우면 걸림부(29)와 걸림편(33)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걸림돌조(25)는 걸림조구(26)로부터 이탈할 수 없게되고, 이에따라 원통형상체(17, 17)는 서로 헐겁게 끼워진 상태로 접속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된 원통형상체는 그 접속부(35)에서 유격이 있으므로 일정범위에서 굴곡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접속부(35)에서 형성된 간격(g)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반수를 적극적으로 유입통과 시키는 물 유입부(38)로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원통형상체(17)는 예컨대 배수로부재(2)의 전체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로 설정되어 상기한 요령에 의해서 그 소요되는 수가 순차로 접속되어 일체화되고,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를 그 하측의 소요폭부분(34)제외하고 피복시키는 원통형상체 매트(3)로 된다(제1∼2도, 제5도 참조).
여기서, 배수로부재(2)의 하측 소요폭부분(34)으로는 그 배수로 부재(2)의 외측부(2a)중 물 유입용의 유입개구부(15)의 존재하지 아니하는 하측 소요폭 부분(본 실시예에서는 배수용)을 제외한 부분을 말한다.
또, 원통형상체(3)가 붕괴되는 것을 막기위해 원통형상체(17, 17)를 서로 점착레이프(도시 아니됨)로 연결시켜도 좋다.
이와같이 형성시킨 원통형상체 매트(3)를 배수로 부재(2)의 외측부(2a)에 씌움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양자간에 그물 형상필터재(36)를 개재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렇게 해서 형성시킨 원통형상체 매트(3)를 필터 기능을 갖는 양단이 개방된 그물형상체(망상체)(37)내에 수납시켜,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통형상체 매트(3)의 앞뒤 표면이 그물형상필터재(36, 39)로 덮혀 씌워진 상태로 되게끔한다.
상기 암거집배수관(1)은 배수로부재(2)의 하측 소요폭부분(34)에 그물형상필터재(36, 39)로 덮혀진 상태의 그물형상체 매트(3)를 피복시켜 구성시키며, 이 같은 구성을 갖는 암거집 배수관(1)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 그물형상필터재(36)의 사이, 또는 원통형상체(17)의 외측부(17a)와 그물형상필터재(39)와의 사이인 필터통수부(40)에 이어지는 배수로부재(2)의 축방향F2(제1도 참조)에 연장된 축방향 수로(주로 내측개구공실부(16a)(16))를 갖는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원통형상체(17)의 다른쪽 공실부(16b)는 외측으로 개구된다(제1, 2도 참조).
또, 상기 외측개구공실부(16b)도 때로는 축방향수로(16)로 유효한 기능을 갖는 수도 있지만 이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맹배수한 지반의 상태에 따라서 배수로부재(2)에 원통형상체 매트(3)를 2중 3중으로 또는 그 이상으로 피복시켜도 좋다.
또, 원통형상체 매트(3)는 예컨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폭을 갖는 단위원통형상체매트(3a)의 피복수를 그물형상체를 통해서 그 측단부에서 접합시킴에 따라 성형시키는 것도 있다.
이같은 경우에는 그 접합부(41)로부터도 집수되어 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공법을 상기 구성을 갖는 암거집배수관(1)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를 예로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더불어서 그 공법에 의한 지반수의 집배수작용을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공법은 우선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맹배수공법을 실시할 부분에 형성시킨 굴삭구(42)내에 단부가 순차로 접속된 상태에서 배수용원통체(5)를 소요되는 배수균배로 설치한다.
또, 배수용원통체(5, 5) 서로의 접합은 배수용 원통체(5, 5)의 돌기결합부분(43)을 점착성 조인트테이프(45)로 피복시켜 이루어진다.
그후, 배수용원통체(5)의 마주 향하는 상단부를 아아치형상의 연결부재(6)로 소요간격마다에 연결시킴에 따라 배수로부재(2)의 연결체를 형성한다.
그때, 배수용원통체(5, 5) 서로의 접합강도를 향상시키기위해 접합시키고자 하는 배수용 원통체(5, 5)에 간격을 떼고 연결부재(6)를 취부시키는 것이 좋다.
