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1375Y1 - 도포구 - Google Patents

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1375Y1
KR900011375Y1 KR2019880009761U KR880009761U KR900011375Y1 KR 900011375 Y1 KR900011375 Y1 KR 900011375Y1 KR 2019880009761 U KR2019880009761 U KR 2019880009761U KR 880009761 U KR880009761 U KR 880009761U KR 900011375 Y1 KR900011375 Y1 KR 9000113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tank
liquid
bowl
nail pol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9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161U (ko
Inventor
마사끼 우찌다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엔피쯔 가부시끼가이샤
스우하라 에이이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엔피쯔 가부시끼가이샤, 스우하라 에이이찌로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엔피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01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1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13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3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8Arrangements for feeding the ink to the nibs
    • B43K5/1818Mechanical feeding means, e.g. valves; Pumps
    • B43K5/189Pum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24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permanently displaceable pressurising member that remain in position unless actuated, e.g. lead-screw or ratchet mechanisms, toothpaste tube twisting or rolling devices
    • A46B11/0027Lead-screw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7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2Ink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포구
제1도는 이 고안을 적용한 매니큐어의 축방향 중앙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매니큐어 피스톤이 탱크의 제일 앞쪽부에 도달한 상태의 요부확대 축방향의 중앙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의 III-III선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제3도와는 다른 실시예의 매니큐어의 제2도와 같은 도면.
제5도는 매니큐어의 종래예의 부분 축방향의 중앙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올 2 : 보올몰입공간
3 : 매니큐어액탱크 4 : 축본체
6 : 매니큐어액 7 : 피스톤
8 : 나사축 9 : 회전방지구
10 : 구멍 11 : 파이프
12 : 플랜지 13 : 스프링받이부
14 : 걸림돌기 15 : 슬릿
16 : 스프링받이 17 : 돌조
18 : 빠짐방지부재 19 : 코일스프링
20 : 중심구멍 21 : 연결아암
22 : 리브 23 : 시이트
24 : 도출파이프 25 : 도포부재
26 : 마개 27 : 캡
28 : 손가락잡기부 29 : 요입부
42 : 보올 몰입공간 51 : 피스톤
52 : 보올 53 : 탱크
54 : 토출구
이 고안은 잉크, 도료, 매니큐어등의 액체화장료, 액체의 약품, 접착제등의 액상체로서, 휘저어 쉬기를 필요로하는 액상체를 피스톤을 이용하여 토출하고, 도포 혹은 필기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안료 잉크와 같이 휘저어 섞기를 필요로 하는 액상체를 피스톤에 의하여 토출시키는 구조의 도포구 또는 필기구는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휘저어 섞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액상체를 위한 종래로부터 있는 피스톤을 장착한 도포구를 이용하여서, 휘저어 섞기를 필요로하는 액상체와 함께 휘저어 섞기를 위한 보올을 함께 탱크내에 수용한 경우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51)이 휘저어 섞기용 보올(52)에 방해되어 탱크(53)의 최전단까지 도달 할수 없으며, 또한 휘저어 섞기용 보올(52)에 의하여 액상체의 토출구(54)가 막혀서 액상체가 토출되지 않기도 하여서, 다량의 액상체가 탱크 전단부에 토출되지 아니하고 잔존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기는 것이다.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탱크내의 액상체를 전부 토출 가능하여서 액상체의 잔량을 극히 미소하게 할 수 있는 휘저어 섞기를 필요로 하는 액상체를 위한 도포구 혹은 필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고안의 특징은, 탱크내에 피스톤이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게 장착됨과 함께 탱크내에는 휘저어 섞기용 보올이 이리저리로의 동작이 자유롭게 수용되며, 탱크 전단부 또는 피스톤 전단면에 휘저어 섞기용 보올의 직경보다도 내경 및 깊이가 조금 큰 휘저어 섞기용 보올 몰입공간이 구성된 휘저어 섞기를 필요로 하는 액상체를 도포 혹은 필기하기 위한 도포구 혹은 필기구에 있는 것이다.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이 고안을 매뉴큐어에 적용한, 이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휘저어섞기용 보올(1)이 투입공간(2)이 매니큐어액 탱크(3)의 선단부에 구성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4)는 매니큐어액 탱크(3)를 겸한 마킹 펜의 본체이다
축 본체(4)의 전단은 직경을 가늘게 하고 있고, 그 후방의 본체 앞쪽의 대략 반을 링크(3)로 하고, 그 내부에 매니큐어액(6)을 충전하고 있다. 또한 매니큐어액 탱크(3)에는 매니큐어액을 휘저어 섞기 위한 보올(1)이 이리저리로의 동작이 자유롭게 수용되어 있다.
