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9086A -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 - Google Patents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9086A
KR20100039086A KR1020080098305A KR20080098305A KR20100039086A KR 20100039086 A KR20100039086 A KR 20100039086A KR 1020080098305 A KR1020080098305 A KR 1020080098305A KR 20080098305 A KR20080098305 A KR 20080098305A KR 20100039086 A KR20100039086 A KR 20100039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permeable
permeable member
storm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3130B1 (ko
Inventor
고혜미
고아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수본사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박정수
(주) 천수패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수본사,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박정수, (주) 천수패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수본사
Priority to KR1020080098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130B1/ko
Publication of KR20100039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중호우시의 초기에 우수배출구를 통해 우수를 배출하는 한편 투수부재를 통해서 주변 토양으로 신속히 배출되게 하는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우수받이가 설치된 주변 토양으로 우수가 원활하게 스며들 수 있도록 우수받이 몸체(1)의 배출구(13) 양 측면과 반대 측면에 형성된 투수 개구(14)와; 이 투수 개구(14)에 결합되며, 양측에 투수공(6)이 형성되고 내측에 모래, 자갈 등의 여과재(18)를 수용하도록 여과재 수용부(17)가 형성된 투수 부재(15)로 구성하여 우수받이로 수집된 우수를 우수관로 또는 하수관로로 신속히 배출되게 하는 한편 투수부재(15)를 통해서 우수받이 주변 토양으로 신속히 배출되게 함으로써 우수가 주변 토양의 지하로 스며들어서 주변 토양의 지하수 부족 방지 및 토양 생태계의 불균형 방지 효과를 가짐은 물론 우수받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우수받이, 우수, 토양, 투수, 여과, 생태

Description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STREET INLET WITH A SEPARABLE PERMEABLE MEMBER}
본 발명은 우수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추어 집중호우시의 초기에 우수배출구를 통해 우수를 배출하는 한편 투수부재를 통해서 주변 토양으로 신속히 배출되게 함으로써 우수받이로 수집된 우수를 우수관로 또는 하수관로로 배출되는 한편 주변 토양으로 그리고 지하로 스며들게 하여 우수받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유출양 저감 및 홍수량 조절과 지하용수 확보와 주변 토양의 지하수 부족 방지 및 토양 생태계의 불균형 방지 효과를 갖는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수받이는 바닥이 밀폐되고 상방이 개구된 사각형 또는 원통형 몸체의 하부 일측에 우수가 배출되도록 우수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우수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우수는 흄관과 같은 연결관이 설치되고, 이 연결관은 우수가 하천 등으로 배출되도록 우수관로로 연결되거나 하수와 합류되어 배출되도록 하수관로와 연결된다.
그러나 집중 호우(또는 집중폭우)의 초기발생시에 의해 우수받이로 유입되는 우수량이 갑자기 증가하는 경우 우수연결관을 통해서 우수관로 또는 하수관로로 우수가 원활히 배출되지 않고 우수받이 유입구 외부로 역류되는 경우도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도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으로 포장되어 있고, 우수가 우수받이 및 우수관로 등을 통해 하천으로 배출될 뿐 도시 지하로 우수가 원활하게 침투되지 않아서 생태계의 불균형을 초래할 정도로 지하수 량이 부족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빗물(雨水)이 땅속으로 스며드는 비율은 1962년 40%에서 최근 23%로 크게 떨어졌다고 한다. 그래서 지하수가 고갈되고, 건천(乾川)이 증가하며, 지반 침하로 인한 건물붕괴 등 각종 위험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생태계의 불균형을 완화시키기 위해 일부의 도로를 우수가 투과되는 투수콘으로 도로를 포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투수콘으로 포장된 도로도 황사 등의 미세 분진에 의해 투수콘의 공극이 메워져서 투수콘 본래의 투수기능이 효과적으로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한편,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투수성 우수 받이 및 그 제작방법"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에 제10-2005-0092244호(2005년 9월 21일 공개)로 공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 공개기술의 우수받이는 유입구(4)와 유출구(5)를 갖되 유입구(4)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 중 유출구(5)를 통해 유출되는 우수를 제외한 나머지 우수가 상기 우수받이가 설치된 토양의 지하로 스며들도록 우수받이의 둘레에 다수의 투수공(5)이 설치된 우수받이 몸체(1)와; 우수받이 몸체(1)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공극(8)을 갖는 버켓(bucket)(7)으로 구성된다.