이와같이 양배수용원통체(5, 5)에 간격을 떼고 연결부재(6)를 취부시킨 경우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점착성 조인트 테이프(45)는 배수용원통체(5)및 연결부재(6)에 걸쳐 감아두는 것이 좋다.
그후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형성시킨 배수로 부재(2)의 외측부(2a)에 그 최하단면 부분(하측의 소요폭 부분)(34)를 제외하고 그물형상필터재(36, 39)로 피복시킨 상태의 원통형상체 매트(3)를 피복시켜 필요에 따라 원통형상체매트(3)의 양하단부분(46, 46)이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 밀착 또는 거의 밀착한 상태로 되도록 양 하단 부분(46)을 점착테이프등으로 배수로부재를 임시 막거나, 또는 돌등으로 배수로부재(2)에 임시로 눌러두어 소요되는 암거집배수관(1)을 구성시킨다(제9도 참조). 또, 원통형상체 매트(3)에 의한 피복이 암거집배수관(1)의 강도 향상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로부재(2)의 중간부분에서 배수용원통체(5)와 연결부재(6)에 걸쳐 상기 조인트 테잎(45)과 같은 모양의 점착성 중간 지지테잎(47)을 감고, 그 중간지지테잎(47)상에 원통형상체 매트(3)의 접합단부(49, 49)가 위치되도록 하여 이 접합단부(49, 49)를 점착성 조인트 테잎(50)으로 피복접합시키는 것이 좋다.
또, 원통형상체 매트(3, 3)를 서로 이와같이 해서 접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조인트 테잎(45) 및 중간지지테잎(47)의 존재에 의해 원통형상체 매트(3)와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의 사이에 유수간격이 적극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그후,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암거집배수관(1)의 외측이 자갈, 옥석, 모래, 왕겨 등의 필터재료가 되는 필터층(51)에 의해서 둘러싸인 상태로 한 후 암거집배수관(1), 필터층(51)을 흙속에 묻는다.
본 발명의 공법에 따른 지반수의 여과 집수작용으로는 상기 작용의 항에서도 기술한 바와같이 크게 나눠 원통형상체 매트(3)의 접속부인 물유입부(35)를 통해서 제1의 형태와 원통형상체 매트(3)와 배수로부재(2)와의 사이를 통한 두종류가 있다.
(제1∼2도, 제9도 참조)
제1여과 집수작용
지반수는 자갈이나 옥석등으로 이루어지는 필터층(51)및 암거집 배수관(1)의 최외층을 형성하는 그물형상의 필터재(39)에 의해서 크고 작은 입자가 여과된후 원통형상체 매트(3)의 물유입부(38)를 통해서 필터통수부(40)에 다다르게 되지만 그물 형상필터재(39)를 통과한후 지반수중에 함유되어 있는 토양입자등의 입자는 그 물 유입부(38)에서 분리, 포착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암거집배수관(1)이 원통형상체(17)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개구공실부(16b)를 갖춤에 따라 물유입부(38)를 향한 지반수중의 토양입자등은 그것이 물 유입부(38)에 도달하기전 단계에서 외측개구공실부(16b)내에 유입되며 이 공실부(16b)에 포착된다.
즉, 그 외측 개구공실부(16b)는 이러한 작용을 부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물유입부(38)를 향한 토양입자등의 입자량이 큰만큼 적게된다.
물유입부(38)를 통과한 지반수는 필터통수부(40)에 도착하여 원주방향(F1)으로 이동하려하고(제2도 참조)동시에 축방향수로(16)내를 축방향(F2)으로 이동하게된다(제1도 참조).
또, 원통형상체매트(3)상호의 접합을 상기와 같이 중간지지테잎(47)위에서 행하는 경우에는 조인트 테잎(45), 중간지지테잎(47)의 두께만큼 원통형상체(3)와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간격이 증대되기 때문에 원주방향으로의 물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이들 원주방향(F1), 축방향(F2)의 물의 이동의 조합 현상에 따라 지반수는 흐름방향을 자유로히 변화시켜 이동하고, 유입개구부(15)로부터 배수로부재(2)내로 유입된다(제2도 참조).