매니큐어액 탱크(3)의 전단에는, 작은 직경부에 걸쳐서 휘저어 섞기용 보올(1)이 직경보다도 조금 내경이 크고 또한 휘저어 섞기용 보올(1)의 직경보다도 약간 깊이가 깊은 휘저어 섞기용 보올(1)이 빠져 들어갈 수 있는 공간(2)이 구성되어 있다.
매니큐어액 탱크(3)에는, 매니큐어액 탱크(3)의 내면에 수밀(水密)상으로 접촉되면서 축방향으로 미끄럼동작이 자유롭게 피스톤(7)이 장착되어 있다. 피스톤(7)으로부터 후방으로 나사축(8)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축본체(4)의 대략 중앙부에는 회전방지구(9)가 고정 불임되어 있다. 회전방지구(9)의 중심에는 직사각형의 구멍(10)이 형성되어 있고, 그 직사각형의 구멍(10)에 나사축(8)을 회전 불능하게 끼위넣고 있다.
나사축(8)에는 피스톤 구동 파이프(11)가 죄어 나사붙임 되어있다. 피스톤 구동 파이프(11)의 전단에는 플랜지(12)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 안둘레에는 피스톤 구동 파이프11)가 나사와 나사 맞춤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축(8)은 피스톤(7)이 가장 전진된 위치, 즉 매니큐어액(6)을 전부 밀어낸 때의 위치에서도 피스톤 구동파이프(11)와 나사 맞춤하고 있으며, 피스톤(7)이 완전히 전진하고 있지 않은 위치, 즉 매니큐어액(6)을 전혀 밀어내고 있지 않은 위치에서는, 그 후단에 축 본체(4)로부터 어느 정도 돌출하고 있는 길이로 되어 있다.
피스톤 구동(11)은 그 선단의 플랜지(12)가 항상 회전 방지구(9)에 맞닿고 있다. 피스톤 구동 파이프(11)의 길이는 나사축(8)이 가장 후퇴된 때에 그 나사축(8)의 후단보다 후방으로 연장된 길이이다.
피스톤 구동파이프(11)의 플랜지(12)의 뒷쪽에, 피스톤 구동 파이프(11)와 본체(4)와의 사이에 스프링받이(16)가 피스톤 구동 파이프(11)의 플랜지(12)에 맞닿게하여 장착되어 있다.
피스톤 구동 파이프(11)의 후단에는, 본체(4)와 같은 직경의 손가락 잡기부(28)가, 축 본체(4)에 대하여는 회전이 자유롭게 피스톤 수동 파이프(11)에 대하여는 회전 불능, 즉 피스톤 구동 파이프(11)와 함께 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손가락 잡기부(28)는 뒷부분이 막힌 통형상이다. 손가락 잡기부(28)의 앞부분은 손가락 잡기부 본체보다도 바깥 직경이 가늘게 되어 있고, 그 직경을 한 부분의 전단에는 스프링 받이부(13)와 걸림돌기(14)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복수개의 축방향의 슬릿(15)이 설치되어 있다.
축 본체(4)의 후단측 안둘레는 내경을 크게하여 내부가 어느 정도 확장되어 있고, 축 본체(4)의 후단 내벽에는 둘레방향의 돌기(17)가 형성되어 있다.
축 본체(4)의 후단내측에는 링형상의 빠짐방지부재(18)가 눌러들어가 있다. 이 빠짐방지 부재(8)는 전기돌기(17)에 막혀 빠져나가지 않는다. 피스톤구동파이프(11)의 후단부바깥둘레에는축방향의 홈이 형성되고, 손가락 잡기부(28)의 내벽에는 피스톤 구동 파이프(11)의 홈에 대응하여 서로 끼워 맞춤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손가락 잡기부(28)는, 피스톤 구동파이프(11)의 후단을, 홈과 돌기와를 치차 맞물리게 하여 내측으로 채워져 들어가고, 피스톤 구동 파이프(11)의 선단은 빠짐방지 부재(18)와 피스톤 구동 파이프(11)와의 사이를, 슬릿(15)에 의한 탄성 변형에 의해, 눌러넣어서 채워 넣음으로써 조립되어 있다.
피스톤 구동 파이프(11)의 바깥쪽에는 미리 코일스프링(19)을 장착해 놓음으로써, 그 코일 스프링(19)은 스프링 받이(16)와, 손가락 잡기부(18)의 선단의 스프링 받이부(13)와의 사이에 유지되여, 상기와 같이 피스톤 구동 파이프(11)를 항상 회전 방지구(9)에 밀어 붙어놓는 역할을 한다.
