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630B1 - 인라인형 칼라 수상관의 화상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인라인형 칼라 수상관의 화상 보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0630B1 KR910000630B1 KR1019840007808A KR840007808A KR910000630B1 KR 910000630 B1 KR910000630 B1 KR 910000630B1 KR 1019840007808 A KR1019840007808 A KR 1019840007808A KR 840007808 A KR840007808 A KR 840007808A KR 910000630 B1 KR910000630 B1 KR 9100006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l
- magnetic field
- deflection
- vertical deflection
- coil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3702 image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41000226585 Antennaria plantaginifol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894 electron beam technolog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01100212791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ATCC 204508 / S288c) YBL068W-A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5 be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41 reaction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 내지 제4도는 각각 다른 미스컨버전스 패턴 도시도.
제5도 및 제6도는 각각 종래의 화상 보정 장치인 편향 요크의 각 예를 나타내는 결선도.
제7도는 제5도에 적용되는 리액터의 구성도.
제8도는 제6도의 편향 요크 도시도.
제9도는 제8도중 Ⅸ-Ⅸ선을 포함하는 수평면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10도는 제8도 및 제9도의 리액터의 결선도.
제11도는 종래의 미스컨버전스의 보정 방법에 대한 설명도.
제12도는 본 발명 화상 보정 장치의 일 실시예의 회로도.
제13도는 본 발명 장치인 편향 요크의 사시도.
제14도는 제13도중 ⅩⅣ-ⅩⅣ선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15도는 제13도중 가포화 리액터를 취출하여 나타낸 도면.
제16도는 제15도의 리액터내에 조합해 들어 있는 피제어 코일과 영구자석을 대응시켜서 나타낸 사시도.
제17도는 제15도의 가포화 리액터로부터 보조 제어 코일을 분리 대응시켜서 나타낸 사시도.
제18도는 인덕턴스 변화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
제19도 및 제20도는 각각 쌍곡선 함수에 근사한 인덕턴스 변화 곡선도.
제21a도 내지 21d도 및 제22a도 내지 22d도는 각각 컨버전스 보정량을 나타내는 그래프.
제23도는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24도는 제23도중 ⅩⅩⅣ-ⅩⅩⅣ선을 포함하는 수평면으로 절단한 단면도.
제25도는 본 발명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26도는 제25도중 ⅩⅩⅥ-ⅩⅩⅥ선을 포함하는 수평면으로 절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40, 50 : 편향 요크 22, 22' : 코어
261, 262, 261a, 262a, 261b, 262b: 가포화 리액터
2711, 2712: 드럼형 코어 2811, 2812, 2821, 2822: 피제어 코일
291, 292: 영구자석 301, 302: 케이스
311, 312: 보조 제어 코일 3811, 3812, 3821, 3822: 코일체
41 : 바퀴 51, 52 : 날개 부재
LH1, LH2: 수평 편향 코일 LV: 수직 편향 코일
SR1, SR2, SR1a, SR2a, SR1b, SR2b: 가포화 리액터
본 발명은 인라인형 칼라 수상관의 화상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 텔레비전 수상기에 사용하는 칼라 수상관에 있어서는, 3개의 전자총으로부터 개개의 출사된 전자빔이 형광면에 집속할 뿐만 아니라, 집중(컨버전스)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종래의 3전자총 인라인형 칼라 수상관에 있어서는, 3전자빔의 형광면상에서의 양호한 집중을 얻기 위하여, 편향 요크의 수평 편향 자계를 강한 핀 쿠션(실 감기형), 수직 편향 자계를 강한 배럴형(맥주통형)으로 하여, 양호한 컨버전스를 얻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칼라 수상관의 편향각이 90。 정도 크게 되면, 편향 자계를 양호한 컨버전스로 되게끔하면, 상하의 라스터에 핀 쿠션형 비뚤어짐이나 배럴형 비뚤어짐이 발생하여 실용에 제공할 수 없게 되고, 또 역으로 상하의 라스터의 비뚤어짐을 최적으로 하면, 제1도에 도시하는 정 크로스의 미스 컨버전스 또는 제2도에 도시하는 역 크로스의 미스 컨버전스가 발생하여 똑같이 실용에 제공할 수 없게 되고, 컨버전스 특성과 상하의 라스터 비뚤어짐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든가 혹은 매우 기술적 곤란을 수반하는 것이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장치로서, 먼저 특허출원 소 56-91275호 「인라인형 칼라 수상관의 화상 보정 장치」 및 특허출원 소 56-111650호 「칼라 수상관 편향 장치」를 제안했다. 이 장치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편향 요크를 구성하는 한쌍의 안장형 수평 편향 코일(LH1, LH2) 및 트로이딜 권수직 편향 코일(LV) 중, 각 수평 편향 코일(LH1, LH2)에 수직 편향 주기로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리액터(SR1a, SR2a또는 SR1b, SR2b)를 접속하여, 수평 편향 코일의 회로 임피던스를 차동적으로 변화시켜서, 수평 편향 자계 분포의 양상을 시간과 함께 변화시킴으로써, 컨버전스 특성을 보정한 양호한 화상을 얻어지도록 한 장치이다.
