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716Y1 - 봉상물조출용기 및 봉상물조출카셋트 - Google Patents

봉상물조출용기 및 봉상물조출카셋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716Y1
KR950006716Y1 KR2019930006836U KR930006836U KR950006716Y1 KR 950006716 Y1 KR950006716 Y1 KR 950006716Y1 KR 2019930006836 U KR2019930006836 U KR 2019930006836U KR 930006836 U KR930006836 U KR 930006836U KR 950006716 Y1 KR950006716 Y1 KR 950006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haped
holder
circumferential surface
shaped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68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4001U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쇼우지 야스니시
요시히데 미츠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to KR20199300068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716Y1/ko
Publication of KR9400240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40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7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봉상물조출용기 및 봉상물조출카셋트
제1도는 본 고안 봉상물조출 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2a도는 본 고안에서의 봉상물호울더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확대종단면도.
제2b도는 제2a도를 화살표방향에서 바라본 우측단면도.
제3a도는 본 고안에서의 봉상물호울더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확대종단면도.
제3b도는 제3a도를 화살표방향에서 바라본 우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서의 봉상물호울더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확대종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서의 봉상물호울더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확대종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서의 봉상물보충카셋트의 종단면도.
제7도는 종래의 봉상물조출용기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2 : 내통
3 : 봉상물 4 : 봉상물호울더
5 : 나선측 5A : 안내부
5B : 나선흠 5C : 접속부
8 : 캡 9A : 씨일링
9B, 9C, 9D : 돌출부 10 : 케이스
11 : 뚜껑
본 고안의 수정봉이나 칼라스틱, 봉형상풀, 입술연지, 눈섭화장용 연필심, 필기용 연필심과 같은 봉상물을 회전조작으로 조출시키는 봉상물조출용기 및 봉상물 보충카셋트에 관한 것이다.
제7도는 종래의 봉상물조출용기의 1례의 구성을 종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예컨대 수정봉과 같은 봉상물(23)이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24A)에서 보유지지되도록 된 호울더(24)가, 외통(21)의 내부면에 형성된 키이(29)와 호울더(24)의 외면에 형성된 키이홈(30)에 의해 회전할 수 없고 측방향이동만 할 수 있도록 외통(1)내에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호울더(24)에 내면 뒷쪽부위에도 암나사부(35)가 형성되면서, 이 암나사부(35)에 나사결합되는 나선흠(36A)이 외면이 형성된 나선축(36)이 호울더(24)내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 나선축(36)은 그 근원부근에 근원환상돌조 (37)와 큰직경축부위환상돌조(38) 및 뒷끝손잡이부(39)를 갖추어, 각각 외통(21)의 내면에 형성된 안쪽방향돌출부(40)와 큰직경원통부환상흠(41) 및 외통 뒷끝에 축방향이동은 하지 못하고 회전만 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근원환상돌조(37)는 안쪽방향돌출부(40)를 타고 넘어 앞쪽에서 미끄럼접촉하고, 큰직경부환상돌조(38)는 큰직경원통부환상흠(41)에 걸어맞춰지는 한편, 뒷끝손잡이부(39)는 외통(21)의 뒷끝에 미끄럼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외통(21)의 앞끝부위(21A)에는 켑(28)이 착탈될 수 있도록 씌워져, 예컨대 외통(21)의 앞끝부위(21A)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돌조(43)가 켑(28)의 내부면에 환상홈(44)에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예에 있어서는, 사용할려면 외통(21)에서 캡(28)을 벗겨낸 다음 외통(21)에 대해 뒷끝손잡이부를(39)를 회전시키면 나선측(36)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이 나선축(36)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35)를 가진 호울더(24) 및 이에 보유지지된 수정봉(23)이 외통(21)의 키이(29)와 호울더(24)의 키이홈(30)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외통(21)의 앞끝부위(21A)로 부터 돌출하게 되어, 수정할 곳을 도포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수정봉(23)을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뒷끝손잡이부(39)를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선축(36)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이 나선축(36)에 나사결합된 호울더(24) 및 이에 보유지지된 수정봉(23)이, 외통(21)의 키이(29)와 호울더(24)의 키이홈(30)에 의해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축방향이동하게 되어, 외통(21)의 앞끝부위(21A)내로 끌어들여지게 되는바, 그 다음 외통(21)의 앞끝부위(21A)에 캡(39)을 씌우게 된다.