축 본체(4)의 앞쪽에는, 제2도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구멍(20)이 형성된 연결아암(21)이 수밀상으로 눌러 넣어져 고정불임되어 있다. 연결아암(21)의 중심구멍(20)의 후단은 굻게 되어 있다 그 안둘레면 상에 둘레방향으로 각 같은 간격으로 4개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사다리꼴의 리브(22)가 형성되어 있으며, 당해 리브(22)의 후단 경사면을 휘저어 섞기용 보올(1)의 시이트(23)로 하고 있다.
휘저어 섞기용 보올(1)의 시이트는, 중심구멍(20)의 후단 부분을 바깥으로 확장된 원추 사다리꼴을 형성하고 그 벽면에 돌기를 설치 함으로써 형성해도 좋다.
연결아암(21)의 중심구멍(20)에는 연결아암(21)의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도출파이프(24)가 끼워 넣어져 있다. 이 도출 파이프는 별도의 부재로 하지않고 연결아암(21)으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시켜도 좋다.
그 도출파이프(24)의 돌출부에는, 털재질의 도포부재(25)가 후단면으로부터 끼위 넣어지고, 도포부재(25)의 후단부는 연결아암(21)의 전단면의 요입부(29)에 끼워 넣어 고정 붙임되어 있다.
도포부재(25)의 주위에는, 선단을 돌출시킨 상태로 도포부재(25)는 연결아암(21)을 덮은상태로, 마개(26)가 축 본체(4)의 선단에 나사 붙임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27)는 캡이다.
이 실시예의 매니규어에서는 매니큐어액 탱크(3)의 전단에 구성된 휘저어 섞기용보울(1)이 정확히 들어가는 크기의 공간(2)을 형성한 것, 및 휘저어 섞기용 보올(1)을 받아들이는 연결아암(21)의 중심구멍(20)의 후단구멍트인 곳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둔 리브(22)를 형성한 것에 의하여, 휘저어 섞기용보올(1)이 매니큐어액 탱크(3)의 선단에 위치한 때에도 매니큐어액(6)의 유통공간은 리브(22)의 사이에 확보되며, 피스톤(7)이 제일 앞위치에 온 때에도, 휘저어 섞기용 보올(1)에 저지 되지 않고 끝까지 이동하여 매니큐어액(6)을 밀어내기 때문에, 매니큐어액 탱크(3)로 부터 밀어 내지지 않고 남는 매니큐어액(6)은 극히 소량으로 된다.
제4도는 이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휘저어 섞기용 보올이 빠져들어가는 공간(6)을 매니큐어액 탱크(3)의 전단면에 형성하는 대신에, 피스톤(7)의 전단면에 형성한 것으로서, 기타의 구조 및 작용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들 실시예의 매니큐어는 어느 것이라도 어떤 종류의 기구에 사용될 수 있는 통상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고안이 적용 될 수 있는 도포구 혹은 필기구는 종래 통상의 소재, 예를 들면 경질 합성수지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이들 실시예의 매니큐어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가락 잡기부(28)를 회전하면 피스톤 구동 파이프(11)도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피스톤 구동파이프(11)의 나사부와 나사맞춤하고 있는 나사축(8)은 회전 방지구(9)에 의해 회전이 저지되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 구동파이프(11)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손가락 잡기부(28)의 회전방향을 선택하고 나사축(8)을 전진시키는 것에 의하여, 매니큐어액(6)은 피스톤에 의하여 서서히 밀려나간다.
피스톤(7)을 끝까지 전진시키면, 매니큐어액 탱크(3)내의 매니큐어액(6)은 거의 전부 밀려나가며, 약간 리브(22)주위에 남는 정도이어서, 매니큐어액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한편, 피스톤(7)을 전진시키는 구동기구는 실시예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떠한 기구이더라도 좋다.
이 고안은 이상과 같이 휘저어 섞기를 필요로하는 액상체를 충전한 탱크내에 휘저어 섞기용 보올을 수용함에도 불구하고 피스톤의 이동이 휘저어 섞기용 보올에 의하여 방해되는 일 없이 탱크식 최전단부까지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탱크내의 액상체를 기의 전부 토출 가능하고, 액상체의 잔량을 극히 미소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현저한 것이다.

Claims (2)

  1. 탱크(3)내에 피스톤(7)이 미끄럼동작이 자유롭게 장착됨과 함께 탱크내에는 휘저어 섞기용 보올(1)이 이리저리로의 동작이 자유릅게 수용되며, 탱크 전단부에 휘저어 섞기용보올(1)의 직경보다도 내경 및 깊이가 조금 큰 보올 몰입 공간(2)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저어 섞기를 필요로 하는 액상체를 도포 혹은 필기하기 위한 도포구 혹은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탱크(3)내에 피스톤(7)이 미끄럼동작이 자유롭게 장착됨과 함께 탱크내에는 휘저어 섞기용보올(1)이 이리저리로의 동작이 자유롭게 수용되며, 피스톤 전단면에 휘저어 섞기용보올(1)의 직경보다도 내경 및 깊이가 조금 큰 보올 몰입 공간(2)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저어 섞기를 필요로하는 액상체를 도포 혹은 필기하기 위한 도포구 혹은 필기구.