제5도의 장치중 리액터(SR1a, SR2a)는 제7도에 도시하는 구성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1, 2는 페라이트 자성체로 이루어진 드럼형 코어이고, 3은 각 코어에 직류 바이어스 자계를 가하는 영구자석이다. 각 드럼형 코어에는 수평 편향 코일에 접속되는 코일(RCH1, RCH2)과, 수직 편향 코일에 접속되는 코일(RCV1, RCV2)이 감겨져 있다. 코일(RCH1과 RCH2)는 서로 역방향으로 감기고, 코일(RCV1와 RCV2)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감기도록 접속되고 있다.
코일(RCH1, RCH2, RCV1, RCV2)는 각각의 수평 편향 코일(LH1, LH2) 및 수직 편향 코일(LV)에는, 제5도에 도시된 극성으로 접속되고 있다.
제6도의 편향 장치는 구체적으로는 제8도, 제9도에 도시한 구조의 편향 장치(19)이고, 수직 편향 코일과 드럼형 코어에 권선된 코일을 조합하여 이루어진 리액터(SR1b, SR2b)가 붙어 있다. 이 장치(19)에 대하여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수직 편향 코일(LV)가 권선되어 있는 코어(4, 4')는 수평 편향 코일(LH1, LH2)이 들어 있는 합성수지제의 세퍼레이터(6)상으로부터 조립되고, 분활면으로 맞대게 하고, 클램프(7)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코일 조립체(181)는 단자판(14)에 설치한 케이스(15)내에 조립되어 있다. 단자판(14)는 세퍼레이터(6)의 수평 편향 코일의 후부 밴드업부를 수납하는 원통형 턱부(8)에 고정하고 있고, 코일 조립체(181)는 코어(4, 4')의 한쪽의 맞댐부(5)에 가까운 코어면에 배치된다. 이 코일 조립체(181)는, 코어 외에 방출되는 수직 편향자계(HV')를 작용케 하고, 가포하 리액터(SR1b)를 구성한다. 이 코일 조립체(181)와 쌍을 이루는 다른 코일조립체(182)는 다른쪽의 맞댐부(5)에 가까운 코어면에 배치하고 있고, 코어 외에 방출되는 수직 편향 자계(HV")를 작용케하여 가포화 리액터(SR2b)를 구성한다.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하는 바같이, 드럼형 코어(911, 1012)에 마그네트 와이어를 감아서 이루어진 코일(1111, 1112)을 설치한 코일체(911, 912)와 각각에 공통의 직류 자기 바이어스용 영구자석(131)이 동 도면에 도시된 배치 관계로, 케이스(15)내에 조립되어 있다. 다른 코일 조립체(182)도, 상기의 코일 조립체(181)와 동일한 구성이고, 코일(1121, 1122)를 가지는 드럼형 코어(1021, 1022)와 직류 자기 바이어스용 영구자석(132)으로 이루어지고, 케이스(15)내에 조립되어 있다.
제10도에 도시한 바같이, 상기 코일(1111, 1112)는 수직 편향 자계(HV')에 대하여 각각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되게끔 접속되고, 코일(1121, 1122)는 수직 편향 자계(HV")에 대하여 각각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되도록 접속되고, 제6도에 아울러 도시한 것과 같이 대응하는 수평 편향 코일(LH1, LH2)에 접속되어 있다. 또 영구자석(131, 132)은 각각 직경 방향 凹홈을 가지고, 강제적으로 회전 조작하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회전함에 의하여 자기 바이어스양이 가변 조정된다.