또 봉상물(23)을 다 썼을 때에는 뒷끝손잡이부(39)를 회전시켜 호울더(24)를 최대전진위치까지 이동시켜놓고서 호울더(24)내의 봉상물잔재부를 제거한 다음 신품의 봉상물을 호울더(24)에 끼워놓고서 뒷끝손잡이부(39)를 반대방향으로 돌려 호울더(24)를 후진시키면, 봉상물이 외통(21)의 앞끝부위(2A)로 부터 끌어들여져 수납시켜지게 됨으로써 봉상물(23)을 보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예에 있어서는, 사용치 않을 때 봉상물의 건조와 수분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안쪽방향돌출부(40)의 후단면에 도시되지 않은 휄트(felt)재를 첨부시켜 나선축(36)과의 미끄럼접촉하는 면과의 사이를 밀패시키도록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펠트재는 회전하는 나선축과의 사이에서 시간이 흐르면 점차 탄성을 잃게 됨으로써 밀봉성이 나빠져 봉상물의 건조와 수분증발을 충분히 방지할 수가 없게됨은 물론, 이와 같은 펠트재는 일단 조립된 후에는 구조상 교환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이 문제가 있다.
또 다른 문제로서는 종래의 봉상물조출용기는 봉상물을 보충할 수가 없는 것이 문제로 되고 있는바, 즉 봉상물(23)을 보충하려면, 호울더(24)내의 봉상물잔재부분을 제거해야만 하기 때문에 시간과 위생상의 문제로 현실로는 용기자체를 버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봉상물의 건조나 수분증발을 충분히 방지할수 있는 봉상물조출용기를 제공함과 더불어, 봉상물조출 용기에 봉상물을 간단히 보충할 수가 있으면서 봉상물의 건조와 수분증발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봉상물 보충카셋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봉상물조출용기는, 외통(1)과, 주면에 나선홈(5B)이 형성되는 한편 앞쪽부위에서는 접속부(5C)가 갖춰져 외통(1)내에 회전할 수 없고, 축방향이동만 할 수 있도록 설치된 나선측(5), 이 나선축(5)에 형성된 나선홈(5B)에 걸어맞춰지는 돌출부(2A)가 뒷부위내주면에 형성되면서 외통(1)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외통(1)에 대해 축방향이동은 할수 없고, 회전만 할 수 있도록 부착된 내통(2), 상기 나선축(5)의 접속부(5C)에 착탈될 수 있도록 연결되면서 내통(2)내에 설치되어 봉상물(3)을 보유지지하게 되는 호울더(4), 내통(2) 또는 외통(1)중 어느 한쪽에 착탈될 수 있도록 끼워지는 캡(8) 및 봉상물호울도(4)의 외주면과 내통(2)의 내주면을 밀착시키는 밀착수단(9)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본 고안에서의 봉상물보충카셋트는, 봉상물조출용기에 쉽게 착탈 될 수 있게 연결될 수 있으면서 봉상물을 보유지지하는 봉상물호울더(4)와, 이 봉상물호울더(4)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씌워진 케이스(10) 및 상기 봉상호울더(4)의 외주면과 케이스(10)의 내부면을 밀착시키는 밀착수단(9)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 봉상물조출용기의 1실시예 구성을 종단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면중 참조번호 1은 바닥부(1B)를 가진 외통으로서, 이 외통(4)내에는 나선축(5)이 회전은 할 수 없고 축방향이동만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에에서는 조립하기 쉽도록 부품수를 줄이기 위해 나선축(5)의 뒷끝부위에 일체로 안내부(5A)가 형성되면서, 이 안내부(5A) 끝판외주에 다수의 키이홈(5D)이 형성됨과 더불어, 외통(1)의 마주보는 내주면에는 축방향으로 뻗은 키이(1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키이홈과 키이의 관계는, 나선축(5)과 외통(1)에다 상기와는 반대로 형성시켜도 된다.
그리고 상기 나선축(5)의 외주면에는 나선홈(5B)이 형성되고, 또 그 앞부위에는 접속부(5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통(1)의 앞쪽내부에는 내통(2)이 축방향이동은 할 수 없고 회전만 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는바, 즉 내통(2)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홈(2B)과 외통(1)의 내부면에 형성된 계단부(1C)가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또, 내통(2)에는 그 뒷부위내주면에 나선축(5)의 나선홈(5B)에 걸어맞춰지는 돌출부(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통(1) 및 내통(2)중 어느 한쪽(본 실시에에서는 내통(2))의 외주면에 캡(8)이 착탈될 수 있도록 끼워지고, 이 캡(8)의 머리부위에는 클립(7)과 일체로 된 마개(8A)가 압입되어져 있다.