그때, 미소립자가 필터통수부(40)에서 분리, 포착되기 때문에 토양입자가 아주 적은 깨끗한 물이 유입개구부(15)로부터 배수로부재(2)의 원통부(7)내로 유입되어진다.
제2여과 집수작용
암거집배수관(1)의 최하단부의 지반수는 원통형상체매트(3)와 배수로부재(2)와의 사이(52)인 하단부(53)선상을 이루는 취수부에서부터 이 사이(52)를 상승하고, 이 사이(52)에 개재시키게되어 있는 그물 형상 필터재(36)에 의한 여가 작용을 받아 유입개구부(15)로부터 배수로부재(2)의 원통부(7)내에 유입 되어진다. 바꿔 말하면,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 하측에 그 하단부와 같은 높이의 위치에서 선상을 이루는 집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과 같은 모양의 집수작용이 발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지반수의 집수는 암거집배수관(1)의 최하단부분에서도 적극적으로 행해지게 되고, 더구나, 물 유입용의 유입개구부(15)의 위치가 높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암거집배수관(1)내의 수위를 높히는 꼴이된다. 그리고, 이렇게 배수로부재(2)내에 유입된 유입수는 그 배수로부재(2)를 원활하게 흘러 끝에서 배출된다.
또, 지반수가 원주방향(F1)및 축방향(F2)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어느 집수부분에서 집수량이 많아지는 경우라든지 혹은 집수부분의 유입개구부가 눈막힘현상이 일어나는 경우에 있어서도 유입수는 축방향 수로(16)내를 하류측으로 빠르게 흐름과 동시에 원주방향으로도 이동하고, 소요 유입개구부(15)내에 유입되게 된다.
그 때, 축방향수로(16)가 병설되어져 있기 때문에 축방향수로(16)내에 있는 토양입자등의 퇴적상태에 의해 유입수는 자연스럽게 흘러감에 따라 흐름이 쉬운 수로를 적절히 선택하여 원활하게 흐른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암거집배수관(1)의 외측 개구공실부(16b)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예컨데, 배수로부제(2)내에 유입될 수량이 과잉되는 경우에는 필터통수부(40)에 일단 도달한 물이 원통형상체 접속부인 물 유입부(38)에서 유출되고, 적당한 외측개구공실부(16b)내를 흘러 하류측의 적소에서 다시 물 유입부(38)를 통과하여 필터통수부(40)에 다다르며, 상기와 같은 식으로 해서 배수로부재(2)내에 유입되는 것이다. 한편, 물유입부(38)에서 접수될 지반수의 수량이 과잉인 경우에는 그 지반수중 일부분이 외측 개구공실부(16b)내에 유입되어 하류측으로 흐르고, 하류측의 적소에서 물유입부(38)를 통과하여 필터통수부(40)에 다달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외측개구공실부(16b)의 작용은 축방향 수로(16)로써 작용하며, 내측 개구공실부(16a)인 축방향수로(16)에서 배수작용을 돕게 하는 것이다.
제2실시예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에 원통형상체매트(3)를 그물형상 필터재를 개재시키지 않고 직접적으로 피복시켜 원통형상체매트(3)에 의해서 형성되는 축방향수로(16)가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 원통형상체(17)의 외측부(17a)사이의 필터통수부(40a)에 이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실시예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에 원통형상체매트(3)를 그물형상 필터재를 개재시키지 않고 직접 피복시켜 원통형상체 매트(3)에 의해서 형성되는 축방향 수로(16)가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 원통형상체(17)의 외측부(17a)사이의 필터통수부(40)에 이어지도록 되어있음과 동시에 배수로부재(2)의 씌워진 상태에 있는 원통형상체 매트(3)의 외측부를 그물형상 필터재(39)로 피복시켜 이루어진다.