그런데, 상기의 장치에 있어서도, 제3도에 도시하는 바같은 화면의 중간부에서 정 크로스, 최주 변부에서 역 크로스로 되는 미스컨버전스 패턴, 혹은, 특히 90°편향 12형 이하의 소형 수상관에 있어서 제1도에 도시하는 바같은 미스컨버전스의 양이 크기 때문에 생기는 제4도에 도시된 역 S자형 미스컨버전스 패턴이 생겨버린다. 이 종류의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는 것은 종래 기술로서는 매우 곤란하다. 그 이유를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하는 미스컨버전스 패턴을 보정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본 출원인이 먼저 출원한 특허출원 소 56-91275호 「인라인형 칼라 수상관의 화상 보정 장치」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이 있다. 이 보정 방법의 포인트는, 제11도에 도시된 자계와 인덕턴스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에 있어서, 직류 자기 바이어스 양을 A보다 B가 작게 하여, 코일체(911내지 922)에 작용하는 제어 자계의 동작 범위를 C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 범위 C를 얻기 위해서는, 직류 자기 바이어스양을 작게 할 뿐만 아니라, 드럼형 코어(1011내지 1022)의 내부 직경을 상당히 가늘게 하지 않으면 아니되고, 이 결과, 드럼형 코어 제조 공정에서 진척이 저하하기도 하고, 권선시의 드럼형 코어의 부러짐이 많이 발생하고, 양산에 문제가 있다.
또, 제4도에 도시된 S자형 미스컨버전스는, 가포화 리액터(SR1b, SR2b)의 인덕턴스의 변화를 크게 해야 할 코일(1111내지 1122)의 권회수를 증가함으로써 일어나는 현상이고, 코일(1111내지 1122)에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와 코일(1111내지 1122)의 권수와의 암페어턴의 증가가 원인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현상황에서는, 상기의 S자형 미스컨버전스, 제3도에 도시된 미스컨버전스를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기 때문에, 컨버전스의 빗나감을 화면 전체에 퍼뜨리고, 어느점에 있어서도 빗나감이 평균적으로 나타나는 것과 같은 타협점을 구하여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돗트 피치가 0.21 내지 0.31mm의 초 고정밀 미세용 또는 고정밀 미세용 수상관에 있어서는, 미스컨버전스의 빗나감을 0.2mm 이하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그러나, 미스컨버전스의 빗나감을 이정도로까지 작게 하는 조정에는 숙련 작업자를 필요로 함과 동시에, 매우 긴 시간이 걸리고, 더욱이 만족할 수 있는 품위의 것을 얻을 수 없다. 즉, 현재 시장이 요구하고 있는 것과 같은 미스컨버전스 레벨의 것을 대량으로 염가로 공급할 수가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한쌍의 수평 편향 코일과 한쌍의 수직 편향 코일로 구성되는 인라인형 칼라 수상관의 편향 요크의 한쌍의 수평 편향 코일의 각각에, 톱니형파인 수직 편향 전류에 의하여 인덕턴스가 변화하는 가포화 리액터를 직열로 접속하여 컨버전스의 빗나감을 보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직 편향 코일에 접속된 제어용 코일을 새로 부가하든가, 편향 요크의 코어 밖으로 방출되는 누설 자속을 효율적으로 거두어 들이기 위한 요크를 설치하는 등으로 하여, 제어 자계를 종래보다 강하게 하여 가포화 리액터의 인덕턴스 변화가 수직 편향의 처음과 끝, 즉 화면의 상변, 하변부에서 적게 되든가, 또는 역 기울기로 변화하는 범위까지 미치고, 화면상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미스컨버전스의 보정량을 최적으로 함으로써, 미스컨버전스의 빗나감을 더욱 작게 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한 인라인형 칼라 수상관의 화상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편향 요크를 구성하고 있는 한쌍의 수평 편향 코일과 한쌍의 수직 편향 코일에 있어서의 상기 한쌍의 수평 편향 코일에 의한 수평 편향 자계를 핀 쿠션형으로 하고, 또 상기 한쌍의 수직 편향 코일에 의한 수직 편향 자계를 배럴형으로 하고, 인라인 배치의 3개의 전자총으로부터의 3개의 전자빔의 이동 집중이 상기 수평 수직 편향 자계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행하여지는 것과 같은 셀프 컨버전스 방식 칼라 수상관에 적용되고 있고, 상기 편향 요크의 상기 한쌍의 수평 편향 코일에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를 수직 편향 주기와 수평 편향 전류로 차동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수평 편향 자계의 분포의 양상을 시간과 함께 변화시켜서 횡선의 컨버전스의 빗나감을 보정하는 가포화 리액터를 사용한 화상 보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수평 편향 코일의 각각에 접속된 상기 가포화 리액터의 피제어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율인 미계수중, 수직 편향이 미소한 화면 중앙부 부근의 미계수(θm)와 수직 편향이 최대인 화면 상하 변부의 미계수(θe)와의 비(θe/θm)가 0.5 이하로 되는 수단을 설치하여 이루고, 횡선의 컨버전스 보정양의 증가율이 수직 편향이 가해지는 만큼 감소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하여 제12도 이하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화상 보정 장치를 칼라 수상관의 편향 요크의 일부에 맞붙혀서 이루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12도는 화상 보정 장치의 회로도이고, 제13도, 제14도는 각각 그 기계적 구조를 가리킨다. 각 도면중, LH1, LH2는 쌍의 안장형 수평 편향 코일, LV는 토로이달 권수직 편향 코일이고, 편향 코일(21)를 구성한다.