나선측(5)의 접속부(5C)에는 봉상물호울더(4)가 착탈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내통(2)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바, 이 호울더(4)는 제2도에 확대종단면도로 도시된 것과 같이 되어 있다.
즉 제2a도는 봉상물호울더(4)의 제1실시예를 종단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제2b도는 제2a도에 도시된 봉상물호울더(4)를 화살표방향에서, 바라본 우측면도로서, 봉상물호울더(4)가 내부에 형성된 칸막이판(4A)에 의해 봉상물보유지지부(4B)와 나선측연결부(4C)로 분리되면서, 이 봉상물보유지지부(4B)의 내면에 암나사(4E)가 형성되어 봉상물(3)이 걸려져 보유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나선측 연결부(4C)는 뒤쪽으로부터 4개의 슬릿이 형성되므로써 탄성을 갖고서 바깥쪽으로 벌려질 수가 있게 되어, 접속부(5C)에 연결시켜질 경우 일단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어 양자가 쉽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칸막이판(4A)의 외주에는 환형상흠(4D)이 형성되어 그에 씨일링(9A)이 끼워지게 되는바, 이 씨일링(9A)은 봉상물호울더(4)의 외주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내통(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서 압축됨으로써 내통(2)의 내주면에 밀착시켜지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하기 위해서는 내통(2)에서 캡(8)을 벗겨낸 다음 외통(1)에 대해 내통(2)을 회전시키거나 또는 내통(2)에 대해 외통(1)을 회전시키면, 내통(2)의 돌출부(2A)가 나선측(5)의 나선흠(5B)내에 걸어맞춰지고 외통(1)의 키이(1A)가 나선측(5)의 안내부(5A)의 키이홈(5D)에 끼워맞춰져 있게 때문에, 이 나선홈(5B)이 돌출부(2A)에 안내되어 이동하게 됨과 더불어 나선측(5)이 그 접속부(5C)에 연결된 봉상물호울더(4)가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봉상물호울더(4)에 보유지지된 봉상물(3)이 내통(2)의 앞끝으로부터 돌출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봉상물(3)을 끌여들이기 위해서는, 외통(1) 또는 내통(2)을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나선홈(5B)이 돌출부(2A)에 안내되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됨과 더블어 나선축(5)의 접속부(5C)에 연결된 봉상물 호울더(4)에 보유지지된 봉상물(3)이 내통(2)의 앞끝으로부터 끌여들여지게 된다.
또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내통(2)의 외주면과 캡(8)의 내주면이 밀접하는 부분 및 봉상물호울더(4)의 외주면에 설치된 씨일링(9A)과 내통(2)이 밀착되는 부분에 의해 봉상물(3)의 수분이 의부로 증발하는 것이 억제되어, 건조되는 것을 장기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 외에도, 씨일랑(9A)에 의해서도 내통(2)의 내주면과 봉상물호울더(4) 사이에 마찰저항이 생기기 때문에, 봉상물(3)을 사용하는 도중 봉상물(3)을 매개로 받게 되는 토요크에 의해 봉상물(4)의 희전이 방지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종래의 예에서와 같이 봉상물(3)이 짧아져 내통(2)과의 사이에 저항이 적어져 발생하였던, 사용중의 봉상물 (4) 및 봉상물호울더(4)가 공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제3도는 본 고안에서의 봉상물호울더(4)의 제2실시예를 확대종단면도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봉상물호울더(4)가 엘라스토머수지러 형성시켜진 것인바, 엘라스토머수지로서는 탄성을 가진 올레핀계수지로서 예켠대 상표명「샌드플렌」일난 상표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봉상물호울더(4)의 칸막이판(4A) 바깥쪽 연장선상에는 환형상의 돌조(9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봉상물호울더(4)를 사용하더라도, 탄성을 가진 돌조(9B)가 내통(2)의 내주면에 밀착시켜지기 때문에,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환상돌조(9B)가 칸막이판(4A)의 바깥쪽연장선상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칸막이판(4A) 부분의 탄성도 이용될 수가 있는 잇점이 있음을 물론, 돌조(9B)가 봉상물호울더(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가 줄어들 수가 있게 되는 잇점도 있게 된다.
