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003B1 - 암거 집배수관 - Google Patents

암거 집배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003B1
KR910004003B1 KR1019860009920A KR860009920A KR910004003B1 KR 910004003 B1 KR910004003 B1 KR 910004003B1 KR 1019860009920 A KR1019860009920 A KR 1019860009920A KR 860009920 A KR860009920 A KR 860009920A KR 910004003 B1 KR910004003 B1 KR 910004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ulvert
water
inner tube
draina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9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175A (ko
Inventor
아끼오 야마모도
Original Assignee
아끼오 야마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오 야마모도 filed Critical 아끼오 야마모도
Publication of KR880004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암거 집배수관
제 1 도는 본 발명의 암거 집배수관의 일 실시예를 표시한 사시도.
제 2 도 및 제 3 도는 제 1 도의 단면도
제 4 도는 외관의 개구부를 뚜껑으로 밀폐한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 5 도는 암거 집배수관의 사용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사시도.
제 7 도는 이중관체의 다른 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제 8 도는 이의 분해 사시도.
제 9 도는 이중관체의 다른 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제 10 도는 이의 분해 사시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단면도.
제 12 도는 종래의 암거 집배수관의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암거 집배수관 2 : 내관
4 : 외관 5 : 공간부
6 : 연결편 9 : 집수 요홈부
12 : 유입개구부
본 발명은 집수부와 배수부를 분리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서, 오랜시일에 걸쳐서 지반수를 효율적으로 집배수하도록 하므로, 외압에 대한 저항력을 크게한 암거 집배수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맹배수 공법으로써 벽돌조각이나 자갈들로써 지반을 바꾸어 자갈 상호간에 배수공간을 형성하는 공법을 이용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형성된 투공의 집수구를 구비한 합성수지제나 콘크리트제 등의 구멍을 가진 파이프를 땅속에 매설하여 지반의 맹배수를 행할 수 있는 공법등이 있었다. 그러나 전자의 공법에 있어서 자갈들의 틈새가 빨리 막혀지므로, 집배수의 영속성을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후자의 공법에 있어서는 파이프 자체가 집수관으로써 기능을 하는 것으로, 배수관으로써 기능을 필요로하는 관계로 투공의 천설부위를 제12도에 도시와 같이 파이프의 하측의 1/4정도 높이의 부분(a)을 제외한 상측부분(b)을 형성한다. 따라서, 천설할수 있는 투공(c)의 수는 제한되고 집수를 양호하게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는 파이프내의 수위가 파이프의 하측 1/4보다 낮게 제한되고(제 2 도, 제 12 도에 도시한 수위와 대비),배수 효율이 양호하지 못하다. 더구나 투공(c)의 구멍이 막히기 쉬워, 각각의 구멍이 막혀있는 부분으로는 집수가 전혀 불가능하게 되어 집배수의 영속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결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위한 신규한 구성의 암거 집배수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암거 집배수관(1)은 내관(2), 그의 외주면부(3)둘레로 소정간격(g)을 떨어져 들러 쌓는 외관(4)과 함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 내관(2)과 외관(4)은 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5)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병렬로 연결편(6)들을 접합하여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의 수로(8)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또 외관(4)에는 상기 공간부(5)에 연통하고 소정간격을 두고 독립하여 둘레방향의 요홈부 또는 나선상 요홈부로되는 집수요홈부(9)가 형성되게 하고, 그에 인접하여 일체로된 직선상수로는 연통부(10)에 대하여 연통상태로 되고, 또 내관(2)의 외주면부(11)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개구부(12)가 형성되게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따라 본 발명의 암거 집배수관(1)은 그가 적절히 접속된 상태에서 굴삭구(7)내에 수평을 이루도록 배설되게 하며, 땅속에 매립하면 지하수는 집수요홈부(9)와 연통부(10)를 통과하여 외주둘레로 이동하고, 또 집수요홈부(9)에서 직선상수로(8)내로 유입하므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유입개구부(12)에서 배수관으로되는 내관(2)내로 유입하여서, 각 내관(2)내를 원활히 흐르게하여 그의 단부에서 배출한다. 