수직 편향 코일(LV)이 권선되어 있는 한쌍의 코어(22, 22')는 맞붙혀지고, 수평 편향 코일(LH1, LH2)가 조립된 플라스틱 등의 절연 재료제의 세퍼레이터(24) 상으로부터 조립시킨 형태로, 클램퍼(25)에 의하여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한쌍의 가포화 리액터(261, 262)(SR1, SR2)가 맞댐부(23, 23')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제15도는 하나의 가포화 리액터(261)를 취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 가포화 리액터(261)는, 제16도에 도시하는 드럼형 코어(2711, 2712)에 마그네트 와이어를 감아서 이루는 피제어 코일(2811, 2812)을 가지는 코일체(3811, 3812)와, 하나의 직류 자기 바이어스용 영구자석(291)이, 동 도면에 가리키는 배치 관계에서, 합성 수지제의 케이스(301)내에 조립되고, 또한 제17도에 도시하는 바같이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보조 제어 코일(311)이 케이스(301)의 바깥 둘레에 끼워져 고정된 구성이다. 가포화 리액터(261)는, 케이스(311)와 일체의 단자판(32)를 세퍼레이터(24)의 원통형 턱부(33)에 고정되어서 설치되어 있다.
보조 제어 코일(311)은, 절연 피막의 표면에 가일 용융층을 가지는 전원을 제17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장원형상으로 소정 회수 다층 소레노이드형으로 감아서 고정시켜 이루는 구조이고, 케이스(30)의 주위에 끼워진 상태에서 접착제(39)에 의하여 케이스(30)에 고정하고 있다. 보조 제어 코일(311)의 양단의 리드선(34)는,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판(32)의 단자(35a, 35b)에 접속되고 있고, 피제어 코일(2811, 2812)의 양단의 리드선(36)은 단자(37a, 37b)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가포화 리액터(262)는, 상기의 가포화 리액터(261)와 동일한 구성이고, 드럼형 코어(2721, 2722)에 형성된 피제어 코일(2821, 2822)을 가진 코일체(3821, 3822)와 직류 자기 바이어스용 영구자석(292)과, 보조 제어 코일(312)로 이루어진다.
또, 피제어 코일(2811과 2812) 및 (2821, 2822)는 공히 감는 방향이 서로 역방향으로 되도록 접속하고 있다.
또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제어 코일(311(ⓒ∼ⓒ'), 312(ⓓ∼ⓓ'))는 병렬로 접속되고 있고, 이 병렬 접속 회로가 수직 편향 코일(LV)과 직열로 접속하고 있다. 또 이 보조 제어 코일(311, 312)의 감는 방향은 코어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자계(HV', HV")와 동극성의 보조 자계(HC)가 발생하도록 정해져 있다. 피제어 코일(2811, 2812)는 하나의 수평 편향 코일(LH1)과, 피제어 코일(2821, 2822)는 다른 수평 편향 코일(LH2)과 각각 직렬로 접속하고 있다.
또 영구자석(291, 292)은 직경 방향폭 凹홈을 가진 원판이고, 외부로부터 수동 조작에 의하여 회전시키도록 설치되어 있고, 회전시킴으로써 직류 바이어스 자계가 가변 조정된다.
상기 구성의 가포화 리액터(261)에는,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밖에 수직 편향 주기로 방출되는 자계(HV') 및 영구자석(291)에 의한 직류 바이어스 자계(HDC)에 가하여, 보조 제어 코일(311)에 이르는 수직 편향 전류에 의한 보조 제어 자계(HC)가 작용하고, HV'+HC의 제어 자계의 변화에 따라서 피제어 코일(2811, 2812)의 양단간, 즉 단자 ⓐ∼ⓐ'(37a, 37b)간의 인덕턴스가 변화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가포화 리액터(261)는, 코어외로 방출되는 자계(HV")+보조 제어 코일(312)에 의하여 보조 제어 자계(HC)의 제어 자계에 의하여, 피제어 코일(2821, 2822)의 양단간, 즉 단자 ⓑ∼ⓑ' 간의 인덕턴스가 변화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 장치는, 수평 편향 코일(LH1과 LH2)의 회로 임피던스를 수직 편향 주기로 변화하는 제어 자계(HV'+HC와 HV"+HC) 및 피제어 코일(2811내지 2822)에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계(Hh)에 의하여 변화하도록 하여, 컨버전스의 어긋남을 보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의 편향 요크(21)의 가포화 리액터(SR1, SR2)는, 기본적으로는, 종래의 편향 장치에 사용된 가포화 리액터(SR1b, SR2b)에 보조 제어 코일(311, 312)이 부가된 것이기 때문에, 이후의 동작 설명은, 종래 장치에 사용된 가포화 리액터(SR1b, SR2b)에 보조 제어 코일(311, 312)을 부가한 것으로서 행한다.