제4실시예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에 원통형상체 매트(3)를 그물형상 필터재를 개재시키지 않고 직접 피복시켜 원통형상체 매트(3)에 의해 형성되는 축방향수로(16)가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 원통형상체(17)의 외측부(17a)와의 사이의 필터통수부(40)에 이어지도록 되어짐과 더불어 배수로부재(2)에 씌워진 상태에 있는 원통형상체 매트(3)의 외측부를 그물형상필터재(39)로 피복하고, 또한, 이 필터재(39)의 하단부분(39a)을 배수로부재(2)와 원통형상체매트(3)의 하단부분(46)사이에 끼워넣어 이루어지며(이 끼워 넣는 결과에 의해 그물형상 필터재의 하단부(39a)가 안정되어진다).
이와같이 끼워넣어진 때에는 그 끼워넣어진 부분에 있어서는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 끼워넣어지는 그물형상 필터재(39)와의 사이, 또는 원통형상체(17)의 외측부(17a)와 끼워 넣어지는 그물형상 필터재(39a) 사이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필터통수부(40)로 된다.
기타
① 본 발명의 공법에서 배수로부재(2)는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배수용 원통체(5)와 연결부재(아아칭형을 이루는 것에 한정하지 않음) (6)의 조합체로써 구성되는 것의 다른것, 제14도-제15도에 도시한 대로 원형상공(55)이나 슬릿트형상공(도시않됨), 또는 비교적 큰 창부분(55)등으로 해서의 물유입 개구부(15)의 소요수를 갖추는 관 모양의 것으로 구성되는 것도 있다.
② 제16도 및 제17도는 원통형상체 매트(3)의 다른예를 도시한 것으로, 조인트 매트(45)를 이용해서 원통형상체(17)를 인접원통형상체(17, 17) 상호간에 물 유입부(38)가 형성되며, 또한 그 인접하는 원통형상체(17, 17) 서로가 일정한 범위에서 굴곡되어 질 수 있도록(제18도 참조) 접속 일체화하여 이루어진다.
③ 제19도내지 제24도는 원통형상체(17)의 다른 예를 그 접속상태및 배수로부재(2)의 주위에 배열시킨 상태로 함께 도시한 단면도로써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은 형태로 원통형상체 접속부인 물 유입부(38)로부터 유입된 지반수는 원주방향, 축방향으로 흘러서 배수로부재(2)내로 유입된다.
또, 제19도 내지 제21도는 상기 실시한 예에서 도시한 S자형 원통형상체의 일부형태를 변형시켜서 된 원통형상체를 이용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특히 제21도는 원통형상체매트(3)를 구성하는 일부의 원통형상체를 내측개구공실부(16a, 16a)상호, 또는 외측개구공실부(16, 16b)상호가 인접되게 접속된 경우를 보여준다.
④ 제25도 및 제26도는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인 원통형상체매트(3)의 피복정도를 상기 실시예에 경우와는 다르게한 암거집배수관(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그 피복 정도가 맹배수시킬 지반의 상황등을 고려해서 적소에 설정한다.
⑤ 본 발명에 공법에 있어서, 배수로부재(2, 2)상호의 접합 형태는 상기 실시예에서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배수용 원통체(5, 5)의 단부를 겹쳐서 접합시키는 경우도 있다.
또, 이 접합을 용이하게 하고 양배수용통체(5, 5)의 단부분(57, 57)에 간격을 두고서 상기한 연결부재(6)를 무리없이 취부가능하게 한 것이기 때문에 한쪽의 배수용원통체(5a)의 단부분을 비스듬히 커트(59)하는 것이 좋다. 아니면, 배수로 부재(2, 2)상호의 접합은 제2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결파이프(60)등을 이용해서 할 수도 있다.
⑥ 암거집배수관(1)은 상기와 같이 현장시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암거집배수관(1)을 구성시키기 위한 배수로부재(2)나 원통형상체매트(3)등을 여하한 경제적으로 현장에 운반할까하는 것이 시공코스트상 문제가 된다.