여기서 암거 집배수관(1)에서의 필터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지반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와 진흙입자는 집수요홈부(9)에서 1차적으로 제거되고, 또한 그 집수요홈부(9)에서 직선상수로(8)내로 유입되는 미소입자는 침강하여 2차적으로 제거되므로, 이와같은 각 암거 집배수관(1)은 이중의 필터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제 1 도-제 5 도에서, 본 발명의 암거 집배수관(1)은 내관(2), 그의 외주면부(3)를 소정간격(9)만큼 떨어져 둘러쌓고있는 외관(4)들로 되는 이중관 구조를 가지며, 단위 길이로 설정 된다. 내관(2), 외관(4)은 원형의 파이프 형상으로되어, 양자는 그들 간격의 공간부(5)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병렬로 돌출 연결편(6)들이 일체로 되게하므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직선상수로(8)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고, 전체가 합성수지로 성형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되는 이중관체의 외관 주면부(7)에는 상기의 공간부(5)에 연통하여 독립된 원형상 요홈부로되는 집수 요홈부(9)가 소정간격(실예를 들면 40cm정도)을 두고서 실예를 들어 쇠톱등에 의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집수요홈부(9)의 일부로 되는 연결편(6)이 절취되어 있으며, 인접하여 형성된 직선상수로는 각 절취부에서 연통부(10)까지 연통 상태로 되어있다. 또 내관(2)의 외주면부(11)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개구부(12)가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유입개구부(12)는 본 실시예에서 내관(2)과 외관(4)을 관통시키도록 이중관체의 외주면부에 개구부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유입개구부(12)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외관(4)의 개구부(13)는 제 4 도의 도시와같이 덮개(14)를 사용하여 밀폐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암거 집배수관(1)은 제 1 도의 도시와 같이 내관(2)과 외관(4)사이에 형성한 길이방향[F1]으로 연장시킨 직선상수로(8), 둘레방향[F2]으로 연장하여 각 직선상수로(8)에 연통한 집수요홈부(9)와 연통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이후 본 실시예의 암거 집배수관(1)을 사용하여 지반의 맹배수공사를 시공하는 방법을 일예로 설명하고 동시에 본 실시예의 암거 집배수관(1)의 작용을 설명한다. 즉, 제 5 도에 도시와같이, 암거 집배수관(1)은 그의 유입개구부(12)가 측면에 위치할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접속시킨 상태에서(동 도면에서는 원통상 접속관체(16)에 의하여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음) 굴삭구(17)내에 수평의 균형을 갖도록 배설된다. 이때 암거 집배수관(1)의 외측을 망상의 필터재(도시않됨)로 포장되고, 그 의 외측은 자갈, 옥돌, 모래, 왕겨등의 필터재로되는 필터층(19)으로 둘러쌓여지는 상태로 된다. 이후 각 암거 집배수관(1) 망상 필터재 및 필터층(19)을 땅속에 매립한다. 그에따라, 지반수는 집수요홈부(9)와 연통부(10)를 통과하여 암거 집배수관(1)의 둘레방향으로 이동하고, 또 각 집수 요홈부(9)로부터 직선상수로 (8)내로 유입하여 암거 집배수관(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의 원주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물의 이동을 합하는 현상에 의하여 지반수는 유입개구부(12)로부터 배수관으로되는 내관(2)내로 유입된다.(제 2 도 참조) 또한 유입수는 직선상수로(8) (제 1 도, 제 3 도 참조)를 따라 원활히 흐르는 중에 어느 집수부분에서의 집수량이 과잉이 되고, 그 집수부분에 형성한 유입개구부가 막혀져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유입수는 직선상수로(8)를 따라 하류측으로 신속히 흘러 원주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정의 유입개구부(12)내로 유입된다.
이와같이 내관(2)내에 유입된 유입수는 각 내관(2)을 원활히 흘러 그 말단에서 배출된다.
더욱 암거 집배수관(1)은 상기와 같이 흙속에 매립되고, 지반수는 사리나 ㅏ옥돌등으로 된 필터층(19) 및 암거 집배수관을 둘러쌓고있는 망상의 필터재에 의하여 여과되고, 다시 암거 집배수관(1)의 상기의 이중필터작용에 의하여 흙입자가 극히 작은 맑은물이 유입개구부(12)로부터 내관(2)내로 유입되게 한다.