일반적으로 페라이트 코어에 권선된 코어의 인덕턴스 포화 특성은 제18도에 도시한 곡선(Ⅰ)과 같은 변화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코일(2811, 2812) 및 코일(2821, 2822)의 인덕턴스(L11, L12, L21, L22) 및 가포화 리액터(SR1, SR2)의 인덕턴스(LSR1, LSR2)의 값은, 쌍곡선 함수에 근사하고, 정규화하면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또는
이고, (7), (8)식에 있어서,
HDC: 직류 바이어스 자계
HCV: 수직 편향 주기의 제어 자계(HC+HV'또는 HC+HV")
Hh : 피제어 코일에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에 의한 자계
이다.
이 식이 나타내는 곡선을 가리키는 제19도, 제20도에 도시한 바같이 된다. 그리고, 제19도, 제20도의 자계(HV', HV")는 화면의 상방에 편향시킨 경우의 극성이고, 자계(Hh)가 도면중 실선의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은, 화면의 우측에 편향되는 것을 의미하고, 파선의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은, 화면의 좌측으로 편향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으로부터 알다싶이 가포화 리액터(SR1, SR2)의 인덕턴스, 수평 방향 전류의 변화에 따라서 차동적으로 변화한다. 이것에 대하여는 특허출원 소 57-221598호 「인라인형 칼라 수상관의 화상 보정 장치」에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또, 컨버전스 보정량은 가포화 리액터(SR1, SR2)의 인덕턴스와 수평 편향 거리에 대략 비례하기(제1도 내지 제3도 참조) 때문에 화면 중심을 좌표 원점으로하여 횡방향을 x축, 종방향을 y축으로 한 경우의 임의 좌표에 있어서의 컨버전스의 보정량(x, y)은 다음식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Ihp : 최대 수평 편향 전류(화면의 끝까지 편향한 경우)
Ihx : x좌표까지 편향하기 위한 수평 편향 전류
LSR1(x, y) : x, y좌표점에 편향하기 위한, 수평 편향 전류에 의한 자계(Hh)와 수직 편향 전류에 의한 제어 자계(HCV)에 의한 가포화 리액터(SR1)의 인덕턴스 값.
LSR2(x, y) : x, y좌표점에 편향하기 위한, 수평 편향 전류에 의한 자계(Hh)와 수직 편향 전류에 의한 제어 자계(HCV)에 의한 가포화 리액터(SR2)의 인덕턴스 값.
이다. 이들 식을 사용하여, 계산에 필요한 피제어 코일의 암페어턴의 대용치로서 Hhmax=0.55를 대입하여 수평 및 수직 편향이 최대의 경우(화면의 네모퉁이)의 보정량을 계산하여 작도하면, 제21a도 내지 21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각 도면으로부터, 제어 자계(HCV)가 커질수록, 즉 수직 편향이 가해질수록, 컨버전스 보정량의 증가율이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면중 수평 진폭(SH)은 자계(Hh)에 비례한다. 이것으로부터,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나감의 크기가 수직 방향상 화면의 중앙 부근에서 크게 상하에 가까이 할수록, 즉 수직 편향이 가해질수록, 작게 되는 패턴의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보정이 가능한 것은 인덕턴스(L11내지 L22, LSR1, LSR12)가 상기 (1) 내지 (9)식으로부터 알다시피 자계(Hh)의 함수이기 때문에 이지만, 기본적으로는, 수직 편향 처음과 끝, 즉 도면의 상변, 하변부와, 수직 편향이 미소하게 편향, 즉 화면의 중앙부 부근의 인덕턴스 변화 곡선의 미계수에 차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화면 상변부 및 하변부에 상당하는 인덕턴스 변화의 미계수를 θe, 화면 중앙 부근의 미계수를 θm으로 하면(제19도, 제20도 참조) 제어 자계(HCV)를 바꾸면, θe/θm가 변화한다. 제어 자계(HCV)를 여러 가지 변화시켜서 미스컨버전스의 보정 상황을 조사한 바, θe/θm가 0.5 이하로 되면 그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제4도의 S자형 미스컨버전스의 화면의 각 부분에 있어서의 보정량을, 상기 (1) 내지 (9)식을 사용하여 계산 작도하면, 제22a도 내지 제22d도에 도시한 바같이 된다. 상기 도면으로부터, 제어 자계(Hcvmax)가 클수록, 수평 진폭(SH)이 증가함에 따라서 보정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제4도에 도시된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할 수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보정은 기본적으로는 Hh/HCV의 함수로 되어 있고 Hh/HCV를 작게 하면 보정 효과가 나오지만 한편 제3도에 도시된 패턴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Hh의 값을 크게 바꿀 수가 없기 때문에 Hh/HCV를 작게 하는 데는 HCV를 크게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Hh/HCV와 θe/θm를 공히 작게 하면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미스컨버전스가 조합된 상태의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케 된다.