그리고 이 봉상물호울더(4)를 형성시킬 때는, 봉상물(4) 전체가 탄력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돌조(9B)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더라도 모울드에서 뽑아낼 수가 있어서 분할된 모울드를 쓸 필요가 없고, 그 때문에 제조하기가 쉬운 잇점도 있게 된다. 또 봉상물호울더(4)를 접속부(5C)에 연결시킬 때도 나선측연결부(4C) 자신이 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특별한 슬릿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제4도는 본 고안에서의 봉상물호울더 (4)의 제3실시예를 확대종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는 제3도로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의 돌조(9B)대신 칸막이판(4A)보다 봉상물보유지지부(4B)쪽 외주면에 환상의 돌조(9C)를 형성시켜 놓은 실시예로서, 이와 같이 구성되어도 제2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제5도는 본 고안에서의 봉상물호울더(4)의 제4실시예를 확대종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이는 상기 제3도 및 제4도로 도시된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의 돌출부 (9B, 9C)대신 봉상물호울더(4)의 봉상물보유지지부(4B) 앞끝을 바깥쪽으로 넓혀지도록 벽두께를 두껍게 하여 환상돌출부(9D)가 되도록 한 예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도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질 수 있게됨과 더불어, 봉상물호울더 (4)를 제조할 때 봉상물호울더(4)를 보다 간단히 모울드로부터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또 봉상물(3)은 통상적으로 봉상물재료용액을 원통내에 삽입된 봉상물호울더 (4)에다 충전해서 고화시킴으로써 성형하게 되는바, 그러한 경우 이 돌출부(9D)가 원통과 봉상물호울더(4) 사이 간극으로 부터 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발휘하게 된다.
제6도는 본 고안의 봉상물보충 카세트를 종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이 봉상물보충카셋트는, 봉상물(3) 및 이를 보유지지하는 봉상물호울더(4)를 주로 수납하는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마개(11)로 구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0)이 앞끝부위내면에는 테이퍼부(10A)가 형성되어 봉상물(3) 및 봉상물호울더(4)가 충전될 때의 확실성을 기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봉상물호울더(4)는 그 외주면에 밀착수단(도면에서는 씨일링 : 9A)이 설치되어 케이스(10)의 내주면에 밀착시켜짐으로써 봉상물(4)의 건조나 수분증발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 봉상물보충카셋트를 써서 봉상물조출용기에 봉상물호울더를 보충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봉상물보충용기로 봉상물(30)을 사용한도까지 모두 사용했을 때는 잔재부가 들어 있는 봉상물호울더(4)를 접속부(5C)로 부터 뽑아내는 한편, 봉상물보충카셋트를 준비해서 마개(11)를 벗겨낸 다음 봉상물호울더(4)를 접속부(5C)에다 연결하고 나서, 내통(2)를 회전시켜 나선측(5)에 연결된 봉상물호울더(4)를 끌어들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손을 전혀 더럽히지 않고 케이스(10)로 부터 끌어내어 내통(2)내에다 봉상물(3)을 보충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봉상물호울더(4)의 외주면에는 밀착수단(9)이 갖춰져 있기 때문에 마개를 벗긴 상태에서 봉상물호울더(4)쪽이 아래가 되도록 해서 봉상물보충카셋트를 수직이 되도록 하더라도, 밀착수단(9)과 케이스(10)사이이 마찰저항력에 의해 봉상물호울더(4) 및 봉상물(3)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되어, 부주위로 연결시켜지는 일이 없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봉상물조출용기 및 봉상물보충카셋트를 쓰게 되면, 공통의 봉상물호울더(4) 및 밀착수단(9)을 사용하여 봉상물의 건조와 수분증발을 방지할 수 가 있고, 또 밀착수단(9)를 공통으로 사용하게 됨으로써 봉상물(3)을 보충할 때마다 밀착수단(9)도 교체시킬 수가 있게 되어, 오래동안 사용하게 되어 밀착수단(9)의 밀봉능력이 나빠지는데 대해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봉상물을 보유지지하는 봉상물호울더의 외주면에 밀착수단을 설치해서 봉상물 호울더를 착탈될 수 있도록 설치하게 됨으로써, 봉상물조출용기 및 봉상물보충카셋트내에서 봉상물이 건조되거나 수분증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됨과 더불어, 봉상물조출용기와 봉상물보충카셋트의 부품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봉상물보충카셋트로부터 봉상물조출용기로 봉상물을 보충하는 것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외통(1)내에 외주면에 나선홈(5B)이 형성되는 한편 앞쪽 부위에 접속부(5C)가 형성된 나선측(5)이 회전은 할 수 없고 축방향이동만 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이 나선축(5)의 나선홈(5B)에는 상기 외통(1)내에서 이 외통(1)보다 앞쪽으로 돌출된 내통(2)이 그 뒷부위 내부면에 형성된 돌출부(2A)에 의해 걸어 맞춰져 외통(1)에 대해 축방향이동은 할 수 없고 회전만 할 수 있도록 부착되며, 상기 나선측(5)의 접속부(5C)에는 봉상물(3)을 보유 지지하는 봉상물호울더(4)가 착탈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내통(2)내를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면서 이 봉상물호울더(4)의 외주면에 상기 내통(2)의 내주면에 밀착시켜지는 밀착수단(9)이 설치되고, 상기 내통(2) 또는 외통(1)중 어느 한쪽에는 캡(8)이 착탈될 수 있도록 씌워진 봉상물조출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수단(9)이 봉상물호울더(4)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씨일링(9A)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조출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상물호울더(4)가 엘라스토머수지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밀착수단(9)이 봉상물호울더(4)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환상돌조(9B, 9C, 9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조출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봉상물호울더(4)가 호울더(4)의 내부를 둘로 나누는 칸막이판(4A)을 갖춤과 더불어, 상기 환상돌조(9B)가 칸막이판(4A)의 바깥연장선상에 형성시켜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조출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돌조(9D)가 봉상물호울더(4)의 앞끝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조출용기.