또한 내관(2)에 유입개구부(12)를 형성할때는 내관(2)가 외관(4)을 관통하게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게 한다. 내관(2)과 외관(4)간의 간격(g)은 다소 크게 설정할수 있으며, (실예를 들어 10mm 정도)비록 외관(4)의 개구부(13)를 폐쇄하지 않아도, 외관(4)의 개구부(13)로부터 들어오는 흙입자가 간격(g)을 지나 유입개구부(12)로부터 내관(2)에 들어오게 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
①제 6 도는 집수요홈부(9)를 나선상으로 형성한 본 발명의 암거 집배수관(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②제 7 도 및 제 8 도와 제 9 도 및 제 10 도는 별개로 형성되는 내관(2)과 외관(4)을 연결편(6)에 의하여 접합시켜서 이중관체를 구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제 7 도와 제 8 도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한 돌출부(20)가 원주면부(21)의 외측에 병렬로 설치되고, 이 원주면부(21)의 대향부위에 유입개구부(12)를 형성한 내관(2)을 외관(4)내에 삽입하여 돌출부(20)를 연결편(6)으로써, 내관(2)과 외관(4)을 접합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또 제 9 도 및 제 10 도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한 돌출부(22)가 원주면부(23)의 내측에 병렬로 고정한 외관(4)을 대향부위에 유입개구부(12)를 형성한 내관(2)위로 외부에서 삽입하고, 각 돌출부(22)를 연결편(6)으로써 내관(2)과 외관(4)을 일체로 결합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같이 이중관체를 형성할때에는 유입개구부(12)를 내관(2)상에 용이하게 형성할수 있다.
특히 제 7 도 및 제 8 도와 제 9 도 및 제 10 도에 도시와 같이 이중관체를 구성시킴에 있어서는 내관(2)과 외관(4)을 결합시키기전에 먼저 각 내관(2)에 제 8 도 또는 제 10 도에 도시와같이 원주방향으로 요홈부(9)를 형성할수 있다. 또 연통부(10)는 실예를 들어 인접하여 결합하여 있는 원주방향의 요홈부사이의 연결편(6)을 절취하여 형성할수 있다. 또한 연결편(6)의 선단부와 내관(2) 또는 연결편(6)의 선단부와 외관(4)이 단지 접촉된 상태를 접합상태이라할 경우 물은 각각의 해당 접합부(23)(제 7 도 참조)를 통과가능하므로, 절취부로써 적극적인 연통부가 되어있지 않는 경우에도 각 접촉부분(23)이 인접한 직선상수로와 연통하는 연통부(10)로 된다.
③본 발명에 있어서, 내관(2)에 유입개구부(12)를 형성하는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비교적 직경이 작은 유입개구부(투공)를 분산상태로 형성한 내관을 본 발명에서 제외시킬수 없다.
④내관(2)과 외관(4)을 접합시키는 연결편(6)의 형태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예를 들어 제 11 도에 도시와같이 어느정도폭을 가진 것으로 형성될수 있다.
⑤내관(2)에 형성한 유입개구부(12)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의 요홈형상으로 할수 있다.
[발명의 효과]
(가) 본 발명의 암거 집배수관은 이하의 ①-③에 기재로부터 분명한 바와같이, 집수부와 배수부를 분리시켜 집수효율 및 배수효율을 매우 양호하게 한 것으로 지반수를 효율적으로 단시간에 집배수를 할 뿐만 아니라 효율적으로 집배수를 장시간에 걸쳐 지속되게 한다.
①본 발명의 암거 집배수관에 있어서 집수요홈부가 원주방향의 요홈부로서 또는 나선상 요홈부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각 집수요홈부의 길이가 매우길며 더구나 전체가 양호한 집수 능력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암거 집배수관은 상기 종래의 구멍을 가진 파이프와는 달리 효율적인 집수를 가능하게 한다.
②또 집수요홈부는 암거 집배수관의 원주면부에 연하여 형성하므로, 만일 그 일부가 막혀있다 하여도 그 막혀진 부분에 있어 지반수는 막혀진 구멍부분 근방에 형성되는 집수간격으로부터 직선상수로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집수간격의 전체가 막혀지는데는 오랜 시일을 요하게 된다. 그 외에도 내관과 외관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직선상수로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연하여 직선상수로가 연통부로써 연통 상태로되며, 지반수는 집수요홈부 또는 연통부를 통과하여 암거 집배수관의 원주방향으로 이동하고, 또 집수요홈부로부터 직선상수로내로 유입되는 길이방향으로 흐른다. 이러한 원주방향, 길이방향의 물의 이동을 조합시키는 현상에 의하여 내관에 형성한 유입개구부의 일부가 막혀진다 하여도 그 막혀져있는 부분의 지반수는 막혀져있는 유입개구부의 하류측에 형성한 유입개구부로부터 내관내로 유입된다. 이와같은 유입개구부를 살펴보면, 그 유입개구부에는 그의 원주부분의 지반수가 유입될 뿐만 아니라 그로부터 떨어져 있는 부분에 집수되어 있는 지반수를 유입한다. 이상에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암거 집배수관은 집수의 영속성을 가진다.