제23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화상 보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각 도면중,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된 구성 부분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혀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편향 요크(40)는, 상기 보조 제어 코일(31)없이, 편향 요크(40)를 둘러싸는 대략 원형의 자성체의 바퀴(41)를 케이스(301, 302)에 접하여 접착제(42)에 의하여 고정하여 이루는 구성이다. 이 구성의 편향 요크(40)에 의하면, 가포화 리액터(261b, 262b)를 포함하는 자기 회로의 자기 저항이 줄고, 바퀴(41)가 코어(41)외로 방출되는 수직 편향 주기의 제어 자계(HV', HV")를 많이 잡아들인다. 이것에 의하면, 가포화 리액터(SR1b, SR2b)의 드럼형 코어(2711, 2712)내에 통과하는 자계(HV', HV")가 증가하고, 상기의 편향 요크(4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5도, 제26도는 본 발명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각 도면중, 제21도, 제22도에 도시된 구성 부분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혀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편향 요크(50)는, 상기의 바퀴(41) 대신에 대략 U자형의 자성체의 날개 부재(51, 52)를 케이스(301, 302)에 접착 고정하여 이루는 구성이다. 날개 부재(51, 52)는, 상기의 바퀴(41)와 동일한 작용을 하고, 가포화 리액터(261b, 262b)(SR1b, SR2b)의 드럼형 코어(2711, 2712)내를 통과하는 자계(HV', HV")가 증가한다. 이 편향 요크(50)도 상기의 편향 요크(40)와 동일하게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의 자성체인 바퀴(41) 및 날개 부재(51, 52)는, 상기의 제어 자계를 증대시키는 작용에 더하여 편향 요크로부터 이 주변부에 새고 있는 자속을 약하게 함과 동시에, 수상관 주변의 금속판에 의한 편향 자계에의 영향을 익히게 하는 실드의 역할도 겸비하고 있고, 텔레비전 셋트의 자유도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5도에 도시된 회로도의 보정 장치에 있어서도, 제어 코일(RCV1, RCV1)의 권수를 증가하면, 제어 자계(HCV)가 크게 되고, 상기의 편향 요크(4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 자계를 증가시킴에 의하여 θe/θm를 0.5 이하로 하고 있지만, 드럼형 코어의 재질을 MnZn 등과 같이 최대 자속 밀도(Bm)가 높고 잔류 자속 밀도(Br)가 작도록 한 것을 적당히 선택함에 의하여도 θe/θm를 0.5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이 경우에는 온도 특성에 충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같이, 본 발명의 인라인형 칼라 수상관의 화상 보정 장치는, 한쌍의 수평 편향 코일에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를 수직 편향 주기의 가포화 리액터의 피제어용 코일에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에 의하여 차동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수평 편향 자계의 자계 분포의 양상을 시간과 함께 변화시켜서 횡선의 컨버전스의 빗나감을 보정하는 장치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수직 편향 주기의 톱니형파 전류에 의한 제어 자계를 크게 함으로써 수평 편향 코일의 회로 임피던스의 변화율을 수직 편향이 가해질수록 적게 되게끔한 구성이기 때문에 다이나믹 컨버전스 보정 회로 등을 사용하는 일은 없고, 즉 매우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하는 바같은 보정하기 어려운 미스컨버전스 패턴의 빗나감도 최소로 할 수가 있고, 화상품위의 대폭적인 향상을 생산 코스트의 절감 및 생산 능율의 향상과 아울러 실현할 수가 있고 또, 보조 자계를 부가하는 보조 자계 형성 코일을 설치하고, 혹은, 편향 요크의 자심으로부터 외부에 방출되고 있던 자속을 유효하게 이용하도록한 요크를 설치하여, 제어 자계의 증대를 도모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특별한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매우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Claims (2)