불필요한 것을 생략한 운반방법을 예시하면, 예컨대 배수로 부재(2)가 파이프 형상을 이루며 또한, 그 관의 직경이 비교적 큰 경우에는 제2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감아놓은 원통형상체 매트(3a)를 그 파이프형상의 배수로부재(2)내에 수납장착시키면 좋다.
또, 배수로부재(2)가 상기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배수용원통체(5)와 아아치 형상의 연결부계(6)에 의해 구성되어지는 경우에는 제30도 및 제3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배수용원통체(5)를 여러개 겹쳐서 또는 아아치형상부재(6)를 여러개 겹쳐 운반하면 좋다.
① 본 발명의 공법은 다음의 (1)(2)에서 상세히 밝히는 바와같이 집수부와 배수부를 분리시켜서 집수효율 및 배수효율을 극히 양호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지반수를 효율적으로 단시간내에 집배수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유효한 집배수가 장기간의 세월 동안 지속되어진다.
(1) 본 발명의 공법은 배수로부재의 외측부를 필요에 따라 그물 형상 필터재를 개재시켜 선형상의 집수부를 형성하는 원통형상체 매트로 피복시키기 때문에 이에따라 형성시킨 내부공간이 여러종류의 공간(주로 원통형상체 매트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 배수로 부재내공간및 그물형상 필터재가 개재되어지는 경우에는 그 그물형성의 필터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으로서의 서로 연통시켜진 공간)에 합리적으로 분할되며, 이들의 각공간이 각각 독립적으로 물이나 토양입자를 분리시키는 집수작용 및 배수작용을 최대한 유효하게 발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암거집배수관은 물 유입작용과 필터작용을 동일의 관통구멍에 의해서 행해지도록 구성시킨 상기한 종래의 구멍이 있는 파이프와는 그 본질을 전혀 달리하고, 효율적으로 집수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공법에서 지반수는 원주방향,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게끔 하기위해 원주방향, 축방향의 물의 이동조합 현상에 의해 배수로부재에 형성되어져 있는 유입개구부의 일부가 눈막힘현상이 일어난다해도 그 눈막힘 부분의 지반수는 눈막힘 유입개구부를 제외하고 다른 부분으로 신속히 흘러 다른부분에 있는 유입개구부로부터의 배수로부재내에 유입된다.
이와같이 어떤 유입개구부에 대해 본 경우는 그 유입개구부에는 그 주위부분의 지반수가 유입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거기서부터 떨어진 부분에서 집수되어 이동해온 지반수도 유입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공법은「영속적 집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2) 더구나, 본 발명의 공법은 상기한 「작용」의 항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여러겹의 필터작용(원통형상체매트의 접속부인 물유입부에서 토양입자의 분리, 포착, 필터통수부에서 토양입자의 분리포착, 원통형상체의 축방향수로에서 침강에 의한 토양입자의 분리, 포착등)을 한 것이기 때문에 배수로부재의 유입개구부에는 입자물질이 적은 깨끗한 물이 유입된다.
따라서, 배수로부재에 있어서는 토양입자의 퇴적에 의해 그 내부공간이 좁아져 배수성이 악화될 염려가 없고, 또 이와같이 입자가 적은 깨끗한 물이 배수로부재의 유입개구부에 유입됨에 따라 그 유입개구부를 크게 설정할 수도 있고, 이에따라 적은 갯수의 유입개구부에 의해서도 원통형상체의 축방향수로내에 유입되는 물을 빠르게 배수로 부재내에 유입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제2에서는 원통형상체 매트와 배수로 부재사이의 하단부인 선형상을 이루는 취수부로부터 지반수를 그 사이를 따라서 상승시켜 집수 시킴에 따라 유입개구부를 배수로부재의 최상단부위에 형성시킬 수도 있고, 상기한 종래의 구멍을 갖는, 즉 유공배수관에서의 경우와는 다르게 배수로 부재내의 수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는, 환언하면 배수로 부재내의 유량을 크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암거집배수관의 매설시 착오에 의해 약간의 배수 균배의 편차가 있다거나 또는 편압을 받아 암거집배수관이 부분적으로 침하하는 경우에도 배수로부재내에서 배수작용을 확실하게 보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밝힌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법은 효과적인 배수를 영속적으로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② 본 발명의 공법에 따른 암거집배수관은 배수로부재의 주위가 원통형상체 매트로 피복되어 탄성이 부가된「 휘어진관」의 구조를 갖기 때문에 단일의 한겹 관인 종래의 유공관에 비해 내구력이 상당히 커지며 토양압력에 의한 파손이 적다.