③또한 본 발명의 암거 집배수관은 상기"작용의 항"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이중의 필터작용을 수행함으로써 내관(배수관)의 유입개구부에는 입자 모양의 물질을 가진 청정한 물을 유입한다. 따라서 그 내관(배수관)에서는 흙입자의 퇴적에 의하여 관내가 세밀하여져 배수성이 악화될 우려가 없으며, 또 이와같은 입자모양의 물질을 적게갖는 청정수가 내관(배수관)의 유입개구부내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그 유입개구부를 크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따라 적은 수의 유입개구부에 의하여서도 직선상수로내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을 빨리하여 내관(배수관)내로 유입할수 있다. 동시에 내관(배수관)의 외주부에는 물의 층을 형성할수 있고, 유입개구부를 내관(배수관)의 매우높은 상측 부위에 형성할수 있어 종래의 유공배수관과는 다르며, 내관(배수관)내의 수위를 높게 설정하는데, 바꾸어 말하면 내관(배수관)내의 유량을 크게할수 있다. 이상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암거 집배수관은 효율적인 배수를 영속성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 본 발명의 암거 집배수관은 내관과 외관을 연결편에 의하여 일체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암거 집배수관은 강도가 우수하다.
(다) 본 발명의 암거 집배수관은 상기와 같이 이중의 필터작용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두에 기술한 구멍을 가진 파이프를 사용하여 지반의 맹배수 공사를 시공한 것에 비하여 필터재의 소요량을 적게하며, 이에 수반하여 지반은 굴삭량도 적어지게 하고, 더구나 품질이 어느정도 떨어지는 필터재를 사용 가능하게 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암거 집배수관에서는 재료비 및 시공수를 줄이고 공기의 단축을 기할수 있다.

Claims (1)

  1. 내관(2)과 그의 외주면부(3)를 소정간격(g)를 두고 떨어져 둘러쌓는 외관(4)들로써, 이중관 구조를 가지며, 내관(2)과 외관(4)들은 그들 사이에 공간부(5)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병렬로 설치된 연결편(6)에 의하여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상수로(8)가 병렬로 형성되며, 외관(4)에는 상기 공간부(5)에 연통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독립한 원주방향의 요홈부나 나선상의 요홈부로써의 집수요홈부(9)가 형성되어 있게 되며, 인접한 직선상수로(8)는 연통부(10)로써 연통 상태로 되고, 내관(2)의 원주면부(11)에는 물을 유입하는 유입개구부(12)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 집배수관(1).
KR1019860009920A 1986-09-02 1986-11-24 암거 집배수관 KR910004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6-216106 1986-09-02
JP61216106A JPS6370729A (ja) 1986-09-12 1986-09-12 暗渠集排水管
JP216106 1986-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175A KR880004175A (ko) 1988-06-02
KR910004003B1 true KR910004003B1 (ko) 1991-06-20

Family

ID=16683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9920A KR910004003B1 (ko) 1986-09-02 1986-11-24 암거 집배수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70729A (ko)
KR (1) KR9100040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2288A1 (ja) * 2012-05-16 2013-11-2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管路内浄化装置、及び、管路内浄化装置の接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216129Y1 (ko) * 1965-11-26 1967-09-18
JPS59353U (ja) * 1982-06-26 1984-01-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シ−トベルトのスライド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175A (ko) 1988-06-02
JPS6370729A (ja) 198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1063A (ko) 집수식 투수블록
KR910004003B1 (ko) 암거 집배수관
JP2784898B2 (ja) 雨水等の浸透用側溝構造
KR20110050577A (ko) 연약지반용 8자형 수평 드레인보드
KR970003862B1 (ko) 맹배수 공법 및 암거집배수관 형성용의 배수로부재
JPS63171912A (ja) 暗渠集排水管
KR910002886B1 (ko) 암거집배수관
JPH0215691B2 (ko)
JP3140982B2 (ja) ドレン管束を用いた水処理設備
JP2807681B2 (ja) 雨水浸透構造
KR910001392B1 (ko) 암거집배수관
KR20100039086A (ko)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
KR910002885B1 (ko) 암거집배수관
JP2864080B2 (ja) 雨水浸透構造
JP2864081B2 (ja) 雨水浸透構造
JPH0219245B2 (ko)
JPH08260476A (ja) 土砂崩壊防止用擁壁
JP2022038426A (ja) 人工芝の排水構造および人工芝排水システム
JPS61274009A (ja) 盲排水工法
JPH0139772Y2 (ko)
JPS6367486A (ja) 暗渠集排水管
KR200311699Y1 (ko) 도로 옹벽 구조물의 배수처리용 수직 유공관 설치구조
KR200234899Y1 (ko) 유공관
JPH05263429A (ja) 水抜きパイプ及びそのパイプを用いた擁壁の法面施工法
JP2022122541A (ja) 地中排水具及び地中排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