- 핀쿠션형의 수평 편향 자계를 발생하는 한쌍의 수평 편향 코일(LH1, LH2)과, 배럴형의 수직 편향 자계를 발생하는 한쌍의 수직 편향 코일(LV)과, 상기한 하나의 수평 편향 코일(LH1)의 한 단자(a)에 직렬로 접속되고, 감은 방향이 서로 역방향으로 되도록 접속된 하나의 피제어 코일(2811, 2812)을 갖는 하나의 코일체(3811, 3812)과, 하나의 직류 자기 바이어스용 영구 자석(2911)과, 수직 편향 주기의 톱니형파 전류가 공급됨으로서 외부로 방출되는 보조 자계를 형성하는 하나의 보조 자계 코일(311)을 구비하고, 수직 편향 주기로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하나의 가변 리액터(261)와, 상기한 다른 수평 편향 코일(LH2)의 다른 단자(b)에 직렬 접속되어, 감은 방향이 서로 역방향으로 되도록 접속된 다른 피제어 코일(2821, 2822)을 갖는 다른 코일체(3821, 3822)와, 다른 자기 바이어스용 영구 자석(292)과, 수직 편향 주기의 톱니형파 전류가 공급됨으로서 외부로 방출되는 보조 자계를 형성하는 다른 보조 자계 코일(312)을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가변 리액터(261)와 마주하여 수직 편향 주기로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다른 가변 리액터(262)를 구비한 편향 요크(21)로 구성되며, 상기한 한쌍의 보조 자계 코일(311, 312)을 병렬 접속하여 형성되는 병렬 접속 회로는 상기한 한쌍의 수직 편향 코일(LV)에 직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형 칼라 수상관의 화상 보정 장치.
- 핀쿠션형의 수평 편향 자계를 발생하는 한쌍의 수평 편향 코일(LH1, LH2)와, 배럴형의 수직 편향 자계를 발생하는 한쌍의 수직 편향 코일(LV)과, 상기 하나의 수평 편향 코일(LH1)의 한 단자(a)에 직렬 접속되어, 감은 방향이 서로 역방향으로 되도록 접속된 하나의 피제어 코일(2811, 2812)을 갖는 하나의 코일체(3811, 3812)와, 하나의 직류 자기 바이어스용 영구 자석(2911)과, 수직 편향 주기의 톱니형파 전류가 공급됨으로서 외부로 방출되는 보조 자계를 형성하는 하나의 보조 자계 코일(311)을 갖고, 수직 편향 주기로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하나의 가변 리액터(261)와, 상기한 다른 수평 편향 코일(LH2)의 다른 단자(b)에 직렬 접속되어, 감은 방향이 서로 역방향으로 되도록 접속된 다른 피제어 코일(2821, 2822)을 갖는 다른 코일체(3821, 3822)와, 다른 자기 바이어스용 영구 자석(292)과, 수직 편향 주기의 톱니형파 전류가 공급됨으로서 외부로 방출되는 보조 자계를 형성하는 다른 보조 자계 코일(312)을 갖고, 상기 하나의 가변 리액터(261)와 마주하여 수직 편향 주기로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다른 가변 리액터(262)와, 상기한 가변 리액터(261, 262)의 외주에 설치된 자성체로 형성된 부재(41, 51, 52)를 구비한 편향 요크(40, 50)로 구성되고, 상기한 한쌍의 보조 자계 코일(311, 312)을 병렬 접속하여 형성되는 병렬 접속 회로는 상기한 한쌍의 수직 편향 코일(LV)에 직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형 칼라 수상관의 화상 보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34024 | 1983-12-12 | ||
JP58234024A JPS60125069A (ja) | 1983-12-12 | 1983-12-12 | インライン型カラ−受像管の画像補正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5199A KR850005199A (ko) | 1985-08-21 |
KR910000630B1 true KR910000630B1 (ko) | 1991-01-28 |
Family
ID=1696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40007808A KR910000630B1 (ko) | 1983-12-12 | 1984-12-10 | 인라인형 칼라 수상관의 화상 보정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4642528A (ko) |
EP (1) | EP0145483B1 (ko) |
JP (1) | JPS60125069A (ko) |
KR (1) | KR910000630B1 (ko) |
CA (1) | CA1227564A (ko) |
DE (1) | DE3480507D1 (ko) |
MY (1) | MY103688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23695A (ja) * | 1985-07-24 | 1987-01-31 | Victor Co Of Japan Ltd | コンバ−ゼンス補正装置 |
US4833432A (en) * | 1985-11-26 | 1989-05-23 | Denki Onkyo Co., Ltd. | Saturable reactor for use in self-convergence system fo deflection yoke |
JPH0670895B2 (ja) * | 1986-10-31 | 1994-09-07 | 株式会社東芝 | カラ−受像管 |
EP0311806B1 (en) * | 1987-09-16 | 1994-02-16 | Kabushiki Kaisha Toshiba | Deflection unit for a colour cathode ray apparatus |
NL8702500A (nl) * | 1987-10-20 | 1989-05-16 | Philips Nv | Kathodestraalbuis met afbuigsysteem. |
JPH01175151A (ja) * | 1987-12-29 | 1989-07-11 | Sony Corp | 偏向ヨーク |
JP3045735B2 (ja) * | 1989-07-31 | 2000-05-29 |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 カラー受像管用偏向ヨーク構体 |
JPH079786B2 (ja) * | 1989-10-06 | 1995-02-01 | 東京特殊電線株式会社 | 偏向ヨークおよび偏向装置およびモノクロームcrt表示装置 |
JP3041866B2 (ja) * | 1990-01-11 | 2000-05-15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偏向ヨーク装置 |
US5274308A (en) * | 1990-05-24 | 1993-12-28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Convergence correcting device |