③ 본 발명의 공법은 소요되는 배수균배를 따라 굴삭구내에 배치된 배수로부재의 소요 외측부에 필요에 따라 그물형상필터재를 개재시켜 원통형상체 매트만을 피복시키거나 피복된 원통형상체 매트의 외측부를 그물형상의 필터재로 피복시킨다고 하는 극히 간단한 것이기 때문에 시공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가 있다.
또, 원통형상체 매트는 배수로부재의 외측부에 그 하측소요폭 부분을 제외하고 피복시킴에 따라 배수로부재의 전둘레를 원통형 상체 매트로 피복시킨 경우와 비교한 경우 원통형상체 매트를 구성하는 원통형상체의 사용갯수가 적고 경제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배수로부재의 외측부의 하측 소요폭부분을 덮은 원통형상체는 지반수의 집수에는 거의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제거해도 특히 문제가 없고 오히려 제거함에 따라 원통형 상체매트와 배수로부재 사이의 하단부가 선형상을 이루는 취수부의 기능을 갖게되고, 마치 배수로부재의 외측부 아래에 그 하단부와 같은 위치에서의 선형상을 이루는 집수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과 같은 집수작용이 발휘되어 암거집배수관의 집수성능이 향상되게 된다.
더구나 본 발명의 공법에서는 암거집배수관의 여러겹의 필터작용을 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같이 유공파이프를 이용하여 지반의 맹배수공을 시공하는 경우에 비해 필터 자재를 절약할 수가 있음과 더불어 필터자재의 품질에 대한 조건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공법에 의하면 재료비및 시공 공정이 절약될 수 있어 시공 코스트가 낮아 지고 공기의 단축화를 꾀할 수가 있게 된다.
④ 본 발명에 따른 암거집배수관 형성용의 배수로 부재를 전체가 합성수지로 제작된 배수용원통체와 여기에 마주향하는 상단부를 소요간격마다에 연결하는 아아치형상의 연결부재의 두물품에 의해 구성되며, 또한 배수용 원통체와 아아치형상의 연결부재가 걸림돌출부와 걸림구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일체화되도록 구성되는때에는 현장에서의 조립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고, 시공현장에서는 배수용원통체들을 여러개 겹쳐서 또, 아아치형상의 연결부재들을 겹쳐서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도 있는 것이다.

Claims (8)

  1. 물유입용의 유입개구부(15)가 원통부(7)에 연장되어지도록 설계된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에 집수작용을 부여하는 원통형상체매트(3)를 직접 덮어서 만들어지되, 그 외측에 자갈, 옥석, 모래등의 필터재료로 구성되는 필터층(51)에 의해서 둘러 싸인 상태로 흙속에 매설하는 암거집배수관(1)의 맹배수공법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체매트(3)는 배수로부재(2)의 축방향으로 이어지는 축방향수로(16)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원통형상체(17)의 인접하는 원통형상체(17, 17)상호간에 물 유입부(38)를 형성시켜 상기 인접하는 원통형상체(17, 17)서로가 일체로 접속되어진 상태에서 굴곡되어 이루어지며, 이렇게 구성된 상기 원통형상체매트(3)를 필요한 배수 균배에 따라 굴삭구(42)내에 설치시킨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에 유입개구부(15)의 존재하지않는 하측소요폭부분(34)을 제외하고 유입개구부(15)를 씌우도록 직접 피복시키되 이 피복부분에서는 상기 축방향수로(16)가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 원통형상체(17)의 외측부(17a)사이인 필터통수부(40)에 이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맹배수공법.