투수받이 몸체(1)의 둘레에 형성된 투수공(5)은 우수받이 몸체(1)를 거푸집(도시되지 않음)으로 성형할 때 거푸집의 측면에 파이프를 삽입하여 형성된다.
즉, 버켓(7)의 공극(8)을 통해서 우수가 배출되는 한편 우수의 부유물과 협잡물은 버켓(7) 내에 잔존하게 함으로써 버켓(7)을 우수받이 몸체(1) 외부로 들어올려 부유물과 협잡물을 우수받이 외부로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동시에 우수받이 측면 둘레에 형성된 투수공(5)을 통해서 우수받이가 설치된 토양으로 우수가 스며들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우수받이 몸체(1)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버켓(7)에 부유물과 협잡물이 많이 수집되어 버켓(7)의 통공(8)이 막히는 경우 우수받이 몸체(1)의 배출구(5)를 통해서 우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파이프로 형성된 투수공(6)이 우수받이가 설치된 토양의 흙으로 메워져 막히기 쉬우므로 투수공(6)을 통해서 토양으로 우수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우수받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특히 집중호우의 초기에 우수받이 몸체의 배출구에 연결된 우수관로 또는 하수관로를 통해서 우수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투수 부재를 통해서 우수가 주변 토양으로 신속히 배출되어 자연적으로 스며들게 함으로써 지하수 부족으로 인한 생태계의 불균형을 방지할 수 있고 우수의 역류도 방지할 수 있는 우수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출구가 형성된 우수받이에 있어서, 우수받이가 설치된 주변의 토양으로 우수가 신속하게 배출되어 스며들 수 있도록 우수받이의 배출구 양측면 및 반대 측면에 투수 개구를 형성하고; 이 투수 개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되, 투수개구의 내, 외측 벽체에 투수공이 형성되고, 내,외측 벽체 내에 모래, 자갈 등의 여과재를 수용하도록 여과재 수용부가 형성되게 투수 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우수받이는 통상의 우수받이와 같이 우기시에 우수를 집수하여 이에 연결된 흄관을 통해서 부유물과 협잡물이 포함된 초기 우수를 하천으로 직접 배출함은 물론 우수받이 몸체의 우수 배출구 양 측면과 반대 측면에 설치된 투수부재를 통해 주변토양으로 우수가 신속하게 배출되어 스며들게 함으로써 주변 토양의 지하수 부족을 방지여 토양 생태계의 불균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우수의 역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우수받이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부에 우수가 유입되도록 개구부(12)가 형성된 사각 또는 원 형태의 우수받이 몸체(11)의 일측에 흄관(P)에 의해 우수관로 또는 하수관로와 연결되도록 배출구(13)가 형성된 우수받이(10)에 있어서,
배출구(13)의 양측 및 반대 측에 우수가 주변 토양으로 신속히 배출되어 스며들도록 투수부재(15)용 투수개구(14)가 형성되고, 이 투수개구(14)에 투수부재(15)가 분리가능하게 결합 된 것이 특징이다.
투수부재(15)는 배출구(13)를 통해 먼저 우수가 배출되게 한 후 주변 토양으로 우수가 스며들도록 우수받이 몸체(11)의 배출구(13)보다 높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우수받이(10)에 결합 된 투수부재(15)는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되되, 내부에 모래, 자갈 등과 같은 여과재가 수용되도록 여과재 수용홈(17)이 형성되고, 여과재 수용홈(17)의 내·외측에 투수공(16)이 형성된다. 투수 개구(14)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투수부재(15)는 투수 개구(14)에 접촉되는 저면 및 좌,우 양측이 밀폐되고, 상방으로 여과재(18)를 투입하도록 투입구(19)가 형성되며, 여과재를 통해 우수받이 외측으로 우수가 통과 되도록 내, 외측 벽체(15-1, 15-2)에 투수공(16)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에서 내,외측 벽체(15-1, 15-2)는 우수 받이 몸체(11)의 투수 개구(14)에 투수부재(14)가 결합됐을 때 우수 받이 몸체(11) 내측으로 위치되는 벽체를 "내측 벽체(15-1)"라 하고, 우수받이 몸체(11) 외측으로 위치되는 벽체를 "외측 벽체(15-2)"라 한다.