JP2001185059A (ja) * | 1999-12-22 | 2001-07-06 | Toshiba Corp | カラー受像管装置 |
JP2001320601A (ja) * | 2000-05-08 | 2001-11-16 | Mitsubishi Electric Corp | 画像歪補正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54488A (en) * | 1981-06-14 | 1985-11-19 |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 Device for correcting an image on a picture tube having in-line electron guns and a coil assembly for the device |
JPS5814665U (ja) * | 1981-07-21 | 1983-01-29 |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 受像管の偏向装置 |
JPS59111491A (ja) * | 1982-12-17 | 1984-06-27 | Victor Co Of Japan Ltd | インライン型カラ−受像管の画像補正装置 |
-
1983
- 1983-12-12 JP JP58234024A patent/JPS60125069A/ja active Granted
-
1984
- 1984-12-10 KR KR1019840007808A patent/KR91000063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4-12-11 DE DE8484308603T patent/DE3480507D1/de not_active Expired
- 1984-12-11 CA CA000469775A patent/CA1227564A/en not_active Expired
- 1984-12-11 EP EP84308603A patent/EP0145483B1/en not_active Expired
- 1984-12-12 US US06/680,680 patent/US4642528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8
- 1988-12-30 MY MYPI88001576A patent/MY103688A/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MY103688A (en) | 1993-08-28 |
EP0145483A2 (en) | 1985-06-19 |
EP0145483A3 (en) | 1986-04-23 |
US4642528A (en) | 1987-02-10 |
EP0145483B1 (en) | 1989-11-15 |
CA1227564A (en) | 1987-09-29 |
DE3480507D1 (en) | 1989-12-21 |
JPH0212429B2 (ko) | 1990-03-20 |
JPS60125069A (ja) | 1985-07-04 |
KR850005199A (ko) | 1985-08-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10000630B1 (ko) | 인라인형 칼라 수상관의 화상 보정 장치 | |
US5506469A (en) | Display tube with deflection unit comprising field deflection coils of the semi-saddle type | |
US4386331A (en) | Deflection yoke | |
US4464643A (en) | Device for displaying television pictures and deflection unit therefor | |
US4237437A (en) | Deflection unit for color television display tubes | |
US4704564A (en) | Convergence correction apparatus | |
US4882521A (en) | Deflection yoke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 |
GB2139415A (en) | Field deflection coil system for a device for displaying television pictures | |
EP0589064B1 (en) | Deflection device for use in a color cathode-ray tube | |
US4874983A (en) | Picture display system including a deflection unit with a double saddle coil system | |
JPS59134530A (ja) | テレビジヨン画像表示装置 | |
JPH0324733B2 (ko) | ||
JPS5814453A (ja) | カラ−受像管の偏向装置 | |
US7005788B2 (en) | Magnetic device for correcting image geometry defects for cathode-ray tubes | |
JPS59171437A (ja) | 偏向ヨ−ク | |
JPH01161644A (ja) | 偏向ヨーク | |
JPH035079Y2 (ko) | ||
US4238751A (en) | Deflection yoke for color picture tube | |
JPS6318300B2 (ko) | ||
JPH0727736Y2 (ja) | インライン型カラ−受像管の画像補正装置 | |
JP3144351B2 (ja) | 偏向ヨーク | |
JP3334379B2 (ja) | 偏向ヨーク | |
JPH06119884A (ja) | 偏向ヨークの補正コイル | |
Maruyama et al. | Pincushion Distortion-Free Self-Convergence Deflection System | |
JPH044688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01111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