  6. 봉상물조출용기에 쉽게 착탈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봉상물(3)을 보유지지하도록 된 봉상물호울더(4)와, 이 봉상물호울더(4)에서 이탈할 수 있도록 씌워진 케이스(10)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봉상물호울더(4)의 외주면에 케이스(10)의 내주면에 밀착시켜시는 밀착수단(9)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보충카셋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수단(9)이 봉상물호울더(4)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씨일링(9A)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보충카셋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봉상물호울더(4)가 엘라스토머수지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밀착수단(9)이 봉상물호울더(4)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돌조(9B, 9C, 9D)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보충카셋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봉상물호울더(4)의 내부가 칸막이판(4A)에 의해 둘로 나뉘어짐과 더불어, 상기 환상돌조(9B)가 칸막이판(4A)의 바깥쪽연장선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보충카셋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돌조(9D)가 봉상물호울더(4)의 앞끝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보충카셋트.
KR2019930006836U 1993-04-28 1993-04-28 봉상물조출용기 및 봉상물조출카셋트 KR950006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836U KR950006716Y1 (ko) 1993-04-28 1993-04-28 봉상물조출용기 및 봉상물조출카셋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836U KR950006716Y1 (ko) 1993-04-28 1993-04-28 봉상물조출용기 및 봉상물조출카셋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001U KR940024001U (ko) 1994-11-16
KR950006716Y1 true KR950006716Y1 (ko) 1995-08-19

Family

ID=19354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6836U KR950006716Y1 (ko) 1993-04-28 1993-04-28 봉상물조출용기 및 봉상물조출카셋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7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001U (ko) 199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9774A (en) Refillable container for applying a spreadable product, more particularly an adhesive compound
US4248543A (en) Finger print powder dispensing apparatus
US5190389A (en) Wiper mounting ring
US3529899A (en) Holder for liquid make-up
US8944713B2 (en) Cosmetic applicator and cosmetic container
US5549404A (en) Stick-shaped material drive container and supply cassette
US5407286A (en) Cosmetic pencil
KR950006716Y1 (ko) 봉상물조출용기 및 봉상물조출카셋트
US4149552A (en) Fountain brush
JP2585910Y2 (ja) 棒状物繰り出し容器及び棒状物補充カセット
US2502716A (en) Lipstick container
JPH0747053Y2 (ja) 液状化粧料容器
JP7191479B2 (ja) 繰出し容器
JPH0736922U (ja) 棒状化粧料繰り出し容器
US6142691A (en) Containment and extraction device for doughy cosmetics
JPH064844Y2 (ja) 化粧料容器
JPH0112667Y2 (ko)
US5927289A (en) Application unit for liquid or viscous product usable in cosmetics, paints or glues
JPH0317780Y2 (ko)
JP2551942Y2 (ja) 液状収納物の塗布容器
JP2004024506A (ja) 化粧具
KR930005402Y1 (ko) 녹크 형태의 화장품 용기
EP0593851A1 (de) Reserveflasche für eine Tintennachfüllung von Kolbenfüllfederhaltern oder mit Tintentank und Tintenleitsystem ausgestatteten Schreibgeräten
JPH0317781Y2 (ko)
JP3915135B2 (ja) 棒状化粧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