KR2019880009761U 1987-06-25 1988-06-24 도포구 KR90001137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097627U JPS641779U (ko) 1987-06-25 1987-06-25
JP97627 1987-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161U KR900000161U (ko) 1990-01-07
KR900011375Y1 true KR900011375Y1 (ko) 1990-12-28

Family

ID=14197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9761U KR900011375Y1 (ko) 1987-06-25 1988-06-24 도포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S641779U (ko)
KR (1) KR900011375Y1 (ko)
DE (1) DE3821395C2 (ko)
FR (1) FR2617135B1 (ko)
GB (1) GB2206486B (ko)
IT (1) IT121790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936B1 (ko) * 2001-10-11 2004-08-25 김종출 다용도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259Y2 (ja) * 1989-10-19 1995-06-07 三菱鉛筆株式会社 流動体の塗布具
JPH0782787B2 (ja) * 1990-05-09 1995-09-06 株式会社テーアンテー スライドスイッチ
JP5235625B2 (ja) * 2008-11-25 2013-07-10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塗布具
WO2011050409A1 (en) * 2009-11-02 2011-05-05 Ian Peter Allen A device for delivering data tags
DE102010009691A1 (de) * 2010-01-15 2011-07-21 Georg LINZ GmbH & Co. KG, 90408 Ventilmarker mit Dosierventil
DE102010009695A1 (de) * 2010-01-15 2011-07-21 Georg LINZ GmbH & Co. KG, 90408 Ventilmarker mit Durchgangskanal im Kugelsitz
WO2018142399A1 (en) * 2017-01-31 2018-08-09 Nailomatic Ltd. Brush integrated capsule with film-forming polymer for nail polishing
EP3576567B1 (en) 2017-01-31 2022-10-19 Nailomatic Ltd. Automated nail polish applica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74499A (fr) * 1960-08-18 1961-10-27 Ct Technique Des Ind Fonderie Procédé de désulfuration d'un bain métallique
US3802023A (en) * 1971-12-06 1974-04-09 Spatz Corp Brush
US4447169A (en) * 1981-03-23 1984-05-08 Victor Vartoughian Automatic applicator bottles
US4528032A (en) * 1984-01-10 1985-07-0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Lithium purification technique
US4572737A (en) * 1984-06-27 1986-02-25 The Boc Group, Inc. Agents for the removal of impurities from a molten metal and a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4599008A (en) * 1985-06-28 1986-07-08 Fin-Tech Limited Partnership Fingernail polish capsule and plung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936B1 (ko) * 2001-10-11 2004-08-25 김종출 다용도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217901B (it) 1990-03-30
FR2617135B1 (fr) 1990-04-27
IT8821078A0 (it) 1988-06-23
JPS641779U (ko) 1989-01-06
GB8815220D0 (en) 1988-08-03
DE3821395A1 (de) 1989-01-05
GB2206486A (en) 1989-01-11
GB2206486B (en) 1991-05-01
DE3821395C2 (de) 1991-07-04
FR2617135A1 (fr) 1988-12-30
KR900000161U (ko) 199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8107A (en) Dripless dispenser for liquids and viscous fluids
KR900011375Y1 (ko) 도포구
KR910001951Y1 (ko) 도포 및 필기용기구
GB2211081A (en) Liquid applicator
KR900006220Y1 (ko) 액상체 도포구
KR900006219Y1 (ko) 액상체 도포구
KR920010045B1 (ko) 필기 · 도포용 기구
JPH061267Y2 (ja) 塗布具
KR910003019Y1 (ko) 액상체의 필기 또는 도포용 기구
JP2585910Y2 (ja) 棒状物繰り出し容器及び棒状物補充カセット
JPH0747053Y2 (ja) 液状化粧料容器
JP5457948B2 (ja) 塗布具
KR940002947B1 (ko) 액체용기
JPH0322142Y2 (ko)
JPH1023921A (ja) 汚れ防止機構を備えた液状化粧料容器
JPH0440774Y2 (ko)
US11857058B2 (en) Cosmetic container with scraping member
GB2204365A (en) Pumping unit for a writing instrument or a liquid applicator
JP4251632B2 (ja) 塗布具
JP2012016858A (ja) 塗布具
JP2004114542A (ja) 塗布具
KR910004500Y1 (ko) 액상체(液狀體)의 필기 또는 도포용 기구의 밸브장치
JP2023067025A (ja) 塗布具付容器
JPH0425356Y2 (ko)
KR950006716Y1 (ko) 봉상물조출용기 및 봉상물조출카셋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