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925B1 - 형광표시관의 그리드재 - Google Patents

형광표시관의 그리드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925B1
KR910000925B1 KR1019870006172A KR870006172A KR910000925B1 KR 910000925 B1 KR910000925 B1 KR 910000925B1 KR 1019870006172 A KR1019870006172 A KR 1019870006172A KR 870006172 A KR870006172 A KR 870006172A KR 910000925 B1 KR910000925 B1 KR 910000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grid material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6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139A (ko
Inventor
노리오 유우끼
마사히로 쯔지
모리노리 카미오
Original Assignee
닛뽕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가사하라 유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가사하라 유끼오 filed Critical 닛뽕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1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형광표시관의 그리드재
제1도는 본 발명예와 426합금의 열팽창 곡선이다.
본 발명은 형광표시관의 그리드재에 관한 것이다.
형광표시관용의 금속재로는 대별해서 유리와 봉착되는 프레임재와 유리와는 봉착되지 않는 그리드재가 있다. 이중, 프레임재는 유리와 봉착하기 때문에, 열팽창계수가 유리봉착에 적합한 426합금(42
Figure kpo00001
Ni-6
Figure kpo00002
Cr-Fe)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비해서 그리드재는 유리와 봉착하지 않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열팽창계수가 유리봉착에 적합해야 할 필요는 없으나, 프레임재에 스폿용접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프레임재와 열팽창계수의 차가 크면, 제조시 500℃ 정도로 가열되었을때 그리드가 변형되는 문제가 생긴다. 그 때문에 그리드재로서도 426합금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상태이다.
그러나, 근년 형광표시관의 용도가 지금까지의 주류였던 전자식 탁상 계산기로부터 자동차의 계기등, 여러가지 분야로 확대되어 표시정밀도에 더욱 엄밀성이 요구되어 오고 있다. 최근의 이 그리드재에 요구되고 있는 특성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1) 열팽창계수가 적을 것
(2) 흑화막의 생성이 용이할 것
(3) 에칭성이 양호할 것
(4) 강도가 있을 것
이들 요구특성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1) 이것은 특히 최근에 와서 중요해진 특성이다. 형광표시관을 작동시키면, 그리드는 그리드전류에 의해 발열하여, 80-100℃까지 올라가는 일이 있다. 그러나, 이때 프레임은 발열하지 않기 때문에 그리드만이 팽창하고, 이 팽창계수가 크면 그리드가 휘어져서 표시정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따라서 열팽창계수가 작은 것이 요구된다.
종래의 426합금에서는 열팽창계수가 너무 커서, 현실적으로 그리드의 휘임이 일어나고 있다.
(2) 그리드가 광택을 가지고 있으면 밖으로부터의 광선을 반사해버려 형광표시를 보기 어렵게 만든다. 그래서 표면에 검은 Fe3C4를 생성시켜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수단을 취하고 있으며, 이 Fe3O4흑화막의 생성이 용이해야 할 것이 요구된다. 종래의 426합금은 비철원소를 Ni와 Cr을 합쳐서 48
Figure kpo00003
나 함유하기 때문에 Fe3O4를 충분히 생성시키기에는 시간이 너무 걸리는 난점이 있었다.
(3) 그리드재는 에칭에 의해 메시형상으로 가공되기 때문에 양호한 에칭성을 가지고 있을 것이 요망된다. 종래의 426합금은 내식성이 좋은 Ni와 Cr을 합쳐서, 48
Figure kpo00004
나 함유하기 때문에 에칭성에 난점이 있었다.
(4) 그리드는 판두께 50㎛ 정도의 박판을 에칭에 의해 메시형상으로 가공한 후, 흑화처리 등의 공정을 거쳐 프레임에 스폿용접되나, 판두께가 얇고 메시 상태이므로 취급중에 쉽게 부러지거나 구부러진다.
이와 같은 취급에 의한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강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열팽창계수가 적고, 또 비철원소의 함유량이 적은 앰버합금을 그리드재로서 사용하므로서, 휘일발생을 방지하고, 흑화막의 생성을 용이하게 하고, 에칭성을 개선한 그리드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중량
Figure kpo00005
로 Ni 32-43
Figure kpo00006
, 나머지부 Fe 및 불가피적 불산물로 이루어진 형광표시관의 그리드재 및 중량
Figure kpo00007
로 Ni 32-43
Figure kpo00008
, 또한 Mn, Si, Al, Ti, V, Zr, Mo, Nb, Co, Ta, W, Be, Mg, Cu, Ca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합계해서 0.01-2.0
Figure kpo00009