  2. 물 유입용의 유입개구부(15)가 원통부(7)에 이어지도록 설계된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에 그물형상필터재(36)를 개재시켜 원통형상체매트(3)를 덮게되는 암거집배수관(1)을 그 외측에 자갈, 옥석, 모래등의 필터재로 이루어지는 필터층(51)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로 흙속에 매설시키는 맹배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체매트(3)는 배수로부재(2)의 축방향으로 이어지는 축방향수로(16)를 형성시키기위하여 원통형상체(17)를 인접하는 원통형상체(17, 17)상호간에 물유입부(38)가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상체(17, 17)로 연결되어져 굴곡가능하게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원통형상체 매트(3)를 필요한 배수균배에 따라 굴삭구(42)내에 설설치시킨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에 유입개구부(15)의 존재하지 않는 하측 소요폭부분(34)을 제외하고 덮어씌워 상기 그물형상필터재(36)를 개재시켜 피복시키되, 이 피복부분에서는 상기 축방향수로(16)가 배수로 부재(2)의 외측부(2a)와 그물형상필터재(36)사이, 또는 원통형상체(17)의 외측부(17a)와 그물형상필터재(36)사이의 필터통수부(40)에 이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맹배수공법.
  3. 물유입용의 유입개구부(15)가 원통부(7)에 이어지도록 설계된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에 집수작용을 부여하는 원통형상체 매트(3)를 직접 피복시켜 이루어지는 암거집배수관(1)을, 그 외측에 자갈, 옥석, 모래등의 필터재로된 필터층(51)으로 둘러씌운 상태에서 흙중에 매설하는 맹배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체매트(3)는 배수로부재(2)의 축방향으로 이어지는 축방향수로(16)를 형성시키기 위한 원통형상체(17)를 인접하는 원통형상체(17, 17)상호간에 유입부(38)가 형성되어 원통형상체(17, 17)서로가 굴곡가능하게 일체로 접속되며, 이렇게 구성된 원통형상체매트(3)를 필요한 배수균배에 따라 굴살구(42)내에 설치하는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에 유입개구부(15)의 존재하지 않는 하측 소요폭부분(34)을 제외하고 덮어씌워 직접 피복시키고, 이 피복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축방향 수로(16)가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와 원통형상체(17)의 외측부(17a) 사이의 필터 통수부(40)에 이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배수로부재(2)에 피복된 상태의 원통 형상체매트(3)의 외측부를 그물형상필터재(39)로 피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맹배수공법.
  4. 물 유입용의 유입개구부(15)가 원통부(7)에 이어지도록 설계된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에 집수작용을 부여하는 원통형상체 매트(3)를 직접 피복시켜 이루어지는 암거집배수관(1)을 그 외측에 자갈, 옥석, 모래 등의 필터재로 이루어지는 필터층(51)으로 둘러 싼 상태에서 흙중에 매설하는 맹배수공법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체매트(3)는 배수로부재(2)의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축방향수로(16)를 형성시키기 위한 원통형상체(17)를 인접하는 원통형상체(17, 17) 상호간에 물 유입부(38)가 형성되며 또한 그 인접하는 원통형상체(17, 17)가 서로 굴곡될 수 있도록 일체로 접속시켜지며, 이렇게 구성시킨 원통형상체 매트(3)를 필요한 배수균배에 따라 굴삭구(42)내에 설치시킨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에 유입개구부(15)의 존재하지 않는 하측 소요폭부분(34)을 제외하고 덮혀지도록 직접 피복시켜서 이 피복 부분에서는 상기 축방향 수로(16)가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와 원통형상체(17)의 외측부(17a)사이의 필터통수부(40)에 이어지도록 됨과 동시에 배수로부재(2)에 피복되어진 상태의 원통형상체매트(3)의 외측부를 그물형상 필터재(39)로 피복하고, 그물형상필터재(39) 하단부분(39a)을 배수로부재(2)와 원통형상체매트(3)의 하단부분(46)사이에 끼워넣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맹배수공법.
  5.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원통형상체매트(3)는 원통형상체(17, 17)서로가 약간 헐겁게 끼워진 상태로 일체로 접속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맹배수공법.