또한, 여기에서 투수부재(15)의 외관은 4각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와 같은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투수부재(15)의 외관은 우수받이 몸체(11)에 형성된 투수개구(14)의 형태 및 치수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수받이는 우수받이 몸체(11)의 상부 유입개구(12)를 통해 우수 받이 몸체(11) 내로 유입된 우수가 배출구(13)를 통해 흄관(18)으로 배출되어 우수관로(도시되지 않음) 또는 하수관로(도시되지 않음)로 흘러가는 한편 투수부재(15)를 통해 우수받이 몸체(11) 외부로 신속히 배출된 우수는 우수 받이 몸체(11) 주변 토양으로 자연적으로 스며든다. 즉 몸체(11)의 투수 개구(14)에 결합된 투수부재(15)의 내측 벽체(15-1)의 투수공(16)을 통과하고, 여과재 수용홈(17)에 채워진 여과재(18)를 통과한 후 외측 벽체(15-2)의 투수공(16)을 통해서 우수받이 몸체(11)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어 집중호우시에 발생되는 우수가 하천으로 배출됨은 물론 토양으로 신속히 배출되어 우수받이로 우수가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우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에 의해 우수받이로 집수된 집중호우시의 우수가 하천으로 신속히 배출되게 하는 기본적인 역할뿐만 아니라 우수받이가 설치된 주변 토양으로 우수가 신속히 배출되어 스며들게 함으로써 우수 유출량을 저감하고, 홍수량을 조절하고, 지하용수를 확보하여 지하수의 고 갈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부가적인 역할도 한다.
도 6에 분해 단면도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15a)는 우수받이 몸체(11)의 내부로부터 우수가 신속히 배출되게 하는 한편 우수받이 몸체(11)의 외부로부터 우수가 역류되지 않게 하도록 내,외측 벽체(15-1, 15-2)의 투수공(16)이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수부재(15a)의 상,하부면도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우수받이 몸체(11)의 투수 개구(14a)도 상,하부면(14a-1, 14a-2)이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투수부재(15a)는 내부에 모래, 자갈 등과 같은 여과재(18)가 수용되도록 투수 개구(14a)에 접촉되는 저면 및 좌,우 양측이 밀폐되고, 상방으로 여과재(18) 투입용 투입부(19)가 형성되며, 여과재를 통해 우수받이 외측으로 우수가 통과되도록 내, 외측 벽체(15-1, 15-2)에 경사진 투수공(16a)이 형성되되, 투수부재(15a)의 상,하부면(15a-1, 15a-2)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아래로 경사지고, 마찬가지로 투수개구(14a)도 상,하부면(14a-1, 14a-2)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아래로 경사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우수받이 몸체(11)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우수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만 외측으로부터 우수받이 내측으로는 상방으로 경사져 있어서 역류가 쉽게 되지 않는다. 그리고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져서 우수받이 몸체(11)의 경사진 투수개구(14a)에 경사진 투수부재(15a)의 삽입 조립이 간단히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 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경·변형하여 실시 가능하며, 이와 같은 변경·변형 등에 의한 것은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종래의 우수받이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우수받이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우수받이 투수개구에 투수부재가 결합된 것을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5는 우수받이에 형성된 복수의 투수개구에 투수부재가 결합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투수개구와 투수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우수받이 11: 우수받이 몸체
12: 유입 개구 13: 배출구
14: 투수 개구 15: 투수 부재
15-1: 내측 벽체 15-2: 외측 벽체
16: 투수공 17: 여과재 수용홈
18: 여과재 19: (여과재)투입구

Claims (4)

  1. 상부에 유입구가 그리고 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우수받이에 있어서,
    우수받이가 설치된 주변 토양으로 우수가 원활하게 스며들 수 있도록 우수받이 몸체(11)의 배출구(13) 양 측면과 반대 측면에 형성된 투수 개구(14)와;
    이 투수 개구(14)에 결합되고, 내, 외측 벽체(15-1, 15-2)에 투수공(16)이 형성되며, 모래, 자갈 등의 여과재(18)를 수용하도록 여과재 수용부(17)가 형성된 투수 부재(1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