함유하고, 나머지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형광표시관의 그리드재 및 이 그리드재에 있어서 결정입도가 입도크기 번호 7.0 이상인 형광표시관의 그리드재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그리드재는 고가인 Ni 및 Cr의 함유량의 종래의 426합금보다 적기 때문에 경제적인 장점도 크다. 형광표시관은, 평판화된 유리제 진공용기내에, 전자를 방출하는 음극, 그 전자를 조절하는 그리드 및 형광체가 도포된 양극을 수용한, 일종의 3극 전자관이다. 본 발명이 관여하는 것은 이 그리드이다.
그리드는, 금속박판을 포토에칭 기술에 의해 격자형상, 귀갑형상 기타의 패턴으로 형성한 금속메시이다. 1개 또는 몇 개의 그리드가 액자형상의 프레임에 스폿용접되고 그리고 프레임이 유리와 봉착된다.
작동에 있어서, 각 전극에 규정된 전압이 인가되면 음극은 가열되어 열전자를 방사한다. 방사한 열전자는 그리드를 통과하나, 그리드에 흐르는 것과 그리드를 통과하는 것이 있다. 전자가 그리드 전류가 되고, 후자는 양극에 돌입하여, 형광체를 자극하여 발광시켜서, 소정의 문자, 기호 등을 발광표시한다.
그리드의 제조예를 기술하면, 소정의 합금을 용해주조 후, 필요하면 단조하여, 열간압연후 냉각압연과 어니일링처리를 적시에 반복하고, 최종적으로 냉간압연해서 그리드재로 완성한다. 그리드재는, 탈지, 내산성도포, 노광, 현상, 에칭, 내산성 박리 및 절단의 각 단계를 포함하는 에칭공정에 의해 메시형상으로 가공된다.
그후, 흑화처리에 의해 표면에 흑화막 즉 흑색산화막이 형성되어, 그리드가 된다.
이러한 그리드가 1개 또는 복수개 프레임에 스폿용접되고, 그리고 프레임이 유리와 봉착된다.
다음에 성분범위의 한정 이유를 기술한다. Ni 32
Figure kpo00010
미만에서는 열팽창계수가 너무 커지고, 또, 43
Figure kpo00011
를 초과하면 열팽창계수가 너무 커지는 동시에, 흑화막생성이 어려워져서, 에칭성도 나빠지기 때문에 32-43
Figure kpo00012
로 하였다. Mn, Si, Al, Ti, V, Zr, Mo, Nb, Co, Ta, W, Be, Mg, Cu, Ca:이들 원소를 1종 또는 2종 이상 첨가하면 합금의 강도가 증대하고, 취급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 효과는 0.01
Figure kpo00013
미만에서는 얻을 수 없고, 2.0
Figure kpo00014
를 초과하면 열팽창계수가 너무 커져서, 흑화막의 생성이 어려워지고, 에칭성도 나빠지기 때문에 첨가량은 합계해서 0.01-2.0
Figure kpo00015
로 하였다.
또, C, S, O 및 N의 각 불순물을 소정수준 이하로 억제하면, 한층 고품질의 그리드를 얻을 수 있는 것도 판명되었다. 중량
Figure kpo00016
로 C:0.1
Figure kpo00017
이하, S:0.005
Figure kpo00018
이하, O:0.010
Figure kpo00019
이하, N:0.005
Figure kpo0002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가 0.10
Figure kpo00021
를 초과하면 철탄화물의 생성이 현저하고, 또 V 등의 탄화물생성이 용이한 첨가원소와 결합해서 개재물이 되버리기 때문에 에칭성을 해치고, 그리드재로서도 적당하지 않다. 또, 열팽창계수도 높아져서, 부성분 첨가의 효과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C는 0.1
Figure kpo00022
이하로 하였다.
S가 0.005
Figure kpo00023
를 초과하면 합금내에 황화물계 개재물의 생성이 현저하고, 에칭천공시의 천공얼룩 등의 결함을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S는 0.005
Figure kpo00024
이하로 하였다.
O가 0.01
Figure kpo00025
를 초과하면 합금내의 산화물계 개재물의 생성이 현저하고, 에칭천공시의 결함발생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O는 0.010
Figure kpo00026
이하로 하였다.
N이 0.005
Figure kpo00027
를 초과하면, 부성분과 반응하여 질화물계 개재물의 생성이 현저하고, 에칭천공시의 결함발생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N은 0.005
Figure kpo00028
이하로 하였다.
또한, 결정입도가 입도번호 7.0 미만이면 강도가 부족하여 취급상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결정입도는 입도번호 7.0 이상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시재(供試材)는 진공용해 후, 주조, 단조, 열간압연을 행하고, 다시 냉각압연과 어니일링처리를 반복해서 판두께 0.05t의 냉연재로 만든 것이다. 공시재의 성분을 제1표에 표시한다. 열팽창계수는 950℃×10min, 수소중에서 어니일링처리 후 측정하였다. 열팽창계수도 제1표에 표시한다. 또, 상기 냉연판을 에칭가공에 의해 그리드로 가공하고, 실제로 형광표시관으로 조립하여 동작시의 그리드의 휘임유무를 조사하였다. 이 결과도 제1표에 표시한다.
제1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는 열팽창계수가 작기 때문에 동작시의 그리드 휘임은 일어나지 않는다. 이 모양을 열팽창곡선으로 설명하면 제1도와 같이 된다. 이 제1도의 A의 영역에 있어서, 본 발명에는 426합금보다 현저하게 열팽창계수가 작다. 또 같은 도면의 B의 영역에 있어서 본 발명에의 열팽창계수는 426합금의 열팽창계수와 근사하므로 열팽창에 의한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범위에서 원소를 첨가하는 일 및 결정입도를 입도번호 7.0 이상으로 하므로서 취급상이 불량발생이 억제되고 있다. 또, 본 발명에는 종래의 426합금에 비교해서 흑화막의 생성이 용이하였다.
이에 비해서, 비교예는 열팽창계수가 크기 때문에 동작시에 그리드의 휘임이 일어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그리드재는 종래재에 비교해서 열팽창계수가 작기 때문에 휘임이 없고 표시정밀도가 현저하게 향상한다. 또한 흑화막의 생성이 용이하고 에칭성도 뛰어나고, 강도도 높은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제1표]
Figure kpo00029