  6.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배수로부재(2)의 외측부(2a)에는 얇은 두께의 테잎형상물이 점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맹배수공법.
  7.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원통형상체매트(3)는 원통형상체(17, 17)서로가 조인트테잎(45)을 이용하여 일체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맹배수공법.
  8. 전체가 합성수지로 제작된 배수용원통체(5)와, 이 배수용 원통체(5)에 마주 향하는 상단부를 소요간격마다에 연결하는 아아치형상의 연결부재(6)로 구성되며 상기 배수용원통체(5)는 원통관의 상측부분이 절개된 형태를 갖는 상방이 열려진 원통부(7)를 갖추며, 그 마주 향하는 상단부분을 걸림돌출부 또는 걸림구부로 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6)는 하방이 개구된 아아치형상으로, 그 마주 향하는 하단부는 상기 걸림돌출부 또는 걸림구부와 일체로 걸어맞춰지는 걸림구부 또는 걸림돌출부로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집배수관 형성용의 배수로 부재.
KR1019880004143A 1987-04-18 1988-04-12 맹배수 공법 및 암거집배수관 형성용의 배수로부재 KR970003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95944 1987-04-18
JP9594487 1987-04-18
JP62-179777 1987-07-18
JP62179777A JPS6433309A (en) 1987-04-18 1987-07-18 French drain work and parts for forming underdrain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841A KR880012841A (ko) 1988-11-29
KR970003862B1 true KR970003862B1 (ko) 1997-03-22

Family

ID=26437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4143A KR970003862B1 (ko) 1987-04-18 1988-04-12 맹배수 공법 및 암거집배수관 형성용의 배수로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433309A (ko)
KR (1) KR970003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459B1 (ko) * 2006-02-27 2007-08-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의 벌크 전압 레벨 감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5364B2 (ja) * 2007-07-23 2012-09-12 エバタ株式会社 雨水貯留浸透施設用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浸透施設
JP5795861B2 (ja) * 2011-02-17 2015-10-14 フリー工業株式会社 排水筒
JP6329464B2 (ja) * 2014-08-29 2018-05-23 ヒロセ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砂浜浸食防止構造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459B1 (ko) * 2006-02-27 2007-08-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의 벌크 전압 레벨 감지 장치
US7965109B2 (en) 2006-02-27 2011-06-21 Hynix Semiconductor Inc. Level detector for a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25962B2 (ko) 1993-04-14
JPS6433309A (en) 1989-02-03
KR880012841A (ko) 198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3862B1 (ko) 맹배수 공법 및 암거집배수관 형성용의 배수로부재
KR100602899B1 (ko) 지붕 슬래브용 루프드레인
KR910002886B1 (ko) 암거집배수관
KR910001392B1 (ko) 암거집배수관
JPS63171912A (ja) 暗渠集排水管
KR100613467B1 (ko) 공동주택의 이물질 거름용 하수파이프의 연결구조
KR910002885B1 (ko) 암거집배수관
JPH0215691B2 (ko)
KR200339851Y1 (ko) 지붕 슬래브용 루프드레인
JPH0525964B2 (ko)
KR101208704B1 (ko) 암거 집배수관
KR0178292B1 (ko) 암거 집배수관
KR910004003B1 (ko) 암거 집배수관
JPS6227585Y2 (ko)
JPH0624413Y2 (ja) 屈曲可能なマット状集排水管
JPH05263429A (ja) 水抜きパイプ及びそのパイプを用いた擁壁の法面施工法
JPS6367486A (ja) 暗渠集排水管
JP2003268793A (ja) 地層の集排水部材
KR0140059Y1 (ko) 암거 집배수관
JPS62273335A (ja) 暗渠集排水管
JPH06299566A (ja) 集排水部材、地中の水抜き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211112987U (zh) 一种市政道路排水结构
JPS61274009A (ja) 盲排水工法
JPH10299067A (ja) ドレン管束を用いた水処理設備
KR200234899Y1 (ko) 유공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