  2. 상부에 유입구가 그리고 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우수받이에 있어서,
    우수받이가 설치된 주변 토양으로 우수가 원활하게 스며들 수 있도록 우수받이 몸체(11)의 배출구(13) 양 측면과 반대 측면에 형성된 경사진 투수 개구(14a)와;
    이 경사진 투수 개구(14a)에 결합되도록 저면 및 상면이 경사지고, 양측에 투수공(16a)이 형성되고 내측에 모래, 자갈 등의 여과재(18)를 수용하도록 여과재 수용부(17)가 형성된 경사진 투수 부재(15a)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
  3. 청구항 2에 있어서,
    투수개구(14a)는 우수받이 몸체(11)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하부면(14a-1, 14a-2)이 경사지고, 이에 대응하여 투수부재(15a)도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하부면(15a-1, 15a-2)이 경사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
  4. 청구항 2에 있어서,
    투수공(16a)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
KR1020080098305A 2008-10-07 2008-10-07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 KR101163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305A KR101163130B1 (ko) 2008-10-07 2008-10-07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305A KR101163130B1 (ko) 2008-10-07 2008-10-07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086A true KR20100039086A (ko) 2010-04-15
KR101163130B1 KR101163130B1 (ko) 2012-07-06

Family

ID=4221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305A KR101163130B1 (ko) 2008-10-07 2008-10-07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1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841B1 (ko) * 2005-07-27 2014-08-07 지오스트리지 코퍼레이션 물 저장 시스템
KR20180091458A (ko) * 2017-02-07 2018-08-16 주식회사 인조경 배수효율이 향상된 집수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170B1 (ko) * 2015-10-28 2017-10-27 오현배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158Y1 (ko) * 2000-11-20 2001-05-15 함명수 공동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841B1 (ko) * 2005-07-27 2014-08-07 지오스트리지 코퍼레이션 물 저장 시스템
KR20180091458A (ko) * 2017-02-07 2018-08-16 주식회사 인조경 배수효율이 향상된 집수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3130B1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192B1 (ko) 우수를 지중에 침투 저장하는 침투 관정을 이용한 워터 포켓
JP2009235884A (ja) 道路用流出抑制排水工
JP5346731B2 (ja) 雨水地中浸透施設
JP2009127359A (ja) 側溝の排水構造
KR101163130B1 (ko)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
JP4445168B2 (ja) 雨水浸透システム
JP2011074563A (ja) 雨水浸透システム
JPH10102573A (ja) 貯留槽を兼ねる浸透桝
KR20090014529A (ko) 배수관에서 배수 유도장치
EP3674493A1 (en) Gulley
JP2784898B2 (ja) 雨水等の浸透用側溝構造
KR100846029B1 (ko) 건물 홈통 연결용 빗물처리시스템
JP2006322148A (ja) 雨水の地下貯留浸透施設
KR100529500B1 (ko)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KR100983160B1 (ko) 기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
JP5033406B2 (ja) 雨水流出抑制施設
KR102370200B1 (ko) 침수 저감을 위한 빗물받이
JP2006328640A (ja) 暗渠排水構造及び雨水の浸透処理方法
KR101356964B1 (ko) 도로 집수정
KR100625746B1 (ko)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KR20180006794A (ko) 트랜치 뚜껑 및 여과포와 미세공으로 구성된 탈착형 여과카트리지가 중심부에 장착된 침투측구
JP2009074285A (ja) 雨水貯留浸透施設への雨水供給配管構造
KR200327756Y1 (ko) 도로 배수구조
KR102638787B1 (ko) 비점 오염 빗물 분리 정화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20110088263A (ko) 착탈식 투수 우수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