Claims (1)

  1. 중량
    Figure kpo00030
    로 Ni 32-43
    Figure kpo00031
    , 또한 Mn, Si, Al, Ti, Zr, Mo, Nb, Co, Ta, W, Be, Mg, Cu, Ca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합계 0.01∼2.0
    Figure kpo00032
    를 함유하고, 나머지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결정입도가 입도번호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표시관의 그리드재.
KR1019870006172A 1986-08-25 1987-06-18 형광표시관의 그리드재 KR910000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97308 1986-08-25
JP61197308A JPS6353840A (ja) 1986-08-25 1986-08-25 蛍光表示管のグリッド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139A KR890001139A (ko) 1989-03-18
KR910000925B1 true KR910000925B1 (ko) 1991-02-18

Family

ID=16372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6172A KR910000925B1 (ko) 1986-08-25 1987-06-18 형광표시관의 그리드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53840A (ko)
KR (1) KR9100009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9546A (ja) * 1987-05-09 1988-11-16 Futaba Corp 蛍光表示管
JPH01185570A (ja) * 1988-01-19 1989-07-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体現像装置及びカラー静電記録装置
JP2545351Y2 (ja) * 1993-04-26 1997-08-25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蛍光表示管
JP2768257B2 (ja) * 1994-01-28 1998-06-25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蛍光表示管及び制御電極用金属材料
KR100571805B1 (ko) * 2003-01-29 2006-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방출소자와 이를 적용한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53840A (ja) 1988-03-08
KR890001139A (ko) 1989-03-18
JPH0481299B2 (ko) 199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31423A (ja) 鉄/ニッケル合金のシャドーマスクの製造方法
KR910000925B1 (ko) 형광표시관의 그리드재
KR100486326B1 (ko) 프레스 성형형 플랫 마스크용 Fe-Ni계 또는 Fe-Ni-Co계 합금 박대
KR910000926B1 (ko) 형광표시관의 그리드재
EP0176344A1 (en) Colour picture tube
JPH0463500B2 (ko)
JP3557395B2 (ja) プレス成形型フラットマスク用Fe−Ni系合金材の製造方法
JPS61223188A (ja) エツチング時のスジむらの発生を抑制したシヤドウマスク用鉄−ニツケル系合金
JPWO2001059169A1 (ja) プレス成形型完全フラットマスク用Fe−Ni−Co系合金並びにそれを用いる完全フラットマスクおよびカラーブラウン管
JP3101199B2 (ja) 打ち抜き性に優れた高強度低熱膨張性Fe−Ni系合金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36561B2 (ja) 蛍光表示管およびその金属材料
JP5451688B2 (ja) 冷陰極蛍光管電極用合金、冷陰極蛍光管用電極及び冷陰極蛍光管
KR100244231B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JP2003129185A (ja) 耐食性に優れるシャドウマスク素材用Fe−Ni系合金およびシャドウマスク材料
JPS6142838A (ja) カラ−受像管
JPH0418654B2 (ko)
JPH0121861B2 (ko)
JPH0789472B2 (ja) カラ−受像管及びその部品用素材及びその製造法
KR820001403B1 (ko) 직열형 산화물 음극용 기체금속판재(基體金屬板材)
JP2004285370A (ja) 電界放出型ディスプレイ用部材
JP2004156087A (ja) カラー受像管用マスク材料、カラー受像管用マスクおよびカラー受像管
JPH1150200A (ja) エッチング性に優れた電子部品用低熱膨張合金薄板
JP2004052083A (ja) フィールドエミッションディスプレイの集束電極用Fe−Ni系合金又はFe−Ni−Co系合金
JP2002088448A (ja) ブラウン管用展張型シャドウマスク
JPH06124658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リブ素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